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196Y1 - 족장판 클램프 - Google Patents
족장판 클램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2196Y1 KR200482196Y1 KR2020150000218U KR20150000218U KR200482196Y1 KR 200482196 Y1 KR200482196 Y1 KR 200482196Y1 KR 2020150000218 U KR2020150000218 U KR 2020150000218U KR 20150000218 U KR20150000218 U KR 20150000218U KR 200482196 Y1 KR200482196 Y1 KR 20048219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frame
- cover
- chock
- chock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04G1/154—Non-detachably fixed and secured connections between platform and scaffol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족장판 클램프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족장판 클램프는 족장판의 상면 폭을 커버하는 제1 커버부 및 족장판의 폭방향 경계로부터 돌출되도록 제1 커버부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판프레임; 족장판의 하면 폭을 커버하는 제2 커버부 및 족장판의 폭방향 경계로부터 돌출되도록 제2 커버부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하판프레임; 상판프레임과 하판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제1 커버부 및 제2 커버부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프레임;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공;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어 족장판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한부; 및 연결프레임에 난간 지주가 결합되도록 연결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주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족장판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선박을 건조하거나 빌딩을 건설할 때 높은 곳에서의 작업은 필수적이며, 선박이 대형화되고 빌딩이 고층화되면서 높은 곳에서의 작업량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조선, 건설 등의 산업분야에서는 높은 곳에서 직접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편리한 작업수행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작업자의 통로 및 발판으로서 족장판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족장판은, 수직과 수평으로 임시 설치된 설치 프레임에 족장판을 얹고, 족장판을 철사로 감아 설치 프레임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족장판에서는, 족장판을 이동하는 작업자의 추락 등을 방지하기 위해 난간이 설치되는데, 난간을 지지하는 지주는 클램프를 통하여 족장판에 결합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안전 난간 및 난간 지주를 보다 안정적으로 족장판에 결합시킬 수 있는 족장판 클램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족장판의 상면 폭을 커버하는 제1 커버부 및 족장판의 폭방향 경계로부터 돌출되도록 제1 커버부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판프레임; 족장판의 하면 폭을 커버하는 제2 커버부, 및 족장판의 폭방향 경계로부터 돌출되도록 제2 커버부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하판프레임; 상판프레임과 하판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제1 커버부 및 제2 커버부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프레임;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에 형성되는 결합공;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어 족장판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한부; 및 연결프레임에 난간 지주가 결합되도록 연결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주 연결부;를 포함하는 족장판 클램프가 제공된다.
여기서, 연결프레임은 상기 족장판의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한부는 상단부의 횡단면적이 결합공의 횡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한부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작아지고, 제한부의 하단은 횡단면적이 결합공의 횡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공은 제1 돌출부에 형성되는 제1 결합공, 및 제2 돌출부에 형성되는 제2 결합공을 포함하고, 제한부는 족장판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1 결합공 및 제2 결합공을 관통하여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한부는 옆면 중 적어도 일부가 족장판의 측면에 접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전 난간 및 난간 지주를 보다 안정적으로 족장판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장판 클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장판 클램프에 족장판과 난간 지주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A-A'에 의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장판 클램프에 족장판과 난간 지주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A-A'에 의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본 고안에 따른 족장판 클램프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장판 클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장판 클램프에 족장판과 난간 지주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에 의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장판 클램프(1000)는 상판프레임(100), 하판프레임(200), 연결프레임(300), 결합공(400), 제한부(500) 및 지주 연결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프레임(100)은 족장판(10)의 상면 폭을 커버하는 제1 커버부(110), 및 족장판(10)의 폭방향 경계로부터 돌출되도록 제1 커버부(110)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는 제1 돌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판프레임(200)은 족장판(10)의 하면 폭을 커버하는 제2 커버부(210), 및 족장판(10)의 폭방향 경계로부터 돌출되도록 제2 커버부(210)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는 제2 돌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판프레임(100) 및 하판프레임(200) 각각은 족장판(10)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어 일단부가 족장판(10)의 폭방향 경계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족장판(10)은 고소 작업 시 작업자에게 편리한 작업수행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의 통로 및 발판으로 제공될 수 있다. 족장판(10)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임시 설치되는 설치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커버부(110) 및 제2 커버부(210)는 족장판(10)의 폭을 커버할 수 있도록 족장판(10)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버부(110, 210)는 족장판(10)의 상면 및 하면을 족장판(10)의 폭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것이 아니라 전부 커버할 수 있다.
제1 돌출부(120) 및 제2 돌출부(220)는 족장판(10)의 폭방향 경계로부터 돌출되도록 커버부(110, 210)의 일단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0, 220)는 족장판(10)의 폭방향 경계로부터 돌출되어 후술할 제한부(500)가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판프레임(100) 및 하판프레임(200)은 인가되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가지는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로써,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300)은 상판프레임(100)과 하판프레임(200)을 연결하도록 제1 커버부(110) 및 제2 커버부(210)의 타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연결프레임(300)은, 상판프레임(100)과 하판프레임(200)을 연결하여 양자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내주면에 족장판(10)의 일측면이 접할 수 있으므로 상판프레임(100)과 하판프레임(200) 사이에 위치되는 족장판(1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300)은 상판프레임(100) 및 하판프레임(200)을 지지하기 위해, 또는 족장판(10)의 일측면을 지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강성을 가지는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판프레임(100), 하판프레임(200) 및 연결프레임(30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판재를 2회 절곡시킴으로써 족장판(10)의 상면, 일측면 및 하면을 둘러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판프레임(100), 하판프레임(200) 및 연결프레임(300)이 일체로 형성되면, 상판프레임(100)과 연결프레임(300)을 연결 또는 하판프레임(200)과 연결프레임(300)을 연결하기 위한 용접 등의 별도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위에 응력이 발생되더라도 크랙 발생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족장판 클램프(10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합공(400)은 제1 돌출부(120) 및 제2 돌출부(22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결합공(400)은 후술할 제한부가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결합공(400)의 형태는 후술할 제한부(500)의 횡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공(500)의 형태가 제한부(500)의 횡단면에 대응하는 경우, 제한부(500)가 끼움 결합될 때 제한부(500)의 유동이 제한되어 보다 견고하게 제한부(500)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는 결합공(400)의 형태가 반원의 형태인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공(400)은 삼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타원 또는 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부(120)에 형성되는 제1 결합공(410)의 개수 및 제2 돌출부(220)에 형성되는 제2 결합공(42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한부(500)는 결합공(400)에 끼움 결합되어 족장판(10)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제한부(500)는 결합공(400)이 형성되는 돌출부(120, 220)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고, 일부가 결합공(400)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족장판(10)의 폭방향 유동에 대해서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제한부(500)는 전체적으로 각뿔대, 각뿔, 반원뿔대 또는 반원뿔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원뿔대,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한부(500)의 재질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일 예로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가지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지주 연결부(600)는 연결프레임(300)에 난간 지주(20)가 결합되도록 연결프레임(30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지주 연결부(600)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족장판 클램프(1000)에 난간 지주(20)가 결합될 수 있다.
난간 지주(20)는, 족장판(10)에 설치되도록 요구되는 안전 난간을 지지하는 기둥으로, 전체적으로 봉의 형태로 형성되어 지주 연결부(60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주 연결부(600)는 내부에 난간 지주(20)를 수용하도록 난간 지주(20)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결프레임(300)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난간 지주(20)의 일단이 지주 연결부(600)에 끼워지도록 지주 연결부(600)의 일단은 개방되고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은 폐쇄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주 연결부(600)는 용접 등을 통해 연결프레임(300)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장판 클램프(1000)는 족장판(10)의 상면 및 하면을 폭방향으로 모두 커버하고, 족장판(10)의 양 측면을 커버할 수 있으므로, 보다 견고하게 족장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난간 지주(20)에 가해지는 하중이 족장판(10)의 폭방향 전체로 분산되므로 난간 지주(20)가 보다 견고하게 족장판(10)에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프레임(300)은 족장판(10)의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300)이 족장판(10)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족장판(10)이 두께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데, 연결프레임(300)이 족장판(10)의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면 족장판(10)의 두께방향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족장판 클램프(1000)는 연결프레임(300)과 연결되는 제1 커버부(110) 및 제2 커버부(210)가 족장판(1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접하게 되므로 족장판(10)의 두께방향 유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제한부(500)는 상단부의 횡단면적이 결합공(400)의 횡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한부(500)가 결합공(400)에 끼움 결합되는 경우에 있어, 상단부의 횡단면적이 결합공(400)의 횡단면적보다 작다면 제한부(500)가 결합공(400)을 통과하여 결합공(4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제한부(500)의 상단부 횡단면적을 결합공(400)의 횡단면적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단부가 걸림턱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한부(500)가 분리되어 발생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족장판 클램프(1000)의 파손 등을 방지하여, 인명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한부(500)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작아지고, 제한부(500)의 하단은 횡단면적이 결합공(400)의 횡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한부(500)는 하단이 결합공(400)을 통과함으로써 결합공(400)에 끼움 결합되는데, 제한부(500)의 하단이 상단보다 횡단면적이 작은 경우, 보다 용이하게 하단이 결합공(400)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하단의 횡단면적이 결합공(40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하단이 결합공(400)의 중심에 위치시키지 않더라도 제한부(500)가 용이하게 결합공(40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공(400)은 제1 돌출부(120)에 형성되는 제1 결합공(410), 및 제2 돌출부(220)에 형성되는 제2 결합공(420)을 포함하고, 제한부(500)는 족장판(10)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1 결합공(410) 및 제2 결합공(420)을 관통하여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한부(500)가 족장판(10)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어, 하단이 제1 결합공(410) 및 제2 결합공(420)을 통과함으로써 제한부(500)가 결합공(410, 42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한부(500)가 족장판(10)의 타측면을 족장판(10)의 두께방향으로 모두 커버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족장판(10)의 폭방향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제한부(500)는 옆면 중 적어도 일부가 족장판(10)의 측면에 접할 수 있다.
제한부(500)의 옆면 중 적어도 일부가 족장판(10)의 측면에 접함으로써, 족장판(10)의 폭방향 유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즉, 제한부(500)는 상술한 연결프레임(300)과 함께 족장판(10)을 폭방향으로 가압하여 족장판(10)의 폭방향 유동뿐 아니라 길이방향 유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족장판 20: 난간 지주
100: 상판프레임 110: 제1 커버부
120: 제1 돌출부 200: 하판프레임
210: 제1 커버부 220: 제2 돌출부
300: 연결프레임 400: 결합공
410: 제1 결합공 420: 제2 결합공
500: 제한부 600: 지주 연결부
1000: 족장판 클램프
100: 상판프레임 110: 제1 커버부
120: 제1 돌출부 200: 하판프레임
210: 제1 커버부 220: 제2 돌출부
300: 연결프레임 400: 결합공
410: 제1 결합공 420: 제2 결합공
500: 제한부 600: 지주 연결부
1000: 족장판 클램프
Claims (6)
- 족장판에 결합 시, 상기 족장판의 상면 폭을 커버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족장판의 폭방향 경계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판프레임;
상기 족장판에 결합 시, 상기 족장판의 하면 폭을 커버하는 제2 커버부, 및 상기 족장판의 폭방향 경계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2 커버부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하판프레임;
상기 상판프레임과 상기 하판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1 커버부 및 제2 커버부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공;
상기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족장판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한부; 및
일단은 난간 지주가 끼워지도록 개방되고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은 폐쇄되고, 상기 난간 지주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족장판으로 분산시키도록 상기 연결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주 연결부;
를 포함하는 족장판 클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족장판의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족장판 클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단부의 횡단면적이 상기 결합공의 횡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족장판 클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작아지고, 상기 제한부의 하단은 횡단면적이 상기 결합공의 횡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족장판 클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은
상기 제1 돌출부에 형성되는 제1 결합공, 및 상기 제2 돌출부에 형성되는 제2 결합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족장판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공 및 제2 결합공을 관통하여 끼움 결합되는, 족장판 클램프.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옆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족장판의 측면에 접하는, 족장판 클램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0218U KR200482196Y1 (ko) | 2015-01-12 | 2015-01-12 | 족장판 클램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0218U KR200482196Y1 (ko) | 2015-01-12 | 2015-01-12 | 족장판 클램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2546U KR20160002546U (ko) | 2016-07-20 |
KR200482196Y1 true KR200482196Y1 (ko) | 2016-12-28 |
Family
ID=56613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0218U KR200482196Y1 (ko) | 2015-01-12 | 2015-01-12 | 족장판 클램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2196Y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9693Y1 (ko) * | 2005-04-09 | 2005-07-14 | 박영국 | 선체블록작업용 조립식 가설발판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80223B1 (ko) * | 2009-10-13 | 2011-11-08 | 현대알루미늄(주) | 건축물 시공용 핸들바 결합구조 |
KR20140022678A (ko) | 2012-08-14 | 2014-02-2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족장 장치 |
-
2015
- 2015-01-12 KR KR2020150000218U patent/KR200482196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9693Y1 (ko) * | 2005-04-09 | 2005-07-14 | 박영국 | 선체블록작업용 조립식 가설발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2546U (ko) | 2016-07-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87733B1 (ko) | 데크로드 난간 조립체 | |
KR101264536B1 (ko) | 교량유지점검용 안전점검대 | |
KR101605007B1 (ko) | 난간 구조물 | |
KR101246665B1 (ko) | 지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낙하방지용 안전망 지지장치 | |
KR101861048B1 (ko) | 데크로드 조립식 난간 | |
ITMI20010803A1 (it) | Dispostivo antinfortunistico per l'edilizia per la protezione individuale anticaduta degli operatori addetti al camminamento in quota su edi | |
JP3195041U (ja) | 枠組足場用の跳出しブラケット、該跳出しブラケットを用いた枠組足場構造体、及び枠組足場用のベランダブラケット、該ベランダブラケットを用いた枠組足場構造体 | |
KR200483715Y1 (ko) | 안전 비계 | |
KR200482196Y1 (ko) | 족장판 클램프 | |
US7389856B2 (en) | Elevated work platform | |
KR20090099182A (ko) | 조립식틀비계의 일체형 안전난간대 | |
JP6438236B2 (ja) | 連結具 | |
EP1972739A2 (en) | Extendable safety guardrail | |
KR102335856B1 (ko) | 철골빔 설치용 안전 난간대 | |
KR200480362Y1 (ko) | 갱 폼의 낙하방지망 | |
KR101353089B1 (ko) | 고소작업대에서 발판의 연결구조 | |
KR200491378Y1 (ko) | 안전 발판의 지지대 및 비계 | |
KR101285583B1 (ko) | 펜스의 수평연결프레임 | |
KR200419382Y1 (ko) | 삭도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 | |
JP3199635U (ja) | 足場用隙間塞ぎ具 | |
KR200480447Y1 (ko) | 연결강화형 작업발판 | |
JP5634456B2 (ja) | 足場用の幅木 | |
CN216838996U (zh) | 桥梁上部结构施工用高空防坠系统 | |
JP2019206872A (ja) | 繊維強化樹脂製歩廊 | |
JP2005207061A (ja) | 足場用保護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