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773B1 -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773B1
KR102228773B1 KR1020190028762A KR20190028762A KR102228773B1 KR 102228773 B1 KR102228773 B1 KR 102228773B1 KR 1020190028762 A KR1020190028762 A KR 1020190028762A KR 20190028762 A KR20190028762 A KR 20190028762A KR 102228773 B1 KR102228773 B1 KR 102228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ock nut
tension
circumferential surface
opera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9556A (ko
Inventor
안승환
Original Assignee
안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승환 filed Critical 안승환
Priority to KR1020190028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773B1/ko
Publication of KR20200109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Flexible Sha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는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외부와 상기 작동공간을 연통시키는 주입구가 구비되어 작동유체가 상기 작동공간 내부로 선택적으로 주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작동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주입구를 통해 작동유체가 주입됨에 따라 상기 작동공간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부; 상기 피스톤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 양쪽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피스톤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봉 형상의 제1 작동부재 및 제2 작동부재; 및 상기 제1 작동부재 및 제2 작동부재가 각각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제한하여 고정시키는 제1 잠금너트 및 제2 잠금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작동부재 또는 제2 작동부재 중 어느 하나는 케이블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은 구조물에 고정되는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는 1차 장력 조절 후 일정시간을 경과하여 추가적인 장력 조절이 필요한 경우 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CABLE TENSION ADJUSTMENT EQUIPMENT}
본 발명은 케이블에 대하여 1차 장력 조절 후 일정시간을 경과하여 추가적인 장력 조절이 필요한 경우 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이나 건축물과 같은 구조물에는 수평/수직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구조물의 붕괴를 방지하고자 인장 케이블을 설치한다.
이와 같은 인장 케이블은 유압잭 등과 같은 인장장치를 이용해 일정량의 장력을 형성하여 보 형태의 구조물을 보강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은 종래의 장력 조절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양 측면에는 인장 케이블을 결합할 수 있는 소켓부재(4, 4') 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소켓부재(4, 4')의 내측에는 실린더 본체(1)와 상기 실린더 본체(1) 내부에서 작동유체에 의해 작동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유/공압 작동수단(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공압 작동수단(2)의 실린더 본체(1) 일측에 장력이 조절된 작동수단(2)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수단(3)으로 구성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1차 장력이 조절되어 고정된 케이블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장력의 변화가 발생하여 장력을 다시 조절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장력 조절장치는 2차 인장이 필요한 경우, 상기 잠금수단(3)을 풀고 다시 케이블을 인장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잠금수단(3)을 풀기 위하여는 실린더 본체(1) 내부 작동유체의 압력을 잠금수단(3)에 재하된 장력과 동일한 압력으로 맞추어 잠금수단(3)에 재하된 장력을 제거해야만 한다. 하지만, 시간이 경과한 후 잠금수단(3)에 재하된 장력은 최초의 설계 장력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어 현재 잠금수단(3)에 재하된 장력과 동일한 장력으로 작동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에 대하여 1차 장력 조절 후 일정시간을 경과하여 추가적인 장력 조절이 필요한 경우 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내부에는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외부와 상기 작동공간을 연통시키는 주입구가 구비되어 작동유체가 상기 작동공간 내부로 선택적으로 주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작동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주입구를 통해 작동유체가 주입됨에 따라 상기 작동공간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부; 상기 피스톤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 양쪽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피스톤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봉 형상의 제1 작동부 및 제2 작동부; 및 상기 제1 작동부재 및 제2 작동부재가 각각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제한하여 고정시키는 제1 잠금너트 및 제2 잠금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작동부 또는 제2 작동부 중 어느 하나는 케이블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은 구조물에 고정되는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작동부는, 제1 피스톤 로드와 제1 작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작동부재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나사산부와, 상기 피스톤부에 결합되어 평탄한 외주면이 형성된 평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작동부재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나사산부와, 상기 피스톤부에 결합되어 평탄한 외주면이 형성된 평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또한, 상기 제1 잠금너트는, 상기 제1 작동부재의 나사산부에 나사 결합하고, 상기 제2 잠금너트는, 상기 제2 작동부재에 나사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잠금너트 및 제2 잠금너트는, 각각 정방향 너트와 역방향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주입구는 제1 주입구와 제2 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입구를 통하여 주입되는 작동유체의 압력이 상기 제2 잠금너트에 재하된 장력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잠금너트에 재하된 장력이 해제되고, 상기 제2 주입구를 통하여 주입되는 작동유체의 압력이 상기 제1 잠금너트에 재하된 장력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잠금너트에 재하된 장력이 해제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작동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실린더 형상의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의 반대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작동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실린더 형상의 제2 가이드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는, 각각 그 외주면의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이 각각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된 대응하는 나사산과 나사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제1 가이드부의 단부 및 제2 가이드부의 단부는 상기 피스톤부의 이동거리를 한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작동부재 및 제1 잠금너트 사이에는, 구조물에 작용하는 장력에 대응하는 반력(reaction)을 부여하여 상기 하우징을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구조물 반력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는, 상기 피스톤부를 제2 잠금너트 쪽으로 이동시켜 과인장 상태를 형성하여 상기 제2 잠금너트의 결합을 해제하고, 상기 피스톤부를 제1 잠금너트 쪽으로 이동시켜 저인장 상태를 형성하여 상기 제1 잠금너트의 결합을 해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유체는 공기 또는 오일인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는, 케이블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인장 장치(본 발명에서는 하우징과 피스톤부)의 양단에 하우징과 분리하여 잠금수단을 각각 설치함으로써, 케이블에 대하여 1차 장력 조절 후 일정시간을 경과하여 추가적인 장력 조절이 필요한 경우, 잠금수단에 재하된 장력을 쉽게 제거함으로써, 재인장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과도한 시행착오 없이 필요시 언제든지 잠금수단을 해제하고 케이블의 인장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2에 따른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구현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구현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따른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100)는 크게 하우징(10), 피스톤부(20), 제1 및 제2 작동부 및 제1 및 제2 잠금너트(51, 5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100)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본체(11)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본체(11)의 내부에는 작동공간(1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 본체(11)의 외주면은 구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6각형 또는 8각형의 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 본체(11)에는 외부와 상기 작동공간(15)을 연통시키는 주입구(12)가 구비되어 작동유체가 상기 작동공간(15) 내부로 선택적으로 주입될 수 있다. 주입구(12)의 작동에 대하여는 뒤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20)는 하우징(10)의 작동공간(15)에 삽입되어 주입구(12)를 통해 작동유체가 주입됨에 따라 작동공간(15)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케이블(미도시)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부분이다. 상기 피스톤부(20)는 하우징(10)의 작동공간(15) 내주면에 밀착하여 슬라이드되는 피스톤(21)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21)에는 하우징(10)의 내주면과의 밀봉을 위해 오링을 끼워넣기 위한 오링홈(2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21)의 양측에는 피스톤(21)과 일체로 형성되어 각각 연장되는 제1 및 제2 피스톤 로드(22)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20)의 양단에는 봉 형상의 제1 작동부 및 제2 작동부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작동부 및 제2 작동부는 각각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작동부는 제1 피스톤 로드(22)와 제1 작동부재(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작동부는 제2 피스톤 로드(22)와 제2 작동부재(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부재(30)는 제1 피스톤 로드(22)에 나사 경합되며, 제2 작동부재(40)는 제2 피스톤 로드(22)에 나사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피스톤 로드(22)에는 각각 나사홈(23, 24)이 형성되며, 제1 작동부재(30) 및 제2 작동부재(40)에는 상기 나사홈(23, 24)에 대응하는 (33, 42) 구비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1 작동부재(30) 및 제2 작동부재(40)는 상기 하우징(10)의 양쪽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게 되며, 피스톤부(20)의 이동에 연동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작동부재(3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나사산부(31)와, 나사산이 구비되지 않는 평활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작동부재(40)에도 그 외주면에 나사산(41)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너트(51) 및 제2 잠금너트(52)는 상기 제1 작동부재(30) 및 제2 작동부재(40)가 각각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제한하여 고정시키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제1 잠금너트(51)는, 상기 제1 작동부재(30)의 나사산부(31)에 나사 결합하고, 상기 제2 잠금너트(52)는, 상기 제2 작동부재(40)의 나사산(41)에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즉, 제1 작동부재(30) 또는 제2 작동부재(40) 중 어느 하나는 케이블에 고정되게 되며, 장력이 조절된 제1 작동부재(30) 및 제2 작동부재(40)는 그 반작용으로 하우징(10) 내부로 인입하려는 성질을 갖게 된다. 따라서 제1 작동부재(30) 및 제2 작동부재(40)에 나사 결합된 제1 잠금너트(51) 및 제2 잠금너트(52)는 각각 제1 작동부재(30) 및 제2 작동부재(40)가 하우징(10) 내측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잠금너트(51) 및 제2 잠금너트(52)는, 각각 정방향 너트(51a, 52a)와 역방향 너트(51b, 5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장력이 조절된 케이블은 시간이 경과되면서 지속적으로 일정한 방향으로 진동을 수반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잠금너트(51) 또는 제2 잠금너트(52)는 어느 한 방향으로 풀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잠금너트(51) 및 제2 잠금너트(52)에 각각 정방향 너트(51a, 52a)와 역방향 너트(51b, 52b)가 구비되기 때문에 케이블의 진동 방향과 관계 없이 상기 1 잠금너트(51) 및 제2 잠금너트(52)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는 하우징(10)의 내주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하우징(1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피스톤부(20) 및 상기 제1 작동부재(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실린더 형상의 제1 가이드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부(60)의 외주면에는 하우징 몸체 내주면과의 밀봉을 위한 오링(63)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부(60)의 내주면에는 제1 피스톤 로드(22)와의 밀봉을 위한 오링(64)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가이드부(60)는 그 외주면 일부에 나사산(62)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대응하는 나사산(13)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타측, 즉 상기 제1 가이드부(60)의 반대측에는, 하우징(10)의 내주면에 삽입되고 상기 피스톤부(20) 및 상기 제2 작동부재(4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실린더 형상의 제2 가이드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 가이드부(70)의 외주면에도 하우징 몸체(11) 내주면과의 밀봉을 위한 오링(73)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부(70)의 외주면 일부에도 나사산(71)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대응하는 나사산(14)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가이드부(60) 및 제2 가이드부(60) 대신에 하우징 몸체(11) 자체를 제1 가이드부(60) 및 제2 가이드부(70)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 로드(22)는 상기 제1 가이드부(60)의 하우징(10)에 삽입된 부분의 내주면(61)에 밀착되어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피스톤 로드(22)는 제2 가이드부(70)의 내주면(72)에 밀착되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에 삽입된 제1 가이드부(60)의 단부는 피스톤(21)이 구조물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한정하여 더 이상 피스톤부(20)가 구조물 쪽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에 삽입된 제2 가이드부(70)의 단부는 피스톤(21)의 케이블 방향으로의 이동하는 것을 한정하여 더 이상 피스톤부(20)가 케이블 쪽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체로는 공기 또는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작동부재(30) 및 제1 잠금너트(51) 사이에는, 구조물에 작용하는 장력에 대응하는 반력(reaction)을 부여하는 구조물 반력체(80)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조물 반력체(80)는 하우징(10)을 구조물에 견고하게 결합시키고, 결합면을 확대시켜 하중이 안정적으로 분산, 전달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인장작업을 수행하는 하우징(10)을 구조물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는 주입구(12)는 제1 주입구(12a)와 제2 주입구(12b)를 포함한다. 이때 하우징(10)의 인장력이 비교적 작게 필요한 경우, 주입구(12a, 12b)를 통해 하우징 본체(11) 내부의 작동공간(15)에 작동유체를 주입/인출하여 인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의 일단에 연통되어 이를 통해 작동유체가 주입되면 피스톤부(20)를 케이블에 가까운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또한 하우징(10)의 인장력이 크게 필요한 경우, 한쪽 주입구는 정(+)의 압력을 부여하고, 다른쪽 주입구는 부(-)의 압력을 부여하여 인장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주입구(12a)를 통하여 주입되는 작동유체의 압력이 제2 잠금너트(52)에 재하된 장력보다 크게 유지되는 경우 제2 잠금너트(52)에 재하된 장력이 해제되어 제2 잠금너트(52)를 용이하게 풀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주입구(12b)를 통하여 주입되는 작동유체의 압력이 상기 제1 잠금너트(51)에 재하된 장력보다 크게 유지되는 경우 제1 잠금너트(51)에 재하된 장력이 해제되어 제2 잠금너트(52)를 용이하게 풀 수 있게 된다.
즉, 도 1의 종래기술에 따르면 잠금수단(3)이 실린더 본체(1)와 인장 및 압축 양방향으로 고정 결합되어 있어, 상기 잠금수단(3)을 풀기 위하여는 실린더 본체(1) 내부 작동유체의 압력을 잠금수단(3)에 재하된 장력과 동일한 압력으로 맞추어 잠금수단(3)에 재하된 장력을 제거해야만 한다.
구체적으로, 종래기술의 잠금수단(3)은, 상기 잠금수단(3)에 인장력이 부과된 경우, 해당 인장력에 의해 나사풀림이 어려워지고, 압축력이 부과된 경우 해당 압축력에 의해 나사풀림이 어려워지므로, 상기 잠금수단(3)에 인장/압축력이 부과되지 않은 정확한 인장위치를 실린더 내에서 맞추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시간이 경과한 후 잠금수단(3)에 재하된 장력은 최초의 설계 장력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어 현재 잠금수단(3)에 재하된 장력과 동일한 장력으로 작동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잠금너트(51) 및 제2 잠금너트(52)는 하우징 본체(11)와 분리되어 제1 작동수단(30) 및 제2 작동수단(40)에 대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구속되어 결합되므로,, 작동공간(15) 내부의 압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함에 의해 제1 잠금너트(51) 및 제2 잠금너트(52)에 재하된 장력을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하여 필요시 언제나 제1 잠금너트(51) 및 제2 잠금너트(52)를 풀고 케이블을 재인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의 (a) 내지 (e)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5의 (a) 내지 (e)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5의 (a)는 1차 케이블 장력을 조절한 후 제1 작동수단(30) 및 제2 작동수단(40)을 제1 잠금너트(51) 및 제2 잠금너트(52)로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에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잠금너트(51) 및 제2 잠금너트(52)는 각각 하우징(10)의 양쪽 단부(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잠금너트(51)는 구조물 반력체(80)의 단부)에 밀착된 상태로 제1 작동수단(30) 및 제2 작동수단(40)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작동공간(15) 내부에는 압력이 걸리지 않게 되며 제1 잠금너트(51) 및 제2 잠금너트(52)는 하우징(10) 쪽으로 장력을 받는 상태가 된다.
이어서, 제1 주입구(12a)를 통하여 작동유체를 서서히 주입하면서 작동공간(15) 내부의 압력을 높이게 되면 작동공간(15) 내부의 압력과 제2 잠금너트(52)에 걸린 장력이 서서히 상쇄되어 제2 잠금너트(52)에 재하된 인장력은 감소된다(도 5의 (b)).
이어서, 작동공간(15) 내부의 압력을 더욱 높여 작동공간(15) 내부의 압력이 제2 잠금너트(52)에 걸린 장력을 초과하게 되면 제2 잠금너트(52)의 장력이 해제되어 제2 잠금너트(52)는 하우징(10) 단부로부터 미세하게 이격되고, 별다른 저항없이 상기 제2 잠금너트(52)를 회전시켜 완전하게 풀 수 있게 된다(도 5의 (c)).
이어서, 동일한 원리에 의하여 작동공간(15) 내부의 압력을 높이게 되면 작동공간(15) 내부의 인장 압력을 낮추게 되면, 상기 제2 잠금너트(52)의 이격 거리만큼 제1 잠금너트(51)가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이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잠금너트(51)를 완전하게 풀 수 있게 된다(도 5의 (d), (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잠금너트(51) 및 제2 잠금너트(52)가 하우징 본체(11)와 분리되고, 작동공간(15) 내부의 압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제1 잠금너트(51) 및 제2 잠금너트(52)에 재하된 장력을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제거함으로써 필요시 언제나 제1 잠금너트(51) 및 제2 잠금너트(52)를 풀고 케이블을 재인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잠금너트(51) 및 제2 잠금너트(52)가 각각 정방향/역방향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잠금너트(51) 및 제2 잠금너트(52)는 회전 방향을 달리하여 순차적으로 풀어주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하우징 11 : 하우징 본체
12 : 주입구 12a : 제1 주입구
12b : 제2 주입구 13 : 나사산
14 : 나사산 20 : 피스톤부
21 : 피스톤 22 : 피스톤 로드
23 : 나사홈 24 : 나사홈
25 : 오링 30 : 제1 작동부재
31 : 나사산부 32 : 평활부
33 : 나사산 40 : 제2 작동부재
41 : 나사산 42 : 나사산
51 : 제1 잠금너트 51a : 정방향 나사
51b : 역방향 나사 52 : 제2 잠금너트
52a : 정방향 나사 52b : 역방향 나사
60 : 제1 가이드 부재 61 : 내주면
62 : 나사산 63 : 오링
70 : 제2 가이드 부재 71 : 나사산
72 : 내주면 73 : 오링
80 : 구조물 반력체 100 :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Claims (10)

  1. 내부에는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외부와 상기 작동공간을 연통시키는 주입구가 구비되어 작동유체가 상기 작동공간 내부로 선택적으로 주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작동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주입구를 통해 작동유체가 주입됨에 따라 상기 작동공간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부;
    상기 피스톤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양쪽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피스톤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봉 형상의 제1 작동부 및 제2 작동부; 및
    상기 제1 작동부 및 제2 작동부가 각각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제한하여 고정시키는 제1 잠금너트 및 제2 잠금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작동부 또는 제2 작동부 중 어느 하나는 케이블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은 구조물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작동부는,
    제1 피스톤 로드와, 제1 작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작동부재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나사산부와, 상기 제1 피스톤 로드에 결합되며 평탄한 외주면이 형성된 평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작동부는,
    제2 피스톤 로드와 제2 작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작동부재는 제2 피스톤 로드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작동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실린더 형상의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의 반대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작동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실린더 형상의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너트는, 상기 제1 작동부재의 나사산부에 나사 결합하고,
    상기 제2 잠금너트는, 상기 제2 작동부재의 나사산부에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주입구는 제1 주입구와 제2 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입구를 통하여 주입되는 작동유체의 압력이 상기 제2 잠금너트에 재하된 장력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잠금너트에 재하된 장력이 해제되고,
    상기 제2 주입구를 통하여 주입되는 작동유체의 압력이 상기 제1 잠금너트에 재하된 장력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잠금너트에 재하된 장력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는,
    각각 그 외주면의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이 각각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된 대응하는 나사산과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제1 가이드부의 단부 및 제2 가이드부의 단부는, 상기 피스톤부의 이동 거리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부재 및 제1 잠금너트 사이에는,
    구조물에 작용하는 장력에 대응하는 반력(reaction)을 부여하여, 상기 하우징을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구조물 반력체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체는 공기 또는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KR1020190028762A 2019-03-13 2019-03-13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KR102228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762A KR102228773B1 (ko) 2019-03-13 2019-03-13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762A KR102228773B1 (ko) 2019-03-13 2019-03-13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556A KR20200109556A (ko) 2020-09-23
KR102228773B1 true KR102228773B1 (ko) 2021-03-16

Family

ID=72708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762A KR102228773B1 (ko) 2019-03-13 2019-03-13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7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655B1 (ko) * 2021-06-09 2023-07-0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케이블 체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탄 케이블 체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7280A (ja) * 2004-03-31 2005-10-13 Nok Corp テンション調整装置
KR100855206B1 (ko) 2008-03-06 2008-09-01 한우물중공업(주) 건축물의 유.공압식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KR101334750B1 (ko) * 2013-07-02 2013-11-29 박정환 상호 역방향으로 대향한 이중쐐기를 사용하여 체결력을 높인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 케이블 고정장치가 구비된 고정형 케이블 정착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233B1 (ko) * 2009-05-12 2011-07-29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케이블 인장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7280A (ja) * 2004-03-31 2005-10-13 Nok Corp テンション調整装置
KR100855206B1 (ko) 2008-03-06 2008-09-01 한우물중공업(주) 건축물의 유.공압식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KR101334750B1 (ko) * 2013-07-02 2013-11-29 박정환 상호 역방향으로 대향한 이중쐐기를 사용하여 체결력을 높인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 케이블 고정장치가 구비된 고정형 케이블 정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556A (ko)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6118B2 (en) Locking pin with spring retention mechanism
KR102228773B1 (ko)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US10138982B2 (en) Autonomous hydraulic expansion and contraction apparatus
EP3418154A1 (de) Windleitelement zur anordnung zwischen zwei fahrzeugteilen eines schienenfahrzeugs
KR101583347B1 (ko) 앵커볼트 구조체
CN105008632A (zh) 利用液压力把钢筋耦合的装置
DE112017005797T5 (de) Ausfahrbare Standsäule und Zelt umfassend derselben
JP6931273B2 (ja) 膜体取付構造体及び膜体取付方法
KR101019176B1 (ko)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KR20180010769A (ko) 철근 이음장치
JP2015218816A (ja) タイロッド連結具
KR20130056134A (ko)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프리 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체
CN110124265B (zh) 可调整相对位置的支架组
KR100970081B1 (ko)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KR100970082B1 (ko)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KR20130101509A (ko) 기계적 피스 특히 기계적 프로세싱 등을 받는 피스를 위한 록킹 장치
KR101052233B1 (ko) 케이블 인장장치
KR100971613B1 (ko)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JP2015148239A (ja) タイロッド用連結具
KR101589643B1 (ko) 케이블 정착장치
KR101843076B1 (ko) 재인장 커플러 유닛
KR101208066B1 (ko)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
EP1752197B1 (de) Lawinensonde
JPH043069Y2 (ko)
CN116122456B (zh) 一种拼接式预制墙体及其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