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426B1 - 자살 방지 펜스 - Google Patents

자살 방지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426B1
KR102578426B1 KR1020230051942A KR20230051942A KR102578426B1 KR 102578426 B1 KR102578426 B1 KR 102578426B1 KR 1020230051942 A KR1020230051942 A KR 1020230051942A KR 20230051942 A KR20230051942 A KR 20230051942A KR 102578426 B1 KR102578426 B1 KR 102578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late
wire
hole
fixtur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1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성우
Original Assignee
(주)아루미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루미존 filed Critical (주)아루미존
Priority to KR1020230051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4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3Anti-climbing devices, e.g. fixed spi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살 방지 펜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살 방지 펜스는 지면으로부터 기립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부와, 상기 지주부의 하단부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바와, 상기 지주부의 상단부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와이어와, 상기 지주부의 최상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복수의 회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살 방지 펜스{FENCE FOR PREVENTING SUICIDE}
본 발명은 자살 방지 펜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리 등에 설치되어 월담을 저지하고, 특히 자살을 시도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다리(bridge)는 사람들이나 자동차가 강이나 특정 지형물의 위를 건널 수 있도록 만든 시설물이다. 그러나, 일부 보행자는 다리에서 투신함으로써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에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경찰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럼에도 해마다 자살시도자가 늘어나고 이로 인해 안타까운 인명사고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사회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3739호(2015년 5월 21일 등록)는 자살 방지 펜스에 관한 것으로, 지면으로부터 직립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부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부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부와, 내부가 중공된 주판알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내부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베어링과,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체의 양 측면의 관통된 영역으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볼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회전체가 복수로 연결된 경우 하중에 의해 그 회전력이 감소하고, 지주 간 파이프나 타공판의 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미관이 저해되고, 대교 위에서 공기저항이 증가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람이 월담하여 자살을 시도하는 것을 비용이하게 하여 자살을 방지하는 자살 방지 펜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와이어를 지주부의 양단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느슨해지거나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자살 방지 펜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지주부를 난간지주에 별도의 용접이나 타공없이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대교에 설치된 난간 등에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자살 방지 펜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살 방지 펜스는 지면으로부터 기립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부와, 상기 지주부의 하단부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바와, 상기 지주부의 상단부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와이어와, 상기 지주부의 최상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복수의 회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주부의 측면을 관통하여 고정되고, 중심에 형성된 제1 관통공으로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도록 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부로 삽입되는 완충부와, 상기 완충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내부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 제2 관통공으로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도록 하는 제1 결속구와, 일측이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관통공으로 삽입되며, 내부에 형성된 제3 관통공으로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도록 하는 제2 결속구와,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으로 상기 제1 결속구와 결합하면서 상기 제2 결속구를 가압하여 상기 와이어를 압착하도록 하는 제1 커버와,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와 결합하면서 상기 수용부를 밀폐시키는 제2 커버로 구성되는 와이어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부의 측면을 관통하여 고정되고, 중심에 형성된 제1 관통공으로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도록 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부로 삽입되는 완충부와, 상기 완충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내부에 형성된 제4 관통공을 통해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고, 상기 제4 관통공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5 관통공으로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수용되도록 하는 제3 결속구와,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와 결합하면서 상기 수용부를 밀폐시키는 제2 커버로 구성되는 와이어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양측이 각각 상기 지주부와 연결되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요(凹)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주부의 삽입공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복수의 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판과, 상기 지주부의 타측과 난간지주의 일측 사이에 제1 연결판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2 연결판과, 상기 난간지주의 타측에 상기 제2 연결판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3 연결판과, 일측이 상기 제1 연결판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연결판과 연결되어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와, 일측이 상기 제2 연결판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3 연결판과 연결되어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로 구성되는 지주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람이 월담하여 자살을 시도하는 것을 비용이하게 하여 자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를 지주부의 양단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느슨해지거나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주부를 난간지주에 별도의 용접이나 타공없이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대교에 설치된 난간 등에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살 방지 펜스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자살 방지 펜스 중 회전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자살 방지 펜스에 추가되는 와이어고정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와이어고정부의 분해구성도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와이어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와이어고정부의 분해구성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자살 방지 펜스에 추가되는 지주고정부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지주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7에 따른 지주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살 방지 펜스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자살 방지 펜스 중 회전부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살 방지 펜스(100)는 지주부(110), 수직바(120), 와이어(130) 및 회전부(140)를 포함한다.
지주부(110)는 지면으로부터 기립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된다. 이 경우, 지주부(110)는 복수로 설치된다. 지주부(110)는 '|'자형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부가 절곡형, 곡면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지주부(110)의 단면은 'H'자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주부(110)의 크기는 사용자의 설계에 의해 가변될 수 있으며, 사람이 쉽게 월담하지 못하도록 2미터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주부(110)는 지면에 직접 고정되거나, 대교에 형성되는 난간과 결합하여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수직바(120)는 지주부(110)의 하단부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복수의 지주부(110) 사이에 수평바(121)가 상하부로 형성되고, 수평바(121) 사이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수직바(120)는 1m 내외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수직바(120) 사이의 간격은 사용자의 발이 걸쳐지지 않을 정도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월담을 시도하는 사람들이 발로 밟고 넘어서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수직바(120)는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방의 폭이 하방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역시 사람이 발로 틈새를 지지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와이어(130)는 지주부(110)의 상단부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와이어(130)는 지면으로부터 1m ~ 2m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130)는 양측이 각각 지주부(110)에 고정된다. 와이어(130)는 단면폭이 1~2cm 정도로 형성되어 사람이 이를 파지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130) 해 사람이 발로 지지하기 어렵게 하고, 상단부에는 복수의 와이어(130)에 의해 사간 간격은 사람의 상반신이 통과하기 어렵게 10~20cm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지주부(110)의 하단부에는 복수의 수평바(121)에 의해 사람이 손으로 파지하기 어렵게 함으로써 월담의지를 약화시킬 수 있다.
회전부(140)는 지주부(110)의 최상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회전한다. 회전부(140)는 지주부(110)의 최상단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이를 파지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월담을 비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회전부(140)는 파이프(141) 및 회전체(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파이프(141)는 단면이 원형인 형태로 형성되어 양측이 각각 지주부(110)를 관통하여 고정된다. 파이프(141)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요(凹)홈(14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주부(110)에는 파이프(141)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은 원형으로 내측에 '┌┐'자 형상의 돌기(110-1)가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141)가 삽입공을 관통하면서 삽입되고, 파이프(141)의 요(凹)홈(141-1)에는 삽입공의 돌기(110-1)가 결합된다. 이는 파이프(141)가 회전체(142)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체(142)는 파이프(141)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회전한다. 예를 들어, 파이프(141)는 주판알과 같이 단면이 마름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회전체(142)는 서로 이격되어 파이프(141) 상에 위치한다. 회전체(142)의 내부에는 베어링(142-1)이 형성되어 파이프(141)로부터 마찰을 최소화하여 회전하도록 한다. 이 경우, 복수의 회전체(142) 사이에는 서로 간섭이 되지 않도록 스페이서(14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142-2) 역시 주판알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지 못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체(142)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어렵게 하기 위해 외경이 20cm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130)의 경우 단면폭을 좁게하여 사람이 파지하지 못하도록 하고, 회전체(142)는 단면폭을 크게 하여 사람이 파지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월담을 시도하는 사람이 회전부(140)에 의해 월담을 비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자살 방지 펜스에 추가되는 와이어고정부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와이어고정부의 분해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살 방지 펜스(100)는 와이어고정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고정부(150)는 지주부(110)와 와이어(130)를 서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와이어고정부(150)는 고정구(151), 완충부(152), 제1 결속구(153), 제2 결속구(154), 제1 커버(155) 및 제2 커버(156)를 포함한다.
고정구(151)는 지주부(110)의 측면을 관통하여 고정된다. 고정구(151)의 일측은 지주부(110)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구(151)의 일측에는 제1 관통공(151-1)이 형성되어 와이어(130)가 삽입되어 관통하도록 한다. 고정구(151)의 타측에는 개구되어 있으며, 내부는 수용부(151-2)가 형성되어 와이어(130) 등을 수용할 수 있다. 고정구(15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나사산은 후술하는 제2 커버(156)와 결합하여 내부의 수용부(151-2)를 밀폐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고정구(151)의 중심에는 '┌┐'자 형태의 걸림돌기(15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돌기(151-3)는 지주부(110)에 걸려지면서 고정구(151)의 이동을 제한한다. 다시 말해, 걸림돌기(151-3)를 기준으로 고정구(151)의 일측은 지주부(110)의 일측으로 노출되고, 고정구(151)의 타측은 지주부(110)의 타측에 노출된다. 걸림돌기(151-3)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고정구(151)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완충부(152)는 고정구(151)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부(151-2)로 삽입된다. 완충부(152)는 일종의 코일스프링으로 기 설정된 탄성력을 가진다. 완충부(152)의 내부는 비어 있어 이를 통해 고정구(151)의 제1 관통공(151-1)을 통과한 와이어(130)가 이동하게 된다. 완충부(152)의 일측에는 제1 결속구(153)가 연결된다. 완충부(152)는 제1 결속구(153)를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후술하는 제1 결속구(153)와 제2 결속구(154)가 와이어(130)의 일단을 고정시킨 후 와이어(130)에 외력이 가해지면 이를 완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130)가 일정한 장력으로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고정구(151)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결속구(153)는 완충부(152)의 일측에 연결되며, 내부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 제2 관통공(153-1)이 형성된다. 제1 결속구(153)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은 단턱이 형성되어 완충부(152)의 내측에 삽입된다. 제1 결속구(153)는 내부가 원뿔형의 제2 관통공(153-1)이 형성되어 단면이 테이퍼(taper) 형상으로 경사지게 된다. 제2 관통공(153-1)의 일측으로 고정구(151), 완충부(152)를 통과한 와이어(130)가 삽입되고, 타측으로 후술하는 제2 결속구(154)가 삽입된다. 제1 결속구(153)는 제2 결속구(154)와 결합하여 와이어(130)의 일단을 고정구(151) 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와이어(130)는 강철로 형성되어 매듭을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제1 결속구(153)와 제2 결속구(154)로 일단을 매듭처리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제2 결속구(154)는 일측이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결속구(153)의 제2 관통공(153-1)으로 삽입된다. 이 경우, 제1 결속구(153)와 제2 관통공(153-1)과 제2 결속구(154)의 형상이 서로 정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속구(154)의 내부에는 제3 관통공(154-1)이 형성되어 와이어(130)가 관통하도록 한다. 제2 결속구(154)에 와이어(130)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2 결속구(154)를 제1 결속구(153) 방향으로 가압시 내부의 와이어(130)가 고정된다. 다시 말해, 제2 결속구(154)가 제1 결속구(153) 측으로 이동할수록 제1 결속구(153)의 외측에 의해 제2 결속구(154)가 가압되면서 내부의 와이어(130)를 압착하게 된다.
제1 커버(155)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커버(155)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 결속구(153)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하면서 제2 결속구(154)를 제1 결속구(153)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제1 커버(155)는 고정구(151)와 제1 결속구(153)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삽입된다. 제1 커버(155)는 개구되지 않은 단부는 제2 결속구(154)와 접촉하게 되고, 제1 커버(155)가 제1 결속구(153)와 나사산 결합을 통해 회전하면서 전진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커버(155)는 제1 결속구(153)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내측에 접촉하는 제2 결속구(154)를 제1 결속구(153) 방향으로 전진시키면서 가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내부에 와이어(130)가 제2 결속구(154)에 의해 압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제2 커버(156)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커버(156)는 고정구(151)와 결합하면서 수용부(151-2)를 밀폐시킨다. 제2 커버(156)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정구(15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한다. 제2 커버(156)는 고정구(151)와 결합하면서 고정구(151)의 수용부(151-2)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커버(155)가 파손되는 경우 와이어(130)의 압착력이 약해서 와이어(130)가 이탈되거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고정구(151)의 걸림돌기(151-3)가 파손되는 경우에도 제2 커버(156)에 의해 지지부에 의해 걸려지면서 2중의 걸림이 되도록 한다.
도 5는 도 3에 따른 와이어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와이어고정부의 분해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고정부(150)는 고정구(151), 완충부(152), 제3 결속구(157), 제2 커버(156)를 포함한다.
고정구(151)는 지주부(110)의 측면을 관통하여 고정된다. 고정구(151)의 일측은 지주부(110)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구(151)의 일측에는 제1 관통공(151-1)이 형성되어 와이어(130)가 삽입되어 관통하도록 한다. 고정구(151)의 타측에는 개구되어 있으며, 내부는 수용부(151-2)가 형성되어 와이어(130) 등을 수용할 수 있다. 고정구(15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나사산은 후술하는 제2 커버(156)와 결합하여 내부의 수용부(151-2)를 밀폐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완충부(152)는 고정구(151)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부(151-2)로 삽입된다. 완충부(152)는 일종의 코일스프링으로 기 설정된 탄성력을 가진다. 완충부(152)의 내부는 비어 있어 이를 통해 고정구(151)의 제1 관통공(151-1)을 통과한 와이어(130)가 이동하게 된다. 완충부(152)의 일측에는 제3 결속구(157)가 연결된다. 완충부(152)는 제3 결속구(157)를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후술하는 제3 결속구(157)가 와이어(130)의 일단을 고정시킨 후 와이어(130)에 외력이 가해지면 이를 완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130)가 일정한 장력으로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고정구(151)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결속구(157)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고정구(151)의 수용부(151-2)로 삽입된다. 제3 결속구(157)는 완충부(152)의 일측에 위치한다. 제3 결속구(157)는 내부에 제4 관통공(157-1)과 제5 관통공(157-2)이 형성된다. 제3 결속구(157)는 고정부와 완충부(152)를 통과한 와이어(130)가 삽입된다. 이 경우, 와이어(130)는 제4 관통공(157-1)을 통해 삽입되고, 제4 관통공(157-1)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5 관통공(157-2)으로 와이어(130)의 일단이 수용된다. 이 경우, 와이어(130)는 일단이 '⊂'자 형태로 굽혀지게 된다.
제2 커버(156)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커버(156)는 고정구(151)와 결합하면서 수용부(151-2)를 밀폐시킨다. 제2 커버(156)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정구(15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한다. 제2 커버(156)는 고정구(151)와 결합하면서 고정구(151)의 수용부(151-2)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3 결속구(157)가 파손되는 경우 와이어(130)의 압착력이 약해서 와이어(130)가 이탈되거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와이어고정부(150)는 스토퍼(1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58)는 내부가 관통된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58)는 복수로 형성되어 고정부와 연결된다. 이 경우, 고정부는 중앙에 단턱이 형성되어 스토퍼(158)가 걸려진다. 다시 말해, 고정부는 지주부(110)를 관통하며, 지주부(110)를 사이에 두고 각각 연결된 스토퍼(158)에 의해 걸려지면서 고정부의 위치가 고정된다. 복수의 스토퍼(158) 중 하나는 고정부와 지주부(110) 사이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고정부와 제2 커버(156) 사이에 위치한다. 제2 커버(156)가 고정부와 결합함에 따라 고정부와 복수의 스토퍼(158)가 지주부(110) 사이에 고정된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자살 방지 펜스에 추가되는 지주고정부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고정부(150)는 지주고정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주고정부(160)는 지주부(110)와 난간(10)을 별도의 용접없이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기존에 대교에 설치된 난간(10)을 훼손하지 않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주고정부(160)는 제1 연결판(161), 제2 연결판(162), 제3 연결판(163), 제1 고정부(164) 및 제2 고정부(165)를 포함한다.
제1 연결판(161)은 금속판으로 형성되며, 지주부(110)의 일측에 위치한다. 연결판은 중앙에 단면이 '┌┐'자 형태로 지주부(110)의 일측에 밀착하고, 제1 고정부(164)에 의해 제2 연결판(162)과 연결된다. 이러한 절곡부위에는 지주부(110)가 위치하게 된다. 제1 연결판(161)의 크기는 지주부(11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연결판(161)에는 복수의 제1 고정부(164)가 결합할 수 있도록 복수의 볼트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판(161)은 지주부(110)와 별도의 용접 없이도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제2 연결판(162)은 절곡된 금속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 연결판(162)은 중앙에 단면이 '└┘'자 형태로 절곡될 수 있다. 이러한 절곡부위에는 지주부(110)가 위치하게 된다. 제2 연결판(162)은 일종의 중심판으로 일측은 제1 연결판(161)과 대향하여 제1 고정부(164)에 의해 연결되고, 타측은 제3 연결판(163)과 대향하여 제2 고정부(16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판(162)은 제1 고정부(164), 제2 고정부(165)와 연결될 있도록 복수의 볼트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연결판(163)은 절곡된 금속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3 연결판(163)은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연결판(163)은 난간지주(11)의 타측에 제2 연결판(162)과 대향하여 위치한다. 제3 연결판(163)은 제2 연결판(162)과 복수의 제2 고정부(165)에 의해 연결된다. 이 경우, 제3 연결판(163)에는 제2 고정부(165)가 결합할 수 있도록 복수의 볼트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연결판(163)은 제2 연결판(162)과 밀착하여 난간지주(11)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64)는 일측이 제1 연결판(161)과 연결되고, 타측이 제2 연결판(162)과 연결되어 이를 고정시킨다. 제1 고정부(164)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종의 볼트 결합구조로 형성된다. 제1 고정부(164)는 제1 연결판(161) 또는 제2 연결판(162)과 강스프링을 이용하여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는 지주부(110)의 충격을 완충하기 위함이다.
제2 고정부(165)는 일측이 제2 연결판(162)과 연결되고, 타측이 제3 연결판(163)과 연결되어 이를 고정시킨다. 제2 고정부(165)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종의 볼트 결합구조로 형성된다. 제2 고정부(165)는 제2 연결판(162) 또는 제3 연결판(163)과 강스프링을 이용하여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는 난간지주(11)의 충격을 완충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지주부(110)를 난간지주(11)에 별도의 용접이나 타공없이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대교에 설치된 난간(10) 등에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지주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주고정부(160)는 난간지주(11)가 아닌 수평방향의 가드레일(13)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지주고정부(160)는 제1 연결판(161), 브라켓(166) 및 제1 고정부(164)를 포함한다.
제1 연결판(161)은 금속판으로 형성되며, 지주부(110)의 일측에 위치한다. 연결판은 중앙에 단면이 '┌┐'자 형태로 지주부(110)의 일측에 밀착하고, 제1 고정부(164)에 의해 가드레일(13)과 연결된다. 이러한 절곡부위에는 지주부(110)가 위치하게 된다. 제1 연결판(161)의 크기는 지주부(11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연결판(161)에는 복수의 제1 고정부(164)가 결합할 수 있도록 복수의 볼트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판(161)은 지주부(110)와 별도의 용접 없이도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브라켓(166)은 단면이 'ㄷ'자 구조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브라켓(166)은 가드레일(13)의 내측에 삽입된다. 가드레일(13)에는 제1 고정부(164)가 삽입되어 결합한다. 가드레일(13)은 난간(10)의 수평판(12) 또는 난간지주(11)와 결합한다. 예를 들어, 제1 고정부(164)가 볼트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볼트헤드는 브라켓(166)의 외측에 걸려지고, 너트는 제1 연결판(161)의 외측으로 삽입되어 지주부(110)와 가드레일(13)을 함께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브라켓(166)은 복수로 형성된다.
제1 고정부(164)는 볼트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이 브라켓(166)을 통해 삽입되며, 타측이 제1 연결판(161)을 관통하여 노출된다. 이 경우, 노출된 제1 고정부(164)의 타측에는 너트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제1 고정부(164)는 [제1 연결판(161)]-[수평판(12)]-[가드레일(13)]-[브라켓(166)]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브라켓(166)이 가드레일(13) 내부에 삽입되어 가드레일(13)을 수평판(12)에 밀착시키고, 제1 연결판(161)과도 결합하여 전체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 경우, 제1 고정부(164)에는 강스프링이 삽입되어 수평판(12)과 브라켓(166) 사이에 압착되어 충격을 완화하고, 제1 고정부(164)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7에 따른 지주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지주고정부(160)는 제4 연결판(167) 및 제3 고정부(1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연결판(167)은 단면이 '⊃'자 형태로 형성되어 가드레일(13)의 외측으로 결합하게 된다. 이 경우, 제4 연결판(167)의 단부는 절곡되어 제1 연결판(161)과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고정부(168)는 제1 연결판(161)과 제4 연결판(167)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제1 고정부(164)는 난간(10)의 수평판(12)과 브라켓(166)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4 고정부의 일종의 볼트 구조로 형성되고, 내부에 강스프링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이는 제1 고정판과 제4 고정판 사이에 충격을 완화시키고, 볼트결합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지주고정부(160)는 지주부(110)를 난간(10)의 지주 외에 수평판(12)에 가드레일(13)과 함께 고정시킬 수 있어 보다 다양한 위치로 지주부(110)를 용접없이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자살 방지 펜스 110 : 지주부
110-1 : 돌기 120 : 수직바
121 : 수평바 130 : 와이어
140 : 회전부 141 : 파이프
141-1 : 요(凹)홈 142 : 회전체
142-1 : 베어링 142-2 : 스페이서
150 : 와이어고정부 151 : 고정구
151-1 : 제1 관통공 151-2 : 수용부
151-3 :걸림돌기 152 : 완충부
153 : 제1 결속구 153-1 : 제2 관통공
154 : 제2 결속구 154-1 : 제3 관통공
155 : 제1 커버 156 : 제2 커버
157 : 제3 결속구 157-1 : 제4 관통공
157-2 : 제5 관통공 158 : 스토퍼
160 : 지주고정부 161 : 제1 연결판
162 : 제2 연결판 163 : 제3 연결판
164 : 제1 고정부 165 : 제2 고정부
166 : 브라켓 167 : 제4 연결판
168 : 제3 고정부

Claims (5)

  1. 지면으로부터 기립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부(110);
    상기 지주부(110)의 하단부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바(120);
    상기 지주부(110)의 상단부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와이어(130);
    상기 지주부(110)의 최상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복수의 회전부(140); 및
    상기 지주부(110)의 측면을 관통하여 고정되고, 중심에 형성된 제1 관통공(151-1)으로 상기 와이어(130)가 관통하도록 하는 고정구(151)와, 상기 고정구(151)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부(151-2)로 삽입되는 완충부(152)와, 상기 완충부(152)의 일측에 위치하며, 내부에 형성된 제4 관통공(157-1)을 통해 상기 와이어(130)가 관통하고, 상기 제4 관통공(157-1)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5 관통공(157-2)으로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수용되도록 하는 제3 결속구(157)와,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151)와 결합하면서 상기 수용부(151-2)를 밀폐시키는 제2 커버(156)로 구성되는 와이어고정부(150);
    를 포함하는 자살 방지용 펜스(100).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140)는,
    양측이 각각 상기 지주부(110)와 연결되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요(凹)홈(141-1)이 형성되어 상기 지주부(110)의 삽입공에 형성된 돌기(110-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파이프(141); 및
    상기 파이프(141)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복수의 회전체(142)를 포함하는 자살 방지용 펜스(10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11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판(161);
    상기 지주부(110)의 타측과 난간지주(11)의 일측 사이에 제1 연결판(161)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2 연결판(162);
    상기 난간지주(11)의 타측에 상기 제2 연결판(162)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3 연결판(163);
    일측이 상기 제1 연결판(161)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연결판(162)과 연결되어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164); 및
    일측이 상기 제2 연결판(162)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3 연결판(163)과 연결되어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165)로 구성되는 지주고정부(160)를 더 포함하는 자살 방지용 펜스(100).
KR1020230051942A 2023-04-20 2023-04-20 자살 방지 펜스 KR102578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1942A KR102578426B1 (ko) 2023-04-20 2023-04-20 자살 방지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1942A KR102578426B1 (ko) 2023-04-20 2023-04-20 자살 방지 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8426B1 true KR102578426B1 (ko) 2023-09-15

Family

ID=88017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1942A KR102578426B1 (ko) 2023-04-20 2023-04-20 자살 방지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4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378B1 (ko) * 2023-05-31 2024-05-02 (주)케이에이 투신방지 안전난간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3633A (ja) * 1998-01-06 1999-07-21 Kurosawa Construction Co Ltd ケーブルの端部定着方法
JP2006349102A (ja) * 2005-06-17 2006-12-28 Nippon Chuzo Kk ワイヤ引締装置
KR100936082B1 (ko) * 2009-04-28 2010-01-12 케이블텍 주식회사 케이블 정착장치
KR101202418B1 (ko) * 2012-08-23 2012-11-21 김성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KR101223221B1 (ko) * 2011-08-17 2013-01-17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양방향 케이블 정착구
KR102078510B1 (ko) * 2019-08-23 2020-02-17 박상원 추락 방지 안전펜스
KR102370638B1 (ko) * 2021-06-30 2022-03-08 주식회사 한독이앤씨 투신 및 추락방지용 안전휀스
JP2022086598A (ja) * 2020-11-30 2022-06-09 株式会社プロテックエンジニアリング 衝撃吸収柵
KR102434739B1 (ko) * 2022-04-25 2022-08-22 주식회사 예건 회전 성능을 갖는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KR102470259B1 (ko) * 2022-07-22 2022-11-28 (주)대한엔지니어링 투신자살 방지용 안전 펜스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3633A (ja) * 1998-01-06 1999-07-21 Kurosawa Construction Co Ltd ケーブルの端部定着方法
JP2006349102A (ja) * 2005-06-17 2006-12-28 Nippon Chuzo Kk ワイヤ引締装置
KR100936082B1 (ko) * 2009-04-28 2010-01-12 케이블텍 주식회사 케이블 정착장치
KR101223221B1 (ko) * 2011-08-17 2013-01-17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양방향 케이블 정착구
KR101202418B1 (ko) * 2012-08-23 2012-11-21 김성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KR102078510B1 (ko) * 2019-08-23 2020-02-17 박상원 추락 방지 안전펜스
JP2022086598A (ja) * 2020-11-30 2022-06-09 株式会社プロテックエンジニアリング 衝撃吸収柵
KR102370638B1 (ko) * 2021-06-30 2022-03-08 주식회사 한독이앤씨 투신 및 추락방지용 안전휀스
KR102434739B1 (ko) * 2022-04-25 2022-08-22 주식회사 예건 회전 성능을 갖는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KR102470259B1 (ko) * 2022-07-22 2022-11-28 (주)대한엔지니어링 투신자살 방지용 안전 펜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378B1 (ko) * 2023-05-31 2024-05-02 (주)케이에이 투신방지 안전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8426B1 (ko) 자살 방지 펜스
USRE46619E1 (en) Fall arrest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ame
US6038829A (en) Adaptable safety rail system for flat roofs and parapets
US7510152B2 (en) Guard rail safety system
US4348012A (en) Intruder barrier
US7575225B1 (en) Security fence cap
US7273200B2 (en) Safety equipment for building sites
US7461833B1 (en) Picket assembly for a post
US4065103A (en) Fence attachment
US6382596B1 (en) Security fence
KR200495033Y1 (ko) 사다리 오름 방지구
US20170096836A1 (en) Anti-scale fence systems
US20040232402A1 (en) Protection device for roof and floor openings
US20030178613A1 (en) Guardrail mounted on posts and associated methods
US6152429A (en) Fence system for simultaneously tensioning a multiplicity of fence strands
US3400503A (en) Protective device
KR101486762B1 (ko) 유동적 체결구조를 갖는 안전펜스
US20160270366A1 (en) Electric fence for zone breaks
EP1219759A3 (de) Geländervorrichtung für gegen Absturz zu sichernde Konstruktionen und Geländerpfosteneinrichtung hierfür
US563042A (en) Fence
KR101782970B1 (ko) 데크로드 난간
JP3099786U (ja) フエンス用防犯部材およびその部材をとりつけた防犯用フエンス
KR200482196Y1 (ko) 족장판 클램프
CN215443062U (zh) 一种全钢智能外爬架防坠落装置
JP3199635U (ja) 足場用隙間塞ぎ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