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536B1 -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536B1
KR101885536B1 KR1020180014087A KR20180014087A KR101885536B1 KR 101885536 B1 KR101885536 B1 KR 101885536B1 KR 1020180014087 A KR1020180014087 A KR 1020180014087A KR 20180014087 A KR20180014087 A KR 20180014087A KR 101885536 B1 KR101885536 B1 KR 101885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tube
cover
wire
electric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린
Priority to KR1020180014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5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내설된 전선을 침투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한편, 관체커버가 원활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관체 내부에 대한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ELECTRIC WIRE PROTECTION APPARATUS OF APARTMENT HOUSE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내설된 전선을 침투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한편, 관체커버가 원활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관체 내부에 대한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증가로 인해 주거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공동주택인 아파트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아파트는 실내에 모든 시설이 완비되어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주택의 한 형태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실내에는 각종 컴퓨터나 여러 엘이디 기구를 포함한 전기기구를 사용하기 위해 많은 전선이나 전화선 등의 배선이 복잡하게 설치된다.
종래의 아파트를 시공할 때에는 배전선만 배선되었으나, 최근에는 매체의 활용이 다양화, 고속화되면서 아파트를 시공함에 있어서도 전화선, 초고속 인터넷 전용선, CATV/MATV용 케이블 등 전기선을 제외한 다양한 전선들의 설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를 위해 각 층마다 통신 EPS실이나 피트(PIT)를 마련하고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하여 배선하는 방식으로 설계하고 있다.
그리고, 공동주택에 사용하는 전선은 벽체에 설치되는 보호관을 통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종래의 보호관은 관리자 이외에 제3자의 접근이 쉬워 접촉으로 인한 감전의 위험에 항상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보호관의 측면이 개방되기 때문에 습한 지역 예컨대, 지하실과 같은 곳에 설치할 경우 침투수의 유입이 쉬어 전기합선으로 인한 단전 또는 화재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80921호(2012.09.07.)에는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배전선 보호관은 커버인출봉이 가압홀로 인입되며 가압 고정되는 등 관체커버에 대한 개방이 어렵기 때문에 관체 내부에 대한 점검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80921호(2012.09.07.)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내설된 전선을 침투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한편, 관체커버가 원활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관체 내부에 대한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되되, 양단에는 전선(1)이 내부로 삽입관통될 수 있도록 전선삽입공(13)이 형성되고, 개구된 상부의 가장자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11)이 형성되며, 하부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공(1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관체(10); 결합홈(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양단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돌기(21)와, 결합공(1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커버인출봉(22)을 갖추고서, 관체(10)의 개구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호 형상의 단면을 갖는 관체커버(20); 관체(10)의 결합홈(11)과 관체커버(20)의 결합돌기(21) 사이에 설치되어 밀폐하는 실링재(30); 전선(1)이 안착되는 전선안착홈(41)과, 내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42)을 갖추고서, 관체(10)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선지지부(40); 전선안착홈(4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전선안착홈(41)에 안착된 전선(1)을 가압고정하는 가압돌기(51)와, 걸림턱(42)에 맞물리는 걸림홈(52)을 갖추고서, 관체커버(20)의 하부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고무재질의 전선고정부(50); 및 커버인출봉(22)을 가압고정하는 가압홀(61)을 갖추고서, 전선고정부(50)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공(12)을 통해 유입되는 침투수를 차단하는 고무재질의 가압부재(6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에 있어서, 관체커버(20)가 원활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관체(10) 내부에 대한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점검부(100)를 더 포함하되, 점검부(100)는, 관체커버(20)의 양측에 구비되는 고정바(110); 고정바(110)와 대향되도록 관체커버(20)의 양측에 구비되는 가압바(120); 상,하부가 개방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고정바(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레버(130);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부가 조절레버(13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상부가 가압바(120)에 연결되는 승강바(140); 및 가압바(120)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한편, 조절레버의 회전에 따라 승강바(140)가 함께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수단(160)을 포함하며, 조절레버(130)는, 회전에 따라 승강바(14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고정바(110)와 함께 관체커버(20)가 상,방향으로 가압되면서 개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관체와 관체커버 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관리가 편리하며, 관리자 이외에 제3자가 쉽게 열 수 없어 가설된 전선과 접촉으로 인한 전기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관체와 관체커버에 의해 전선이 밀폐된 상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먼지 및 침투수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이들과의 접촉으로 인한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로부터 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관체커버에 대한 개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관체 내부에 대한 점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 A'선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에서 점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180921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180921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180921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은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로 대체하고, 관체커버가 원활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180921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는 관체(10), 관체커버(20), 실링재(30), 전선지지부(40), 전선고정부(50), 가압부재(60)로 구성되며, 공동주택 그 중에서도 매우 습한 지역인 지하실에 설치되어 내설된 전선(1)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침투수의 유입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여 전기합선과 같은 안전사고로부터 전선(1)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관체(1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형상을 이루되,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된 관(管)으로서, 양단에는 전선(1)이 일단을 통해 삽입되어 타단을 통해 인출될 수 있도록 전선삽입공(13)이 형성되고, 개구된 상부에는 양단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11)이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 중앙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공(1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선삽입공(13)의 내주면을 실링 처리하여 전선삽입공(13)과 전선(1) 사이로 침투수가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체커버(20)는 관체(10)의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먼지 및 침투수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관체커버(20)는 전체적으로 호 형상을 이루는 플레이트로서, 양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돌기(21)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커버인출봉(22)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21)는 관체(10)의 결합홈(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커버인출봉(22)은 관체(10)의 결합공(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커버인출봉(22)에는 스토퍼(22a)가 일체로 구비되는데, 여기서 스토퍼(22a)는 이후에 설명될 가압부재(60)의 상면에 면 접촉되어 필요 이상으로 커버인출봉(22)이 결합공(12)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관체(10)의 개구부로 관체커버(20)를 밀어 넣게 되면, 관체커버(20)에 형성된 결합돌기(21)와 커버인출봉(22)은 각각 결합홈(11)과 결합공(12)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관체(10)와 관체커버(20)를 상호 결합할 경우, 둘레면에는 돌출된 부위가 없기 때문에 관체(10)로부터 관체커버(20)를 해체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 제3자가 가설된 전선(1)과 접촉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접촉으로 인한 전기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관체(10)와 관체커버(20)를 상호 결합하였을 때에 둘레면에 돌출된 부위가 전혀 없기 때문에 관체(10)로부터 관체커버(20)를 해체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데, 이때에는 관체(10)의 결합공(12)에 삽입된 커버인출봉(22)을 송곳과 같은 뾰족한 물건을 이용하여 강하게 밀게 되면 그 힘에 의해 결합홈(11)과 결합돌기(21)의 결합상태가 자연스럽게 해제되면서 관체커버(20)는 관체(10)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링재(30)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관체(10)의 결합홈(11)과 관체커버(20)의 결합돌기(21) 사이에 설치되어 침투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전선지지부(40)는 전선(1)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포크형상의 플레이트로서, 관체(10)의 전선삽입공(13)으로 통해 삽입된 전선(1)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관체(10)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전선지지부(40)는 전선(1)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전선안착홈(41)과, 내향으로 돌출되어 전선고정부(50)의 걸림홈(52)과 서로 맞물리는 걸림턱(42)을 구비한다.
상기 전선고정부(50)는 전선(1)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포크형상의 플레이트로서, 관체커버(20)의 하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전선지지부(40)의 전선안착홈(41)에 안착된 전선(1)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전선고정부(50)는 전선안착홈(4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전선안착홈(41)에 안착된 전선(1)을 가압고정하는 가압돌기(51)와, 걸림턱(42)에 맞물리는 걸림홈(52)을 구비한다.
상기 전선고정부(50)와 전선지지부(40)는 동일 축 선상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선고정부(50)는 전선지지부(40)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탄성체인 고무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재(60)는 탄성재질의 실리콘 또는 고무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관체(10)의 내부, 좀 더 명확하게는, 전선지지부(40) 사이에 설치되어 커버인출봉(22)을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가압부재(60)는 가압홀(61)이 형성되며, 가압홀(61)은 관체(10)의 결합공(12)과 동일 축 선상에 배치된다.
관체커버(20)를 관체(10)의 개구부로 밀어 넣게 되면, 하방향으로 돌출된 커버인출봉(22)의 일단이 가압홀(61)로 서서히 삽입되고, 여기서 좀 더 강하게 밀어 넣게 되면, 커버인출봉(22)은 가압부재(60)의 가압홀(61)을 관통하여 결합공(12)에 삽입되며, 일정 깊이까지 삽입되면 커버인출봉(22)에 형성된 스토퍼(22a)에 의해 더 이상 커버인출봉(22)은 삽입되지 않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선(1)을 관체(10)의 전선삽입공(13)으로 삽입하여 맞은편 전선삽입공(13)을 통해 인출한다.
상기 관체(10)의 내부에 설치된 전선지지부(40)의 전선안착홈(41)에 전선(1)을 삽입하여 안착시켜 준 다음, 관체커버(20)를 매개로 관체(10)의 개구부를 덮어 밀폐되도록 한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관체(10)의 개구부로 관체커버(20)를 삽입시켜 주게 되면, 관체커버(20)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돌기(21)가 관체(10)의 결합홈(11)에 삽입되면서 상호 결합되며, 관체커버(20)에 하부에 형성된 커버인출봉(22)은 관체(10)에 내설된 가압부재(60)의 가압홀(61)을 관통하여 관체(10)의 결합공(12)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결합돌기(21)와 결합홈(11) 사이에는 실링재(30)가 설치되어 있어 결합돌기(21)와 결합홈(11) 사이를 통해 유입될 수 있는 먼지, 침투수 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전기합선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관체커버(20)가 관체(10)에 결합될 때에 전선고정부(50) 역시 전선지지부(40)에 삽입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선고정부(50)의 가압돌기(51)가 전선지지부(40)의 전선안착홈(41)으로 삽입되는 과정에 탄성재질의 가압돌기(51)가 내측으로 오므려지면서 자연스럽게 삽입되고, 가압돌기(51)가 완전히 전선안착홈(41)에 삽입되면 복원력에 의해 서서히 복원되며, 이때 전선지지부(40)의 가압턱(42)과 전선고정부(50)의 걸림홈(52)이 서로 맞대어지면서 더 이상내려가지 않고 고정된다.
내설된 전선(1)을 교체 및 보수해야할 필요가 있는데, 문제는 관체(10)와 관체커버(20)를 상호 결합하였을 때에 둘레면에 돌출된 부위가 전혀 없기 때문에 관체(10)로부터 관체커버(20)를 해체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데, 이때는 관체(10)의 결합공(12)에 삽입된 커버인출봉(22)을 송곳과 같은 뾰족한 물건을 이용하여 강하게 밀게 되면 그 힘에 의해 결합홈(11)과 결합돌기(21)의 결합상태가 자연스럽게 해제되면서 관체커버(20)를 관체(10)로부터 쉽게 이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커버(20)가 원활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관체(10) 내부에 대한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점검부(1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점검부(100)는 커버인출봉(22)이 가압홀(61)로 인입되는 등에 따른 관체커버(20)의 개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여 관체커버(20)가 적은 힘으로도 쉽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체(10) 내부에 대한 점검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점검부(100)는 관체커버(20)의 양측에 구비되는 고정바(110), 고정바(110)와 대향되도록 관체커버(20)의 양측에 구비되는 가압바(120), 상,하부가 개방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고정바(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레버(130) 및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부가 조절레버(13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상부가 가압바(120)에 연결되는 승강바(140)를 포함한다.
고정바(110)는 관체(10)의 중앙부보다 상부에 위치되면서 관체(10)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중앙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바(120)는 고정바(110)와 대향되도록 관체커버(20)에 구비된다.
고정바(110) 및 가압바(120)는 일단부가 관체(10) 및 관체커버(2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타단부는 서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레버(130)는 상부가 베어링 등에 의해 고정바(1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하부가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고정바(110)에는 조절레버(130)의 하부가 통과하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중공으로 베어링이 설치되면서 조절레버(130)가 고정바(1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조절레버(130)는 작업자 등의 인위적인 파지에 의한 조작이 용이하도록 고정바(110)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바(140)는 상,하부가 가압바(120) 및 고정바(110)를 관통하는 한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조절레버(130)의 내측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점검부(100)는 승강바(140)를 가압바(12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수단(150)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가압바(120)의 상,하부에 위치되도록 승강바(140)에 나사결합되는 너트(15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승강바(140)는 가압바(120)에 고정되면서 조절레버(130)의 회전에 따른 승,하강시, 가압바(120)와 함께 관체커버(20)가 승,하강되도록 할 수 있다.
점검부(100)는 가압바(120)의 승,하강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수단(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수단(160)은 고정바(110)와 가압바(120) 간에 위치되도록 승강바(140)에 구비되는 가이드부재(161) 및 상부는 가이드부재(161)에 연결되고 하부는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고정바(110)를 관통하는 가이드바(162)를 포함한다.
가이드부재(161)는 승강바(140)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용접 등에 의해 승강바(140)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바(162)는 상부가 승강바(140)에 연결되고 하부가 고정바(110)를 관통하면서 조절레버(130)의 회전에 따른 가압바(120)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한편, 승강바(140)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이드바(162)는 가이드부재(16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바(162)는 상부가 가이드부재(161)를 통과하는 한편, 상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가이드수단(160)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가이드부재(161)의 상,하부에 위치되도록 가이드바(162)로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1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바(162)는 체결부재(163)의 탈착에 따라 가이드부재(161)로부터 분리되거나, 가이드부재(161)로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조절레버(130)의 회전시, 가이드바(162)가 고정바(110)를 통과는 면과 접촉되면서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점검부(100)에 의해 관체커버(20)의 개방을 설명하면, 점검부(100)는 조절레버(130)의 풀림 회전시, 가압바(120)와 함께 관체커버(20)가 승강될 수 있도록 하여 커버인출봉(22)이 가압홀(61)로부터 인출되도록 한다.
커버인출봉(22)이 가압홀(61)로부터 인출된 후에는 고정수단(150)을 조절하여 가압바(120)와 함께 관체커버(20)가 승강바(140)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후, 관체(10)에 대한 점검이 이루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점검부(100)는 적은 힘으로도 관체커버(20)의 개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관체(10)에 대한 점검이 완료된 후에는 가압바(120)를 승강바(140)에 결합되도록 하여 관체커버(20)가 관체(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 후, 인위적인 가압에 의해 커버인출봉(22)이 가압홀(61)로 인입도록 함으로써 관체커버(20)를 닫는다.
그리고, 고정수단(150)을 조절하여 관체커버(20)를 승강바(140)에 결속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점검부(100)는 관체커버(20)가 적은 힘으로도 쉽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체(10) 내부에 대한 점검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1: 전선 10: 관체
20: 관체커버 30: 실링재
40: 전선지지부 50: 전선고정부
60: 가압부재 100: 점검부
110: 고정바 120: 가압바
130: 조절레버 140: 승강바
150 : 고정수단 160: 가이드수단
161: 가이드부재 162: 가이드바
163: 체결부재

Claims (1)

  1.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되되, 양단에는 전선(1)이 내부로 삽입관통될 수 있도록 전선삽입공(13)이 형성되고, 개구된 상부의 가장자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11)이 형성되며, 하부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공(1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관체(10);
    결합홈(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양단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돌기(21)와, 결합공(1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커버인출봉(22)을 갖추고서, 관체(10)의 개구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호 형상의 단면을 갖는 관체커버(20);
    관체(10)의 결합홈(11)과 관체커버(20)의 결합돌기(21) 사이에 설치되어 밀폐하는 실링재(30);
    전선(1)이 안착되는 전선안착홈(41)과, 내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42)을 갖추고서, 관체(10)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선지지부(40);
    전선안착홈(4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전선안착홈(41)에 안착된 전선(1)을 가압고정하는 가압돌기(51)와, 걸림턱(42)에 맞물리는 걸림홈(52)을 갖추고서, 관체커버(20)의 하부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고무재질의 전선고정부(50); 및
    커버인출봉(22)을 가압고정하는 가압홀(61)을 갖추고서, 전선고정부(50)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공(12)을 통해 유입되는 침투수를 차단하는 고무재질의 가압부재(6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에 있어서,
    관체커버(20)가 원활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관체(10) 내부에 대한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점검부(100)를 더 포함하되,
    점검부(100)는,
    관체커버(20)의 양측에 구비되는 고정바(110);
    고정바(110)와 대향되도록 관체커버(20)의 양측에 구비되는 가압바(120);
    상,하부가 개방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고정바(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레버(130);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부가 조절레버(13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상부가 가압바(120)에 연결되는 승강바(140); 및
    가압바(120)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한편, 조절레버의 회전에 따라 승강바(140)가 함께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수단(160)을 포함하며,
    조절레버(130)는,
    회전에 따라 승강바(14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고정바(110)와 함께 관체커버(20)가 상,방향으로 가압되면서 개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장치.
KR1020180014087A 2018-02-05 2018-02-05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 KR101885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087A KR101885536B1 (ko) 2018-02-05 2018-02-05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087A KR101885536B1 (ko) 2018-02-05 2018-02-05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536B1 true KR101885536B1 (ko) 2018-08-06

Family

ID=63252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087A KR101885536B1 (ko) 2018-02-05 2018-02-05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53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209B1 (ko) * 2019-02-25 2019-08-27 주식회사 호성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
KR102064350B1 (ko) 2019-07-29 2020-01-10 주식회사 나래디엔에이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
KR102230141B1 (ko) * 2020-07-17 2021-03-22 홍성우 공동주택 건축물의 통신케이블 보호시스템
KR102281611B1 (ko) * 2021-01-25 2021-07-29 주식회사 대광종합기술 드론을 이용한 배전선로 감시시스템
KR102303982B1 (ko) * 2021-01-26 2021-09-24 주식회사 코담엔지니어링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보호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624B1 (ko) * 2012-01-13 2012-03-06 (주)태양이엔시 공동주택 엘이디 기구의 배전선 보호관
KR101180921B1 (ko) 2012-06-04 2012-09-07 (주)삼삼이엔지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1336112B1 (ko) * 2013-07-09 2013-12-03 (주)세명기술단 공동주택의 엘이디(led) 통전 배전선 보호관
KR101638939B1 (ko) * 2016-03-08 2016-07-12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624B1 (ko) * 2012-01-13 2012-03-06 (주)태양이엔시 공동주택 엘이디 기구의 배전선 보호관
KR101180921B1 (ko) 2012-06-04 2012-09-07 (주)삼삼이엔지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1336112B1 (ko) * 2013-07-09 2013-12-03 (주)세명기술단 공동주택의 엘이디(led) 통전 배전선 보호관
KR101638939B1 (ko) * 2016-03-08 2016-07-12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209B1 (ko) * 2019-02-25 2019-08-27 주식회사 호성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
KR102064350B1 (ko) 2019-07-29 2020-01-10 주식회사 나래디엔에이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
KR102230141B1 (ko) * 2020-07-17 2021-03-22 홍성우 공동주택 건축물의 통신케이블 보호시스템
KR102281611B1 (ko) * 2021-01-25 2021-07-29 주식회사 대광종합기술 드론을 이용한 배전선로 감시시스템
KR102303982B1 (ko) * 2021-01-26 2021-09-24 주식회사 코담엔지니어링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536B1 (ko)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
KR101180921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2064350B1 (ko)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
KR102014209B1 (ko)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
KR102024670B1 (ko) 안정적 배전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KR102243941B1 (ko)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한 기초대
KR101795463B1 (ko) 접지일체형 지중배전기기 기초대
KR102343548B1 (ko) 공동주택 감전방지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KR20100092156A (ko)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
CA3119637C (en) Modular floor box assembly
KR101638939B1 (ko)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1256629B1 (ko)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
KR102230141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통신케이블 보호시스템
KR101180920B1 (ko)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CN111883954B (zh) 一种输电线路接地线防误闭锁装置
JP5285377B2 (ja) 給電装置
KR102303982B1 (ko)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보호장치
KR20210109956A (ko) 동물 침입 방지 수배전반
KR101920203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관
KR200440509Y1 (ko) 전기 계량기함
CN216670199U (zh) 一种自动漏电检测设备
KR102150076B1 (ko) 소방전기기구용 플렉시블 커넥터
KR200479319Y1 (ko) 케이블의 방수 보호 커버
KR101232338B1 (ko)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
CN109586218B (zh) 具有防水结构的电力电缆保护套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