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2167A - 방수 콘센트 - Google Patents

방수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2167A
KR20180122167A KR1020170056333A KR20170056333A KR20180122167A KR 20180122167 A KR20180122167 A KR 20180122167A KR 1020170056333 A KR1020170056333 A KR 1020170056333A KR 20170056333 A KR20170056333 A KR 20170056333A KR 20180122167 A KR20180122167 A KR 20180122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waterproof
wall
socket
termin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7571B1 (ko
Inventor
성민수
정성룡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이에스신동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이에스신동아(주) filed Critical 파나소닉이에스신동아(주)
Priority to KR1020170056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571B1/ko
Publication of KR20180122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에 설치되는 방수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플러그를 삽입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콘센트가, 옥외 또는 욕실 등 물과 같은 유체의 유입이 발생될 수 있는 곳에 설치되어 있어 누전 및 감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유체의 유입을 막도록 처리되어 있는 발명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콘센트수구가 중심에 형성된 콘센트 몸체, 상기 콘센트 몸체 배면에 설치되어 단자가 결합되는 단자연결부, 상기 콘센트 몸체 배면이 벽면에 결합되도록 하고 중심에 상기 단자연결부의 단면과 동일한 크기를 가져 상기 단자연결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홀을 가진 벽면브라켓, 상기 벽면브라켓의 배면에 설치되고 벽면에 부착되는 벽면부착부, 상기 콘센트 몸체의 정면에 설치되며 상부는 캐노피 형상을 가진 콘센트덮개, 상기 콘센트 몸체의 정면에 설치되며 콘센트수구를 밀폐해주는 방수덮개 및 상기 단자연결부와 상기 벽면브라켓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단자연결부를 밀폐시켜주는 방수패킹으로 방수 콘센트를 구성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방수 콘센트 {Waterproof socket}
본 발명은 벽면에 설치되는 방수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센트 몸체의 전면에는 콘센트 덮개와 콘센트수구를 덮어주는 방수덮개로써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고, 콘센트 몸체의 배면에는 방수패킹으로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여 견고한 방수성능을 가지는 방수 콘센트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전력이 필요한 곳의 벽면에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는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음으로써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이러한 콘센트의 내부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단자로 연결되어 있어, 유체 등의 유입시 누전이 발생되기도 하고, 누전으로 인해 화재 및 감전사고가 발생할 위험도 존재한다. 그러나, 전력이 필요한 곳이 반드시 옥내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어서 옥외에도 콘센트의 설치가 필요한 경우가 있고, 옥내라 하여도 욕실 및 부엌과 같이 유체의 사용이 빈번한 곳에서는 유체의 유입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나, 필요에 의해 상술한 위험에도 불구하고 콘센트가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방수 콘센트가 고안되어 왔으나, 기존에 고안된 방수 콘센트는 콘센트 덮개로 콘센트 전면을 덮어버리는 형태이거나 콘센트 내부에 패킹을 설치하여 방수를 하는 형태에 국한되어 있다. 그러나, 콘센트 덮개로 콘센트 전면을 덮는 형태는 플러그의 삽입시 덮개가 들어 올려지는 현상 및 배면에 대한 방수가 되지 않아 유체의 유입에 대한 대비가 부족하였고, 플러그의 삽입시에도 콘센트 덮개 전체를 들고 삽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콘센트 내부에 패킹을 설치하여 방수를 하는 형태는 방수의 효율은 높을지라도 그 제작에 있어 여러 개의 부속품을 개별 설치해야 하는 바, 작업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KR 200185343 Y1 KR 100611573 B1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써, 옥외 또는 유체의 사용이 빈번한 옥내에 설치되는 콘센트에 있어서, 콘센트의 전면으로는 캐노피 형상의 콘센트 덮개를 통해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고, 콘센트를 미사용할 시에는 방수덮개를 통해 콘센트수구로의 유체 유입을 막음으로써 방수효과를 얻고, 콘센트의 배면으로는 전원을 공급해주는 단자와 연결되는 단자연결부를 덮어주는 방수패킹을 설치하며, 방수패킹을 벽면브라켓의 설치로써 압착하여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수콘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콘센트는 중심에 원형의 콘센트수구가 형성되는 콘센트 몸체, 상기 콘센트 몸체의 배면에 결합되고 중심에 홀이 형성되는 벽면브라켓, 상기 콘센트 몸체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벽면브라켓의 홀에 삽입되는 단자연결부, 상기 벽면브라켓의 배면에 설치되고 벽면에 부착되는 벽면부착부, 상기 콘센트 몸체의 정면에 설치되고 상부는 캐노피 형상을 가진 콘센트덮개, 상기 콘센트 몸체의 정면에 설치되고 상기 콘센트수구를 밀폐해주는 방수덮개 및 상기 단자연결부와 상기 벽면브라켓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단자연결부를 밀폐시켜주는 방수패킹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수패킹은 상기 단자연결부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벽면브라켓을 결합하여 상기 방수패킹을 압착함으로써 상기 단자연결부를 밀폐하고, 상기 방수덮개는 상기 콘센트수구의 상부에 힌지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센트 몸체는 정면에 콘센트수구 둘레를 따라 돌출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벽면브라켓의 상하부에 탈착이 가능한 덮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방수 콘센트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로는, 먼저 방수효과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 종래의 방수 콘센트가 콘센트 몸체 전면을 덮는 콘센트 덮개가 형성된 형태로만 구성되어, 콘센트수구에 삽입시키는 플러그의 형상이 다양하여 콘센트 덮개가 제공하는 형상과 맞지 않는 플러그의 경우에는 콘센트 덮개가 들어올려져 방수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콘센트 덮개 상부를 캐노피 형상으로 구성하고 배면의 방수패킹으로 추가적인 방수를 함으로써 방수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콘센트수구를 방수덮개로만 밀폐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사용자가 플러그를 삽입하고자 할 때 간단하게 방수덮개만을 들어올려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이 증대되었다. 또한, 기존의 방수콘센트가 콘센트 몸체 전면을 모두 덮는 형식의 기능적 요소만을 강조한 반면에, 본 발명은 방수성능의 기능적 요구를 모두 만족함과 동시에 캐노피 형상에 따른 미적 요소를 충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인 방수 콘센트의 콘센트 몸체 배면에 설치되는 방수패킹은 일체형으로 단자연결부 전체를 덮는 형태로 구성되어, 방수 콘센트의 제작시 종래의 방수 콘센트가 개별 부속품을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였고, 벽면브라켓을 콘센트 몸체 배면에 설치함으로써 방수패킹을 간단하게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추가적으로는, 벽면부착부를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콘센트가 매입되도록 벽면에 형성된 매입박스와 매입홀의 구비여부와 관계없이 어떠한 경우에도 벽면에 부착할 수 있게 되어 방수 콘센트 설치 적용의 폭이 넓어지고, 벽면브라켓의 상하부면에 단자가 삽입되는 개방부를 구성하고 탈착이 가능한 덮개를 형성함으로써 단자의 삽입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콘센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콘센트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콘센트 몸체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부착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콘센트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콘센트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콘센트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옥내 또는 욕실 등 유체의 사용이 많은 곳의 벽면에 설치되는 콘센트로써, 전면으로는 콘센트 덮개(400)와 방수덮개(500)로써, 배면으로는 방수패킹(600)으로써 방수 효과를 증대시키고, 일체형 방수패킹(600)을 콘센트 몸체(100)의 배면에 설치하고 벽면브라켓(200)으로 이를 압착하여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작업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수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콘센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콘센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콘센트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콘센트 몸체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부착부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콘센트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콘센트의 저면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콘센트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수 콘센트는, 콘센트수구(110)가 중심에 형성되어 있는 콘센트 몸체(100), 콘센트 몸체(100) 배면에 설치되어 단자가 결합되는 단자연결부(300), 콘센트 몸체(100) 배면이 벽면에 결합되도록 하고 중심에 단자연결부(300)의 단면과 동일한 크기를 가져 단자연결부(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홀을 가진 벽면브라켓(200), 상기 벽면브라켓의 배면에 설치되고 벽면에 부착되는 벽면부착부(700), 콘센트 몸체(100)의 정면에 설치되며 상부는 캐노피 형상을 가진 콘센트 덮개(400), 콘센트 몸체(100)의 정면에 설치되며 콘센트수구(110)를 밀폐해주는 방수덮개(500) 및 단자연결부(300)와 벽면브라켓(200) 사이에 설치되어 단자연결부(300)를 밀폐시켜주는 방수패킹(6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수 콘센트의 구성요소인 콘센트 몸체(100)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콘센트 몸체(100)는 벽면에 설치되는 콘센트가 외부로 드러나 사용자에게 노출되어지는 부분으로써, 전면과 배면에 방수 콘센트의 여러 부속품이 설치되어 진다. 직육면체의 박스형태로 구성되되 특히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홀로 구성된 콘센트수구(110)가 콘센트 몸체(100)의 전면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이를 통해 플러그를 삽입하도록 되어 있고, 배면은 후술할 단자연결부(300)가 형성되어 있고, 배면은 벽면브라켓(200)과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콘센트 몸체(100)의 전면에는 콘센트수구(110)의 둘레를 따라 돌출가이드(130)가 형성되어 있어, 빗물과 같은 유체가 콘센트 몸체(100) 표면을 흘러내릴 경우에 돌출가이드(130)로 인해 유체의 흐름이 경유되어 콘센트수구(110)로의 유체 유입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가이드(130)는 콘센트수구(110)의 둘레를 따라 폐쇄적으로 형성되되, 하부는 플러그가 삽입되고 난 후에 플러그에 연결된 전선이 자리할 수 있도록 돌출가이드(130)가 개방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콘센트 몸체(100)의 전면 상하에는 콘센트 덮개(400)와 콘센트 몸체(100) 및 벽면브라켓(200)을 고정할 수 있도록 제1결합홀(170)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관통하여 볼트를 체결하여 벽면부착부(700) 또는 벽면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콘센트 몸체(100)의 배면에는 콘센트수구(110)의 배면에 해당하는 위치에 후술할 단자연결부(300)가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사각형 관 형상으로 된 안착부(150)가 형성되어 있고, 안착부(150)의 주변으로 4개로 구성되고 내부에 나사산을 가진 제1체결부(190)가 있어, 후술할 벽면브라켓(200)과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콘센트 몸체(100) 배면에 설치되어 콘센트 몸체(100)가 벽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벽면브라켓(200)을 살펴본다.
상기 벽면브라켓(200)은 상기 콘센트 몸체(100)와 폭과 높이가 동일한 것으로 구성하되, 벽면브라켓(200)이 콘센트 몸체(100)와 결합하는 면에는 벽면브라켓(200)을 관통하는 제2체결부(270)가 형성되어 있고, 콘센트 몸체(100) 배면의 제1체결부(190)과 일치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 벽면브라켓(200) 배면에서 삽입된 볼트가 상기 제2체결부(270)를 관통하고 제1체결부(190)의 나사산과 체결됨으로써 콘센트 몸체(100)와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벽면브라켓(200)의 중심에는 상기 단자연결부(30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23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삽입홀(230)은 상기 단자연결부(300)의 크기와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홀(230)은 상술한 콘센트 몸체(100)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부(150)보다 폭과 높이가 작게 형성되어, 단자연결부(300)가 안착부(150)에 결합된 후 돌출되는 형상은 상기 벽면브라켓(200)의 중심에 형성된 삽입홀(230)에 삽입되게 되고, 안착부(150)와 상기 벽면브라켓(200)은 압착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벽면브라켓(200)의 상·하부에는 단자가 들어갈 수 있는 개방부(250)를 형성하되, 사용자의 설치환경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에서 단자를 삽입하는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탈락이 용이한 덮개가 구비된 개방부(250)를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콘센트 몸체(100) 배면에 설치되어 단자가 결합되는 단자연결부(300)를 간단히 살펴본다.
상기 단자연결부(300)는 전원이 공급되는 단자가 외부로부터 콘센트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플러그의 삽입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수용부에 해당한다. 상기 단자연결부(300)는 상기 콘센트 몸체(100) 배면에 형성된 안착부(150)에 결합되고,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단자연결부(300)는 안착부(150)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단자연결부(300)의 다른 구성은 종래에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기술 및 구조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벽면브라켓(200)의 배면에 설치되는 벽면부착부(700)를 살펴본다.
상기 벽면부착부(700)는 상기 벽면브라켓(200)의 배면과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본 발명인 방수 콘센트가 벽면과 결합할 수 있는 지지대가 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벽면부착부(700)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벽면에 콘센트의 매립을 위한 매입박스 및 매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매입박스의 매입홀과 규격적으로 호환 취부 가능하도록 형성된 상기 벽면부착부(700)의 취부홀(720)을 이용하여 본 발명인 방수 콘센트가 취부 가능하고, 벽면에 콘센트 매립을 위한 매입박스 및 매입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벽면이나 공간에 노출형으로 바로 취부하고자 할때에는, 벽면부착부(700) 없이 콘센트 덮개 결합홀(410)을 관통하는 나사에 의하여 설치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본 발명인 방수 콘센트의 적용범위가 넓어지게 된다. 상기 벽면부착부(700)는 중심에 홀을 가지고 있어 단자의 입출입이 가능하고, 상부와 하부 2곳에는 제3결합홀(71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콘센트 덮개 결합홀(410)과 제1결합홀(170) 및 제2결합홀(210)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3결합홀(710)보다 벽면부착부(700)의 중심에 가까운 곳에는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매입박스 및 매입홀과 취부가 가능하도록 취부홀(720)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콘센트 덮개(400)에 대해서 살펴본다.
상기 콘센트 덮개(400)는 콘센트 몸체(100)의 정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써, 콘센트 몸체(100)로의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콘센트 덮개(400)는 폭과 높이가 상기 콘센트 몸체(100)와 동일하도록 되어 있는 정면과 배면이 개방된 사각형 관의 형태로써, 위에서 내려오는 유체가 콘센트 몸체(100)에 유입되지 않도록 콘센트 덮개(400)의 상부는 캐노피 형상을 구성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센트 덮개(400)가 형성하는 캐노피 형상은 콘센트 몸체(100)와 상부에서 결합되는 부분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콘센트 덮개(400) 높이의 1/3 지점까지 완만한 유선형 구조를 취함으로써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체가 고이지 않고, 전기적 회로가 배치되는 콘센트 몸체(100)와 반대 방향으로 흘러내리도록 하였다. 콘센트 덮개(400)의 상부에 위치한 캐노피형상의 가운데에는 콘센트 덮개 결합홀(410)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홀은 상기 콘센트 몸체(100)에 형성된 제1결합홀(170)과 상기 벽면브라켓(200)의 제2결합홀(210) 및 상기 벽면부착부(700)의 제3결합홀(710)과 일치하도록 되어 있어 이를 관통한 볼트의 삽입으로 콘센트 덮개(400)와 콘센트 몸체(100) 및 벽면브라켓(200)을 일체로써 벽면부착부(700) 또는 벽면에 결합하게 된다.
다음으로, 방수덮개(500)에 대해서 살펴본다.
상기 방수덮개(500)는 방수 콘센트가 사용되지 않아,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일 때 유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콘센트수구(110)를 밀폐해주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방수 콘센트는 하부가 오픈되어 있는 형태여서 이를 통해 콘센트수구(110)로 유입되는 유체가 있을 수 있고, 콘센트 덮개(400)와 콘센트 몸체(100) 사이의 틈으로 유입된 유체가 콘센트수구(110)로 들어올 수 있는 구조이었으나, 본 발명의 방수덮개(500)를 적용함으로써, 방수 콘센트를 미사용하는 경우에도 콘센트수구(110)로의 유체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상기 방수덮개(500)는 콘센트 몸체(10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콘센트수구(110)의 상부에서 힌지연결부(510)를 구비하여 힌지로 연결되어 있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콘센트수구(110)를 밀폐하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를 힌지를 축으로 상부로 들어올려 콘센트수구(110)를 개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수덮개(500)의 배면, 즉 콘센트수구(110)와 맞닿는 면에는 상기 방수덮개(500)가 콘센트수구(110)와 끼워맞춤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방수덮개(500)의 배면에 콘센트수구(110)의 내경과 같은 직경을 가지도록 돌출가이드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끼워맞춤 결합이 견고하게 되어 방수덮개(500)가 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유체의 유입을 한번 더 차단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방수패킹(600)에 대해서 살펴본다.
상기 방수패킹(600)은 콘센트 몸체(100)의 배면에 설치된 단자연결부(300)와 벽면브라켓(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수패킹(600)은 콘센트 몸체(100)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단자연결부(300)가 결합되는 공간인 안착부(150)의 외부를 내포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연결부(300)가 안착부(150)와 결합 후에 돌출되는 형상이 그대로 방수패킹(600)에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어, 방수패킹(600)은 단자연결부(300) 및 안착부(150)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방수패킹(600)이 단자연결부(300)와 안착부(150)를 덮어 콘센트 배면에 설치된 후에, 사용자는 상기 벽면브라켓(200)을 콘센트 몸체(100)에 체결구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단자연결부(300)를 감싸는 방수패킹(600)부는 벽면브라켓(200)의 중심에 형성된 홀에 삽입이 되고, 이를 제외한 부분인 안착부(150)는 벽면브라켓(200)에 의해 압착이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방수패킹(600)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방수패킹(600)은 연질의 재료로 형성된 것으로써, 단자가 방수패킹(600)을 관통하여 연결된 후에도 재료가 가진 신축성으로 인하여 단자를 감싸주어 콘센트 몸체(100)의 후면으로 유체가 유입되어도 누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방수패킹(600)과 안착부(150)가 맞닿는 경계, 즉 방수패킹(600)의 평면의 경계를 따라서는 연질의 방수패킹(600)이 절곡되어 훅 형태를 가지게 되어, 벽면브라켓(200)이 결합되지 않더라도, 방수패킹(600)의 신축성에 의해 안착부(150)에 씌우는 형태의 고정이 되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방수성능 보장 및 설치가 간편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방수 콘센트는 콘센트의 정면과 배면으로의 유체의 유입을 이원적으로 차단하고 있다. 콘센트의 정면으로는 캐노피 형상을 가지는 콘센트 덮개(400)와 콘센트수구(110)의 둘레에 구성된 돌출가이드(130) 및 방수덮개(500)를 통해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고, 콘센트의 배면으로는 방수패킹(600)을 안착부(150)와 단자연결부(300)를 덮도록 설치하고 벽면브라켓(200)의 결합으로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여, 방수 콘센트의 방수능력을 극대화 하였다.
상술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는 바, 상기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콘센트 몸체
110: 콘센트수구
130: 돌출가이드
150: 안착부
170: 제1결합홀
190: 제1체결부
200: 벽면브라켓
210: 제2결합홀
230: 삽입홀
250: 개방부
270: 제2체결부
300: 단자연결부
400: 콘센트 덮개
410: 콘센트 덮개 결합홀
500: 방수덮개
510: 힌지연결부
600: 방수패킹
700: 벽면부착부
710: 제3결합홀
720: 취부홀

Claims (6)

  1. 중심에 원형의 콘센트수구가 형성되는 콘센트 몸체;
    상기 콘센트 몸체의 배면에 결합되고 중심에 홀이 형성되는 벽면브라켓;
    상기 콘센트 몸체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벽면브라켓의 홀에 삽입되는 단자연결부;
    상기 벽면브라켓의 배면에 설치되고 벽면에 부착되는 벽면부착부;
    상기 콘센트 몸체의 정면에 설치되고 상부는 캐노피 형상을 가진 콘센트덮개;
    상기 콘센트 몸체의 정면에 설치되고 상기 콘센트수구를 밀폐해주는 방수덮개; 및
    상기 단자연결부와 상기 벽면브라켓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단자연결부를 밀폐시켜주는 방수패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콘센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패킹은 상기 단자연결부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벽면브라켓을 결합하여 상기 방수패킹을 압착함으로써 상기 단자연결부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콘센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덮개는 상기 콘센트 몸체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콘센트수구의 상부에 힌지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콘센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몸체는 정면에 콘센트수구 둘레를 따라 돌출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콘센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브라켓의 상하부에 탈착이 가능한 덮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콘센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부착부는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콘센트
KR1020170056333A 2017-05-02 2017-05-02 방수 콘센트 KR102017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333A KR102017571B1 (ko) 2017-05-02 2017-05-02 방수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333A KR102017571B1 (ko) 2017-05-02 2017-05-02 방수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167A true KR20180122167A (ko) 2018-11-12
KR102017571B1 KR102017571B1 (ko) 2019-09-03

Family

ID=64398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333A KR102017571B1 (ko) 2017-05-02 2017-05-02 방수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5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6650A (zh) * 2019-10-17 2020-01-17 南京虞如梦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防水效果好的充电设备
KR102289511B1 (ko) * 2020-12-29 2021-08-12 주식회사 니케씨앤에스 회동 가능한 매립형 멀티콘센트
KR102289509B1 (ko) * 2020-12-29 2021-08-12 주식회사 니케씨앤에스 회동 가능한 매립형 멀티콘센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6958A (ko) 2020-03-18 2021-09-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콘센트 어셈블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343Y1 (ko) 1997-01-27 2000-06-15 진흥전기주식회사 방수 콘센트
JP2004206970A (ja) * 2002-12-24 2004-07-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ブッシングおよび防水コンセント
JP2005259411A (ja) * 2004-03-10 2005-09-22 Murao Hiramoto 屋外コンセント用の盗電防止装置
KR100611573B1 (ko) 2006-06-30 2006-08-10 (주)유원건축사사무소 방수 콘센트
KR20100068898A (ko) * 2008-12-15 2010-06-24 김성숙 콘센트 커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343Y1 (ko) 1997-01-27 2000-06-15 진흥전기주식회사 방수 콘센트
JP2004206970A (ja) * 2002-12-24 2004-07-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ブッシングおよび防水コンセント
JP2005259411A (ja) * 2004-03-10 2005-09-22 Murao Hiramoto 屋外コンセント用の盗電防止装置
KR100611573B1 (ko) 2006-06-30 2006-08-10 (주)유원건축사사무소 방수 콘센트
KR20100068898A (ko) * 2008-12-15 2010-06-24 김성숙 콘센트 커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6650A (zh) * 2019-10-17 2020-01-17 南京虞如梦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防水效果好的充电设备
KR102289511B1 (ko) * 2020-12-29 2021-08-12 주식회사 니케씨앤에스 회동 가능한 매립형 멀티콘센트
KR102289509B1 (ko) * 2020-12-29 2021-08-12 주식회사 니케씨앤에스 회동 가능한 매립형 멀티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571B1 (ko) 2019-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2167A (ko) 방수 콘센트
CN103594843B (zh) 墙壁插座
US11817689B2 (en) Watertight box and adapter
GB2435554A (en) Watertight electric socket
US10851986B2 (en) Waterproof lamp
KR20150120707A (ko) 물침투 방지 신발
KR20170088541A (ko) 패널 벽면 매립형 복합 전기단자박스
CN214043301U (zh) 一种具备高密封防水结构的电子变压器
KR100607035B1 (ko)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단자함
CA2639031C (en) Waterproof electric outlet
KR101398450B1 (ko) 물침투 방지 매립형 콘센트 박스
KR200490758Y1 (ko) 방우형 콘센트 보호커버
KR20080046465A (ko) 방수플러그
CN203586058U (zh) 一种可转向太阳能led壁灯
KR100967894B1 (ko) 방수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CN207394749U (zh) 一种组装式灯带接头
CN210179460U (zh) 一种防水吸顶灯
KR101398447B1 (ko) 매립형 콘센트 박스
CN216491592U (zh) 一种具有出线孔密封结构的控制箱
CN206789836U (zh) 一种u型排插
KR100687603B1 (ko)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 단자함
RU2666748C2 (ru) Сдвоенная настенная розетка
CN220307581U (zh) 灌胶防水电源
CN219760069U (zh) 一种防水密封插座
CN208272217U (zh) 一种便于安装开关插座的电工电器附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