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076A - 방우 콘센트 - Google Patents

방우 콘센트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5076A
KR20180025076A KR1020160128343A KR20160128343A KR20180025076A KR 20180025076 A KR20180025076 A KR 20180025076A KR 1020160128343 A KR1020160128343 A KR 1020160128343A KR 20160128343 A KR20160128343 A KR 20160128343A KR 20180025076 A KR20180025076 A KR 20180025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socket
outlet
protector
pro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순
배창수
Original Assignee
조영환
김성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환, 김성순 filed Critical 조영환
Publication of KR20180025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외의 간판이나 전기기기 또는 건설공사현장에서 사용되는 조명이나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의 전원이 연결되는 콘센트를 보호하여, 빗물이나 결로와 같은 습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방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콘센트(10)의 전선이 고정되는 콘센트고정부(100)와, 콘센트고정부(100)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콘센트(10)를 포위하는 상태로 보호하는 콘센트보호부(200)를 포함하며, 콘센트고정부(100)는 콘센트(10)의 전선이 강제로 관통되도록 일단에서 타단까지 관통되어서 고정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콘센트보호부(200)는 콘센트고정부(100)의 단부에 연이어지게 형성되면서 콘센트(10)가 수용되도록 내부공간이 하부로 개방되는 스커트형태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방우 콘센트{RAINPROOF CONCENT}
본 발명은 옥외의 간판이나 전기기기 또는 건설공사현장에서 사용되는 조명이나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의 전원이 연결되는 콘센트를 보호하여, 빗물이나 결로와 같은 습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방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옥외에 사용되는 콘센트는 견고함은 물론 빗물이나 기타 이물질의 침투가 방지되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이를 방지하려면 방수 및 방폭을 감안하여 제작되어야 하나 콘센트 용도상 각종 전기기기, 전자기기를 사용할 땐 플러그를 결합하고 사용하지 않거나 기기의 이동이 필요할 땐 분리를 해야 하는 필요성으로 인하여 제작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옥외의 간판이나 전기기기의 전원이 연결되는 콘센트를 보호하여 빗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42844호(2008.12.08.)가 개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옥외의 간판이나 전기기기 또는 건설공사현장에서 사용되는 조명이나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의 전원이 연결되는 콘센트를 보호하여, 빗물이나 결로와 같은 습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방우 콘센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우 콘센트는, 콘센트(10)의 전선이 고정되는 콘센트고정부(100)와, 콘센트고정부(100)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콘센트(10)를 포위하는 상태로 보호하는 콘센트보호부(200)를 포함하며, 콘센트고정부(100)는 콘센트(10)의 전선이 강제로 관통되도록 일단에서 타단까지 관통되어서 고정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콘센트보호부(200)는 콘센트고정부(100)의 단부에 연이어지게 형성되면서 콘센트(10)가 수용되도록 내부공간이 하부로 개방되는 스커트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콘센트보호부(200)는 길이가 신축되도록 자바라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콘센트보호부(200)는 끝단에 형성되어 외주면을 따라 흐르는 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처마(2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처마(210)는 콘센트보호부(200)의 둘레를 따라 콘센트보호부(2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이면서 끝단이 상부를 향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처마(210)는 빗물을 일측으로 안내하도록 반원통관이나 원통관으로 구성되는 안내부(2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콘센트보호부(200)는 상부에 벽체나 기둥에서 돌출된 못이나 브래킷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후크형태나 링형태의 걸고리(2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걸고리(230)는 처마(210)에 형성된 안내부(22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위치되면서 콘센트보호부(20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옥외의 간판이나 전기기기 또는 건설공사현장에서 사용되는 조명이나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의 전원이 연결되는 콘센트를 보호하여, 빗물이나 결로와 같은 습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서,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콘센트가 고정되는 콘센트고정부에 연이어지게 형성되는 콘센트보호부가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뒤집어질 수 있어서, 콘센트 및 플러그의 접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콘센트보호부가 자바라형태로 형성될 수 있어서 콘센트보호부가 뒤집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신축되므로, 콘센트 및 플러그의 접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콘센트보호부의 끝단에 처마가 형성되므로 외주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나 결로와 같은 습기를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처마의 일측에 안내부가 형성되어 처마의 빗물이 일측으로 안내되어서 배출되므로 빗물이 콘센트의 전선에 접촉됨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콘센트보호부의 상부에 걸고리가 형성되어 콘센트보호부를 벽이나 기둥에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걸고리 및 안내부가 서로 반대되는 상태로 콘센트보호부의 양측에 형성되므로 걸고리가 벽체나 기둥에 걸려서 콘센트보호부가 기울어지게 고정되므로 처마의 습기가 안내부로 모여지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우 콘센트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콘센트보호부의 뒤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콘센트보호부가 서로 접속된 콘센트 및 플러그를 보호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콘센트보호부가 자바라형태로 형성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콘센트보호부에 걸고리, 처마, 안내부가 형성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걸고리가 벽체에 걸림에 따라 콘센트보호부가 기울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우 콘센트는, 콘센트(10)의 전선이 고정되는 콘센트고정부(100)와, 콘센트고정부(100)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콘센트(10)를 포위하는 상태로 보호하는 콘센트보호부(200)를 포함한다.
먼저, 콘센트(10)는 플러그(20)가 접속되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콘센트(10)를 대신하여 플러그(20)가 콘센트고정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콘센트고정부(100)는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원기둥이나 다각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콘센트(10)의 전선이 관통되어서 고정되도록 일단에서 타단까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콘센트고정부(100)의 관통홀에 콘센트(10)의 전선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관통홀에 전선을 고정시키면서 밀폐시킬 수 있다.
또는 콘센트고정부(100)의 관통홀에 콘센트(10)의 전선을 강제로 삽입시켜서 고정시킬 수도 있다. 전선이 관통홀에 강제로 삽입되면 전선의 외주면이 관통홀의 내주면에 밀착되므로 전선의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콘센트고정부(100)의 관통홀에 삽입되어서 고정된 콘센트(10)의 전선을 강제로 당겨서 콘센트고정부(100)에서 콘센트(10)가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관통홀의 둘레에는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실리콘 등으로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콘센트고정부(100)는 사출성형에 의해 콘센트(10)의 전선이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로 열융착에 의해 일체화되어서 고정될 수 있다.
콘센트고정부(100)는 상부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관통홀의 둘레에서 외측으로 하향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므로, 전선을 따라 흐르는 습기가 콘센트고정부(100)의 관통홀에 침투되지 못하고 경사면을 따라 외부로 흘러내리게 된다.
콘센트보호부(200)는 사출성형에 의해 콘센트고정부(100)의 단부에 연이어지게 형성되면서 콘센트(10)가 수용되도록 내부공간이 하부로 개방되는 스커트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콘센트보호부(200)는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콘센트고정부(100)에 고정된 콘센트(10)를 커버하여서 보호할 수 있다.
특히, 콘센트보호부(200)는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콘센트보호부(200)를 뒤집어서 콘센트(10)가 외부로 노출되게 한 후에, 외부로 노출된 콘센트(10)에 플러그(200)를 접속시켜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콘센트보호부(200)는 길이가 신축되도록 다수의 주름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자바라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콘센트보호부(200)의 주름이 접혀져서 수축되면 콘센트(100)가 외부로 돌출되고, 콘센트보호부(200)의 주름이 펼쳐져서 신장되면 콘센트(100)가 내부공간에 수용되어서 은폐되어 보호될 수 있다.
더욱이, 콘센트보호부(200)는 끝단에 형성되어 외주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나 결로와 같은 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처마(210)가 형성된다. 이러한, 처마(210)는 콘센트보호부(200)의 둘레를 따라 콘센트보호부(2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이면서 수평되거나 끝단이 상부를 향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빗물이 콘센트보호부(200)의 외측으로 낙하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처마(210)는 빗물을 일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부(220)가 형성된다. 안내부(220)는 처마(210)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반원통관이나 원통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처마(210)에서 넘치는 빗물을 콘센트보호부(200)의 외측으로 멀리 안내할 수 있어서, 콘센트(10)의 전선이 빗물에 적셔짐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빗물에 의한 감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콘센트보호부(200)는 상부에 벽체나 기둥에서 돌출된 못이나 브래킷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후크형태나 링형태의 걸고리(2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고리(230)는 처마(210)에 형성된 안내부(22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위치되면서 콘센트보호부(200)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걸고리(230)가 벽이나 기둥의 못에 걸려서 고정되면 콘센트보호부(200)가 기울어지면서 안내부가 최하에 위치된다. 이에 의해, 빗물이 콘센트보호부(200)를 따라 흐르면서 처마(210)에 모여진 후에, 안내부(220)에 의해 콘센트보호부(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콘센트(10)에 플러그(20)가 접속된 상태에서 빗물이 콘센트(10) 및 플러그(20)에 침투되지 못하게 할 수 있어서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옥외의 간판이나 전기기기 또는 건설공사현장에서 사용되는 조명이나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의 전원이 연결되는 콘센트를 보호하여, 빗물이나 결로와 같은 습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방우 콘센트에 적용되어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콘센트 20 : 플러그
100 : 콘센트고정부 200 : 콘센트보호부
210 : 처마 220 : 안내부
230 : 걸고리

Claims (6)

  1. 콘센트(10)의 전선이 고정되는 콘센트고정부(100)와,
    콘센트고정부(100)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콘센트(10)를 포위하는 상태로 보호하는 콘센트보호부(200)를 포함하며,
    콘센트고정부(100)는 콘센트(10)의 전선이 관통되어서 고정되도록 일단에서 타단까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콘센트보호부(200)는 콘센트고정부(100)의 단부에 연이어지게 형성되면서 콘센트(10)가 수용되도록 내부공간이 하부로 개방되는 스커트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우 콘센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콘센트보호부(200)는 길이가 신축되도록 자바라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우 콘센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콘센트보호부(200)는 끝단에 형성되어 외주면을 따라 흐르는 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처마(2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우 콘센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처마(210)는 콘센트보호부(200)의 둘레를 따라 콘센트보호부(2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이면서 끝단이 상부를 향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처마(210)는 빗물을 일측으로 안내하도록 반원통관이나 원통관으로 구성되는 안내부(2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우 콘센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콘센트보호부(200)는 상부에 벽체나 기둥에서 돌출된 못이나 브래킷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후크형태나 링형태의 걸고리(2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우 콘센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걸고리(230)는 처마(210)에 형성된 안내부(22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위치되면서 콘센트보호부(20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우 콘센트.
KR1020160128343A 2016-08-30 2016-10-05 방우 콘센트 KR201800250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489 2016-08-30
KR20160110489 2016-08-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076A true KR20180025076A (ko) 2018-03-08

Family

ID=61725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343A KR20180025076A (ko) 2016-08-30 2016-10-05 방우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507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758Y1 (ko) 2019-06-10 2019-12-30 곽판수 방우형 콘센트 보호커버
KR102104603B1 (ko) * 2019-10-16 2020-04-24 (주)서용엔지니어링 청음센서용 프로텍터
KR20230000117U (ko) 2021-07-06 2023-01-13 곽판수 콘센트 보호커버
KR20230000116U (ko) 2021-07-06 2023-01-13 곽판수 콘센트 보호커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758Y1 (ko) 2019-06-10 2019-12-30 곽판수 방우형 콘센트 보호커버
KR102104603B1 (ko) * 2019-10-16 2020-04-24 (주)서용엔지니어링 청음센서용 프로텍터
KR20230000117U (ko) 2021-07-06 2023-01-13 곽판수 콘센트 보호커버
KR20230000116U (ko) 2021-07-06 2023-01-13 곽판수 콘센트 보호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5076A (ko) 방우 콘센트
US105337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water-resistant lamp holders
US6915992B1 (en) Garden post with improved plastic tube joint
US20160169503A1 (en) Led lamp for ceiling fan and ceiling fan having the same
US6585221B1 (en) Garden post
CN206112733U (zh) 悬挂式灯泡灯改良结构
KR20160010044A (ko) 고압선 방호용 절연커버
KR100898004B1 (ko) Led 신호등
US1921447A (en) Accessories for electric fittings
US20150070894A1 (en) Lamp str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200490758Y1 (ko) 방우형 콘센트 보호커버
KR20160126109A (ko) 난간용 포스트 캡 및 그 포스트 캡을 구비한 난간용 포스트
US9941736B1 (en) Secondary power system for light standard
CN207040081U (zh) 一种防水电源外壳
KR20080046465A (ko) 방수플러그
CN209764139U (zh) 一种分体式水浸传感器
KR101553612B1 (ko) 캠핑용 텐트
CN210517463U (zh) 一种防虫式防水插座控制箱
KR100967894B1 (ko) 방수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JP4765096B2 (ja) 絶縁カバー付電線コネクタ
WO2016026002A1 (en) An enclosure for a connection formed between coupled connectors
JPH073593Y2 (ja) ソケット防水構造
CN205351008U (zh) 带饵灯防被淋户外灯具
JP3170294U (ja) 防水ソケット
KR100818871B1 (ko) 지붕형 콘센트 방수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