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5657B1 - 콘센트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콘센트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5657B1
KR101125657B1 KR1020100010966A KR20100010966A KR101125657B1 KR 101125657 B1 KR101125657 B1 KR 101125657B1 KR 1020100010966 A KR1020100010966 A KR 1020100010966A KR 20100010966 A KR20100010966 A KR 20100010966A KR 101125657 B1 KR101125657 B1 KR 101125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case
lower case
hole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1233A (ko
Inventor
김성숙
Original Assignee
김성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숙 filed Critical 김성숙
Priority to KR1020100010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657B1/ko
Publication of KR20110091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센트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센트와 차단기가 수용되도록 하여 콘센트와 차단기의 외부를 커버함으로써,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콘센트 및 차단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물질이나 물 등의 침투를 방지하여 누전으로 인한 화재나 감전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콘센트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 하부로 분리 형성되어 콘센트와 차단기가 내측에 수용되는 케이스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센트 보호커버{A concent protection cover}
본 발명은 콘센트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센트와 차단기가 수용되도록 하여 콘센트와 차단기의 외부를 커버함으로써,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콘센트 및 차단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물질이나 물 등의 침투를 방지하여 누전으로 인한 화재나 감전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콘센트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이나 빌딩의 벽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 소켓으로부터 거리가 떨어져 있는 곳에서 상용전원을 공급받아서 전기 기구를 사용하는데 일정한 길이를 갖는 연장 케이블의 양단에 플러그와 탭이 각각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한 플러그는 전원 소켓에 꼽고 상기한 탭에는 전기 기구의 플러그를 꽂음으로써 길이를 연장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콘센트가 자주 사용된다.
상기한 콘센트는 탭을 다수개 설치하여 여러 개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는 멀티탭의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다수개의 전기 기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콘센트는 외부 충격을 완화시키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공사현장에서 거칠게 다루어지는 경우에 쉽게 파손됨으로써, 상대적으로 내구 성이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의 콘센트는 먼지 및 이물질 방지기능이 없기 때문에 많은 먼지와 이물질이 수시로 발생하게 되는 공사현장에서는 먼지 및 이물질에 의한 단락으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콘센트를 공사현장 등 위험요소가 많은 장소에서 사용할 경우는 타이탭 등을 이용하여 전선부를 묶어 기둥 등에 걸어둔 상태로 사용하기 때문에 타이탭으로 묶은 전선부의 매듭부가 콘센트의 유동에 의해 피복이 벗겨지고, 벗겨진 피복에 의해 화재나 감전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콘센트와 차단기가 수용되는 케이스부를 구비함으로써,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콘센트 및 차단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케이스부에 콘센트와 차단기가 수용됨으로써, 외부로부터 먼지 등 이물질 및 물의 침투를 방지하여 콘센트의 단락으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케이스부는 콘센트 및 차단기가 수용되는 하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케이스로 구성됨으로써, 하부케이스에 수용되는 콘센트 및 차단기를 용이하게 교체 및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상부케이스의 상단부에는 콘센트에 끼워지는 플러그삽입공을 커버하여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커버부재가 구비되어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은 콘센트의 플러그삽입공을 커버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이물질이나 물 등의 침투를 방지하여 누전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하부케이스의 하단부에 자성체를 구비하여 공사현장 등 철구조물에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전선에 작업자가 걸려 넘어지거나 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안전하게 콘센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하부케이스에 벽면 등에 걸 수 있는 고리를 구비하여 공사현장 등의 벽면에 걸어둔 상태로 사용함으로써, 안전하고 간편하게 콘센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 하부케이스의 일측부에 전선을 커버하는 결속부재가 형성되고, 이 결속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밴드가 구비됨으로써, 케이스부에 수용된 차단기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선을 감싸는 형태로 전선을 커버하여 전선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선의 유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상, 하부케이스의 내측에는 콘센트와 차단기가 각각 수용되도록 서로 대응되게 안착실과 끼움실이 분리 형성됨으로써, 콘센트와 차단기의 마찰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 하부로 분리 형성되어 콘센트와 차단기가 내측에 수용되는 케이스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는 내측에 콘센트가 안착되는 제1안착실이 형성되고, 차단기가 안착되는 제2안착실이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내측에 콘센트가 끼워지는 제1끼움실이 형성되고, 차단기가 끼워지는 제2끼움실이 형성되며, 제1끼움실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제2끼움실 상부에는 스위치홀이 형성된 상부케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는 일측에 연결구가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게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케이스의 제2안착실과 상부케이스의 제2끼움실은 격판에 의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제2끼움실에는 폭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지지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다수개의 잠금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에는 잠금부재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체결 고정되도록 돌기가 형성된 체결클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제2안착실과 연계되되, 길이 방향 일측부로 돌출되어 내측에 반원 형상의 체결공이 형성된 제1체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일측부에는 제2끼움실과 연계되되, 제1체결부재와 대응되게 체결공이 형성된 제2체결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2체결부재 중 어느 하나의 체결부재의 측부에는 돌기가 형성된 고정밴드가 일체로 형성되고, 반대방향에는 고정밴드가 체결 고정되는 고정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1체결부재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결속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부재의 하부면에는 결속공에 끼워지는 결속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관통공을 커버하되, 일측부에는 상부케이스와 연결되도록 연결구가 형성되고, 반대 방향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커버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에는 안착공이 형성되고, 이 안착공에 안착되는 자성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길이 방향의 일측부에 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 하부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구로 이루어지되, 상, 하부케이스의 내측에는 콘센트와 차단기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콘센트와 차단기가 수용되는 케이스부를 구비함으로써,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콘센트 및 차단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케이스부에 콘센트와 차단기가 수용됨으로써, 외부로부터 먼지 등 이물질 및 물의 침투를 방지하여 콘센트의 단락으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부는 콘센트 및 차단기가 수용되는 하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케이스로 구성됨으로써, 하부케이스에 수용되는 콘센트 및 차단기를 용이하게 교체 및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부케이스의 상단부에는 콘센트에 끼워지는 플러그삽입공을 커버하여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커버부재가 구비되어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은 콘센트의 플러그삽입공을 커버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이물질이나 물 등의 침투를 방지하여 누전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부케이스의 하단부에 자성체를 구비하여 공사현장 등 철구조물에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전선에 작업자가 걸려 넘어지거나 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안전하게 콘센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케이스에 벽면 등에 걸 수 있는 고리를 구비하여 공사현장 등의 벽면에 걸어둔 상태로 사용함으로써, 안전하고 간편하게 콘센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 하부케이스의 일측부에 전선을 커버하는 결속부재가 형성되고, 이 결속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밴드가 구비됨으로써, 케이스부에 수용된 차단기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선을 감싸는 형태로 전선을 커버하여 전선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선의 유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 하부케이스의 내측에는 콘센트와 차단기가 각각 수용되도록 서로 대응되게 안착실과 끼움실이 분리 형성됨으로써, 콘센트와 차단기의 마찰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상부케이스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를 보인 정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케이스부에 콘센트와 차단기가 수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벽체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상부케이스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를 보인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선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100)는 내측에 콘센트(102)와 차단기(104)가 수용되는 케이스부(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110)는 상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콘센트(102)가 안착되는 제1안착실(114)이 형성되고, 차단기(104)가 안착되는 제2안착실(116)이 형성된 하부케이스(1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안착실(114)과 제2안착실(116)은 분리판(118)에 의해 분리 형성되고, 제2안착실(116)은 다수개의 격판(116a)에 의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제2안착실(116)이 형성된 방향의 하부케이스(112)의 길이 방향 측부에는 상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전선(106)이 끼워지도록 관통된 체결공(120a)이 형성된 제1체결부재(1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체결부재(120)의 상부 일측에는 돌기(120c)가 형성된 고정밴드(120b)가 형성되고, 고정밴드(120b)가 형성된 반대 방향에는 고정밴드(120b)가 체결 고정되는 고정구(120d)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안착실(116)의 격판(116a), 즉 상기 제1체결부재(120)가 형성된 방향에 위치한 격판(116a)에는 제1체결부재(120)의 체결공(120a)과 동일선상에 절개홀(116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112)의 전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의 잠금부재(12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112)에 연결구(124)에 의해 일체로 연결 형성되되, 하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콘센트(102)의 상부가 끼워지는 제1끼움실(132)이 형성되고, 제1끼움실(132)과 분리판(133)에 의해 분리 형성되어 차단기(104)의 상부가 끼워지는 제2끼움실(134)이 형성된 상부케이스(1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끼움실(134)은 다수개의 격판(134a)에 의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케이스(130)의 일측부, 즉 제2끼움실(134)이 형성된 방향의 측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전선이 안착되는 체결공(136a)이 형성되어 제1체결부재(120)와 대응되게 제2체결부재(136)가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제2끼움실(134)의 격판(134a) 중 제2체결부재(136)가 형성된 방향에 위치한 격판(134a)에는 체결공(136a)과 대응되게 절개공(134b)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케이스(130)의 상부에는 제1끼움실(132)과 연통되게 다수개의 관통공(138)이 형성되고, 제2끼움실(134)과 연통되게 스위치공(14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끼움실(134)의 내측부에는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차단기(104)를 지지하는 지지판(134c)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130)의 외측부, 즉 하부케이스(112)에 형성된 잠금부재(122)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잠금부재(122)에 결속 해지되는 돌기(142a)가 형성된 체결클립(14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케이스(130)의 관통공(138)을 커버하되, 일측부는 상부케이스(130)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연결시키는 연결구(152)가 형성되고, 이 연결구(152)가 형성된 반대 방향에는 손잡이(154)가 형성된 커버부재(15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130)의 스위치공(140)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캡(156)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공(140)을 커버하는 캡(156)을 구비함으로써, 이 스위치공(140)을 통하여 이물질이나 물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게 되고, 필요에 따라 캡(156)을 분리하여 차단기(104)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112)의 하부에는 안착공(126)이 형성되고, 이 안착공(126)에 자성체(160)가 안착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케이스(112)의 하부에 자성체(160)를 구비함으로써, 공사현장의 철구조물에 부착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에 대한 작용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케이스부에 콘센트와 차단기가 수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벽체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100)는 먼저, 상부케이스(130)를 개방시키고, 상부케이스(130)에 형성된 제1끼움실(132)에 콘센트(102)를 끼워 고정시키고, 제2끼움실(134)에는 차단기(104)를 끼우되, 차단기(104)의 스위치가 상부케이스(130)의 스위치공(140)에 끼워지도록 체결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케이스(112)와 상부케이스(130)에 각각 형성된 제1,2체결부재(120)(136)의 체결공(120a)(136a)에는 차단기(104)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106)을 안착 고정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기 상부케이스(130)의 제1,2안착실(132)(134)에 콘센트(102)와 차단기(104)를 각각 끼운 후 상부케이스(130)의 하부를 하부케이스(112)로 커버하되, 하부케이스(112)의 내측에 형성된 제1안착실(114)에 콘센트(102)의 하부가 안착되고, 제2안착실(116)에는 차단기(104)의 하부가 안착되도록 하여 상부케이스(130)의 하부를 커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112)와 상부케이스(130)의 내측에 콘센트(102)와 차단기(104)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부케이스(130)에 형성된 체결클립(142)을 하부케이스(112)에 형성된 잠금부재(122)에 끼워져 체결클립(142)의 돌기(142a)가 잠금부재(122)에 고정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체결클립(142)을 잠금부재(122)에 체결 고정시킴으로써, 하부케이스(112)와 상부케이스(130)의 내측에 수용된 콘센트(102)와 차단기(104)가 견고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기밀이 유지되게 커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체결부재(120)에 형성된 고정밴드(120b)는 제2체결부재(136)의 외측부를 감싸는 형식으로 하여 고정밴드(120b)를 고정구(120d)에 체결 고정시켜 고정밴드(120b)의 돌기(120c)가 고정구(120d)에 체결되어 전선(106)을 외측부에서 커버하는 형상이 되어 전선(106)의 유동 없이 안전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부(110)의 하부케이스(112) 및 상부케이스(130)의 내측에 콘센트(102)와 차단기(104)가 수용된 상태가 되도록 커버함으로써,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콘센트(102) 및 차단기(104)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110)의 내측에 콘센트(102)와 차단기(104)가 수용된 상태에서 플러그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부케이스(130)의 커버부재(150)에 형성된 손잡이(154)를 파지 후 상부로 당기게 되면 커버부재(150)는 연결구(152)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관통공(138)이 개방되게 되어 이 관통공(138)을 통하여 콘센트(102)에 플러그를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콘센트(102)에 플러그를 분리 후에는 커버부재(150)를 관통공(138)에 끼워 커버하여 외부로부터 먼지 등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여 누전 등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112)와 상부케이스(130)에 의해 내측이 견고하게 밀봉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하부케이스(112) 및 상부케이스(130)의 내측으로 물의 침투를 방지하여 콘센트(102) 및 차단기(104)의 누전을 방지함으로써, 이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112)의 하부에 자성체(160)가 구비되어 이 자성체(160)를 이용하여 철구조물에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열악한 작업환경에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콘센트(102)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112)의 일측부, 즉 하부케이스(112)의 길이 방향의 일측부에 고리(128)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다른 콘센트 보호커버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하부케이스(112)에 고리(128)를 구비하여 이 고리(128)를 이용하여 벽면 등에 걸어 콘센트(102)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장에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콘센트(102)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보호커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은 콘센트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센트와 차단기가 수용되도록 하여 콘센트와 차단기의 외부를 커버함으로써,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콘센트 및 차단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물질이나 물 등의 침투를 방지하여 누전으로 인한 화재나 감전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콘센트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100 : 콘센트 보호커버 110 : 케이스부
112 : 하부케이스 114, 116 : 제1,2안착실
116a, 134a : 격판 116b, 134b : 절개공
118, 133 : 분리판 120, 136 : 제1,2체결부재
120a, 136a : 체결공 120b : 고정밴드
120c, 142a : 돌기 120d : 고정구
122 : 잠금부재 124, 152 : 연결구
126 : 안착공 128 : 고리
130 : 상부케이스 132, 134 : 제1,2끼움실
134c : 지지판 138 : 관통공
140 : 스위치공 142 : 체결클립
150 : 커버부재 154 : 손잡이
156 : 캡 160 : 자성체

Claims (13)

  1. 상, 하부로 분리 형성되어 콘센트와 차단기가 내측에 수용되는 케이스부가 구비되되,
    상기 케이스부는 내측에 콘센트가 안착되는 제1안착실이 형성되고, 차단기가 안착되는 제2안착실이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내측에 콘센트가 끼워지는 제1끼움실이 형성되고, 차단기가 끼워지는 제2끼움실이 형성되며, 제1끼움실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제2끼움실 상부에는 스위치홀이 형성된 상부케이스로 이루어고,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는 일측에 연결구가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제2안착실과 상부케이스의 제2끼움실은 격판에 의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제2끼움실에는 폭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지지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보호커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다수개의 잠금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에는 잠금부재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체결 고정되도록 돌기가 형성된 체결클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보호커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제2안착실과 연계되되, 길이 방향 일측부로 돌출되어 내측에 반원 형상의 체결공이 형성된 제1체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일측부에는 제2끼움실과 연계되되, 제1체결부재와 대응되게 체결공이 형성된 제2체결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보호커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체결부재 중 어느 하나의 체결부재의 측부에는 돌기가 형성된 고정밴드가 일체로 형성되고, 반대방향에는 고정밴드가 체결 고정되는 고정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보호커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재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결속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부재의 하부면에는 결속공에 끼워지는 결속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보호커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관통공을 커버하되, 일측부에는 상부케이스와 연결되도록 연결구가 형성되고, 반대 방향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커버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보호커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에는 안착공이 형성되고, 이 안착공에 안착되는 자성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보호커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길이 방향의 일측부에 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보호커버.
  13. 삭제
KR1020100010966A 2010-02-05 2010-02-05 콘센트 보호커버 KR101125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966A KR101125657B1 (ko) 2010-02-05 2010-02-05 콘센트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966A KR101125657B1 (ko) 2010-02-05 2010-02-05 콘센트 보호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233A KR20110091233A (ko) 2011-08-11
KR101125657B1 true KR101125657B1 (ko) 2012-03-27

Family

ID=44928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966A KR101125657B1 (ko) 2010-02-05 2010-02-05 콘센트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6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957B1 (ko) 2015-01-19 2016-07-05 김건형 콘센트 보호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262B1 (ko) * 2021-08-20 2022-02-23 주식회사 반야일렉트릭 방우형 콘센트 구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4026A (ko) * 2003-01-09 2004-07-16 주식회사 필룩스 코드함이 설치된 콘센트
KR20080002744U (ko) * 2007-01-16 2008-07-21 박도현 콘센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4026A (ko) * 2003-01-09 2004-07-16 주식회사 필룩스 코드함이 설치된 콘센트
KR20080002744U (ko) * 2007-01-16 2008-07-21 박도현 콘센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957B1 (ko) 2015-01-19 2016-07-05 김건형 콘센트 보호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233A (ko)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5169B2 (ja) 換気装置
KR101125657B1 (ko) 콘센트 보호커버
KR102410814B1 (ko) 가요전선관 연결용 커넥터 천장 고정판
KR102065843B1 (ko) 천장면에 설치되는 소방용 전기기구의 고정구
KR100722290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0796210B1 (ko) 벽면 매설용 건축 전기 콘센트박스
KR200489862Y1 (ko) 전선 구조체
ES2672345T3 (es) Dispositivo para conectar lámparas eléctricas con derivación de corriente residual
KR101205337B1 (ko) 공동주택의 절연형 분전함
KR200490758Y1 (ko) 방우형 콘센트 보호커버
KR200456526Y1 (ko) 아울렛 박스의 공용 커버
KR20080046465A (ko) 방수플러그
KR100607035B1 (ko)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단자함
KR101052607B1 (ko) 공동주택의 감전사고 방지형 콘센트
KR200301787Y1 (ko) 콘센트겸용 전원플러그
KR200457894Y1 (ko) 배선 보호 덕트
KR100814734B1 (ko) 콘센트보호 커버
JP2016208613A (ja) 架空電線に装着する鳥害防止具
KR100967894B1 (ko) 방수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US20150349506A1 (en) Construction kit for producing coverings
KR200491405Y1 (ko) 배선보호덕트용 콘센트
EP2662933B1 (en) Luminaire socket outlet
KR101624568B1 (ko) 전기배선박스용 콘센트 설치기구
KR200346541Y1 (ko) 콘센트 안전 덮개
KR20100009340A (ko) 아우트렛 박스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