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071B1 - 케이블 앵커 - Google Patents

케이블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071B1
KR102601071B1 KR1020230062821A KR20230062821A KR102601071B1 KR 102601071 B1 KR102601071 B1 KR 102601071B1 KR 1020230062821 A KR1020230062821 A KR 1020230062821A KR 20230062821 A KR20230062821 A KR 20230062821A KR 102601071 B1 KR102601071 B1 KR 102601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anchor
anchorage
wedge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2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김기현
Original Assignee
컨텍이앤씨 주식회사
김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컨텍이앤씨 주식회사, 김태훈 filed Critical 컨텍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62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4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f cable support type, i.e. frictionally-engaged loop-forming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4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사장교 또는 현수교와 같은 케이블 교량에 있어서,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의 죠 어셈블리와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의 콘 웨지가 양방향 웨지를 형성하고,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와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가 삽입되도록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의 선단부 바디부를 앵커 하우징에 체결함으로써, 케이블 정착구의 웨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와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가 삽입되는 앵커 하우징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방진댐퍼를 결합시킴으로써, 케이블 교량 구조물의 진동 및 케이블 정착구의 진동을 흡수하여 피로도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앵커 하우징이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체결됨으로써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 및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를 앵커 하우징 내부에 안착시킴에 따라 케이블 유형에 상관없이 모든 케이블에 적용할 수 있는, 케이블 앵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케이블 앵커 {CABLE ANCHOR}
본 발명은 케이블 앵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예컨대 사장교 또는 현수교와 같은 케이블 교량에 있어서 케이블 교량 구조물의 진동 및 케이블 정착구의 진동을 흡수하여 웨지의 이탈을 방지하고, 피로도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케이블 시공에 보다 효과적인 케이블 앵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장교(cable-stayed bridge) 또는 현수교(suspension bridge) 등 교량의 상부 구조물이 케이블들에 의해 지지되는 교량의 시공이 늘어나고 있고, 이러한 케이블들은 비바람에 의하여 유발되거나 또는 구조물의 움직임에 의하여 유도되는 진동을 종종 받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사장교 케이블의 진동저감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사장교 케이블의 진동저감 유닛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사장교(10)는 하나 이상의 주탑(11), 각 주탑(11)을 지지하며 지중에 박혀있는 교각(12a), 주탑(11)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교량 상판(12) 및 각각의 일단부가 주탑(11)에 고정되며 각각의 타단부가 교량 상판(12)에 연결되는 다수의 케이블(13)을 구비한다.
교량 상판(12)은 상판 본체(12a) 및 상기 상판 본체(12a)에 고정되는 다수의 케이블 앵커(12b)를 구비한다.
각 케이블(13)의 타단부에는 소켓 또는 앵커헤드(13a)가 결합되어 있으며, 그 소켓 또는 앵커헤드(13a)가 교량 상판(12)의 고정부재인 케이블 앵커(12b)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또는 앵커헤드(13a)는 교량 상판에 결합된 케이블 앵커(12b)에 고정됨으로써 교량 상판(12)에 고정된다.
또한, 케이블(13)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버페팅, 와류진동, 갤로핑 그리고 주탑(11)이나 인접 케이블(13)에 의한 웨이크 갤로핑과 같은 바람 및 비바람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이 발생된 진동은 사장교(10) 등의 교량의 수명을 감소시키게 되므로, 이러한 진동을 적절히 저감하는 방안이 연구되어 왔다.
예를 들면, 이러한 케이블(13)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하는 방법으로는 공기역학적 방법, 보조케이블에 의한 진동제어 방법 그리고 감쇠장치를 이용한 진동제어 방법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역학적 방법은 케이블(13)의 표면에 다양한 형상을 가진 돌출부를 형성하여 케이블(13) 주위를 유동하는 유체의 공기역학적 특성을 변화시켜주는 방법이다.
이러한 돌출부를 통해 진동을 저감하고자 하는 경우, 반드시 실물 풍동실험을 거쳐 그 진동의 저감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보조 케이블에 의한 진동 제어 방법은, 케이블(13)들을 서로 연결합으로써 케이블(13)들의 진동장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고유진동수를 높일 뿐만 아니라 부가적으로 감쇠 효과가 수반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이 고유진동수가 변화하게 되면 케이블(13)들의 공진을 막을 수 있고, 또한, 바람에 의한 진동시 임계 풍속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진동제어 방법으로 효과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유지관리에 신경을 써야 하며, 교량의 미관을 해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감쇠장치를 이용한 진동제어 방법은 케이블(13)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쇠장치(14)를 설치하여 그 케이블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하는 방법으로서, 그 진동제어 성능이 우수하여 최근 들어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감쇠장치(14)로는 점성 댐퍼, 점탄성 댐퍼, 마찰 댐퍼, 탄소성 댐퍼 등의 수동 감쇠장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그 감쇠장치의 위치에 따라 외부 댐퍼와 내부 댐퍼로 구별될 수 있다.
한편, 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어 케이블을 거더 등의 구조체에 접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케이블 앵커와 케이블 외면 사이의 틈에 수분이 침투하는 경우, 부식 또는 겨울철 동결에 의한 팽창으로 인해, 그 틈의 간격이 벌어지게 됨으로써 케이블 앵커와 케이블의 접합력이 감소할 수 있다.
이것은 케이블에 의하여 하중이 지지되는 교량에 있어서는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케이블 앵커와 케이블 사이의 틈새를 수밀한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케이블 앵커와 케이블 사이의 틈새를 수밀한 구조로 형성하도록 보호관(2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관(21)은 짧은 관 형상을 가지고 있어 케이블 앵커(22) 및 턴버클(23), 케이블(24)의 말단을 감싸고,
일단부는 내면이 나사가공되어 교량 구조체에 부착된 소켓(25)에 접합되며, 타단부는 케이블(24)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보호관(21)의 타단부에 보호캡(26)이 위치하고 보호캡의 내면과 케이블 사이에는 실리콘(27) 또는 합성수지 등을 충진하여 보호관(21) 내의 공간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한다.
그러나 이러한 보호관(21)은 설치 초기에는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지만, 케이블은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 부재가 아니기 때문에,
바람 등에 의해 발생하는 지속적인 진동에 의하여 보호관(21)과 보호캡(26), 보호관(21)과 소켓(25), 및 보호캡(26)과 실리콘(27)이 분리되고, 심한 경우에는 케이블의 진동이 보호관(21)으로 직접 전달됨으로써 보호관에 변형이 발생하게 되어 보호관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케이블 장력 조절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591896호에는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4의 a)는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의 결합 상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는 케이블(W)의 양 끝단에 마련되는 것으로, 패스너를 포함하는 소켓부재(30a, 30b)와 이에 암수로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구비된 연결부재(40)로 구별될 수 있다.
즉,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부재(30a, 30b)의 체결수단에 암나사형 결합수단이 구비된 연결부재(40)를 결합하며,
이때, 좌우 연결부재(40)의 형태가 동일함에 따라 양단부의 형상이 서로 대칭적인 형태이거나 또는 소켓부재(30a, 30b)의 체결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조절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 조절수단과 결합되는 연결부재(40)에는 수나사 형태의 결합수단이 구비될 수 있고, 또한, 고정핀(41)에 의해 고정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는 소켓부재와 그 내부에 압착 고정되는 패스너로부터 케이블의 양단을 고정하는 형태를 채택함으로써, 부식이나 손상에 따른 케이블의 교체가 용이하고, 케이블의 견고한 결합으로 장치의 내구성은 물론, 구조물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장력 조절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설치 이후 필요에 따라 케이블의 장력 조절이 가능하므로 시공이나 유지 및 보수작업이 간편하고, 주요 구성에 대한 육안검사가 가능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의 경우, 케이블 구조물이나 케이블(W)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한편, 케이블 정착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936081호에는 "케이블 정착장치"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케이블 정착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케이블 정착장치는, 웨지(51), 웨지블록(52), 걸림블록(53), 고정블록(54), 이동블록(55), 거리조절수단(56), 디비에이터(57a), 케이싱(57b) 및 웨지이동 방지수단(58, 58a)으로 이루어진다.
웨지(51)는 그 내주면이 고정을 하고자 하는 케이블(60)의 단부 외주면을 감싸 웨지(51)의 내주면과 케이블(60)의 외주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케이블(60)을 정착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세 개 또는 네 개의 절편으로 이루어지며, 그 외주면의 형상은 일방향으로 갈수록 그 외경이 줄어들도록 테이퍼부가 형성된다.
웨지블록(52)은 웨지(51)에 케이블(60)이 맞물린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웨지블록(52)의 내주면이 웨지(51)의 외주면과 맞닿도록 구성된다.
웨지블록(52)에도 웨지(51)의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부와 동일한 각으로 테이퍼가 형성된 테이퍼부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블록(53)은 웨지블록(52)의 케이블(60) 반대쪽 단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일단부는 웨지블록(52)과 나사(53a)에 의해 고정된다. 걸림블록(53)의 타단부에는 걸림부(53b)가 마련된다. 이때, 걸림부(53b)는 걸림블록(53)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고정블록(54)은 그 일단부가 케이블(60)이 구조재로 설치되는 구조물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교량의 경우 고정블록(54)은 교량의 상판에 고정되는데, 고정부는 힌지 형태로 고정되어 변위를 허용하지는 않지만 회전은 허용되도록 고정된다. 한편, 이러한 고정블록(54)에는 중공부(54a)가 마련되어 있다.
이동블록(55)은 걸림블록(53)이 케이블(60)이 늘어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지만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제한한다.
이동블록(55)에는 걸림돌기(55b)가 마련되어 있으며, 걸림블록(53)의 걸림부와 걸림돌기가 서로 맞물려 있어서 걸림블록(53)이 케이블(60)이 고정블록(54)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이동블록(55)의 외주면 일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 형태의 그립부(55a)가 마련되어 있으며, 렌치로 그립부(55a)를 파지하여 회전시키기에 편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거리조절수단(56)은 고정블록(54)과 이동블록(55) 사이의 상대거리를 조절하는 것으로, 이동블록(55)의 걸림블록(53) 반대쪽 단부 외주면에 마련되는 나사부와 고정블록(54)의 중공부(54a) 내주면에 마련되며 나사부에 맞물리는 나사홈으로 이루어진다.
거리조절수단(56)에 의해 케이블(60)의 정착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공장제작된 케이블(60)의 길이가 실제 시공된 부분의 길이보다 긴 경우에는 이동블록(55)을 고정블록(54) 쪽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케이블(60)을 정착하면 되고,
케이블(60)의 길이가 정착길이보다 짧은 경우에는 이동블록(55)을 고정블록(54)에서 먼 쪽으로 이동시켜 케이블(60)을 웨지(51)와 웨지블록(52)을 이용하여 정착하면 된다.
디비에이터(57a)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웨지(51)의 고정블록(54) 반대쪽에 마련되며, 케이블(60)이 진동할 때 탄성변형에 의해 그 진동 에너지를 일부 흡수하여 모든 진동이 웨지(51)와 케이블(60)이 서로 맞닿아 있는 부분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웨지(51)나 케이블(60)의 손상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케이싱(57b)은 디비에이터(57a)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며, 디비에이터(57a)를 자외선 등으로부터 보호하며, 웨지(51)와 케이블(60) 사이에 강수 등에 의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도 아울러 담당하게 된다.
웨지이동 방지수단(58, 58a)은 웨지이동 방지블록(58)과 웨지(51)를 케이블(60) 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58a)으로 구성된다.
웨지이동 방지블록(58)은 웨지(51)의 고정블록(54) 쪽에 마련되며 스프링(58a)과 함께 웨지(51)가 고정블록(54)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스프링(58a)은 웨지이동 방지블록(58)과 웨지(51) 사이에 마련된다.
웨지이동 방지블록(58)은 웨지블록(52)과 나사 결합하는데, 웨지이동 방지블록(58)과 스프링(58a)에 의하여 케이블(60)에 진동이 가해지는 등의 이유에 의해 웨지(51)가 고정블록(54)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또한, 웨지(51)가 이동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케이블(60)의 이탈과 같은 문제점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케이블 정착장치의 경우, 일방향 웨지만을 사용하고 있고, 케이블 구조물이나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한편, 케이블 정착구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223221호에는 "양방향 케이블 정착구"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양방향 케이블 정착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양방향 케이블 정착구(70)는,
구조물을 지지하는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는 케이블 정착구로서, 고정체(71), 회전관(72), 제1 당김 수단(73a, 73b) 및 제2 당김 수단(74a, 74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체(71)는 구조물에 연결되고,
회전관(72)은 고정체(71)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제1 당김 수단(73a, 73b)은 회전관(72)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케이블(60)을 압착하여 고정체(71) 방향으로 후퇴하거나, 압착한 케이블(60)을 압착 해제하여 케이블(60) 방향으로 전진 가능하도록 회전관(72)의 내부에 설치된다.
제2 당김 수단(74a, 74b)은 제1 당김 수단(73a, 73b)이 전진하면 케이블(60)을 압착하여 후퇴하고, 제1 당김 수단(73a, 73b)이 후퇴하면 압착한 케이블(60)을 압착 해제하여 전진 가능하도록 제1 당김 수단(73a, 73b)으로부터 이격되어서 회전관(72)의 내부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양방향 케이블 정착구(70)는, 교량, 건물, 조경물을 포함하는 구조물을 지지하는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는 케이블 정착구에 로서,
구조물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다른 연결 수단에 의해서 연결되는 고정체(71); 고정체(71)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회전관(72); 회전관(72)에 설치되는 제1 당김 수단(73a, 73b) 및 제 2 당김 수단(74a, 74b)으로 구성된다.
고정체(73a, 73b)의 선단에는 고정체 절곡부(71a)가 절곡 형성되고, 또한, 고정체 절곡부(71a)와 맞물려서 회전되도록 회전관(72)의 후단에는 회전관 절곡부(72a)가 형성된다.
고정체(71)와 케이블(60)은 항상 인장력을 받고 있기 때문에, 고정체 절곡부(71a)와 회전관 절곡부(72a)의 맞물림 구조에 의해서 회전관(72)은 고정체(71)에 대해서 별도의 회전부재를 채용하지 않더라도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기술에 따른 양방향 케이블 정착구는 회전관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전진 또는 후퇴하는 제1 당김 수단; 및 제1 당김 수단에 상보적으로 전진 및 후퇴하는 제2 당김 수단을 회전관 내부에 구성하고,
회전관이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제1 당김 수단이 후퇴하여 케이블을 압착하여 당기고, 동시에 제2 당김 수단은 전진하여 케이블과의 상호작용을 해제하며,
회전관이 타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제2 당김 수단이 후퇴하여 케이블을 압착하여 당기고 동시에 제1 당김 수단은 전진하여 케이블과의 상호작용을 해제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양방향 케이블 정착구의 경우, 양방향 웨지를 사용하여 웨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지만, 케이블 구조물이나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웨지를 양 방향으로 사용함에 따라 시공성과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게 된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4-29945호에는 "쌍방향 웨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쌍방향 웨지 케이블 정착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7의 a)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의 b)는 쌍방향 웨지를 이용한 웨지 이탈을 방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쌍방향 웨지 케이블 정착장치는 웨지(81), 웨지블록(82), 정착블록(83), 길이조절블록(84), 케이싱(85), 고무패킹(86), 밀폐압력블록(787) 및 케이블(60)로 구성된다.
웨지(81)은 그 내주면이 고정되는 케이블(60)의 단부 외주면을 감싸 웨지(81)의 내주면과 케이블(60)의 외주면과 접촉면의 마찰력에 의해서 케이블(60)을 정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반적으로 두 개에서 네 개의 절편으로 이루어지며, 웨지(81)의 형상은 일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줄어 들도록 테이퍼가 형성된다.
웨지블록(82)은 웨지(81)와 케이블(60)이 맞물린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웨지블록(82) 내주면과 웨지(81) 내주면이 맞닿도록 구성된다.
웨지블록(82)에도 웨지(81)의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와 동일한 각으로 테이퍼가 마련되어 웨지(81)와 케이블(60)이 맞물린 상태로 고정된다.
웨지블록(82)과 웨지(81)는 일반적으로 일단부에서 고정을 하는데,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블록(82)의 양단부에 웨지(81)를 고정하여 구조물의 진동으로 인한 웨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구조물의 케이블(60)은 영구적으로 작용하는 인장하중 방향을 고정하는 웨지(81)와 구조물 진동시 웨지 이탈 방지를 하기 위하여 고정하는 웨지(81a)로 양단부에서 고정하여 케이블 정착이 분리될 가능성을 배제 시킨다.
정착블록(83)은 그 일단부가 케이블(60)을 구조물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정착블록(83)은 핀으로 고정된 힌지 형태로 이루어져 변위는 허용하지 않지만 일방향 회전은 허용되며, 일단부는 구조물과 핀으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길이조절블록(84)과 나사 연결된다.
길이조절블록(84)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중공부를 가지며 파이프 형태나 다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길이조절블록(84)은 양단부의 나사홈 방향이 반대방향으로 일단부는 웨지블록(82)과 타단부는 정착블록(83)과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길이조절블록(84)을 회전시킴으로써 정착블록(83)을 기준으로 가까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정착블록(83)과 웨지블록(82)의 상대회전이동이 가능한 메커니즘에 의해 케이블(60)에 인장력을 도입할 수 있다.
케이싱(85)은 웨지(81) 및 케이블(60), 웨지블록(82)에 강수등의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밀폐압력블록(87, 87a)과 고무패킹(86, 86a)은 웨지블록(82)의 내주면을 밀폐하여 웨지블록(82) 내주면과 웨지(81)의 부식방지 역할을 수행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쌍방향 웨지 케이블 정착장치에 따르면, 우선 변동하중 작용 및 케이블 교체, 파단에 의한 구조물의 진동발생시 웨지의 이탈을 허용하지 않아서 케이블과 정착장치와의 분리를 방지하는 케이블 정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제 측량을 한 길이와 제작된 케이블 길이에 오차가 발생할 경우 정착길이를 매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쌍방향 웨지 케이블 정착장치의 경우에도, 쌍방향 웨지를 사용하여 웨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지만, 케이블 구조물이나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591896호(등록일: 2006년 6월 14일), 발명의 명칭: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936081호(등록일: 2009년 12월 31일), 발명의 명칭: "케이블 정착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223221호(등록일: 2013년 1월 10일), 발명의 명칭: "양방향 케이블 정착구"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505400호(등록일: 2015년 3월 18일), 발명의 명칭: "케이블 앵커 보호관용 다기능 보호캡 및 이를 적용한 케이블 정착구"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2111793호(등록일: 2020년 5월11일), 발명의 명칭: "사장케이블의 진동 저감을 위한 부착형 관성마찰댐퍼"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4-29945호(공개일: 2014년 3월 11일), 발명의 명칭: "쌍방향 웨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장교 또는 현수교와 같은 케이블 교량에 있어서,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의 죠 어셈블리와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의 콘 웨지가 양방향 웨지를 형성하고,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와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케이블 고정구를 앵커 하우징에 체결할 수 있는, 케이블 앵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케이블 교량 구조물의 진동 및 케이블 정착구의 진동을 흡수하여 피로도 현상을 방지하도록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와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가 삽입되는 앵커 하우징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방진댐퍼를 간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케이블 앵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앵커 하우징이 케이블 고정구에 나사체결됨으로써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 및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를 앵커 하우징 내부에 안착시킴에 따라 케이블 유형에 상관없이 모든 케이블에 적용할 수 있는, 케이블 앵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앵커는,
내부에 설치되는 죠 어셈블리(Jaw Assembly)에 와이어 또는 케이블이 관통되어 정착되도록 하는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 및 내부에 설치되는 콘 웨지(Cone Wedge)에 상기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의 후단에 결합되어 와이어 또는 케이블의 단부를 정착시키는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를 포함하며, 상기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의 죠 어셈블리와 상기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의 콘 웨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와이어 또는 케이블을 정착시키는 양방향 웨지를 형성하여 웨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는, 와이어 또는 케이블이 삽입 관통되어 노출되도록 중공형 원통체로 형성되는 선단부 바디부; 상기 선단부 바디부로부터 노출되는 와이어 또는 케이블을 정착시키도록 상기 와이어 또는 케이블이 삽입되는 일방향으로 체결되는 웨지인 죠 어셈블리; 다수의 절편으로 구분된 죠 어셈블리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탄성 링으로서 와이어 또는 케이블이 삽입되는 죠 어셈블리의 일측 단부를 결속시켜 주는 O-링; 스프링 리테이너에 일측 단부가 수용되고, 커넥터에 타측 단부가 수용되어, 커넥터를 선단부 바디부에 삽입 체결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O-링에 의하여 와이어 또는 케이블이 물려지는 죠 어셈블리가 선단부 바디부의 테이퍼링된 내부로 삽입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이 이탈하지 않도록 스프링의 일측 단부가 삽입 수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링 형태로 형성된 스프링 리테이너; 및 상기 스프링이 이탈하지 않도록 스프링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며, 단부는 상기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의 후단부 바디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연결된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 하우징의 외주면에 방진댐퍼를 결합시킴으로써, 케이블 교량 구조물의 진동 및 케이블 정착구의 진동을 흡수하여 케이블 앵커의 피로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주 체결형 고무댐퍼인 방진댐퍼를 설치하되, 상기 외주 체결형 고무댐퍼는, 앵커 하우징의 외주면에서 서로 결합되도록 적어도 2개로 분할 형성되는 모듈로서, 고무 재질 댐퍼를 포함하며, 모듈 연결면에 형성된 연결브라켓이 서로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볼트로 연결브라켓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모듈은 탄성률 조정을 위하여 모듈 내부에 모듈강선을 원형링 형태로 다수 병렬로 세팅시키고, 모듈의 연결면에서 상기 연결브라켓을 모듈강선과 연결시켜 연결부위에 노출시켜 모듈 연결에 이용하며, 상기 결합된 상태의 외주 체결형 고무댐퍼의 중공부 내측면이 앵커 하우징과 접하는 부위로서 앵커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시킨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장교 또는 현수교와 같은 케이블 교량에 있어서,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의 죠 어셈블리와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의 콘 웨지가 양방향 웨지를 형성하고,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와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가 삽입되도록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의 선단부 바디부를 앵커 하우징에 체결함으로써, 케이블 정착구의 웨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와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가 삽입되는 앵커 하우징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방진댐퍼를 결합시킴으로써, 케이블 교량 구조물의 진동 및 정착구의 진동을 흡수하여 피로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앵앵커 하우징이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체결됨으로써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 및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를 앵커 하우징 내부에 안착시킴에 따라 케이블 유형에 상관없이 모든 케이블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사장교 케이블의 진동저감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사장교 케이블의 진동저감 유닛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케이블 앵커와 케이블 사이의 틈새를 수밀한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케이블 정착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양방향 케이블 정착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쌍방향 웨지 케이블 정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앵커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앵커의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앵커의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 예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앵커의 방진댐퍼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앵커에 적용되는 케이블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본 발명의 케이블 앵커(100) ]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앵커(100)의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앵커(100)는,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120), 방진댐퍼(130), 앵커 하우징(140), 앵커볼트(150) 및 케이블 고정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 바디부(111), 죠 어셈블리(Jaw Assembly: 112), O-링(O-ring: 113), 스프링 리테이너(spring Retainor: 114), 스프링(115) 및 커넥터(116)로 이루어지며, 앵커 하우징(140) 내부에 배치되어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이 관통되어 정착시키게 된다.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1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부 바디부(121), 콘 웨지(Cone Wedge: 122), 크라운(Crown: 123) 및 결합부재(124)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의 후단에 결합되어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의 단부를 앵커 하우징(140) 내부에서 정착시킨다.
이때, 상기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의 죠 어셈블리(112)와 상기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120)의 콘 웨지(122)가 양방향 웨지를 형성하여 웨지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로서 상기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은 상기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를 관통하여 단부가 노출되도록 정착되고, 상기 노출된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의 단부는 상기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120)에 정착될 수 있게 된다.
방진댐퍼(130)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 하우징(140)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체결되는 원통형 형상의 댐퍼로서, 상기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의 진동을 저감시켜 피로도를 저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앵커 하우징(140)은 도 8과 같이, 상기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 및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120)가 삽입되어 케이블고정구(160)에 의하여 고정되는 하우징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앵커 하우징(140)은 선단부 내측에 원추형 케이블 고정구(161)가 체결 고정되고,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이 원추형 케이블 고정구(161)를 관통하여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와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120)에 정착되도록 하고,
상기 앵커 하우징(140) 후단부 내측에 앵커볼트(150)가 관통하여 체결 고정되는 체결블록 케이블고정구(162)가 설치되도록 하게 된다.
앵커볼트(150)는 도 8과 같이, 일측이 상기 앵커 하우징(140)의 후단에 설치된 체결블록 케이블고정구(162)에 체결되고 타측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앵커볼트(150)는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이 설치되는 구조물에 설치되는 고정블록(54,미도시)으로 연장되도록 세팅된다.
케이블 고정구(160)는 도 8과 같이, 원추형 케이블 고정구(161)과 체결블록 케이블고정구(162)로 구분되어 앵커 하우징(140)의 선단부에서는 원추형 케이블 고정구(161)를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이 관통되도록 가이드하고, 앵커 하우징(140)의 후단부에서는 체결블록 케이블고정구(162)를 앵커볼트(150)가 관통되어 정착되도록 하게 된다.
이로서 앵커 하우징(140) 내에 상기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120) 및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가 삽입되며, 상기 앵커 하우징(140)의 내주면에 케이블 고정구(16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은, 후술하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형 스테인리스 케이블(210), 환봉형 케이블(220) 또는 PC 강연선(230)을 포함하며 다양한 형태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와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12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앵커(100)의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는, 선단부 바디부(111), 죠 어셈블리(112), O-링(113), 스프링 리테이너(114), 스프링(115) 및 커넥터(116)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선단부 바디부(111)는 도 9와 같이,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이 삽입 관통되도록 중공형 원통체로 형성되며, 앵커 하우징(140)의 내측면에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도록 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의 단부는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를 관통하여 정착되도록 하면서 상기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120)에 정착되도록 소정 길이만큼 연장 노출시키게 된다.
죠 어셈블리(112)는 도 9와 같이, 선단부 바디부(111)로부터 노출되는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이 정착되도록 일방향으로 체결되는 웨지로서, 통상 다수의 절편으로 형성될 수 있고, 특히, 상기 죠 어셈블리(112)는 후술하는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120)의 콘 웨지(122)와는 상기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이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체결되어 웨지가 분리되지 않도록 배치시키게 된다.
이러한 죠 어셈블리(112)는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이 관통하는 선단부 바디부(111) 내측의 테이퍼부로 완전히 삽입되어 밀착되면서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를 정착시킬 수 있게 된다.
O-링(113)은 도 9와 같이, 다수의 절편으로 구분된 죠 어셈블리(112)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탄성 링으로서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이 삽입되는 죠 어셈블리(112)의 일측 단부를 결속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스프링 리테이너(114)는 도 9와 같이, 스프링(115)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스프링(115)의 일측 단부가 삽입 수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링 형태로 형성된다.
스프링(115)은 도 9와 같이, 상기 스프링 리테이너(114)에 일측 단부가 수용되고, 커넥터에 타측 단부가 수용되어, 커넥터(116)를 선단부 바디부(111)에 삽입 체결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O-링(113)에 의하여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이 물려지는 죠 어셈블리(112)가 선단부 바디부(111)의 테이퍼링된 내부로 삽입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에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를 관통하는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이 인장, 압축되는 과정에서도 유격없이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 내부에서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이 정착될 수 있게 된다.
커넥터(116)는 도 9와 같이, 스프링(115)이 이탈하지 않도록 스프링(115)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커넥터(116)의 단부는 상기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120)의 후단부 바디부(121)에 삽입되는 방식등으로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의 단부는 상기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120)에 정착되도록 소정 길이만큼 노출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앵커(100)의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120)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120)는, 후단부 바디부(121), 콘 웨지(122), 크라운(123) 및 결합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의 커넥터(116)의 단부는 상기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120)의 후단부 바디부(121)에 삽입 연결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와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120)가 서로 병렬 세팅된다.
이로서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은 상기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를 관통하여 단부가 노출되도록 정착되고,
상기 노출된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의 단부는 상기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120)에 정착되며,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의 죠 어셈블리(112)와 상기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120)의 콘 웨지(122)가 양방향 웨지를 형성하여 콘 웨지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 정착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후단부 바디부(121)는 도 10과 같이, 상기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이 삽입 관통되도록 중공형 원통체로 형성되며, 상기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의 커넥터(116)에 연결된다.
콘 웨지(122)는 도 10과 같이, 후단부 바디부(121)로부터 관통된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을 정착시키도록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의 죠 어셈블리(112)와는 반대방향으로 체결되는 콘 형태의 웨지로서, 다수의 슬릿이 형성되어 풀어진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이 내부로 슬릿이 벌어지면서 삽입되게 되며 후단부 바디부(121)에 대부분 삽입 세팅되며 콘 형태의 웨지로서, 다수의 절편으로 형성되는 죠 어셈블리(112)와 달리 앵커 하우징(140) 내 정착에 보다 유리한 형태로서 시공성과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다.
크라운(123)은 도 10과 같이, 상기 콘 웨지(122)의 단부가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콘 웨지(122)가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결합부재(124)는 도 10과 같이, 크라운(123)의 타측에 결합되어 콘 웨지(122)를 관통하는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의 단부를 후단부 바디부(121)에 압착시키는 과정에서 정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후단부 바디부(121)에 삽입 체결된다.
이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앵커(100)는 크게 2개의 정착구인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 및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120)를 채택하여,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 및 상기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120)를 앵커 하우징(140) 내부에서 각각 선단 및 후단에 각각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를 양방향 웨지 형태로 간편하게 정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와 앵커 하우징(140) 내부에 고무 형태의 방진댐퍼(130)를 설치함으로써, 케이블 구조물 또는 케이블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통상적인 웨지 형태의 장치가 사용되는 경우, 외부의 영향으로 구조물의 진동으로 인한 웨지의 이탈로 인해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의 정착이 분리될 가능성이 있고, 또한, 케이블 앵커(100) 역시 진동에 의해 피로감이 형성되어 파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케이블 앵커(100)의 피로현상을 방지하고, 양방향 웨지, 즉, 죠 어셈블리와 콘 웨지가 케이블 앵커(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에 고무 형태의 방진댐퍼(130)를 설치함으로써, 케이블 교량 구조물의 진동 및 케이블 앵커의 진동을 흡수하여 웨지의 이탈을 방지하고 케이블 앵커의 피로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앵커(100)의 방진댐퍼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앵커의 방진댐퍼(130)는 외주 체결형 고무댐퍼(131) 또는 내주 삽입형 고무댐퍼(132)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주 체결형 고무댐퍼(131) 또는 내주 삽입형 고무댐퍼(132)는 각각, 또는 조합하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방진댐퍼로서 설치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와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120)가 삽입되는 앵커 하우징(140)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방진댐퍼(130)를 결합시킴으로써, 케이블 교량 구조물의 진동 및 케이블 정착구의 진동을 흡수하여 케이블 앵커의 피로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진댐퍼(130)는 외주 체결형 고무댐퍼(131)로서, 앵커 하우징(140)의 외주면에서 서로 결합되도록 적어도 2개로 분할 형성되는 고무 재질 댐퍼를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외주 체결형 고무댐퍼(131)는 앵커 하우징(140)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예컨대 2개로 모듈(134)로 분할되도록 하되,
모듈 연결면에 형성된 연결브라켓(133)이 서로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볼트로 연결브라켓(133)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134)은 탄성을 가진 고무재질로 제작한는 것이 통상적인데 강성, 탄성률 조정을 위하여 모듈 내부에 모듈강선(135)을 원형링 형태로 다수 병렬로 세팅시키고,
미도시 하였지만 모듈의 연결면에서 상기 연결브라켓(133)을 모듈강선(135)과 연결시켜 연결부위에 노출시켜 모듈(134) 연결에 이용함으로서,
연결브라켓(133) 파손에 의한 탈락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되며, 이러한 모듈(134)는 앵커 하우징(140)에 다수를 설치 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이때 상기 결합된 상태의 외주 체결형 고무댐퍼(131)의 중공부 내측면이 앵커 하우징(140)과 접하는 부위로서 앵커 하우징(140)의 외주면에 형성시킨 결합홈(141)에 삽입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보다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진댐퍼(130)는 내주 삽입형 고무댐퍼(132)로서, 앵커 하우징(140)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고무 재질 댐퍼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내주 삽입형 고무댐퍼(132)는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 및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120)를 앵커 하우징(140)에 삽입시킨 후, 앵커 하우징(140)에 추가로 삽입 설치하는 방식으로 설치하게 된다.
즉, 내주 삽입형 고무댐퍼(132)는,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의 선단부 내측에 체결 고정되는 원추형 케이블 고정구(161)에 먼저 끼운 후, 앵커 하우징(140) 선단부 내측면에 예컨대 체결방식으로 설치하고,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이 원추형 케이블 고정구(161)를 관통하여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와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120)에 정착되도록 함으로서 달리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에 방해되지 않게 된다.
역시 상기 내주 삽입형 고무댐퍼(132)도 탄성을 가진 고무재질로 제작한는 것이 통상적인데 강성, 탄성률 조정을 위하여 모듈 내부에 모듈강선(135)을 원형링 형태로 다수 병렬로 세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앵커에서 와이어 또는 케이블의 단부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도 12에서는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이 와이어형 스테인리스 케이블(210), 환봉형 케이블(220), PC 강연선(230)을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앵커에서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의 경우,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의 형태, 종류와 무관하게 다양한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이 적용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장교 또는 현수교와 같은 케이블 교량에 있어서,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의 죠 어셈블리와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의 콘 웨지가 양방향 웨지를 형성하고,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와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가 삽입되도록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의 선단부 바디부를 앵커 하우징에 체결함으로써, 케이블 정착구의 웨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와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가 삽입되는 앵커 하우징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방진댐퍼를 결합시킴으로써, 케이블 교량 구조물의 진동 및 케이블 정착구의 진동을 흡수하여 케이블 앵커의 피로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앵커 하우징이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체결됨으로써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 및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를 앵커 하우징 내부에 안착시킴에 따라 케이블 유형에 상관없이 모든 케이블에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케이블 앵커 110: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
111: 선단부 바디부 112: 죠 어셈블리(Jaw Assembly)
113: O-링(O-ring) 114: 스프링 리테이너(spring Retainor)
115: 스프링(Spring) 116: 커넥터(Connector)
120: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
121: 후단부 바디부 122: 콘 웨지(Cone Wedge)
123: 크라운(Crown) 124: 결합부재
130: 방진댐퍼
131: 외주 체결형 고무댐퍼 132: 내주 삽입형 고무댐퍼
133: 연결브라켓 134: 모듈
135: 모듈강선
140: 앵커 하우징 141: 결합홈
150: 앵커볼트
160: 케이블 고정구 161: 원추형 케이블 고정구
162: 체결블록 케이블고정구
200: 와이어 또는 케이블
210: 와이어형 스테인리스 케이블
220: 환봉형 케이블 230: PC 강연선

Claims (10)

  1. 내부에 설치되는 죠 어셈블리(Jaw Assembly: 112)에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이 관통되어 정착되도록 하는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 및 내부에 설치되는 콘 웨지(Cone Wedge: 122)에 상기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의 후단에 결합되어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의 단부를 정착시키는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120);를 포함하며,
    앵커 하우징(140) 내부에서 상기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의 죠 어셈블리(112)와 상기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120)의 콘 웨지(12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를 정착시키는 양방향 웨지를 형성하여 웨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는,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이 삽입 관통되어 노출되도록 중공형 원통체로 형성되는 선단부 바디부(111); 상기 선단부 바디부(111)로부터 노출되는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을 정착시키도록 상기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이 삽입되는 일방향으로 체결되는 웨지인 죠 어셈블리(112); 다수의 절편으로 구분된 죠 어셈블리(112)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탄성 링으로서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이 삽입되는 죠 어셈블리(112)의 일측 단부를 결속시켜 주는 O-링(113); 스프링 리테이너(114)에 일측 단부가 수용되고, 커넥터에 타측 단부가 수용되어, 커넥터(116)를 선단부 바디부(111)에 삽입 체결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O-링(113)에 의하여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이 물려지는 죠 어셈블리(112)가 선단부 바디부(111)의 테이퍼링된 내부로 삽입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115); 상기 스프링(115)이 이탈하지 않도록 스프링(115)의 일측 단부가 삽입 수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링 형태로 형성된 스프링 리테이너(114); 및 상기 스프링(115)이 이탈하지 않도록 스프링(115)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며, 단부는 상기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120)의 후단부 바디부(121)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연결된 커넥터(116);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 하우징(140)의 외주면에 방진댐퍼(130)를 결합시킴으로써, 케이블 교량 구조물의 진동 및 케이블 정착구의 진동을 흡수하여 케이블 앵커의 피로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주 체결형 고무댐퍼(131)인 방진댐퍼(130)를 설치하되, 상기 외주 체결형 고무댐퍼(131)는,
    앵커 하우징(140)의 외주면에서 서로 결합되도록 적어도 2개로 분할 형성되는 모듈(134)로서, 고무 재질 댐퍼를 포함하며,
    모듈 연결면에 형성된 연결브라켓(133)이 서로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볼트로 연결브라켓(133)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모듈(134)은 탄성률 조정을 위하여 모듈 내부에 모듈강선(135)을 원형링 형태로 다수 병렬로 세팅시키고, 모듈의 연결면에서 상기 연결브라켓(133)을 모듈강선(135)과 연결시켜 연결부위에 노출시켜 모듈(134) 연결에 이용하며, 상기 결합된 상태의 외주 체결형 고무댐퍼(131)의 중공부 내측면이 앵커 하우징(140)과 접하는 부위로서 앵커 하우징(140)의 외주면에 형성시킨 결합홈(141)에 삽입되도록 하는 케이블 앵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와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120)는,
    앵커 하우징(140) 내부에서 선단 및 후단에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의 커넥터(116) 단부는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120)의 후단부 바디부(121)에 삽입되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케이블 앵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는 상기 앵커 하우징(140)의 내측면에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체결되도록 하는 케이블 앵커.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부 케이블 정착구(120)는,
    상기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이 삽입 관통되도록 중공형 원통체로 형성되며, 상기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의 커넥터(116)에 연결되는 후단부 바디부(121);
    상기 후단부 바디부(121)로부터 관통된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을 정착시키는 콘(Corn) 형태의 웨지로서, 상기 선단부 케이블 정착구(110)의 죠 어셈블리(112)와는 반대방향인 상기 와이어 또는 케이블(200)이 삽입되는 타방향으로 체결되는 콘 웨지(122);를 포함하도록 하는 케이블 앵커.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30062821A 2023-05-16 2023-05-16 케이블 앵커 KR102601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2821A KR102601071B1 (ko) 2023-05-16 2023-05-16 케이블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2821A KR102601071B1 (ko) 2023-05-16 2023-05-16 케이블 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071B1 true KR102601071B1 (ko) 2023-11-10

Family

ID=88742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2821A KR102601071B1 (ko) 2023-05-16 2023-05-16 케이블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071B1 (ko)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787A (ja) * 1991-03-26 1995-01-20 Anderson Technology Kk Pc鋼撚り線接続具及び接続方法
JPH07189427A (ja) * 1993-12-27 1995-07-28 Tokyo Seiko Co Ltd Frp補強材の端末定着構造
JP2001059545A (ja) * 1999-08-19 2001-03-06 Honshu-Shikoku Bridge Authority ケーブル又は管状体若しくは棒状体の制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11263A (ja) * 2002-06-06 2004-01-15 Sumitomo Denko Steel Wire Kk Pc鋼材の定着金具
JP2004278157A (ja) * 2003-03-17 2004-10-07 Topics:Kk 免震装置、及び建築物の免震構造
KR100591896B1 (ko) 2006-03-02 2006-06-21 한우물중공업(주)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KR100650376B1 (ko) * 2005-08-03 2006-11-29 윤희연 철근 연결구
KR20090001565U (ko) * 2007-08-14 2009-02-18 이인균 프리캐스트콘크리트용 정착장치
KR100936081B1 (ko) 2009-04-28 2010-01-12 케이블텍 주식회사 케이블 정착장치
KR101223221B1 (ko) 2011-08-17 2013-01-17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양방향 케이블 정착구
KR101334750B1 (ko) * 2013-07-02 2013-11-29 박정환 상호 역방향으로 대향한 이중쐐기를 사용하여 체결력을 높인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 케이블 고정장치가 구비된 고정형 케이블 정착구
KR20140020032A (ko) * 2012-08-07 2014-02-18 이근호 긴장재 정착장치
KR20140029945A (ko) 2012-08-31 2014-03-11 박경룡 쌍방향 웨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KR101505400B1 (ko) 2014-10-16 2015-03-25 박정환 케이블 앵커 보호관용 다기능 보호캡 및 이를 적용한 케이블 정착구
KR101609619B1 (ko) * 2015-12-14 2016-04-06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강연선 정착용 그립웨지
KR102111793B1 (ko) 2017-12-14 2020-05-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사장케이블의 진동 저감을 위한 부착형 관성마찰댐퍼
KR102401533B1 (ko) * 2021-06-03 2022-05-23 장광익 원터치 철근 커플러

Patent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787A (ja) * 1991-03-26 1995-01-20 Anderson Technology Kk Pc鋼撚り線接続具及び接続方法
JPH07189427A (ja) * 1993-12-27 1995-07-28 Tokyo Seiko Co Ltd Frp補強材の端末定着構造
JP2001059545A (ja) * 1999-08-19 2001-03-06 Honshu-Shikoku Bridge Authority ケーブル又は管状体若しくは棒状体の制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11263A (ja) * 2002-06-06 2004-01-15 Sumitomo Denko Steel Wire Kk Pc鋼材の定着金具
JP2004278157A (ja) * 2003-03-17 2004-10-07 Topics:Kk 免震装置、及び建築物の免震構造
KR100650376B1 (ko) * 2005-08-03 2006-11-29 윤희연 철근 연결구
KR100591896B1 (ko) 2006-03-02 2006-06-21 한우물중공업(주)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KR20090001565U (ko) * 2007-08-14 2009-02-18 이인균 프리캐스트콘크리트용 정착장치
KR100936081B1 (ko) 2009-04-28 2010-01-12 케이블텍 주식회사 케이블 정착장치
KR101223221B1 (ko) 2011-08-17 2013-01-17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양방향 케이블 정착구
KR20140020032A (ko) * 2012-08-07 2014-02-18 이근호 긴장재 정착장치
KR20140029945A (ko) 2012-08-31 2014-03-11 박경룡 쌍방향 웨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KR101334750B1 (ko) * 2013-07-02 2013-11-29 박정환 상호 역방향으로 대향한 이중쐐기를 사용하여 체결력을 높인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 케이블 고정장치가 구비된 고정형 케이블 정착구
KR101505400B1 (ko) 2014-10-16 2015-03-25 박정환 케이블 앵커 보호관용 다기능 보호캡 및 이를 적용한 케이블 정착구
KR101609619B1 (ko) * 2015-12-14 2016-04-06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강연선 정착용 그립웨지
KR102111793B1 (ko) 2017-12-14 2020-05-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사장케이블의 진동 저감을 위한 부착형 관성마찰댐퍼
KR102401533B1 (ko) * 2021-06-03 2022-05-23 장광익 원터치 철근 커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9874B2 (ja) 自動引き込みデバイスおよび直列継手
JP4028687B2 (ja) 安全ロープ用アンカー
JP5778791B2 (ja) アンカー固定要素
KR100591896B1 (ko)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JP5235816B2 (ja) 傾倒式支柱を備えた防護柵
KR101505400B1 (ko) 케이블 앵커 보호관용 다기능 보호캡 및 이를 적용한 케이블 정착구
RU2648386C2 (ru) Анкер
JP2007107374A (ja) ワイヤロープアンカー
RU2684658C1 (ru) Система анкерного крепления троса
US7455155B2 (en) Impact absorbent assembly in slope protection systems
KR100639601B1 (ko) 케이블 고정장치
KR102601071B1 (ko) 케이블 앵커
CN110747739A (zh) 一种球面万向机构夹片式锚具及其施工方法
CN210177349U (zh) 可调索高阻尼组合式防落梁装置
JP3699944B2 (ja) 落石等防護装置および同装置用ネット
JP7132333B2 (ja) 応力付与手段を備えたステーケーブル用の管と方法
JP3113980B2 (ja) 落橋防止用連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落橋防止 方法
KR20050033595A (ko) 인장재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정착체
KR20030091492A (ko)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
KR200249170Y1 (ko) 태양 웨지를 이용한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정착체
KR100568041B1 (ko) 영구앙카
KR200490234Y1 (ko) 결속력이 향상된 난간대 결합장치
KR100609150B1 (ko) 앵커
KR200416815Y1 (ko)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JP3699943B2 (ja) 落石等防護装置および同装置用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