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617B1 - 내진 기능을 갖춘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 Google Patents

내진 기능을 갖춘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617B1
KR102017617B1 KR1020190023331A KR20190023331A KR102017617B1 KR 102017617 B1 KR102017617 B1 KR 102017617B1 KR 1020190023331 A KR1020190023331 A KR 1020190023331A KR 20190023331 A KR20190023331 A KR 20190023331A KR 102017617 B1 KR102017617 B1 KR 102017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elastic
insulating case
seismic
distribu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숙
Original Assignee
이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숙 filed Critical 이현숙
Priority to KR1020190023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16B2/24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 F16B2/241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of sheet metal
    • F16B2/245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of sheet metal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246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of sheet metal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the clip being released by tilting the clip or a part thereof to a position in which the axis of the openings surrounding the gripped elements is parallel to, or coincides with, the axis of the gripp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 기능을 갖춘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선의 단선문제를 해소하고, 외부로부터의 침투수 유입을 차단하여 합선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특히, 지진에 대한 내진 기능을 강화시킴으로써 단선 및 합선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내진 기능을 갖춘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진 기능을 갖춘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connector with seismic function}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내진 기능을 갖춘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선의 단선문제를 해소하고, 외부로부터의 침투수 유입을 차단하여 합선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특히, 지진에 대한 내진 기능을 강화시킴으로써 단선 및 합선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내진 기능을 갖춘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 배전선은 지중에 매설된 지중관로의 내부에 설치되며, 지중관로의 내부에 구비된 절연대에 연결되어 연장되거나 분기되어 각 건물 또는 주택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배전선은 지중에 매설되기 위해서 지중배전선 보호관 내에서 배전선 간의 접속을 이루게 되는데, 배전선 간의 접속시 작업자의 실수나 혹은 외부의 압력 등에 의해서 배전선이 당겨지게 되면 접속대에 고정된 배전선이 외부로 분리되면서 단선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5178호(2012.09.17.), '매설용 지중송전 커넥터'가 있으며, 여기에는 각 전선을 전기적으로 안전하게 상호 연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 내측으로 인입된 전선의 피복을 돌기가 파고들어 도전체에 접촉해야 하므로 도전체의 외면이 손상되기 쉽고, 피복 역시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침투수가 유입될 경우 이를 차단할 만한 수단이 전혀 없어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의 위험이 상당히 높은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지진 등의 자연재해로 인해 전선이 파단되거나 합선되는 등의 문제에 대해서는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이에, 하기한 [선행기술문헌]에서와 같은 지중 배전선로의 내진 장치가 제안되어 있기는 하지만,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아직도 미진한 실정이어서 보완해야 할 것들이 많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815685호(2017.12.29.) '지중 배전선로의 내진 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배전선의 단선문제를 해소하고, 외부로부터의 침투수 유입을 차단하여 합선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특히, 지진에 대한 내진 기능을 강화시킴으로써 단선 및 합선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내진 기능을 갖춘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배전선(L,L')을 고정하면서 서로 연결시키는 금속재질의 전선고정판(10)과, 상기 전선고정판(10)을 내장하는 케이스인 절연케이스(20)와, 상기 절연케이스(20)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면서 배전선(L,L')이 관통되는 결합구(30)를 포함하는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에 있어서;
상기 배전선(L,L')에 감겨 압착하는 탄성링(100)과, 상기 탄성링(100)의 양단에 형성된 제1,2걸림후크(110,120)가 걸려 고정되는 제1,2고정구(130,1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2고정구(130,140)는 볼트 형태를 가지며, 상기 결합구(30)의 외주면에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체결되도록 상기 결합구(30)의 외주면에는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고정구홈(15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절연케이스(20) 내부에서의 습기 발생억제하도록 보열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보열수단은 상기 절연케이스(20)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되며 다수의 기공을 갖도록 폴리우레탄폼으로 제조된 보열시트(300)와, 상기 보열시트(300)의 상부에 상변화물질인 파라핀왁스가 함침된 섬유망(310)이 재치되어 보열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절연케이스(20)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 혹은 스크류 고정되는 내진블럭(4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내진블럭(400)의 상부는 상기 절연케이스(20)를 포함한 채 블럭커버(500)에 의해 씌워져 밀폐되며;
상기 내진블럭(400)의 상면에는 일정깊이 요입된 안치홈(410)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홈(410)에는 상기 절연케이스(20)의 하부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안치홈(410)의 중앙부에는 작동홈(420)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절연케이스(20)의 하단면 중심에는 'T'형 단면을 갖는 탄성봉(430)이 고정되며, 상기 작동홈(420)의 바닥면 중앙에는 내부가 관통된 가이드환(440)이 견고히 고정되고, 상기 탄성봉(430)의 길이 일부에는 걸림구(432)가 일체로 돌출되며, 상기 탄성봉(430)은 상기 가이드환(440)을 관통하여 그 내부에 끼워진 채 배치되되 하단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탄성봉(430)에는 스프링(450)이 끼워지는데, 스프링(450)의 상단은 상기 걸림구(432)에 걸려 고정되며, 스프링(450)의 하단은 상기 가이드환(440)의 상단 둘레에 걸려 고정되며;
상기 절연케이스(20)의 둘레 4면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진부재(600)가 설치되며;
상기 내진부재(600)는 상부수평부(610)와 하부수평부(620)가 평행하게 배열되어 그 사이에 수직탄성변형공간부(630)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하부수평부(610,620)의 후단은 유형판부(U)가 연결되어 수평탄성변형공간부(640)를 만들고, 상기 유형판부(U)는 양단이 상기 상부,하부수평부(610,620)의 높이차 만큼 단차지게 구성되며, 상기 하부수평부(620)의 단부에는 수직판부(650)의 상단이 수직하게 연결 고정되고, 상기 수직판부(650)의 하단에는 수평연장판부(660)가 연결 고정되며, 수평연장판부(660)의 단부에는 상기 유형판부(U)를 향해 경사연장된 탄성완충부(67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하부수평부(610,620)에는 다수의 슬릿(SL)이 천공형성되며, 상기 수직판부(650)에는 절연케이스(20)에 볼트고정시키기 위한 케이스볼트공(H1)이 형성되고, 상기 유형판부(U)의 외측면에는 상기 내진블럭(400)의 안치홈(410) 내벽면에 볼트고정시키기 위한 블럭볼트공(H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하부수평부(610,620) 사이의 공간인 수평탄성변형공간부(640)에는 탄성완충스프링(SP1)이 다수개 더 설치되며; 상기 탄성완충부(670)와 수직판부(650) 사이에는 경사완충스프링(SP2)이 다수개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기능을 갖춘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선의 단선문제를 해소하고, 외부로부터의 침투수 유입을 차단하여 합선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특히, 지진에 대한 내진 기능을 강화시킴으로써 단선 및 합선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접속대의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접속대를 분해하여 보인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접속대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접속대를 보인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접속대를 구성하는 고정부재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접속대를 구성하는 가체결수단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접속대를 구성하는 보열수단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접속대를 구성하는 내진구조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내진부재를 확대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다른 변형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속대는, 전선고정판(10)과 절연케이스(20) 및 결합구(3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지중 배전선(L,L')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지중 배전선(L,L')에 장력이 발생하더라도 단선되는 문제를 최소화하고, 외부로부터의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하여 합선을 방지토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선고정판(10)은 제1바디부(11)와 제2바디부(12)로 분할된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재질의 블록으로서, 압입고정된‘U’자형의 배전선(L,L')을 감싸 고정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1·2바디부(11,12)의 상호 맞대어지는 면에는‘U’자 형태로 구부린 배전선(L,L')이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U’자 형상으로 홈을 낸 금속선안치부(11a,12a)가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1바디부(11)에는 한 쌍의 금속선안치부(11a)가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되,‘U’자형으로 구부린 배전선(L,L')의 금속선(w)이 각각 압입고정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바디부(12)의 금속선안치부(12a) 역시 제1바디부(11)의 금속선안치부(11a)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바디부(11) 위로 제2바디부(12)를 얹혀준 상태에서 제2바디부(12)를 제1바디부(11)를 향해 두드려 가압하게 되면 금속선안치부(11a)에 압입고정된 금속선(w)의 노출된 부분이 제2바디부(12)의 금속선안치부(12a)로 압입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U’자 형태로 구부린 배전선(L,L')의 금속선(w)을‘U’자 형상의 금속선안치부(11a,12a)에 압입하여 고정하므로 배전선(L,L')에 인장력이 가해지면 가해질수록 더욱더 견고하게 배전선(L,L')이 고정되기 때문에 금속선(w)이 외부로 빠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선의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으며, 특히 종래와 같이 맞대어 연결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큰 고정성을 발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금속선(w)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선안치부(11a,12a)의‘U’자 곡면에는 삼각형상의 마찰돌기(11b,12b)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찰돌기(11b,12b)는 배전선(L,L')의 금속선(w) 외면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금속선(w)이 외부로 빠지려는 것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배전선(L,L')에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U’자 형상의 금속선안치부(11a,12a)와 마찰돌기(11b,12b)로 인해 더욱더 큰 고정성을 발현할 수 있으므로 배전선(L,L')이 외부로 빠져 단선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2바디부(11,12)의 외면, 좀더 명확하게는‘U’자 형상의 금속선안치부(11a,12a)의 말단부에는 반원형상의 가압편(11c,12c)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가압편(11c,12c)은 두께가 얇은 편으로서, 본 발명의 경우 결합구(30)의 지지부(32)를 따라 이동되어 만곡부(33)에 의해 내측으로 구부러지면서 배전선(L,L')의 피복(c)을 강하게 가압(압박)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배전선(L,L')의 금속선(w)은 금속선안치부(11a,12a)와 마찰돌기(11b,12b)에 의해 고정되고, 피복(c)은 가압편(11c,12c)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배전선(L,L')에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배전선(L,L')이 외부도 인출되어 단선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가압편(11c,12c)의 말단부는 둥글게 되어 있어 피복(c)을 강하게 가압(압박)하더라도 피복(c)이 손상되지 않아 매우 유용하다.
한편, 상기 절연케이스(20)는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로 분할되어 상호 결합되는 사각형상의 취함으로써 전선고정판(10)을 감싸 외력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하여 합선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상기 제1·2본체부(21,22)는 대략 사각형태를 이루되, 내부에는 제1·2바디부(11,12)가 삽입되어 안치될 수 있도록 수용부(21a,22a)가 형성되고, 외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되고 가압편(11c)이 내측으로 배치되며 외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반원형의 체결부(21b,22b)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를 상호 맞대게 되면 반원형의 체결부(21b,22b)는 하나의 원통을 이루게 되며, 이와 같이 하나의 원통을 이루는 체결부(21b,22b)의 외주면으로 결합구(30)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가 상호 맞대어지는 면에는 각각 실링부재(21c)와 결합홈(22c)이 형성되며,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는 실링부재(21c)와 결합홈(22c)을 매개로 상호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재(21c)는 제1본체부(21)의 수용부(21a) 둘레를 따라 돌출된 고무재질의 돌기로서, 상기 제2본체부(22)의 결합홈(22c)에 압입되어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 사이의 경계부분을 밀폐(실링)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 사이의 경계가 밀폐(실링)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전기합선과 같은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결합구(30)는 절연케이스(20)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로서, 배전선(L,L')에 각각 끼워져 제1·2본체부(21,22)의 체결부(21b,22b)에 결합되어 제1·2본체부(21,22)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결합구(30)는 전체적으로 관 형태를 이루되, 일측에는 내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결합부(31)가 형성되고, 결합부(31)의 내측에는 상호 이격되어 체결부(21b,22b)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지지부(32)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지지부(32)의 일측에 형성되는 만곡부(33)가 일체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32)는 체결부(21b,22b)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체결부(21b,22b)가 지지하는 기능을 하며, 만곡부(33)는 지지부(32)를 따라 이동하는 가압편(11c)이 구부러지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구(30)를 매개로 절연케이스(20)를 고정하므로 별도의 체결수단(예를 들면, 나사 등) 없이도 용이하게 절연케이스(20)를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및 분해가 상당히 신속해지면서도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전선(L,L')에 결합구(30)를 각각 끼워 준 상태에서 배전선(L,L')의 금속선(w)을‘U’자 형상으로 구부려 준 다음 이를 전선고정판(10)을 구성하는 제1바디부(11)의‘U’자 형상의 금속선안치부(11a) 상에 배치하고, 금속선(w)을 두드려‘U’자 형상의 금속선안치부(11a)의 내측으로 압입고정되도록 하며, 반대편에 배치된 금속선(w) 역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압입고정시켜 준다.
그런 다음, 전선고정판(10)을 구성하는 제2바디부(12)를 제1바디부(11)의 상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제2바디부(12)를 두드려주게 되면 제1바디부(11)의 외부로 노출된 금속선(w)이 제2바디부(12)의‘U’자 형상의 금속선안치부(12a)로 압입되면서 고정되며, 이를 매개로 제1바디부(11)와 제2바디부(12)가 상호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전선고정판(10)의 조립이 완료되면, 절연케이스(20)를 구성하는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를 이용하여 전선고정판(10)을 감싸 주며, 이때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는 실링부재(21c)와 결합홈(22c)을 매개로 상호 결합되며, 제1·2본체부(21,22)의 경계부분은 실링부재(21c)와 결합홈(22c)에 의해 차폐되며, 이로 인해 외부로부터의 침투수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절연케이스(20)의 조립이 완료되면, 배전선(L,L')에 각각 끼워진 결합구(30)를 이용하여 절연케이스(20)를 고정하게 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결합구(30)의 결합부(31)를 절연케이스(20)의 체결부(21b,22b)에 배치한 상태에서 결합구(30)를 조이게 되면, 결합부(3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탭과 체결부(21b,22b)의 외주면 형성된 나사탭이 상호 체결되고, 이때 결합부(31)의 내측에 위치하는 지지부(32)의 외주면이 체결부(21b,22b)의 내주면을 받쳐 지지하므로 체결과정에 체결부(21b,22b)가 틀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구(30)가 체결되는 과정에 가압편(11c,12c)은 지지부(32)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되다가 지지부(32)의 일측에 형성된 만곡부(33)에 의해 하방향으로 휘어지면서 배전선(L,L')의 피복(c)을 강하게 가압(압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배전선(L,L')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되므로 배전선(L,L')에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배전선(L,L')이 외부로 인출되어 단선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배전선(L,L')의 분리 이탈을 더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함으로써 안정적인 접속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배전선(L,L')을 구성하는 금속선(w)은 주로 전기전도도를 높이기 위해 주로 동(Cu)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연성이 있어 'U' 형상으로 구부려 놓는다고 하더라도 장력이 크게 작용하여 당기게 되면 구부러진 부분이 펴지면서 분리이탈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로서 고정부재는 도 5의 예시와 같이, 배전선(L,L')에 감겨 압착하는 탄성링(100)과, 상기 탄성링(100)의 양단에 형성된 제1,2걸림후크(110,120)가 걸려 고정되는 제1,2고정구(130,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링(100)은 양단인 제1,2걸림후크(110,120)를 잡고 엇갈리게 당기게 되면 반경이 줄어들면서 배전선(L,L')의 피복을 압착하면서 꽉 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2고정구(130,140)는 볼트 형태를 가지며, 상기 결합구(30)의 외주면에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체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구(30)의 외주면에는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고정구홈(150)이 각각 형성되고, 고정구홈(150)의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구(30)을 체결한 다음 결합구(30)를 지난 지점의 배전선(L,L') 피복(c)에 상기 탄성링(100)을 감고, 제1걸림후크(110)를 제1고정구(130)에 먼저 걸어 고정한 다음 제2걸림후크(120)을 강하게 당겨 제2고정구(140)에 걸어 고정하게 되면 탄성링(100)의 반경이 줄어 들면서 피복(c)을 강하게 압착하게 되므로 강한 장력이 작용하더라도 배전선(L,L')이 빠지거나 하지 못하고 견고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고정안정성이 증대된다.
이에 더하여, 제1,2본체부(21,22)는 상호 조립시 씰링부재(21c)가 결합홈(22c)에 끼워져야 하고, 그 다음에 결합구(30)를 나사결합해야 하므로 결합구(30)를 나사결합하기 전까지 제1,2본체부(21,22)가 안정적으로 가고정될 필요가 있다.
즉, 씰링부재(21c)를 결합홈(22c)에 끼워 맞춘 다음에는 어느 정도 압입된 상태이므로 제1,2본체부(21,22)가 서로 벌어지지 않지만, 불측의 원인으로 충격을 받을 경우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그런 경우가 생긴다면 내장된 배전선(L,L')이 전선고정판(10)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서로 합선될 우려도 있기 때문에 만일의 경우까지 완벽하게 대비하기 위해 가체결수단을 더 구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또다른 실시예로 도 6에서와 같이, 제1,2본체부(21,22)의 장변쪽 양측면 중앙에 가체결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가체결수단은 상기 씰링부재(21c)의 장변쪽 중앙부를 'ㄷ' 형상으로 절곡 형성한 걸림부(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200)의 돌출된 반대쪽은 홈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홈에는 코일스프링(210)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200)의 외측면에는 높이방향으로 2-3열의 걸림톱니(220)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본체부(21)의 상면중 상기 걸림부(200)가 위치될 부분에는 상기 씰링부재(21c)의 두께 보다 큰 폭의 설치홈(230)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200)가 폭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상기 씰링부재(21c) 자체가 어느 정도 강성을 갖지만 근본적으로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된 플렉시블한 소재이기 때문에 상기 걸림부(200)를 상기 설치홈(230)의 바깥쪽에서 밀게 되면 휨변형되면서 밀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설치홈(230)의 일부에는 바깥쪽과 경계를 이룬 측벽, 다시 말해 제1본체부(21)의 벽을 관통하여 대략 'ㅓ' 형상을 갖는 로드끼움공(240)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로드끼움공(240)을 'ㅓ' 형상으로 한 이유는 로드(250)도 'ㅓ' 형상을 갖도록 하여 선단만 끼워져 바깥으로 노출되고 후단은 걸려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로드(250)의 노출된 부분에는 탄성스프링(260)이 끼워지고, 로드(250)의 선단에는 'ㅏ' 형상의 노브(270)가 나사체결되어 탄성스프링(26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준다.
따라서, 상기 탄성스프링(260)은 상기 로드(250)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단은 제1본체부(21)의 장변측 외벽 중앙에 걸림되고, 타단은 상기 노브(270)에 걸림되어 상기 노브(270)와 로드(250) 조립체를 항상 바깥방향으로 밀도록 동작한다.
아울러, 상기 제2본체부(22)에 형성된 결합홈(22c)에는 상기 설치홈(230)과 대응되는 위치의 바깥쪽 내벽상에 상기 걸림톱니(220)와 맞물려 걸릴 수 있도록 반대형상의 고정톱니(280)가 돌출된다.
따라서, 제1,2본체부(21,22)를 서로 끼워 맞춰 조립하게 되면 상기 코일스프링(210)의 팽창력 때문에 상기 걸림부(200)가 상기 결합홈(22c) 속으로 진입하는 순간 걸림톱니(220)는 고정톱니(280)에 걸리면서 맞물리므로 제1,2본체부(21,22)는 자동적으로 가(假)고정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걸림부(200)와 대응되는 위치의 결합홈(22c)의 형상도 걸림부(200)가 형성된 씰링부재(21c)의 형상에 맞게 변형 형성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며, 또한 그 부분의 결합홈(22c)의 공간도 상기 설치홈(230)처럼 다른 부분 보다 폭이 커야 한다.
만약, 분리하고자 할 때는 노브(270)를 누른다. 그러면, 노브(270)에 체결되어 있던 로드(250)가 걸림부(200) 쪽으로 진입하면서 걸림부(200)를 밀게 되고, 걸림부(200)가 설치홈(230)의 공간 내에서 코일스프링(210)을 압축하면서 휨 변형되게 되며, 이때 걸림톱니(220)가 고정톱니(280)로부터 걸림상태가 해제되므로 분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절연케이스(20) 내부에서의 습기 발생억제를 위해 도 7과 같이 보열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열수단은 상기 제1본체부(21)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된 다수의 기공을 갖도록 PU(폴리우레탄)폼으로 제조된 보열시트(300)와, 상기 보열시트(300)의 상부에 재치되는 섬유망(31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열시트(300)는 다공질에 의해 흡습하고, 상기 섬유망(310)은 폴리에틸렌수지를 화이버로 만든 것을 직조한 섬유그물이며 여기에 대표적인 상변화물질(PCM)인 파라핀왁스를 함침시킨 형태로 마련된다.
그러면, 내부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섬유망(310)이 흡수하였다가 온도가 떨어지면 방출하는 방식으로 보열 및 온도 조절기능이 수행되는데 그 과정에서 케이스 내부의 수분이 자체적으로 흡수 건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섬유망(310) 위에 상기 절연고정판(10)이 안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 일부를 개량함으로써 고정안정성은 물론 수분발생 억제 기능까지 구현할 수 있어 더욱 더 안전한 접속대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8 및 도 9의 예시와 같은 내진기능을 갖출 수 있는 구조를 더 포함한다.
도 8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절연케이스(20)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 혹은 스크류 고정되는 내진블럭(400)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내진블럭(400)의 상부는 블럭커버(500)에 의해 씌워져 밀폐된다.
때문에, 상기 절연케이스(20)는 블럭커버(500)에 의해 밀폐된 상태로 내장되며, 블럭커버(500)는 상기 내진블럭(400)의 상면에 볼트 혹은 나사 고정되고, 상기 절연케이스(20)로 연결되는 배전선(L,L')의 배선을 위해 상기 블럭커버(500)의 양측면에는 배전선(L,L')이 통과할 수 있는 홀 혹은 홈이 형성되어 배전선(L,L')을 배선하는데 전혀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내진블럭(400)은 상면에 일정깊이 요입된 안치홈(410)이 형성되는데, 상기 안치홈(410)에는 상기 절연케이스(20)의 하부 일부가 삽입되며, 특히 안치홈(410)은 상기 절연케이스(20) 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것은 지진 등의 영향으로 외력이 작용할 때 상기 절연케이스(20)가 유동완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안치홈(410)의 중앙부에는 일정깊이 더 요입된 일정크기의 공간을 갖는 작동홈(420)이 더 형성된다.
상기 작동홈(420)은 상기 절연케이스(20)를 실질적으로 내진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절연케이스(20)의 하단면 중심에는 'T'형 단면을 갖는 탄성봉(430)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탄성봉(430)은 직경이 1cm 크기를 갖고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기 때문에 탄성 변형이 가능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홈(420)의 바닥면 중앙에는 내부가 관통된 가이드환(440)이 견고히 고정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봉(430)의 길이 일부에는 걸림구(432)가 일체로 돌출되며, 상기 탄성봉(430)은 상기 가이드환(440)을 관통하여 그 내부에 끼워진 채 배치되되, 하단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아울러, 상기 탄성봉(430)에는 스프링(450)이 끼워지는데, 스프링(450)의 상단은 상기 걸림구(432)에 걸려 고정되고, 스프링(450)의 하단은 상기 가이드환(440)의 상단 둘레에 걸려 고정된다.
때문에, 동서남북 어느 방향에서라도 지진파가 도달하여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외력이 작용되는 방향으로 탄성봉(430)이 자유롭게 탄성 변형되면서 완충하게 되며, 동시에 상하로 발생되는 유동은 상기 스프링(450)이 붙잡아 완충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탄성봉(430)은 상기 가이드환(440) 속에서 빠져나오지 않고 유격범위 내에서 탄성유동하게 된다.
특히, 탄성봉(430)의 외력에 의한 휨 변형은 그 하단이 가이드환(440) 속에 갇힌 상태이므로 그것이 중심이 되어 휨 변형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이를 기점으로 다시 복귀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절연케이스(20)의 둘레 4면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진부재(600)가 설치된다.
상기 내진부재(600)는 도 9의 예시와 같이, 상부수평부(610)와 하부수평부(620)가 평행하게 배열되어 그 사이에 수직탄성변형공간부(630)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부수평부(610,620)의 후단은 유형판부(U Type PlatePart)(U)가 연결되어 수평탄성변형공간부(640)를 만든다.
그러면, 상기 수직탄성변형공간부(630)와 상기 수평탄성변형공간부(640)는 서로 연통되는 하나의 채널이 된다.
이때, 상기 유형판부(U)는 양단이 상기 상부,하부수평부(610,620)의 높이차만큼 단차지게 구성되는데, 이는 상기 상부,하부수평부(610,620)에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기 위해서는 당연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하부수평부(620)의 단부에는 수직판부(650)의 상단이 수직하게 연결 고정되고, 상기 수직판부(650)의 하단에는 수평연장판부(660)가 연결 고정되며, 수평연장판부(660)의 단부에는 상기 유형판부(U)를 향해 경사연장된 탄성완충부(670)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탄성완충부(670)는 분산지지를 위해 두 개가 서로 거리를 두고 떨어져 분리된 포크 형태로 구비되어 탄성완충 기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부수평부(610,620)에는 다수의 슬릿(SL)이 천공형성되어 탄성완충 변형력을 좋게 하며, 상기 수직판부(650)에는 절연케이스(20)에 볼트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스볼트공(H1)이 형성되고, 상기 유형판부(U)의 외측면에는 상기 내진블럭(400)의 안치홈(410) 내벽면에 볼트고정시키기 위한 블럭볼트공(H2)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지진과 같은 외력이 작용했을 때 작용되는 면에 대해 이들 판부 혹은 수평부, 수직부들이 탄성변형되면서 흡수완충시켜 외력으로부터 절연케이스(20)를 보호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진구조는 설치하기 쉽고, 탄성 흡수완충 기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특히, 지중에 매설되는 배전선로의 경우 매우 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때, 본 발명은 도 10과 같이 또다른 변형예를 가질 수 있다.
즉, 상부,하부수평부(610,620) 사이의 공간인 수평탄성변형공간부(640)에 탄성완충스프링(SP1)을 다수 더 설치할 수 있다.
이것은 더욱 더 안정적인 탄성변형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과도한 변형으로 파단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함이며, 탄성완충스프링(SP1)의 일단은 상부수평부(610)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부수평부(620)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탄성완충부(670)와 수직판부(650) 사이에는 경사완충스프링(SP2)가 개재되어 탄성완충부(670)의 탄성변형과 거동을 더욱 더 원활하게 안내하면서 파단예방 기능을 함께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더 완벽한 탄성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10: 전선고정판 11: 제1바디부 12: 제2바디부
11a,12a: 금속선안치부 11b,12b: 마찰돌기 11c,12c: 가압편
20: 절연케이스 21: 제1본체부 22: 제2본체부
21a,22a: 수용부 21b,22b: 체결부 21c: 실링부재
22c: 결합홈 30: 결합구 31: 결합부
32: 지지부 33: 만곡부 L,L': 배전선

Claims (1)

  1. 배전선(L,L')을 고정하면서 서로 연결시키는 금속재질의 전선고정판(10)과, 상기 전선고정판(10)을 내장하는 케이스인 절연케이스(20)와, 상기 절연케이스(20)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면서 배전선(L,L')이 관통되는 결합구(30)를 포함하는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에 있어서;
    상기 배전선(L,L')에 감겨 압착하는 탄성링(100)과, 상기 탄성링(100)의 양단에 형성된 제1,2걸림후크(110,120)가 걸려 고정되는 제1,2고정구(130,1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2고정구(130,140)는 볼트 형태를 가지며, 상기 결합구(30)의 외주면에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체결되도록 상기 결합구(30)의 외주면에는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고정구홈(15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절연케이스(20) 내부에서의 습기 발생억제하도록 보열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보열수단은 상기 절연케이스(20)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되며 다수의 기공을 갖도록 폴리우레탄폼으로 제조된 보열시트(300)와, 상기 보열시트(300)의 상부에 상변화물질인 파라핀왁스가 함침된 섬유망(310)이 재치되어 보열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절연케이스(20)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 혹은 스크류 고정되는 내진블럭(4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내진블럭(400)의 상부는 상기 절연케이스(20)를 포함한 채 블럭커버(500)에 의해 씌워져 밀폐되며;
    상기 내진블럭(400)의 상면에는 일정깊이 요입된 안치홈(410)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홈(410)에는 상기 절연케이스(20)의 하부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안치홈(410)의 중앙부에는 작동홈(420)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절연케이스(20)의 하단면 중심에는 'T'형 단면을 갖는 탄성봉(430)이 고정되며, 상기 작동홈(420)의 바닥면 중앙에는 내부가 관통된 가이드환(440)이 견고히 고정되고, 상기 탄성봉(430)의 길이 일부에는 걸림구(432)가 일체로 돌출되며, 상기 탄성봉(430)은 상기 가이드환(440)을 관통하여 그 내부에 끼워진 채 배치되되 하단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탄성봉(430)에는 스프링(450)이 끼워지는데, 스프링(450)의 상단은 상기 걸림구(432)에 걸려 고정되며, 스프링(450)의 하단은 상기 가이드환(440)의 상단 둘레에 걸려 고정되며;
    상기 절연케이스(20)의 둘레 4면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진부재(600)가 설치되며;
    상기 내진부재(600)는 상부수평부(610)와 하부수평부(620)가 평행하게 배열되어 그 사이에 수직탄성변형공간부(630)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하부수평부(610,620)의 후단은 유형판부(U)가 연결되어 수평탄성변형공간부(640)를 만들고, 상기 유형판부(U)는 양단이 상기 상부,하부수평부(610,620)의 높이차 만큼 단차지게 구성되며, 상기 하부수평부(620)의 단부에는 수직판부(650)의 상단이 수직하게 연결 고정되고, 상기 수직판부(650)의 하단에는 수평연장판부(660)가 연결 고정되며, 수평연장판부(660)의 단부에는 상기 유형판부(U)를 향해 경사연장된 탄성완충부(67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하부수평부(610,620)에는 다수의 슬릿(SL)이 천공형성되며, 상기 수직판부(650)에는 절연케이스(20)에 볼트고정시키기 위한 케이스볼트공(H1)이 형성되고, 상기 유형판부(U)의 외측면에는 상기 내진블럭(400)의 안치홈(410) 내벽면에 볼트고정시키기 위한 블럭볼트공(H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하부수평부(610,620) 사이의 공간인 수평탄성변형공간부(640)에는 탄성완충스프링(SP1)이 다수개 더 설치되며; 상기 탄성완충부(670)와 수직판부(650) 사이에는 경사완충스프링(SP2)이 다수개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기능을 갖춘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KR1020190023331A 2019-02-27 2019-02-27 내진 기능을 갖춘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KR102017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331A KR102017617B1 (ko) 2019-02-27 2019-02-27 내진 기능을 갖춘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331A KR102017617B1 (ko) 2019-02-27 2019-02-27 내진 기능을 갖춘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617B1 true KR102017617B1 (ko) 2019-09-03

Family

ID=67951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331A KR102017617B1 (ko) 2019-02-27 2019-02-27 내진 기능을 갖춘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61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213B1 (ko) * 2008-03-24 2008-09-05 상진기술엔지니어링(주) 배전선로의 지중전선 연결용 배전커넥터
KR101590935B1 (ko) * 2015-09-23 2016-02-02 (주)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 아울렛
KR101624550B1 (ko) * 2014-12-30 2016-05-27 주식회사 삼정일렉텍 계전기 제어반의 내진장치
KR101664210B1 (ko) * 2016-02-26 2016-10-10 은세기술 주식회사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KR20170025887A (ko) * 2015-08-31 2017-03-08 금강이앤씨(주) 내진용 배관 파이프 행거
KR101815685B1 (ko) 2017-09-29 2018-01-05 주식회사 우인이엔지 지중 배전선로의 내진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213B1 (ko) * 2008-03-24 2008-09-05 상진기술엔지니어링(주) 배전선로의 지중전선 연결용 배전커넥터
KR101624550B1 (ko) * 2014-12-30 2016-05-27 주식회사 삼정일렉텍 계전기 제어반의 내진장치
KR20170025887A (ko) * 2015-08-31 2017-03-08 금강이앤씨(주) 내진용 배관 파이프 행거
KR101590935B1 (ko) * 2015-09-23 2016-02-02 (주)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 아울렛
KR101664210B1 (ko) * 2016-02-26 2016-10-10 은세기술 주식회사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KR101815685B1 (ko) 2017-09-29 2018-01-05 주식회사 우인이엔지 지중 배전선로의 내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5784A (en) Method and means for absorbing movement in pipelines
KR200453855Y1 (ko) 케이블 행거
KR101700919B1 (ko) 전주에 케이블을 인장하여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고정 클램프
KR102302289B1 (ko) 와이어하네스 차체 고정클립
KR101145954B1 (ko) 전원 배선용 전선관의 접속 커넥터
KR101202418B1 (ko)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KR102017617B1 (ko) 내진 기능을 갖춘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KR101664210B1 (ko)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KR102035037B1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지지장치
KR102017618B1 (ko) 내진 기능을 갖춘 지중 배전선로
US3154279A (en) Cable hanger
EP1975491A1 (en) Snap-acting clip, particularly for supporting conduits for the distribution of electricity
KR100951147B1 (ko) 특고압 지중전선 배전대
KR20090129956A (ko)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US3211829A (en) Deadend connector with anchor member
US8097804B1 (en) Cable protection system
KR100923421B1 (ko) 어스앵커의 강연선 고정구용 중심유지구
KR200266438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구조
KR20110105067A (ko) 해저케이블 접속장치
WO2019202538A1 (en) Cable gland device
KR20090130819A (ko)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JP4862174B2 (ja) 光ドロップ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200487550Y1 (ko) 내진용 유 클램프
KR102422314B1 (ko) 건축 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
KR102273938B1 (ko) 볼트 체결형 내진행거 및 그의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