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082B1 -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 Google Patents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082B1
KR100970082B1 KR1020100020473A KR20100020473A KR100970082B1 KR 100970082 B1 KR100970082 B1 KR 100970082B1 KR 1020100020473 A KR1020100020473 A KR 1020100020473A KR 20100020473 A KR20100020473 A KR 20100020473A KR 100970082 B1 KR100970082 B1 KR 100970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eel wire
wire rope
reaction
mov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3157A (ko
Inventor
박선규
김태완
홍성남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20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082B1/ko
Publication of KR20100043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1Construction of stressing j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S)에 설치되어 강선로프(W)를 긴장시키는 긴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조물(S)에 고정되는 돌출판(51)을 갖는 정착기(50); 상기 정착기(50)에 체결되는 나사봉(62); 상기 나사봉(62)에 끼워져서 상기 돌출판(51)과 이격되고, 상기 강선로프(W)가 관통하는 반력판(64); 상기 반력판(64) 및 돌출판(51) 사이에 개재되어 길이가 신장되면서 반력판(64)을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이동부재(70); 상기 반력판(64)과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강선로프(W)를 견인하는 견인구(80) 및; 상기 견인구(80)와 함께 이동한 상기 반력판(64)을 고정하는 고정구(9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이동부재(70)의 신장력을 이용하여 상기 강선로프(W)를 용이하게 긴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 TENSIONING APPARATUS FOR STEEL WIRE ROPE }
본 발명은 구조물에 설치되어 강선을 긴장시키는 강선로프용 긴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된 강선을 긴장시키는 강선로프용 긴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이나 보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은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에 강선로프가 구조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러한 강선로프는 구조물의 하부에서 구조물을 당기는 상태로 지지하도록 팽팽하게 긴장상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강선로프는 대부분 구조물의 단부까지 배선된 후 긴장된다. 이때, 강선로프는 외부강선보강공법에 의해 긴장된다.
그러나, 이러한 외부강선보강공법은 강선로프의 단부에 형성되는 협소한 작업공간에서 강선로프를 당겨야 하므로 완전하게 긴장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강선로프를 강력하게 긴장시킬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강선로프의 단부에 형성되는 협소한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협소한 작업공간에서도 강성로프를 강력하게 긴장시킬 수 있는 강선로프용 긴장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강선로프용 긴장장치는, 구조물에 설치되어 강선로프를 긴장시키는 긴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정착하고,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강선로프가 관통하는 돌출판이 형성되는 정착기; 상기 정착기의 돌출판에 일단부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나사봉; 상기 나사봉에 끼워져서 상기 돌출판과 이격상태로 평행을 이루고, 상기 강선로프가 관통하는 반력판; 상기 반력판 및 돌출판 사이에 개재되고, 길이가 신장되면서 반력판을 가압하여 상기 나사봉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 상기 강선로프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반력판과 함께 이동하면서 강선로프를 견인하는 견인구; 및 상기 견인구와 함께 이동한 상기 반력판을 이동된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정착기는, 상기 구조물에 박혀서 고정되는 고정핀; 상기 고정핀에 결합되는 결합판; 상기 결합판에 동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구조물의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돌출판이 직교상태로 결합되는 부착판; 및 상기 부착판에 결합되어 상기 돌출판을 지지하는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재는 내부에 충전되는 유압에 의해 신축하고, 상기 강선로프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갖는 유압잭이고: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반력판 및 돌출판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며, 상기 이동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반력판이나 돌출판에 체결되는 체결나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강선로프용 긴장장치는 이동부재의 신장에 의해 반력판이 견인구와 함께 이동하므로, 견인구의 이동력을 통해 강선로프를 강력하게 긴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선로프용 긴장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강선로프용 긴장장치의 저면도;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강선로프용 긴장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강선로프용 긴장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선로프용 긴장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강선로프용 긴장장치의 저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강선로프용 긴장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선로프용 긴장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기(50); 나사봉(62); 반력판(64); 이동부재(70); 견인구(80) 및; 고정구(9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착기(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강선로프(W)가 관통하는 돌출판(51)이 형성된다. 이러한 정착기(50)는 후술되는 구조물(S)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정착한다.
여기서, 전술한 정착기(50)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구조물(S)에 박혀서 고정되는 고정핀(53); 이 고정핀(53)에 결합되는 결합판(55); 이 결합판(55)에 동일체로 연결되어 구조물(S)의 표면에 부착되고, 돌출판(51)이 직교상태로 결합되는 부착판(57) 및; 이 부착판(57)에 결합되어 돌출판(51)을 지지하는 리브(59);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나사봉(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성되어 정착기(50)에 일단부가 체결된다. 이때, 나사봉(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정착기(50)의 돌출판(51)에 체결된다. 나사봉(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체결판(51)에 고정되면서 고정단을 이루고, 반대편의 타단부가 자유단을 이룬다. 이러한 나사봉(62)은 스터드볼트를 이용할 수 있다.
반력판(6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봉(62)에 끼워져서 돌출판(51)과 이격상태로 평행을 이룬다. 이러한 반력판(64)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로프(W)가 관통한다.
이동부재(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력판(64) 및 돌출판(51) 사이에 개재된다. 이러한 이동부재(70)는 길이가 신장되면서 반력판(64)을 가압하여 반력판(64)을 나사봉(62)을 따라 이동시킨다.
여기서, 전술한 이동부재(70)는 예컨대, 도면상의 확대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충전되는 유압에 의해 신축하고, 강선로프(W)가 관통하는 관통공(72a)을 갖는 유압잭(72)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유압잭(72)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유압잭(72)은 유체가 충전되는 실린더 및 이 실린더에 삽입되어 실린더의 유압에 의해 신축하는 로드는 모두 중앙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강선로프(W)는 이러한 중공을 통해 유압잭(72)을 관통한다.
이와 달리, 전술한 이동부재(70)는 도면상의 확대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충전되는 공기에 의해 신축하는 고무재 에어백(74)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에어백(74)은 강력한 공기압을 제공하도록 차량의 타이어와 같은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에어백(74)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단수개로 구성할 수도 있다.
견인구(80)는 강선로프(W)를 파지한 상태로 이동부재(70)에 의해 반력판(64)과 함께 이동하면서 강선로프(W)를 견인한다. 즉, 견인구(80)는 이동하면서 강선로프(W)를 팽팽하게 당긴다.
고정구(90)는 견인구(80)와 함께 이동한 반력판(64)을 이동된 위치에 고정한다. 이러한 고정구(90)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봉(62)에 체결되는 지지너트(92)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너트(92)는 도면상의 확대도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력판(64)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반력판(64)의 양측면에 설치될 수 잇다.
이와 같은 고정구(90)는 확대도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너트(92)에 밀착되어 지지너트(92)의 풀림을 방지하는 록너트(94);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록너트(94)는 지지너트(92)에 밀착되면서 지지너트(92)을 지지하여 지지너트(92)의 풀림을 방지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견인구(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성된다. 이러한 견인구(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으로 구성되어 반력판(64)에 제각기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견인구(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70)의 선단측, 즉 정착기(50)의 돌출판(51)을 향하는 이동부재(70)의 단부에 한쌍이 제각기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이동부재(70)에 설치되는 견인구(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75)에 의해 이동부재(70)에 일체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견인구(80)는 도면상의 확대도 "D" 및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로프(W)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쐐기형태의 원뿔형 콜렛(82) 및; 이 콜렛(82)이 삽입되는 콘 형태의 내주면을 갖는 하우징(84);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콜렛(82)은 반력판(62)이 이동부재에 의해 이동할 경우 강선로프(W)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반력판(62)과 함께 이동한다.
한편, 전술한 이동부재(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로프(W)의 수량에 상응하는 수량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동부재(70)는 강선로프(W)가 복수개로 구성될 경우 복수개의 강선로프(W)가 긴장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성된다. 특히, 이동부재(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로프(W)가 중앙을 관통하도록 구성될 경우 강선로프(W)의 수량과 완전히 일치한다.
하지만, 이동부재(70)는 도면상의 확대도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로프(W)의 수량과 상이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이동부재(70)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강선로프(W)들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이동부재(70)는 정착기(50)의 돌출판(51)을 지지한 상태로 신장하면서 반력판(64)을 가압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이동부재(70)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로프(W)가 관통되지 않는 유압잭(72)으로 구성됨에 따라 강선로프(W)와 상이한 수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이동부재(70)는 내부에 충전되는 유체의 유압에 의해 신축하는 중공이 없는 유압잭(72)으로 구성되어야 강선로프(W)와 상이한 수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이동부재(70)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경우 견인구(80)는 확대도 "F"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부재(86)에 의해 정착기(50)의 돌출판(51)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부재(86)는 콜렛(82)이 내장된 하우징(84)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84a) 및; 이 나사산(84a)과 나사결합하고, 정착기(50)의 돌출판(51)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너트(N);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견인구(80)는 나사산(84a) 및 너트(N)의 나사결합에 의해 돌출판(51)에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부재(70)를 반력판(64) 및 돌출판(51)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패스너;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패스너는 예컨대, 이동부재(70)를 관통하여 반력판(64)이나 돌출판(51)에 체결되는 체결나사(SC);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패스너는 예컨대, 정착기(50)에 설치되어 이동부재(70)를 지지하는 지지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지지구는 이동부재(70)의 하부를 지지하는 판재나 막대 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정착기(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S)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정착된다. 그리고, 강선로프(W)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S)의 하부에 배선된다. 이때, 강선로프(W)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70)를 관통한다. 여기서, 도시된 이동부재(70)는 중공으로 강선로프(W)가 관통하는 유압잭(72)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설명되는 이동부재(70)는 중공이 형성된 유압잭(72)을 그 예로 설명한다.
유압잭(7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기(50)의 돌출판(51) 및 반력판(64) 사이에 배치되어 미도시된 유압펌프에 의해 유체가 충전된다. 이러한 유압잭(72)은 충전되는 유체의 유압에 의해 신장하면서 반력판(64)을 도면상의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반력판(64)은 나사봉(62)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물론, 반력판(64)은 고정구(90)의 지지너트(92)가 풀어져 있음에 따라 이동된다. 이때, 반력판(64)의 후방에 있는 견인구(80)는 반력판(64)과 함께 이동하면서 강선로프(W)를 팽팽하게 당겨서 긴장시킨다.
이렇게, 강선로프(W)가 긴장되면 지지너트(92)를 다시 잠근다. 이때, 지지너트(92)는 반력판(64)의 전방 및 후방에서 제각기 잠긴다. 이에 따라, 반력판(64)은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된다. 물론, 반력판(64)의 후방에 있는 견인구(80)는 반력판(64)과 함께 이동위치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강선로프(W)는 견인구(80)가 이동상태로 고정됨에 긴장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견인구(80)의 고정이 완료되면 유압잭(72)에 충전된 유체를 회수하여 제거한다. 이때, 유압잭(72)은 수축되면서 원형복원된다. 이렇게, 유압잭(72)의 수축이 완료되면 패스너를 이용하여 유압잭(72)을 제거한다. 물론, 유압잭(72)은 수축된 길이로 인하여 용이하게 제거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선로프용 긴장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압잭(72)과 같은 이동부재(70)를 이용하여 강선로프(W)를 긴장시키므로, 강선로프(W)의 단부측에 마련되는 협소한 작업공간에서도 강선로프(W)를 강력하게 긴장시킬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50 : 정착기
62 : 나사봉
64 : 반력판
70 : 이동부재
72 : 유압잭
80 : 견인구
90 : 고정구

Claims (1)

  1. 구조물(S)에 설치되어 강선로프(W)를 긴장시키는 긴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S)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정착하고,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강선로프(W)가 관통하는 돌출판(51)이 형성되는 정착기(50);
    상기 정착기(50)의 돌출판(51)에 일단부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나사봉(62);
    상기 나사봉(62)에 끼워져서 상기 돌출판(51)과 이격상태로 평행을 이루고, 상기 강선로프(W)가 관통하는 반력판(64);
    상기 반력판(64) 및 돌출판(51) 사이에 개재되고, 길이가 신장되면서 반력판(64)을 가압하여 상기 나사봉(62)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70);
    상기 강선로프(W)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이동부재(70)에 의해 상기 반력판(64)과 함께 이동하면서 강선로프(W)를 견인하는 견인구(80); 및
    상기 견인구(80)와 함께 이동한 상기 반력판(64)을 이동된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구(90);를 포함하고:
    상기 정착기(50)는,
    상기 구조물(S)에 박혀서 고정되는 고정핀(53);
    상기 고정핀(53)에 결합되는 결합판(55);
    상기 결합판(55)에 동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구조물(S)의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돌출판(51)이 직교상태로 결합되는 부착판(57); 및
    상기 부착판(57)에 결합되어 상기 돌출판(51)을 지지하는 리브(59);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재(70)는 내부에 충전되는 유압에 의해 신축하고, 상기 강선로프(W)가 관통하는 관통공(72a)을 갖는 유압잭(72)이고:
    상기 이동부재(70)를 상기 반력판(64) 및 돌출판(51)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며, 상기 이동부재(70)를 관통하여 상기 반력판(64)이나 돌출판(51)에 체결되는 체결나사(S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KR1020100020473A 2010-03-08 2010-03-08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KR100970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473A KR100970082B1 (ko) 2010-03-08 2010-03-08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473A KR100970082B1 (ko) 2010-03-08 2010-03-08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388A Division KR101019176B1 (ko) 2007-12-31 2007-12-31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157A KR20100043157A (ko) 2010-04-28
KR100970082B1 true KR100970082B1 (ko) 2010-07-16

Family

ID=42218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473A KR100970082B1 (ko) 2010-03-08 2010-03-08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0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275B1 (ko) * 2013-07-24 2013-11-08 김태우 포스트 텐션용 정착 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22131B (zh) * 2015-12-28 2018-07-06 上海市机械施工集团有限公司 用于盾构管片纵向拉紧的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1618A (ja) * 1994-06-14 1995-12-19 Shiyuusei Kensetsu Consultant:Kk 下部ケーブルによるプレストレス導入橋梁補強方法
KR0141054B1 (ko) * 1994-10-11 1999-02-18 송경섭 콘크리트제품의 강선긴장시 강선의 길이편차보상용치구
JP2001323599A (ja) 2000-05-12 2001-11-22 Nippon Steel Corp 緊張材の張力調整装置
KR100653629B1 (ko) 2006-01-18 2006-12-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에 배치된 긴장재를 표면에서인장할 수 있는 긴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1618A (ja) * 1994-06-14 1995-12-19 Shiyuusei Kensetsu Consultant:Kk 下部ケーブルによるプレストレス導入橋梁補強方法
KR0141054B1 (ko) * 1994-10-11 1999-02-18 송경섭 콘크리트제품의 강선긴장시 강선의 길이편차보상용치구
JP2001323599A (ja) 2000-05-12 2001-11-22 Nippon Steel Corp 緊張材の張力調整装置
KR100653629B1 (ko) 2006-01-18 2006-12-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에 배치된 긴장재를 표면에서인장할 수 있는 긴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275B1 (ko) * 2013-07-24 2013-11-08 김태우 포스트 텐션용 정착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157A (ko) 201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9176B1 (ko)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JP5971596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再緊張用治具及び該グラウンドアンカー再緊張用治具を用いた楔片の固定状態解除方法
KR200481040Y1 (ko) 그라운드 앵커용 인장력 시험 및 부여장치
WO2009115691A3 (fr) Dispositif de fixation provisoire et reutilisable destine au pre-assemblage d'au moins deux elements structuraux prealablement perces
KR100970082B1 (ko)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KR100970081B1 (ko)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KR100971613B1 (ko)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KR101530420B1 (ko) 인장각도조절과 재인장이 용이한 인장장치
KR101889923B1 (ko) 콘크리트 거더 보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더 보강 방법
KR102007935B1 (ko) 앵커 재긴장 장치
KR101335368B1 (ko) 곡선형 상·하현재를 구비한 텐셔닝 에어빔 시스템
KR101555815B1 (ko) 포스트 바 연결용 로프의 클램핑장치
KR200474951Y1 (ko)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
CN115112483B (zh) 一种止水带耐压检测装置
KR101794480B1 (ko) 그라운드 앵커용 인장력 시험장치
KR101301712B1 (ko) 프리스트레싱용 인장재의 균일 긴장 유도장치.
KR102100387B1 (ko) 앵커 재긴장 방법
KR101208066B1 (ko)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
KR102228773B1 (ko)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CN115030542A (zh) 一种建筑工程预留窗用防高空坠物安防装置及使用方法
JP5828315B2 (ja) 斜面安定化工法におけるワイヤロープ張設方法
EP2730443B1 (de) Transportfahrzeug
KR101843076B1 (ko) 재인장 커플러 유닛
KR200466401Y1 (ko)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지지와이어
KR200411002Y1 (ko) 크레인의 붐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