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382Y1 - 삭도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삭도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382Y1
KR200419382Y1 KR2020060009113U KR20060009113U KR200419382Y1 KR 200419382 Y1 KR200419382 Y1 KR 200419382Y1 KR 2020060009113 U KR2020060009113 U KR 2020060009113U KR 20060009113 U KR20060009113 U KR 20060009113U KR 200419382 Y1 KR200419382 Y1 KR 2004193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safety
cross beam
assembly
pos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1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현
Original Assignee
김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현 filed Critical 김기현
Priority to KR20200600091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3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3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3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4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wo-dimensional frame-like elements, e.g. of rods in L- or H-shape, with or without bra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2Other free-standing supports, e.g. using trest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16Tracks for aerial rope railways with a stationary rope
    • E01B25/18Ropes; Supports, fastening or straining means for ro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삭 또는 캐리지의 트롤리 부분이나 스토퍼에 대한 안전점검 시 부주의로 인한 추락사고 방지와 더불어 점검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삭도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제안되는 본 고안의 삭도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는 A) 크로스 빔과 B) 상기 크로스 빔이 상단에 연결되고, 하단이 지면에 고정되며, 상기 상·하단 사이에 다수의 계단부재가 설치된 포스트와 C) 상기 포스트나 크로스 빔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연결고리가 형성된 고정구 및 D) 상기 연결고리에 일단이 체결되고 타단에 걸림고리가 장착된 안전로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스트 사이에 안전발판을 추가로 설치한다든지, 상기 크로스 빔의 하면에 케이블연결구를 설치한 상태에서 케이블연결구와 포스트 주변의 지면에 고정한 앵커 사이를 긴장용 케이블로 연결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삭도, 안전점검, 포스트, 안전로프, 안전발판

Description

삭도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Post assembly for inspecting cable way}
도 1은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삭도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의 모형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삭도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의 모형도.
[도면 부호의 설명]
10… 포스트 12… 스터드
14… 케이블연결구 20… 크로스 빔
30… 고정구 32… 연결고리
40… 안전로프 42… 걸림고리
50… 안전발판 60… 앵커
70… 긴장용 케이블 80… 힌지
본 고안은 주삭(케이블) 또는 캐리지의 트롤리 부분이나 스토퍼에 대한 안전점검 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추락사고를 방지함과 아울러 작업의 편의성을 제 공할 수 있도록 한 삭도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진입로 개설이 어렵거나 환경훼손이 우려되는 지역에서의 여객/화물/자재 운송에 이용되는 삭도(cable way)는 주삭이나 반기(搬器)의 롤(트롤리) 부분 등을 수시로 점검할 수 있도록 주삭이 지나가는 적당한 지점마다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는 2개의 기둥 상단에 크로스 빔이 얹혀져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이 일반적인데, 작업자가 기둥을 오르내리면서 주삭이나 반기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이 기둥에 다수의 스터드가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작업자가 아무런 안전장비도 갖추지 않은 채 스터드에 의존하여 기둥을 오르내리게 되므로 사고 위험이 매우 높다. 또한, 불안정한 자세로 작업에 임하기 때문에, 정밀한 점검이 이루어지기 힘들고 간단한 보수작업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점검작업에 임하는 작업자의 안전확보는 물론 편안한 상태에서 더욱 정밀한 시설 점검과 간단한 보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를 개량한 삭도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를 제 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제안되는 본 고안의 삭도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는 예를 들면 A) 크로스 빔과 B) 크로스 빔이 상단에 연결되고 하단이 지면에 고정되며 상기 상·하단 사이에 다수의 계단부재가 설치된 포스트와 C) 포스트나 크로스 빔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연결고리가 형성된 고정구 및 D) 연결고리에 일단이 체결되고 타단에 걸림고리가 설치된 안전로프로 구성될 수 있다. (청구항 1)
또한, 포스트 사이에 안전발판을 추가로 설치한다든지, 크로스 빔의 하면 중앙에 케이블연결구를 설치한 상태에서 이 케이블연결구와 포스트 주변에 고정한 앵커 사이를 긴장용 케이블로 연결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청구항 2 및 3)
여기서, 상기 포스트는 길이가 짧은 다수의 관체를 현장에서 용접한다든지 관체 양단의 플랜지를 맞대어 볼트로 조립한다든지 하여 길이를 연장할 수 있으며 단면 형상도 원형뿐 아니라 다각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단부재는 포스트를 오르내릴 때 손으로 잡거나 발로 디딜 수 있는 구조이면 충분하므로, 전신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스터드(stud)는 물론 포스트 표면에 돌출된 플랜지나 상기 표면에 별도로 설치된 디딤판 또는 줄사다리 등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안전로프의 일단이 체결되는 고정구로는 끝부분에 연결고리가 형성된 기다란 캔틸레버뿐 아니 라 이러한 연결고리를 갖춘 계단부재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안전발판은 시설점검이나 간단한 보수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작업 중 부주의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약 1.2m 높이의 측면 펜스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트와 크로스 빔은 분리·해체가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들의 조립구조는 동종 업계뿐 아니라 토목건설분야 등의 종사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 외 구성요소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종래의 것을 그대로 채용해도 무방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2가지 실시예에 따른 삭도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삭도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보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는 하면 중앙에 케이블연결구(14)가 설치된 크로스 빔(20)과, 이 크로스 빔이 상단에 연결되고 하단이 지면에 고정된 2개의 포스트(10)와, 상기 크로스 빔의 일단 또는 상기 포스트의 상단 일측에 탈·부착이 용이하게 설치된 고정구(30)와, 상기 고정구 일단의 연결고리(32)에 체결되어 한쪽 끝이 지면 쪽으로 늘어뜨려진 안전로프(40) 및 케이블연결구와 포스트 주변의 앵커(60) 사이에 연결·설치된 긴장용 케이블(70)로 구 성되어 있다. 또한, 작업자가 발로 딛고 쉽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상기 포스트에는 다수의 스터드(12)가 길이방향을 따라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포스트는 예를 들면 2개의 관체가 플랜지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들 포스트와 크로스 빔은 분리해체가 가능한 형태로 서로 조립되어 있다.
따라서, 지면으로부터 대략 1m∼2m 높이에 해당하는 지점까지 늘어뜨려진 안전로프 끝 부분의 걸림고리를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던 통상의 안전벨트에 걸어 둔다면, 작업자가 실수로 발을 헛디디는 경우에도 땅바닥에 처박혀 부상을 당하는 일이 없게 된다. 그 결과, 작업자는 사고에 대한 두려움 없이 안정된 상태로 작업에 임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삭도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의 모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보듯이, 지면 가까이에 힌지(80)가 설치된 2개의 포스트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비스듬히 세워져 있고, 이들 포스트(10) 상단에 크로스 빔(20)이 탈·부착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크로스 빔(20) 양측에 설치된 케이블연결구(14)에 긴장용 케이블의 일단이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이 긴장용 케이블의 타단은 지면 쪽 앵커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크로스 빔(20)이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약 1∼2m 아래 쪽에 안전발판(5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크로스 빔의 일측에 캔틸레버 형태의 고정구(30)가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와 안전발판은 포스트나 크로스 빔에 완전히 고정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지만, 비계시공 등에서 흔히 사용되는 방식을 좇아 분리해체가 가능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실시예 1에서 확인된 장점과 더불어서 작업자가 안전발판 위에서 간단한 보수작업까지 수행할 수 있고 주삭이나 반기의 각 부분을 좀더 세밀하게 점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실시예의 삭도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에 따르면 포스트 꼭대기로부터 적당한 높이까지 늘어뜨려진 안전로프 끝 부분의 걸림고리를 통상적으로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에 걸어 작업에 임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실수로 발을 헛디디는 경우에도 추락하여 부상을 당하는 일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포스트 상단부에 설치한 안전발판 위에서 작업자가 간단한 보수작업까지 수행할 수 있고, 주삭이나 반기의 각 부분을 좀더 세밀하게 점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삭도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에 있어서,
    크로스 빔 과;
    상기 크로스 빔이 상단에 연결되고, 하단이 지면에 고정되며, 상기 상·하단 사이에 다수의 계단부재가 설치된 포스트 와;
    상기 포스트나 크로스 빔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연결고리가 형성된 고정구 ; 및
    상기 연결고리에 일단이 체결되고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에 걸기 위한 걸림고리가 타단에 장착된 안전로프 ;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빔 일측에 케이블연결구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연결구와 상기 포스트 주변에 고정된 앵커 사이가 긴장용 케이블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사이에
    안전발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
KR2020060009113U 2006-04-06 2006-04-06 삭도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 KR2004193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113U KR200419382Y1 (ko) 2006-04-06 2006-04-06 삭도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113U KR200419382Y1 (ko) 2006-04-06 2006-04-06 삭도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382Y1 true KR200419382Y1 (ko) 2006-06-19

Family

ID=41768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113U KR200419382Y1 (ko) 2006-04-06 2006-04-06 삭도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3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582B1 (ko) * 2015-11-30 2017-08-10 주식회사 씨앤비엔지니어링 삭도용 케이블타워 시공방법
CN114687257A (zh) * 2022-03-15 2022-07-01 浙江电力建设工程咨询有限公司 智能轻质快装索道支架及其监测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582B1 (ko) * 2015-11-30 2017-08-10 주식회사 씨앤비엔지니어링 삭도용 케이블타워 시공방법
CN114687257A (zh) * 2022-03-15 2022-07-01 浙江电力建设工程咨询有限公司 智能轻质快装索道支架及其监测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0397B2 (en) Fall protection system
US10060146B2 (en) I-beam-attachable lifeline system
KR101678849B1 (ko) 출렁거림 및 비틀림 억제 구조를 가지는 케이블 교량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케이블 교량
US7896132B2 (en) Multi-level fall protection system for high-rise construction
US20090120718A1 (en) Multi-level safety net support system for high-rise construction
JP3181041U (ja) 橋梁用足場取付け部材
KR100996935B1 (ko) 가이딩용 와이자형 커넥터를 이용한 철골보 조립방법
CN205654060U (zh) 一种可伸缩高空施工通道
JP6498075B2 (ja) 鉄骨構造物の張出通路
KR200419382Y1 (ko) 삭도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
KR20100123012A (ko) 건축용 비계
KR102261202B1 (ko) 갠트리 타워 빔용 추락 방지 안전 장치
KR101539412B1 (ko) 교량 해체공법
JP5398619B2 (ja) 橋梁工事用移動式安全帯取付装置
KR20090099182A (ko) 조립식틀비계의 일체형 안전난간대
KR200413590Y1 (ko) 고하중 비계 및 이의 조립구조
JP2016014236A (ja) 吊足場
KR101185578B1 (ko) 강교용 가설브래킷
JP7430071B2 (ja) 移動足場、移動足場システム、及び移動足場システムの設置方法
JP6661142B1 (ja) 吊り足場
JP6520533B2 (ja) 天井クレーン支持装置及び荷重受け部材
CN113309002A (zh) 轻型移动式可拼装桥梁检修吊篮
KR102331326B1 (ko) 비계용 발판 연결대
JP2019206872A (ja) 繊維強化樹脂製歩廊
KR20190041976A (ko) 비계용 지주의 우선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