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116U - 콘센트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콘센트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116U
KR20230000116U KR2020210002137U KR20210002137U KR20230000116U KR 20230000116 U KR20230000116 U KR 20230000116U KR 2020210002137 U KR2020210002137 U KR 2020210002137U KR 20210002137 U KR20210002137 U KR 20210002137U KR 20230000116 U KR20230000116 U KR 202300001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rotective cover
wall
cover body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1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판수
Original Assignee
곽판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판수 filed Critical 곽판수
Priority to KR20202100021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0116U/ko
Publication of KR202300001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11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Abstract

본 고안은 콘센트의 전선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조임링이 형성된 전선조임유입부가 보호커버본체에 구비됨에 따라 콘센트의 전선을 타고 빗물이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보호커버 내에 콘센트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받침부와 콘센트의 측단을 지지하는 측면받침부가 구비됨에 따라 콘센트가 보호커버본체 내에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지지고정됨과 동시에 플러그의 접속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전선조임유입부에 벽걸이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벽결이부체결홈이 형성됨에 따라 벽체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도록 한 콘센트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는, 내부에는 콘센트가 수용 가능하도록 하단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호커버본체와, 상기 보호커버본체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콘센트의 전선이 관통되되 내측에는 상기 전선의 직경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가지는 조임링이 상기 전선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전선조임유입부와, 상기 보호커버본체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콘센트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받침부와, 상기 보호커버본체의 내부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콘센트의 양측단을 지지하는 측면받침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콘센트 보호커버{Protecting cover of outlet}
본 고안은 예를 들어 건축현장 등과 같이 외부에서 콘센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빗물 유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콘센트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센트의 전선의 직경 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조임링이 형성된 전선조임유입부가 보호커버본체에 구비됨에 따라 콘센트의 전선을 타고 빗물이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보호커버 내에 콘센트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받침부와 콘센트의 측단을 지지하는 측면받침부가 구비됨에 따라 콘센트가 보호커버본체 내에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지지고정됨과 동시에 플러그의 접속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전선조임유입부에 벽걸이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벽결이부체결홈이 형성됨에 따라 벽체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도록 한 콘센트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옥내,외 전기배선과 코드(플러그)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각종 전기제품에 전원을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정격전압은 통상 100V/220V이고 정격전류는 10~50A이며, 주로 벽면에 내설되는 매입형과 바닥에 설치하는 노출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콘센트에는,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끼워넣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플러그삽입공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플러그삽입공은 항상 외부로 개구된 구조로 형성되어 수분 또는 이물질의 침투 우려가 있으므로, 우천에 영향을 받는 옥외 또는 물의 사용이 빈번한 실내 등에 콘센트가 설치될 경우에는 누전사고 및 감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물이 비산될 가능성이 높은 욕실 등과 같은 실내에 사용되는 콘센트 뿐만 아니라 건축현장과 같이 비나 작업용수 등에 노출될 수 가능성이 높은 실외에서 사용되는 콘센트의 경우에는 빗물이나 작업용수와 같은 물기가 내부로 쉽게 침투되어 누전 및 감전에 따른 인명사고가 끊임없이 초래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의 일 예로, 한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2008-0002503호(2008.07.09.)에는 물기(수분) 및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콘센트 보호커버에 있어서, 옥내,외에 매설된 전기배선이 연결결합됨으로 플러그의 전기적 접속을 가능케 하는 콘센트본체가 후방에 결합된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일면을 차단하여 완전히 밀폐시키기 위한 차단유닛과, 상기 콘센트본체 및 차단유닛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된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보호커버가 개시된다.
또한,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8-0025076호(2018.03.08.)에는 콘센트의 전선이 고정되는 콘센트고정부와, 콘센트고정부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콘센트를 포위하는 상태로 보호하는 콘센트보호부를 포함하며, 콘센트고정부는 콘센트의 전선이 관통되어서 고정되도록 일단에서 타단까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콘센트보호부는 콘센트고정부의 단부에 연이어지게 형성되면서 콘센트가 수용되도록 내부공간이 하부로 개방되는 스커트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보호커버가 개시된다.
또한, 한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67873호(2013.07.08.)에는 램프의 헤드 상단부에 구성된 베이스가 전기적으로 결속되는 소켓과, 상기 소켓이 수용되며 소켓이 수용된 부위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방열공을 통하여 소켓에 전달된 램프 베이스의 열이 외부로 방열되도록 하는 소켓커버와, 상기 소켓커버의 상단 외측에 상기 복수개의 방열공을 커버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방열공에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우용 스커트와, 상기 소켓커버의 상단 외측에 방우용 스커트와 소켓커버의 체결부위를 커버하도록 체결되거나 체결부위까지 체결되고 외부전선의 단부가 밀폐된 상태로 관통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소켓에 결속되는 절연캡과, 상기 소켓커버의 하단에 램프를 수용하도록 체결되어 외부로부터 램프를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콘센트 보호커버가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콘센트 보호커버의 경우에는 빗물 등이 콘센트의 전선을 타고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으며, 콘센트가 내부에 안정적으로 지지고정될 수 없는 구조로 형성되어 콘센트의 유동으로 인해 플러그핀의 접속불량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벽체에 대한 고정수단이 없어 사용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2008-0002503호(2008.07.09.) 2.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8-0025076호(2018.03.08.) 3. 한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67873호(2013.07.08.)
따라서 본 고안은 콘센트의 전선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조임링이 형성된 전선조임유입부가 보호커버본체에 구비됨에 따라 콘센트의 전선을 타고 빗물이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보호커버 내에 콘센트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받침부와 콘센트의 측단을 지지하는 측면받침부가 구비됨에 따라 콘센트가 보호커버본체 내에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지지고정됨과 동시에 플러그의 접속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전선조임유입부에 벽걸이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벽결이부체결홈이 형성됨에 따라 벽체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도록 한 콘센트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부에는 콘센트가 수용 가능하도록 하단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호커버본체와, 상기 보호커버본체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콘센트의 전선이 관통되되 내측에는 상기 전선의 직경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가지는 조임링이 상기 전선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전선조임유입부와, 상기 보호커버본체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콘센트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받침부와, 상기 보호커버본체의 내부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콘센트의 양측단을 지지하는 측면받침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보호커버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측면받침부에 돌출형성되는 측면보호받침구와, 상기 보호커버본체의 내부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콘센트의 양측면을 지지하여 외부충격을 완화시키는 측면지지부가 더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조임링은 상기 전선조임유입부 내에 2개가 이격되어 배열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전선조임유입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보호커버본체의 벽체 고정을 위한 벽걸이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벽결이부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벽걸이부는 벽체에 면접되고 상측에는 체결구가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벽체면접판과, 상기 벽체면접판의 하측 중앙에 일체로 구비되는 수직돌출판과, 상기 수직돌출판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전선조임유입부의 벽결이부체결홈에 끼워지는 호상파지그립이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벽걸이부는 벽체에 면접되고 중앙에는 체결구가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벽체면접판과, 상기 벽체면접판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전선조임유입부의 벽결이부체결홈에 끼워지는 호상파지그립이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는, 콘센트의 전선의 직경 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조임링이 형성된 전선조임유입부가 보호커버본체에 구비됨에 따라 콘센트의 전선을 타고 빗물이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는, 보호커버본체 내에 콘센트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받침부가 구비됨과 동시에 콘센트의 측단을 지지하는 측면받침부가 구비됨에 따라 콘센트가 하부받침부와 측면받침부의 동시 지지에 의해 보호커버본체 내에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지지고정됨과 동시에 플러그의 접속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는, 전선조임유입부에 벽걸이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벽결이부체결홈이 형성됨에 따라 벽체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의 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의 사용상태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벽걸이부에 의해 벽체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의 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의 사용상태단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벽걸이부에 의해 벽체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는, 내부에는 콘센트가 수용 가능하도록 하단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호커버본체와, 상기 보호커버본체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콘센트의 전선이 관통되되 내측에는 상기 전선의 직경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가지는 조임링이 상기 전선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전선조임유입부와, 상기 보호커버본체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콘센트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받침부와, 상기 보호커버본체의 내부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콘센트의 양측단을 지지하는 측면받침부가 포함된다.
여기서부터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1)의 구성요소들과 그 구성요소 간의 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1)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보호커버본체(10), 전선조임유입부(20), 하부받침부(30) 및 측면받침부(40)를 포함한다.
먼저, 보호커버본체(10)는 내부에 콘센트(3)가 빗물을 포함한 수분의 유입없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역학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보호커버본체(10)는 전체적으로 하단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예를 들어 ABS 등과 같이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 또는 합성고무, 고무우레탄 등과 같이 소정의 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된다.
전술한 보호커버본체(10)의 상단에는 전선조임유입부(20)가 구비된다. 이러한 전선조임유입부(20)는 콘센트(3)의 전선(3a)의 인입을 안내함과 동시에 콘센트(3)의 전선(3a)을 타고 빗물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콘센트(3)의 전선(3a)을 둘러싸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호커버본체(10)의 상단 전방 중앙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일정길이만큼 연장된다.
또한, 전선조임유입부(20)의 내측에는 조임링(21)이 전선조임유입부(20)로 인입된 콘센트(3)의 전선(3a)을 둘러싸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조임링(21)은 상기 전선(3a)의 직경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가짐에 따라 콘센트(3)의 전선(3a)의 관통시에 반경방향으로 벌어졌다가 다시 조여지게 된다. 또한 조임링(21)은 동시에 관통된 전선(3a)를 상부로 잡아당기면, 상기 전선(3a)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면접된 상태로 상부로 인장되면서 '
Figure utm00001
' 형상을 갖으면서 콘센트(3)의 전선(3a)의 둘레에 수밀적으로 밀착됨에 따라 콘센트(3)의 전선(3a)을 타고 빗물 등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조임링(21)은 전선조임유입부(20)의 내측에 단일 개수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방수 특성의 향상을 위해 전선조임유입부(20) 내에 2개가 이격되어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조임링(21)을 포함하는 전선조임유입부(20)는 보호커버본체(10)와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보호커버본체(10)와 전선조임유입부(20)는 합성고무, 고무우레탄 등과 같이 소정의 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 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조임링(21)을 포함하는 전선조임유입부(20)는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보호커버본체(10)와 상이한 재질로 제조된 후 보호커버본체(10)에 일체화될 수도 있다.
한편 전선조임유입부(20)의 외주면에는 벽결이부체결홈(22)이 형설될 수 있다. 이러한 벽결이부체결홈(22)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보호커버본체(10)의 벽체 고정을 위한 벽걸이부(70, 7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으로, 전선조임유입부(20)의 외주면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입되는 링 형상의 걸림단턱을 형성한다.
전술한 보호커버본체(10)의 내부 하측에는 하부받침부(30)가 구비된다. 이러한 하부받침부(30)는 보호커버본체(10) 내에 수용되는 콘센트(3)의 하단을 지지함으로써 콘센트(3)가 하부로 임의 낙하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하단지지돌기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하부받침부(30)는 보호커버본체(10)의 내부 중 전방 양측에 각각 1개씩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호커버본체(10)의 내부 중 전방 양측에 걸쳐 한 개만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하부받침부(30)는 콘센트(3)의 하부면 중 일부만으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콘센트(3)의 전체 하부면을 지지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보호커버본체(10)의 내부 양측에는 측면받침부(40)가 구비된다. 이러한 측면받침부(40)는 보호커버본체(10) 내에 수용되어 하부받침부(30)에 의해 하단이 지지되는 콘센트(3)의 양측단을 지지함으로써 콘센트(3)가 전후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레일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측면받침부(40)는 보호커버본체(10)의 내부 양측에 각각 1개씩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호커버본체(10)의 내부 양측에 다수개가 동일 직선 상에 서로 이격되어 형설될 수도 있다. 다만 측면받침부(40)는 콘센트(3)의 접속구에 플러그(4)가 접속가능하도록 콘센트(3)의 접속구를 가리지 않는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측면받침부(40)가 콘센트(3)의 접속구를 가리지 않는 폭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콘센트(3)의 양측단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약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력의 보강을 위해 측면받침부(40)에는 측면보호받침구(50)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측면보호받침구(50)는 측면받침부(40) 중에서 특히 콘센트(3)의 접속구와 접속구 사이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면보호받침구(50)는 반원판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콘센트(3)의 접속구를 가리지 않는 조건 하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다.
전술한 보호커버본체(10)의 내부 양측에는 측면지지부(60)가 구비된다. 이러한 측면지지부(60)는 보호커버본체(10) 내에 수용되어 하부받침부(30)와 측면받침부(40)에 의해 지지되는 콘센트(3)의 양측면을 보호커버본체(10)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함에 따라 콘센트(3)가 좀 더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 콘센트(3)에 전달되지 않도록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와 같은 측면지지부(60)는 보호커버본체(10)의 내부 양측에 각각 평행선 형태로 2개씩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호커버본체(10)의 내부 양측에 각각 1개씩 또는 3개 이상씩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벽걸이부(70, 70')에 의해 벽체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벽걸이부(70, 70')는 체결구(80)에 의해 벽체에 고정되며 전선조임유입부(20), 특히 벽결이부체결홈(22)을 파지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벽걸이부(70)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벽체에 면접되고 상측에는 체결구(80)가 결합되는 체결공(72)이 형성되는 벽체면접판(71)과, 상기 벽체면접판(71)의 하측 중앙에 일체로 구비되는 수직돌출판(73)과, 상기 수직돌출판(73)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전선조임유입부(20)의 벽결이부체결홈(22)에 끼워지는 호상파지그립(74, 74')이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호상파지그립(74, 74')은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벽걸이부(70')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벽체에 면접되고 중앙에는 체결구(80)가 결합되는 체결공(76)이 형성되는 벽체면접판(75)과, 상기 벽체면접판(75)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전선조임유입부(20)의 벽결이부체결홈(22)에 끼워지는 호상파지그립(77, 77')이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호상파지그립(77, 77')은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1)는 보호커버본체(10) 상에 벽체에 고정된 후크 등에 걸려질 수 있는 벽체걸림구(미도시)가 구비됨에 따라 벽걸이부(70, 70')를 사용하지 않고도 벽체에 걸려진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1)는, 콘센트(3)의 전선(3a)의 직경 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조임링(22)이 형성된 전선조임유입부(20)가 보호커버본체(10)에 구비됨에 따라 콘센트(3)의 전선(3a)을 타고 빗물이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보호커버본체(10) 내에 콘센트(3)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받침부(30)가 구비됨과 동시에 콘센트(20)의 양측단을 지지하는 측면받침부(40)가 구비됨에 따라 콘센트(3)가 하부받침부(30)와 측면받침부940)의 동시 지지에 의해 보호커버본체(10) 내에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지지고정됨과 동시에 플러그(4)의 접속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전선조임유입부(20)에 벽걸이부(70, 7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벽결이부체결홈(22)이 형성됨에 따라 벽체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 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고안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콘센트 보호커버
3 : 콘센트
3a : 전선
4 : 플러그
10 : 보호커버본체
20 : 전선조임유입부
21 : 조임링
22 : 벽결이부체결홈
30 : 하부받침부
40 : 측면받침부
50 : 측면보호받침구
60 : 측면지지부
70, 70' : 벽걸이부
71, 75 : 벽체면접판
72, 76 : 체결공
73 : 수직돌출판
74, 74', 77, 77' : 호상파지그립
80 : 체결구

Claims (6)

  1. 내부에는 콘센트(3)가 수용 가능하도록 하단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호커버본체(10);
    상기 보호커버본체(10)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콘센트(3)의 전선(3a)이 관통되되 내측에는 상기 전선(3a)의 직경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가지는 조임링(21)이 상기 전선(3a)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전선조임유입부(20);
    상기 보호커버본체(10)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콘센트(3)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받침부(30); 및
    상기 보호커버본체(10)의 내부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콘센트(3)의 양측단을 지지하는 측면받침부(4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보호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받침부(40)에 돌출형성되는 측면보호받침구(50); 및
    상기 보호커버본체(10)의 내부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콘센트(3)의 양측면을 지지하여 외부충격을 완화시키는 측면지지부(6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보호커버.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임링(21)은 상기 전선조임유입부(20) 내에 2개가 이격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보호커버.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선조임유입부(20)의 외주면에는 상기 보호커버본체(10)의 벽체 고정을 위한 벽걸이부(70, 7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벽결이부체결홈(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보호커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벽걸이부(70)는 벽체에 면접되고 상측에는 체결구(80)가 결합되는 체결공(72)이 형성되는 벽체면접판(71)과, 상기 벽체면접판(71)의 하측 중앙에 일체로 구비되는 수직돌출판(73)과, 상기 수직돌출판(73)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전선조임유입부(20)의 벽결이부체결홈(22)에 끼워지는 호상파지그립(74, 74')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보호커버.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벽걸이부(70')는 벽체에 면접되고 중앙에는 체결구(80)가 결합되는 체결공(76)이 형성되는 벽체면접판(75)과, 상기 벽체면접판(75)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전선조임유입부(20)의 벽결이부체결홈(22)에 끼워지는 호상파지그립(77, 77')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보호커버.
KR2020210002137U 2021-07-06 2021-07-06 콘센트 보호커버 KR2023000011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137U KR20230000116U (ko) 2021-07-06 2021-07-06 콘센트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137U KR20230000116U (ko) 2021-07-06 2021-07-06 콘센트 보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116U true KR20230000116U (ko) 2023-01-13

Family

ID=84892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137U KR20230000116U (ko) 2021-07-06 2021-07-06 콘센트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0116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503U (ko) 2007-01-04 2008-07-09 (주)메가이엔지 방우형 콘센트
KR200467873Y1 (ko) 2013-04-12 2013-07-08 김용석 방우형 작업등
KR20180025076A (ko) 2016-08-30 2018-03-08 조영환 방우 콘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503U (ko) 2007-01-04 2008-07-09 (주)메가이엔지 방우형 콘센트
KR200467873Y1 (ko) 2013-04-12 2013-07-08 김용석 방우형 작업등
KR20180025076A (ko) 2016-08-30 2018-03-08 조영환 방우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00241T3 (es) Sistema de soporte de accesorios para piscina sobre suelo
US7993040B2 (en) Spike for outdoor lighting fixture
US5541363A (en) Wet-environment electrical juncton box and method of making
ES2360918T3 (es) Sistema de toma de tierra de un electrodoméstico.
CA29680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ater-resistant lamp holders
KR20180122167A (ko) 방수 콘센트
KR20230000116U (ko) 콘센트 보호커버
KR20230000117U (ko) 콘센트 보호커버
KR101017955B1 (ko) 콘센트 커버
KR100679931B1 (ko) 건축물 내부벽체 전선보호관
KR200490758Y1 (ko) 방우형 콘센트 보호커버
KR101205337B1 (ko) 공동주택의 절연형 분전함
KR100607035B1 (ko)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단자함
KR100715348B1 (ko) 커넥터 일체형 콘크리트 실링박스의 평커버
KR200490261Y1 (ko) 전등선 구조체
CN106532452A (zh) 一种用于电力系统的绝缘罩
KR101125657B1 (ko) 콘센트 보호커버
KR20180000077U (ko) 엘이디 등기구
ES2666663T3 (es) Pasabarras con una cubierta de protección de orientación ajustable destinada al conector
KR101119409B1 (ko) 배선용 방수차단기
KR102365262B1 (ko) 방우형 콘센트 구조체
CN206469167U (zh) 一种led路灯
KR200333042Y1 (ko) 등기구일체형 레이스웨이
KR200453373Y1 (ko) 접지구조가 구비된 소켓커버를 가진 방수소켓
CN219477260U (zh) 一种安全控制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