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261Y1 - 전등선 구조체 - Google Patents

전등선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261Y1
KR200490261Y1 KR2020190001784U KR20190001784U KR200490261Y1 KR 200490261 Y1 KR200490261 Y1 KR 200490261Y1 KR 2020190001784 U KR2020190001784 U KR 2020190001784U KR 20190001784 U KR20190001784 U KR 20190001784U KR 200490261 Y1 KR200490261 Y1 KR 2004902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ocket
power cable
cov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7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석
전장호
Original Assignee
김용석
(주)에코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석, (주)에코이엠 filed Critical 김용석
Priority to KR20201900017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2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2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2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21V23/002Arrangements of cables or conductors inside a lighting device, e.g. means for guiding along parts of the housing or in a pivoting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8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the elements having apertures, ducts or channels, e.g. heat radiation h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하면,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일단에 구성된 플러그를 통해 외부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고 타단에 콘센트가 설치 구성되는 전원용케이블; 전원용케이블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분기되는 복수개의 분기용케이블; 분기용케이블에 전등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전등용소켓; 전원용케이블의 외부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전원용케이블의 거치시 전원용케이블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처짐방지용와이어; 전원용케이블과 처짐방지용와이어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전원용케이블과 처짐방지용와이어의 외면을 동시에 커버하는 분리용피복체; 및 전원용케이블로부터 분기용케이블이 분기되는 부분을 커버하면서 구성되고 거치 기능을 제공하며 분리용피복체가 절개되더라도 전원용케이블과 처짐방지용와이어가 완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거치용커버체를 포함하는 전등선 구조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등선 구조체{Electric lamp cable structure}
본 고안은 전등선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전등 소켓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용케이블과 상기 전원용케이블을 처짐 없이 거치하기 위한 처짐방지용와이어가 일체로 구성되도록 하여 처짐방지용와이어를 통해 소켓이나 전원용케이블이 전선 거치대 등에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거치되도록 할 수 있는 전등선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이나 행사 현장 등에서 전동기구나 조명을 사용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임시로 가설하는 전선은, 해당 현장의 바닥에 놓여진 상태에서 작업장이나 행사장을 가로 지르면서 설치됨에 따라, 작업자나 이용자의 왕래나 물기 등에 의해 작업자나 이용자가 넘어지거나 감전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위험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벽면과 바닥면의 연결부를 따라 전선을 깔아서 사용하고 있으나 전선의 길이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에, 등록실용 20-0443586호에 개시된 바 있는 전선 거치대의 걸이판에 다수의 소켓이 소정 길이를 가지는 전원용케이블에 병렬로 연결된 전등선 구조체의 일부분이 걸리면서 거치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등선 구조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전원용케이블(10)에 소켓(20)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연장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전원용케이블(10)이 전선 거치대의 걸이판에 거치된다고 하더라도 소켓(20)과 소켓(20) 사이의 전원용케이블(10)이 늘어지게 되어 걸이판으로부터 전원용케이블(10)이 이탈되거나 소켓이 바닥에 접촉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전등선 구조체는, 별도의 클램프 등의 밴딩부재를 통하여 전원용케이블(10)과 걸이판의 거치부분이 추가로 밴딩되어야 안정적이고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설치 및 사용이 복잡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의 전등 소켓, 상기 소켓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용케이블 및 상기 전원용케이블을 처짐 없이 거치하기 위한 처짐방지용와이어가 일체로 구성되도록 하여 처짐방지용와이어를 통해 소켓이나 전원용케이블이 전선 거치대 등에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할 수 있는 전등선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일단에 구성된 플러그를 통해 외부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고 타단에 콘센트가 설치 구성되는 전원용케이블; 전원용케이블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분기되는 복수개의 분기용케이블; 분기용케이블에 전등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전등용소켓; 전원용케이블의 외부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전원용케이블의 거치시 전원용케이블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처짐방지용와이어; 전원용케이블과 처짐방지용와이어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전원용케이블과 처짐방지용와이어의 외면을 동시에 커버하는 분리용피복체; 및 전원용케이블로부터 분기용케이블이 분기되는 부분을 커버하면서 구성되고 거치 기능을 제공하며 분리용피복체가 절개되더라도 전원용케이블과 처짐방지용와이어가 완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거치용커버체를 포함하는 전등선 구조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전등용소켓은, 전등의 헤드 상단부에 구성된 베이스가 전기적으로 결속되는 소켓; 상기 소켓이 수용되며 소켓이 수용된 부위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방열공을 통하여 소켓에 전달된 전등 베이스의 열이 외부로 방열되도록 하는 소켓커버; 소켓커버의 상단 외측에 상기 복수개의 방열공을 커버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방열공에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우용 스커트; 소켓커버의 상단 외측에 방우용 스커트와 소켓커버의 체결부위를 커버하도록 체결되거나 체결부위까지 체결되고 분기용케이블의 단부가 밀폐된 상태로 관통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소켓에 결속되는 절연캡; 및 소켓커버의 하단에 전등을 수용하도록 체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등을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리용피복체는, 절개시 전원용케이블로부터 처짐방지용와이어가 분리되는 부분이 고리 기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치용커버체는, 전원용케이블로부터 분기용케이블이 분기되는 부분을 커버하는 커버부; 커버부의 중앙에서 3부분으로 분기되어 각각 전원용케이블과 처짐방지용와이어의 양단부와 분기용케이블을 커버하는 분기부; 및 커버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거치용고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다수의 전등용소켓, 상기 소켓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용케이블 및 상기 전원용케이블을 처짐 없이 거치하기 위한 처짐방지용와이어가 일체로 구성되도록 하여 처짐방지용와이어를 통해 소켓이나 전원용케이블이 전선 거치대 등에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등선 구조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등선 구조체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과 도 4는 도 2의 전등선 구조체에 있어서 전등용소켓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의 전등선 구조체가 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등선 구조체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일단에 구성된 플러그(P)를 통해 외부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고 타단에 콘센트(C)가 설치 구성되는 전원용케이블(110), 전원용케이블(110)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병렬로 분기되는 복수개의 분기용케이블(120), 분기용케이블(120) 각각에 전등(L)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전등용소켓(130), 전원용케이블(110)의 외부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전원용케이블(110)이 전선 거치대 등에 거치되더라도 전원용케이블(11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처짐방지용와이어(140), 전원용케이블(110)과 처짐방지용와이어(140)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전원용케이블(110)과 처짐방지용와이어(140)의 외면을 동시에 커버하는 분리용피복체(150) 및 전원용케이블(110)로부터 분기용케이블(120)이 분기되는 부분을 커버하면서 구성되고 전선 거치대 등에 거치되는 기능을 제공하며 분리용피복체(150)가 절개되더라도 전원용케이블(110)과 처짐방지용와이어(140)가 완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거치용커버체(160) 등을 포함한다.
전원용케이블(11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일단에 구성된 플러그(P)를 통해 외부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고 타단에 콘센트(C)가 설치 구성되어 전등용소켓(130)에 연결되는 전등(L)이나 콘센트(C)에 연결되는 전등선 구조체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 (-) 및 (접지) 전원용 전도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원용 전도체는, 꼬임선이나 단일선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절연 외피에 의해 피복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전원용케이블(110)의 콘센트(C)는, 통체 구조의 하우징 내부에 콘센트 구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하우징의 개방부위는 개폐용 덮개에 의해 완전 개방 및 완전 폐쇄되어 사용시에는 개폐용 덮개의 간섭이 최소화되고 비사용시 절연 기능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기용케이블(120)은, 전원용케이블(110)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병렬로 분기되어 전등용소켓(130)이 설치 구성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 전원용 전도체로부터 분기되는 (+) 분기성 전도체, (-) 전원용 전도체로부터 분기되는 (-) 분기성 전도체 및 (접지) 전원용 전도체로부터 분기되는 (접지) 분기성 전도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분기성 전도체는, 꼬임선이나 단일선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절연 외피에 의해 피복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전등용소켓(130)은, 전원용케이블(110)에 일단이 연결된 분기용케이블(120) 타단에 결선되어 전등(L)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공지의 구조를 가지는 소켓수단(130A)과, 우수의 유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방열공을 통하여 전등(L)의 열을 외부로 신속히 방열시키는 구조를 가지는 우수방지용소켓수단(130B)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우수방지용소켓수단(130B)은, 전등(L)의 헤드 상단부에 구성된 베이스가 전기적으로 결속되는 소켓, 상기 소켓이 수용되며 소켓이 수용된 부위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방열공을 통하여 소켓에 전달된 전등(L) 베이스의 열이 외부로 방열되도록 하는 소켓커버(131), 소켓커버(131)의 상단 외측에 상기 복수개의 방열공을 커버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방열공에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우용 스커트(132), 소켓커버(131)의 상단 외측에 방우용 스커트(132)와 소켓커버(131)의 체결부위를 커버하도록 체결되거나 체결부위까지 체결되고 분기용케이블(120)의 단부가 밀폐된 상태로 관통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소켓에 결속되는 절연캡(133) 및 소켓커버(132)의 하단에 전등(L)을 수용하도록 체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등(L)을 보호하는 보호커버(134)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전등용소켓(130)에 의하면, 전등(L)이 결속되는 소켓을 수용하는 소켓커버(131)에 복수개의 방열공이 형성되어 전등(L)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방열되도록 함과 동시에, 소켓커버(131)의 상측부에 체결되는 방우용 스커트(132)를 통하여 빗물 등이 방열공을 통해 소켓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방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처짐방지용와이어(140)는, 전원용케이블(110)의 외부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분리용피복체(150)에 의해 피복되어 전원용케이블(110)이나 거치용커버체(160)가 전선 거치대 등에 거치되더라도 전원용케이블(11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비탄력적인 재질과 두께를 가지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와이어는, 꼬임선이나 단일선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절연 외피에 의해 피복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처짐방지용와이어(140)에 의하면, 전등선 구조체의 제조시 전원용케이블(110)과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분리용피복체(150)에 의해 피복 구성됨으로써, 전원용케이블(110)이나 거치용커버체(160)가 전선 거치대 등에 거치시 거치용커버체(160)들 사이의 구간에 해당되는 전원용케이블(11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리용피복체(150)의 절개를 통해 전원용케이블(11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절개된 부분이 전선 거치대에 거치되는 고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전선 거치대와 거치용커버체(160)의 위치가 대응되지 않더라도 전원용케이블(110)의 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분리용피복체(150)는, 전원용케이블(110)과 처짐방지용와이어(140)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전원용케이블(110)과 처짐방지용와이어(140)의 외면을 동시에 커버하도록 하여 처짐방지용와이어(140)를 통한 처짐 방지 기능과 고리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전원용케이블(110)과 처짐방지용와이어(140)가 평행하게 배치된 후 절연 물질이 전원용케이블(110)과 처짐방지용와이어(140)를 피복시키는 방법에 의해 실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거치용커버체(160)는, 전원용케이블(110)로부터 분기용케이블(120)이 분기되는 부분을 커버하면서 구성되고 전선 거치대 등에 거치되는 기능을 제공하며 분리용피복체(150)가 절개되더라도 전원용케이블(110)과 처짐방지용와이어(140)가 완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합성수지재질을 가지고 분기 부분을 커버하는 커버부(161), 커버부(161)의 중앙에서 3부분으로 분기되어 각각 전원용케이블(110)과 처짐방지용와이어(140)의 양단부와 분기용케이블(120)을 커버하는 분기부(162) 및 커버부(161)의 상면에 형성되어 전선 거치대 등에 거치되는 거치용고리(163)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거치용커버체(160)는, 분기부(162) 중 전원용케이블(110)과 처짐방지용와이어(140)의 양단부와 분기용케이블(120)이 분기되는 부분에 해당되는 부분이 절개된 상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커버부(161)의 내부 공간에 전원용케이블(110)과 처짐방지용와이어(140)의 중간 부분이 위치되고 각 분기부(162)의 내부 공간에 전원용케이블(110)과 처짐방지용와이어(140)의 양단부와 분기용케이블(120)의 일단이 'T'자형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고주파, 초음파, 접착 및 융착 등의 방식에 의해 절개부분이 접합되는 것을 통해 밀폐 및 수밀된 상태로 상기 연결부위가 절연 커버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거치용커버체(160)는, 커버부(161)와 분기부(162)에 방열과 표면적의 확대를 유도함과 동시에 굽힘 유연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표면에 일정한 피치를 두고 환형의 주름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거치용커버체(160)는, 분기부(162)의 내주면에 습기 차단을 위해 불소고무 또는 실리콘고무로 제작된 방수링이 더 개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거치용커버체(160)는 상기 주름골을 나선을 따라 형성시키고, 이때 분기부(162)에 테이퍼를 형성하고 그 테이퍼 나선골 부분에 조임링이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조임링을 테이퍼 나선골 부분에 나사 결합시켜 이동시 분기부(162) 내면이 더욱 가압되어 분기부(162)와 케이블 간의 밀착력을 높이고 습기 차단 능력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거치용커버체(160)에 의하면, 거치용고리(163)를 통하여 전원용케이블(110)이 전선 거치대 등에 거치되는 기능을 제공하고 분기 부분에 설치 구성됨에 따라 분리용피복체(150)가 절개되더라도 전원용케이블(110)과 처짐방지용와이어(140)가 완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등선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원용케이블(110)과 처짐방지용와이어(140)이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공지의 피복 방법에 전원용케이블(110)과 처짐방지용와이어(140)가 절연 물질에 의해 피복되며, 이때, 전원용케이블(110)과 처짐방지용와이어(140) 사이가 분리용피복체(150)에 의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가진다.
이후, 전원용케이블(11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공지의 방법에 의해 플러그(P)와 콘센트(C)가 연결 구성된다.
이후, 전원용케이블(110)의 절연외피 일부분이 일정 간격으로 제거되어 전원용 전도체가 노출되고, 분기용케이블(120)의 일단에 노출된 분기성 전도체가 각각 도통 가능한 상태로 결선된다.
이후, 분기용케이블(120)의 타단에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전등용소켓(130)의 소켓수단(130A)이나 우수방지용소켓수단(130B)이 연결 구성된다.
이후, 거치용커버체(160)에 의해 커버부(161)의 내부 공간에 전원용케이블(110)과 처짐방지용와이어(140)의 중간 부분이 위치되고 분기부(162)의 내부 공간에 전원용케이블(110)과 처짐방지용와이어(140)의 양단부와 분기용케이블(120)의 일단이 'T'자형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고주파, 초음파, 접착 및 융착 등의 방식에 의해 절개부분이 접합된다.
이후, 해당 장소의 벽면 등에 설치되는 전선 거치대 등에 거치용커버체(160)의 거치용고리(163)가 거치되거나 전원용케이블(110)와 처짐방지용와이어(140) 사이의 분리용피복체(150)가 절개시 형성되는 공간이 거치되는 것을 통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등선 구조체가 설치 완료된다.
이후, 전등용소켓(130)에 전등(L)이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플러그(P)를 통해 동작전원 공급시 전등(L)으로부터 조명 기능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다수의 전등용소켓(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용케이블(110)에 평행하게 처짐방지용와이어(140)가 분리용피복체(150)와 거치용커버체(160)를 통해 완전 분리가 불가능한 상태로 일체 제작됨으로써, 전선 거치대 등에 거치 또는 설치시 거치되지 않은 상태의 전원용케이블(11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거치용커버체(160)에 거치용고리(163)가 형성됨으로써, 거치 작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4)

  1.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일단에 구성된 플러그(P)를 통해 외부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고 타단에 콘센트(C)가 설치 구성되고, 내부에 각각 절연 외피에 의해 피복된 (+), (-) 전원용 전도체를 함께 구비하는 전원용케이블(110);
    전원용케이블(110)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분기되는 복수개의 분기용케이블(120);
    분기용케이블(120) 각각에 전등(L)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전등용소켓(130);
    전원용케이블(110)의 외부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전원용케이블(110)의 거치시 전원용케이블(11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처짐방지용와이어(140);
    전원용케이블(110)과 처짐방지용와이어(140)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전원용케이블(110)과 처짐방지용와이어(140)의 외면을 동시에 커버하는 분리용피복체(150); 및
    전원용케이블(110)로부터 분기용케이블(120)이 분기되는 부분을 커버하면서 구성되고 거치 기능을 제공하며 분리용피복체(150)가 절개되더라도 전원용케이블(110)과 처짐방지용와이어(140)가 완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거치용커버체(160)를 포함하고,
    절개시 전원용케이블(110)와 처짐방지용와이어(140)의 분리 부분이 고리 기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선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전등용소켓(130)은,
    전등(L)의 헤드 상단부에 구성된 베이스가 전기적으로 결속되는 소켓;
    상기 소켓이 수용되며 소켓이 수용된 부위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방열공을 통하여 소켓에 전달된 전등(L) 베이스의 열이 외부로 방열되도록 하는 소켓커버(131);
    소켓커버(131)의 상단 외측에 상기 복수개의 방열공을 커버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방열공에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우용 스커트(132);
    소켓커버(131)의 상단 외측에 방우용 스커트(132)와 소켓커버(131)의 체결부위를 커버하도록 체결되거나 체결부위까지 체결되고 분기용케이블(120)의 단부가 밀폐된 상태로 관통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소켓에 결속되는 절연캡(133); 및
    소켓커버(132)의 하단에 전등(L)을 수용하도록 체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등(L)을 보호하는 보호커버(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선 구조체.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거치용커버체(160)는,
    전원용케이블(110)로부터 분기용케이블(120)이 분기되는 부분을 커버하는 커버부(161);
    커버부(161)의 중앙에서 3부분으로 분기되어 각각 전원용케이블(110)과 처짐방지용와이어(140)의 양단부와 분기용케이블(120)을 커버하는 분기부(162); 및
    커버부(161)의 상면에 형성되는 거치용고리(1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선 구조체.
KR2020190001784U 2019-04-30 2019-04-30 전등선 구조체 KR2004902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784U KR200490261Y1 (ko) 2019-04-30 2019-04-30 전등선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784U KR200490261Y1 (ko) 2019-04-30 2019-04-30 전등선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261Y1 true KR200490261Y1 (ko) 2019-10-23

Family

ID=68381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784U KR200490261Y1 (ko) 2019-04-30 2019-04-30 전등선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2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65555A (zh) * 2023-07-25 2023-08-29 长春职业技术学院 用于图文识别的移动式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925Y1 (ko) * 2004-04-24 2004-07-14 주식회사 동일전기시스템 현장가설용 소켓일체형 전등선
KR200407886Y1 (ko) * 2005-11-22 2006-02-06 왕재학 결합성이 증진된 연등
KR200467873Y1 (ko) * 2013-04-12 2013-07-08 김용석 방우형 작업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925Y1 (ko) * 2004-04-24 2004-07-14 주식회사 동일전기시스템 현장가설용 소켓일체형 전등선
KR200407886Y1 (ko) * 2005-11-22 2006-02-06 왕재학 결합성이 증진된 연등
KR200467873Y1 (ko) * 2013-04-12 2013-07-08 김용석 방우형 작업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65555A (zh) * 2023-07-25 2023-08-29 长春职业技术学院 用于图文识别的移动式显示装置
CN116665555B (zh) * 2023-07-25 2023-10-03 长春职业技术学院 用于图文识别的移动式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1565B2 (en) Plastic sealing internal sheath for a conductor connection, connection part, cover nut and sealed connection between two conductors
US6492594B1 (en) Modular electric conductor and system
US7520763B1 (en) Track lighting system with dependent lamp cord
US20130037294A1 (en) Breakaway fuse holder
KR200490261Y1 (ko) 전등선 구조체
US9496659B2 (en) Grounding apparatus for a safety grounded tree
WO2011025539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terminating the end of an electrical cable
US11346536B2 (en) Kit of parts comprising a cable gland, a wire transport element and a housing, system made of such a kit, and method for functionally connecting the system
KR200489862Y1 (ko) 전선 구조체
US2308286A (en) Tail joint cover
US11146048B2 (en) Service entrance head and methods
ES2230456T3 (es) Elemento de acoplamiento para la aplicacion en un cable electrico apantallado y procedimiento para su aplicacion en un cable.
ES2924767T3 (es) Protector flexible contra el contacto para conectores eléctricos
WO2015015410A1 (en) Chandelier for outdoor use
US20100116638A1 (en) Socket assembly
CA3080376C (en) Insulator insert for service entrance cap
US20220254545A1 (en) Insulated electric cord
CN109155510A (zh) 作为分线盒备件的布置结构以及用于安装该布置结构的方法
JP4721162B2 (ja) 低圧分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ヒューズの収容方法
EP1779034A1 (en) Lighting fixture mounting box
KR200236127Y1 (ko) 폴리머 현수애자 데드엔드클램프 커버
KR102365262B1 (ko) 방우형 콘센트 구조체
NZ250924A (en) Luminaire mounting member with disc shaped coupling body
KR200331234Y1 (ko) 전선 연결 멀티 터미널
KR20230000116U (ko) 콘센트 보호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