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813B1 - 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813B1
KR101662813B1 KR1020140187331A KR20140187331A KR101662813B1 KR 101662813 B1 KR101662813 B1 KR 101662813B1 KR 1020140187331 A KR1020140187331 A KR 1020140187331A KR 20140187331 A KR20140187331 A KR 20140187331A KR 101662813 B1 KR101662813 B1 KR 101662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ver
case
protective cover
ray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6808A (ko
Inventor
신철우
박은홍
강차군
임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알텍
Priority to KR1020140187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813B1/ko
Publication of KR20160076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01R13/580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formed by a metallic element crimped around the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01R13/581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the cable clamping being achieved by mounting the separate part on the housing of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01R13/5816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for cables passing through an aperture in a housing wall, the separate part being captured between cable and contour of aper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 H01R13/5825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the means comprising additional parts captured between housing parts and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 H01R13/5829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the clamping part being flexibly or hingedly connected to the housing

Landscapes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구성이 향상된, 견고한 커넥터 케이블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커넥터 케이블은 X-Ray 디텍터에 연결되어 X-Ray 디텍터가 수집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케이블 커넥터로서, 케이블, 소켓 하우징, 케이스, 보호커버를 포함한다. 소켓 하우징은 일단이 케이블의 심선과 결합되고, 타단은 타 전기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단자핀을 구비한다. 케이스는 일측에 케이블이 유입되는 유입구를 구비하고, 소켓 하우징과 케이블을 감싸 고정시키되, 단자핀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보호커버는 제1커버와 제2커버로 이루어져, 케이스의 유입구를 감싸도록 케이스에 결합되고, 케이블이 유입구 진입방향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커넥터{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X-Ray 디텍터에 연결되어 X-Ray 디텍터가 수집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전기기기와 전기기기를 연결시키는 접속수단으로서, 중요한 전기부품 중의 하나이다. 전기기기가 다른 전기기기와 통신을 하거나 제어명령을 송수신하기 위해서 여러 심선들을 케이블에 취합하여 커넥터에 연결하기도 한다. 이러한 케이블 커넥터는 다수의 심선이 하나의 케이블 내에 들어있으므로, 다른 커넥터에 비해 취약하게 된다.
그런데, 사용 환경에 따라 케이블 커넥터가 다른 전기기기에 절곡되어 결합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케이블 커넥터의 절곡 부위는 집중 하중을 받게 된다. 또한, 케이블 커넥터가 타 전기기기에 수평이 아닌 수직으로 결합되는 경우에도, 절곡 부위는 자중으로 인한 하중에 노출된다. 이 경우, 케이블의 절곡 부위가 절단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97068호(2002. 11. 22. 등록)
본 발명은 내구성이 향상된, 견고한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는 X-Ray 디텍터에 연결되어 X-Ray 디텍터가 수집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케이블 커넥터로서, 케이블, 소켓 하우징, 케이스, 보호커버를 포함한다. 소켓 하우징은 일단이 케이블의 심선과 결합되고, 타단은 타 전기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단자핀을 구비한다. 케이스는 일측에 케이블이 유입되는 유입구를 구비하고, 소켓 하우징과 케이블을 감싸 고정시키되, 단자핀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보호커버는 제1커버와 제2커버로 이루어져, 케이스의 유입구를 감싸도록 케이스에 결합되고, 케이블이 유입구 진입방향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는 X-Ray 디텍터에 연결되어 X-Ray 디텍터가 수집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케이블 커넥터로서, 케이블, 보호커버를 포함한다. 케이블은 일단이 타 전기기기와 결합된다. 보호커버는 제1커버와 제2커버로 이루어져 케이블을 감싸 고정시키되, 케이블이 완만하게 절곡되어 인입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배출되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커버와 제2커버는 서로 교체 가능하여, 교체 조립 시, 상기 케이블의 배출방향이 180 ˚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케이블 커넥터는 배출구를 감싸도록 보호커버에 결합되며, 케이블이 관통 조립되는 관통홀을 구비한 연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케이블 커넥터는 단자핀의 양 측면 케이스에 설치된 자석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이 일정 각도로 굴곡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고,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케이블의 배출되는 방향을 좌우로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커넥터에 의해 케이블이 우측으로 절곡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커넥터에 의해 케이블이 좌측으로 절곡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를 나타낸 것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대응되는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번호로 참조된다. 또한, 상세한 설명에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생각되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는 X-Ray 디텍터에 연결되어 X-Ray 디텍터가 수집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커넥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00)는 케이블(10), 소켓 하우징(20), 케이스(30), 보호커버(40)를 포함한다.
케이블(10)은 외피 내부에 다수의 심선을 포함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일반적인 케이블일 수 있다. 심선은 구리나 알루미늄 등일 수 있다. 외피는 폴리에틸렌, 폴리염화 비닐과 같이 절연성이 우수한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소켓 하우징(20)은 내부에 단자핀(미도시)을 구비하여, 일측은 케이블의 심선(11)과 연결되고, 타측은 타 전기기기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타 전기기기는 X-Ray 디텍터가 될 수 있다. X-Ray 디텍터는 스탠드 버키에 삽입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테이블 버키에 삽입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소켓 하우징(2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소켓 하우징(20)은 플라스틱을 이용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소재로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에 유리섬유(Glass-fiber)를 30~50% 첨가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단자핀은 구리에 금 또는 주석을 도금하여 제작될 수 있다. 단자핀을 통해 케이블의 심선(11)이 타 전기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케이스(30)는 케이블(10)과 소켓 하우징(20)을 감싸 고정시키되, 전면에 단자핀이 노출되도록 하며, 후면에 케이블이 유입되는 유입구(33)를 구비한다. 케이스(30)는 소켓 하우징(20)과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소재로는 폴리카보네이트나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케이스(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부재(31, 32)가 결합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보호커버(40)는 제1커버(41)와 제2커버(42)로 이루어져 케이스(30)의 유입구(33)를 감싸도록 케이스(30)에 결합된다. 보호커버(40)는 케이블(10)이 유입구(33)로부터 완만하게 절곡되어 케이스(30) 유입방향으로부터 직각인 상태로 배출되도록 한다. 보호커버(40)의 내측에는 케이블(10)이 완만하게 절곡되도록 유도하는 리브(41a, 42b)와 리브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홈(41b, 42b)이 형성될 수 있다.
보호커버(40)는 케이스(30)와 같이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될 수도 있고, 알루미늄 소재를 주조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보호커버(40)의 표면에는 케이블(10)의 휨 방향을 안내하는 화살표 등이 인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커버(41)와 제2커버(42)는 서로 교체 가능하므로, 제1커버와 제2커버(42)를 바꾸어 조립하는 경우, 케이블(10)은 반대방향으로 절곡되게 된다(도 3 내지 도 4 참조). 따라서, 케이블(10)의 배출방향을 그대로 둔 채 케이블 커넥터(100)의 조립 방향만을 바꾸려 하는 경우나, 케이블 커넥터(100)의 조립 방향은 그대로 두면서 케이블(10)의 배출방향만을 바꾸고자 하는 경우에 제1커버(41)와 제2커버(42)를 서로 바꾸어 조립하여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케이블 커넥터(100)에서 케이블(10)은 보호커버(40) 내부에서 완만하게 절곡되어 케이스(30) 유입방향으로부터 직각인 상태로 배출되고, 사용되는 동안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 커넥터(100)가 X-ray 디텍터와 같은 다른 전기기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과정에서 심한 하중을 받거나, 사용 및 보관 과정을 거치면서 반복 하중을 받아, 굴곡부의 외피가 찢어지거나 케이블(10) 내의 심선이 끊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30)에는 결합홀(30a)이 형성되고, 보호커버(40)에는 이 결합홀(30a)에 끼워지는 삽입돌기(42c)가 형성되어, 보호커버(40)와 케이스(3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보호커버(40)가 케이스(30)에 대해 유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케이블 커넥터(100)는 케이스(40)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관통되게 설치되어, 타 전기기기와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50)의 단부에는 타 전기기기에 구비되는 체결홈(미도시)에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케이블 커넥터(100)는 체결부재(50)의 나사산이 타 전기기기의 체결홈에 체결되므로, 결합이 견고해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00)는 연질부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질부재(70)는 배출구(33)를 감싸도록 보호커버에 결합되며, 케이블(10)이 관통 조립되는 관통홀(미도시)을 구비한다. 연질부재(70)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부재(70)의 외주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이 홈에 대응되는 돌출부가 보호커버(40)에 형성되어, 연질부재(70)와 보호커버(40)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은 케이블 커넥터(100)는 연질부재(70)를 더 포함함으로써, 보호커버의 모서리와 맞닿는 부위의 케이블(10) 피복이 찢어지거나 심선이 끊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케이블 커넥터(100)는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된 자석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석부재(60)는 원형의 영구자석이거나, 케이블(10)을 통해 전달된 전기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전자석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케이블 커넥터(100)는 자력에 의해 상대 전기기기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는 케이블과 보호커버를 포함한다. 케이블은 일단이 타 전기기기와 결합된다. 케이블은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케이블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타 전기기기는 X-Ray 디텍터가 될 수 있다. X-Ray 디텍터는 스탠드 버키에 삽입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테이블 버키에 삽입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케이블은 X-Ray 디텍터의 내부 보드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의 심선을 X-Ray 디텍터의 보드에 솔더링하거나, 보드에 실장된 커넥터나 조인트 단자에 심선을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할 수 있다.
보호커버는 케이블을 감싸 고정시키되, 케이블이 완만하게 절곡되어 인입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배출되게 한다. 보호커버는 제1커버와 제2커버로 이루어진다. 보호커버의 내측에는 케이블이 완만하게 절곡되도록 유도하는 리브들과 리브들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케이블 커넥터에서 케이블은 보호커버 내부에서 완만하게 절곡되어 인입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사용되는 동안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 커넥터를 X-Ray 디텍터에 결합한 후 X-Ray 디텍터를 스탠드 버키나 테이블 버키에 설치하는 과정 또는 X-Ray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케이블이 인장 하중을 받거나 반복적인 굽힘 하중을 받아, 굴곡부의 외피가 찢어지거나 케이블 내의 심선이 끊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케이블 커넥터의 사용방법에 대해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블 커넥터를 X-Ray 디텍터에 결합한 후 X-Ray 디텍터를 스탠드 버키나 테이블 버키에 삽입할 때, 케이블 커넥터의 결합 부위가 모서리 근처이면 케이블이 심하게 꺾이거나, 케이블이 버키의 모서리에 쓸려 손상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커버와 제2커버를 바꿔 조립하여 절곡 방향이 반대가 되게 함으로써, 케이블이 과도하게 꺾이거나 쓸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커넥터의 내구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들을 가지고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케이블 20 : 소켓하우징
30 : 케이스 33 : 유입구
40 : 보호커버 50 : 체결부재
60 : 자석부재 70 : 연질부재

Claims (6)

  1. X-Ray 디텍터에 연결되어 X-Ray 디텍터가 수집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케이블 커넥터로서,
    케이블;
    내부에 단자핀을 구비하며, 일측은 상기 케이블의 심선과 연결되고, 타측은 타 전기기기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소켓 하우징;
    상기 케이블과 상기 소켓 하우징을 감싸 고정시키되, 전면에 단자핀이 노출되도록 하며, 후면에 상기 케이블이 유입되는 유입구를 구비한 케이스; 및
    제1커버와 제2커버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의 유입구를 감싸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이 유입구로부터 완만하게 절곡되어 케이스 유입방향으로부터 직각인 상태로 배출되게 하는 보호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버와 제2커버는 서로 교체 가능하여, 교체 조립 시 상기 케이블의 배출방향이 180 ˚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2. X-Ray 디텍터에 연결되어 X-Ray 디텍터가 수집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케이블 커넥터로서,
    일단이 타 전기기기와 결합되는 케이블;
    제1커버와 제2커버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블을 감싸 고정시키되, 상기 케이블이 완만하게 절곡되어 인입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배출되게 하는 보호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버와 제2커버는 서로 교체 가능하여, 교체 조립 시 상기 케이블의 배출방향이 180 ˚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로부터 상기 케이블이 배출되는 부위를 감싸도록 상기 보호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이 관통 조립되는 관통홀을 구비한 연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된 자석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관통되게 설치되어, 타 전기기기와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KR1020140187331A 2014-12-23 2014-12-23 케이블 커넥터 KR101662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331A KR101662813B1 (ko) 2014-12-23 2014-12-23 케이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331A KR101662813B1 (ko) 2014-12-23 2014-12-23 케이블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808A KR20160076808A (ko) 2016-07-01
KR101662813B1 true KR101662813B1 (ko) 2016-10-05

Family

ID=56500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331A KR101662813B1 (ko) 2014-12-23 2014-12-23 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8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3652A (zh) * 2016-08-30 2016-11-23 韩国栋 一种应用x射线透射技术检测电力设备接头的方法
JP2019125528A (ja) * 2018-01-18 2019-07-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線カバー、及びコネク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6247A (ja) * 1998-09-30 2000-04-11 Chubu Sukegawa Kogyo Kk コネクタ
KR200297068Y1 (ko) * 2002-09-16 2002-11-30 삼원액트 주식회사 케이블 코넥터
JP2004220856A (ja) * 2003-01-10 2004-08-0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ルゲートチューブ用カバー付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1609B1 (fr) * 1998-07-23 2000-09-22 Framatome Connectors France Boitier de connecteur pour cables coaxiaux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6247A (ja) * 1998-09-30 2000-04-11 Chubu Sukegawa Kogyo Kk コネクタ
KR200297068Y1 (ko) * 2002-09-16 2002-11-30 삼원액트 주식회사 케이블 코넥터
JP2004220856A (ja) * 2003-01-10 2004-08-0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ルゲートチューブ用カバー付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808A (ko) 201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942061U (zh) 连接端子和电连接器
US8215980B1 (en) Connector having a housing with partition walls with hooked portions and pivotally coupled cover shells
US8133060B2 (en) Electric plug and methods of providing the same
CN107210565A8 (zh) 屏蔽连接器
EP2418744A1 (en) Seal device for sealing a connector
US8753133B1 (en) Electrical power connector with improved ground continu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0553979B2 (en) Connector
KR101662813B1 (ko) 케이블 커넥터
US20120002930A1 (en) Cable assembly with strain relief means
KR20130120415A (ko) 전원 전극용의 접속 부재
JP2002148482A (ja) コネクタ組立体のケーブル取り扱い装置
JP5933697B2 (ja) 基準状態における接触バネの位置決めするための保持手段を備えた電気接続デバイス
US9967440B2 (en) Housing and a camera comprising a housing
DK2856565T3 (en) Miniature connector connector
JP6842573B2 (ja) モバイル端末外部アセンブリおよびモバイル端末保護スリーブ
US20100112857A1 (en) Conducting device for the electric contact of a conducting shielding sheath
KR200462823Y1 (ko) 스토퍼가 일체로 구비된 코드와 이를 위한 금형
EP3349318B1 (en) Surge protection device base
JP2007200785A (ja) モジュラープラグ
JP6248912B2 (ja) スプライス部の絶縁構造、ハーネス配置プレートおよび配線ユニット
WO2011073259A1 (en) Cable connector
US7517259B2 (en) Electric power connector
KR101473483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78940Y1 (ko) 광패치코드 센싱구조
CN203617469U (zh) 用于接线柱的电连接器和连接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