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747Y1 -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747Y1
KR200491747Y1 KR2020190000715U KR20190000715U KR200491747Y1 KR 200491747 Y1 KR200491747 Y1 KR 200491747Y1 KR 2020190000715 U KR2020190000715 U KR 2020190000715U KR 20190000715 U KR20190000715 U KR 20190000715U KR 200491747 Y1 KR200491747 Y1 KR 2004917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pipe
length
suppo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7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찬
이인열
Original Assignee
강현찬
이인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현찬, 이인열 filed Critical 강현찬
Priority to KR20201900007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7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7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7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16L3/20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또는 건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한 피로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는 결합구조가 간단하며, 회동유닛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설치환경에 따른 배관설치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배관장치는 제1 및 제2회동유닛의 길이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어 미세한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설치환경에 따른 배관의 위치조절이나 기울기 조절이 용이하여 설치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Pipe support apparatus for anti-vibration with easy to control length}
본 고안은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또는 건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한 피로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건물 및 아파트 등에는 전선과 고온 고압의 유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배관이 설치된다. 이러한, 배관들은 천장에 결합된 앵커볼트와, 앵커볼의 하단에 결합된 브라켓 또는 트레이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브래킷 및 트레이는 배관 내에 흐르는 유체 및 외부로부터 건물을 통해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배관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피로 현상으로 앵커 볼트가 파손되어 이탈할 수 있다. 이러한 파손에 의해 누수, 누전, 폭발, 화재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발생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방진장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8-000259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배관의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방진기능이 있는 배관지지장치를 고안한 바 있다. 그리고, 배관지지장치를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개발하여 방진기능이 있으면서 길이조절이 용이한 배관지지장치를 개발하여 후속 출원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8-0002599호 : 방진기능이 있는 배관지지장치
본 고안은 배관 설치 환경에 따라 배관지지장치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배관설치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를 제공하고자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는 상기 배관의 외면을 감싸는 클램프유닛과, 상부가 상기 건물의 천장에 상기 배관이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부가 상부의 회동방향에 대응되게 상기 클램프유닛의 외주면에 상기 배관이 횡 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지지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지지유닛은 상기 배관의 횡방향 또는 종방향 양측이 개방되게 상기 천장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일측이 상기 지지브라켓이 개방된 방향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상부회동볼트와, 상기 클램프유닛에 일측이 상기 상부회동볼트의 회동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 외주면에 상기 상부회동볼트의 나사선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나선연장된 나사선이 형성된 하부회동볼트와,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 내주면에 상기 상부회동볼트와 상기 하부회동볼트와 나사 결합되게 상호 반대방향으로 나선연장된 나사선이 형성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상부회동볼트와 상기 하부회동볼트가 나사 결합된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지지바를 포함하는 회동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길이조절지지바는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바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상부회동볼트와 나사결합되는 상부 바와,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하부회동볼트와 나사결합되는 하부 바와, 양측이 상기 상부 바의 하단과 상기 하부 바의 상단의 내측으로 각각 나사 결합되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상부 바와 상기 하부 바와 나사결합된 길이를 조절되게 양측 내주면에 상호 반대방향의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길이조절지지바의 길이를 미세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길이조절부재는 상기 상부바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상부바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된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제1나사결합부와, 상기 제1나사결합부와 일체로 회전되게 일측 중심측에 상기 제1나사결합부가 삽입 고정 결합되는 제1결합홈과 타측 중심측에 상기 제1결합홈 방향으로 인입된 제2결합홈과 상기 제1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홈의 각 중심측이 연통되게 관통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홈과 연통되는 슬라이딩공이 형성되는 제1파지부를 구비하는 제1길이조절부와, 상기 하부바의 상단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결합부와, 상기 제2나사결합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나사결합부보다 큰 외경을 가는 제2파지부와, 상기 제2파지부의 중심측에서 상기 제2나사결합부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결합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길이조절부와 함께 회전되게 상기 제1파지부와 상기 제2파지부를 결합하는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의 중심측에서 상기 슬라이딩공을 관통하게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으로 연장되는 결합 및 회전가이드바를 포함하여,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제2결합홈 결합되어 상기 제1길이조절부와 함께 회전되거나 상기 제2결합홈에 분리되어 상기 제1길이조절부에 대해 개별 회전가능한 제2길이조절부와, 상기 결합 및 회전가이드바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에 구속되어 상기 제2길이조절부가 상기 제1길이조절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링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는 진동 또는 충격이 전달되는 횡 방향 또는 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배관이 받는 충격이나 진동을 줄일 수 있어 배관에 균열이나 피로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는 결합구조가 간단하며, 회동유닛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설치환경에 따른 배관설치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장치는 제1 및 제2회동유닛의 길이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어 미세한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설치환경에 따른 배관의 위치조절이나 기울기 조절이 용이하여 설치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횡방향 방진유닛에 대한 일부 단면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종방향 방진유닛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에 대한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6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7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에 대한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방진용 배관지지장치의 제1길이조절부와 제2길이조절부가 서로 개별회전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방진용 배관지지장치의 제1길이조절부와 제2길이조절부가 상호 결합되어 동일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진기능이 있는 방진용 배관지지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는 건물의 천장(15)이나 벽면(미도시)에 설치되어 배관(1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건물이나 배관(10) 내에 흐르는 유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이 이동가능하여 배관(10)에 균열이나 진동피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관을 지지하는 장치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는 횡 방향 방진유닛(100)과 종 방향 방진유닛(200)을 구비한다.
횡 방향 방진유닛(100)은 배관의 횡 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것으로서, 배관을 감싸는 제1클램프유닛(110)과, 건물의 천장과 제1클램프유닛 사이에 배관의 횡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횡방향클램프지지유닛(150)을 구비한다.
제1클램프유닛(110)은 배관을 감싸는 클램프본체부(120)와, 클램프본체부(120)의 외주면에 클램프본체부(120)의 원주방향으로 소정길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복수 개의 횡 방향 클램프지지유닛(150)의 하부와 각각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지지유닛결합부(130)를 구비한다.
클램프본체부(120)는 배관(1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반 고리 형태의 제1클램프부재(122)와, 배관의 하부를 덮는 반 고리 형태의 제2클램프부재(125)를 구비한다.
제1클램프부재(122)와 제2클램프부재(125)는 상호 접하는 원주방향의 일측 단부가 힌지 결합되며, 상호 접하는 타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플렌지(123,126)가 상호 볼트 결합 된다. 하지만, 제1클램프부재(122)와 제2클램프부재(125)는 도시된 것과 다르게, 상호 접하는 원주방향의 양측 단부에 각각 제1 및 제2플렌지(123,126)가 각각 형성되어 볼트 결합 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제1지지유닛결합부(130)는 제1클램프부재(122)의 원주방향으로 소정길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되 배관(10)의 중심측을 가로지르는 수직선상(a)을 기준으로 배관(10)의 횡 방향(c)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좌,우측 지지유닛결합부(131,132)를 구비한다.
좌측지지유닛결합부(131)와 우측지지유닛결합부(132)는 배관(10)의 종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각각 제1 및 제2지지리브(134, 136)를 각각 구비한다.
제1 및 제2지지리브(134,136)는 제1클램프부재(122)의 폭 방향의 일단과 타단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서 제1클램프부재(122)의 외주면에서 배관(10)에 멀어지게 제1클램프부재(122)의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되 상호 나란하게 각각 연장형성된다. 제1 및 제2지지리브(134,136)는 내측에 배관(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1 및 제2결합공(135,137)이 각각 형성된다. 제1 및 제2결합공은 배관의 종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되며, 후술되는 횡방향클램프지지유닛(150)의 하부를 관통하는 제1힌지축(138)의 양측이 관통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한편, 제1지지유닛결합부의 제1 및 제2지지리브(134,13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본체부(120)의 일측을 'ㄷ'자 형태로 랜싱(Lancing) 가공하고, 가공된 부분이 클램프본체부(120)의 외주면에 대해 수직하게 꺽여져 형성되게 적용할 수도 있다.
제1힌지축(138)은 제1클램프부재(122)의 폭 보다 길게 연장되어, 제1결합공(135)과, 횡방향클램프지지유닛(150)의 하부와, 제2결합공(137)을 관통하여 너트(161)와 나사 결합된다.
여기서, 제1클램프부재(122)의 폭 방향은 배관(10)의 종 방향 즉, 배관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며, 제1클램프부재(122)의 원주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좌측 및 우측지지유닛결합부(131,132)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횡방향클램프지지유닛(150)은 각각 상부가 건물의 천장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부가 제1 및 제2지지리브(134,136) 사이에 위치되게, 제1 및 제2결합공(135,137)을 관통하는 제1힌지축(138)에 관통되어 배관(10)의 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복수 개의 횡방향클램프지지유닛(150)은 제1힌지축(138)과, 좌측지지유닛결합부(131)와 결합되는 제1횡방향클램프지지유닛(151)과, 우측지지유닛결합부(132)와 결합되는 제2횡방향클램프지지유닛(152)으로 구분된다. 제1횡방향클램프지지유닛(151)은 하부가 좌측지지유닛결합부(131)에 결합되고 상부로 갈수록 배관의 수직선상(a)에 대해 좌측으로 멀어지게 건물의 천정에 설치된다. 제2횡방향클램프지지유닛(152)는 하부가 우측지지유닛결합부(132)에 결합되고 상부로 갈수록 배관의 수직선상(a)에 대해 우측으로 멀어지게 건물의 천정에 설치된다.
제1 및 제2횡방향클램프지지유닛(151,15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호 이격거리가 길어지되, 배관(10)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수직선상(a)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횡방향클램프지지유닛(151,152)은 하단부가 건물의 천장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1앵커볼트(153)에 고정설치되되 횡방향 양측이 개방되게 고정설치되는 제1지지브라켓(155)과, 배관(10)의 종 방향으로 제1지지브라켓(155)을 관통하여 제1지지브라켓(155)에 지지되는 제2힌지축(159)과, 배관의 종 방향으로 제1지지브라켓(155)을 관통한 제2힌지축(159)과 나사 결합되는 너트(161)와, 일측이 제1지지브라켓(155)에 배관의 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타측이 제1클램프의 제1지지유닛결합부(131)에 배관(10)의 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제1회동유닛(162)을 구비한다.
제1회동유닛(162)은 종방향 방진유닛(200)의 제2회동유닛(262)과 동일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후술하기로 한다.
제1지지브라켓(155)을 관통하는 제1앵커볼트(153)는 제1앵커볼트결합너트(154)와 나사결합하여 제1지지브라켓(155)을 천장에 고정한다.
제1지지브라켓(155)은 제1앵커볼트(153)와 결합되어 건물의 천장에 고정되는 사각판 형태의 고정부(156)와, 배관의 종 방향에 대응되는 고정부(156)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상호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및 제2회동지지부(157,158)를 구비하여, 배관의 횡 방향에 대응되는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제1 및 제2회동지지부(157,158)는 배관(10)의 종 방향으로 상호 대응되는 내측에 제2힌지축(159)의 지지를 위해 관통형성된 제3 및 제4결합공(157a,158a)이 형성되어 있다.
제2힌지축(159)은 제1지지브라켓(155)의 제3결합공(157a)과, 제1회동바(163)과, 제4결합공(158a)을 관통하여 너트(161)와 나사 결합된다.
한편, 종 방향 방진유닛(200)은 배관의 종 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것으로서, 배관을 감싸는 제2클램프유닛(210)과, 건물의 천장과 제2클램프유닛 사이에 배관의 종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종방향클램프지지유닛(250)을 구비한다.
제2클램프유닛(210)은 배관을 감싸는 클램프본체부(120)와, 클램프본체부(120)의 외주면에 클램프본체부(120)의 원주방향으로 소정길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종 방향 클램프지지유닛(250)의 하부가 배관의 종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유닛결합부(230)를 구비한다.
제2지지유닛결합부(230)는 제3클램프부재(222)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되 배관의 횡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배관의 종 방향으로 나란한 제3지지리브(234)와 제4지지리브(246)를 구비한다. 제3 및 제4지지리브(234,236)는 각 내측에 배관(10)의 횡 방향으로 관통된 제3 및 제4결합공(235,237)이 각각 형성된다. 제3 및 제4결합공은 배관의 종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되며, 후술되는 종 방향 클램프지지유닛(250)의 하부를 관통하는 제3힌지축(238)의 양측이 관통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제3힌지축(238)은 제1클램프부재(122)의 폭 보다 길게 연장되어, 제3결합공(235)과, 종방향클램프지지유닛(250)의 하부와, 제4결합공(237)을 관통하여 너트와 나사 결합된다. 여기서, 제1클램프부재(122)의 폭 방향은 배관(10)의 종 방향이다.
복수의 제2클램프유닛(210)의 각 제2지지유닛결합부(230)는 배관(10)의 설치위치에 따라, 배관(10) 내에 유체가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측에 설치된 전방지지유닛결합부(231)와, 전방지지유닛결합부(231)에 대해 유체가 배출되는 측으로 이격된 후방지지유닛결합부(232)로 구분할 수 있다.
복수의 제2클램프유닛(210)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종 방향 클램프지지유닛(250)은 각각 상부가 건물의 천장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부가 제3 및 제4지지리브(234,236) 사이에 위치되게, 제3 및 제4결합공(235,237)을 관통하는 제3힌지축(238)에 관통되어 배관(10)의 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복수 개의 종 방향클램프지지유닛(250)은 제2클램프유닛(210)의 전방지지유닛결합부(231)과 결합되는 제1종방향클램프지지유닛(251)과, 다른 하나의 제2클램프유닛(210)의 후방지지유닛결합부(232)와 결합되는 제2종방향클램프지지유닛(252)으로 구분된다.
제1종방향클램프지지유닛(251)은 하부가 전방지지유닛결합부(231)에 결합되고 상부로 갈수록 복수의 제2클램프의 이격거리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수직선상(d)에 대해 전방 측으로 멀어지게 건물의 천장에 설치된다. 제2종방향클램프지지유닛(252)은 하부가 후방지지유닛결합부(232)에 결합되고 상부로 갈수록 복수의 제2클램프의 이격거리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수직선상(d)에 대해 후방 측으로 멀어지게 건물의 천장에 설치된다.
제1종방향클램프지지유닛(251)과 제2종방향클램프지지유닛(25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호 이격거리가 길어지되, 상부클램프의 폭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수직선상(d)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종방향클램프지지유닛(251,252)는 제1 및 제2횡방향클램프지지유닛이 배관의 종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형태로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부호로 표기한다.
제1 및 제2종방향클램프지지유닛(251,252)은 하단부가 건물의 천장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2앵커볼트(253)에 각가 고정설치되되 종방향 양측이 개방되게 고정설치되는 제2지지브라켓(255)과, 배관(10)의 횡 방향으로 제1지지브라켓(255)을 관통하여 제2지지브라켓(255)에 지지되는 제4힌지축(259)과, 배관의 횡 방향으로 제2지지브라켓(255)을 관통한 제4힌지축(259)과 나사 결합되는 제4힌지축결합너트(261)와, 일측이 제2지지브라켓(255)에 배관의 종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타측이 제2클램프의 제2지지유닛결합부(230)에 배관(10)의 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제2회동유닛(262)을 각각 구비한다.
제2지지브라켓(255)을 관통하는 제2앵커볼트(253)는 제2앵커볼트결합너트(미도시)와 나사결합하여 제2지지브라켓(255)을 천장에 고정한다. 제2지지브라켓(255)은 제1지지브라켓(255)과 동일구조를 갖되 개방된 양측이 배관의 종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제1회동유닛(162)과 제2회동유닛(162),(262)은 회동바(163)와, 회동볼트(166)를 각각 구비한다.
회동바(163)는 내측에 중공이 형성된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지지브라켓(155) 또는 제2지지브라켓(255)에 상단이 제1지지브라켓(155)이 개방된 방향이나 제2지지브라켓(255)이 개방된 방향, 즉 배관의 횡 방향 또는 종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동볼트(166)는 일측이 회동바(163)의 하단 내측으로 회동바(163)의 길이방향으로 인입되되 인입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결합되며 타측에 제1힌지축(138) 또는 제3힌지축(238)이 관통되어 제1지지리브(134)와 제2지지리브(134, 136) 사이, 또는 제3지지리브(234)와 제4지지리브(236) 사이에서 배관(10)의 횡 방향 또는 종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회동볼트(166)는 구분해보면, 일측에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회동바와 나사 결합되는 회동바결합부(167)와, 회동바결합부의 단부에서 회동바결합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 및 제2지지리브(134, 136) 사이 또는 제3지지리브(234)와 제4지지리브(236) 사이에 힌지축(138)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힌지결합단자부(168)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횡방향 방진유닛(100)은 배관에 12m마다 설치될 수있으며, 종방향 방진유닛(200)은 24m마다 설치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는 횡방향 또는 종방향클램프지지유닛(150,250)이 천장(15)과 제1 또는 제2클램프유닛(110,210)에 각각 힌지 결합되므로, 배관(10)을 감싸는 제1또는 제2클램프유닛(110,210)가 진동 또는 충격이 전달되는 횡 방향 또는 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배관(10)이 받는 충격이나 진동을 줄일 수 있어 배관에 균열이나 피로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는 결합구조가 간단하며, 회동유닛(16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설치환경에 따른 배관설치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다르게 본 고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는 횡 방향 방진유닛(100)만 구비하거나, 종 방향 방진유닛(200)만 구비하는 것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부호로 표기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는 제1 및 제2회동유닛을 제외하고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의 구조와 동일하다.
제1 및 제2횡방향클램프지지유닛(151,152)은 제1지지브라켓(155)과, 제1힌지축(138)과, 제2힌지축(159)과, 복수의 너트(161)와, 제1회동유닛(362)을 각각 구비한다.
제1 및 제2종방향클램프지지유닛(251,252)은 제2지지브라켓(255)과, 제3힌지축(238)과, 제4힌지축(259)과, 복수의 너트(161)와, 제2회동유닛(372)을 각각 구비한다.
제1회동유닛(362)은 제1상부회동볼트(363)와, 제2하부회동볼트(366)와, 제1길이조절지지바(369)를 구비한다. 제1상부회동볼트(363)는 제1지지브라켓(155)에 일측이 제1지지브라켓(155)이 개방된 방향 측, 즉 횡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힌지결합부(364)와, 제1힌지결합부(364)에서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제1길이조절지지바(369)의 상단과 나사결합되는 제1지지바결합부(365)를 구비한다. 제2하부회동볼트(366)는 제1클램프유닛(110)의 좌측지지유닛결합부(131) 또는 우측지지유닛결합부(132)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제2지지바결합부(367)와 제2힌지결합부(368)를 구비한다. 제2지지바결합부(367)는 일측이 제1상부회동볼트(363)의 회동방향에 대응되는 방향, 즉 횡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 외주면에 제1상부회동볼트(363)의 나사선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나선연장된 나사선이 형성되어 제1길이조절지지바(369)의 하단과 나사결합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힌지결합부(368)은 제2지지바결합부(367)에서 제1지지리브(134)와 제2지지리브(136) 사이로 제1지지리브(134)와 제2지지리브(136)에 나란하게 판상으로 형성되어 제1힌지축(138)이 관통된다.
제1길이조절지지바(369)는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 내주면에 제1상부회동볼트(363)와 제2하부회동볼트(366)와 나사 결합되게 상호 반대방향으로 나선연장된 나사선이 형성된다. 제1길이조절지지바(369)는 회전방향에 따라 제1상부회동볼트(363)와 제2하부회동볼트(369)가 나사 결합된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제1회동유닛(362)의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2회동유닛(372)은 제3상부회동볼트(373)와, 제4하부회동볼트(376)와, 제2길이조절지지바(379)를 구비한다. 제3상부회동볼트(373)는 제2지지브라켓(255)에 일측이 제2지지브라켓(255)이 개방된 방향 측, 즉 종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3힌지결합부(374)와, 제3힌지결합부(374)에서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제2길이조절지지바(379)의 상단과 나사결합되는 제3지지바결합부(375)를 구비한다. 제4하부회동볼트(376)는 제2클램프유닛(210)의 전방지지유닛결합부(231) 또는 후방지지유닛결합부(232)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제4지지바결합부(377)와 제4힌지결합부(378)를 구비한다. 제4지지바결합부(377)는 일측이 제3상부회동볼트(373)의 회동방향에 대응되는 방향, 즉 종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 외주면에 제3상부회동볼트(373)의 나사선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나선연장된 나사선이 형성되어 제2길이조절지지바(379)의 하단과 나사결합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4힌지결합부(378)은 제4지지바결합부(377)에서 제3지지리브(234)와 제4지지리브(236) 사이로 제3지지리브(234)와 제4지지리브(236)에 나란하게 판상으로 형성되어 제3힌지축(238)이 관통된다.
제2길이조절지지바(379)는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 내주면에 제3상부회동볼트(373)와 제4하부회동볼트(376)와 나사 결합되게 상호 반대방향으로 나선연장된 나사선이 형성된다.
제2길이조절지지바(379)는 회전방향에 따라 제3상부회동볼트(373)와 제4하부회동볼트(376)가 나사 결합된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제2회동유닛(372)의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는 배관을 지지한 상태에서 제1길이조절바(369) 또는 제2길이조절바(379)를 회전시켜 제1회동유닛(362)과 제2회동유닛(37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배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부호로 표기한다.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배관장치는 제1 및 제2길이조절지지바(369,379)를 제외하고,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배관장치의 구조와 동일하다.
제1길이조절지지바(369) 및 제2길이조절지지바(379)는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제1상부회동볼트(363) 또는 제3상부회동볼트(373)와 나사 결합되게 내주면에 제1나사선(미도시)이 형성된 상부 바(381)와,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이 제1하부회동볼트(366) 또는 제4하부회동볼트(376)와 나사결합되게 내주면에 제1나사선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제2나사선(미도시)이 형성된 하부 바(383)와, 양측이 상부 바(381)의 하단과 하부 바(383)의 상단의 내측으로 각각 나사 결합되되 회전방향에 따라 상부 바(381)와 하부 바(383)와 나사 결합된 길이가 조절되게 양측 내주면에 상호 반대방향의 제1나사선(382)과 제2나사선(384)이 각각 형성되어 전체 제1 또는 제2 길이조절지지바(369,379)의 길이를 미세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385)를 각각 구비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부 바(381)의 타측 내주면에는 제2나사선이 형성되고 , 하부 바(3830의 타측 내주면에는 제1나사선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배관장치는 제1 및 제2회동유닛의 길이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어 미세한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설치환경에 따른 배관(10)의 위치조절이나 기울기 조절이 용이하여 설치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고안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는 동일부호로 표기한다. 본 고안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는 제1 및 제2회동유닛(462,472)을 제외하고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의 구조와 동일하다.
제1회동유닛(462)과 제2회동유닛(462)는 각각 상부바(463)와, 하부바(466)와, 길이조절부재(469)를 구비한다.
상부바(463)는 상단이 제1지지브라켓(155)의 개방된 양측 방향 또는 제2지지브라켓(255)의 개방된 양측 방향, 즉 횡 방향 또는 종 방향으로 회동하게 제2힌지축(161) 또는 제4힌지축(259)이 관통되며 내측에 중공이 형성된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바(466)는 내측에 중공이 형성된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바(466)는 하단이 제1클램프유닛(110)의 좌측지지유닛결합부(131) 또는 우측지지유닛결합부(132) 결합되어 횡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제1힌지축(138)이 관통되거나, 제2클램프유닛(210)의 전방지지유닛결합부(231) 또는 후방지지유닛결합부(232)에 결합되어 종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제3힌지축(238)이 관통된다.
상부바(463)와 하부바(466)는 도시된 바와 다르게,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지 않고 내부가 채워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바의 상단은 제1지지브라켓(155) 또는 제2지지브라켓(255)과 힌지결합 및 회동이 용이하도록, 제1지지브라켓(155) 또는 제2지지브라켓(255)이 개방된 양측에 대응되는 직경은 하부와 동일하되 개방된 양측에 직교하는 방향의 직경은 하부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바의 하단도 좌측지지유닛결합부(131) 또는 우측지지유닛결합부(132), 전방지지유닛결합부(231) 또는 후방지지유닛결합부(232)와 힌지결합 및 회동이 용이하도록, 좌측지지유닛결합부(131) 또는 우측지지유닛결합부(132), 전방지지유닛결합부(231) 또는 후방지지유닛결합부(232)이 개방된 양측에 대응되는 직경은 하부와 동일하되 개방된 양측에 직교하는 방향의 직경은 하부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길이조절부재(469)는 상부 바(463)와 하부 바(466)의 중공으로 삽입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 외주면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나선 연장된 나사선이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길이조절부재(469)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부 바(463)와 하부 바(466)와 나사 결합된 길이가 조절되면서, 제1회동유닛(462) 또는 제2회동유닛(472)의 전체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고안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는 동일부호로 표기한다. 본 고안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는 길이조절부재를 제외하고, 본 고안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의 구조와 동일하다.
상부 바(463)는 하부 외주면에 제1나사선이 형성되며, 하부 바(466)는 상부 외주면에 제1나사선의 나선연장방향에 반대방향으로 나선연장된 제2나사선이 형성된다.
제1회동유닛(462)과 제2회동유닛(472)의 각 길이조절부재(569)는 상부 바와 하부 바 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내측으로 상부 바(463)의 하부와 하부 바(466)의 상부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되 회전방향에 따라 상부 바(463)와 상기 하부 바(466)와 나사결합된 길이가 조절되게 양측 내주면에 상호 반대방향의 나사선이 형성된다.
길이조절부재(569)는 외주면에 파지하여 회전 시킬 수 있는 외력 전달이 용이하도록 요철이 형성된 널링부(570)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는 길이조절부재(569)가 상부 바(463)와 하부 바(466)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어 파지면적이 확보되어 회전력 전달이 용이므로 길이조절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고안의 제6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는 동일부호로 표기한다. 본 고안의 제6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는 제1 및 제2회동유닛(662,682)을 제외하고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의 구조와 동일하다.
제1회동유닛(662)과 제2회동유닛(682)은 상부회동볼트(663)와, 하부회동소켓(666)과, 길이조절지지바(671)를 각각 구비한다.
상부회동볼트(663)는 제1지지브라켓(155)의 개방된 양측 방향 또는 제2지지브라켓(255)의 개방된 양측 방향, 즉 배관의 횡 방향 또는 종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제1지지브라켓(155) 또는 제2지지브라켓(255)에 결합된 제1힌지결합부(664)와, 힌지결합부(364)에서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제1나사선이 형성되어 길이조절바의 상단과 나사결합되는 지지바결합부(665)를 구비한다.
하부회동소켓(666)은 상부회동볼트(363)의 회동방향에 대응되는 방향, 즉 배관의 횡방향 또는 종 방향으로 회동되게 일측이 제1클램프유닛 또는 제2클램프유닛에 결합되며 타측에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결합홈(668)이 형성된다.
하부회동소켓(666)은 길이조절지지바(671)의 하단이 수용되어 나사 결합되게 인입되며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제1결합홈(668)을 갖는 소켓결합부(667)와, 결합홈(668)이 폐쇄된 측의 소켓결합부(667)의 단부에서 결합홈(668)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지지리브(134)와 제2지지리브(136) 사이 또는 제3지지리브(243)와 제4지지리브(236) 사이에서 제1 및 제2지지리부(134,136) 또는 제3지지리브(234)와 제4지지리브(236)와 나란하며 제1힌지축(138) 또는 제3힌지축(238)이 관통되는 제2힌지결합부(669)를 구비한다.
길이조절지지바(671)는 양측이 상부회동볼트(663)와 하부회동소켓(666)과 각각 나사 결합되게 일측 내주면과 타측 외주면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나선연장된 나사선이 각각 형성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부회동볼트(663)와 하부회동소켓(666)에 나사 결합된 길이가 조절된다.
길이조절지지바(671)는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상부회동볼트(663)와 나사 결합되는 상부 바(672)와,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이 하부회동소켓(666) 내로 나사 결합되는 하부 바(674)와, 양측이 상부 바(672)와 하부 바(674)와 나사결합되는 미세길이조절부재(676)를 구비한다.
상부 바(672)의 상단 내주면에는 제1나사선이 형성되고 하단 내주면에는 제1나사선과 반대되는 제2나사선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바(674)의 상단 외주면에는 제2나사선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나사선이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에는 제2나사선이 형성된다.
미세길이조절부재(676)는 일측이 상부 바(672)의 하단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게 외주면에 상부회동볼트의 제1사사선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나선 연장된 제2나사선이 형성된 제1나사결합부(677)와, 제1나사결합부(677)와 연결되며 내측으로 하부 바(674)의 상단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게 제1나사결합부(677)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된 제2결합홈(680)이 형성되며 하부 바(674)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2나사결합부(679)를 구비한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에는 본 고안의 제7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는 동일부호로 표기한다.
본 고안의 제7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는 제1 및 제2길이조절지지바를 제외하고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의 구조와 동일하다.
제1회동유닛(762)은 제1상부회동볼트(363)와, 제2하부회동볼트(366)와, 제1길이조절지지바(769)를 구비한다. 제2회동유닛(772)은 제3상부회동볼트(373)와, 제4하부회동볼트(376)와, 제2길이조절지지바(779)를 구비한다.
제1길이조절지지바(769)와, 제2길이조절지지바(779)는 상부 바(381)와, 하부 바(383)와, 양측이 상부 바(381)의 하단과 하부 바(383)의 상단의 내측으로 각각 나사 결합되되 회전방향에 따라 상부 바(381)와 하부 바(383)와 나사 결합된 길이가 조절되게 양측 내주면에 상호 반대방향의 제1나사선(382)과 제2나사선(384)이 각각 형성되는 길이조절부재(785)를 각각 구비한다.
길이조절부재(785)는 상부 바(381)와 나사 결합되는 일측이 하부바(383)와 나사 결합되는 타측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개별회전될 수 있어 미세하게 배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길이조절부재(785)는 제1길이조절부(790)와, 제2길이조절부(820)와, 이탈방지링(840)과, 결합고정핀(850)을 구비한다.
제1길이조절부(790)는 제1나사결합부(791)와, 제1파지부(800)를 구비한다.
제1나사결합부(791)는 상부 바(381)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일측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파지부(800)와 결합되는 타측이 다각 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나사결합부(791)는 타측에 상부 바(381)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된 슬라이딩홈(792)이 형성된다.
제1파지부(800)는 제1나사결합부(791)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나사결합부(791)와 결합되어 제1나사결합부(791)와 일체로 회전된다.
제1파지부(800)는 일측 중심측에 제1나사결합부(791)가 삽입 고정 결합되는 다각 형상의 제1결합홈(801)과, 타측 중심측에 제1결합홈(801) 방향으로 인입된 다각 형상의 제2결합홈(803)과, 제1결합홈(801)과 제2결합홈(803)의 각 중심측이 연통되게 관통형성되어 슬라이딩홈(792)과 연통되는 슬라이딩공(805)이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길이조절부(790)는 제1나사결합부(791)와 제1파지부(800)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제1파지부(800)를 관통하여 제1나사결합부(791)의 타측으로 관통하는 보조고정핀(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제2길이조절부(820)는 상호 일체로 형성되는 제2나사결합부(821)와, 제2파지부(830)와 결합돌기(835)와, 결합 및 회전 가이드바(837)를 구비한다.
제2나사결합부(821)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하부 바(383)의 상단 내주면에 나사 결합된다.
제2파지부(830)는 제2나사결합부(821)와 연결되며 제2나사결합부(821)보다 큰 외경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결합돌기(835)는 제2파지부(830)의 중심측에서 제2나사결합부(821)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2결합홈(80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제2결합홈(803)에 삽입되어 제1길이조절부(790)와 함께 회전되게 제1파지부(800)와 제2파지부(830)를 결합한다.
결합 및 회전가이드바(837)는 결합돌기(835)의 중심측에서 슬라이딩공(805)을 관통하게 돌출되며 슬라이딩홈(792)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이탈방지링(840)과 결합된다.
이탈방지링(840)은 슬라이딩홈(792)에 수용되며 결합 및 회전가이드바(837)의 단부와 결합되게 내측이 관통된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탈방지링(840)은 제2길이조절부(820)가 제1길이조절부(79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합고정핀(850)은 제2길이조절부의 결합돌기(835)가 제1길이조절부의 제2결합홈(803)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게, 제1파지부(800)와 결합돌기(835)를 관통한다. 제1파지부(800)는 측부에 제2결합홈(803)으로 연통되게 관통된 제1고정핀관통공(807)이 형성되고, 결합돌기(835)에는 제1파지부(800)의 제2결합홈(803)에 결합 시 제1고정핀관통공(807)과 연통되게 폭 방향으로 관통되어 결합고정핀(850)이 관통되는 제2고정핀관통공(836)이 형성된다. 제1길이조절부(790)와 제2길이조절부(820)를 개별회전시키고자 할 때는 결합고정핀(850)을 분리시킨다.
본 고안의 제7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는 길이조절부재(785)의 제1길이조절부(790)와 제2길이조절부(820)가 상호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거나, 상호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어, 배관의 미세한 경사조절이 가능하여 설치가 더욱 용이한 이점이 있다.
비록 본 고안은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지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와 균등예가 있을 수 있다.
10 : 배관 15 : 천장
100 : 횡방향 방진유닛 110 : 제1클램프유닛
150 : 횡방향클램프지지유닛 151 : 제1횡방향클램프지지유닛
152 : 제2횡방향클램프지지유닛 153 : 제1지지브라켓
162 : 제1회동유닛 163 : 회동바
166 : 회동볼트 200 : 종방향 방진유닛
210 : 제2클램프유닛 250 : 종방향클램프지지유닛
251 : 제1종방향클램프지지유닛 252 : 제2종방향클램프지지유닛
262 : 제2회동유닛

Claims (8)

  1.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배관을 지지하되 상기 건물이나 상기 배관 내에 흐르는 유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상기 배관에 진동 피로 발생을 방지하며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외면을 감싸는 클램프유닛과,
    상부가 상기 건물의 천장에 상기 배관이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부가 상부의 회동방향에 대응되게 상기 클램프유닛의 외주면에 상기 배관이 횡 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지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지지유닛은
    상기 배관의 횡방향 또는 종방향 양측이 개방되게 상기 천장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일측이 상기 지지브라켓이 개방된 방향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상부회동볼트와, 상기 클램프유닛에 일측이 상기 상부회동볼트의 회동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 외주면에 상기 상부회동볼트의 나사선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나선연장된 나사선이 형성된 하부회동볼트와,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 내주면에 상기 상부회동볼트와 상기 하부회동볼트와 나사 결합되게 상호 반대방향으로 나선연장된 나사선이 형성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상부회동볼트와 상기 하부회동볼트가 나사 결합된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지지바를 포함하는 회동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길이조절지지바는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바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상부회동볼트와 나사결합되는 상부 바와,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하부회동볼트와 나사결합되는 하부 바와,
    양측이 상기 상부 바의 하단과 상기 하부 바의 상단의 내측으로 각각 나사 결합되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상부 바와 상기 하부 바와 나사결합된 길이를 조절되게 양측 내주면에 상호 반대방향의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길이조절지지바의 길이를 미세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배관을 지지하되 상기 건물이나 상기 배관 내에 흐르는 유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상기 배관에 진동 피로 발생을 방지하며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외면을 감싸는 클램프유닛과,
    상부가 상기 건물의 천장에 상기 배관이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부가 상부의 회동방향에 대응되게 상기 클램프유닛의 외주면에 상기 배관이 횡 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지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지지유닛은
    상기 배관의 횡방향 또는 종방향 양측이 개방되게 상기 천장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상단이 상기 지지브라켓이 개방된 방향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형상의 상부 바와,
    상기 클램프유닛에 하단이 상기 상부 바의 회동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형상의 하부 바와,
    양측이 상기 상부 바의 하단과 상기 하부 바의 상단의 내측으로 각각 나사 결합되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상부 바와 상기 하부 바와 나사 결합된 길이를 조절되게 양측 내주면에 상호 반대방향의 나사선이 형성된 길이조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재는
    상기 상부바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상부바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된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제1나사결합부와, 상기 제1나사결합부와 일체로 회전되게 일측 중심측에 상기 제1나사결합부가 삽입 고정 결합되는 제1결합홈과 타측 중심측에 상기 제1결합홈 방향으로 인입된 제2결합홈과 상기 제1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홈의 각 중심측이 연통되게 관통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홈과 연통되는 슬라이딩공이 형성되는 제1파지부를 구비하는 제1길이조절부와,
    상기 하부바의 상단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결합부와, 상기 제2나사결합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나사결합부보다 큰 외경을 가는 제2파지부와, 상기 제2파지부의 중심측에서 상기 제2나사결합부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결합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길이조절부와 함께 회전되게 상기 제1파지부와 상기 제2파지부를 결합하는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의 중심측에서 상기 슬라이딩공을 관통하게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으로 연장되는 결합 및 회전가이드바를 포함하여,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제2결합홈 결합되어 상기 제1길이조절부와 함께 회전되거나 상기 제2결합홈에 분리되어 상기 제1길이조절부에 대해 개별 회전가능한 제2길이조절부와,
    상기 결합 및 회전가이드바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에 구속되어 상기 제2길이조절부가 상기 제1길이조절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
  7.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배관을 지지하되 상기 건물이나 상기 배관 내에 흐르는 유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상기 배관에 진동 피로 발생을 방지하며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외면을 감싸는 클램프유닛과,
    상부가 상기 건물의 천장에 상기 배관이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부가 상부의 회동방향에 대응되게 상기 클램프유닛의 외주면에 상기 배관이 횡 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지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지지유닛은
    상기 배관의 횡방향 또는 종방향 양측이 개방되게 상기 천장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상단이 상기 지지브라켓이 개방된 방향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형상의 상부 바와,
    상기 클램프유닛에 하단이 상기 상부 바의 회동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형상의 하부 바와,
    양측이 상기 상부 바의 하단과 상기 하부 바의 상단이 수용되어 각각 나사 결합되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상부 바와 상기 하부 바와 나사결합된 길이를 조절되게 양측 내주면에 상호 반대방향의 나사선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널링부가 형성된 길이조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
  8.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배관을 지지하되 상기 건물이나 상기 배관 내에 흐르는 유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상기 배관에 진동 피로 발생을 방지하며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외면을 감싸는 클램프유닛과,
    상부가 상기 건물의 천장에 상기 배관이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부가 상부의 회동방향에 대응되게 상기 클램프유닛의 외주면에 상기 배관이 횡 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지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지지유닛은
    상기 배관의 횡방향 또는 종방향 양측이 개방되게 상기 천장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일측이 상기 지지브라켓이 개방된 방향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상부회동볼트와, 상기 클램프유닛에 일측이 상기 상부회동볼트의 회동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동되게 결합되며 타측에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하부회동소켓과,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이 상기 상부회동볼트와 상기 하부회동소켓과 각각 나사 결합되게 일측 내주면과 타측 외주면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나선연장된 나사선이 각각 형성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상부회동볼트와 상기 하부회동소켓이 나사 결합된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바를 포함하는 회동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길이조절바는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상부회동볼트와 나사 결합되는 상부 바와,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하부회동소켓 내로 나사 결합되는 하부 바와,
    일측이 상기 상부 바의 하단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게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제1나사결합부와, 상기 제1나사결합부와 연결되며 내측으로 상기 하부 바의 상단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게 상기 제1나사결합부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된 제2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바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2나사결합부 미세길이조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
KR2020190000715U 2019-02-20 2019-02-20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 KR2004917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715U KR200491747Y1 (ko) 2019-02-20 2019-02-20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715U KR200491747Y1 (ko) 2019-02-20 2019-02-20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747Y1 true KR200491747Y1 (ko) 2020-06-05

Family

ID=71070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715U KR200491747Y1 (ko) 2019-02-20 2019-02-20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74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28019A (zh) * 2020-08-18 2020-11-13 黑龙江日甲生科技有限公司 一种易安装抗震支架
KR102277788B1 (ko) * 2021-03-21 2021-07-15 유니슨에이치케이알(주) 배관 지지대
KR20220052701A (ko) * 2020-10-21 2022-04-28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내진 현수 장치
KR102398730B1 (ko) * 2021-10-26 2022-05-17 (주)양수금속 저층고용 종/횡방향 겸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CN114738560A (zh) * 2022-03-22 2022-07-12 彭争争 一种城市燃气工程管道拐角支撑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550A (ko) * 2015-02-09 2016-08-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길이조절 가능한 스레드 타입 더미 스풀 및 이를 가지는 선박
KR101751963B1 (ko) * 2017-02-09 2017-06-30 (주)파워엔텍 압축력에 견디는 턴버클을 이용한 배관용 내진 지지대
KR20180002599U (ko) 2017-02-22 2018-08-30 이인열 방진기능이 있는 배관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550A (ko) * 2015-02-09 2016-08-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길이조절 가능한 스레드 타입 더미 스풀 및 이를 가지는 선박
KR101751963B1 (ko) * 2017-02-09 2017-06-30 (주)파워엔텍 압축력에 견디는 턴버클을 이용한 배관용 내진 지지대
KR20180002599U (ko) 2017-02-22 2018-08-30 이인열 방진기능이 있는 배관지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28019A (zh) * 2020-08-18 2020-11-13 黑龙江日甲生科技有限公司 一种易安装抗震支架
KR20220052701A (ko) * 2020-10-21 2022-04-28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내진 현수 장치
KR102485313B1 (ko) * 2020-10-21 2023-01-06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내진 현수 장치
KR102277788B1 (ko) * 2021-03-21 2021-07-15 유니슨에이치케이알(주) 배관 지지대
KR102398730B1 (ko) * 2021-10-26 2022-05-17 (주)양수금속 저층고용 종/횡방향 겸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CN114738560A (zh) * 2022-03-22 2022-07-12 彭争争 一种城市燃气工程管道拐角支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1747Y1 (ko)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
KR101759163B1 (ko) 내진 특성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
KR101712803B1 (ko) 내진기능을 갖는 천장용 행거장치
CN205578907U (zh) 一种固定电缆的夹具
US7588224B2 (en) Universal clamp
US20150189991A1 (en) Supporting device
KR20140084008A (ko) 파이프 대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
CN110024217A (zh) 可旋转的天线安装架
KR101202418B1 (ko)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KR20190083825A (ko) 내진 지지대
KR101942180B1 (ko) 내진용 파이프행거
KR200488211Y1 (ko) 방진기능이 있는 배관지지장치
CN104358932A (zh) 悬挂式管夹
CN207486222U (zh) 一种抗震的管道吊架
KR101932030B1 (ko) 가스 배관의 내진 고정장치
KR101414219B1 (ko) 케이블 교량용 고정밀 케이블 고정장치
JP6739503B2 (ja) ボルト連結具
KR20170133860A (ko) 내진용 배관 행거
KR101817710B1 (ko) 송배전선 진동 완충장치
KR101997050B1 (ko) 개량형 배관지지구조
KR200491645Y1 (ko) 분할 완충구가 구비된 배관용 방진행거
KR20190009587A (ko) 건축물 부착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진 버팀 장치
CN208578160U (zh) 一种可调节长度的箱梁连接节点
KR20110004735U (ko) 파이프 배관용 클램프
KR200496351Y1 (ko) 배관 고정 위치 조정이 가능한 배관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