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715Y1 - 안전 비계 - Google Patents

안전 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715Y1
KR200483715Y1 KR2020160004548U KR20160004548U KR200483715Y1 KR 200483715 Y1 KR200483715 Y1 KR 200483715Y1 KR 2020160004548 U KR2020160004548 U KR 2020160004548U KR 20160004548 U KR20160004548 U KR 20160004548U KR 200483715 Y1 KR200483715 Y1 KR 2004837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safety
scaffolds
safety bar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상규
Original Assignee
시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상규 filed Critical 시상규
Priority to KR20201600045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7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7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7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22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for scaffold members in end-to-side re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안전 비계가 개시된다. 안전 비계는, 고소 작업 위치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비계 발판과, 비계 발판의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비계 봉과, 비계 봉의 사이를 연결하여 비계 발판의 상부에 위치한 작업자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바를 포함한다. 여기서, 비계 발판의 가장자리와 상기 비계 봉의 사이에는 고정부가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 비계{SAFE SCAFFOLDING}
본 고안은 고소 위치에서 추락 위험을 방지한 상태로 안전 작업이 가능한 안전 비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비계(飛階)는 건축공사 과정에서 높은 곳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임시로 설치되는 가설물을 말한다.
건축 비계(거치대)는 건축 재료의 운반이나 작업자의 이동통로 및 작업을 위한 발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비계 기둥에 띠장과 장선을 걸어 사용상 편리하고 견고히 만들어야 한다.
건축 비계에는 재료의 측면에서 통나무 비계, 파이프 비계가 있으며, 그 용도의 측면에서는 외부 비계, 내부 비계, 수평 비계, 달 비계, 간이 비계, 사다리 비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건축 비계는, 공법 측면에서는 외줄 비계, 겹 비계,쌍줄 비계가 있으며, 그 밖에도 발돋움 비계, 특수 비계가 있다.
건축 비계의 종류 중에서, 특히,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파이프를 소재로 한 외부 비계는 건축물 외벽에서 약 45cm ~ 90cm 사이를 두고, 약 1.2m ~ 2.0m의 간격으로 수직 기둥과 수평 기둥을 철선 혹은 볼트 체결방식의 조인트를 이용하여 조립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비계는 작업자의 고소 위치에서의 작업 과정에서 부주의로 낙하하는 추락 사고의 위험이 상존하며, 보다 견고하고 안전하게 설치되는 것이 요구된다.
공개특허공보 10-2016-0081723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작업자가 비계 상에서 작업 과정에서 추락 사고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로 안전 작업이 가능한 안전 비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 비계에 의하면, 고소 작업 위치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비계 발판; 상기 비계 발판의 사이를 연결하되, 연직선 상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길이 방향의 대향하는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비계 발판들을 연결하도록 복수개로 설치되는 비계 봉; 및 상기 비계 봉의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비계 발판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비계 발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비계 발판에 수평한 상태로 상기 비계 봉의 사이를 복수의 위치에서 연결하여 상기 비계 발판의 상부에 위치한 작업자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바; 상기 비계 발판의 가장자리와 상기 비계 봉의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부; 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비계 발판의 하부와 상기 비계 봉의 측면 사이에 용접되며, 일측면은 상기 비계 발판의 하부면에 접한 상태로 고정되고, 타측면은 상기 비계 봉의 측면에 접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비계 봉과 상기 비계 발판의 사이를 연결하는 삼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1 보강부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연장되며 상기 비계 봉의 측면에 고정되되, 일단은 상기 삼각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비계봉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복수위치에서 상기 비계 봉에 용접되는 제2 보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바의 길이 방향의 일측에 양단이 나사 결합되는 구조로 마련되어, 비계의 뒤틀림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안전바의 길이조절을 통해 뒤틀림 보정이 가능하게 하며, 상기 안전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는 안전 로프가 연결되는 걸림 고리가 구비되는 안전 비계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가가 고소 위치에서 작업 과정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바,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안전한 작업 진행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계의 설치된 상태에서 비틀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설치된 내구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비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전 비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안전 비계에 비계 발판과 비계 봉의 사이에 고정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비계의 안전 바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전 비계의 안전 바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비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전 비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비계(100)는, 고소 작업 위치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비계 발판(10)과, 비계 발판(10)의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비계 봉(20)과, 비계 봉(20)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비계 발판의 상부에 위치한 작업자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바(30)를 포함한다.
비계 발판(10)은 건물의 시공 과정에서 작업자가 건물의 측면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건물의 높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서로간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비계 발판(10)은 작업자를 안전하게 지지하도록 충분한 내구성을 갖는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비계 발판(10)은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상태로 건물의 측면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물론 비계 발판(10)은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어느 일부분의 형상이 건물의 형상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비계 발판(10)에는 우천시에 빗물 등이 표면에 고이지 않도록 복수개의 배수홀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계 발판(10)은 건물의 건축과정에서 건물 벽면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어 작업자가 건물 측면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대해 구체적인 구성 및 설치 과정은 공지된 것으로서 이하에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비계 발판(10)은 비계 봉(20)에 의해 서로간에 높이 방향으로 연결된다.
비계 봉(20)은 일단은 복수개의 비계 발판(10)의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타단은 복수개의 비계 발판(10)의 다른 하나의 가장자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비계 봉(20)은 비계 발판(10)의 적어도 2개 이상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비계 발판(10)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비계 봉(20)은 길이 방향의 대향하는 양측 가장자리에서 비계 발판(10)들을 상하로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비계 봉(20)은 비계 발판(10)의 가장자리를 따라 4개로 설치되어, 비계 발판(10)들을 서로간에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물론, 비계 봉(20)은 4개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비계 발판(10)의 설치된 내구성 확보를 위해 4개를 초과한 개수로 적절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비계 봉(20)들의 사이에는 안전바(30)가 설치된다.
안전바(30)은 비계 발판(10)의 상측에서 일단은 어느 하나의 비계 봉(20)에 연결되고, 타단은 다른 하나의 비계 봉(20)에 연결될 수 있다.
안전바(30)는 비계 발판(1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비계 발판(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전바(30)가 설치되는 것은, 비계 발판(10)의 상측에 위치한 작업자가 작업 과정에서 낙하하여 안전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안전바(30)은 양단이 비계 봉(20)에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안전바(30)는 비계 봉(20)의 양단에 용접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정의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안전바(30)는 비계 봉(20) 사이 위치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안전바(30)는 비계 발판(10)의 상측으로 서로 간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바, 작업자가 비계 발판(10)을 이동하면서 추락 사고가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비계 발판(10)과 안전바(30)의 사이에는 고정부(40)가 설치된다.
도 3은 도 1의 안전 비계에 비계 발판과 비계 봉의 사이에 고정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40)는, 비계 발판(10)의 하부와 비계 봉(20)의 측면 사이에 용접되는 제1 보강부(41)와, 제1 보강부(41)의 하부로 연장되며 비계 봉(20)의 측면에 고정되는 제2 보강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강부(41)는, 일측면은 비계 발판(10)의 하부면에 접한 상태로 고정되고 타측면은 비계 봉(20)의 측면에 접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보강부(41)는 비계 발판(10)과 비계 봉(20)의 측면에 각각 접한 상태에서 용접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보강부(41)는 비계 발판(10)가 비계 봉(20)의 사이 부분에서 삼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2 보강부(43)는 제1 보강부(41)의 하부로 연장되는 것으로 일측은 제1 보강부(41)에 연결되고 타측은 비계 봉(20)의 측면의 일부를 따라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보강부(43)는 비계 봉(20)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보강부(43)는 비계 봉(20)의 측면에 복수의 위치에서 용접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제2 보강부(43)는 비계 봉(20)의 측면에 접한 전체 부분이 용접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보강부(43)는 일부분이 비계 봉(20)의 측면에 비접촉 부분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보강부(43)와 비계 봉(20)의 비접촉 부분이 형성되는 것은, 제2 보강부(43)와 비계 봉(20)이 보다 용이하게 용접 고정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비계는, 작업가가 고소 위치에서 작업 과정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바,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안전한 작업 진행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비계의 안전 바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비계의 안전바(130)는 길이 조절부(140)가 설치된다.
길이 조절부(140)는, 안전바(130)의 길이 방향의 일부분에 양단이 나사 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길이 조절부(140)의 회전에 따라 안전바(13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 비계의 뒤틀림 등이 발생하는 경우 안전바(130)의 길이 조절에 따라 뒤틀림 보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전 비계의 안전 바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전 비계는, 안전바(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림 고리(241)가 돌출된 슬라이더(240)가 설치된다.
슬라이더(240)의 걸림 고리(241)에는 작업자에 연결된 안전 로프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걸림 고리(241)에 안전 로프를 연결하여 보다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비계 발판 20...비계 봉
30...안전바 40...고정부
41...제1 보강부 43...제2 보강부
140..길이 조절부 240..슬라이더
241..걸림 고리

Claims (4)

  1. 고소 작업 위치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비계 발판;
    상기 비계 발판의 사이를 연결하되, 연직선 상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길이 방향의 대향하는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비계 발판들을 연결하도록 복수개로 설치되는 비계 봉; 및
    상기 비계 봉의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비계 발판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비계 발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비계 발판에 수평한 상태로 상기 비계 봉의 사이를 복수의 위치에서 연결하여 상기 비계 발판의 상부에 위치한 작업자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바;
    상기 비계 발판의 가장자리와 상기 비계 봉의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부;
    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비계 발판의 하부와 상기 비계 봉의 측면 사이에 용접되며, 일측면은 상기 비계 발판의 하부면에 접한 상태로 고정되고, 타측면은 상기 비계 봉의 측면에 접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비계 봉과 상기 비계 발판의 사이를 연결하는 삼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1 보강부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연장되며 상기 비계 봉의 측면에 고정되되, 일단은 상기 삼각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비계봉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복수위치에서 상기 비계 봉에 용접되는 제2 보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바의 길이 방향의 일측에 양단이 나사 결합되는 구조로 마련되어, 비계의 뒤틀림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안전바의 길이조절을 통해 뒤틀림 보정이 가능하게 하며,
    상기 안전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는 안전 로프가 연결되는 걸림 고리가 구비되는 안전 비계.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60004548U 2016-08-05 2016-08-05 안전 비계 KR2004837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548U KR200483715Y1 (ko) 2016-08-05 2016-08-05 안전 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548U KR200483715Y1 (ko) 2016-08-05 2016-08-05 안전 비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715Y1 true KR200483715Y1 (ko) 2017-06-15

Family

ID=59093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548U KR200483715Y1 (ko) 2016-08-05 2016-08-05 안전 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71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07769A (ja) * 2018-07-06 2020-01-16 株式会社新成工業 伸縮式連結具
KR102081453B1 (ko) * 2019-09-22 2020-02-25 춘천가설 주식회사 모듈조립형 시스템 비계 및 이를 위한 일체형 비계모듈
KR102081452B1 (ko) * 2019-09-22 2020-02-25 춘천가설 주식회사 일체형 비계모듈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스마트 시스템 비계
KR20200128217A (ko) 2019-04-17 2020-11-12 김시보경 Iot기반의 다중 안전 비계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3917U (ko) * 1995-09-14 1997-04-28 김용환 천정 돌림테 고정구
KR100486894B1 (ko) * 2005-01-21 2005-05-03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비계용 발판받침대
KR101224183B1 (ko) * 2012-04-18 2013-01-22 신성컨트롤(주) 조립식 시스템비계
KR20160081723A (ko) 2014-12-31 2016-07-08 박승근 건축 비계용 간격자재와 이를 이용한 안전발판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3917U (ko) * 1995-09-14 1997-04-28 김용환 천정 돌림테 고정구
KR100486894B1 (ko) * 2005-01-21 2005-05-03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비계용 발판받침대
KR101224183B1 (ko) * 2012-04-18 2013-01-22 신성컨트롤(주) 조립식 시스템비계
KR20160081723A (ko) 2014-12-31 2016-07-08 박승근 건축 비계용 간격자재와 이를 이용한 안전발판용 거치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07769A (ja) * 2018-07-06 2020-01-16 株式会社新成工業 伸縮式連結具
KR20200128217A (ko) 2019-04-17 2020-11-12 김시보경 Iot기반의 다중 안전 비계시스템
KR102081453B1 (ko) * 2019-09-22 2020-02-25 춘천가설 주식회사 모듈조립형 시스템 비계 및 이를 위한 일체형 비계모듈
KR102081452B1 (ko) * 2019-09-22 2020-02-25 춘천가설 주식회사 일체형 비계모듈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스마트 시스템 비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715Y1 (ko) 안전 비계
KR101246665B1 (ko) 지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낙하방지용 안전망 지지장치
WO2014080998A1 (ja) 足場または支保工の支柱用鋼管
EP2757212A1 (en) Device for mounting a safety railing on formwork for floor slabs
JP2013076315A (ja) クサビ用枠付クランプ
JP3181041U (ja) 橋梁用足場取付け部材
KR101076562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
KR200425807Y1 (ko) 인양형 갱폼
US20030183453A1 (en) Interlocking scaffold plank
KR101761056B1 (ko) 사다리난간의 연장이 가능한 조립식 틀비계
JP6678308B2 (ja) 煙突解体用足場
KR200413590Y1 (ko) 고하중 비계 및 이의 조립구조
JP6375141B2 (ja) 足場装置、及び、その足場装置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躯体の施工方法
KR100808291B1 (ko) 거더타입 교량용 안전장치
KR200482903Y1 (ko) 생명선 설치용 지주
EP1972739A2 (en) Extendable safety guardrail
KR102213584B1 (ko) 안전발판 설치를 위한 트러스 고정구조
US20170030094A1 (en) Re-positionable floor guide system and tool for use in the same
JP2014043678A (ja) 安全支柱用の型枠取付け金具
JP2013144873A (ja) 屋根上で命綱を固定するためのリードロープの布設システム
JP5476738B2 (ja) スレート屋根用安全設備
EP3015624B1 (en) Side railing for a shoring tower
JP6495846B2 (ja) 法面のアンカー工事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レールユニットセット
JP5963829B2 (ja) 仮設足場用階段枠
KR200381290Y1 (ko) 건설용 족장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