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985B1 -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장치 - Google Patents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985B1
KR101899985B1 KR1020180032815A KR20180032815A KR101899985B1 KR 101899985 B1 KR101899985 B1 KR 101899985B1 KR 1020180032815 A KR1020180032815 A KR 1020180032815A KR 20180032815 A KR20180032815 A KR 20180032815A KR 101899985 B1 KR101899985 B1 KR 101899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bar
coupling
cable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철
Original Assignee
대한기술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기술단(주) filed Critical 대한기술단(주)
Priority to KR1020180032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9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 케이블을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한 고정력을 통해 배전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제1,2몸체부 간을 결속하여 외력에 의한 회전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장치{COUPLER APPARATUS FOR DISTRIBUTION CABLE CONNECTION}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 케이블을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한 고정력을 통해 배전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제1,2몸체부 간을 결속하여 외력에 의한 회전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신주 또는 지중에 매설되는 배전 케이블은 케이블의 끝단과 다른 케이블의 끝단을 상호 연결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이러한 배전 케이블의 경우 통상의 이음 또는 연결장치 및 커플러 등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85014호(2017.10.12.)에는 '고정력을 향상시킨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는 제1,2몸체부 간을 결속할 수 없기 때문에 외력에 의한 회전을 방지하지 못하면서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85014호(2017.10.12.) '고정력을 향상시킨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 케이블을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한 고정력을 통해 배전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제1,2몸체부 간을 결속하여 외력에 의한 회전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111, 121)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11, 121)와 연장되되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경사부(113, 123)가 각각 형성되고, 외측에 형성되되 상기 공간부(111, 121)와 연장되는 각각의 인입홈(115, 125)이 형성되는 제1,2몸체부(110, 120)가 각각 구성되어 상호 결합 및 분리되게 구성되는 몸체부(100); 중앙부에 케이블(c)이 인입되도록 관통되게 형성되고 외부 일측이 상기 경사부(113, 123)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끼움되고 외부 타측에 제1결합홈(211)이 형성되는 끼움부(210)와, 중앙부에 상기 끼움부(210)에 끼워지도록 관통되게 형성되되 상기 경사부(113, 123)에 삽입되는 끼움부(210)의 타측 외주에 끼워지고, 상기 제1결합홈(211)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2결합홈(221)이 형성되는 연결부(220)와, 한 쌍으로 구성되되 상호 마주하는 부분이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c)의 외주를 감싸며 조임시키고 타측에 상기 제2결합홈(221)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3결합홈(231)이 형성되는 케이블조임부(230)와, 상기 제3,2,1결합홈(231, 221, 211)을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끼움부(210)와 연결부(220) 및 케이블조임부(230)를 고정시키는 결합부재(240)로 구성되는 한 쌍의 고정부(200); 당김 성질로 구성되며 양측이 각각의 상기 연결부(220)와 연결되는 탄성체(300);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부(200) 사이에 위치되되 외부 양측에 케이블(c)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상호 케이블(c)을 접속시키기 위한 연결뭉치(400)로 구성되는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2몸체부(110,120)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2몸체부(110,120)를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5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속부(500)는, 상기 제1몸체부(110)에 구비되는 결속판(510); 상기 제1,2몸체부(110,120)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결속판(510)과 대향되도록 상기 제2몸체부(120)에 구비되는 지지판(520); 및 상기 결속판(510)을 상기 지지판(520)에 결속하는 결속수단(530)을 포함하며, 상기 결속판(510)은, 양면을 관통하는 중공(51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520)은, 양면을 관통하는 통공(521)이 형성되며, 상기 결속수단(530)은, 일단부가 상기 중공(511)을 향하도록 양단부 사이가 상기 통공(521)을 통과하면서 상기 지지판(52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속바(531); 상기 결속판(510)과 상기 지지판(52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속바(53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가압부재(532); 및 상기 가압부재(532)와 상기 지지판(52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속바(53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533)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533)은, 상기 제1,2몸체부(110,120)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바(531)의 타단부를 당김에 따라 수축되는 한편, 상기 결속바(531)를 당김 해제함에 따라 이완되면서 상기 결속바(531)를 가압하며, 상기 결속바(531)는, 상기 제1,2몸체부(110,120)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타단부를 당김에 따라 일단부가 상기 중공(511)으로부터 인출되면서 상기 제1,2몸체부(110,120)에 대한 결속이 해제되도록 하는 한편, 타단부로의 당김 해제에 따라 상기 스프링(533)의 가압에 의해 진행되면서 일단부가 상기 중공(511)으로 인입되며 상기 제1,2몸체부(110,120)를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 케이블을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한 고정력을 통해 배전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2몸체부 간을 결속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회전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장치에서 몸체부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장치에서 고정부를 나타낸 정면도 및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장치에서 고정부의 결합 상태를 순서대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장치에서 연결뭉치의 결합상태를 순서대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장치에서 결속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785014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785014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785014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고정력을 향상시킨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는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장치'로 대체하고, 제1,2몸체부를 결속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785014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장치는 몸체부(100), 고정부(200), 탄성체(300) 및 연결뭉치(40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0)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111, 121)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11, 121)와 연장되되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경사부(113, 123)가 각각 형성되고, 외측에 상기 공간부(111, 121)와 연장되는 각각의 인입홈(115, 125)이 형성되는 제1,2몸체부(110, 120)가 각각 구성되어 상호 결합 및 분리되게 구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는 제1,2몸체부(110, 120)가 내부 구조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며, 상호 대응하는 측면의 외주에는 각각의 결합부(117, 127)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17, 127)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몸체부(110)의 결합부(117)는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부(120)의 결합부(127)에는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부(110)의 결합부(117)의 외주둘레가 상기 제2몸체부(120)의 결합부(127)의 내주둘레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결합부(117, 127)가 회전 결합 및 분리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제1,2몸체부(110, 120)는 각각의 결합부(117, 127)이 마주한 상태에서 상호 마주하는 부분이 개방된 공간부(111, 12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하기될 케이블(c)이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부(111, 121)와 연장되는 인입홈(115, 125)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11, 121)는 상기 인입홈(115, 125)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지름이 작아져 경사부(113, 123)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111, 121)의 경우 하기될 고정부(200) 및 탄성체(300)와 연결뭉치(400)가 내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고, 상기 경사부(113, 123)의 경우 상기 고정부(200)의 끼움부(210)의 외주와 맞물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의 케이블(c)을 연결하는 연결뭉치(400)의 파손 등의 이유로 케이블(c)이 외부로 빠져나가려 할 시, 케이블(c)을 감싸며 고정하는 끼움부(210)가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상기 인입홈(115, 125)의 경우 실질적으로 인입되는 케이블(c)의 외주 지름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c)의 원활한 인입이 가능토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00)는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로써, 도 1,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끼움부(210), 한 쌍의 연결부(220), 한 쌍의 케이블조임부(230) 및 다수의 결합부재(240)로 구성된다.
상기 끼움부(210)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케이블(c)이 인입되도록 양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외부 일측이 상기 경사부(113, 123)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끼움되고 외부 타측에 제1결합홈(211)이 형성된다.
즉, 상기 끼움부(210)는 제1,2몸체부(110, 120)의 공간부(111, 121)에 위치되되, 상기 경사부(113, 123)에 삽입되며, 이때, 경사부(113, 123)에 끼움되는 부분은 끝단이 상기 경사부(113, 123)의 끝단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케이블(c)의 유동에도 견고한 고정력을 가질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결합홈(211)은 관통된 홈을 중심으로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형태로 다수개로 형성될 수가 있고, 본 발명에서는 2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제1결합홈(211)은 하기될 제2,3결합홈(221, 231)과 수평선상에서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상기 결합부재(240)에 의해 완전히 결합되게 되어 고정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연결부(220)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상기 끼움부(210)의 외주에 끼워질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113, 123)에 삽입되는 끼움부(210)의 타측 외주를 감싸며 끼워지고, 상기 제1결합홈(211)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2결합홈(22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부(210)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하기될 탄성체(300)가 일측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결합홈(221)은 상기 제1,3결합홈(211,231)과 더불어 결합부재(240)와의 결합을 위한 구성이고 다수개로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홈(211)의 개수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2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케이블조임부(230)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되되 상호 마주하는 부분이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케이블(c)의 외주를 감싸며 조임시키고 타측에 상기 제2결합홈(221)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3결합홈(231)이 형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조임부(230)는 상기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이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어 한 쌍을 이루어, 각각의 연결부(220)와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반원호 형상의 내측 부분에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패킹(235)이 구성되어, 상기 케이블(c)의 외주와 맞닿게 될 시, 미끄럼방지를 통해 견고한 고정력을 가질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조임부(230)에 형성된 제3결합홈(231)은 상기 제1,2결합홈(211, 221)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결합부재(240)에 의해 완전히 고정되게 된다.
상기 케이블조임부(230)의 구성은 하기될 연결뭉치(400)의 교체 등 케이블(c)의 교체시에도 하나씩 케이블(c)을 교체할 수가 있어 작업자들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부재(240)는 도 1,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2,1결합홈(231, 221, 211)을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끼움부(210)와 연결부(220) 및 케이블조임부(230)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240)는 통상의 볼트 개념이고, 상기 제1,2,3결합홈(211, 221, 231)은 너트 개념으로 보아야 하고,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은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 탄성체(300)는 당김 성질로 구성되며 양측이 각각의 상기 연결부(220)와 연결되어, 각각의 연결부(220)를 상호 당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탄성체(300)가 상기 연결부(220)를 당김하는 목적으로 상기 연결부(220)가 케이블(c)의 외주를 감싸며 고정하고 있어, 케이블(c)의 무게하중으로 인해 인입된 반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고정부(200)와 몸체부(100)의 끼움 구조로 인해 케이블(c)의 이탈을 1차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상기 탄성체(300)에 의해 2차적으로 케이블(c)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탄성체(300)는 다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부(220)를 당김하는 힘을 극대화시킬 수가 있고, 상기 탄성체(300)는 스프링, 인장력을 갖는 우레탄 고무 등 통상의 탄성성질을 갖는 구성을 적용할 수가 있다.
상기 연결뭉치(400)는 도 1, 3,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부(200) 사이에 위치되되 외부 양측에 케이블(c)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상호 케이블(c)을 접속시키기 위해 구성된다.
더욱 상세한 구조를 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뭉치(400)에는, 좌우 양측에 케이블(c)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맞닿아지는 삽입부(410)와, 상부 양측에 상하부로 관통되되 상기 삽입부(410)와 연장되는 각각의 체결홈(420)과, 상기 체결홈(420)에 각각 삽입되되 상기 삽입부(410)에 삽입된 케이블(c)과 체결을 위한 한 쌍의 체결부재(43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뭉치(4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c)이 상호 연결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체결부재(430)는 금속 또는 기타 강도가 강한 재질로 구성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몸체부(100), 고정부(200), 탄성체(300) 및 연결뭉치(400)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배전 케이블 커플러는 전신주 또는 전력구의 내부에 사용할 경우, 케이블(c)의 무게하중으로 인해 연결된 부분이 인입된 반대방향으로 이탈하려고 한다 하더라도, 케이블조임부(230)와 탄성체(300)에 의해 1,2차적으로 당겨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유지보수 시에도 편리성을 가질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몸체부(110,120)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2몸체부(110,120)를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5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상기 결속부(500)는 상기 제1,2몸체부(110,120)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회전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결속부(500)는 상기 제1몸체부(110)에 구비되는 결속판(510), 상기 결속바(520)와 대향되도록 제2몸체부(120)에 구비되는 지지판(520) 및 상기 결속판(510)을 상기 지지판(520)에 결속하는 결속수단(530)을 포함한다.
상기 결속판(510)은 상기 제1몸체부(11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520)은 상기 제2몸체부(12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520)은 상기 제1,2몸체부(110,120)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결속판(510)과 대향되도록 상기 제2몸체부(120)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제1,2몸체부(110,120)에 대한 나사결합시, 상기 결속판(510)과 상기 지지판(520)이 상호 대향되는 상태인지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안정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속수단(530)은 상기 제1,2몸체부(110,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판(510)과 상기 지지판(520) 간을 상호 결속하여 상기 제1,2몸체부(110,120)가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결속수단(530)은 상기 지지판(52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속바(531), 상기 결속판(510)과 상기 지지판(52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속바(53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가압부재(532) 및 상기 가압부재(532)와 상기 지지판(52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속바(53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533)을 포함한다.
상기 결속판(510)은 양면을 관통하는 중공(51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520)은 양면을 관통하는 통공(5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속판(510) 및 상기 지지판(520)은 양면이 상기 결속바(531)의 길이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중공(511)과 상기 통공(521)은 상기 제1,2몸체부(110,120)가 결합됨과 함께 상기 결속판(510)과 상기 지지판(520)이 대향되면서 상호 연통된다.
상기 결속바(531)는 원형봉 형태를 이루며, 일단부가 상기 결속판(510)을 향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판(520)을 향한다.
상기 결속바(531)는 일단부가 상기 중공(511)을 향하도록 양단부 사이가 상기 가이드공(521)을 통과하면서 상기 지지판(52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속바(53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532)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 등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결속바(531)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532)는 회전에 따라 상기 결속바(53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스프링(533)의 탄성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533)은 상기 제1,2몸체부(110,120)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바(531)의 타단부를 당김에 따라 수축되는 한편, 상기 결속바(531)를 당김 해제함에 따라 이완되면서 상기 결속바(531)를 가압한다.
상기 결속바(531)는 상기 제1,2몸체부(110,120)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타단부를 당김에 따라 일단부가 상기 중공(511)으로부터 인출되면서 상기 제1,2몸체부(110,120)에 대한 결속이 해제되도록 하는 한편, 타단부로의 당김 해제에 따라 상기 스프링(533)의 가압에 의해 진행되면서 일단부가 상기 중공(511)으로 인입되며 상기 제1,2몸체부(110,120)를 결속한다.
상기 결속수단(530)은 상기 가압부재(532)와 상기 스프링(533)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속바(53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가압링(5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링(534)은 외경이 상기 스프링(533)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상기 스프링(533)과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결속수단(530)은 상기 결속바(531)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조절레버(5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레버(535)는 인위적인 파지를 통한 상기 결속바(531)의 당김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속수단(530)은 일단부가 상기 가압링(534)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판(520)을 통과하는 가이드바(5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536)는 상기 결속바(53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편, 상기 가압부재(532)의 회전에 따라 상기 결속바(531)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가이드바(536)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수단(530)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536)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는 잠금부재(5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537)는 상기 결속바(531)가 상기 중공(511)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바(536)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지지판(520)에 접하면서 상기 결속바(531)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레버(535)를 당기는 동작 없이 상기 제1,2몸체부(110,120)에 대한 결속해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537)는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바(536)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중공(511)으로 인입되는 상기 결속바(531)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결속부(500)는 상기 제1,2몸체부(110,120)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100 : 몸체부 110 : 제1몸체부
120 : 제2몸체부 200 : 고정부
210 : 끼움부 220 : 연결부
230 : 케이블조임부 240 : 결합부재
300 : 탄성체 400 : 연결뭉치
410 : 삽입부 420 : 체결홈
430 : 체결부재 500 : 결속부
510 : 결속판 511 : 중공
520 : 지지판 521 : 통공
530 : 결속수단 531 : 결속바
532 : 가압부재 533 : 스프링
534 : 가압링 535 : 조절레버
536 : 가이드바 537 : 잠금부재

Claims (1)

  1. 내부에 공간부(111, 121)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11, 121)와 연장되되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경사부(113, 123)가 각각 형성되고, 외측에 형성되되 상기 공간부(111, 121)와 연장되는 각각의 인입홈(115, 125)이 형성되는 제1,2몸체부(110, 120)가 각각 구성되어 상호 결합 및 분리되게 구성되는 몸체부(100);
    중앙부에 케이블(c)이 인입되도록 관통되게 형성되고 외부 일측이 상기 경사부(113, 123)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끼움되고 외부 타측에 제1결합홈(211)이 형성되는 끼움부(210)와,
    중앙부에 상기 끼움부(210)에 끼워지도록 관통되게 형성되되 상기 경사부(113, 123)에 삽입되는 끼움부(210)의 타측 외주에 끼워지고, 상기 제1결합홈(211)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2결합홈(221)이 형성되는 연결부(220)와,
    한 쌍으로 구성되되 상호 마주하는 부분이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c)의 외주를 감싸며 조임시키고 타측에 상기 제2결합홈(221)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3결합홈(231)이 형성되는 케이블조임부(230)와,
    상기 제3,2,1결합홈(231, 221, 211)을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끼움부(210)와 연결부(220) 및 케이블조임부(230)를 고정시키는 결합부재(240)로 구성되는 한 쌍의 고정부(200);
    당김 성질로 구성되며 양측이 각각의 상기 연결부(220)와 연결되는 탄성체(300);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부(200) 사이에 위치되되 외부 양측에 케이블(c)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상호 케이블(c)을 접속시키기 위한 연결뭉치(400)로 구성되는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2몸체부(110,120)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2몸체부(110,120)를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5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속부(500)는,
    상기 제1몸체부(110)에 구비되는 결속판(510);
    상기 제1,2몸체부(110,120)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결속판(510)과 대향되도록 상기 제2몸체부(120)에 구비되는 지지판(520); 및
    상기 결속판(510)을 상기 지지판(520)에 결속하는 결속수단(530)을 포함하며,
    상기 결속판(510)은,
    양면을 관통하는 중공(51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520)은,
    양면을 관통하는 통공(521)이 형성되며,
    상기 결속수단(530)은,
    일단부가 상기 중공(511)을 향하도록 양단부 사이가 상기 통공(521)을 통과하면서 상기 지지판(52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속바(531);
    상기 결속판(510)과 상기 지지판(52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속바(531)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는 가압부재(532);
    상기 가압부재(532)와 상기 지지판(52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속바(53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533);
    상기 가압부재(532)와 상기 스프링(533)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속바(531)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외경이 상기 스프링(533)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상기 스프링(533)과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압링(534);
    상기 결속바(531)의 타단부에 구비되면서 파지를 통한 상기 결속바(531)의 당김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절레버(535);
    일단부가 상기 가압링(534)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판(520)을 통과하면서 상기 결속바(53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편, 상기 가압부재(532)의 회전에 따라 상기 결속바(531)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바(536); 및
    상기 가이드바(536)의 타단부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는 잠금부재(537)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532)는,
    회전에 따라 상기 결속바(53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스프링(533)의 탄성력을 조절하고,
    상기 스프링(533)은,
    상기 제1,2몸체부(110,120)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바(531)의 타단부를 당김에 따라 수축되는 한편, 상기 결속바(531)를 당김 해제함에 따라 이완되면서 상기 결속바(531)를 가압하며,
    상기 결속바(531)는,
    상기 제1,2몸체부(110,120)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타단부를 당김에 따라 일단부가 상기 중공(511)으로부터 인출되면서 상기 제1,2몸체부(110,120)에 대한 결속이 해제되도록 하는 한편, 타단부로의 당김 해제에 따라 상기 스프링(533)의 가압에 의해 진행되면서 일단부가 상기 중공(511)으로 인입되며 상기 제1,2몸체부(110,120)를 결속하고,
    상기 잠금부재(537)는,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바(536)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중공(511)으로 인입되는 상기 결속바(531)의 길이를 조절하는 한편, 상기 결속바(531)가 상기 중공(511)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판(520)에 접하면서 상기 결속바(531)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장치.
KR1020180032815A 2018-03-21 2018-03-21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장치 KR101899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815A KR101899985B1 (ko) 2018-03-21 2018-03-21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815A KR101899985B1 (ko) 2018-03-21 2018-03-21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9985B1 true KR101899985B1 (ko) 2018-09-18

Family

ID=63718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815A KR101899985B1 (ko) 2018-03-21 2018-03-21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98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135B1 (ko) * 2019-01-25 2019-06-10 (주)선한이엔지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선로 안정장치
KR102066691B1 (ko) * 2019-08-30 2020-01-15 유한회사 다온엔지니어링 배전용 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KR102140110B1 (ko) * 2020-04-09 2020-07-31 (주)동원프라스틱 탐지기능과 이탈방지기능이 우수한 폴리에틸렌관 구조
KR102151703B1 (ko) * 2020-07-08 2020-09-03 (주)동원프라스틱 전도성수지와 전선을 이용한 관로 탐지가 용이한 관구조
KR102385883B1 (ko) * 2021-12-30 2022-04-14 은세기술 주식회사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
CN117578123A (zh) * 2024-01-15 2024-02-20 森辉电力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自锁功能的配电柜线缆连接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6159B2 (ja) * 1993-01-19 2001-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該記録ヘッド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搭載した記録装置
KR101771074B1 (ko) 2017-04-17 2017-08-24 (주)오성이엠 지중 매설형 배전선 연결 장치
KR101785014B1 (ko) * 2017-05-18 2017-10-12 주식회사 정화엔지니어링 고정력을 향상시킨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6159B2 (ja) * 1993-01-19 2001-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該記録ヘッド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搭載した記録装置
KR101771074B1 (ko) 2017-04-17 2017-08-24 (주)오성이엠 지중 매설형 배전선 연결 장치
KR101785014B1 (ko) * 2017-05-18 2017-10-12 주식회사 정화엔지니어링 고정력을 향상시킨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135B1 (ko) * 2019-01-25 2019-06-10 (주)선한이엔지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선로 안정장치
KR102066691B1 (ko) * 2019-08-30 2020-01-15 유한회사 다온엔지니어링 배전용 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KR102140110B1 (ko) * 2020-04-09 2020-07-31 (주)동원프라스틱 탐지기능과 이탈방지기능이 우수한 폴리에틸렌관 구조
KR102151703B1 (ko) * 2020-07-08 2020-09-03 (주)동원프라스틱 전도성수지와 전선을 이용한 관로 탐지가 용이한 관구조
KR102385883B1 (ko) * 2021-12-30 2022-04-14 은세기술 주식회사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
CN117578123A (zh) * 2024-01-15 2024-02-20 森辉电力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自锁功能的配电柜线缆连接器
CN117578123B (zh) * 2024-01-15 2024-03-22 森辉电力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自锁功能的配电柜线缆连接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985B1 (ko)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장치
US7658655B2 (en) Electrical splice connector
KR101683146B1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1785014B1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
KR101757914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시스템
KR101615170B1 (ko) 활선 클램프
US10128582B2 (en) Splice with tap clamp
US10374407B2 (en) Conductor spacer assembly with locking feature
FR2622790A1 (fr) Ligaments prothetiques avec systeme de vis a os
GB2331566A (en) Coupling of telescopic tubes
KR101943162B1 (ko) 철근 연결용 커플링
US10060459B2 (en) Removable blind fastener for narrow apertures
KR101906580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
EP2902827B1 (en) Cable gland
US20210372131A1 (en) Rope connector, rope assembly and railing
CN205283042U (zh) 一种碳纤维芯光电复合导线耐张线夹
KR102248695B1 (ko)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KR101831254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구조
US20120317755A1 (en) Cord gripping mechanism and method
KR102098300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EP1350053B1 (en) Pipe coupling
US2694584A (en) Coupling
KR102292342B1 (ko) 변전과 배전 케이블의 연결장치
US2698471A (en) Wire clamp
KR101814637B1 (ko) 지중배전라인 연결을 위한 커넥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