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6738A - 케이블 장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장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6738A
KR20110096738A KR1020100016153A KR20100016153A KR20110096738A KR 20110096738 A KR20110096738 A KR 20110096738A KR 1020100016153 A KR1020100016153 A KR 1020100016153A KR 20100016153 A KR20100016153 A KR 20100016153A KR 20110096738 A KR20110096738 A KR 20110096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ocket member
connector
screw portion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태
최기훈
김정우
김문호
Original Assignee
진성토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토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성토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6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6738A/ko
Publication of KR20110096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7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exible Sha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장력조절장치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소켓부재(20,60)의 관통공(22,62)에 형성된 테이퍼부(26,66)에 설치되는 패스너(30,70)가 다수개의 쐐기편(32,72)으로 구성된다. 상기 쐐기편(32,72)은 횡단면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원주형상이고 그 폭이 후단에 비해 선단이 좁게 된다. 상기 쐐기편(32,72)은 탄성을 가지는 링형상의 연결부재(36,76)에 의해 후단이 연결된다. 상기 쐐기편(32,72)은 상기 소켓부재(20,60)의 내부에 록볼트(40,80)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록볼트(40,80)에 의해 패스너(30,70)가 상기 소켓부재(20,60) 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외력에 의해 상기 패스너(30,70)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패스너(30,70)가 다수개로 분리되어 연결부재(36,76)에 의해 연결되므로 패스너(30,70)가 보다 케이블(10)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패스너(30,70)의 호환성이 높아지면서도 케이블(10)의 고정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되고 보다 정확하게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장력조절장치{Controls for cable tension}
본 발명은 케이블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양단의 양단과 구조물의 사이를 보다 견고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장력조절이 용이한 케이블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들이 만들어지면서 케이블을 사용하여 구조물 사이를 연결하고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교량에 설치되는 보도교(육교)나 자전거 도로를 교량에 지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케이블을 사용하는데, 이들 케이블의 양단을 교량 및 보도교나 자전거 도로에 연결하여 이들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여 일정하게 보도교나 자전거 도로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케이블 장력조절장치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591896인 케이블 장력조절장치가 있다. 이 특허는 케이블의 양단에 설치되어 구조물사이에서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고 구조물 사이를 연결하여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 특허에서는 소켓부재 내에 설치되어 케이블이 소켓부재에 연결되도록 하는 패스너가 상기 소켓부재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고 유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 때문에 보도교나 자전거 도로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일부 패스너가 상기 소켓부재 내에서 움직여 원래의 위치에 있지 않게 되면 보도교나 자전거 도로의 지지상태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되지 않을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패스너는 전체가 일체로 되어 있어 상기 소켓부재의 내면에 밀착되어 압착되는 정도에 한계가 있다. 즉, 패스너의 탄성변형정도가 상대적으로 작아 케이블에 완전히 압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의 직경에 맞게 다양한 치수의 패스너를 사용하여야 하고, 정확하게 설계되어 만들어진 패스너를 사용하지 않으면 케이블의 고정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블을 고정하는 패스너가 소켓부재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을 소켓부재에 고정시키는 패스너를 다수개의 조각으로 구성하여 케이블의 직경에 상관없이 압착정도가 일정하게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케이블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케이블의 단부를 둘러싸는 다수개로 분리되는 쐐기편이 링형상의 연결부재로 연결되고 선단의 내경이 후단의 내경보다 작게 되는 패스너와,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상기 패스너가 위치되는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소켓부재와, 상기 소켓부재의 관통공에 형성된 록볼트나사부에 설치되어 상기 패스너가 상기 소켓부재 내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록볼트와, 상기 소켓부재를 구조물의 일측에 연결하는 커넥터와, 상기 케이블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 해당되는 상기 소켓부재와 커넥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소켓부재와 커넥터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는 턴버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스너를 구성하는 상기 쐐기편은 그 횡단면이 원주형상의 곡선으로 선단에 비해 후단의 폭이 더 크게 되고, 상기 쐐기편의 후단 외면을 따라서는 상기 연결부재가 안착되는 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탄성을 가진다.
상기 록볼트는 그 외면에 볼트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부재의 관통공에 형성된 상기 록볼트나사부의 내면에는 상기 볼트나사부와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턴버클의 양단에 해당되는 상기 소켓부재의 후단과 상기 커넥터의 선단외면에는 각각 고정너트가 구비되어 턴버클의 이동을 규제한다.
상기 커넥터와 소켓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 상기 커넥터의 선단에는 상기 소켓부재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내면에는 상기 소켓부재의 후단 외면에 형성된 연결나사부가 체결되는 제1고정나사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의 장력조절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에 밀착된 상태로 소켓부재의 관통공내에 걸어지는 패스너가 소켓부재 내에 록볼트에 의해 고정되므로 소켓부재 내에서 패스너가 유동되지 않아 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물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소켓부재 내에 패스너가 정확하게 고정되어 케이블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구조물의 안정성이 보다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패스너를 다수개의 별개의 쐐기편을 연결하여 구성하므로, 패스너가 다양한 직경의 케이블에 밀착될 수 있어 패스너의 호환성이 높아지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장력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패스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장력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케이블 장력조절장치는 케이블(1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구조물에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10)의 일단에 연결된 케이블 장력조절장치는 제1커넥터(12)에 의해 구조물에 고정된다. 상기 제1커넥터(12)는 일단부에 삽입공(13)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13)의 내면에는 고정나사부(13')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13)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소켓부재(2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1커넥터(12)의 타단부에는 고정슬롯(14)이 일정 길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슬롯(14)은 상기 제1커넥터(1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데, 그 내부에는 상기 케이블(10)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물의 일부가 삽입된다. 상기 제1커넥터(12)의 상기 고정슬롯(14)을 통과하도록 고정핀(16)이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핀(16)은 구조물을 관통하여 제1커넥터(12)가 구조물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핀(16)의 일단부에는 스토퍼(18)가 결합되어 고정핀(16)을 제1커넥터(12)에 고정하게 된다.
제1소켓부재(20)는 그 후단부가 상기 제1커넥터(12)에 결합된다. 즉, 상기 제1커넥터(12)의 삽입공(13)에 상기 제1소켓부재(20)의 후단부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소켓부재(20)의 후단 외면에는 연결나사부(20')가 형성된다.
상기 제1소켓부재(20)를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관통공(2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2)은 상기 제1소켓부재(20)의 후단에서부터 차례로,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록볼트나사부(24),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부(26), 그리고 제1소켓부재(20)의 선단에 위치하는 케이블통공부(28)로 구성된다.
상기 제1소켓부재(20)의 내부에는 제1패스너(20)가 설치된다. 상기 제1패스너(20)는 케이블(10)의 단부를 둘러싸서 밀착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쐐기편(32)으로 구성된다. 상기 쐐기편(32)은 횡단면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원호형상으로 후단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쐐기편(32)은 몇 개가 모여 하나의 원통형상(선단의 내경이 후단의 내경보다 작은)으로 된다. 상기 쐐기편(32)의 후단에는 외면을 둘러 연결홈(34)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34)에는 연결부재(36)가 위치되어 다수개의 쐐기편(32)을 원통형으로 만들게 된다. 상기 쐐기편(32)이 다수개 결합되어 만들어지는 패스너(30)를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관통공(38)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공(38)은 선단의 직경이 후단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36)는 링형상으로 되는 것으로, 약간의 탄성이 있는 것이 좋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상기 제1패스너(20)은 상기 제1소켓부재(20)의 테이퍼부(26) 내에 안착된다.
상기 제1소켓부재(20)의 록볼트나사부(24)에는 제1록볼트(42)가 설치된다. 상기 제1록볼트(42)는 원기둥형상으로 된 것으로, 외면에 볼트나사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나사부(42)는 상기 록볼트나사부(24)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소켓부재(20)의 관통공(22) 내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상기 제1록볼트(42)는 상기 제1패스너(20)를 상기 제1소켓부재(20)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블(10)의 타단부를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해 제2커넥터(52)가 구비된다. 상기 제2커넥터(52)의 선단은 원기둥형상으로 되는데, 그 외면에는 조절나사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나사부(5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턴버클(86)이 상대 회전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제2커넥터(52)의 후단에도 구조물의 일부가 삽입되는 고정슬롯(54)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슬롯(54)을 관통하도록 고정핀(56)이 상기 제2커넥터(52)의 후단을 횡으로 관통한다. 상기 고정핀(58)은 상기 고정슬롯(54)에 위치된 구조물을 관통하여 제2커넥터(52)가 구조물과 고정되도록 한다. 도면부호 58은 상기 고정핀(58)을 제2커넥터(52)에 고정하는 스토퍼이다.
상기 제2커넥터(52)에 아래에서 설명될 턴버클(86)에 의해 연결되도록 제2소켓부재(6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소켓부재(60)는 상기 제1소켓부재(20)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제2소켓부재(60)의 후단 외면에는 연결나사부(60')가 형성되어 턴버클(86)과 결합된다. 상기 제2소켓부재(60)의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관통공(6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62)은 상기 제2소켓부재(60)의 후단부터 차례로, 록볼트나사부(64), 테이퍼부(66) 및 케이블통공부(68)로 된다. 상기 록볼트나사부(64)의 내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테이퍼부(66)는 제2소켓부재(60)의 선단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게 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통공부(68)는 상기 제2소켓부재(60)의 선단에 위치된다.
제2패스너(70)는 상기 제1패스너(3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즉 상기 제2패스너(70)는 다수개의 쐐기편(72)으로 구성되고, 상기 쐐기편(72)은 그 후단 외면에 형성된 연결홈(74)에 안착된 연결부재(76)에 의해 연결되어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78)이 선단의 내경이 후단의 내경보다 작게 되도록 된다.
상기 제2패스너(70)를 상기 제2소켓부재(60)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해 제2록볼트(80)가 사용된다. 상기 제2록볼트(80)의 외면에는 볼트나사부(82)가 형성되어 상기 제2소켓부재(60)의 록볼트나사부(64)에 고정된다.
턴버클(86)은 상기 제2커넥터(52)와 제2소켓부재(6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를 위해 원통형상의 상기 턴버클(86)의 내부에는 조절나사부(88)가 형성된다. 상기 조절나사부(88)에는 상기 제2커넥터(52)의 조절나사부(52')와 제2소켓부재(60)의 연결나사부(60')가 결합되어 상기 제2커넥터(52)와 제2소켓부재(6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에 의해 케이블(10)의 장력을 조정하게 된다.
상기 턴버클(86)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각각 상기 제2커넥터(52)와 제2소켓부재(60)에는 각각 제1 및 제2고정너트(90,90')가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너트(90,90')는 상기 턴버클(86)이 상기 제2커넥터(52) 및 제2소켓부재(60)에 대해 외력에 의해 임의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장력조절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1 및 제2 소켓부재(20,60)에 케이블(10)을 연결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제1 및 제2 소켓부재(20,60)의 관통공(22,62)을 선단에서부터 관통하여 케이블(10)이 상기 관통공(22,62)의 후단으로 빠져나오게 한다.
상기 관통공(22,62)을 빠져나온 케이블(10)의 양단에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패스너(30,70)를 설치한다. 상기 제1 및 제2 패스너(30,70)는 후단이 연결부재(36,76)에 의해 연결된 다수개의 쐐기편(32,7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패스너(30,70)는 선단의 내경이 후단의 내경에 비해 작으므로, 상기 제1 및 제2 소켓부재(20,60)에 형성된 관통공(22,62)의 테이퍼부(26,66)에 삽입되었을 때, 쐐기편(32,72)사이, 특히 쐐기편(32,72)의 선단이 서로 밀착될 때까지 상기 테이퍼부(26,66)의 내면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쐐기편(32,72)이 케이블(10)의 외면에 보다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패스너(30,70)를 상기 제1 및 제2 소켓부재(20,60)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22,62)의 테이퍼부(26,66)에 위치되게 한 후에는 상기 제1 및 제2 록볼트(40,80)를 상기 제1 및 제2소켓부재(20,60)의 내부에 삽입한다. 상기 록볼트(40,80)들이 상기 소켓부재(20,6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패스너(30,70)의 후단을 지지하게 되면 상기 패스너(30,70)는 상기 소켓부재(20,60) 내에 고정된다. 상기 록볼트(40,80)에는 상기 케이블(10)의 단부가 위치될 수 있는 통공이 그 길이방향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록볼트(40,80)를 상기 제1 및 제2 소켓부재(20,60) 내부에 설치한 후에는 상기 제1 소켓부재(20)를 제1커넥터(12)에 연결하고, 상기 제2소켓부재(60)를 턴버클(86)을 사용하여 제2커넥터(52)에 연결한다.
상기 턴버클(86)은 그 내부의 조절나사부(88)를 상기 제2소켓부재(60) 및 제2커넥터(52)에 각각 결합함에 의해 제2소켓부재(60)와 제2커넥터(5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이는 케이블(1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12,52)가 각각 구조물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턴버클(86)을 조절하면 케이블(10)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턴버클(86)의 설치위치가 고정되면, 상기 턴버클(86)의 양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2커넥터(52)와 제2소켓부재(60)의 제1 및 제2 고정너트(90,90')를 이동시켜 준다. 이와 같이 되면 케이블(10)의 장력조절이 완성되고 케이블(10)에 의한 구조물의 지지가 완성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턴버클(86)이 케이블(10)의 일측 단부에 해당되는 위치에만 있으나, 턴버클(86)이 케이블(10)의 양측 단부에 해당되는 위치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제1 커넥터(12) 및 제1소켓부재(20)의 사이에도 턴버클(86)이 있을 수 있다.
10: 케이블 12: 제1소켓부재
13: 삽입공 13': 제1고정나사부
14: 고정슬롯 16: 고정핀
18: 스토퍼 20: 제1소켓부재
22: 관통공 24: 록볼트나사부
26: 테이퍼부 28: 케이블통공부
30: 제1패스너 32: 쐐기편
34: 연결홈 36: 연결부재
38: 관통공 40: 제1록볼트
42: 볼트나사부 52: 제2커넥터
52': 조절나사부 54: 고정슬롯
56: 고정핀 58: 스토퍼
60: 제2소켓부재 62: 관통공
64: 록볼트나사부 66: 테이퍼부
68: 케이블통공부 70: 제2패스너
72: 쐐기편 74: 연결홈
76: 연결부재 78: 관통공
80: 제2록볼트 82: 볼트나사부
86: 턴버클 88: 조절나사부
90: 제1고정너트 90': 제2고정너트

Claims (5)

  1. 케이블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케이블의 단부를 둘러싸는 다수개로 분리되는 쐐기편이 링형상의 연결부재로 연결되고 선단의 내경이 후단의 내경보다 작게 되는 패스너와,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상기 패스너가 위치되는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소켓부재와,
    상기 소켓부재의 관통공에 형성된 록볼트나사부에 설치되어 상기 패스너가 상기 소켓부재 내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록볼트와,
    상기 소켓부재를 구조물의 일측에 연결하는 커넥터와,
    상기 케이블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 해당되는 상기 소켓부재와 커넥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소켓부재와 커넥터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는 턴버클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장력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를 구성하는 상기 쐐기편은 그 횡단면이 원주형상의 곡선으로 선단에 비해 후단의 폭이 더 크게 되고, 상기 쐐기편의 후단 외면을 따라서는 상기 연결부재가 안착되는 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탄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장력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볼트는 그 외면에 볼트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부재의 관통공에 형성된 상기 록볼트나사부의 내면에는 상기 볼트나사부와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장력조절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턴버클의 양단에 해당되는 상기 소켓부재의 후단과 상기 커넥터의 선단외면에는 각각 고정너트가 구비되어 턴버클의 이동을 규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장력조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소켓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 상기 커넥터의 선단에는 상기 소켓부재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내면에는 상기 소켓부재의 후단 외면에 형성된 연결나사부가 체결되는 제1고정나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장력조절장치.
KR1020100016153A 2010-02-23 2010-02-23 케이블 장력조절장치 KR201100967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153A KR20110096738A (ko) 2010-02-23 2010-02-23 케이블 장력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153A KR20110096738A (ko) 2010-02-23 2010-02-23 케이블 장력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738A true KR20110096738A (ko) 2011-08-31

Family

ID=44931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153A KR20110096738A (ko) 2010-02-23 2010-02-23 케이블 장력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673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8306A (zh) * 2013-08-01 2013-11-13 柳州欧维姆机械股份有限公司 超长斜拉索外护套管伸缩补偿装置
CN105525567A (zh) * 2015-12-19 2016-04-27 长安大学 一种用于拱桥斜拉扣索微张装置
CN108221685A (zh) * 2017-12-22 2018-06-29 安徽省交通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斜拉桥同向回转拉索的张拉方法
KR102452561B1 (ko) * 2022-07-20 2022-10-07 백종훈 크롭 평량 설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8306A (zh) * 2013-08-01 2013-11-13 柳州欧维姆机械股份有限公司 超长斜拉索外护套管伸缩补偿装置
CN103388306B (zh) * 2013-08-01 2015-07-29 柳州欧维姆机械股份有限公司 超长斜拉索外护套管伸缩补偿装置
CN105525567A (zh) * 2015-12-19 2016-04-27 长安大学 一种用于拱桥斜拉扣索微张装置
CN108221685A (zh) * 2017-12-22 2018-06-29 安徽省交通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斜拉桥同向回转拉索的张拉方法
CN108221685B (zh) * 2017-12-22 2020-01-03 安徽省交通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斜拉桥同向回转拉索的张拉方法
KR102452561B1 (ko) * 2022-07-20 2022-10-07 백종훈 크롭 평량 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6024B2 (en) Spring loaded parallel pad clamp
KR100591896B1 (ko)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KR101858769B1 (ko) 레일, 특히 오버헤드 컨베어 또는 리프팅 기어의 레일 서스펜션 기구
US9829026B2 (en) Anchor bolt
KR20110096738A (ko) 케이블 장력조절장치
US10047775B2 (en) Attachment element
US6681431B2 (en) Adjustable anchor bearing a civil engineering structure
JP6552725B2 (ja) ケーブル係留システム
US20080265112A1 (en) Standoff support system
US20190356123A1 (en) Fastener assembly
CN105209698A (zh) 用于将面板连接到梁的抗震连接装置
US10156248B2 (en) Profile connector and profile assembly
CN101949405B (zh) 用于强制锁定彼此正交定向的两个元件的装置
CN104124545A (zh) 印制电路板连接装置
KR100913521B1 (ko) 케이블 장력조절용 턴버클
KR20090131476A (ko) 인장 부재 연결용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인장부재 연결
US20060117861A1 (en) Material tester
US20120102679A1 (en) Adjustable socket for ferrule rope
US20150192016A1 (en) Truss eye
KR20110003503U (ko) 케이블 포설기구
KR200416815Y1 (ko)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US20220316506A1 (en) A Beam Clamp, and a Mounting Assembly
US11215263B2 (en) Bidirectional wedge clamp
US9625132B2 (en) Light fixture mounting system
KR20210061568A (ko) 가변각 와이어 고정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