KR101360778B1 -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 - Google Patents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0778B1
KR101360778B1 KR1020130105661A KR20130105661A KR101360778B1 KR 101360778 B1 KR101360778 B1 KR 101360778B1 KR 1020130105661 A KR1020130105661 A KR 1020130105661A KR 20130105661 A KR20130105661 A KR 20130105661A KR 101360778 B1 KR101360778 B1 KR 101360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outlet
hole
outlet bod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춘영
Original Assignee
태양기술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양기술단(주) filed Critical 태양기술단(주)
Priority to KR1020130105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7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interlocked with contact members or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5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wall or panel outl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Abstract

본 발명의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는, 콘센트본체부의 플러그삽입홀의 주변으로 누름캡을 구비하고, 플러그 몸체가 누름캡을 눌러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한 단자연결로드의 수평 이동을 통해 단락된 부분이 연결되고 전기를 연결시킴으로써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콘센트덮개부를 열고 철사, 젓가락 등과 같은 도전체를 삽입시키더라도 단락된 부분이 연결되지 않아 감전사고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플러그와 접속된 상태에 있는 콘센트본체부를 콘센트덮개부로 보호하고 개방된 공간 또한 장공밀폐부로 밀폐시키는 한편, 밀폐된 상태에서 플러그가 절연체인 고무패널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하여 콘센트로 인한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콘센트덮개부로 콘센트본체부를 덮은 상태에서 잠금기구를 이용하여 콘센트덮개부의 잠금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유아들이 콘센트덮개부를 쉽게 열 수 없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Interior Outlet Box of Apartment House for Protection Against Electric Shock}
본 발명은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센트본체부를 덮는 콘센트덮개부를 구비하여 부주의로 인한 사고나 유아들의 위험한 장난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콘센트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유아들이 쉽게 콘센트덮개부를 열지 못하도록 구성된 잠금기구를 구비하여 콘센트 감전사고로부터 유아들을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콘센트는 건물의 바닥면이나 벽면에 설치되는 매립형 콘센트, 가정이나 일반 사무실에 구비된 콘센트에 연결되어 다른 전기제품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콘센트 등과 같이 다양한 구조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콘센트는 플러그가 꼽히는 플러그 연결홈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철사, 젓가락 등과 같은 도전체가 플러그 연결홈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감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특히, 어린 아이들은 사고능력과 판단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보호자의 관심이 소홀할 때 철사, 젓가락 등과 같은 도전체를 콘센트의 플러그 연결홈에 삽입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감전사고 위험성이 매우 높다.
또한, 콘센트가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콘센트의 플러그 연결홈에 묻기 쉬워, 이로 인해 전기제품을 사용할 때 스파크가 이물질에 튀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리적 손상을 입기도 쉽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1052607호(2011.07.22.) "공동주택의 감전사고 방지형 콘센트"에서는 상용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부를 제공하도록 공동주택의 벽체에 설치되는 콘센트본체부와; 일측 중앙부 끝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타측으로 콘센트본체부에 접속되는 플러그의 케이블이 관통가능한 크기를 갖는 장공이 형성되고 플러그를 내측에 수용하기 위한 제1 곡면패널을 포함하는 콘센트덮개부와; 장공을 기준으로 제1 곡면패널 양측에 형성되고 제1 곡면패널과의 사이에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제2 곡면패널과, 제2 곡면패널에 의해 형성된 삽입공간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패널로 이루어져, 플러그의 케이블이 장공에 위치된 상태에서 장공의 나머지 부분을 밀폐시키기 위한 장공밀폐부로 구성되는 공동주택의 감전사고 방지형 콘센트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공동주택의 감전사고 방지형 콘센트의 경우에 콘센트덮개부가 상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어린 아이들이 장난으로 콘센트덮개부를 열고 철사, 젓가락 등과 같은 도전체를 삽입시킬 경우 감전사고 위험성은 여전히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러그를 플러그삽입홀에 삽입하고, 콘센트덮개부로 콘센트본체부를 덮은 상태에서 유아들이 콘센트덮개부를 쉽게 열 수 있기 때문에, 플러그삽입홀에 삽입된 플러그를 잡아당겨 빼거나 다시 삽입하는 등의 장난이 우려되어 감전사고를 완전히 차단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52607호(2011. 7. 22.) "공동주택의 감전사고 방지형 콘센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플러그삽입홀의 주변으로 누름캡 구비하고, 플러그 몸체가 누름캡을 눌러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한 단자연결로드의 수평 이동을 통해 단락된 부분이 연결되고, 전기를 연결시킴으로써,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콘센트덮개부를 열고 철사, 젓가락 등과 같은 도전체를 삽입시키더라도 단락된 부분이 연결되지 않아 감전사고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콘센트덮개부와 콘센트본체부 사이에 잠금기구를 구비하여 유아들이 콘센트덮개부를 쉽게 열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유아들의 장난에 의한 감전사고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용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부를 제공하도록 공동주택의 벽체에 설치되고, 상단 양측 표면에 핀이 관통 고정되는 돌출부(11)가 구비된 콘센트본체부(10)와; 일측 중앙부 끝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타측으로 상기 콘센트본체부(10)에 접속되는 플러그(1)의 케이블(2)이 관통가능한 크기를 갖는 장공(21-1)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1)를 내측에 수용하도록 곡면을 가지며 상부에 상기 돌출부(11)에 핀고정되는 원통체(21-2)가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회동가능하게 되는 제1 곡면패널(21)과, 상기 제1 곡면패널(21) 양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곡면패널(21)과 함께 상기 콘센트본체부(10)간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가능하게 하는 수직패널(22)로 이루어지는 콘센트덮개부(20)와; 상기 장공(21-1)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곡면패널(21)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곡면패널(21)과의 사이에 삽입공간(31-1)을 형성하는 제2 곡면패널(31)과, 상기 제2 곡면패널(31)에 의해 형성된 삽입공간(31-1)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패널(32)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블(2)이 상기 장공(21-1)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장공(21-1)의 나머지 부분을 밀폐시키기 위한 장공밀폐부(30);로 구성되는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콘센트덮개부(20) 내측에 위치된 상기 플러그(1)는 일측 중앙부 끝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타측으로 제1 절개부위(41)를 갖고 상기 제1 절개부위(41)와 직각방향으로 복수개의 제2 절개부위(42)를 가지며 상기 수직패널(22) 내측면에 대향 구비되는 걸고리(22-1)에 고정되는 관통공(43)이 모서리에 형성된 고무패널(40)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제1 곡면패널(21) 하단 내측면에는 상기 콘센트본체부(10)에 형성된 단턱홈(12)에 착탈가능하게 끼움되는 후크(21-3)가 설치되는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콘센트본체부(10)에는, 상기 플러그(1)의 형태에 대응하는 플러그안착홈(13)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안착홈(13)에는 상기 플러그(1)가 삽입되는 플러그삽입홀(14)이 구비되어 있으며, 두 개의 상기 플러그삽입홀(14)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부에 플러그안착홈(13)을 내외부 관통하는 관통공에 결합되는 누름캡(15)이 구비되고, 상기 누름캡(15)의 내부에는 일단이 고정 결합된 단자연결로드(16)와 상기 단자연결로드(16)의 외주면으로 감싸여 있는 스프링(17)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에서 탈착되지 않도록 내부측 끝단에는 상기 관통공에 걸리는 걸림턱(15-1)이 형성되되, 상기 단자연결로드(16)의 일 측단이 상기 누름캡(15)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플러그삽입홀(14)의 내부측으로 상기 플러그(1)가 삽입 접촉되는 제 1 중공부(18-1)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캡(15)의 내부측으로 상기 단자연결로드(16)가 삽입 접촉되는 제 2 중공부(18-2)가 형성되는 플러그단자(18)가 구비되며, 상기 단자연결로드(16)와 수평으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상기 단자연결로드(16)의 이동 시 삽입 접촉되는 제 3 중공부(19-1)를 갖도록 형성되며, 전기를 연결하는 전선(L)이 연결되어 있는 전선단자(19)가 구비되고, 상기 플러그(1)가 콘센트본체부(10)에 삽입 접속된 상태가 아니면, 상기 누름캡(15)은 원래의 돌출된 위치를 유지하여 상기 플러그단자(18)와 상기 전선 단자(19)는 단락된 상태로 유지하며, 상기 플러그(1)가 상기 콘센트안착홈(13) 및 플러그삽입홀(14)에 삽입 접속된 상태이면, 상기 누름캡(15)은 상기 콘센트본체부(10)의 내부측으로 밀려 들어가고, 상기 단자연결로드(16)는 콘센트 본체부(10)의 내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며, 상기 제 1 중공부(18-1)에 삽입 접촉된 상기 플러그(1)와 상기 제 2 중공부(18-2)와 상기 제 3 중공부(19-1)를 동시에 삽입 접속된 상기 단자연결로드(16)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전기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콘센트본체부(10)와 콘센트덮개부(20) 사이에 잠금기구(50)가 구비되고, 상기 잠금기구(50)는, 콘센트본체부(10)에 구비되는 것으로, 장착공간(51-1)을 가지고 중앙에 원형의 장착구멍(51-3)이 형성된 장착통부(51-2)를 형성하며, 상기 장착통부(51-2)의 바깥면에 장착구멍(51-3)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제1 및 제2 잠금구멍(51-4, 51-5)을 90도 간격으로 배치하여 형성한 잠금브라켓(51); 상기 장착통부(51-2)의 장착구멍(51-3)을 통해 관통 설치되고 중앙에 사각구멍(52-1)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잠금구멍(51-4, 51-5)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잠금돌기(52-2)가 형성된 회전노브(52); 상기 장착통부(51-2)의 장착공간(51-1) 내부에서 장착통부(51-2)와 회전노브(52) 사이에 탄력설치된 제1 탄성부재(53); 상기 회전노브(52)의 사각구멍(52-1)을 통해 관통 설치되고, 회전노브(52)의 바깥쪽에서 걸림유지되는 걸림단턱(54-1), 상기 사각구멍(52-1)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사각축(54-2) 및 장착공간(51-1) 내부에 위치하는 지지축(54-3)이 연이어 형성된 축부재(54); 상기 축부재(54)의 지지축(54-3) 끝단에 고정된 롤러(55); 및 상기 롤러(55)와 회전노브(52) 사이에 탄력설치된 제2 탄성부재(56)로 이루어지며, 상기 콘센트덮개부(20)의 수직패널(22)에는 콘센트덮개부(20)가 콘센트본체부(10)를 덮는 위치에서 상기 롤러(55)의 일부가 삽입되어 걸림 유지되는 사각형의 걸림구멍(57)이 형성된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센트본체부의 플러그삽입홀의 주변으로 누름캡을 구비하고, 플러그 몸체가 누름캡을 눌러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한 단자연결로드의 수평 이동을 통해 단락된 부분이 연결되고 전기를 연결시킴으로써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콘센트덮개부를 열고 철사, 젓가락 등과 같은 도전체를 삽입시키더라도 단락된 부분이 연결되지 않아 감전사고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러그와 접속된 상태에 있는 콘센트본체부를 콘센트덮개부로 보호하고 개방된 공간 또한 장공밀폐부로 밀폐시키는 한편, 밀폐된 상태에서 플러그가 절연체인 고무패널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하여 콘센트로 인한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센트덮개부로 콘센트본체부를 덮은 상태에서 유아들이 조작하기 어렵게 구성한 잠금기구를 이용하여 콘센트덮개부의 잠금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유아들이 콘센트덮개부를 쉽게 열 수 없게 되고, 이로써 유아들이 콘센트덮개부를 열고 플러그를 잡아당겨 빼거나, 다시 삽입하려고 하는 위험한 장난을 미연에 방지하여 유아들의 감전사고를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에서 플러그의 삽입 동작에 따라 전기 연결을 스위칭하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에서 콘센트덮개부 및 고무패널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에서 잠금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에 따른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에서 잠금기구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a는 도 6c의 A-A선 단면도.
도 7b는 도 6f의 B-B선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에서 잠금기구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회전노브의 정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0-1052607호를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유사한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0-1052607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다.
다만, 본 발명은 등록특허 제10-1052607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에서 선택적으로 이용하고, 플러그의 삽입 동작에 따라 전기 연결을 스위칭 기능과, 콘센트덮개부를 유아들이 쉽게 열지못하도록 하는 잠금 기능을 더욱 구비한 구성으로,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0-1052607호의 내용 중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플러그(1)와 접속되는 콘센트본체부(10)와, 콘센트본체부(10) 및 이에 수용된 플러그(1)를 커버하기 위한 콘센트덮개부(20)와, 콘센트덮개부(20)를 밀폐시키기 위한 장공밀폐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콘센트본체부(10)는 상용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부를 제공하도록 공동주택의 벽체에 설치되고, 상단 양측 표면에 콘센트덮개부(20)와 핀결합되도록 핀이 관통 고정되는 돌출부(11)가 구비된 구조를 가지며, 이에 따라 콘센트본체부(10)에 핀고정된 콘센트덮개부(20)가 상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 설치된다.
콘센트덮개부(20)는 일측 중앙부 끝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타측으로 콘센트본체부(10)에 접속되는 플러그(1)의 케이블(2)이 관통가능한 크기를 갖는 장공(21-1)이 형성되고 플러그(1)를 내측에 수용하도록 곡면을 가지며 상부에 콘센트본체부(10)의 돌출부(11)에 핀고정되는 원통체(21-2)가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회동가능하게 되는 제1 곡면패널(21)과, 제1 곡면패널(21) 양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곡면패널(21)과 함께 콘센트본체부(10) 간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가능하게 하는 수직패널(22)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콘센트덮개부(20)의 구조에 따르면, 플러그(1)가 콘센트본체부(10)에 접속된 상태에서 콘센트본체부(10)와 콘센트덮개부(20) 사이의 공간에 플러그(1)가 배치되고 플러그(1)의 케이블(2)이 장공(21-1) 외측으로 인출가능하게 되며, 또한 콘센트본체부(10)와 핀결합되어 상하측으로 회동가능하게 되는데, 여기서 콘센트덮개부(20)의 테두리가 콘센트본체부(10)와 밀착될 시에 장공(21-1)을 제외한 부분이 모두 밀폐된 상태가 유지되어 플러그(1) 사용에 따른 감전을 방지할 수 있다.
장공밀폐부(30)는, 장공(21-1)을 기준으로 제1 곡면패널(21) 양측에 형성되고 제1 곡면패널(21)과의 사이에 삽입공간(31-1)을 형성한 제2 곡면패널(31)과, 제2 곡면패널(31)에 의해 형성된 삽입공간(31-1)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패널(32)로 이루어져, 플러그(1)의 케이블(2)이 장공(21-1)에 위치된 상태에서 장공(21-1)의 나머지 부분을 밀폐키게 된다.
이에 따르면, 콘센트본체부(10)에 플러그(1)가 접속되고 콘센트덮개부(20)에 의해 장공(21-1)을 제외한 다른 부분이 모두 밀폐된 상태에서, 플러그(1)의 케이블(2)이 인출된 부분을 제외한 장공(21-1)의 나머지 부분을 이동패널(32)이 밀폐시킬 수 있음에 따라, 가느다란 금속과 같은 전도체를 장공(21-1)으로 집어넣는 과정에서 발생가능한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콘센트본체부(10)에는 플러그(1)의 형태에 대응하는 플러그안착홈(13)이 형성되고, 플러그안착홈(13)에는 플러그(1)가 삽입되는 플러그삽입홀(14)이 두 개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두 개의 플러그삽입홀(14)은 일반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안착홈(13) 내부에는 두 개의 플러그삽입홀(14)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부에 플러그안착홈(13)을 내외부 관통하는 관통공에 결합되는 누름캡(15)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누름캡(15)의 내부에는 일단이 고정 결합된 단자연결로드(16)와 단자연결로드(16)의 외주면으로 감싸여 있는 스프링(17)이 구비되어 있고, 관통공에서 탈착되지 않도록 내부측 끝단에는 관통공에 걸리는 걸림턱(15-1)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자연결로드(16)는 누름캡(15)의 내부 일단에 나사 결합 등으로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하는데, 후술하는 플러그단자(18)와 전선단자(19) 사이를 이동하더라도 누름캡(15)의 일단에 고정되어 이동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플러그단자(18)는 플러그삽입홀(14)의 내부측으로 플러그(1)가 삽입 접촉되는 제1 중공부(18-1)가 형성되고, 누름캡(15)의 내부측으로 단자연결로드(16)가 삽입 접촉되는 제2 중공부(18-2)가 형성되며, 제2 중공부(18-2)의 일단은 상술한 바와 같은 스프링(17)을 타단에서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수행한다.
전선단자(19)는 단자연결로드(16)와 일정 간격(예를 들면, 누름캡(15)의 수평 이동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단자연결로드(16)의 이동 시 삽입 접촉되는 제3 중공부(19-1)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전선단자(19)에는 전기를 연결하는 전선(L)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플러그단자(18) 및 전선단자(19)는 콘센트본체부(10)의 내부에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어야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콘센트본체부(10)의 내부 구성에 대한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플러그(1)가 콘센트본체부(10)에 삽입 접속된 상태가 아니면, 누름캡(15)은 원래의 돌출된 위치를 유지하고, 이에 따라 단자연결로드(16)는 이동하지 않고 플러그단자(18)와 전선 단자(19)는 단락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철사, 젓가락 등의 도전체를 플러그삽입홀(14)에 삽입하더라도 감전사고 위험은 전혀 없게 된다.
다음에, 플러그(1)가 콘센트본체부(10)의 콘센트안착부(13) 및 플러그삽입홀(14)에 삽입 접속된 상태이면, 누름캡(15)은 콘센트본체부(10)의 내부측으로 밀려 들어가고, 이에 따라 단자연결로드(16)는 내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며, 플러그단자(18)의 제1 중공부(18-1)에 삽입 접촉된 플러그(1)와 플러그단자(18)의 제2 중공부(18-2)와 전선단자(19)의 제3 중공부(19-1)를 동시에 삽입 접속된 단자연결로드(16)를 통해 서로 접속됨으로써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콘센트덮개부(20), 장공밀폐부(30) 및 후술하는 고무패널(40)을 통해 밀폐되어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콘센트본체부(10)의 플러그삽입홀(14) 주변으로 누름캡(15)이 설치되고, 플러그 몸체가 누름캡(15)을 눌러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한 단자연결로드(16)의 수평 이동을 통해 단락된 부분이 연결되고, 전기를 연결시킴으로써, 플러그(1)가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콘센트덮개부(20)를 열고 철사, 젓가락 등과 같은 도전체를 삽입시키더라도 단락된 부분이 연결되지 않아 감전사고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1)가 접속된 상태에서는 콘센트덮개부(20), 장공밀폐부(30) 및 고무패널(40)을 통해 안전하게 밀폐됨으로써, 감전사고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에서 콘센트덮개부(20) 및 고무패널(40)의 결합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패널(40)은, 중앙부에 콘센트덮개부(20)의 장공(21-1)과 대응하도록 제1 절개부위(41)를 형성하고, 제1 절개부위(41)와 직각방향으로 복수개의 제2 절개부위(42)를 형성하며 모서리에 관통공(43)을 형성한다. 이러한 고무패널(40)에 의해 콘센트덮개부(20) 내측에 위치된 플러그(1)가 둘러싸이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고무패널(40)이 수직패널(22) 내측면에 대향 구비되는 걸고리(22-1)에 잡아 당겨져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콘센트덮개부(20)를 상측으로 회동시키고 플러그(1)를 콘센트본체부(10)에 접속시킨 다음 콘센트덮개부(20)를 하측으로 회동시켜 플러그(1)가 밀폐된 공간 내 위치되도록 하면, 고무패킹(40)의 제1 및 제2 절개부위(41, 42)가 탄성력에 의해 플러그(1)의 돌출된 부분 외측면을 따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절연성을 확보하여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제1 곡면패널(21) 하단 내측면에는 콘센트본체부(10)에 형성된 단턱홈(12)에 착탈가능하게 끼움되는 후크(21-3)가 체결 설치되도록 하여 콘센트본체부(10)와 콘센트덮개부(20)가 상호 간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콘센트본체부(10)로부터 콘센트덮개부(20)가 분리되어 회동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에서 콘센트덮개부(20)를 유아들이 쉽게 열지 못하도록 하는 잠금기구(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기구(50)는 콘센트덮개부(20)의 수직패널(22)에 형성한 사각형의 걸림구멍(57)과, 콘센트본체부(10)의 일측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구멍(57)이 위치한 수직패널(22)의 바깥쪽과 마주하도록 형성된 잠금브라켓(51)을 구비한다.
잠금브라켓(51)은, 장착공간(51-1)을 가지도록 바깥쪽으로 돌출된 장착통부(51-2)를 형성하고, 장착통부(51-2)의 중앙에 원형의 장착구멍(51-3)이 형성되며, 장착통부(51-2)의 바깥면에 장착구멍(51-3)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제1 및 제2 잠금구멍(51-4,51-5)이 9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장착통부(51-2)에는 회전노브(52)가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노브(52)는 장착구멍(51-3)을 통해 관통 설치된다. 장착통부(51-2)의 바깥쪽에 위치한 회전노브(52)의 머리부 중앙에는 사각구멍(52-1)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노브(52)의 머리부 저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잠금구멍(51-4,51-5)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잠금돌기(5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착통부(51-2)와 회전노브(52) 사이에는 제1 탄성부재(53)가 탄력설치된다. 제1 탄성부재(53)는 장착통부(51-2)의 장착공간(51-1) 내부에서 일단은 장착통부(51-2)에 접촉하고 타단은 회전노브(52)의 끝단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회전노브(52)의 잠금돌기(52-2)가 장착통부(51-2)의 제1 또는 제2 잠금구멍(51-4,51-5)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노브(52)의 사각구멍(52-1)으로는 축부재(54)가 관통 설치된다. 축부재(54)는 회전노브(52)의 바깥쪽에서 걸림유지되는 걸림단턱(54-1)과, 상기 사각구멍(52-1)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사각축(54-2)과, 장착공간(51-1) 내부에 위치하는 지지축(54-3)을 연이어 형성한 것이다.
이때 축부재(54)의 사각축(54-2)이 회전노브(52)의 사각구멍(52-1)에 안내되는 구성에 의해서는, 축부재(54)의 축방향 이동시 축부재(54)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회전노브(52)의 회전시 축부재(54)가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축부재(54)의 지지축(54-3) 끝단에는, 콘센트덮개부(20)가 콘센트본체부(10)를 덮은 위치에서 수직패널(22)의 걸림구멍(57)에 일부가 삽입되어 걸림 유지되는 롤러(55)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롤러(55)와 회전노브(52) 사이에는 제2 탄성부재(56)가 탄력설치되며, 제2 탄성부재(56)는 롤러(55)가 항상 수직패널(22)의 걸림구멍(57)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잠금기구(5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덮개부(20)가 콘센트본체부(10)를 덮지 않은 상태에서는 잠금기구(50)의 롤러(55)는 제2 탄성부재(56)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콘센트덮개부(20)로 콘센트본체부(10)를 덮개 되면, 이 과정에서 콘센트덮개부(20)의 일측 끝단이 롤러(55)의 구름면과 접촉하여 롤러(55)가 가압하게 되고, 이로써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재(54)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롤러(55)는 수직패널(22) 바깥표면과 구름 접촉하게 되며, 제2 탄성부재(56)는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콘센트덮개부(20)를 계속 덮개 되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패널(22)의 걸림구멍(57)과 롤러(55)가 일치하는 위치에서 압축되어 있던 제2 탄성부재(5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롤러(55)는 다시 돌출하여 일부가 걸림구멍(57)에 삽입되고 이로써 콘센트덮개부(20)는 콘센트본체부(10)에 덮힌 상태로 고정된다.
이어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노브(52)의 머리부를 잡고 바깥쪽으로 잡아당기면, 제1 탄성부재(53)가 압축되면서 잠금돌기(52-2)가 제1 잠금구멍(51-4)으로부터 빠지게 되고, 이로써 회전노브(52)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노브(52)를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후, 회전노브(52)를 놓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제1 탄성부재(5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잠금돌기(52-2)는 제2 잠금구멍(51-5)에 삽입되어 회전노브(52)는 다시 회전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회전노브(52)의 90도 회전조작에 의해서는 도 6e 및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재(54)도 함께 회전하여 롤러(55)를 90도 회전시키게 되므로, 롤러(55)의 측면이 콘센트덮개부(20)의 개폐방향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콘센트덮개부(20)를 열림방향으로 회동시켜도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구멍(57)이 롤러(55)의 측면에 걸려 롤러(55)를 가압하여 밀어낼 수 없게 되므로, 콘센트덮개부(20)를 열 수 없는 잠금상태가 되고, 이로써 유아들이 콘센트덮개부(20)를 여는 것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감전사고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이어서, 콘센트덮개부(20)를 열고자 할 때에는, 도 6e 및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노브(52)의 머리부를 잡고 다시 바깥쪽으로 잡아당기면, 제1 탄성부재(53)가 압축되면서 잠금돌기(52-2)가 제2 잠금구멍(51-5)으로부터 빠지게 되므로, 회전노브(52)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고,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노브(52)를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후, 회전노브(52)를 놓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제1 탄성부재(5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잠금돌기(52-2)는 제1 잠금구멍(51-4)에 삽입되어 회전노브(52)는 다시 회전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회전노브(52)의 90도 역회전조작에 의해서는 도 6c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재(54)도 함께 회전하여 롤러(55)를 90도 회전시키게 되므로, 롤러(55)의 구름면이 다시 콘센트덮개부(20)의 이동방향으로 위치되어 콘센트덮개부(20)에 여는 방향으로 힘을 주면, 걸림구멍(57)의 일측 가장자리부가 롤러(55)의 구름면과 접촉하여 가압하게 되고, 이로써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재(54)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롤러(55)는 수직패널(22) 바깥표면과 구름 접촉하게 되며, 제2 탄성부재(56)는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콘센트덮개부(20)를 완전히 열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55)는 수직패널(22)로부터 이탈하여 제2 탄성부재(5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돌출하므로, 콘센트덮개부(20)를 덮기 전 상태로 원위치 되어 다음 콘센트덮개부(20)를 덮을 때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잠금기구(50)에 의해 콘센트덮개부(20)가 콘센트본체부(10)를 덮은 상태에서 잠금상태가 유지되고, 유아들은 회전노브(52)의 회전조작이 어렵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콘센트덮개부(20)의 열림으로 인한 유아들의 감전사고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 플러그 2 : 케이블
10 : 콘센트본체부 11 : 돌출부
12 : 단턱홈 13 : 플러그안착홈
14 : 플러그삽입홀 15 : 누름캡
16 : 단자연결로드 17 : 스프링
18 : 플러그단자 19 : 전선단자
20 : 콘센트덮개부 30 : 장공밀폐부
40 : 고무패널 50 : 잠금기구
51 : 잠금브라켓 52 : 회전노브
53 : 제1 탄성부재 54 : 축부재
55 : 롤러 56 : 제2 탄성부재
57 : 걸림구멍

Claims (1)

  1. 상용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부를 제공하도록 공동주택의 벽체에 설치되고, 상단 양측 표면에 핀이 관통 고정되는 돌출부가 구비된 콘센트본체부(10)와; 일측 중앙부 끝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타측으로 상기 콘센트본체부에 접속되는 플러그(1)의 케이블(2)이 관통가능한 크기를 갖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를 내측에 수용하도록 곡면을 가지며 상부에 상기 돌출부에 핀고정되는 원통체가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회동가능하게 되는 제1 곡면패널(21)과, 상기 제1 곡면패널 양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곡면패널과 함께 상기 콘센트본체부 간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가능하게 하는 수직패널(22)로 이루어지는 콘센트덮개부(20)와; 상기 장공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곡면패널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곡면패널과의 사이에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제2 곡면패널(31)과, 상기 제2 곡면패널에 의해 형성된 삽입공간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패널(32)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블이 상기 장공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장공의 나머지 부분을 밀폐시키기 위한 장공밀폐부(30);로 구성되는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본체부(10)에는, 상기 플러그(1)의 형태에 대응하는 플러그안착홈(13)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안착홈(13)에는 상기 플러그(1)가 삽입되는 플러그삽입홀(14)이 구비되어 있으며, 두 개의 상기 플러그삽입홀(14)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부에 플러그안착홈(13)을 내외부 관통하는 관통공에 결합되는 누름캡(15)이 구비되고, 상기 누름캡(15)의 내부에는 일단이 고정 결합된 단자연결로드(16)와 상기 단자연결로드(16)의 외주면으로 감싸여 있는 스프링(17)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에서 탈착되지 않도록 내부측 끝단에는 상기 관통공에 걸리는 걸림턱(15-1)이 형성되되, 상기 단자연결로드(16)의 일 측단이 상기 누름캡(15)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플러그삽입홀(14)의 내부측으로 상기 플러그(1)가 삽입 접촉되는 제 1 중공부(18-1)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캡(15)의 내부측으로 상기 단자연결로드(16)가 삽입 접촉되는 제 2 중공부(18-2)가 형성되는 플러그단자(18)가 구비되며, 상기 단자연결로드(16)와 수평으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상기 단자연결로드(16)의 이동 시 삽입 접촉되는 제 3 중공부(19-1)를 갖도록 형성되며, 전기를 연결하는 전선(L)이 연결되어 있는 전선단자(19)가 구비되고,
    상기 플러그(1)가 콘센트본체부(10)에 삽입 접속된 상태가 아니면, 상기 누름캡(15)은 원래의 돌출된 위치를 유지하여 상기 플러그단자(18)와 상기 전선 단자(19)는 단락된 상태로 유지하며, 상기 플러그(1)가 상기 플러그안착홈(13) 및 플러그삽입홀(14)에 삽입 접속된 상태이면, 상기 누름캡(15)은 상기 콘센트본체부(10)의 내부측으로 밀려 들어가고, 상기 단자연결로드(16)는 콘센트 본체부(10)의 내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며, 상기 제 1 중공부(18-1)에 삽입 접촉된 상기 플러그(1)와 상기 제 2 중공부(18-2)와 상기 제 3 중공부(19-1)를 동시에 삽입 접속된 상기 단자연결로드(16)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전기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콘센트본체부(10)와 콘센트덮개부(20) 사이에 잠금기구(50)가 구비되고, 상기 잠금기구(50)는,
    콘센트본체부(10)에 구비되는 것으로, 장착공간(51-1)을 가지고 중앙에 원형의 장착구멍(51-3)이 형성된 장착통부(51-2)를 형성하며, 상기 장착통부(51-2)의 바깥면에 장착구멍(51-3)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제1 및 제2 잠금구멍(51-4, 51-5)을 90도 간격으로 배치하여 형성한 잠금브라켓(51); 상기 장착통부(51-2)의 장착구멍(51-3)을 통해 관통 설치되고 중앙에 사각구멍(52-1)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잠금구멍(51-4, 51-5)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잠금돌기(52-2)가 형성된 회전노브(52); 상기 장착통부(51-2)의 장착공간(51-1) 내부에서 장착통부(51-2)와 회전노브(52) 사이에 탄력설치된 제1 탄성부재(53); 상기 회전노브(52)의 사각구멍(52-1)을 통해 관통 설치되고, 회전노브(52)의 바깥쪽에서 걸림유지되는 걸림단턱(54-1), 상기 사각구멍(52-1)에 삽입되어 축방향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사각축(54-2) 및 장착공간(51-1) 내부에 위치하는 지지축(54-3)이 연이어 형성된 축부재(54); 상기 축부재(54)의 지지축(54-3) 끝단에 고정된 롤러(55); 및 상기 롤러(55)와 회전노브(52) 사이에 탄력설치된 제2 탄성부재(56)로 이루어지며,
    상기 콘센트덮개부(20)의 수직패널(22)에는, 콘센트덮개부(20)가 콘센트본체부(10)를 덮은 위치에서 상기 롤러(55)의 일부가 삽입되어 걸림 유지되는 사각형의 걸림구멍(5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
KR1020130105661A 2013-09-03 2013-09-03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 KR101360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661A KR101360778B1 (ko) 2013-09-03 2013-09-03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661A KR101360778B1 (ko) 2013-09-03 2013-09-03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0778B1 true KR101360778B1 (ko) 2014-02-11

Family

ID=50270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661A KR101360778B1 (ko) 2013-09-03 2013-09-03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077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6972A (zh) * 2015-09-25 2015-12-30 惠州市加迈电器有限公司 安全插座
CN106602323A (zh) * 2016-12-22 2017-04-26 六安力达生产力促进中心有限公司 防触电智能自锁插座
CN108199187A (zh) * 2017-12-28 2018-06-22 方浩羽 一种新型具有防触电功能的插座
CN109301560A (zh) * 2018-10-19 2019-02-01 岳西县明杰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手机充电器变压装置的联动挤压绝缘装置
CN110212351A (zh) * 2019-05-16 2019-09-06 泰力(安徽)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家庭用能防止插头松动的插座开关面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5836A (ja) 2008-08-26 2010-03-11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コンセント装置
KR101066903B1 (ko) 2011-07-01 2011-09-27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기능을 갖춘 배전함
KR101262794B1 (ko) 2013-01-31 2013-05-09 주식회사 이린 벽면 매설형 공동주택의 콘센트박스
KR101301250B1 (ko) 2013-05-15 2013-08-28 (주)부흥이앤씨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5836A (ja) 2008-08-26 2010-03-11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コンセント装置
KR101066903B1 (ko) 2011-07-01 2011-09-27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기능을 갖춘 배전함
KR101262794B1 (ko) 2013-01-31 2013-05-09 주식회사 이린 벽면 매설형 공동주택의 콘센트박스
KR101301250B1 (ko) 2013-05-15 2013-08-28 (주)부흥이앤씨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6972A (zh) * 2015-09-25 2015-12-30 惠州市加迈电器有限公司 安全插座
CN106602323A (zh) * 2016-12-22 2017-04-26 六安力达生产力促进中心有限公司 防触电智能自锁插座
CN106602323B (zh) * 2016-12-22 2018-10-16 新昌县七星街道菊燕百货批发部 防触电智能自锁插座
CN108199187A (zh) * 2017-12-28 2018-06-22 方浩羽 一种新型具有防触电功能的插座
CN109301560A (zh) * 2018-10-19 2019-02-01 岳西县明杰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手机充电器变压装置的联动挤压绝缘装置
CN109301560B (zh) * 2018-10-19 2020-10-20 岳西县明杰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手机充电器变压装置的联动挤压绝缘装置
CN110212351A (zh) * 2019-05-16 2019-09-06 泰力(安徽)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家庭用能防止插头松动的插座开关面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0778B1 (ko)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
KR101301250B1 (ko)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US9196996B2 (en) Safe outlet
KR20130129159A (ko) 방수콘센트
KR101710004B1 (ko) 회전식 플러그와 이에 대응하는 콘센트
KR100788865B1 (ko) 접속구를 갖는 회전판이 푸시록 출몰되게 한 매립형 커넥터고정장치
KR101306175B1 (ko) 콘센트장치
KR100758689B1 (ko) 공동주택의 벽면 매설형 콘센트 단자함
KR200442844Y1 (ko) 방우형 콘센트
KR101256629B1 (ko)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
KR101360779B1 (ko) 플러그와 안정하게 결속되는 공동주택의 콘센트
KR100635936B1 (ko) 건축물 내부 벽체 안전 콘센트
KR101626354B1 (ko) 안전콘센트
KR101326882B1 (ko)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KR101690219B1 (ko) 콘센트 안전장치
KR20160099428A (ko) 안전 콘센트
KR101096378B1 (ko) 안전형 전기 콘센트
KR101052607B1 (ko) 공동주택의 감전사고 방지형 콘센트
KR101894146B1 (ko) 콘센트 안전 커버
KR101693650B1 (ko) 안전 콘센트
KR101219154B1 (ko) 공동주택용 스위치 보호함
KR101180129B1 (ko) 공동주택용 매입형 안전 콘센트
KR101179212B1 (ko)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KR200416596Y1 (ko) 콘센트 덮개
EP2080427B1 (en) Sealed casing for electrical apparatus and electrical apparatus comprising said ca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