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081B1 - 케이블 정착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081B1
KR100936081B1 KR1020090037034A KR20090037034A KR100936081B1 KR 100936081 B1 KR100936081 B1 KR 100936081B1 KR 1020090037034 A KR1020090037034 A KR 1020090037034A KR 20090037034 A KR20090037034 A KR 20090037034A KR 100936081 B1 KR100936081 B1 KR 100936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block
wedge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수
박종찬
Original Assignee
케이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7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0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 내주면이 고정을 하고자 하는 케이블의 단부 외주면을 감싸는 웨지; 상기 웨지에 케이블이 맞물린 상태로 고정하기 위하여 그 내주면이 상기 웨지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웨지블록; 일단부는 상기 웨지블록과 결합하고 타단부에는 걸림부가 마련된 걸림블록; 그 일단부가 상기 케이블이 설치되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블록; 상기 걸림블록이 상기 케이블에 인장력을 가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의 이동은 허용하고 그 반대방향의 이동은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걸림돌기에 의해 제한하는 이동블록; 및, 상기 고정블록과 상기 이동블록 사이의 상대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거리조절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정착장치{Apparatus for Fixing Cable}
본 발명은 구조재로 사용되는 케이블을 구조물에 정착하기 위한 케이블 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장의 상황에 따라 정착된 케이블의 정착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케이블의 교체 또한 용이한 가능한 케이블 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은 여러 가지 구조물의 인장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구조재로서 널리 사용되는 소재이며 특히 교량 구조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케이블 정착장치는 케이블의 양단을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케이블 교량을 제작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케이블의 길이는 설계도면을 근거로 그 길이를 결정하게 되며 그 결정된 길이로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 설치를 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 계측을 하는 경우 제작 오차로 인하여 케이블이 설치되어야 할 길이가 도면상의 길이와 다른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제작된 케이블의 길이와 케이블이 설치되어야 할 길이(케이블의 정착길이)가 다른 경우 정착장치의 길이를 조절하여 케이블의 정착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케이블 정착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다.
또한, 케이블이 훼손된 경우 현장에서 그 손상된 케이블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될 수 있으면 간단한 조작으로 케이블을 교체할 수 있는 케이블 정착장치에 대한 요구도 있다.
한편, 케이블의 정착장치에 웨지가 사용되는 경우 케이블에 진동이 발생하거나 다른 기타의 이유로 인하여 웨지가 흔들릴 수도 있는데, 웨지가 진동 등에 의해 이동하는 경우 웨지의 내주면과 케이블 사이의 마찰력이 줄어들어 정착된 케이블의 정착이 해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케이블에 진동이 있는 경우 등에도 웨지가 이동하지 않는 케이블 정착장치에 대한 요구 또한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여러 가지 케이블 정착장치에 대한 요구사항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첫째, 도면상의 케이블의 길이와 시공 오차에 의해 실제 시공되어야할 케이블의 길이에 차이가 있는 경우 케이블의 정착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케이블 정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둘째 과제는 케이블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 손쉬운 조작으로 케이블을 교체할 수 있는 케이블 정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셋째 과제는 케이블에 진동이 발생하는 등의 경우에도 웨지와 케이블의 마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그 내주면이 고정을 하고자 하는 케이블의 단부 외주면을 감싸는 웨지;
상기 웨지에 케이블이 맞물린 상태로 고정하기 위하여 그 내주면이 상기 웨지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웨지블록;
일단부는 상기 웨지블록과 결합하고 타단부에는 걸림부가 마련된 걸림블록;
그 일단부가 상기 케이블이 설치되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블록;
상기 걸림블록이 상기 케이블에 인장력을 가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의 이동은 허용하고 그 반대방향의 이동은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걸림돌기에 의해 제 한하는 이동블록; 및,
상기 고정블록과 상기 이동블록 사이의 상대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거리조절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거리조절수단은,
상기 이동블록의 타단부 측 외주면에 마련된 나사부와
상기 고정블록의 타단부 측 내주면에 마련되는 나사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웨지의 상기 고정블록 반대쪽에는 상기 케이블을 둘러싸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디비에이터와
상기 디비에이터의 외주면을 감싸는 케이싱이 더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웨지의 상기 고정블록 쪽에는 상기 웨지가 상기 고정블록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웨지이동방지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선, 도면상의 케이블의 길이와 시공 오차에 의해 실제 시공되어야할 케이블의 길이에 차이가 있는 경우 케이블의 정착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케이블 정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 손쉬운 조작으로 케이블을 교체할 수 있는 케이블 정착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케이블에 진동이 발생하는 등의 경우에도 웨지와 케이블의 마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정착 장치의 결합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장치는 웨지(10), 웨지블록(20), 걸림블록(30), 고정블록(40), 이동블록(50), 거리조절수단(60), 디비에이터(71), 케이싱(72) 및 웨지이동방지수단(80, 8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웨지(10)는 그 내주면이 고정을 하고자 하는 케이블(100)의 단부 외주면을 감싸 웨지(10)의 내주면과 케이블(100)의 외주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케이블(100)을 정착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반적으로 세 개 또는 네 개의 절편으로 이루어지며, 그 외주면의 형상은 도 2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갈수록 그 외경이 줄어들도록 테이퍼져 있다.
상기 웨지블록(20)은 상기 웨지(10)에 케이블(100)이 맞물린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웨지블록(20)의 내주면이 상기 웨지(10)의 외주면과 맞닿도록 구성된다. 상기 웨지블록(20)에도 상기 웨지(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부와 동일한 각으로 테이퍼 된 테이퍼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웨지(10)와 웨지블록(20)은 케이블(100)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웨지(10) 및 웨지블록(20)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걸림블록(30)은 상기 웨지블록(20)의 상기 케이블(100) 반대쪽 단부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일단부는 상기 웨지블록(20)과 나사(31)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걸림블록(30)의 타단부에는 걸림부(32)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32)는 도 2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블록(3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블록(40)은 그 일단부가 상기 케이블(100)이 구조재로 설치되는 구조물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교량의 경우 고정블록(40)은 교량의 상판에 고정되는데, 고정부는 힌지형태로 고정되어 변위를 허용하지는 않지만 회전은 허용되도록 고정된다. 한편, 상기 고정블록(40)에는 중공부(4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이동블록(50)은 상기 걸림블록(30)이 상기 케이블(100)이 늘어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지만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제한하는 구성이다. 상기 이동블록(50)에는 걸림돌기(52)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블록(30)의 걸림부(32)와 상기 걸림돌기(52)가 서로 맞물려 있어서 상기 걸림블록(30)이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고정블록(4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 이동블록(50)의 외주면 일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 형태의 그립부(51)가 마련되어 있으며, 렌치로 그립부(51)를 파지하여 회전시키기에 편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거리조절수단(60)은 상기 고정블록(40)과 상기 이동블록(50) 사이의 상대거리를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이동블록(50)의 걸림블록(30) 반대쪽 단부 외주면에 마련되는 나사부(61)와 상기 고정블록(40)의 중공부(41) 내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나사부(61)에 맞물리는 나사홈(62)이다.
상기 거리조절수단(60)에 의해 케이블(100)의 정착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공장제작된 케이블(100)의 길이가 실제 시공된 부분의 길이보다 긴 경우에는 이동블록(50)을 고정블록(40) 쪽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케이블(100)을 정착하면 되고, 상기 케이블(100)의 길이가 정착길이보다 짧은 경우에는 이동블록(50)을 고정블록(40)에서 먼 쪽으로 이동시켜 케이블(100)을 웨지(10)와 웨지블록(20)을 이용하여 정착하면 된다.
상기 디비에이터(71)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상기 웨지(10)의 상기 고정블록(40) 반대쪽에 마련되며, 케이블(100)이 진동할 때 탄성 변형에 의해 그 진동 에너지를 일부 흡수하여 모든 진동이 웨지(10)와 케이블(100)이 서로 맞닿아 있는 부분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웨지(10)나 케이블(100)의 손상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케이싱(72)은 상기 디비에이터(7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며, 상기 디비에이터(71)를 자외선 등으로부터 보호하며, 상기 웨지(10)와 상기 케이블(100) 사이에 강수 등에 의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도 아울러 담당하게 된다.
상기 웨지이동방지수단은 웨지이동방지블럭(81)과 상기 웨지(10)를 상기 케 이블 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81)으로 구성된다. 상기 웨지이동방지블럭(80)은 상기 웨지(10)의 상기 고정블록(40) 쪽에 마련되며 상기 스프링(81)과 함께 상기 웨지(10)가 상기 고정블록(40)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스프링(81)은 상기 웨지이동방지블럭(80)과 상기 웨지(10) 사이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웨지이동방지블럭(80)은 상기 웨지블록(20)과 나사 결합하는데, 웨지이동방지블럭(80)과 스프링(81)에 의하여 케이블(100)에 진동이 가해지는 등의 이유에 의해 웨지(10)가 상기 고정블럭(4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웨지(10)가 이동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케이블(100)의 이탈과 같은 심각한 문제점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케이블(100)에 인장력을 도입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각 구성의 기능,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00)이 정착된 상태에서 케이블(100)에 인장력을 가한다. 이때 케이싱(72)과 디비에이터(71)는 제거하고 인장력을 가할 수도 있다.
케이블(100)에 인장력을 가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웨지(10), 웨지블록(20), 걸림블록(30)은 고정블록(40)방향으로 이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블록(50)은 걸림블록(30)이 고정블록(40)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므로 상기 웨지(10), 웨지블록(20), 걸림블록(30)은 아무런 저항 없이 고정블록(40)방향 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이동블록(50)을 회전하여 고정블록(40) 쪽으로 이동한다. 이동블록(50)을 회전할 때에는 렌치로 그립부(51)를 파지하여 회전하면 매우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이동블록(50)의 걸림돌기(52)가 걸림블록(30)의 걸림부(32)와 맞닿을 때까지 이동하면 케이블(100)에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이동블록(50)이 웨지(10), 웨지블록(20), 걸림블록(30)이 고정블록(4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방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케이블에 추가적인 인장력을 재하할 수 있다. 케이블에 재하된 인장력을 제거해야 하는 경우에는 이동블록(50)을 고정블록(40)의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면 된다. 이동블록(50)을 이동하는 방법은 전술한 케이블에 인장력을 재하할 때와 유사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였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특허의 보호범위는 청구항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기재되는데, 본 발명의 청구항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이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형태의 케이블 고정장치로 구체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정착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기호의 설명 **
10 : 웨지 20 : 웨지블록
30 : 걸림블록 40 : 고정블록
50 : 이동블록 60 : 거리조절수단

Claims (4)

  1. 그 내주면이 고정을 하고자 하는 케이블의 단부 외주면을 감싸는 웨지;
    상기 웨지에 케이블이 맞물린 상태로 고정하기 위하여 그 내주면이 상기 웨지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웨지블록;
    일단부는 상기 웨지블록과 결합하고 타단부에는 걸림부가 마련된 걸림블록;
    그 일단부가 상기 케이블이 설치되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블록;
    상기 걸림블록이 상기 케이블에 인장력을 가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의 이동은 허용하고 그 반대방향의 이동은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걸림돌기에 의해 제한하는 이동블록;
    상기 고정블록과 상기 이동블록 사이의 상대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거리조절수단;
    상기 웨지의 상기 고정블록 반대쪽에는 상기 케이블을 둘러싸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디비에이터; 및,
    상기 디비에이터의 외주면을 감싸는 케이싱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조절수단은,
    상기 이동블록의 타단부 측 외주면에 마련된 나사부와
    상기 고정블록의 타단부 측 내주면에 마련되는 나사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의 상기 고정블록 쪽에는 상기 웨지가 상기 고정블록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웨지이동방지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
KR1020090037034A 2009-04-28 2009-04-28 케이블 정착장치 KR100936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034A KR100936081B1 (ko) 2009-04-28 2009-04-28 케이블 정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034A KR100936081B1 (ko) 2009-04-28 2009-04-28 케이블 정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6081B1 true KR100936081B1 (ko) 2010-01-12

Family

ID=41809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034A KR100936081B1 (ko) 2009-04-28 2009-04-28 케이블 정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0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750B1 (ko) 2013-07-02 2013-11-29 박정환 상호 역방향으로 대향한 이중쐐기를 사용하여 체결력을 높인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 케이블 고정장치가 구비된 고정형 케이블 정착구
KR20150122426A (ko) 2014-04-23 2015-11-02 장우석 케이블 정착장치
KR102601071B1 (ko) 2023-05-16 2023-11-10 컨텍이앤씨 주식회사 케이블 앵커
KR102667767B1 (ko) * 2023-08-16 2024-05-21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씨엠 구조용 케이블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915A (ko) * 2005-03-25 2006-09-28 김현원 케이블 고정장치
KR20070060060A (ko) * 2007-05-23 2007-06-12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앵커공법용 인장재 고정 및 해체장치
KR100862259B1 (ko) 2007-06-15 2008-10-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앵커장치 및 이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915A (ko) * 2005-03-25 2006-09-28 김현원 케이블 고정장치
KR100639601B1 (ko) * 2005-03-25 2006-10-31 김현원 케이블 고정장치
KR20070060060A (ko) * 2007-05-23 2007-06-12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앵커공법용 인장재 고정 및 해체장치
KR100862259B1 (ko) 2007-06-15 2008-10-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앵커장치 및 이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 구조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750B1 (ko) 2013-07-02 2013-11-29 박정환 상호 역방향으로 대향한 이중쐐기를 사용하여 체결력을 높인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 케이블 고정장치가 구비된 고정형 케이블 정착구
KR20150122426A (ko) 2014-04-23 2015-11-02 장우석 케이블 정착장치
KR101589643B1 (ko) 2014-04-23 2016-01-28 장우석 케이블 정착장치
KR102601071B1 (ko) 2023-05-16 2023-11-10 컨텍이앤씨 주식회사 케이블 앵커
KR102667767B1 (ko) * 2023-08-16 2024-05-21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씨엠 구조용 케이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082B1 (ko) 케이블 정착장치
KR100812900B1 (ko) 유니버설 서포트 및 방진구
KR101759163B1 (ko) 내진 특성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
KR100936081B1 (ko) 케이블 정착장치
EP2227606B1 (en) Tuned mass damper
KR200473182Y1 (ko) 구조물의 마찰 진자받침
KR200491747Y1 (ko)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
KR101225699B1 (ko) 광섬유격자센서를 이용한 변위계측용 각도센서
KR101202418B1 (ko)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WO2012132788A1 (ja) 下段部材の固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流体制御装置
KR101910763B1 (ko) 변형 성능에 기초한 교좌받침
KR101768597B1 (ko) 방향성 유도 가이드를 구비한 마찰진자 받침
KR101942180B1 (ko) 내진용 파이프행거
TW202217116A (zh) 用以減弱拉緊纜線及支持結構間之相對橫向移動的阻尼器及阻尼器系統
US7066441B2 (en) Flow restrictor
JP2018530769A (ja) 多数の自由度の精密に調整可能なマウント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140029945A (ko) 쌍방향 웨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JP2015045348A (ja) 構造物用3面スライド支承装置
KR101423905B1 (ko) 케이블의 쌍방향 정착장치
KR100841389B1 (ko) 미끄러짐이 없는 원통 조절형 광섬유격자 센서용 고정구
JP2007117704A (ja) 安全器のストッパ
KR100930114B1 (ko) 케이블 간격 유지 장치
KR101000708B1 (ko) 내부식 파이프 연결장치
KR102004334B1 (ko) 탄성받침
KR101459107B1 (ko) 정하중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2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