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418B1 -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 Google Patents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418B1
KR101202418B1 KR1020120092548A KR20120092548A KR101202418B1 KR 101202418 B1 KR101202418 B1 KR 101202418B1 KR 1020120092548 A KR1020120092548 A KR 1020120092548A KR 20120092548 A KR20120092548 A KR 20120092548A KR 101202418 B1 KR101202418 B1 KR 101202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ixing
socket
groove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
나경원
Original Assignee
김성
(주)리튼브릿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 (주)리튼브릿지 filed Critical 김성
Priority to KR1020120092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4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4Cable-stayed bridges

Abstract

정착된 케이블의 정착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케이블의 교체 또한 용이한 가능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한 케이블 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정착장치는 서로 이격스프링에 의하여 서로 이격되어 연결된 블록으로서 케이블이 서로 이격된 공간을 관통하여 인장방향으로 이동 또는 정착될 수 있도록 내측면들에는 만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만곡부에 정착홈부가 형성된 한 쌍의 정착하우징을 포함하는 소켓정착부; 상기 소켓정착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소켓정착부 수용홈이 내부에 형성되며 일측은 케이블이 상기 소켓정착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케이블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인장정착구가 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체결홀이 형성된 인장정착구 멘숀; 및 상기 소켓정착부의 정참홈부에 걸려지도록 걸림나사부가 단부에 다수 형성된 케이블;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CABLE ANCHORAGE USING SOCKET ANCHORAGE APPARATUS}
본 발명은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착된 케이블의 정착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케이블의 교체 또한 용이한 가능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한 케이블 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 케이블정착장치의 조립사시도, 도 1b는 종래 케이블정착장치의 작용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종래 케이블정착장치는 도 1a와 같이,
내주면이 고정을 하고자 하는 케이블(100)의 단부 외주면을 감싸는 웨지(10),
상기 웨지(10)에 케이블(100)이 맞물린 상태로 고정하기 위하여 그 내주면이 상기 웨지(1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웨지블록(20),
그 일단부가 상기 케이블이 설치되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블록(30),
전체적으로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고, 일단부는 상기 웨지블록(20)에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되 상기 웨지블록(20)이 상기 케이블에 인장력을 가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의 이동은 허용하고 그 반대방향의 이동은 제한하도록 결합하며 타단부는 상기 고정블록(30)의 타단부 외주면과 나사결합하는 이동블록(40),
상기 웨지(10)의 상기 고정블록(30) 반대쪽에는 상기 케이블을 둘러싸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디비에이터(50) 및 상기 디비에이터(50)의 외주면을 감싸는 케이싱(60)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웨지(10)는 그 내주면이 고정을 하고자 하는 케이블(100)의 단부 외주면을 감싸 웨지(10)의 내주면과 케이블(100)의 외주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케이블(100)을 정착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반적으로 세 개 또는 네 개의 절편으로 이루어지며 그 외주면의 형상은 일방향으로 갈수록 그 외경이 줄어들도록 테이퍼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웨지블록(20)은 상기 웨지(10)에 케이블(100)이 맞물린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웨지블록(20)의 내주면이 상기 웨지(10)의 외주면과 맞닿도록 구성된다. 상기 웨지블록(20)에도 상기 웨지(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부와 동일한 각으로 테이퍼 된 테이퍼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고정블록(30)은 그 일단부가 상기 케이블(100)이 구조재로 설치되는 구조물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교량의 경우 고정블록(30)은 교량의 상판에 고정되는데, 상기 고정블록(30)이 교량의 상판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고정되는 단부는 힌지형태로 이루어져 변위를 허용하지는 않지만 회전은 허용되도록 고정된다. 한편, 상기 고정블록(30)의 외주면에는 나사부(31)가 마련된다.
상기 이동블록(40)은 전체적으로 중공부를 가지도록 마련되며 파이프와 유사한 형상으로서 이동블록(40)의 일단부는 웨지블록(20)에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한편, 상기 이동블록(40)은 상기 웨지블록(20)이 상기 케이블(100)에 인장력을 가하는 방향 즉 상기 고정블록(30) 방향으로의 이동은 허용하고 그 반대방향의 이동은 제한하도록 상기 웨지블록(20)과 결합한다. 이를 위해 웨지블록(20)의 상기 고정블록(30) 쪽 단부에는 제1돌기(22)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이동블록(40)의 상기 고정블록(30) 반대쪽 단부에는 제2돌기(42)가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웨지블록(20)이 상기 고정블록(30)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은 허용하지만, 상기 웨지블록(20)이 상기 고정블록(30)의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려고 하는 경우에는 제1돌기(22)와 제2돌기(42)가 맞물려 있어서 그 이동이 제한된다.
이동블록(40)의 타단부 쪽은 상기 고정블록(30)과 결합하되 그 내주면에 나사홈(41)이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30)의 나사부(31)과 나사 결합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이동블록(40)을 회전시킴으로써 고정블록(3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도 있고, 고정블록(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한 이동하게 할 수도 있다.
이에 공장 제작된 케이블(100)의 길이가 실제 시공된 부분의 길이보다 긴 경우에는 이동블록(40)을 고정블록(30) 쪽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케이블(100)을 정착하면 되고, 상기 케이블(100)의 길이가 정착길이보다 짧은 경우에는 이동블록(40)을 고정블록(30)에서 먼 쪽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케이블(100)을 웨지(10)와 웨지블록(20)을 이용하여 정착하면 된다. 이에 의해 어느 정도의 시공 오차가 생긴 상태에서도 케이블(100)을 적절히 정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디비에이터(50)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상기 웨지(10)의 상기 고정블록(30) 반대쪽에 마련되어 케이블(100)이 진동할 때 탄성 변형에 의해 그 진동 에너지를 일부 흡수하여 모든 진동이 웨지(10)와 케이블(100)이 서로 맞닿아 있는 부분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웨지(10)나 케이블(100)의 손상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케이싱(60)은 상기 디비에이터(5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며, 상기 디비에이터(50)를 자외선 등으로부터 보호하며, 상기 웨지(10)와 상기 케이블(100) 사이에 강수 등에 의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도 아울러 담당하게 된다.
또한 웨지이동방지블록(70)과 상기 스프링(72)은 상기 웨지(10)가 상기 고정블록(30)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스프링(72)은 상기 웨지(10)와 상기 웨지이동방지블록(70)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웨지(10)를 상기 케이블방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웨지이동방지블록(70)에는 나사홈(71)이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웨지블록(20)과 나사 결합하는데, 웨지이동방지블록(70)과 상기 스프링(70)에 의하여 케이블(100)에 진동이 가해지는 등의 이유에 의해 웨지(1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웨지(10)가 이동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케이블(100)의 이탈과 같은 심각한 문제점을 미리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도 1a에 의한 케이블 정착장치의 작용을 도 1b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케이블(100)에 인장력을 가하게 되면 도 1b와 같이 웨지(10)와 웨지블록(20)은 고정블록(30)방향으로 이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블록(40)은 웨지블록(20)이 고정블록(30)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므로 상기 웨지(10)와 웨지블록(20)은 아무런 저항 업이 고정블록(30)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이동블록(40)을 회전시켜 고정블록(30) 쪽으로 이동한다. 이동블록(40)은 상기 웨지블록(20)에 대하여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고 이동블록(40)과 고정블록(30)은 나사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동블록(40)을 적절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고정블록(3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동블록(40)의 제2돌기(42)가 웨지블록(20)의 제1돌기(22)와 맞닿을 때까지 이동하면 케이블(100)에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웨지블록(20)의 제1돌기(22)와 이동블록(40)의 제2돌기(42)가 서로 맞물려 있어서 상기 웨지(10)와 웨지블록(20)이 고정블록(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방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케이블에 추가적인 인장력을 재하할 수 있는데 이동블록(40)과 고정블록(30)의 결합길이(이동블록(40)이 고정블록(30)으로부터 최대로 이격된 상태와 이동블록(40)이 고정블록(30)으로 최대로 접근한 상태 사이의 거리)가 길면 길수록 더 많은 인장력을 재하할 수 있으므로 결합길이를 적절히 정할 필요가 있다.
케이블(100)에 재하된 인장력을 줄여야 하는 경우에는 도 1b와 같이 이동블록(40)을 고정블록(30)의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면 된다.
물론 이러한 종래 방법으로도 케이블(100)에 인장력을 재하 하는 작업이 가능하지만 구성이 복잡하여 가공작업에 의한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는 단점이 있게 된다.
상기 종래 케이블정착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다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케이블의 인장력 재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첫째, 케이블에 인장력을 가함에 있어 인장정착구로는 케이블이 용이하게 이동하여 완전 정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소켓정착부의 내측면에는 정착홈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정착홈부에 케이블의 걸림나사부가 걸려지도록 하였다.
둘째, 이때 상기 소켓정착부는 케이블을 감싸도록 2개의 정착하우징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되 일측 정착하우징과 타측 정착하우징은 서로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이격스프링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하였다.
이에 이격스프링이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케이블이 소켓정착부를 관통하여 용이하게 케이블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이격스프링을 압축시키는 경우에는 소켓정착부의 정착홈부에 케이블의 걸림나사부가 완전히 물려져 정착되도록 하였다.
셋째, 상기 소켓정착부의 정착하우징들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기 위하여 소켓정착부는 인장정착구 멘숀 내부의 소켓정착부 수용홈에 안착되도록 하고, 상기 인장정착구 멘숀에 형성된 체결홀에 압착나사와 압착스플링을 통해 압착너트의 조임력에 의하여 이격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안착된 소켓정착부의 정착하우징들을 압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나아가 반대로 상기 압착너트를 플게되면 이격스프링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케이블이 소켓정착부로부터 이완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서로 이격스프링에 의하여 서로 이격되어 연결된 블록으로서 케이블이 서로 이격된 공간을 관통하여 인장방향으로 이동 또는 정착될 수 있도록 내측면들에는 만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만곡부에 정착홈부가 형성된 한 쌍의 정착하우징을 포함하는 소켓정착부; 상기 소켓정착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소켓정착부 수용홈이 내부에 형성되며 일측은 케이블이 상기 소켓정착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케이블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인장정착구가 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개방홀이 형성된 인장정착구 멘숀; 및 상기 소켓정착부의 정참홈부에 걸려지도록 걸림나사부가 단부에 다수 형성된 케이블;을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정착하우징이 서로의 이격거리를 좁히면서 압착되는 과정에서 정착하우징의 정착홈부에 케이블의 걸림나사부가 완전히 정착되어 케이블이 소켓정착부에 정착되도록 하는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케이블의 인장방향으로의 이동이 자유롭게 되고, 케이블을 인장정착구로부터 분리도 용이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인장정착구의 운용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a는 종래 케이블 정착장치의 구성사시도,
도 1b는 종래 케이블 정착장치의 작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를 이용한 교량시공도,
도 3a는 본 발명의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의 구성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소켓정착부와 케이블의 조립구성도,
도 3c는 본 발명의 소켓정착부 및 인장정착구 멘숀의 조립구성도,
도 3d는 본 발명의 인장정착구 멘숀과 인장정착구의 조립구성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의 작용상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 본 발명의 나사 가공된 소켓정착부를 구비한 정착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상기 정착장치가 설치된 교량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즉, 교량은 예를 들어 보도교, 차도교, 사장교 등과 같은 교량이나 기타 건축물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는 보강용 케이블 또는 경관용 케이블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케이블(100)의 좌측은 고정 정착구(500)에 의하여 고정되고 우측은 인장정착구(400)에 의하여 인장력 조정(케이블의 이동 및 정착)이 가능하도록 정착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이에 상기 정착장치는 도 3a와 같이 소켓정착부(200) 및 인장정착구 멘숀(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걸림나사부(110)가 형성된 케이블(100)이 상기 소켓정착부(200)에 정착되고, 소켓정착부(200)는 인장정착구 멘숀(300)에 삽입 안착되며, 상기 인장정착구 멘숀(300)은 인장정착구(400)에 나사체결식으로 체결되어 연결된다.
먼저, 상기 케이블(100)은 도 3b와 같이 단부 외주면에 걸림나사부(110)가 형성된 강봉(또는 중공관) 형태인데 상기 걸림나사부는 다수가 연속으로 형성되도록 함을 알 수 있으며, 상기 걸림나사부(110)는 케이블의 인장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있지만, 인방방향과 반대방향으로는 후술되는 소켓정착부(200)의 정착홈부(210)에 걸려져 정착될 수 있도록 걸림나사부(110)는 수직걸림부(111)와 인장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도록 테이퍼링된 테이퍼링부(112)로 형성되어 다수가 연속되도록 형성시키게 된다.
이러한 케이블(100)은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소켓정착부(200)에 삽입되어 정착되는데 상기 소켓정착부(200)는 2개로 구분된 한 쌍의 정착하우징(220)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정착하우징(220)은 사각블록 형태로서 내측면은 케이블을 감쌀 수 있도록 파여진 홈 형태의 만곡부(221)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만곡부 양 측에 연결단(B)에는 후술되는 이격스프링(230)이 장착될 수 있도록 내측지지홈(222)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만곡부(221)에는 정착홈부(21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정착홈부는 앞서 살펴본 케이블(100)의 걸림나사부(110)가 삽입 및 정착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정착홈부(210)는 케이블이 인장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인장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홈 형태의 테이퍼링홈(211)이 형성되고, 테이퍼링홈(211)의 인장방향 끝단에는 수직걸림홈(212)가 형성되어 케이블(100)의 수직걸림부(111)가 상기 수직걸림홈(212)에 물려져 정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인장방향의 반대방향으로는 케이블(100)이 걸려 이동하지 못하여 정착됨)
이에 정착하우징(220)은 2개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격스프링(230)에 의하여 서로 압착이 가능하도록 배치됨을 알 수 있다.
즉, 도 3b와 같이 소켓정착부(200)의 정착하우징(220)에 초기 삽입된 케이블(100)은 수직걸림홈(212)에 수직걸림부(111)가 약간 걸쳐지는 정도가 되지만 서로 이격된 정착하우징 2개가 서로 압착되도록 힘(P)을 가하게 되면 수직걸림홈(212)이 수직걸림부(111)에 완전히 물려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소켓정착부(200)는 인장정착구 멘숀(300)에 의하여 인장정착구(40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인장정착구 멘숀(300)은 도 3c와 같이 양 단부가 개방된 중공관 형태인데 내부에 소켓정착부(200)가 수용되도록 소켓정착부 수용홈(310)이 형성되어 있는데 소켓정착부(200)가 이격스프링(230)에 의하여 최종 박스체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이 유지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사각홈 형태로 형성시키면 된다.
즉 사각홈 형태의 소켓정착부 수용홈(310)에 소켓정착부(200)가 삽입되어 장착된다.
이때 인장정착구 멘숀(300)의 일측 단부는 케이블(100)이 이동할 수 있도록 케이블홀(320)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타측 단부는 내측면에 나사체결부가 형성되도록 개방홀(330)로 형성되어 있는데 후술되는 인장정착구(400)에 체결되어 연결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소켓정착부(200)는 개방홀(330) 쪽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개방홀 내측면의 나사체결부에는 소켓정착부 삽입방향으로 삽입유도홈(331)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홈에 소켓정착부의 모서리가 삽입 유도되어 최종 소켓정착부 수용홈(310)에 삽입되며, 케이블홀(320)의 내측면에 소켓정착부가 지지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때, 도 3d와 같이 상기 소켓정착부(200)의 정착하우징(220)을 압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압착스프링(340)과 압착너트(350)를 이용하게 된다.
즉, 각각의 정착하우징(220)의 외측면(A2)에는 외측지지홈(223)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외측지지홈(223)에 대응하여 소켓정착부 수용홈(310)에는 인장정착구 멘숀(300)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체결홀(360)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상기 인장정착구 멘숀(300)의 소켓정착부 수용홈(310)에 안착된 소켓정착부(200)의 외측지지홈(223)은 체결홀(360)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도 3d와 같이 상기 체결홀(360)에 압착스프링(340)을 삽입하고, 압착스프링(340)이 압착되도록 압착너트(350)를 체결홀(360)에 체결시키게 되면 압착스프링(340)은 외측지지홈(223)에 의하여 정착하우징(220)의 외측면(A2)에 형성된 관통홀(223)과 접하면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정착하우징은 서로 압착되는 힘(P)을 받게 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인장정착구(400)는 도 3a와 같이 일측에는 인장정착구 멘숀(300)의 개방홀(330)에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연결부가 형성된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고 타측에는 Y형 핀연결부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서로 마주보는 핀연결부를 관통하도록 핀이 설치되며 상기 핀에 교량에 설치된 브라켓이 핀 연결되도록 하게 된다.
[ 본 발명의 나사 가공된 소켓부를 구비한 정착장치의 작용]
도 4a 및 도 4b에 의하여 케이블의 인장방향으로 이동 및 인장방향 반대방향으로의 이동 제한에 대한 작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4a에 의하면 인장정착구(400)에 인장정착구 멘숀(300)이 서로 체결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장정착구 멘숀(300)은 이격스프링(230)에 의하여 정착하우징들이 소켓정착부 수용홈(310)에 안착된 상태이며, 압착스프링(340)과 압착너트(350)는 설치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케이블(100)의 걸림나사부(110)가 형성된 부위를 인장정착구 멘숀(300)에 안착된 소켓정착부(200)에 밀어넣게 된다.(인장방향으로 이동)
이때는 소켓정착부(200)의 정착하우징들이 서로 케이블의 이동을 제한할 정도로 압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케이블의 인장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케이블의 이동은 인장정착구를 구성하며 막혀진 중공관(E)에 의하여 인장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적이게 된다.
케이블(100)이 인장방향 이동은 케이블의 길이가 제작오차에 의하여 짧을 경우, 케이블에 도입된 인장력이 손실되어 인장력을 더 도입시킬 필요에 의하여 발생되게 될 것이다.
이에 최종 케이블의 인장방향으로의 이동이 세팅되면 소켓정착부(200)의 정착하우징들을 서로 압착시켜 케이블이 소켓정착부에 완전하게 정착되도록 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도 4b와 같이 인장정착구 멘숀(300)에 형성된 체결홀(360)에 압착스프링(340)을 먼저 삽입시킨 상태에서 압착너트(350)를 압착스프링을 압착시키면서 체결홀에 체결시키게 되면 압착된 압착스프링이 정착하우징들의 이격거리를 감소시켜 최종 케이블이 소켓정착부에 완전하게 정착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미도시 하였지만 상기 케이블(100)을 인장정착구(400)으로부터 분리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압착너트(350)를 풀어주면 된다.
즉, 압착너트를 풀어주면 압착된 압착스프링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압착된 정착하우징들이 이격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원래의 초기 세팅상태로 회복되어 서로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케이블(100)의 완전 정착상태를 이완시키게 된다.
이로서 케이블(100)은 인장방향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케이블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케이블
110: 걸림나사부
111: 수직걸림부
112: 테이퍼링부
200: 소켓정착부
210: 정착홈부
211: 테이퍼링홈
212: 수직걸림홈
220: 한쌍의 정착하우징
221: 만곡부
222: 내측지지홈
223: 외측지지홈
230: 이격스프링
300: 인장정착구 멘숀
310: 소켓정착부 수용홈
320: 케이블홀
330: 개방홀
331: 삽입유도홈
340: 압착스프링
350: 압착너트
360: 체결홀
400: 인장정착구 500: 고정정착구

Claims (5)

  1. 서로 이격스프링(230)에 의하여 서로 이격되어 연결된 블록으로서 케이블이 (100) 서로 이격된 공간을 관통하여 인장방향으로 이동 또는 정착될 수 있도록 내측면들에는 만곡부(221)가 형성되며 상기 만곡부에 정착홈부(210)가 형성된 한 쌍의 정착하우징(220)을 포함하는 소켓정착부(200);
    상기 소켓정착부(200)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소켓정착부 수용홈(310)이 내부에 형성되며 일측은 케이블(100)이 상기 소켓정착부(20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케이블홀(320)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인장정착구(400)가 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개방홀(330)가 형성된 인장정착구 멘숀(300); 및
    상기 소켓정착부(200)의 정참홈부(210)에 걸려지도록 걸림나사부(110)가 단부에 다수 형성된 케이블(100);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정착하우징(220)이 서로의 이격거리를 좁히면서 압착되는 과정에서 정착하우징(220)의 정착홈부(210)에 케이블(100)의 걸림나사부(110)가 완전히 정착되어 케이블(100)이 소켓정착부(200)에 정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정착하우징은 연결단(B) 사이의 내측면에 만곡부가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연결단(B)에 이격스프링(230)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내측지지홈(222)이 형성되며, 상기 정착하우징의 외측면에는 외측지지홈(223)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하우징(220)에 형성된 외측지지홈(223)에 대응하여 인장정착구 멘숀(300)에는 소켓정착부 수용홈(310)으로 관통하는 체결홀(360)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체결홀(360)에는 압착스프링(340)이 삽입되어 압착스프링이 상기 외측지지홈(223)에 접하도록 하고, 상기 체결홀(360)에 압착너트(350)를 체결시켜 압착스프링이 압착되면서 한 쌍의 정착하우징이 서로의 이격거리를 좁히면서 압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정착부(200)의 정착하우징(220)의 만곡부에 형성된 정착홈부(210)는
    케이블(100)이 인장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인장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홈 형태의 테이퍼링홈(211)이 형성되고, 테이퍼링홈(211)의 인장방향 끝단에는 수직걸림홈(212)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케이블(100)에 형성된 걸림나사부(110)는 수직걸림부(111)와 인장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도록 테이퍼링된 테이퍼링부(112)로 형성되어 다수가 연속되도록 형성되도록 하여
    케이블(100)의 수직걸림부(111)가 상기 정착하우징의 만곡부에 형성된 수직걸림홈(212)에 물려져 정착되도록 하고 인장방향의 반대방향으로는 케이블(100)이 걸려 이동하지 못하여 정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정착구 멘숀(300)의 개방홀(330)의 내측면에는 개방홀의 초입부터 소켓정착부 수용홈(310)의 모서리부까지 연장되는 삽입유도홈(331)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KR1020120092548A 2012-08-23 2012-08-23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KR101202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548A KR101202418B1 (ko) 2012-08-23 2012-08-23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548A KR101202418B1 (ko) 2012-08-23 2012-08-23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2418B1 true KR101202418B1 (ko) 2012-11-21

Family

ID=47564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548A KR101202418B1 (ko) 2012-08-23 2012-08-23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41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9192A (ko) 2014-05-08 2015-11-1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KR20150135559A (ko) 2014-05-22 2015-12-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KR20160013497A (ko) 2014-07-26 2016-02-0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토목 건축용 케이블 정착장치
KR20160029049A (ko) 2016-02-23 2016-03-1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립소켓을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KR102023885B1 (ko) 2019-03-06 2019-09-23 (주)관수이앤씨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578426B1 (ko) * 2023-04-20 2023-09-15 (주)아루미존 자살 방지 펜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5151U (ja) 1981-04-11 1983-02-17 宇内金属工業株式会社 安全ベルトバツクルにおけるフレ−ムと支持ワイヤ−との結合部の構造
JP3055439U (ja) 1998-06-30 1999-01-12 ツカサ電工株式会社 ロープ張設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5151U (ja) 1981-04-11 1983-02-17 宇内金属工業株式会社 安全ベルトバツクルにおけるフレ−ムと支持ワイヤ−との結合部の構造
JP3055439U (ja) 1998-06-30 1999-01-12 ツカサ電工株式会社 ロープ張設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9192A (ko) 2014-05-08 2015-11-1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KR20150135559A (ko) 2014-05-22 2015-12-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KR20160013497A (ko) 2014-07-26 2016-02-0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토목 건축용 케이블 정착장치
KR20160029049A (ko) 2016-02-23 2016-03-1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립소켓을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KR102023885B1 (ko) 2019-03-06 2019-09-23 (주)관수이앤씨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578426B1 (ko) * 2023-04-20 2023-09-15 (주)아루미존 자살 방지 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2418B1 (ko)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US10148046B2 (en) Holding frame for plug connector modules
KR200491747Y1 (ko)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
US9394712B2 (en) Aseismic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a panel to a beam
KR102218220B1 (ko) 배전선로의 전력 감시 시스템
KR102007969B1 (ko) 플렉서블 도관을 지지하기 위한 분리형 커넥터
KR20140004702U (ko) 커플링 장치
KR102293854B1 (ko)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TW201902035A (zh) 楔形連接器總成及包含其之方法及連接
KR101673986B1 (ko) 공동주택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BRPI0813850B1 (pt) montagem de conector de cunha
US8158882B1 (en) Electrical box hanger
CN110601103A (zh) 电缆固定支架组件
KR101942180B1 (ko) 내진용 파이프행거
KR100936081B1 (ko) 케이블 정착장치
KR200179733Y1 (ko) 와이어 로프형 완충기 비틀림 교정 장치
JP2018115714A (ja) 配線・配管材の横ずれ防止構造、横ずれ防止具、横ずれ防止装置及び横ずれ防止方法
KR20110096738A (ko) 케이블 장력조절장치
KR102234160B1 (ko) 레이스웨이 고정용 클램프
CA2778565A1 (en) Metersocket connector
KR101983346B1 (ko) 철근 단부 파지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 장치
JP6486854B2 (ja) 接続端子函補助クランプ
KR102017617B1 (ko) 내진 기능을 갖춘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KR102620418B1 (ko) 차량 케이블용 마운팅 소켓
KR101423905B1 (ko) 케이블의 쌍방향 정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