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957B1 - 콘센트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콘센트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957B1
KR101635957B1 KR1020150008819A KR20150008819A KR101635957B1 KR 101635957 B1 KR101635957 B1 KR 101635957B1 KR 1020150008819 A KR1020150008819 A KR 1020150008819A KR 20150008819 A KR20150008819 A KR 20150008819A KR 101635957 B1 KR101635957 B1 KR 101635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fastening
lower case
hole
upp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형
Original Assignee
김건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형 filed Critical 김건형
Priority to KR1020150008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9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6Means for preventing chafing or fracture of flexible leads at outlet from coupling par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콘센트가 외부 충격이나 환경 변화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콘센트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내측으로 콘센트가 수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제1코드인출부가 마련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측에 연결부를 통하여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측에는 수납되는 콘센트의 플러그삽입부와 대응되는 다수개의 통공과. 상기 통공의 개폐가 가능하게 통공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콘센트마개가 구비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1코드인출부와 대응되게 결합되는 제2코드인출부가 구비된 하부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콘센트의 보호커버로써 내측으로 수납되는 콘센트의 유동을 원활하게 방지할 수 있는 연결부와 제1및 제2코드인출부의 구성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보호커버 내측에 수납된 콘센트의 유동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둘째, 콘센트를 수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구성을 통하여 보호커버의 외측으로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수납된 콘센트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콘센트를 파손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이에 따른 효율적인 콘센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셋째, 보호커버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콘센트의 크기변화에 따라 콘센트와 연결된 전선의 굵기가 변화되는 경우에도 제1코드인출부와 제2코드인출부가 전선의 굵기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으로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이고, 보호커버의 교체 없이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여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넷째, 보호커버의 내측에 수납된 콘센트의 유동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하여 연결부가 손상되는 경우에도 제1코드인출부에 구비된 결합밴드와 체결판의 구성을 통하여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콘센트 보호커버{Receptacle protection cover}
본 발명은 콘센트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커버의 내측으로 콘센트를 수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연결부를 통하여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손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고,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된 제1코드인출부와 제2코드인출부를 통하여 콘센트와 연결된 전선의 유동에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어 수납된 콘센트의 편리하고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콘센트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란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삽입하여 유도되는 전기를 전기 기구가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기구를 말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삽입하여 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플러그는 즉, 외부에서 실내로 전기를 유도하는 전원소켓이나 전원선에 연결하여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유도된 전기를 전기기구가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삽입하고자 하는 플러그의 갯 수에 따라 다수개의 플러그삽입부를 구성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예컨대, 이러한 콘센트는 전기기구의 편리한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다수개의 플러그삽입부가 구비된 콘센트를 전원이 공급 가능한 전원소켓에 연결하여 사용을 이루거나 다수개의 콘센트가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을 이루고자 하는 전기기구와 전원소켓의 거리가 먼 경우에도 편리하게 사용하고자 하는 전기기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이점에 따라 일반 가정에서는 물론, 사무실, 산업현장 등에서도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콘센트는 사용하고자 하는 환경에 따라 외부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콘센트가 손상되어 누전이나 감전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이 있었으며, 파손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콘센트를 재 구입하여 사용해야하는 불필요한 비용증대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문헌(1), 문헌(2)에서와 같이, 콘센트를 내측에 수납하여 수납된 콘센트를 안전하게 보호하며 사용할 수 있는 콘센트 보호커버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1), 문헌(2)와 같은 종래의 콘센트 보호커버는 내측으로 콘센트를 수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보호컵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콘센트의 전선 굵기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보호커버의 내측으로 손쉽게 콘센트를 수납하며 사용하기 어려워 보호커버의 형상에 대응되는 콘센트만을 수납하며 사용할 수 있어 콘센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손쉽게 적용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내측으로 수납된 콘센트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보호커버의 외측으로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수납된 콘센트가 밖으로 떨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본연의 목적은 이룰 수 있으나, 보호커버의 내측에서 콘센트가 유동되는 경우에는 콘센트의 유동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사용하는 중에 콘센트 보호커버의 연결부위가 외부 충격에 의하여 손쉽게 손상될 수 있어 콘센트 보호커버 본연의 기능을 이루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451914(2011.01.12) (2)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125657(2012.03.0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기기구의 편리한 사용을 이루기 위하여 사용되는 콘센트의 외측에 결합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 콘센트와 연결되는 전선의 크기에 상관없이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보호커버의 내측에 수납된 콘센트의 유동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는 콘센트 보호커버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호커버의 내측에 수납된 콘센트의 급격한 유동에도 유연하게 대응하여 콘센트와 연결된 보호커버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콘센트와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유지가 편리함은 물론이고, 콘센트가 외부로 노출되어 파손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한으로 줄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콘센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센트를 이용한 전기기구의 원활한 사용을 도모할 수 있는 콘센트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측으로 콘센트가 수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제1코드인출부가 마련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측에 연결부를 통하여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측에는 수납되는 콘센트의 플러그삽입부와 대응되는 다수개의 통공과. 상기 통공의 개폐가 가능하게 통공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콘센트마개가 구비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1코드인출부와 대응되게 결합되는 제2코드인출부가 구비된 상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체결돌기와,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 후 끼워 고정되게 상기 상부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체결공이 구비되어 형성되는 체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는 쐐기 형상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를 하부케이스의 일측에 연결하며 헤드부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공은 상기 헤드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절개홈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돌기와 체결공 간의 결합시, 상기 체결돌기의 헤드부가 체결공의 삽입공에 삽입된 후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코드인출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2코드인출부와 제1코드인출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결합밴드와, 상기 결합밴드의 일측이 끼움 결합되게 상기 결합밴드와 대향되게 위치되는 체결판이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밴드는 내측으로 유동홈이 구비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일측으로 다수개의 결합구와 안착홈이 배열 배치되게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판은 상기 결합밴드와 대향되게 돌출 형성되는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의 내측에 상기 체결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끼움공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밴드와 체결판 간의 결합시, 상기 결합밴드의 결합구가 체결판의 체결공에 삽입된 후 안착홈이 끼움공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코드인출부에는 제1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코드인출부에는 상기 제1절개홈과 대응되는 제2절개홈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공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마개에는 상기 끼움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어 구성되며, 상기 끼움홈의 일측에는 자석이 더 구비되고, 상기 결합돌기에는 상기 자석이 착탈 가능한 금속재의 밀착판이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콘센트의 보호커버로써 내측으로 수납되는 콘센트의 유동을 원활하게 방지할 수 있는 연결부와 제1및 제2코드인출부의 구성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보호커버 내측에 수납된 콘센트의 유동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둘째, 콘센트를 수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구성을 통하여 보호커버의 외측으로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수납된 콘센트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콘센트를 파손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이에 따른 효율적인 콘센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셋째, 보호커버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콘센트의 크기변화에 따라 콘센트와 연결된 전선의 굵기가 변화되는 경우에도 제1코드인출부와 제2코드인출부가 전선의 굵기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으로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이고, 보호커버의 교체 없이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여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넷째, 보호커버의 내측에 수납된 콘센트의 유동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하여 연결부가 손상되는 경우에도 제1코드인출부에 구비된 결합밴드와 체결판의 구성을 통하여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콘센트 보호커버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콘센트 보호커버의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콘센트 보호커버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콘센트 보호커버의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인 콘센트 보호커버의 연결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콘센트 보호커버의 체결돌기와 체결판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하부케이스의 내측으로 콘센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시된 도 1 내지 도 7에 따라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시한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내측으로 콘센트가 수납될 수 수 있는 안착부(110)를 형성하고, 일측에는 제1코드인출부(120)가 마련되어 구성되는 하부케이스(100)와,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상측에 연결부(300)를 통하여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이루되, 상측으로는 도 7에서와 같이, 수납되는 상기 콘센트(10)의 플러그삽입부(11)와 대응되는 다수개의 통공(210)과, 상기 통공(210)의 개폐가 가능하게 통공(210)의 일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콘센트마개(220)가 구비되며, 일측으로는 상기 제1코드인출부(120)와 대응되게 결합되는 제2코드인출부(230)가 구비된 상부케이스(2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하부케이스(100) 및 상부케이스(200)는 도시한 도 7에서와 같이, 내측으로 플러그삽입부(11)가 형성된 콘센트(10)가 원활하게 수납될 수 있고, 수납이 이루어진 후에는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측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사각 형의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100) 및 상부케이스(200)는 내측에 수납된 콘센트(10)의 유동 또는 외부 충격이 케이스의 외측에 전달되는 경우에도 내측에 수납된 콘센트(10)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높은 금속재, 플라스틱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측에는 수납되는 콘센트(10)의 유동을 더욱 원활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도시한 도 2에서와 같이, 하부케이스(100)의 길이방향과 넓이 방향으로 격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보강바를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의 내측으로 고무, 합성수지재와 같이 탄성력을 갖는 별도의 보강판(미도시)를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여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기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는 도시한 도 4에서와 같이, 상호 견고하게 연결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하여 상술한 연결부(300)의 구성을 통하여 개폐 가능하게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의 일측이 도시된 도 4에서와 같이 연결 구성된 경우, 상부케이스(200)를 하부케이스(100)의 일 방향으로 유동시켜 잠긴 상태 또는 열린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30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연결부(300)는 도시한 도 1, 도 2,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체결돌기(310)와, 상기 체결돌기(310)가 삽입된 후 끼움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상부케이스(200)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체결공(321)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체결판(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돌기(310)는 도시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쐐기 형상의 헤드부(311)와, 상기 헤드부(311)를 하부케이스(100)의 일측에 연결하며 헤드부(311)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바 형상의 연결부(312)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공(321)은 상기 헤드부(3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삽입공(321a)과, 상기 삽입공(321a)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절개홈(321b)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돌기(310)와 체결공(321) 간의 결합시, 상기 체결돌기(310)의 헤드부(311)가 체결공(321)의 삽입공(321a)에 삽입된 후 걸리도록 고정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200)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내측 길이방향으로 체결공(321)이 구비된 체결판(320)이 도시한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일측으로 유동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길이방향에 구비된 체결돌기(310) 즉, 상기 체결돌기(310)의 헤드부(3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 구성되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삽입공(321a)의 일측에 연장 형성된 절개홈(321b)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체결돌기(310)의 헤드부(311)가 체결공(321)의 삽입공(321a)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삽입이 이루어진 후에는 손쉽게 결합된 상태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드부(311)의 직경이 상기 삽입공(321a)이 내경보다 크게 구성하여 상기 삽입공(321a)에 헤드부(311)가 억지 끼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은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제1코드인출부(120) 일측에는 상기 제1코드인출부(120)와 제2코드인출부(230)의 외측을 감쌀 수 있도록 결합밴드(130)를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결합밴드(130)와 대향되는 제1코드인출부(120)의 타측에는 상기 결합밴드(130)의 일측이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체결판(140)을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도시한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가 상술한 연결부(300)를 통하여 상호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이루는 경우에도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제1코드인출부(120)와 상부케이스(200)의 제2코드인출부(230)를 상기 결합밴드(130)와 체결판(140)의 구성을 통하여 도시한 도 6에서와 같이,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도시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밴드(130)는 내측으로 유동홈(131a)이 구비된 연장부(131)와, 상기 연장부(131)의 일측으로 다수개의 결합구(132a)와 안착홈(132b)이 배열 배치되게 형성되는 체결부(132)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체결판(140)은 상기 결합밴드(130)와 대향되게 돌출 형성되는 결합판(141)과, 상기 결합판(141)의 내측에 상기 체결부(13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체결공(141a)과, 상기 체결공(141a)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끼움공(141b)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밴드(130)와 체결판(140)을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밴드(130)의 결합구(132a)가 체결판(130)의 체결공(141a)에 삽입된 후 결합밴드(130)의 안착홈(132b)이 도시한 도 6에서와 같이, 체결공(141a)이 일측에 연장 형성된 끼움공(141b)에 걸려 견고하게 상호 결합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코드인출부(120)에는 제1절개홈(123)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2코드인출부(230)에는 상기 제1절개홈(123)과 대응되는 제2절개홈(231)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은 도 5에서와 같이,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의 내측에 수납되는 콘센트(10)가 유동되거나, 콘센트(10)와 연결되는 전선(L)의 직경이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에 구비된 제1코드인출부(120)와 제2코드인출부(230)의 직경보다 큰 경우 이에 원활하게 대응하여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의 결합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도 5에서와 같이, 콘센트(10)와 연결된 전선(L)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1절개홈(123)과 제2절개홈(231)이 결합되는 전선(L)의 외측 방향으로 유연하게 유동을 이룰 수 있어 전선(L)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의 결합이 분리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200)에 형성된 통공(210)에는 끼움홈(211)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콘센트마개(220)에는 상기 끼움홈(2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221)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이는 즉, 도시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200)에 형성된 통공(210)에 콘센트마개(220)가 개폐 가능하게 연결 구성되는 경우에도 원활한 결합과 분리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끼움홈(211)의 일측에는 자석(250)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돌기(221)에는 상기 자석(250)이 착탈 가능한 금속재의 밀착판(260)을 더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인 콘센트 보호커버를 통하여 콘센트를 안전하게 보호하며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콘센트마개(220)를 유아가 손쉽게 개폐하여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콘센트 11: 플러그삽입부
100: 하부케이스 110: 안착부
120: 제1코드인출부 123: 제1절개홈
130: 결합밴드 131: 연장부
131a: 유동홈 132: 체결부
132a: 결합구 132b: 안착홈
140: 체결판 141: 결합판
141a: 체결공 141b: 끼움공
200: 상부케이스 210: 통공
211: 끼움홈 220: 콘센트마개
221: 결합돌기 230: 제2코드인출부
231: 제2절개홈 250: 자석
260: 밀착판 300: 연결부
310: 체결돌기 311: 헤드부
312: 연결부 320: 체결판
321: 체결공 321a: 삽입공
321b: 절개홈

Claims (5)

  1. 내측으로 콘센트가 수납되는 안착부(110)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제1코드인출부(120)가 마련된 하부케이스(100)와,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상측에 연결부(300)를 통하여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측에는 수납되는 콘센트(10)의 플러그삽입부(11)와 대응되는 다수개의 통공(210)과. 상기 통공(210)의 개폐가 가능하게 통공(2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콘센트마개(220)가 구비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1코드인출부(120)와 대응되게 결합되는 제2코드인출부(230)가 구비된 상부케이스(20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체결돌기(310)와, 상기 체결돌기(310)가 삽입 후 끼워 고정되게 상기 상부케이스(20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체결공(321)이 구비되어 형성되는 체결판(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보호커버에 있어서,
    상기 제1코드인출부(120)에는 제1절개홈(123)이 형성되고,
    상기 제2코드인출부(230)에는 상기 제1절개홈(123)과 대응되는 제2절개홈(231)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보호커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08819A 2015-01-19 2015-01-19 콘센트 보호커버 KR101635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819A KR101635957B1 (ko) 2015-01-19 2015-01-19 콘센트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819A KR101635957B1 (ko) 2015-01-19 2015-01-19 콘센트 보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957B1 true KR101635957B1 (ko) 2016-07-05

Family

ID=56502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819A KR101635957B1 (ko) 2015-01-19 2015-01-19 콘센트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95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965Y1 (ko) * 2002-04-16 2002-09-05 정지윤 안전 덮개가 구비된 콘센트
KR200451914Y1 (ko) 2010-10-21 2011-01-18 곽판수 콘센트 보호커버
KR20110011239U (ko) * 2010-05-28 2011-12-06 노상인 결속용 타이
KR101125657B1 (ko) 2010-02-05 2012-03-27 김성숙 콘센트 보호커버
WO2013175824A1 (ja) * 2012-05-22 2013-11-28 日本発條株式会社 ソケット取付構造およびばね部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965Y1 (ko) * 2002-04-16 2002-09-05 정지윤 안전 덮개가 구비된 콘센트
KR101125657B1 (ko) 2010-02-05 2012-03-27 김성숙 콘센트 보호커버
KR20110011239U (ko) * 2010-05-28 2011-12-06 노상인 결속용 타이
KR200451914Y1 (ko) 2010-10-21 2011-01-18 곽판수 콘센트 보호커버
WO2013175824A1 (ja) * 2012-05-22 2013-11-28 日本発條株式会社 ソケット取付構造およびばね部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9363A (en) Extension cord safety box
EP1206013B1 (en) Device for containing and arranging electric cables
US3363216A (en) Safety attachment for electrical outlet fixtures
KR200453913Y1 (ko) 휴대용 기기의 소켓 보호커버
GB2205695A (en) Protective device for a cable end
JP2018166025A (ja) 一体型絶縁キャップ
KR101635957B1 (ko) 콘센트 보호커버
KR20210041240A (ko) 컷아웃스위치 커버장치
US5342212A (en) Electrical plug protective apparatus
KR100846134B1 (ko) 공동주택용 내벽의 전기 콘센트함
US20100059268A1 (en) Retractable electrical cord box
KR200451914Y1 (ko) 콘센트 보호커버
KR101618739B1 (ko) 전원선 플러그용 안전 커버기구
KR200318213Y1 (ko) 배선용 덕트
KR101662813B1 (ko) 케이블 커넥터
US20050020113A1 (en) Child-resistant plug protector
KR20160027601A (ko) 수목용 지지장치
US5222131A (en) Telephone protector including removable fuse holder
CN204668553U (zh) 一种带绕线功能电源插座保护盒
KR200490528Y1 (ko) 퓨즈의 설치 구조가 개선된 트랜스포머
US20170244205A1 (en) Power socket extension lead
KR200459008Y1 (ko) 콘센트 보호커버의 코드 인출구 가변구조
KR100197235B1 (ko) 스피커 터미널 보호용 컨넥터
KR102470329B1 (ko) 다운로더 젠더 케이스
JP3107467U (ja) 配線収納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