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2426A - 케이블 정착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2426A
KR20150122426A KR1020140048646A KR20140048646A KR20150122426A KR 20150122426 A KR20150122426 A KR 20150122426A KR 1020140048646 A KR1020140048646 A KR 1020140048646A KR 20140048646 A KR20140048646 A KR 20140048646A KR 20150122426 A KR20150122426 A KR 20150122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wedge
housing
taper ho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9643B1 (ko
Inventor
장우석
김상호
Original Assignee
장우석
김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우석, 김상호 filed Critical 장우석
Priority to KR1020140048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643B1/ko
Publication of KR20150122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4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1Construction of stressing j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착장치 내부에서 케이블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웨지가 케이블과 분리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정착장치의 후방으로 여분의 케이블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의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케이블 교체시 대상 케이블만 교체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블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복수개의 가압편으로 이루어진 웨지; 상기 웨지가 삽입되며, 일측에는 상기 웨지가 삽입될 때 상기 가압편들이 상기 케이블을 맞물도록 상기 가압편들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경사진 테이퍼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개구된 이동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공과 상기 이동공간 사이에는 서로 연통하는 연결로가 형성된 하우징; 삽입된 상기 웨지와 마주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결합되며, 유압/공압의 공급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테이퍼공에 삽입된 상기 웨지를 밀어 상기 테이퍼공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슬라이더가 구비된 해제실린더;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결합되며, 내측으로 상기 웨지의 후단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웨지의 상기 테이퍼공 삽입시 초기 삽입상태가 유지되도록 삽입방향으로 탄성을 부여하는 제1탄성부재가 구비된 탄성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케이블 정착장치{Apparatus for Fixing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착장치 내부에서 케이블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웨지가 케이블과 분리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정착장치의 후방으로 여분의 케이블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의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케이블 교체시 대상 케이블만 교체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용 케이블은 토목 및 건축 구조물의 인장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구조재로서 널리 사용되며, 근래에 들어서는 익스트림스포츠(짚라인) 등에도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용 케이블은 적용되는 구조물의 종류, 형태 및 용도에 따라 구조용 와이어 로프 (structural wire rope), 중·고 하중용으로 사용되는 나선형 스트랜드(spiral strand) 그리고 고하중용으로 사용되는 풀 락 코일(full locked coil)로 크게 분류된다.
이러한 구조용으로 사용되는 케이블에는 일반적으로 상상 이상의 엄청난 하중(인장력)이 수 십톤까지 부여되고 또 문제없이 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조된다. 예를 들어, 지름이 20㎜ 정도인 구조용 와이어 로프는 약 25.9톤을, 스파이럴 스트랜드는 약 34.9톤을, 풀 락 코일은 약 37.5톤 이상의 최소 인장력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은 인장구조물(돔형 건축물, 교량 및 짚라인 등)에 매우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정착장치를 통해 고정하고 있다.
정착장치에는 통상적으로 웨지가 구비되며, 상기의 웨지는 케이블의 단부측 외주면을 가압한 상태로 교량의 경우 활하중(차량 및 보행자 통행) 및 풍하중(바람의 영향)의 변동하중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케이블의 인장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러나, 정착장치의 웨지는 케이블을 가압한 상태로 계속적인 하중을 받고 있기 때문에 그 하중에 의해 정착장치에 매우 긴밀한 결속상태를 이루게 되며, 이로 인해 케이블의 유지보수가 필요하게 되는 경우, 웨지가 정착장치로부터 사실상 분리될 수 없어 케이블, 웨지 및 웨지가 고정된 정착장치까지 교체되어야 하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6082호에는, 그 내주면이 고정을 하고자 하는 케이블의 단부 외주면을 감싸는 웨지; 상기 웨지에 케이블이 맞물린 상태로 고정하기 위하여 그 내주면이 상기 웨지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웨지블록;
그 일단부가 상기 케이블이 설치되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블록; 전체적으로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고, 일단부는 상기 웨지블록에 상대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되 상기 웨지블록이 상기 케이블에 인장력을 가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의 이동은 허용하고 그 반대방향의 이동은 제한하도록 결합하며 타단부는 상기 고정블록의 타단부 외주면과 나사결합하는 이동블록; 상기 웨지의 상기 고정블록 반대쪽에는 상기 케이블을 둘러싸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디비에이터; 및, 상기 디비에이터의 외주면을 감싸는 케이싱이 더 구비된 케이블 정착장치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케이블 정착장치는 케이블의 길이와 시공 오차에 의해 실제 시공되어야할 케이블의 길이에 차이가 있는 경우 케이블의 정착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케이블의 정착길이를 조절하는데 한계가 있다.
즉, 고정블럭에 나선결합되어 이동하는 이동블럭의 이동구간이 한정되어 있다는 것이다. 정확하게는 이동블럭에 의해 조절되는 구간이 고정블럭의 나사부 선단과 웨지블럭의 제1돌기 후단 사이이기 때문이다.
둘째, 케이블이 이미 설정된 길이로 절단되어 웨지에 의해 고정되고, 고정블럭과 웨지블럭 사이의 구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미세조절은 가능하지만 만일 계절 변화에 따른 케이블의 인장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그 이상으로 케이블이 공급되는 경우 여분의 케이블이 구비될 수 없는 구조이다.
셋째, 케이블의 교체시 케이블과 웨지의 해제가 이루어질 수 없는 종래의 문제를 그대로 포함하고 있어 케이블의 교체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즉, 케이블을 가압한 상태로 웨지블럭에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는 웨지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키는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결국 케이블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케이블, 웨지 및 웨지블럭이 함께 교체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6082호(공고일 2010.01.12)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6081호(공고일 2010.01.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정착장치 내부에서 케이블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웨지가 케이블과 분리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정착장치의 후방으로 여분의 케이블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의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케이블 교체시 대상 케이블만 교체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케이블 정착장치는,
케이블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복수개의 가압편으로 이루어진 웨지; 상기 웨지가 삽입되며, 일측에는 상기 웨지가 삽입될 때 상기 가압편들이 상기 케이블을 맞물도록 상기 가압편들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경사진 테이퍼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개구된 이동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공과 상기 이동공간 사이에는 서로 연통하는 연결로가 형성된 하우징; 삽입된 상기 웨지와 마주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결합되며, 유압/공압의 공급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테이퍼공에 삽입된 상기 웨지를 밀어 상기 테이퍼공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슬라이더가 구비된 해제실린더;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결합되며, 내측으로 상기 웨지의 후단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웨지의 상기 테이퍼공 삽입시 초기 삽입상태가 유지되도록 삽입방향으로 탄성을 부여하는 제1탄성부재가 구비된 탄성캡;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해제실린더는, 중심으로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며,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내측에 소정깊이로 함몰된 링 형상의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유압/공압이 상기 가이드홀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홀과 연통하는 메인유입공이 형성된 실린더본체; 상기 가이드홀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가이드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유입공으로 공급되는 유압/공압에 의해 상기 가이드홀을 타고 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케이블이 관통한 상태로 상기 피스톤과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이동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피스톤과 함께 연동하면서 상기 테이퍼공에 삽입된 상기 웨지를 삽입 반대방향으로 밀어내는 슬리브로 이루어진 슬라이더;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리브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이동공간의 내경과 대응하는 직경으로 상기 피스톤과 결합되는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플랜지와,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상기 플랜지의 중심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연결로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웨지를 밀어내는 푸싱단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이동공간에서 이동한 상기 슬라이더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이동공간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더와 밀착되어 상기 슬라이더로 탄성을 부여하는 복수개의 제2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이동공간에서 이동한 상기 슬라이더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하우징 외주면에는 유압/공압이 상기 이동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공간과 연통하는 보조유입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하우징과 결합된 상기 해제실린더의 반대편에는, 상기 케이블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해제실린더와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 정착장치를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케이블 정착장치에 의하면,
정착장치의 후방으로 여분의 케이블이 구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케이블의 미세조절은 물론이고, 계절 변화에 따른 케이블의 인장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그 이상의 케이블 공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정착장치 내부에서 케이블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웨지가 케이블과 분리되는 구조를 이룸에 따라 교체 대상이 되는 케이블만을 교체하고 웨지의 재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교체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정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정착장치의 구성 중 슬라이더를 복귀시키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며,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케이블 정착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정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정착장치의 구성 중 슬라이더를 복귀시키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블 정착장치(100)는, 케이블(C)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복수개의 가압편(11)으로 이루어진 웨지(10); 상기 웨지(10)가 삽입되며, 일측에는 상기 웨지(10)가 삽입될 때 상기 가압편(11)들이 상기 케이블(C)을 맞물도록 상기 가압편(11)들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경사진 테이퍼공(2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개구된 이동공간(23)이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공(21)과 상기 이동공간(23) 사이에는 서로 연통하는 연결로(25)가 형성된 하우징(20); 삽입된 상기 웨지(10)와 마주하는 상기 하우징(20)의 일측으로 결합되며, 유압/공압의 공급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하우징(20)의 상기 테이퍼공(21)에 삽입된 상기 웨지(10)를 밀어 상기 테이퍼공(21)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슬라이더(40)가 구비된 해제실린더(50); 및 상기 하우징(20)의 일측으로 결합되며, 내측으로 상기 웨지(10)의 후단이 수용되는 수용공간(6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61)에는 상기 웨지(10)의 상기 테이퍼공(21) 삽입시 초기 삽입상태가 유지되도록 삽입방향으로 탄성을 부여하는 제1탄성부재(63)가 구비된 탄성캡(6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블 정착장치(100)는, 토목, 건축구조물 및 익스트림스포츠 등에 이용되는 금속재 케이블(C)을 정착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며, 케이블 정착장치(100)의 외측으로 여분의 케이블(C)을 구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케이블(C)을 정착시키기 위한 용도라면 그 사용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설명에 앞서 각 구성에는 기본적으로 케이블(C)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멍(미 부호)이 형성된 것은 물론이다.
웨지(10)는 케이블(C)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가압편(11)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이 일 방향으로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다.
각 가압편(11)의 내주면에는 정착 대상이 되는 케이블(C)의 외주면을 감싸 가압력이 부여될 때 케이블(C)을 맞물 수 있도록 탭 가공에 의한 가압돌기(미 부호) 형성되어 있으며, 가압편(11)의 후방인 도면상 우측에는 상기 복수개의 가압편(11)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금속의 탄성밴드(13)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의 웨지(10)는 후술하게 되는 하우징(20)의 테이퍼공(21)에 삽입될 때(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삽입), 삽입되는 과정에서 가압편(11)들이 눌리면서 가압돌기를 통해 케이블(C)의 외주면을 맞물게 된다.
상기 웨지(10)의 구조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웨지(10)를 이루는 가압편(11)이 3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그 개수를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하우징(20)은 원통의 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웨지(10)가 케이블(C)을 가압한 상태로 삽입되면서 케이블(C)의 외주면을 강력하게 맞물도록 하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웨지(10)가 삽입될 때 가압편(11)들이 케이블(C)을 맞물도록 가압편(11)들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경사진 테이퍼공(2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개구된 이동공간(23)이 형성되며, 테이퍼공(21)과 이동공간(23) 사이에는 서로 연통하는 연결로(25)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테이퍼공(21)은 상기 웨지(10) 외주면의 경사와 대응하는 경사를 이루면서 테이퍼공(21)의 내경은 웨지(10)의 직경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복수개의 가압편(11)들에 의해 형성되는 웨지(10) 내부의 직경보다 케이블(C)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케이블(C)의 외주면에 가압편(11)들이 서로 소정의 이격을 유지한 상태로 배치되어 테이퍼공(2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강력한 가압력이 부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동공간(23)은 하우징(20)의 타측으로부터 다단으로 원통 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개구되어 있으며, 이동공간(23)의 단부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해제실린더(50)와 나선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로(25)는 원형의 형상으로 이동공간(23)과 테이퍼공(21)을 서로 연결하고 있으며, 후술하는 슬리브(47)의 푸싱단(45)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된다.
한편, 하우징(20)의 일측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탄성캡(60)이 나선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해제실린더(50)는 하우징(2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하우징(20)에 삽입된 웨지(10)와 마주하는 하우징(20)의 일측으로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압/공압에 의해 이동하면서 하우징(20)의 테이퍼공(21)에 삽입된 웨지(10)를 밀어 테이퍼공(21)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슬라이더(40)가 구비되어 있다.
해제실린더(50)는, 중심으로 케이블(C)이 관통하며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내측에 소정깊이로 함몰된 링 형상의 가이드홀(31)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외부로부터 유압/공압이 가이드홀(31)로 공급될 수 있도록 가이드홀(31)과 연통하는 메인유입공(33)이 형성된 실린더본체(30)와; 가이드홀(31)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가이드홀(31)에 설치되어 메인유입공(33)으로 공급되는 유압/공압에 의해 가이드홀(31)을 타고 이동하는 피스톤(41)과, 케이블(C)이 관통한 상태로 피스톤(41)과 결합되어 하우징(20)의 이동공간(23)에 배치되며 피스톤(41)과 함께 연동하면서 테이퍼공(21)에 삽입된 웨지(10)를 삽입 반대방향으로 밀어내는 슬리브(47)로 이루어진 슬라이더(40);로 구성되어있다.
이때, 실린더본체(30)의 메인유입공(33)에는 가이드홀(31) 내부로 유압/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메인노즐(35)이 연결되는 것은 물론이며, 공급되는 압력은 정착된 케이블(C)의 하중에 비례하는 압력이 제공됨은 물론일 것이다.
한편 슬리브(47)는, 하우징(20)의 이동공간(23)의 내경과 대응하는 직경으로 상기 피스톤(41)과 결합되는 케이블(C)이 관통하는 플랜지(43)와, 케이블(C)이 관통하는 플랜지(43)의 중심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하우징(20)의 연결로(25)에 삽입된 상태로 웨지(10)를 밀어내는 푸싱단(45)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실린더본체(30)의 가이드홀(31) 내부로 유압/공압이 공급되면, 공급되는 압력에 의해 피스톤(41)과 슬리브(47)가 도면상 우측방향인 웨지(10)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하우징(20)의 연결로(25)에 삽입된 푸싱단(45)의 선단이 하우징(20)의 테이퍼공(21)에 삽입된 웨지(10)를 밀어내어 테이퍼공(21)으로부터 웨지(10)가 분리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웨지(10)로부터 가해진 가압력이 제거됨에 따라 케이블(C)의 외주면을 강력하게 맞물었던 가압력 또한 해제되어 결국 케이블(C)이 원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길수 있는 여건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40)가 피스톤(41)과 슬리브(47)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의 슬라이더(4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기 때문에 그 구조를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이동공간(23)에서 이동한 슬라이더(40)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이동공간(23) 내부에는 슬라이더(40)와 밀착되어 슬라이더(40)로 탄성을 부여하는 복수개의 제2탄성부재(7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제2탄성부재(70)는 압축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며, 슬리브(47)의 플랜지(43)와 마주하는 이동공간(23)의 내벽면에 소정의 홈을 가공하여 일단은 상기 홈에 삽입되고 타단은 플랜지(43)의 표면과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탄성부재(70)는 이동공간(23)의 내벽면에 등 간격으로 4개가 설치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데, 이는 플랜지(43)로 가해지는 탄성력이 균일하게 부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탄성부재(70)가 4개로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그 개수를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탄성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이동공간(23)에서 이동한 슬라이더(40)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우징(20) 외주면에는 유압/공압이 이동공간(23)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이동공간(23)과 연통하는 보조유입공(27)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보조유입공(27)에는 이동공간(23) 내부로 유압/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보조노즐(29)이 연결되는 것은 물론이며, 공급되는 압력은 슬라이더(40)가 복귀될 수 있을 정도의 압력이면 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는 케이블 정착장치(100)가 공장과 같은 설비시설이 인접된 상태인 경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탄성캡(6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웨지(10)가 삽입된 하우징(20) 일측으로 나선결합되어 상기 웨지(1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수분 및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한다.
탄성캡(60)의 내측에는 하우징(20)의 외부로 노출된 웨지(10)의 후단이 수용되는 수용공간(61)이 형성되고, 수용공간(61)에는 웨지(10)의 테이퍼공(21) 삽입시 초기 삽입상태가 유지되도록 삽입방향으로 탄성을 부여하는 제1탄성부재(63)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캡(60)이 하우징(20)의 일측으로 결합되면 웨지(10)는 탄성캡(60)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 한 항상 하우징(20)의 테이퍼공(21)에 초기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미 설명된 실링부재(S)는 유압/공압이 부여되는 부위의 실링을 위해 피스톤(41) 및 슬리브(47)에 구비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하우징(20)과 결합된 해제실린더(50)의 반대편에는, 케이블(C)이 관통된 상태로 해제실린더(50)와 결합되어 본원 발명의 케이블 정착장치(100)를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8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브라켓(80)은 특정된 구조물에 별도의 고정수단(미 도시)을 통해 고정되어 케이블 정착장치(100)뿐만 아니라, 케이블 정착장치(100)를 포함한 케이블(C)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와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브라켓(80)이 해제실린더(50)에 결합되어 구조물에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구조의 변형을 통해 케이블 정착장치(100)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정착장치(100)를 통해 케이블(C)과 웨지(10)가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케이블 정착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하우징(20)과 해제실린더(50) 및 탄성캡(60)을 서로 결합하여 케이블 정착장치(100)를 완성하고, 해제실린더(50)에 고정브라켓(80)을 결합한다.
이후, 고정브라켓(80)을 특정된 구조물에 안착시키면서 별도의 체결수단(미 도시)을 통해 구조물에 고정시킨다.
이때, 케이블(C) 안착장치는 상기와 같은 방식을 통해 케이블(C)의 양측이 위치하는 곳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 정착장치(100)가 고정되면, 도 5a의 화살표방향으로 케이블(C) 단부를 케이블 정착장치(100)로 밀어넣어 관통시킨다. 이때, 케이블(C)은 케이블 정착장치(100)를 관통하면서 웨지(10)의 내측을 지나 탄성캡(6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외부로 노출된 케이블(C)은 작업자에 의해 설치되는 케이블(C)이 원하는 인장력을 가질 때까지 당겨지게 된다. 이때 케이블(C)의 인장력 부여과정은 케이블(C)의 양측에서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이다.
이후 케이블(C)에 인장력이 부여되면, 작업자는 이미 탄성캡(60)을 분리하고 하우징(20)의 테이퍼공(21)에 삽입된 웨지(10)의 후단을 타격하여 웨지(10)를 테이퍼공(21)에 어느 정도 삽입시킨다.
이 과정에서 복수개 가압편(11)의 가압돌기가 케이블(C)의 외주면을 가압하기 때문에 케이블(C)은 일차적으로 웨지(10)에 의해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케이블(C)은 계속적으로 당겨지고 있는 상태이다.
이후, 케이블(C)의 당기는 힘이 해제되면 케이블(C)은 순간적으로 도 5a의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끌려나가게 되고, 이 과정에서 케이블(C) 외주면을 일차적으로 가압하고 있는 웨지(10)도 함께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하우징(20)의 테이퍼공(21)에 강력하게 결속된다.
상기와 같은 웨지(10)의 결속에 의해 웨지(10)의 가압돌기는 케이블(C)의 외주면을 강력하게 맞물어 케이블(C)을 케이블 정착장치(100)에 도 5a와 같이 고정시키고 탄성캡(60)을 다시 결합하여 케이블(C)의 설치를 완료한다.
그리고, 도 5a의 상태에서 칸성캡의 후방으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소정의 길이로 여분의 케이블(C)을 절단한다.
한편, 계절의 변화 또는 유지보수 등과 같은 상황에 따라 웨지(10)와 케이블(C)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실린더본체(30)의 메인유입공(33)에 메인노즐(35)을 결합하여 외부로부터 실린더본체(30)의 가이드홀(31) 내부로 유압/공압을 공급한다.
이때 공급되는 유압/공압의 압력은 가이드홀(31)에 삽입된 슬라이더(40)를 밀어낼 수 있을 정도로 공급되어야 함은 물론일 것이다.
도 5b와 같이 가이드홀(31) 내부로 유압/공압이 공급되면, 공급되는 압력을 받으면서 슬라이더(40)의 피스톤(41)이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더하여 슬리브(47)도 함께 연동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슬리브(47)의 푸싱단(45)은 연결로(25)를 이동하면서 어느 순간 웨지(10)의 선단(테이퍼공(21)에 끼워진 방향)과 접촉하게 되고, 계속적인 압력 공급에 의해 이동하면서 하우징(20)의 테이퍼공(21)에 삽입된 웨지(10)를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렇게 되면, 웨지(10)는 테이퍼공(21)으로부터 밀려나는 순간 케이블(C)의 외주면과 맞물리도록 하는 가압력이 해제되기 때문에 결국 도 5b와 같이 케이블(C)과 서로 분리된다.
이때, 이동공간(23)의 제2탄성부재(70)는 슬리브(47)의 이동에 의해 압축된 상태임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웨지(10)와 케이블(C)이 분리되면, 케이블(C)은 케이블 정착장치(100)로부터 자유롭기 때문에 손쉽게 여분의 케이블(C)을 더 공급하거나 또는 당길 수 있게 되어 유지보수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앞서 서술된 케이블(C)을 고정하는 방법을 다시 적용하여 웨지(10)에 케이블(C)을 맞물려 케이블 정착장치(100)에 정착시킨다.
이때, 케이블(C)이 정착되기 전 가이드홀(31) 내부로 공급되었던 유압/공압의 압력을 제거하면, 슬리브(47)는 압축되었던 제2탄성부재(70)의 압축력이 해제됨에 따라 제2탄성부재(70)에 의해 최초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앞서 서술된 본 발명의 케이블 정착장치(100)는 케이블(C)을 정착시키는 용도로 설명하였지만, 케이블(C)의 피로시험 테스트와 인장시험 테스트 등과 같은 케이블(C) 테스트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케이블(C)의 시험테스트를 위해 웨지(10)를 케이블(C)에 맞물려 케이블(C)의 정착환경과 동일한 조건을 부여하여 테스트를 하였다. 그러나, 테스트 이후 웨지(10)와 케이블(C)의 맞물림 상태가 너무 강력하기 때문에 원천적으로 해제될 수 없어 결국 웨지(10)와 케이블(C)을 포함한 정착장치를 폐기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케이블 정착장치(100)가 테스트에 적용되면, 테스트를 위해 웨지(10)에 맞물린 상태의 케이블(C)이 웨지(10)로부터 분리될 수 있음에 따라 테스트 대상이 되는 각종 케이블(C)만 폐기되고, 반대로 웨지(10) 및 정착장치는 재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상당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블 정착장치는,
정착장치의 후방으로 여분의 케이블이 구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케이블의 미세조절은 물론이고, 계절 변화에 따른 케이블의 인장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그 이상의 케이블 공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정착장치 내부에서 케이블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웨지가 케이블과 분리되는 구조를 이룸에 따라 교체 대상이 되는 케이블만을 교체하고 웨지의 재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교체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케이블 정착장치를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 : 웨지 11 : 가압편
20 : 하우징 21 : 테이퍼공
23 : 이동공간 25 : 연결로
27 : 보조유입공 30 : 실린더본체
31 : 가이드홀 33 : 메인유입공
40 : 슬라이더 41 : 피스톤
43 : 플랜지 45 : 푸싱단
47 : 슬리브 50 : 해제실린더
60 : 탄성캡 61 : 수용공간
63 : 제1탄성부재 70 : 제2탄성부재
80 : 고정브라켓 100 : 케이블 정착장치
C : 케이블 S : 실링부재

Claims (6)

  1. 케이블(C)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복수개의 가압편(11)으로 이루어진 웨지(10);
    상기 웨지(10)가 삽입되며, 일측에는 상기 웨지(10)가 삽입될 때 상기 가압편(11)들이 상기 케이블(C)을 맞물도록 상기 가압편(11)들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경사진 테이퍼공(2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개구된 이동공간(23)이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공(21)과 상기 이동공간(23) 사이에는 서로 연통하는 연결로(25)가 형성된 하우징(20);
    삽입된 상기 웨지(10)와 마주하는 상기 하우징(20)의 일측으로 결합되며, 유압/공압의 공급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하우징(20)의 상기 테이퍼공(21)에 삽입된 상기 웨지(10)를 밀어 상기 테이퍼공(21)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슬라이더(40)가 구비된 해제실린더(50); 및
    상기 하우징(20)의 일측으로 결합되며, 내측으로 상기 웨지(10)의 후단이 수용되는 수용공간(6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61)에는 상기 웨지(10)의 상기 테이퍼공(21) 삽입시 초기 삽입상태가 유지되도록 삽입방향으로 탄성을 부여하는 제1탄성부재(63)가 구비된 탄성캡(6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실린더(50)는,
    중심으로 상기 케이블(C)이 관통하며,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내측에 소정깊이로 함몰된 링 형상의 가이드홀(31)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유압/공압이 상기 가이드홀(31)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홀(31)과 연통하는 메인유입공(33)이 형성된 실린더본체(30);
    상기 가이드홀(31)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가이드홀(31)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유입공(33)으로 공급되는 유압/공압에 의해 상기 가이드홀(31)을 타고 이동하는 피스톤(41)과, 상기 케이블(C)이 관통한 상태로 상기 피스톤(41)과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20)의 상기 이동공간(23)에 배치되며 상기 피스톤(41)과 함께 연동하면서 상기 테이퍼공(21)에 삽입된 상기 웨지(10)를 삽입 반대방향으로 밀어내는 슬리브(47)로 이루어진 슬라이더(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47)는,
    상기 하우징(20)의 상기 이동공간(23)의 내경과 대응하는 직경으로 상기 피스톤(41)과 결합되는 상기 케이블(C)이 관통하는 플랜지(43)와, 상기 케이블(C)이 관통하는 상기 플랜지(43)의 중심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0)의 상기 연결로(25)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웨지(10)를 밀어내는 푸싱단(4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1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상기 이동공간(23)에서 이동한 상기 슬라이더(40)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이동공간(23)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더(40)와 밀착되어 상기 슬라이더(40)로 탄성을 부여하는 복수개의 제2탄성부재(7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100).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상기 이동공간(23)에서 이동한 상기 슬라이더(40)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하우징(20) 외주면에는 유압/공압이 상기 이동공간(23)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공간(23)과 연통하는 보조유입공(2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10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과 결합된 상기 해제실린더(50)의 반대편에는, 상기 케이블(C)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해제실린더(50)와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 정착장치(100)를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8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100).
KR1020140048646A 2014-04-23 2014-04-23 케이블 정착장치 KR101589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646A KR101589643B1 (ko) 2014-04-23 2014-04-23 케이블 정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646A KR101589643B1 (ko) 2014-04-23 2014-04-23 케이블 정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426A true KR20150122426A (ko) 2015-11-02
KR101589643B1 KR101589643B1 (ko) 2016-01-28

Family

ID=54599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646A KR101589643B1 (ko) 2014-04-23 2014-04-23 케이블 정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6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7706A1 (en) * 2021-06-28 2023-01-05 Holmes Solutions Limited Partnership A coupling system, coupler tool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4300A (ja) * 1997-10-20 1999-05-1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ジャッキ用チャック装置
JP2000351599A (ja) * 1999-06-07 2000-12-19 Okkusu Jack Kk チャックの定着装置
KR100936082B1 (ko) 2009-04-28 2010-01-12 케이블텍 주식회사 케이블 정착장치
KR100936081B1 (ko) 2009-04-28 2010-01-12 케이블텍 주식회사 케이블 정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4300A (ja) * 1997-10-20 1999-05-1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ジャッキ用チャック装置
JP2000351599A (ja) * 1999-06-07 2000-12-19 Okkusu Jack Kk チャックの定着装置
KR100936082B1 (ko) 2009-04-28 2010-01-12 케이블텍 주식회사 케이블 정착장치
KR100936081B1 (ko) 2009-04-28 2010-01-12 케이블텍 주식회사 케이블 정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7706A1 (en) * 2021-06-28 2023-01-05 Holmes Solutions Limited Partnership A coupling system, coupler tools and methods of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9643B1 (ko)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56059A1 (en) Interchangeable Self-Locking Spring Loaded Quick Connect Apparatus for Wire Rope Cable and the Like
US10106983B2 (en) Wedge for post tensioning tendon
US3778869A (en) Apparatus for detensioning stranded cable
KR101223221B1 (ko) 양방향 케이블 정착구
US10316517B2 (en) Continuous fiber reinforcing material tension apparatus, continuous fiber reinforcing material tension method, and wedge body
KR101899985B1 (ko)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장치
EP3269894A1 (en) Encapsulated splice chuck
KR101885992B1 (ko) 거푸집 지지용 서포트
KR200481040Y1 (ko) 그라운드 앵커용 인장력 시험 및 부여장치
JP6812255B2 (ja) 内面材嵌着装置
US10060459B2 (en) Removable blind fastener for narrow apertures
KR101589643B1 (ko) 케이블 정착장치
JP2018123855A (ja) 内面材嵌着装置
KR101448916B1 (ko) 난간용 로프의 텐션 유지장치
KR20140099378A (ko) 파이프 간격 유지 장치
US10156248B2 (en) Profile connector and profile assembly
US10384085B1 (en) Concrete anchor poin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AU2016320231B2 (en) Connector
KR101460010B1 (ko) 잔류하중 측정을 위한 일체형 고정기구
KR102228773B1 (ko)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DE102008043691B4 (de) Halter zur bohrungslosen Befestigung von Systemen an einem Profil in einem Flugzeug
KR101924069B1 (ko) 분리형볼트를 구비한 정착용쐐기 및 이를 이용한 긴장재 시공방법
KR102203293B1 (ko) 난간용 로프의 고정장치
DE4316889C2 (de) Vorrichtung zum Auseinanderdrücken gegenüberliegender Teile, insbesondere von Flanschverbindungen
CN113994106B (zh) 用于重型的传动装置部分的固定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