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210B1 -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 Google Patents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210B1
KR101664210B1 KR1020160023427A KR20160023427A KR101664210B1 KR 101664210 B1 KR101664210 B1 KR 101664210B1 KR 1020160023427 A KR1020160023427 A KR 1020160023427A KR 20160023427 A KR20160023427 A KR 20160023427A KR 101664210 B1 KR101664210 B1 KR 101664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ortions
metal wire
rod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수
Original Assignee
은세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세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은세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3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2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 배전선로에서 단선 및 합선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 개선된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선의 단선문제를 해소하고, 외부로부터의 침투수 유입을 차단하여 합선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CONNECTING DEVICE STRUCTURE OF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 배전선로에서 단선 및 합선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 개선된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 배전선은 지중에 매설된 지중관로의 내부에 설치되며, 지중관로의 내부에 구비된 절연대에 연결되어 연장되거나 분기되어 각 건물 또는 주택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배전선은 지중에 매설되기 위해서 지중배전선 보호관 내에서 배전선 간의 접속을 이루게 되는데, 배전선 간의 접속시 작업자의 실수나 혹은 외부의 압력 등에 의해서 배전선이 당겨지게 되면 접속대에 고정된 배전선이 외부로 분리되면서 단선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85178호(2012.09.17.) '매설용 지중송전 커넥터'가 있으며, 여기에는 각 전선을 전기적으로 안전하게 상호 연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 내측으로 인입된 전선의 피복을 돌기가 파고들어 도전체에 접촉해야 하므로 도전체의 외면이 손상되기 쉽고, 피복 역시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침투수가 유입될 경우 이를 차단할 만한 수단이 전혀 없어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의 위험이 상당히 높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현재에 발전경향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동시에 해소할 수 있는 접속대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23286호(2015.05.20.) '지중 배전선로의 단선 및 합선방지를 위한 접속대'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배전선의 단선문제를 해소하고, 외부로부터의 침투수 유입을 차단하여 합선을 방지할 수 있는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U’자형으로 구부린 배전선(L,L')의 금속선(w)이 각각 압입고정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U’자 형상의 홈을 갖는 금속선안치부(11a,12a)와, 금속선안치부(11a,12a)의‘U’자 곡면에 형성되어 금속선(w)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돌기(11b,12b)와, 금속선안치부(11a,12a)의 말단에 형성되어 배전선(L,L')의 피복(c)을 가압하는 가압편(11c,12c)을 갖추고서, 상호 맞대어져 배전선(L,L')의 금속선(w)을 감싸 고정하는 제1·2바디부(11,12)로 구성된 금속재질의 전선고정판(10)과; 제1·2바디부(11,12)가 각각 삽입되는 수용부(21a,22a)와, 외측으로 연장되고 가압편(11c,12c)이 내측으로 배치되며 외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반원형의 체결부(21b,22b)와, 가장자리 내측을 따라 돌출된 고무재질의 씰링부재(21c) 또는 씰링부재(21c)가 인입되는 결합홈(22c)을 갖추고서, 상호 맞대어져 씰링부재(21c)와 결합홈(22c)을 매개로 결합되는 제1·2본체부(21,22)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절연케이스(20)와; 체결부(21b,22b)와 상호 체결되는 결합부(31)와, 결합부(31)의 내측에 배치되어 체결부(21b,22b)의 내주면에 맞대어지는 지지부(32)와, 내부에 형성되며 가압편(11c,12c)이 오무려지도록 가이드하는 만곡부(33)를 갖추고서 배전선(L,L')에 각각 끼워지며 절연케이스(20)를 고정하는 결합구(30);를 포함하고;
상기 배전선(L,L')에 감겨 압착하는 탄성링(100)과, 상기 탄성링(100)의 양단에 형성된 제1,2걸림후크(110,120)가 걸려 고정되는 제1,2고정구(130,1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2고정구(130,140)는 볼트 형태를 가지며, 상기 결합구(30)의 외주면에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체결되도록 상기 결합구(30)의 외주면에는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고정구홈(15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본체부(21,22)의 장변쪽 양측면 중앙에 가체결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가체결수단은 상기 씰링부재(21c)의 장변쪽 중앙부를 'ㄷ' 형상으로 절곡 형성한 걸림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200)의 돌출된 반대쪽은 홈을 형성하여 코일스프링(210)이 내장되며, 상기 걸림부(200)의 외측면에는 높이방향으로 2-3열의 걸림톱니(220)가 형성되고, 상기 제1본체부(21)의 상면중 상기 걸림부(200)가 위치될 부분에는 상기 씰링부재(21c)의 두께 보다 큰 폭의 설치홈(230)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200)가 폭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설치홈(230)의 일부에는 바깥쪽과 경계를 이룬 측벽을 관통하여 'ㅓ' 형상을 갖는 로드끼움공(24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로드끼움공(240)을 로드(250)가 관통한 뒤 바깥으로 노출된 로드(250) 상에는 탄성스프링(260)이 끼워지며, 로드(250)의 선단에는 'ㅏ' 형상의 노브(270)가 나사체결되어 탄성스프링(260)이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본체부(22)에 형성된 결합홈(22c)에는 상기 설치홈(230)과 대응되는 위치의 바깥쪽 내벽상에 상기 걸림톱니(220)와 맞물려 걸릴 수 있도록 반대형상의 고정톱니(280)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선의 단선문제를 해소하고, 외부로부터의 침투수 유입을 차단하여 합선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접속대의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접속대를 분해하여 보인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접속대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접속대를 보인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접속대를 구성하는 고정부재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접속대를 구성하는 가체결수단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접속대를 구성하는 보열수단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등록특허 제10-1523286호를 그대로 인용하며, 특정 구성을 변형하여 기능상 효과성을 더욱 증대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설명은 상기 등록특허의 기본 구성을 그대로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속대는, 전선고정판(10)과 절연케이스(20) 및 결합구(3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지중 배전선(L,L')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지중 배전선(L,L')에 장력이 발생하더라도 단선되는 문제를 최소화하고, 외부로부터의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하여 합선을 방지토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선고정판(10)은 제1바디부(11)와 제2바디부(12)로 분할된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재질의 블록으로서, 압입고정된‘U’자형의 배전선(L,L')을 감싸 고정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1·2바디부(11,12)의 상호 맞대어지는 면에는‘U’자 형태로 구부린 배전선(L,L')이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U’자 형상으로 홈을 낸 금속선안치부(11a,12a)가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1바디부(11)에는 한 쌍의 금속선안치부(11a)가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되,‘U’자형으로 구부린 배전선(L,L')의 금속선(w)이 각각 압입고정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바디부(12)의 금속선안치부(12a) 역시 제1바디부(11)의 금속선안치부(11a)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바디부(11) 위로 제2바디부(12)를 얹혀준 상태에서 제2바디부(12)를 제1바디부(11)를 향해 두드려 가압하게 되면 금속선안치부(11a)에 압입고정된 금속선(w)의 노출된 부분이 제2바디부(12)의 금속선안치부(12a)로 압입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U’자 형태로 구부린 배전선(L,L')의 금속선(w)을‘U’자 형상의 금속선안치부(11a,12a)에 압입하여 고정하므로 배전선(L,L')에 인장력이 가해지면 가해질수록 더욱더 견고하게 배전선(L,L')이 고정되기 때문에 금속선(w)이 외부로 빠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선의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으며, 특히 종래와 같이 맞대어 연결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큰 고정성을 발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금속선(w)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선안치부(11a,12a)의‘U’자 곡면에는 삼각형상의 마찰돌기(11b,12b)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찰돌기(11b,12b)는 배전선(L,L')의 금속선(w) 외면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금속선(w)이 외부로 빠지려는 것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배전선(L,L')에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U’자 형상의 금속선안치부(11a,12a)와 마찰돌기(11b,12b)로 인해 더욱더 큰 고정성을 발현할 수 있으므로 배전선(L,L')이 외부로 빠져 단선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2바디부(11,12)의 외면, 좀더 명확하게는‘U’자 형상의 금속선안치부(11a,12a)의 말단부에는 반원형상의 가압편(11c,12c)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가압편(11c,12c)은 두께가 얇은 편으로서, 본 발명의 경우 결합구(30)의 지지부(32)를 따라 이동되어 만곡부(33)에 의해 내측으로 구부러지면서 배전선(L,L')의 피복(c)을 강하게 가압(압박)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배전선(L,L')의 금속선(w)은 금속선안치부(11a,12a)와 마찰돌기(11b,12b)에 의해 고정되고, 피복(c)은 가압편(11c,12c)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배전선(L,L')에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배전선(L,L')이 외부도 인출되어 단선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가압편(11c,12c)의 말단부는 둥글게 되어 있어 피복(c)을 강하게 가압(압박)하더라도 피복(c)이 손상되지 않아 매우 유용하다.
한편, 상기 절연케이스(20)는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로 분할되어 상호 결합되는 사각형상의 취함으로써 전선고정판(10)을 감싸 외력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하여 합선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상기 제1·2본체부(21,22)는 대략 사각형태를 이루되, 내부에는 제1·2바디부(11,12)가 삽입되어 안치될 수 있도록 수용부(21a,22a)가 형성되고, 외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되고 가압편(11c)이 내측으로 배치되며 외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반원형의 체결부(21b,22b)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를 상호 맞대게 되면 반원형의 체결부(21b,22b)는 하나의 원통을 이루게 되며, 이와 같이 하나의 원통을 이루는 체결부(21b,22b)의 외주면으로 결합구(30)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가 상호 맞대어지는 면에는 각각 씰링부재(21c)와 결합홈(22c)이 형성되며,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는 씰링부재(21c)와 결합홈(22c)을 매개로 상호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씰링부재(21c)는 제1본체부(21)의 수용부(21a) 둘레를 따라 돌출된 고무재질의 돌기로서, 상기 제2본체부(22)의 결합홈(22c)에 압입되어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 사이의 경계부분을 밀폐(씰링)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 사이의 경계가 밀폐(씰링)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전기합선과 같은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결합구(30)는 절연케이스(20)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로서, 배전선(L,L')에 각각 끼워져 제1·2본체부(21,22)의 체결부(21b,22b)에 결합되어 제1·2본체부(21,22)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결합구(30)는 전체적으로 관 형태를 이루되, 일측에는 내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결합부(31)가 형성되고, 결합부(31)의 내측에는 상호 이격되어 체결부(21b,22b)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지지부(32)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지지부(32)의 일측에 형성되는 만곡부(33)가 일체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32)는 체결부(21b,22b)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체결부(21b,22b)가 지지하는 기능을 하며, 만곡부(33)는 지지부(32)를 따라 이동하는 가압편(11c)이 구부러지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구(30)를 매개로 절연케이스(20)를 고정하므로 별도의 체결수단(예를 들면, 나사 등) 없이도 용이하게 절연케이스(20)를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및 분해가 상당히 신속해지면서도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전선(L,L')에 결합구(30)를 각각 끼워 준 상태에서 배전선(L,L')의 금속선(w)을‘U’자 형상으로 구부려 준 다음 이를 전선고정판(10)을 구성하는 제1바디부(11)의‘U’자 형상의 금속선안치부(11a) 상에 배치하고, 금속선(w)을 두드려‘U’자 형상의 금속선안치부(11a)의 내측으로 압입고정되도록 하며, 반대편에 배치된 금속선(w) 역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압입고정시켜 준다.
그런 다음, 전선고정판(10)을 구성하는 제2바디부(12)를 제1바디부(11)의 상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제2바디부(12)를 두드려주게 되면 제1바디부(11)의 외부로 노출된 금속선(w)이 제2바디부(12)의‘U’자 형상의 금속선안치부(12a)로 압입되면서 고정되며, 이를 매개로 제1바디부(11)와 제2바디부(12)가 상호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전선고정판(10)의 조립이 완료되면, 절연케이스(20)를 구성하는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를 이용하여 전선고정판(10)을 감싸 주며, 이때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는 씰링부재(21c)와 결합홈(22c)을 매개로 상호 결합되며, 제1·2본체부(21,22)의 경계부분은 씰링부재(21c)와 결합홈(22c)에 의해 차폐되며, 이로 인해 외부로부터의 침투수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절연케이스(20)의 조립이 완료되면, 배전선(L,L')에 각각 끼워진 결합구(30)를 이용하여 절연케이스(20)를 고정하게 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결합구(30)의 결합부(31)를 절연케이스(20)의 체결부(21b,22b)에 배치한 상태에서 결합구(30)를 조이게 되면, 결합부(3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탭과 체결부(21b,22b)의 외주면 형성된 나사탭이 상호 체결되고, 이때 결합부(31)의 내측에 위치하는 지지부(32)의 외주면이 체결부(21b,22b)의 내주면을 받쳐 지지하므로 체결과정에 체결부(21b,22b)가 틀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구(30)가 체결되는 과정에 가압편(11c,12c)은 지지부(32)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되다가 지지부(32)의 일측에 형성된 만곡부(33)에 의해 하방향으로 휘어지면서 배전선(L,L')의 피복(c)을 강하게 가압(압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배전선(L,L')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되므로 배전선(L,L')에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배전선(L,L')이 외부로 인출되어 단선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을 기본구성으로 하고, 여기에 배전선(L,L')의 분리 이탈을 더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함으로써 안정적인 접속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배전선(L,L')을 구성하는 금속선(w)은 주로 전기전도도를 높이기 위해 주로 동(Cu)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연성이 있어 'U' 형상으로 구부려 놓는다고 하더라도 장력이 크게 작용하여 당기게 되면 구부러진 부분이 펴지면서 분리이탈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로서 고정부재는 도 5의 예시와 같이, 배전선(L,L')에 감겨 압착하는 탄성링(100)과, 상기 탄성링(100)의 양단에 형성된 제1,2걸림후크(110,120)가 걸려 고정되는 제1,2고정구(130,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링(100)은 양단인 제1,2걸림후크(110,120)를 잡고 엇갈리게 당기게 되면 반경이 줄어들면서 배전선(L,L')의 피복을 압착하면서 꽉 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2고정구(130,140)는 볼트 형태를 가지며, 상기 결합구(30)의 외주면에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체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구(30)의 외주면에는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고정구홈(150)이 각각 형성되고, 고정구홈(150)의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구(30)을 체결한 다음 결합구(30)를 지난 지점의 배전선(L,L') 피복(c)에 상기 탄성링(100)을 감고, 제1걸림후크(110)를 제1고정구(130)에 먼저 걸어 고정한 다음 제2걸림후크(120)을 강하게 당겨 제2고정구(140)에 걸어 고정하게 되면 탄성링(100)의 반경이 줄어 들면서 피복(c)을 강하게 압착하게 되므로 강한 장력이 작용하더라도 배전선(L,L')이 빠지거나 하지 못하고 견고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고정안정성이 증대된다.
이에 더하여, 제1,2본체부(21,22)는 상호 조립시 씰링부재(21c)가 결합홈(22c)에 끼워져야 하고, 그 다음에 결합구(30)를 나사결합해야 하므로 결합구(30)를 나사결합하기 전까지 제1,2본체부(21,22)가 안정적으로 가고정될 필요가 있다.
즉, 씰링부재(21c)를 결합홈(22c)에 끼워 맞춘 다음에는 어느 정도 압입된 상태이므로 제1,2본체부(21,22)가 서로 벌어지지 않지만, 불측의 원인으로 충격을 받을 경우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그런 경우가 생긴다면 내장된 배전선(L,L')이 전선고정판(10)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서로 합선될 우려도 있기 때문에 만일의 경우까지 완벽하게 대비하기 위해 가체결수단을 더 구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6 에 도시된 평면도와 단면도에서와 같이, 제1,2본체부(21,22)의 장변쪽 양측면 중앙에 가체결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가체결수단은 상기 씰링부재(21c)의 장변쪽 중앙부를 'ㄷ' 형상으로 절곡 형성한 걸림부(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200)의 돌출된 반대쪽은 홈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홈에는 코일스프링(210)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200)의 외측면에는 높이방향으로 2-3열의 걸림톱니(220)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본체부(21)의 상면중 상기 걸림부(200)가 위치될 부분에는 상기 씰링부재(21c)의 두께 보다 큰 폭의 설치홈(230)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200)가 폭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상기 씰링부재(21c) 자체가 어느 정도 강성을 갖지만 근본적으로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된 플렉시블한 소재이기 때문에 상기 걸림부(200)를 상기 설치홈(230)의 바깥쪽에서 밀게 되면 휨변형되면서 밀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설치홈(230)의 일부에는 바깥쪽과 경계를 이룬 측벽, 다시 말해 제1본체부(21)의 벽을 관통하여 대략 'ㅓ' 형상을 갖는 로드끼움공(240)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로드끼움공(240)을 'ㅓ' 형상으로 한 이유는 로드(250)도 'ㅓ' 형상을 갖도록 하여 선단만 끼워져 바깥으로 노출되고 후단은 걸려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로드(250)의 노출된 부분에는 탄성스프링(260)이 끼워지고, 로드(250)의 선단에는 'ㅏ' 형상의 노브(270)가 나사체결되어 탄성스프링(26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준다.
따라서, 상기 탄성스프링(260)은 상기 로드(250)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단은 제1본체부(21)의 장변측 외벽 중앙에 걸림되고, 타단은 상기 노브(270)에 걸림되어 상기 노브(270)와 로드(250) 조립체를 항상 바깥방향으로 밀도록 동작한다.
아울러, 상기 제2본체부(22)에 형성된 결합홈(22c)에는 상기 설치홈(230)과 대응되는 위치의 바깥쪽 내벽상에 상기 걸림톱니(220)와 맞물려 걸릴 수 있도록 반대형상의 고정톱니(280)가 돌출된다.
따라서, 제1,2본체부(21,22)를 서로 끼워 맞춰 조립하게 되면 상기 코일스프링(210)의 팽창력 때문에 상기 걸림부(200)가 상기 결합홈(22c) 속으로 진입하는 순간 걸림톱니(220)는 고정톱니(280)에 걸리면서 맞물리므로 제1,2본체부(21,22)는 자동적으로 가(假)고정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걸림부(200)와 대응되는 위치의 결합홈(22c)의 형상도 걸림부(200)가 형성된 씰링부재(21c)의 형상에 맞게 변형 형성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며, 또한 그 부분의 결합홈(22c)의 공간도 상기 설치홈(230)처럼 다른 부분 보다 폭이 커야 한다.
만약, 분리하고자 할 때는 노브(270)를 누른다. 그러면, 노브(270)에 체결되어 있던 로드(250)가 걸림부(200) 쪽으로 진입하면서 걸림부(200)를 밀게 되고, 걸림부(200)가 설치홈(230)의 공간 내에서 코일스프링(210)을 압축하면서 휨 변형되게 되며, 이때 걸림톱니(220)가 고정톱니(280)로부터 걸림상태가 해제되므로 분리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에 따른 접속대는 누전, 합선에 의한 화재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절연성이 뛰어나면서 또한 내화성이 우수한 내화액으로 코팅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에폭시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산화나트륨(Na2O) 10중량부, 이산화규소(SiO2) 12중량부, 프로필렌아세테이트 20중량부, 폴리에스터 로우 멜팅 화이버 15중량부, 폴리다이아조디페닐아민 5중량부,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5중량부, 지방족 폴리아민 5중량부, 폴리이미드수지 8중량부,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2중량부, 에르소르빈산나트륨 2중량부로 조성된 내화액을 접속대 전체에 일정두께로 코팅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에폭시수지는 접착기능을 높이도록 첨가되며, 상기 산화나트륨은 이산화규소와 반응하여 규산염을 형성함으로써 내화도를 높이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특히 산화나트륨은 산화방지기능도 수행하며, 이산화규소는 유리화반응을 통해 쇄상격자를 이루면서 난연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프로필렌아세테이트는 독성이 낮은 유기용매의 일종이고, 상기 폴리에스터 로우 멜팅 화이버는 0.5mm의 길이를 갖는 단섬유 형태로 사용되며 내구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폴리다이아조디페닐아민은 자외선 반응에 따른 부착력 증대를 위해 첨가되며, 상기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은 첨가되는 수지와 무기계 난연제의 커플링을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결합성, 접착성, 표면강도를 높이기 위해 첨가되고, 상기 지방족 폴리아민은 경화를 촉진하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폴리이미드수지는 대표적인 내열성 수지로서, 내열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는 활제로 첨가되고, 상기 에르소르빈산나트륨은 산화 방지를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내화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내화액을 코팅한 다음 건축물의 내장재료 및 구조의 불연성 테스트 방법인 KS F2271에 의해 검측한 결과, 난연 2등급을 만족시켰으므로 충분한 내화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는 절연케이스(20) 내부에서의 습기 발생억제를 위해 도 7과 같이 보열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열수단은 상기 제1본체부(21)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된 다수의 기공을 갖도록 PU(폴리우레탄)폼으로 제조된 보열시트(300)와, 상기 보열시트(300)의 상부에 재치되는 섬유망(31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열시트(300)는 다공질에 의해 흡습하고, 상기 섬유망(310)은 폴리에틸렌수지를 화이버로 만든 것을 직조한 섬유그물이며 여기에 대표적인 상변화물질(PCM)인 파라핀왁스를 함침시킨 형태로 마련된다.
그러면, 내부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섬유망(310)이 흡수하였다가 온도가 떨어지면 방출하는 방식으로 보열 및 온도 조절기능이 수행되는데 그 과정에서 케이스 내부의 수분이 자체적으로 흡수 건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섬유망(310) 위에 상기 절연고정판(10)이 안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 일부를 개량함으로써 고정안정성은 물론 수분발생 억제 기능까지 구현할 수 있어 더욱 더 안전한 접속대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10: 전선고정판 11: 제1바디부 12: 제2바디부
11a,12a: 금속선안치부 11b,12b: 마찰돌기 11c,12c: 가압편
20: 절연케이스 21: 제1본체부 22: 제2본체부
21a,22a: 수용부 21b,22b: 체결부 21c: 씰링부재
22c: 결합홈 30: 결합구 31: 결합부
32: 지지부 33: 만곡부 L,L': 배전선

Claims (1)

  1. ‘U’자형으로 구부린 배전선(L,L')의 금속선(w)이 각각 압입고정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U’자 형상의 홈을 갖는 금속선안치부(11a,12a)와, 금속선안치부(11a,12a)의‘U’자 곡면에 형성되어 금속선(w)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돌기(11b,12b)와, 금속선안치부(11a,12a)의 말단에 형성되어 배전선(L,L')의 피복(c)을 가압하는 가압편(11c,12c)을 갖추고서, 상호 맞대어져 배전선(L,L')의 금속선(w)을 감싸 고정하는 제1·2바디부(11,12)로 구성된 금속재질의 전선고정판(10)과; 제1·2바디부(11,12)가 각각 삽입되는 수용부(21a,22a)와, 외측으로 연장되고 가압편(11c,12c)이 내측으로 배치되며 외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반원형의 체결부(21b,22b)와, 가장자리 내측을 따라 돌출된 고무재질의 씰링부재(21c) 또는 씰링부재(21c)가 인입되는 결합홈(22c)을 갖추고서, 상호 맞대어져 씰링부재(21c)와 결합홈(22c)을 매개로 결합되는 제1·2본체부(21,22)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절연케이스(20)와; 체결부(21b,22b)와 상호 체결되는 결합부(31)와, 결합부(31)의 내측에 배치되어 체결부(21b,22b)의 내주면에 맞대어지는 지지부(32)와, 내부에 형성되며 가압편(11c,12c)이 오무려지도록 가이드하는 만곡부(33)를 갖추고서 배전선(L,L')에 각각 끼워지며 절연케이스(20)를 고정하는 결합구(30);를 포함하고;
    상기 배전선(L,L')에 감겨 압착하는 탄성링(100)과, 상기 탄성링(100)의 양단에 형성된 제1,2걸림후크(110,120)가 걸려 고정되는 제1,2고정구(130,1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2고정구(130,140)는 볼트 형태를 가지며, 상기 결합구(30)의 외주면에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체결되도록 상기 결합구(30)의 외주면에는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고정구홈(15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본체부(21,22)의 장변쪽 양측면 중앙에 가체결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가체결수단은 상기 씰링부재(21c)의 장변쪽 중앙부를 'ㄷ' 형상으로 절곡 형성한 걸림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200)의 돌출된 반대쪽은 홈을 형성하여 코일스프링(210)이 내장되며, 상기 걸림부(200)의 외측면에는 높이방향으로 2-3열의 걸림톱니(220)가 형성되고, 상기 제1본체부(21)의 상면중 상기 걸림부(200)가 위치될 부분에는 상기 씰링부재(21c)의 두께 보다 큰 폭의 설치홈(230)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200)가 폭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설치홈(230)의 일부에는 바깥쪽과 경계를 이룬 측벽을 관통하여 'ㅓ' 형상을 갖는 로드끼움공(24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로드끼움공(240)을 로드(250)가 관통한 뒤 바깥으로 노출된 로드(250) 상에는 탄성스프링(260)이 끼워지며, 로드(250)의 선단에는 'ㅏ' 형상의 노브(270)가 나사체결되어 탄성스프링(260)이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본체부(22)에 형성된 결합홈(22c)에는 상기 설치홈(230)과 대응되는 위치의 바깥쪽 내벽상에 상기 걸림톱니(220)와 맞물려 걸릴 수 있도록 반대형상의 고정톱니(280)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KR1020160023427A 2016-02-26 2016-02-26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KR101664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427A KR101664210B1 (ko) 2016-02-26 2016-02-26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427A KR101664210B1 (ko) 2016-02-26 2016-02-26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210B1 true KR101664210B1 (ko) 2016-10-10

Family

ID=57145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427A KR101664210B1 (ko) 2016-02-26 2016-02-26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2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740B1 (ko) 2017-02-27 2018-08-24 주식회사 미금이엔지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시스템
KR102017618B1 (ko) * 2019-02-27 2019-09-03 이현숙 내진 기능을 갖춘 지중 배전선로
KR102017617B1 (ko) * 2019-02-27 2019-09-03 이현숙 내진 기능을 갖춘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6906A (ja) * 2000-08-11 2002-02-22 Nichifu Co Ltd コネクタの防水カバー
KR101185178B1 (ko) * 2012-06-12 2012-09-24 율삼엔지니어링(주) 매설용 지중송전 커넥터
KR101522011B1 (ko) * 2014-12-18 2015-05-22 (주)성도엔지니어링기술사건축사사무소 전기안전사고 방지형 지중 배전선로 접속구조물
KR101523286B1 (ko) 2014-12-17 2015-05-28 (주)진원엔지니어링 지중 배전선로의 단선 및 합선방지를 위한 접속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6906A (ja) * 2000-08-11 2002-02-22 Nichifu Co Ltd コネクタの防水カバー
KR101185178B1 (ko) * 2012-06-12 2012-09-24 율삼엔지니어링(주) 매설용 지중송전 커넥터
KR101523286B1 (ko) 2014-12-17 2015-05-28 (주)진원엔지니어링 지중 배전선로의 단선 및 합선방지를 위한 접속대
KR101522011B1 (ko) * 2014-12-18 2015-05-22 (주)성도엔지니어링기술사건축사사무소 전기안전사고 방지형 지중 배전선로 접속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740B1 (ko) 2017-02-27 2018-08-24 주식회사 미금이엔지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시스템
KR102017618B1 (ko) * 2019-02-27 2019-09-03 이현숙 내진 기능을 갖춘 지중 배전선로
KR102017617B1 (ko) * 2019-02-27 2019-09-03 이현숙 내진 기능을 갖춘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286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단선 및 합선방지를 위한 접속대
KR101664210B1 (ko)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KR101180921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1522011B1 (ko) 전기안전사고 방지형 지중 배전선로 접속구조물
KR100754765B1 (ko) 누전 방지용 전선 연결캡
KR101733111B1 (ko)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JP5933697B2 (ja) 基準状態における接触バネの位置決めするための保持手段を備えた電気接続デバイス
CN209980817U (zh) 阻水电缆
KR101779814B1 (ko)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
CN113036494A (zh) 一种大电流过流插拔电连接器
CN216412740U (zh) 节能型中强度铝合金导体架空绝缘电缆
CN104682090B (zh) 具有线保持管的电连接器
KR101736498B1 (ko) 해저케이블 접속장치
KR200391767Y1 (ko) 클립과 밴드 케이블의 결속구조
JP2022151797A (ja) 電気絶縁タッチ保護デバイスおよびこのようなタッチ保護デバイスを備える接続アセンブリ
KR100839614B1 (ko) 접지선이 내장된 전선보호관
CN202340105U (zh) 四芯耐张线夹
KR102017617B1 (ko) 내진 기능을 갖춘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JP5394581B2 (ja) 接触装置
KR101232338B1 (ko)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
CN211183216U (zh) 一种带有防脱落机构的汽车线束固定橡胶套
KR102341289B1 (ko)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케이블 고정장치
US20180342837A1 (en) Plug Holder to Safeguard Applicances
KR200484572Y1 (ko)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된 콘센트용 접지단자
CN205406165U (zh) 一种安装便捷的铝合金电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