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4008A - 파이프 대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 - Google Patents

파이프 대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4008A
KR20140084008A KR1020147008325A KR20147008325A KR20140084008A KR 20140084008 A KR20140084008 A KR 20140084008A KR 1020147008325 A KR1020147008325 A KR 1020147008325A KR 20147008325 A KR20147008325 A KR 20147008325A KR 20140084008 A KR20140084008 A KR 20140084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able
main body
brace
str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8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스 리처드 더블
Original Assignee
쿠퍼 비-라인,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퍼 비-라인,인크. filed Critical 쿠퍼 비-라인,인크.
Publication of KR20140084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0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08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for pipes being in an angled relationship 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1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a substantially-radial tightening or secur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37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nd consisting of a flexible b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1Plural fasteners having intermediate flaccid connector
    • Y10T24/314Elastic conn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01Crossed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1Rod side to plate or side
    • Y10T403/7105Connected by double clam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1Rod side to plate or side
    • Y10T403/7147Connected by flexible ti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1Rod side to plate or side
    • Y10T403/7164One rod held between bight and other rod extending through aperture in leg of conn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1Rod side to plate or side
    • Y10T403/7182Yoke or ring-type conn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1Rod side to plate or side
    • Y10T403/7182Yoke or ring-type connector
    • Y10T403/7188Rod received in open chann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1Rod side to plate or side
    • Y10T403/7194Crossed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는 버팀대 파이프에 고정될 수 있는 주 클램프 본체를 포함한다. 케이블, 또는 다른 유연성 인장 부재는 가새 파이프 주위에 둘러싸여 주 클램프 본체에 고정될 수 있다.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는 가새 파이프 주위의 케이블이나 유연성 인장 부재를 인장하기 위한 방법 또는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인장 방법이나 메커니즘은 케이블이나 인장 부재를 인장하기 위하여 주 본체를 회전과 같은 이동을 포함한다. 주 클램프 본체의 클램핑 및 케이블 또는 인장 부재의 인장은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대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PIPE-TO-PIPE BRACE ASSEMBLY}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파이프 대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 닥트, 스프링클러 설비, 팬, 에어컨 그리고 마루 및 천장 아래의 다른 하중을 떠받치거나 지지하기 위한 빌딩 및 배관 도급업자들에 사용되는 시장에는 많은 제품들이 있다. 이들 제품들은 기타 항목 가운데 클램프, 버팀대, 후크, 스트랩, 플레이트, 브래킷을 포함한다. 장치의 한 타입은 적절한 비임 클램프(a suitable beam clamp)에 의해 비임, 또는 다른 오버헤드지지 구조물에 부착되는 버팀대 또는 버팀대 파이프를 사용한다. 버팀대 파이프가 가새 또는 서비스 파이프(a braced or service pipe)로 언급되는 다른 파이프를 지지 또는 떠받치기 위해 사용된다. 파이프 대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에서 복잡한 인자는 가능한 버팀대 파이프와 가새 파이프(braced pipe) 사이즈의 다양성이다. 부가하여, 대부분의 파이프 또는 다른 하중은 파이프 또는 하중 길이를 따라 다양한 위치에서 떠받치는 것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선행 기술의 조립체와 관련하여 장착 시간을 감소시키는 버팀대 조립체에 대한 요구가 있다. 부가하여, 바람직하게는, 단일 버팀대 조립체가 사이즈 특정 부품에 대한 요구 없이 다양한 사이즈의 파이프 또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장치에서, 버팀대 조립체는 다수의 버팀대 파이프 사이즈를 받아드릴 수 있다. 적어도 바람직한 실시 예의 일부는 버팀대 파이프에 고정되는 주 클램프 본체(a main clamp body)를 포함한다. 케이블, 또는 다른 유연성 인장 부재는 가새 파이프 주위에 둘러싸여 주 클램프 본체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새 파이프 주위의 케이블 또는 인장 부재를 인장하기 위한 방법 또는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일부 장치에서, 인장 방법 또는 메커니즘은 케이블 또는 인장 부재에 인장을 주도록 주 클램프 본체를 이동(예를 들어, 회전)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는 버팀대 파이프와 관련하여 가새 파이프를 떠받치기 위한 버팀대 조립체를 포함한다. 버팀대 조립체는 케이블 및 주 본체를 포함한다. 주 본체는 버팀대 파이프를 수용하는 개구부를 정의하는 환형부(an annular portion)를 포함한다. 케이블 멈춤부(a cable stop)는 케이블의 제1 부분(a first portion)을 지지한다. 파이프 지지 표면은 가새 파이프를 지지한다. 케이블 앵커(a cable anchor)는 케이블 제1 및 제2 부분 사이에서 인장에 놓일 수 있게 주 본체와 관련하여 케이블의 제2 부분을 고정할 수 있다. 케이블 인장 장치는 가새 파이프 주위 케이블을 인장하도록 케이블 앵커와 관련하여 케이블 멈춤부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파이프 지지 표면에 가새 파이프가 고정된다.
일부 장치에서, 케이블 멈춤부는 환형부의 제1 측면 위에 있을 수 있고, 케이블 앵커는 제1 측면에 대향하는 환형부의 제2측에 위에 있다. 파이프지지 표면은 환형부의 제2 측면 위에 있을 수 있다. 파이프 지지 표면은 둥글게 될 수 있으며, 가새 파이프에 평행한 파이프 지지 표면 축 주위 반경을 정의한다. 케이블 멈춤부는 후크 기구를 포함한다. 후크 기구와 주 본체는 단일 피스 재료(a single piece of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앵커는 주 본체에서 개구부를 통과하는 볼트, 볼트의 축 부분을 반경 방향에서 통과하는 한 쌍의 슬롯을 가진 볼트를 포함하고, 케이블의 단부 부분은 각 슬롯으로 통과하여 지나가고, 케이블은 볼트의 머리 부분 및 볼트의 축에 나사 있는 너트에 의해 주 본체에 고정되어진다.
케이블 인장 장치는 주 본체의 나사 개구부(a threaded opening)와 결합하는 고정나사(a set screw)를 포함하고, 나사 개구부는 버팀대 파이프와 관련하여 반경방향에서 연장하고, 고정나사의 단부는 버팀대 파이프와 결합하고, 고정나사는 케이블이 인장되게 버팀대 파이프에 수직인 축 주위로 주 본체를 회전시키도록 팽팽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는 버팀대 파이프와 관련하여 가새 파이프(a braced pipe)를 떠받치기 위한 버팀대 조립체(a brace assembly)를 포함한다. 버팀대 조립체는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중간 부분을 갖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주 본체는 개구부를 통하여 파이프 축을 따라 연장하는 버팀대 파이프를 수용하는 개구부를 정의하는 환형부를 포함한다. 케이블 멈춤부는 케이블의 중간 부분을 지지한다. 케이블 멈춤부는 파이프 축의 제1 측면에 위치되어 있다. 파이프 지지 표면은 가새 파이프를 지지한다. 파이프 지지 표면은 제1 측면에 대향하는 파이프 축의 제2 측면에 위치되어 있다. 케이블 앵커는 축 부분과 헤드 부분(a shaft portion and a head portion)을 가진 체결요소, 그리고 체결요소의 축 부분과 나사 결합 가능한 너트를 포함한다. 체결요소는 주 본체의 체결요소 통로에 의해 수용된다. 헤드 부분은 주 본체에 케이블의 제1 단부를 고정하고, 너트는 주 본체에 케이블의 제2 단부를 고정한다. 인장 나사는 나사 축 부분을 가지고, 주 본체의 나사 인장 통로에 의해 수용되어진다. 인장 통로는 파이프 축과 관련하여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에서 연장하고, 주 본체의 환형부로부터 상쇄된다. 인장 나사는 인장 통로의 축과 케이블의 중간 부분을 인장하는 파이프 축 그것에 의해 양쪽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조정 축(an adjustment axis) 주위에 주 본체를 회전하도록 인장 통로로 전진된다. 인장 나사의 전진은 또한 버팀대 파이프 주 본체를 고정한다.
케이블 앵커는 파이프 축의 제2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파이프 지지 표면은 둥글고 가새 파이프에 평행한 파이프 지지 표면 축 주위에 반경을 정의한다. 케이블 멈춤부는 후크 기구(a hook structure)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 기구와 주 본체는 단일 피스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앵커의 체결요소는 체결요소의 축 부분을 통하여 반경 방향에서 지나가는 한 쌍의 슬롯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슬롯 개구부의 쌍의 각 하나는 케이블의 제1 및 제2 단부의 각 하나를 수용한다.
환형부의 개구부는 제1 직경을 갖는 버팀대 파이프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 본체는 개구부와 관련하여 반경 방향에서 연장하는 한 쌍의 나사 조정 개구부를 더 포함한다. 버팀대 조립체는 나사 조정 개구부의 쌍과 결합하는 한 쌍의 고정나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버팀대 조립체가 제1 직경보다 더 작은 제2 직경을 갖는 버팀대 파이프와 작동하게 개구부의 사이즈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도록 개구부로 연장되어질 수 있다.
케이블은 미리 늘어난 아연 도금 케이블(a pre-stretched galvanized cable)일 수 있다. 파이프 지지 표면은 가새 파이프의 축을 따르는 방향에서 적어도 약 1인치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는 가새 파이프 주위에 케이블을 둥글게 만드는 것을 포함하여, 버팀대 파이프에 가새 파이프를 떠받치는 방법을 포함한다. 케이블의 제1 부분은 클램프 본체에 고정된다. 케이블의 제2 부분은 케이블의 중간 부분과 클램프 본체 사이에 가새 파이프를 가지고 클램프에 고정된다. 버팀대 파이프는 클램프 본체에 의해 결합된다. 클램프 본체는 케이블의 중간 부분에 인장을 주도록 버팀대 파이프와 관련하여 이동되어진다.
클램프 본체의 이동은 버팀대 파이프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축에 클램프 본체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포함할 수 있다. 버팀대 파이프에 클램프 본체를 고정은 클램프 본체의 이동과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과 종래 기술에서 달성한 이점을 요약하는 목적은 발명의 어떤 목표 및 이점은 위에서 기술되었다. 물론, 모든 그러한 목적 및 이점이 발명의 어떤 특별한 실시 예에 따라 수행되어질 필요는 없다고 이해되어져야 한다. 그래서 예를 들어, 관련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여기에 교시되거나 시사되어지는 다른 이점들을 필연적으로 달성함이 없이 여기에 교시된 하나의 이점 또는 이점 그룹을 달성 또는 최적화하는 방법으로 발명이 구체화되거나 또는 수행되어진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모든 이들 실시 예들은 여기에 개시된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실시 예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의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매우 분명하게 있을 것이고, 본 발명은 어떤 특별한 바람직한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현재의 버팀대 조립체의 이들 및 다른 특징, 모습 및 이점들은 바람직한 실시 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어지고, 그러나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의도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어떤 특징, 모습 및 이점들을 가진 파이프 대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버팀대 조립체의 주 본체 및 다른 구성부품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주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주 본체의 전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주 본체의 배면도이다.
도 6a, 6b, 6c는 여러 방향에서 도 1의 버팀대 조립체의 도면이다.
바람직한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여기에 설명되어진다. 버팀대 조립체는 여러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참조하여 설명되어진다. "상부(top)", "하부(bottom)", "측면(side)" 및 그와 같은 상대적 또는 서술적 용어는 이 서술에 대한 참조 틀을 제공하기 위해 단지 사용되어진다. 여기에 기재된 기구들은 어떤 특별한 방향에서 장착될 수 있고, 그러므로 이들 용어의 사용은 어떤 방식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는다. 다른 상대적 또는 방향 용어가 여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용어는 도시된 특별한 방향의 맥락에서 사용되어지고, 실제 사용에서 예시된 방향으로 기구를 제한하는 것으로는 고려되지 않는다.
도 1은 버팀대 파이프일 수 있는 다른 파이프(14)와 관련하여 파이프(12)와 같이, 하중을 지지 또는 떠받치기 위하여 사용된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 또는 파이프 클램프 조립체(10)를 예시하고 있다. 버팀대 파이프(14)는 보(beam) 또는 천장(도시되지 않음)과 같이 적절한 지지 기구에 지지된 단부(14a)에서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새 파이프(12) 및 버팀대 파이프(14)는 서로에 거의 수직으로 향하여 있다. 예시된 장치에서, 버팀대 파이프(14)는 가새 파이프(12) 아래에서 연장한다. 그러나 다른 장치는 버팀대 파이프(14)가 가새 파이프(12) 위에서 연장하는 곳에서 예를 들어 또한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버팀대 파이프(14)의 자유 단부(14)는 버팀대 파이프(14)의 자유 단부(14b)로부터 위치 덧붙임(a location inset)에서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10)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거리를 가새 파이프(12)를 지나 연장한다. 삽입 크기는 적용 또는 현지 규정(application or local code)에 의해 변화하며, 그리고 하나의 장치에서 바람직한 덧붙임은 적어도 1인치이다.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10)는 서로 가새 파이프(12) 및 버팀대 파이프(140)를 고정한다. 예시된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10)는 케이블(18) 및 주 클램프 본체 또는 주 본체(20)를 포함한다. 주 본체(20)는 버팀대 파이프(14)에 고정될 수 있고, 케이블(18)은 가새 파이프(12) 주위에 둥글게 만들거나 싸여질 수 있게 하고, 주 본체에 부착될 수 있다. 아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케이블(18) 및/또는 주 본체(20)는 가새 파이프(12) 주위의 케이블(18)을 인장하여 조정되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10)는 케이블(18)의 중간 부분과 같이, 케이블(18) 부분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케이블 멈춤부(22)를 포함한다. 예시된 장치에서, 케이블 멈춤부(22)는 주 본체(20)에 의해 정의되어진다. 즉,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멈춤부(22)와 주 본체(20)는 단일체 기구, 또는 단일 피스 재료로부터 구성되어진다. 그러나 다른 장치에서, 케이블 멈춤부(22)는 주 본체(20)로부터 분리 및/또는 주 본체(20)에 부착되어질 수 있다. 예시된 케이블 멈춤부(22)는 케이블(18)을 수용하는 슬롯 또는 홈(24)을 정이하도록 주 본체(20)의 다른 부분과 협력하는 후크의 형태에 있다.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10)는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10)와 관련하여 케이블(18) 부분을 고정할 수 있는 케이블 앵커(26)를 또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된 장치에서, 케이블 앵커(26)는 케이블(18)이 케이블 멈춤부(22)와 케이블 앵커(26) 사이에서 인장되어질 수 있게 주 본체(20)에 케이블(18) 부분을 고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앵커(26)는 주 본체(20)의 협력 개구부(30)(도 2)를 통과하는 체결요소(28)를 포함한다. 체결요소(28)는 축 부분(28a), 헤드 부분(28b) 및 나사 단부 부분(28)을 갖는다. 너트(32)는 나사 단부 부분(28)과 결합한다. 헤드 부분(28b) 및/또는 너트(32)는 개구부(30) 주위 또는 인접하는 주 본체(20)의 표면(34)에 케이블(18) 부분을 클램프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래 및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부분(28b) 및 너트(32)는 주 본체(20)에 케이블(18)을 클램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시된 장치에서, 체결요소(28)는 축 부분(28a)을 통과하는 반경 방향에 한 쌍의 슬롯(36)을 포함한다. 슬롯(36)은 케이블(18)이 슬롯(36)을 통과하여 지나가는 것을 허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롯(36)은 슬롯(36) 내에서 케이블(18)이 축 방향에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축 부분(28a)의 축 방향에서 적어도 어느 정도 길어져 있다. 그래서 케이블(18) 부분은 슬롯(36) 각각을 통과하여 연장하고, 헤드 부분(28b) 또는 너트(32)와 주 본체(20)의 표면(34) 사이에서 클램프 된다. 대안적으로, 슬롯(36)은 제외될 수 있고, 케이블(18)은 축 부분(28a)의 옆을 통과할 수 있다. 선택적 와셔(38)가 케이블(18)을 클램핑하는 추가 표면 영역을 제공하고, 주 본체(20)에 케이블(18)을 클램프 하도록 체결요소(28)와 관련하여 회전되어지도록 케이블(18)에 너트(32)가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너트(32)와 케이블(18) 사이에 개재되어질 수 있다. 너트는 한번 적절한 토크 수준에 도달하면, 공구 결합 부분(32a)이 너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개방 토크(torque-off)"의 설계일 수 있다. 그런 장치는 너트(32)가 적절한 토크 레벨로 단단히 고정되어온 것의 단순 검증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주 본체(20)는 파이프 지지 표면(a pipe support surface)(42)을 정의하는 파이프 지지 부분(a pipe support portion)(40)을 포함한다. 파이프 지지 표면(42)은 인장 케이블(18)에 의해 떠받쳐질 때 기대어지도록 가새 파이프(12)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 본체(20)와 관련하여 위치되어진다. 예시된 실시 예에서, 파이프 지지 부분(40)은 버팀대 파이프(14)와 관련하여 케이블 멈춤부(22)로부터 주 본체(20)의 대향 측면에 위치되어진다. 즉, 예시된 실시 예에서, 케이블 멈춤부(22)는 일반적으로 버팀대 파이프(14) 아래에 있고, 파이프 지지 부분(40)은 버팀대 파이프(14) 위에 일반적으로 있다.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앵커(26)는 파이프 지지 표면(40)처럼 주 본체와 같은 측면(버팀대 파이프(14) 위에, 예시된 실시 예)에 위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파이프 지지 부분(40)은 가새 파이프(12)의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에서 길어져 있고, 버팀대 파이프(14)의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파이프 지지 부분(40)은 최소 선형 크기 또는 가새 파이프(12)의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에서 길이 LP를 정의한다. 바람직하게는, 케이블(18)이 인장될 때 파이프 지지 표면(42)이 가새 파이프의 중요한 찌그러짐(denting) 또는 변형을 피하고 케이블(18)에 의해 적용되는 하중을 펼치도록 가새 파이프(12)에 충분한 접촉 영역을 제공하게 LP의 최소 크기가 선택되어진다. LP의 요구되는 최소 크기는 의도된 가새 파이프(12)의 타입, 재료 또는 벽두께와 같은 특별한 적용에 의존하여 변화할 수 있다. LP의 최소 크기는 케이블(18) 또는 케이블 앵커(26)와의 간섭, 과도한 비용 또는 다른 실질적인 고려사항들을 피하는 것과 같이 관련 인자들을 강조하여 바라던 대로 선택되어질 수 있다.
일부 장치에서, 파이프 지지 표면(42)은 적어도 하나의 축 주위에 곡선으로 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주 본체(20)와 관련하여 횡 방향(a lateral direction)에서 연장하는 축 주위에 곡선으로 되거나, 또는 가새 파이프(12)의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아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 예에서, 주 본체(20)는 파이프 지지 표면(42)이 가새 파이프(12)의 외부 표면에 대해 이동 또는 미끄러지게 회전축 주위에 회전되어진다. 파이프 지지 표면(42)의 곡선 형상은 가새 파이프(12)의 손상 없이 가새 파이프(12)와 관련하여 파이프 지지 부분(4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부가하여, 곡선 형상은 파이프 지지 부분(40)이 다양한 버팀대 파이프 사이즈 또는 직경에 대한 적절한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파이프 지지 표면(42)은 주 본체(20)에 대해 일반적으로 기울거나, 비스듬하거나 또는 각도를 이루고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파이프 지지 표면(42)의 상부 부분은 버팀대 파이프(14)의 축 방향에서 파이프 지지 표면(42)의 하부 부분으로부터 상쇄되어진다. 예시된 장치에서, 파이프 지지 표면(42)의 상부 부분은 주 본체(20)에 상대적으로 더 가깝고, 파이프 지지 표면(42)의 하부 부분은 주 본체(20)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멀다. 그러나 다른 장치에서, 이 방향은 뒤바뀔 수 있다. 주 본체(20) 또는 버팀대 파이프(14)의 축과 가새 파이프(12)의 축의 양쪽에 수직인 축에 대해 파이프 지지 표면(42)의 비스듬하거나 기운 각도 Θ는 평면 또는 실질적으로 평면 표면 형상의 경우에는 직접적으로 측정되거나 또는 예시된 곡선표면 형상에서 표면에 접하는 명편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측정되어질 수 있다. 예시된 장치에서, 웨브(a web)(44)는 주 본체(20)의 나머지 부분과 관련하여 파이프 지지 부분(40)을 지지한다. 웨브(44)는 파이프 지지 부분(40) 보다 횡 방향에서 더 좁다. 그러나 다른 장치에서, 파이프 지지 부분(40)은 주 본체(20)의 나머지 부분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웨브(44)는 제외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10)는 또한 버팀대 파이프(14) 위에 바라던 위치에 주 본체(20)를 고정할 수 있는 클램프 장치(a clamp arrangement)(46)를 포함한다. 클램프 장치(46)는 하나 이상의 체결요소, 캠 장치, 클램프 장치, 또는 어떤 이들 조합 또는 다른 적절한 장치 또는 설비와 같이, 어떤 적절한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된 파이프 버팀대 장치(10)에서, 클램프 장치(46)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요소, 바람직하게는 단일 나사 체결요소(28)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체결요소(48)는 나사 축 부분(48a), 헤드 부분(48b) 및 단부 부분(48c)을 갖는다. 헤드 부분(48b)은 어떤 토크 레벨에서 축 부분(48a)으로부터 분리하도록 설계된 박리(a break-away) 또는 개방 토크(torque-off) 헤드일 수 있다. 감소된 직경 목(50)이 헤드 부분(48b)과 축 부분(48a) 사이에서 바라던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헤드 부분(48b)과 축 부분(48a)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단부 부분(48c)은 편평 단부, 오목 단부(cup-point) 꼬는 예시된 뾰족 단부(cone-point)와 같은 어떤 적절한 구성일 수 있다. 뾰족 단부 형상은 단부 부분(48c)이 체결요소(48)와 버팀대 파이프(14) 사이에서 간섭 결합을 일으키도록 버팀대 파이프9140의 외부 표면을 통과하는 것을 야기할 수 있고, 버팀대 파이프(14)에 주 클램프 본체의 클램프 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체결요소(48)는 주 본체(20)의 나사 개구부(52)와 결합한다. 바람직하게는, 나사 개구부(52)는 버팀대 파이프(14)의 축에 대해 반경 방향에 주 본체(20)를 통과하여 연장한다. 예시된 장치에서, 나사 개구부(52)는 케이블 멈춤부(22)로서 주 본체(20)와 같은 측면에 위치되어진다. 즉, 바람직하게는, 나사 개구부(52)는 주 본체(20)의 하부 부분을 관통한다.
바람직하게는, 주 본체(20)는 개구부(62)를 정의하는 환형부(60)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장치에서, 개구부(62)는 예시된 것처럼 수직 방향 또는 케이블 멈춤부(22)와 케이블 앵커(26) 사이 또는 클램프 장치(46)와 파이프 지지부(44)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연장하는 방향에서 길쭉하다. 환형부는 파이프 지지 부분(40)처럼 주 본체(20)와 같은 측에 파이프 지지 부분(40)과 제2 표면(60b)에 대향하는 제1 표면(60a)을 정의한다. 나사 개구부(52) 맞은편 환형부(60) 부분(section)은 주 본체(20)가 버팀대 파이프(14)에 고정되거나 또는 클램프될 때 버팀대 파이프와 접촉하는 접촉 표면 부분(64)을 정의한다. 접촉 표면 부분(64)은 주 본체(20)의 환형부(60)에 의해 정의된 제1 단부(64a)와 제2 단부(64b) 사이에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나사 개구부(52)는 버팀대 파이프(14)의 축에 평행한 방향에서 접촉 표면 부분(64)의 제1 단부(64a)와 제2 단부(64b)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쇄된다. 예시된 장치에서, 나사 개구부(52)는 접촉 표면 부분(64)의 제1 단부(64a)와 제2 단부(64b) 양쪽으로부터 상쇄된다. 바람직하게는, 나사 개구부(52)의 축은 전체 접촉 표면 부분(64)으로부터 상쇄되어진다.
예시된 장치에서, 나사 개구부(52)는 버팀대 파이프(14)의 축에 평행한 방향에서 환형부(60)로부터 돌출하는 주 본체(20)의 돌출 부분(66)에 위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돌출 부분(66)은 파이프 지지 부분(40)처럼 주 본체(20)로부터 같은 방향에서 도출하고, 파이프 지지 부분(40) 및/또는 케이블 앵커(26)로부터 버팀대 파이프(14)의 반대 측에 있다. 즉, 바람직하게는, 돌출 부분(66)은 주 본체(20)의 하부 부분에 위치되어 있다. 나사 개구부(52)는 돌출 부분(66)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나사 개구부(52)의 축은 돌출 부분(66)내에 위치되어진다. 돌출 부분(66)은 케이블 멈춤부(22)의 부분을 또한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5에서 분명한 것과 같이, 케이블 멈춤부(22)의 후크 형상의 단부 표면은 환형부(60)의 표면(60a) 뒤에 위치되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10)는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10) 내에 사용될 수 있는 버팀대 파이프(14)의 사이즈의 조정을 허용하는 버팀대 파이프 사이즈 조정 장치(70)를 또한 포함한다. 예시된 장치에서, 버팀대 파이프 사이즈 조정 장치(70)는 두 개의 다른 버팀대 파이프(14)의 사이즈 사이에서 변화되는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10)를 가능하게 한다. 예시된 버팀대 파이프 사이즈 조정 장치(70)는 주 본체(20)를 통과하는 횡 방향에서 연장하고 개구부(62)로 통하는 나사 개구부(64)와 나사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나사 체결요소 또는 센터링 볼트(centering bolts)(72)를 포함한다. 볼트(872)는 체결요소(72)의 부분이 주 본체(20)의 개구부(62)로 연장하게 나사 개구부(74)로 끼워 넣어질 수 있다. 그렇게 위치 될 때, 체결요소(72)의 단부 부분은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10)가 제1 사이즈 또는 직경을ㄹ 가진 버팀대 파이프(14)와 함께 사용될 수 있도록 개구부(62)의 직경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체결요소(72)는 개구부(62) 내에서 횡 방향에서 버팀대 파이프(14)를 중심에 두게 된다. 체결요소(72)는 체결요소(72)의 단부 부분이 더 이상 개구부(62) 내에 존재하지 않도록 나사 개구부(74)로부터 또한 수축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이 방향에서,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10)는 제1 사이즈 또는 직경을 가진 버팀대 파이프(14)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10)는 1인치(1") 또는 1과1/4인치(1ㅇ1/4") 버팀대 파이프(14)를 클램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 본체(20)는 나사 개구부(74)를 둘러싸고, 체결요소(72)의 헤드 부분에 대한 접촉(예를 들어, 편평한) 표면을 제공할 수 있는 보스(bosses)(76)를 포함할 수 있다.
주 본체(20)는 단조, 주물, 주형, 금형 또는 기계가공과 같은 적절한 공정에 의해 금속, 플라스틱 또는 복합재료와 같은 적절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장치에서, 주 본체(20)는 연성철 재료로부터 주조되어진다. 주 본체(20)가 단일 피스로 비록 예시되어 있어도, 분리된 부품의 조립으로부터 주 본체(20)를 구성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환형부(60)는 케이블 앵커(26), 케이블 멈춤부(22) 및 파이프 지지부(40)를 정의하는 하나 이상의 부품 재료로부터 분리하는 하나 이상의 부품 재료로부터 구성되어질 수 있다. 하나의 장치에서, 주 본체(20)는 전체 높이에서 약 3.934 인치와 폭에서 약 2.326 인치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개구부(62)는 약 1.91 인치의 수직(예시처럼) 크기와 약 1.69 인치의 횡 방향 또는 수평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환형부(60)의 벽두께는 약 0.318 인치이다 홈 또는 슬롯(24)은 약 0.202 인치의 높이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개구부(30) 및 파이프 지지 표면(42)의 하나 또는 양쪽은 약 1.080인치의 횡 방향 크기(파이프 지지 표면(42)의 경우에 LP)를 가질 수 있다. 파이프 지지 표면(42)의 각 Θ는 약 15-20도 사이 또는 약 18.49 또는 18.5도이다. 이런 크기를 가진 주 본체(20)는 1 또는 1과1/4 인치 버팀대 파이프(14)와 약 1 내지 4 인치 버팀대 파이프의 의도된 적용에 적절하다. 그러나 다른 크기가 다른 적용에서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진다.
케이블(18)은 미리 늘어난, 아연 도금 항공기 케이블이 바람직하다. 케이블(18)은 멀티 필라멘트 또는 단일 필라멘트 케이블이다. 게다가, 인장에 놓일 수 있는 다른 적절하게 길게 늘어나는 부재, 예를 들어 복합섬유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케이블(18)은 가새 파이프(12)의 크기 및/형상에 따르도록 그의 길이 일부분 또는 전부를 따라 유연하다. 케이블(18)은 일반적으로 둥근 단면을 가지거나 또는 스트랩같이, 편평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다. 그래서 용어 케이블은 통상적 의미로 주어지는 넓은 범위의 용어인 것으로 의도되어지고, 상기에 기재된 실시 예 및 다른 적절한 장치들 모두를 포함한다.
예시된 장치에서, 케이블(18)의 중간 부분은 케이블 멈춤부(22)의 후크와 결합한다. 바람직하게는, 케이블(18)의 중심 부분은 케이블 멈춤부(22)와 결합한다. 케이블(18)은 버팀대 파이프(14)의 각 측면을 지나가고 가새 파이프(12) 주위를 둘러싼다. 케이블(18)의 각 단부는 주 본체(20)의 양 측면에서 체결요소(28)의 슬롯(36)의 하나를 통과한다. 케이블(18)의 단부는 케이블 단부 또는 덮개(78)에 의해서와 같이,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18)의 부분들은 케이블 앵커(26)에 의해 주 본체(20)에 대해 고정되어진다. 그래서 바람직하게는, 케이블(18)의 한 부분은 케이블 멈춤부(22)에서 케이블 앵커(26)까지 연장하고, 케이블(18)의 다른 부분은 멈춤부(22)에서 케이블 앵커(26)까지 연장한다. 예시된 장치에서, 케이블(18)의 부분들은 단일 케이블의 부분들이다. 그런 장치는, 케이블 단부 또는 커넥터들이 인장 상태에 있는 케이블 부분에 사용되는 장치와는 다르게, 케이블의 전체 강도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이점이 있다. 그러나 그런 케이블 및 케이블 부분은 어떤 적용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장치에서, 다수 케이블 부분들이 예를 들어, 케이블 멈춤부(22)와 케이블 앵커(26)의 각각에서 단부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적용에서, 단일 케이블이 케이블 멈춤부(22)와 케이블 앵커(26) 사이에서 연장하는 것에 사용될 수 있다. 그래서 케이블 멈춤부(22)는 또한 클램프를 조이도록 구성된 케이블 앵커의 형태에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주 본체(20)에 케이블을 고정한다.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10)를 장착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케이블(18)은 케이블 앵커(26)의 체결요소(28)가 관통한 각 단부와 함께 미리 설치되어, 케이블 단부는 케이블 단부(78)와 함께 고정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앵커(26)는 팽팽하게 고정되지 않고, 케이블(18)은 주 본체(20)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케이블(18)은 가새 파이프(12) 주위에 둥글게 만들거나 싸여질 수 있게 하고, 그 때 케이블 멈춤부(22)의 후크 주위에 둥글게 만들어지고, 홈(4)과 결합한다. 중앙 체결요소(72)는 사용된 버팀대 파이프(14)의 사이즈에 의존하여 제거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주 본체(20)는 그때 자유 단부(14b)로부터 바라던 위치에 버팀대 파이프(14)의 자유 단부(14b) 위에 미끄러져 위치되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파이프 지지 표면(42)은 가새 파이프(12)와 인접한다. 케이블(18)의 단부는 케이블(18)로부터 처짐을 제거하도록 당겨질 수 있고, 너트(32)는 케이블 앵커(26)가 주 본체(20)에 케이블(18)을 고정하도록 체결요소(28)에 팽팽하게 고정될 수 있다.
현 시점에서, 주 본체(20)는 버팀대 파이프(14)에 대해 각도를 가지거나 비스듬하게 되어있다. 예를 들어, 도 6a를 참조하면, 주 본체(20)는 버팀대 파이프(14)와 접촉하는 개구부(62)의 접촉 표면(64) 및 체결요소(48)의 단부(48c)와 함께 버팀대 파이프(14)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장치에서, 접촉 표면(64)의 제1 단부(64a)는 버팀대 파이프(14)와 접촉한다. 체결요소(48)는 단부(48c)가 개구부(62)로 더 이동되어지게 주 본체(20)에 대해 팽팽하게 고정되어질 수 있다. 체결요소(48)가 팽팽하게 고정되고, 주 본체(20)는 버팀대 파이프(14)에 대해 회전하고,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버팀대 파이프(14)에 수직인 조정 축 주위를 회전한다. 조정 축은 버팀대 파이프(14)와 주 본체(20)의 표면(64)(예를 들어, 표면 부분(64a)) 사이에서 접촉점을 통과하거나 버팀대 파이프(14)와 체결요소(48)(예를 들어, 단부(48c)) 사이에서 접촉점을 통과한다. 또는 조정 축은 표면(64)과 체결요소(48)의 단부(48c) 사이에 있는 어떤 위치에 위치되어진다. 즉, 표면(64)과 체결요소(640의 단부(48c)의 하나 또는 양쪽은 주 본체(20)의 회전 동안에 버팀대 파이프(14)에 대해 이동 또는 미끄럼 이동한다. 따라서 주 본체(20)의 회전은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10)와 버팀대 파이프(14) 사이에서 어떤 단일 접촉점 주위에서는 정확하게 있지 않는다.
도 6b 및 도 6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주 본체(20)의 회전은 버팀대 파이프(14)(예를 들어, 도 6a, 6b, 6c에서 아래)로부터 케이블 멈춤부(22)가 더 멀리 이동하고, 그리고 가새 파이프(912)로부터 더 멀리 이동한다. 부가하여, 케이블 앵커(26)는 버팀대 파이프(14)로 향하여 이동하고(예를 들어, 도 6a, 6b, 6c에서 아래), 가새 파이프로 향하여 이동한다. 케이블 멈춤부(22)와 케이블 앵커(26)의 결합 이동은 주 본체(20)와 버팀대 파이프(14)에 가새 파이프를 고정하도록 케이블(18)의 인장을 증가시키도록 작동한다. 즉, 케이블 멈춤부(22)와 케이블 앵커(26)의 하나 또는 양쪽의 이동은 케이블(18)에서 인장을 증가시키도록 작동한다. 그러나 일부 예에서, 케이블 멈춤부(22) 또는 케이블 앵커(26)의 하나의 이동은 케이블(18)에서 인장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는 방향에 있을 수 있고, 케이블 멈춤부(22) 및 케이블 앵커(26)의 다른 쪽의 이동이 보상이 있는 한, 케이블(18)의 인장에서 전체적인 증가의 결과가 된다.
유리하게는, 예시된 장치에서, 체결요소(48)의 조임은 버팀대 파이프(14)에 주 본체를 고정 또는 클램프와 케이블(18)에 인장을 주는 양쪽에 작용한다. 그래서 주 본체(20)의 클램프와 케이블(18)의 인장은 체결요소(48)의 조이는 단일 작용으로 동시에 일어난다. 상기에 기재된 장치가 그의 단순성, 비용 효율적 제조 및 빠른 장착에 바람직할지라도, 다른 장치가 버팀대 파이프(14)에 주 클램프 본체(20)의 체결 및 케이블(18)의 인장이 동시에 일어나거나 일어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주 본체(20)는 하나 이상의 체결요소 또는 다른 적적한 클램핑 장치에 의해 버팀대 파이프(14)에 클램프 될 수 있다.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10)는 케이블(18)에 인장을 주도록 이동되어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이동 가능한 인장 부재 또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핑 장치는 클램프 및 인장이 단일 작용을 통하여 동시에 일어나게 인장 부재를 운반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상호 작용하게 한다. 그러나 다른 장치에서, 클램프 및 인장 장치 또는 메커니즘은 완전히 분리되어 있을 수 있고, 클램프 및 인장은 분리된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케이블(18)의 분리된 부분 또는 단부 또는 다른 인장 부재가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110)의 분리된 구성부품에 고정될 수 있고, 고정된 부분/단부 사이에 케이블(18)의 한 부분/인장 부재에 인장을 주기위하여 하나 또는 양쪽이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비록 어떤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예의 내용으로 개시되어 있을지라도, 본 발명은 특별하게 기재된 실시 예를 넘어 다른 대안적 실시 예 및/또는 발명의 사용 및 자명한 수정 및 그들의 동등 물로 확대하는 것은 관련 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어질 것이다. 특히, 현재의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가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내용으로 기재되어오는 동안에, 당업자는 본 발명의 관점에서 시스템의 어떤 이점, 특징 및 모습들이 상기에서 많이 언급된, 다양한 다른 적용들에서 실현되어질 것이라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부가적으로, 기술된 발명의 여러 가지 모습 및 특징들이 독립적으로 실행되고, 함께 결합되어, 또는 서로 대체되어질 수 있는 것이 고려되고, 그리고 특징 및 모습들의 다양한 조합 및 부분 조합(subcombinations)이 만들어지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그래서 여기에 개시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 기재된 특별한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청구항들의 올바른 해석에 의해 당연히 결정되어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Claims (20)

  1. 버팀대 파이프에 대해 가새 파이프를 떠받치기 위한 버팀대 조립체에서, 상기 버팀대 조립체는,
    케이블;
    버팀대 파이프를 수용하는 개구부를 정의하는 환형부, 케이블의 제1 부분을 지지하는 케이블 멈춤부, 가새 파이프를 지지하는 파이프 지지 표면을 포함하는 주 본체;
    케이블이 제1, 2 부분 사이에서 인장 상태에 놓일 수 있게 주 본체에 케이블의 제2 부분을 고정하는 케이블 앵커;
    가새 파이프 주위의 케이블에 인장 및 파이프 지지 표면에 가새 파이프를 고정하도록 케이블 앵커에 케이블 멈춤부를 이동하도록 구성된 케이블 인장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대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블 멈춤부는 환형부의 제1 측면에 있고, 케이블 앵커는 제1 측면에 대향하는 환형부의 제2 측면에 있는 특징으로 하는 버팀대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파이프 지지 표면은 환형부의 제2 측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대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블 멈춤부는 후크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후크 기구와 주 본체는 단일 피스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블 앵커는 주 본체에서 개구부를 통과하는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는 볼트의 축 부분을 통과하는 반경 방향에서 한 쌍의 슬롯을 갖고, 케이블의 단부 부분은 각 슬롯을 통과하게 되고, 케이블은 볼트의 헤드 부분에 의해 주 본체에 고정되고, 너트는 볼트의 축과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대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블 인장 장치는 주 본체의 나사 개구부와 결합하는 체결요소를 포함하고, 나사 개구부는 주 본체의 개구부에 대해 반경 방향에서 연장하고, 고정 나사의 단부는 버팀대 파이프와 결합하고, 고정 나사는 케이블이 인장되어지게 버팀대 파이프에 수직인 축 주위의 주 본체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단단하게 고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대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파이프 지지 표면은 둥글고, 가새 파이프에 평행한 파이프 지지 표면 축 주위의 반경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대 조립체.
  9. 버팀대 파이프에 대해 가새 파이프를 떠받치기 위한 버팀대 조립체에서, 상기 버팀대 조립체는,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중간 부분을 가진 케이블;
    개구부를 통과하는 파이프 축을 따라 연장하는 버팀대 파이프를 수용하는 개구부를 정의하는 환형부, 파이프 축의 제1 측면에 위치되어 케이블의 중간 부분을 지지하는 케이블 멈춤부, 제1 측면과 대향하는 파이프 축의 제2 측면에 위치되어 가새 파이프를 지지하는 파이프 지지 표면을 포함하는 주 본체;
    축 부분과 헤드 부분을 가진 체결요소, 그리고 체결요소의 축 부분과 나사 결합하는 너트를 포함하고, 체결요소는 주 본체의 체결요소 통로에 의해 수용되고, 헤드 부분은 주 본체에 케이블의 제1 단부를 고정하고, 너트는 주 본체에 케이블의 제2 단부를 고정하는 케이블 앵커;
    나사 축 부분을 가지고 주 본체의 체결요소 통로에 의해 수용되는 인장 볼트; 를 포함하고,
    인장 통로는 파이프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에서 연장하고 주 본체의 환형부로부터 상쇄되고, 인장 볼트는 인장 통로의 축과 파이프 축 양쪽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그것에 의해 케이블의 중간 부분을 인장하는 조정 축 주위에 주 본체를 회전시키도록 인장 통로로 전진되고, 인장 볼트의 전진이 또한 버팀대 파이프에 주 본체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대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케이블 앵커는 파이프 축의 제2 측면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대 조립체.
  11. 제 9 항에 있어서,
    파이프 지지 표면은 둥글고 가새 파이프에 평행한 파이프 지지 표면 축 주위의 반경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대 조립체.
  12. 제 9 항에 있어서,
    케이블 멈춤부는 후크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대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후크 기구와 주 본체는 단일 피스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립체.
  14. 제 9 항에 있어서,
    케이블 앵커의 체결요소는 체결요소의 축 부분을 반경 방향에서 통과하는 한 쌍의 슬롯 개구부를 포함하고, 슬롯 개구부의 쌍의 각각 하나는 케이블의 제1 및 제2 부분 중의 각 하나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립체.
  15. 제 9 항에 있어서,
    환형부의 개구부는 제1 직경을 가진 버팀대 파이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주 본체는 개구부에 대해 반경 방향에서 연장하는 한 쌍의 나사 조정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버팀대 조립체는 나사 조정 개구부의 쌍과 결합하는 한 쌍의 고정 나사를 더 포함하고, 버팀대 조립체가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가진 버팀대 파이프와 작동할 수 있게 개구부의 사이즈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키도록 개구부로 연장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립체.
  16. 제 9 항에 있어서,
    케이블은 미리 늘어난 아연 도금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립체.
  17. 제 9 항에 있어서,
    파이프 지지 표면은 가새 파이프의 축을 따른 방향에서 적어도 약 1인치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립체.
  18. 버팀대 파이프에 대해 가새 파이프를 떠받치기 위한 방법에서, 상기 방법은,
    가새 파이프 주위에 케이블 둘러싸며;
    클램프 본체에 케이블의 제1 부분을 고정하며;
    케이블의 중간 부분과 클램프 본체 사이에 가새 파이프로 클램프 본체 케이블의 제2 부분을 고정하며;
    클램프 본체와 버팀대 파이프를 결합하며, 그리고 케이블의 중간 부분에 인장을 주기 위하여 케이블의 제1 및 제2 부분의 하나 또는 양쪽을 이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케이블의 이동은 버팀대 파이프에 클램프 본체를 이동하는 것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클램프 본체의 이동과 동시에 클램프 본체를 버팀대 파이프에 고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47008325A 2011-09-21 2012-09-21 파이프 대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 KR201400840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239,170 US8800938B2 (en) 2011-09-21 2011-09-21 Pipe-to-pipe brace assembly
US13/239,170 2011-09-21
PCT/US2012/056623 WO2013044063A1 (en) 2011-09-21 2012-09-21 Pipe-to-pipe brace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008A true KR20140084008A (ko) 2014-07-04

Family

ID=46970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8325A KR20140084008A (ko) 2011-09-21 2012-09-21 파이프 대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8800938B2 (ko)
EP (1) EP2758617B1 (ko)
JP (1) JP6130381B2 (ko)
KR (1) KR20140084008A (ko)
CA (1) CA2849092A1 (ko)
CL (1) CL2014000703A1 (ko)
MX (1) MX352779B (ko)
PE (1) PE20141287A1 (ko)
TW (1) TWI500871B (ko)
WO (1) WO201304406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858B1 (ko) 2015-06-04 2016-07-22 주식회사 신흥밸브 분배기용 절연 지지클램프
KR20170023940A (ko) * 2014-07-11 2017-03-06 쿠퍼 테크놀로지스 컴파니 파이프 구속 장치
KR102163590B1 (ko) * 2020-08-03 2020-10-08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진동감쇄 및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복합소재 구동축과 커플링부의 결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79620T3 (es) * 2011-09-16 2014-07-24 Cmp Products Limited Aparato que retiene cable
US8800938B2 (en) 2011-09-21 2014-08-12 Cooper B-Line, Inc. Pipe-to-pipe brace assembly
DE102011085793A1 (de) * 2011-11-04 2013-05-08 Airbus Operations Gmbh Halterungsvorrichtung zum Haltern eines Kabels oder einer Leitung an einer Strukturkomponente eines Luft- oder Raumfahrzeugs sowie Luft- oder Raumfahrzeug
US9341304B2 (en) * 2014-03-08 2016-05-17 Pall Corporation Modular filtration frame assembly
TWI568963B (zh) * 2015-01-15 2017-02-01 洪正清 可調式夾具
US9897122B2 (en) 2015-05-22 2018-02-20 Goodrich Corporation Attachment of composite lug to composite structural tube
GB2541980B (en) 2015-09-02 2018-02-07 Romax Tech Limited Bearing compression strap
FI3514434T3 (fi) * 2018-01-19 2024-04-05 Georg Fischer Wavin Ag Putkipuristin
CN108692105A (zh) * 2018-05-29 2018-10-23 保定天威保变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大型电力变压器冷却联管的调整锁紧固定方法及装置
US10605382B2 (en) 2018-08-21 2020-03-31 Anvil International, Llc Fitting for concentrically loading a brace member
US10816108B2 (en) * 2018-08-30 2020-10-27 Anvil International, Llc Adjustable fitting assembly
CN111946950A (zh) * 2020-08-13 2020-11-17 上海宝舶科技有限公司 一种自清洗高浓度臭氧发生器
US11725751B2 (en) * 2020-08-19 2023-08-15 ASC Engineered Solutions, LLC Brace pipe attachment mechanism
CN112160954B (zh) * 2020-08-21 2021-10-08 成都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环形卡箍同步紧固装置
CN113250438A (zh) * 2021-04-27 2021-08-13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装配组件
US11944084B1 (en) * 2023-09-01 2024-04-02 G. Theodore Norbits Post mounted item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11035A (en) * 1946-12-21 1950-06-13 Barton Percy Charles Coupling or fastening for scaffolding and like poles
US2749068A (en) * 1953-02-12 1956-06-05 Albert J Wayman Hanger clamps
US2847237A (en) * 1953-07-02 1958-08-12 Ackerman Paul Isidor Coupling for piping sections
US3107932A (en) * 1962-01-29 1963-10-22 Up Right Inc Single screw lock connection for structural members
US3445081A (en) * 1967-01-17 1969-05-20 Midland Ross Corp Conduit clamp support
US3888446A (en) * 1974-04-02 1975-06-10 Valmont Industries Pole mounting bracket attachment
DE7532744U (de) 1975-10-15 1976-04-29 Baumann, Wolfgang, 7958 Laupheim Haltevorrichtung
US5651633A (en) * 1995-04-20 1997-07-29 Howe; Robert H. Tent pole fastener comprising clip and attached flexible tie
US5598995A (en) * 1995-09-14 1997-02-04 Triad Metal Fabricators, Inc. High strength clamp assembly with flexible straps and method of using same
US5921517A (en) * 1997-03-10 1999-07-13 Offshore Clamp & Protector Technologies, Inc. Ultra high strength clamp assembly
US5904445A (en) * 1997-06-16 1999-05-18 Offshore Clamp & Protector Technologies, Inc. Umbilical line stand-off assembly for marine riser assembly
FR2768473B1 (fr) * 1997-09-18 1999-12-03 Cogema Dispositif d'assemblage entre deux tubes
KR19980059451U (ko) * 1998-07-06 1998-10-26 박상목 파이프 체결구
US6612526B2 (en) * 2001-01-22 2003-09-02 Offshore Clamp & Protector Technologies, Inc. High strength buoyant clamp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same
US6561473B1 (en) * 2001-03-30 2003-05-13 Pirod, Inc. Universal pipe mounting clamp and assembly
KR100975571B1 (ko) * 2004-05-28 2010-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배관 고정 장치
FR2908177B1 (fr) 2006-11-08 2009-02-06 Hellermanntyton Soc Par Action Collier double de serrage et procede de montage
TWM316354U (en) * 2007-02-12 2007-08-01 U Pro Fittings Inc Adjustable clamping device
WO2009094302A2 (en) * 2008-01-21 2009-07-30 Erico International Corporation Universal structural attachment for seismic brace
US8070113B1 (en) * 2009-03-30 2011-12-06 Automatic Fire Control, Incorporated Sway brace
DE102009019468A1 (de) 2009-05-04 2010-11-25 Waldemar Rothe Verbindungselement für Rohre, Verfahren zum Verbinden von Rohren und Verwendung des Verbindungselementes
US8800938B2 (en) 2011-09-21 2014-08-12 Cooper B-Line, Inc. Pipe-to-pipe brace assembl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3940A (ko) * 2014-07-11 2017-03-06 쿠퍼 테크놀로지스 컴파니 파이프 구속 장치
KR101641858B1 (ko) 2015-06-04 2016-07-22 주식회사 신흥밸브 분배기용 절연 지지클램프
KR102163590B1 (ko) * 2020-08-03 2020-10-08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진동감쇄 및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복합소재 구동축과 커플링부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E20141287A1 (es) 2014-09-17
US9261205B2 (en) 2016-02-16
JP2014532129A (ja) 2014-12-04
US20130068900A1 (en) 2013-03-21
TWI500871B (zh) 2015-09-21
US8800938B2 (en) 2014-08-12
EP2758617A1 (en) 2014-07-30
EP2758617B1 (en) 2016-08-24
MX2014003262A (es) 2015-03-05
CA2849092A1 (en) 2013-03-28
WO2013044063A1 (en) 2013-03-28
US20140191091A1 (en) 2014-07-10
CL2014000703A1 (es) 2015-04-24
TW201326626A (zh) 2013-07-01
JP6130381B2 (ja) 2017-05-17
MX352779B (es)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84008A (ko) 파이프 대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
US20100303543A1 (en) Wedge clamp
US9553544B2 (en) Support racking for solar panel
US8726607B1 (en) Sway brace assembly and method of restraining pipe relative to a building structure
US10746324B1 (en) Cable brace bracket, system, and method of cable bracing
US7926788B2 (en) Conduit attachment system for a cable puller
SE513164C2 (sv) Monteringsfäste
KR101622663B1 (ko) 파이프 용접용 회전 균형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용접방법
US7216848B2 (en) Conduit attachment system for a cable puller
US10393290B2 (en) Clamp for circular objects
US9683681B2 (en) Lateral sway brace
CA2384042C (en) Pipe clamp arrangement
KR20140035100A (ko) 빔 클램프
KR20160019930A (ko) 파이프 클램프
US7603752B2 (en) Compression or expansion mountable support band
KR101985475B1 (ko) 케이블 트레이용 전선관 고정장치
JP5719188B2 (ja) ブレース取付金具および天井構造
JP7240852B2 (ja) 建物内の非構造部品用耐震クランプ
JP2881281B2 (ja) ケーブル中間部の締結用クランプ構造
JP3058917U (ja) 束金物
RU156593U1 (ru) Узел крепления трубостойки антенно-фидер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на поясе металлической решетчатой опоры
KR20190125699A (ko) 파이프 클램프
KR102107050B1 (ko) 내진 와이어 고정장치
US11187353B1 (en) Strut channel mounting clip
JP2004156256A (ja) 排水集合管支持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