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815Y1 -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815Y1
KR200416815Y1 KR2020060005641U KR20060005641U KR200416815Y1 KR 200416815 Y1 KR200416815 Y1 KR 200416815Y1 KR 2020060005641 U KR2020060005641 U KR 2020060005641U KR 20060005641 U KR20060005641 U KR 20060005641U KR 200416815 Y1 KR200416815 Y1 KR 2004168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ension
present
socket
cable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6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순섭
Original Assignee
한우물중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우물중공업(주) filed Critical 한우물중공업(주)
Priority to KR20200600056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8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8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8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이나 철 구조물과 같은 건축물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소켓부재 내에 압착 고정되는 패스너를 채택함으로써, 케이블의 고정이 용이하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나고, 케이블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설치 후에도 케이블의 장력조절이 가능하므로 설치상태에 대한 유지 및 관리가 편리한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부식이나 손상에 따른 케이블의 교체가 용이하고, 케이블의 견고한 결합으로 장치의 내구성이 제고됨은 물론, 설치 이후 필요에 따라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시공이나 유지 및 보수작업이 간편하고, 주요 구성에 대한 육안검사가 가능하므로 비용을 절감하는 등 경제적인 효과가 도모된다.
철 구조물, 교량, 케이블, 다리, 육교, 장력, 사장교, 현수교

Description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Cable tension control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의 결합 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의 결합 상태 단면도.
도 6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의 분해 상태 단면도.
도 7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블 장력 조절치의 케이블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의 패스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케이블 11 : 심선
12 : 강선 20a,20b : 소켓부재
21a,21b : 통공 22a,22b : 체결수단
30a,30b : 패스너 31 : 삽입공
32 : 삽입홈 40 : 연결부재
41 : 결합공 42 : 고정핀
43 : 결합수단 50 : 조절수단
51 : 턴버클 52a,52b : 슬리브
본 고안은 교량이나 철 구조물과 같은 건축물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소켓부재 내에 압착 고정되는 패스너를 채택함으로써, 케이블의 고정이 용이하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나고, 케이블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설치 후에도 케이블의 장력조절이 가능하므로 설치상태에 대한 유지 및 관리가 편리한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구조물이나 건축물 등은 이미 조형물로써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것으로써, 설계단계에서부터 역학적 안전성과 함께 미적 심미감이 매우 중요하게 고려된다. 이와 같은 요건을 충족시키는 대표적인 구조물을 든다면, 현수교(Suspension Bridge) 또는 사장교(Cable-stayed Bridge)와 같은 교량을 들 수 있다.
상기 교량에서 핵심을 이루는 구성이라 할 수 있는 케이블에 관한 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536228호(2005. 12. 6. 공고,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서 개시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종래기술은 앵커볼트(1)에 결합되며, 베어링(2a)이 구비된 지지부재(2)와, 여기에 나사결합 되어 케이블(3)의 선단이 고정된 하우징(4) 및 상기 케이블(3)이 하우징(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클립부재(5), 그리고 하우징(4) 내에서 클립부재(5)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면 지지부재(2) 내에 베어링(2a)을 구비하여 회동가능하게 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충격 등으로부터 내구성을 높이거나, 또는 하우징(4) 속의 스프링부재(6)로부터 온도 등에 따른 케이블(3)의 신장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일부 효과가 발휘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케이블(3)의 이탈을 방지하는 클립부재(5)와의 결합을 위해 용접과 같은 용융접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용융접합은 실제 케이블의 특성변화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쳐 결국에는 전체 구성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종래기술은 케이블(3)의 선단에 걸리는 하중을 하우징(4) 내에서 스프링부재(6)로 지지함으로써, 바람과 같이 외부에서 돌발적인 힘이 작용되었을 때 케이블(3)의 진동을 가중시켜, 구조물의 안정성을 저해하며, 소음을 유발하는 등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소켓부재와 그 내부에 압착 고정되는 패스너로부터 케이블의 장력에 의해 양단을 고정하는 형태를 채택함으로써, 케이블의 고정이 용이하고 견고하므로 내구성이 제고되는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케이블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조절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설치 이후 필요에 따라 케이블의 장력조절이 가능하므로 시공이나 유지 및 보수작업이 간편하고 비용절감이 도모되는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는 소켓부재와 그 내부에 마련된 통공에 압착 고정되는 패스너를 구비하여 케이블의 양단을 고정하되, 소켓부재에 마련된 통공의 내경이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갈수록 점점 줄어드는 테이퍼 형태로 이루어져, 케이블의 장력에 의해 패스너가 소켓부재의 통공 내벽에 압착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것에 핵심적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는 케이블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조절수단을 마련하여, 설치 후 필요에 따라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는 케이블(10)의 양 끝단에 마련되는 것으로써, 패스너(30a)(30b)를 포함 하는 소켓부재(20a)(20b)와 이에 암수로 결합되는 결합수단(43)이 구비된 연결부재(40)로 대별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서처럼 소켓부재(20a)(20b)의 체결수단(22a)(22b)에 암나사형 결합수단(43)이 구비된 연결부재(40)를 결합하여, 좌우 연결부재(40)의 형태가 동일함에 따라 양단부의 형상이 서로 대칭적인 형태 또는, 도 4 및 도 5에서처럼 소켓부재(20a)(20b)의 체결수단(22a)(22b)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조절수단(50)을 구비하고, 이 조절수단(50)과 결합되는 연결부재(40)에는 수나사 형태의 결합수단(43)이 구비된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7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케이블(10)은 심선(11)을 중심으로 다수의 강선(12)이 그 주위로 감겨 꼬인 형태로써, 내식성 및 내구성이 뛰어난 스테인레스와 같은 재질이 좋으나, 상기 심선(11) 및 강선(12)은 서로 다른 소재로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소켓부재(20a)(20b)는 그 중심으로 관통되는 통공(21a)(21b)이 구비되어, 케이블(10)의 선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외측으로는 체결수단(22a)(22b)을 형성하여 연결부재(4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소켓부재(20a)(20b)의 통공(21a)(21b)은 케이블(10)의 선단에 배치되는 패스너(30a)(30b)가 고정될 수 있는 형태 즉, 패스너(30a)(30b)의 고정을 위한 턱이 구비된 형태, 또는 소정의 기울기로 테이퍼 진 관통공 형태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수단(22a)(22b)은 소정의 나사산이 형성된 형태 또는, 서로 맞물리는 돌기 내지 홈으로 이루어진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패스너(30a)(30b)는 소켓부재(20a)(20b)의 통공(21a)(21b) 속에 고정되어 케이블(10)의 양단을 고정시키는 일종의 스토퍼로써, 그 외형은 소켓부재(20a)(20b)의 통공(21a)(21b)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턱이 구비된 통공(21a)(21b) 형태에서는 패스너(30a)(30b)의 외형이 턱에 의해 고정되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테이퍼 진 통공(21a)(21b) 형태에서는 길이방향으로 통공(21a)(21b)의 테이퍼 기울기와 동일하게 테이퍼 진 형태로 이루어져, 케이블(10)의 장력에 의한 압착이 좋도록 한다.
특히, 패스너(30a)(30b)는 도 8에서처럼 케이블(10)의 결합을 위한 삽입공(31) 및 삽입홈(32)을 구비하여 용접과 같은 용융접합 없이도 고정 가능하게 한다. 즉, 패스너(30a)(30b)의 본체는 케이블(10)의 심선(11)과 다수의 강선(12)에 각각 대응되는 삽입공(31)과 삽입홈(32)을 구비하되, 원형의 삽입공(31)은 정중앙에 그리고 반원형의 삽입홈(32)은 가장자리의 경계부분에 마련하여, 체결시 케이블(10)의 강선(12)을 소켓부재(20a)(20b)의 통공(21a)(21b) 내벽에 압착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연결부재(40)는 소켓부재(20a)(20b)의 체결수단(22a)(22b) 또는 조절수단(50)의 턴버클(51)과 암수결합이 가능한 형태 즉, 암나사 또는 수나사 형태로 이루어진 결합수단(43)이 구비되며, 몸체의 단면이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그 단부를 관통하는 결합공(41)과 이에 체결되는 고정핀(42)을 구비함으로써, 설치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연결구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연결부재(40)의 바람직한 형태는 설치되는 구조물의 연결구에 따라서 결합에 따른 간섭이 적은 형태로 변경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는 케이블(10)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케이블(10)의 장력조절을 위한 조절수단(50)이 구비된 형태로도 가능하다. 즉, 소켓부재(20a)(20b)의 체결수단(22a)(22b)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조절수단(50)을 구비하되, 이 조절수단(5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40)는 수나사 형태의 결합수단(43)이 일체된 형태로 하여, 조절수단(50)의 작동에 따라 그 속으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절수단(50)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환형 봉 형태의 턴버클(51)을 포함하는 것으로, 그 외형은 소정의 다각형을 형성하며, 그 내측에는 가운데에서 양쪽으로 서로 반대되는 나사산이 구비된 형태가 좋다. 이때, 상기 조절수단(50)의 턴버클(51)은 한쪽으로 소켓부재(20b)의 체결수단(22b)과 결합하고, 다른 쪽으로는 연결부재(40)와 결합하여, 턴버클(51)을 회전시켰을 때, 케이블(10)의 장력이 조절되면서 소켓부재(20b)의 체결수단(22b)과 연결부재(40)의 결합수단(43)이 인입되거 나 인출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조절수단(50) 중 턴버클(51)의 양단에는 소켓부재(20b)의 체결수단(22b)과 연결부재(40)의 결합수단(43)을 보호하기 위한 슬리브(52a)(52b)가 구비된 형태가 좋다. 즉, 케이블(10)의 설치상태가 이완되게 턴버클(51)을 회전시켰을 때, 소켓부재(20b)의 체결수단(22b)과 연결부재(40)의 결합수단(43)이 턴버클(51)의 내부 양끝단 쪽으로 인출된다. 이때, 슬리브(52a)(52b)가 소켓부재(20b)의 체결수단(22b)과 연결부재(40)의 결합수단(43)을 덮어 줌으로써, 밖으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 바람이나 눈, 비와 같은 요인으로부터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는 심선(11) 및 다수의 강선(12)으로 이루어진 소정의 케이블(10) 양단을 소켓부재(20a)(20b) 속으로 삽입하되, 이 소켓부재(20a)(20b)의 통공(21a)(21b)을 관통한 케이블(10)의 양단에는 패스너(30a)(30b)를 배치한다. 이때, 케이블(10)의 중앙 심선(11)은 삽입공(31)에 다수의 강선(12)은 삽입홈(32)에 각각 대응시키게 된다.
이후, 소켓부재(20a)(20b) 중 한 쪽을 고정한 상태에서 다른 쪽을 잡아당기면 케이블(10)의 양단에 장착된 패스너(30a)(30b)가 소켓부재(20a)(20b)의 통공(21a)(21b) 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케이블(10)의 강선(12)을 압착하게 되므로 상기 케이블(10)의 양단은 소켓부재(20a)(20b)의 테이퍼 진 통공(21a)(21b) 면과 패스너(30a)(30b)의 삽입홈(32)에 의해 압착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소켓부재(20a)(20b)의 양 체결수단(22a)(22b)에 체결되는 암나사 형태의 결합수단(43)이 구비된 연결부재(40)를 설치함으로써, 도 2에서처럼 좌우형상이 서로 대칭인 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소켓부재(20a)(20b)의 체결수단(22a)(22b)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조절수단(50)이 구비된 형태 또한 가능하다. 이때, 조절수단(5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40)는 수나사 형태의 결합수단(43)을 구비함으로써, 작동시 조절수단(50)의 회전방향에 따라 인입 및 인출되게 된다. 아래에서는 후술한 형태에 따른 작동관계를 살펴본다.
상기한 조절수단(50)은 턴버클(51)의 좌우 양단에 소켓부재(20b)의 체결수단(22b) 및 연결부재(40)의 결합수단(43)을 보호하기 위한 슬리브(52a)(52b)를 삽입한 뒤, 턴버클(51)과 소켓부재(20b)의 체결수단(22b) 및 연결부재(40b)의 결합수단(43)을 결합한다. 즉, 턴버클(51)을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소켓부재(20b)의 체결수단(22b) 및 연결부재(40)의 결합수단(43)이 턴버클(51)의 내부 중심으로 인입되면서 케이블(10)의 설치상태를 긴장시키고, 이와 반대 방향으로 턴버클(51)을 회 전시키면, 소켓부재(20b)의 체결수단(22b) 및 연결부재(40)의 결합수단(43)이 턴버클(51)의 내부 양단으로 인출되면서 케이블(10)의 설치상태를 이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는 연결부재(40)의 고정핀(42)을 이용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연결구에 결합하여, 구조물의 역학구조를 보강하면서 조형성을 부각시키게 되는 것으로, 설치 후에는 케이블(10)의 긴장 및 이완상태를 조절수단(50)을 통해 조절가능함으로 기후와 같은 온도변화에 따른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의 특정 실시형태에 한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 실시하는 것 또한 본 고안의 기재된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는 소켓부재와 그 내부에 압착 고정되는 패스너로부터 케이블의 양단을 고정하는 형태를 채택함으로써, 부식이나 손상에 따른 케이블의 교체가 용이하고, 케이블의 견고한 결합으로 장치의 내구성은 물론, 구조물의 안전성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케이블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조절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설치 이후 필요에 따라 케이블의 장력조절이 가능하므로 시공이나 유지 및 보수작업이 간편하고, 주요 구성에 대한 육안검사가 가능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 경제적인 효과가 도모된다.

Claims (6)

  1. 다수의 강선(12)이 심선(11)에 꼬여 감긴 케이블(10)의 양 끝단에 마련된 것으로써,
    상기 케이블(10)의 끝단이 삽입되는 통공(21a)(21b)이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체결수단(22a)(22b)이 형성된 소켓부재(20a)(20b)와;
    상기 소켓부재(20a)(20b)의 통공(21a)(21b) 면에 압착 고정되며, 케이블(10)의 끝단에 장착되는 패스너(30a)(30b);
    그리고 상기 소켓부재(20a)(20b)의 체결수단(22a)(22b)에 암수로 결합되는 결합수단(43)이 구비된 연결부재(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재(20a)(20b)의 통공(21a)(21b) 및 패스너(30a)(30b)는 테이퍼 진 형태에 의해 압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30a)(30b)는 상기 케이블(10)의 심선(11) 및 강선(12)에 각각 대응되는 형태로써, 중앙에 삽입공(31)과 가장자리에 다수의 삽입홈(3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10)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케이블(10)의 장력조절을 위한 조절수단(5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50)은 내측 중앙에서 양쪽으로 서로 반대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턴버클(5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50)의 턴버클(51) 양단에는 나사산을 보호하기 위한 슬리브(52a)(52b)가 별도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KR2020060005641U 2006-03-02 2006-03-02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KR2004168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641U KR200416815Y1 (ko) 2006-03-02 2006-03-02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641U KR200416815Y1 (ko) 2006-03-02 2006-03-02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802A Division KR100591896B1 (ko) 2006-03-02 2006-03-02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815Y1 true KR200416815Y1 (ko) 2006-05-22

Family

ID=41766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641U KR200416815Y1 (ko) 2006-03-02 2006-03-02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81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501B1 (ko) 2008-12-22 2009-05-15 문경철 거푸집 고정 장치
KR101146120B1 (ko) 2009-12-24 2012-05-1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강선 케이블의 장력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501B1 (ko) 2008-12-22 2009-05-15 문경철 거푸집 고정 장치
KR101146120B1 (ko) 2009-12-24 2012-05-1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강선 케이블의 장력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1896B1 (ko)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US6679480B1 (en) Wire fastening device and wire extending structure using wire fastening devices
JP6552725B2 (ja) ケーブル係留システム
US6681431B2 (en) Adjustable anchor bearing a civil engineering structure
KR20130113424A (ko) 레일, 특히 오버헤드 컨베어 또는 리프팅 기어의 레일 서스펜션 기구
RU2422688C2 (ru) Винтовой анкер
KR970059382A (ko) 시어 커넥터용 앵커 부시, 시어 커넥터, 및 내부식성 고정물의 제조 방법
KR200416815Y1 (ko)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JP2013044198A (ja) 締結具
KR100892657B1 (ko) 인장재의 정착구
EP3601703A1 (de) Verfahren, befestigungselement und befestigungsanordnung zur anbringung und aktivierung von formgedächtnislegierungselementen an zu bewehrenden bauwerken
KR20090131476A (ko) 인장 부재 연결용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인장부재 연결
US20150192016A1 (en) Truss eye
KR100536228B1 (ko) 교량용 조형케이블 체결구조
EP1584865A2 (de) Verbindungsmittel für Leuchtenelemente
CN204823639U (zh) 自动扶梯和人行道铝合金梳齿支撑板连接梳齿板的结构
EP1680606B1 (de) Befestigungselement
CN110468969B (zh) 一种钢筋拉锚
KR102601071B1 (ko) 케이블 앵커
KR20050082325A (ko) 스페이스 프레임 트러스
DE102020002406B4 (de) Montagevorrichtung für Leuchten
KR200370935Y1 (ko) 장력 조정용 커넥터
KR20080111892A (ko) 인장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인장부재의 연결시공방법
RU56922U1 (ru) Соединитель тросовой сетки воздухоопорного сооружения
JP7188415B2 (ja) 楔型引留クランプ、および電線に固定装着された状態にある楔型引留クランプの連結板を交換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