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2657B1 - 인장재의 정착구 - Google Patents

인장재의 정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2657B1
KR100892657B1 KR1020080079413A KR20080079413A KR100892657B1 KR 100892657 B1 KR100892657 B1 KR 100892657B1 KR 1020080079413 A KR1020080079413 A KR 1020080079413A KR 20080079413 A KR20080079413 A KR 20080079413A KR 100892657 B1 KR100892657 B1 KR 100892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e head
cone
tension member
cable
circumferentia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현균
Original Assignee
(주) 코리아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리아에스이 filed Critical (주) 코리아에스이
Priority to KR1020080079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6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4Cable-stayed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에 사용되는 복수 개의 인장재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인장재를 고정하는 정착구로써, 외주면에 상기 각 인장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외주홈이 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콘 헤드; 및 상기 제1 콘 헤드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 상기 제1 콘 헤드의 외주홈에 대응하는 내주홈이 형성되는 제2 콘 헤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콘 헤드의 외주홈과 상기 제2 콘 헤드의 내주홈 사이에는 상기 인장재의 끝단이 위치하여 상기 인장재가 축 방향으로 장력을 받는 경우 상기 인장재가 상기 제1 콘 헤드와 상기 제2 콘 헤드 사이에 압착 고정된다.
사장교, 인장재, 장력, 헤드, 정착구

Description

인장재의 정착구 {DEVICE FOR FIXING CABLES}
본 발명은 인장재의 정착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장교와 같은 교량에 사용되는 케이블의 끝단을 마찰력에 의해 고정하여 케이블을 고정하는 정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장재인 케이블은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통상, 케이블을 이용하여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물로는 체육관 등과 같은 건물, 교량 등이 있다. 특히, 케이블이 사용되는 교량으로는 현수교, 아치교, 사장교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장교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케이블이 사용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장교(10)는 중앙에 설치되는 주탑(11), 양단에 설치되는 교각(12), 교각(12) 위에 설치되는 상판(13) 및 주탑(11)과 상판(13)을 연결하여 상판(13)의 하중을 지지하는 케이블(14)로 구성된다. 케이블(14)의 끝단과 상판(13) 사이에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고정구(15)가 설치된다.
종래의 케이블 고정구(15)는 콘 형태의 쐐기 부재와 소켓 부재 사이에 케이 블(14)을 위치하여 케이블(14)이 장력을 받는 경우, 케이블, 쐐기 부재 및 소켓 부재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케이블의 끝단을 고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 고정구(15)는 케이블과 직접 접촉하는 쐐기 부재 및 소켓 부재의 면적이 작아 마찰력이 감소하여 케이블의 고정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교량의 대규모화로 인하여 멀티 케이블의 사용이 증가하게 있는데, 종래의 케이블 고정구는 멀티 케이블에 적용되는 경우 현장에서 직접 설치하는 것이 어려워 설치 작업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물에 사용되는 복수 개의 인장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마찰력을 최대화시킬 수 있으며, 케이블의 고정 설치작업이 용이한 인장재의 정착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의 정착구는 교량에 사용되는 복수 개의 인장재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인장재를 고정하는 정착구로써, 외주면에 상기 각 인장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외주홈이 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콘 헤드; 및 상기 제1 콘 헤드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 상기 제1 콘 헤드의 외주홈에 대응하는 내주홈이 형성되는 제2 콘 헤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콘 헤드의 외주홈과 상기 제2 콘 헤드의 내주홈 사이에는 상기 인장재의 끝단이 위치하여 상기 인장재가 축 방향으로 장력을 받는 경우 상기 인장재가 상기 제1 콘 헤드와 상기 제2 콘 헤드 사이에 압착 고정된다.
또한, 인장재의 정착구는 상기 제2 콘 헤드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3 콘 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콘 헤드의 외주면에는 축 방향으로 외주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3 콘 헤드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 콘 헤드의 외주홈에 대응하는 내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주홈과 내주홈은 상기 인장재의 외면에 대응하여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주홈과 내주홈이 마주하면 원형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콘 헤드의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콘 헤드의 관통공에는 축 방향으로 절개된 중심콘이 삽입되어 중앙에 위치하는 인장재를 압착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콘 헤드의 일측에는 인장재를 감싸는 보호관이 형성되고, 상기 제3 콘 헤드의 타측에는 외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장력 조절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장재의 정착구는 케이블의 개수에 맞는 홈을 구비하여 케이블과 정착구 사이의 접촉 면적을 확대하여 케이블의 장력시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대로 함으로써 케이블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케이블의 설치 작업이 용이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의 정착구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의 정착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의 정착구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케이블이 삽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의 정착구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의 정착구(100)는 중심콘(110), 상기 중심콘(110)이 삽입되는 제1 콘 헤드(120), 상기 제1 콘 헤드(120)가 삽입되는 제2 콘 헤드(130) 및 상기 제2 콘 헤드(130)가 삽입되는 제3 콘 헤드(140)를 포함한다.
중심콘(110)은 중앙에 위치하는 케이블(심선)이 삽입되는 관통공(111)이 형성되고, 축 방향으로 절개홈(112)이 형성되어 2개의 조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절개홈(112)에 의해 중심콘(110)을 분리한 것은, 케이블이 삽입된 중심콘(110)이 제1 콘 헤드(120)에 삽입되어 압축 고정될 때, 케이블을 좀더 강하게 압착하기 위함이다.
제1 콘 헤드(120)는 중앙에 중심콘(110)이 삽입되는 관통공(121)이 형성된다. 제1 콘 헤드(120)의 외주면에는 케이블의 일부가 삽입되는 외주홈(122)이 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주홈(122)은 케이블의 개수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외주홈(122)의 형상은 케이블의 외형에 대응하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케이블과 제1 콘 헤드(120)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외주홈(122)의 형상은 반원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타원형, 사각형 등 케이블의 외형, 작업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2 콘 헤드(130)는 중앙에 상기 제1 콘 헤드(120)가 삽입되는 관통공(131)이 형성된다. 제2 콘 헤드(13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콘 헤드(120)의 외주홈(122)에 대응하는 위치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주홈(132)이 형성된다. 이에 따 라, 제1 콘 헤드(120)가 제2 콘 헤드(130)에 삽입되면, 제1 콘 헤드(120)의 외주홈(122)과 제2 콘 헤드(130)의 내주홈(132)이 마주보게 되어, 대략 원형의 제1 삽입공(H1)이 형성된다. 이 제1 삽입공(H1)에 케이블이 삽입된다.
제2 콘 헤드(130)의 외주면에도 케이블의 일부가 삽입되는 반원형 외주홈(133)이 형성된다.
제3 콘 헤드(140)의 중앙에는 상기 제2 콘 헤드(130)가 삽입되는 관통공(141)이 형성된다. 제3 콘 헤드(14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 콘 헤드(130)의 외주홈(133)에 대응하는 위치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주홈(142)이 형성된다. 제2 콘 헤드(130)의 외주홈(133)과 제3 콘 헤드(140)의 내주홈(142)도 서로 마주보게 되어, 대략 원형의 제2 삽입공(H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의 정착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제1 삽입공(H1), 12개의 제2 삽입공(H2) 및 1개의 관통공(111) 즉, 총 19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19연선의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다.
도 4는 케이블(200)이 인장재의 정착구(100)에 삽입되어 압착된 모습을 보여준다. 한편, 삽입공(H1, H2)의 개수는 케이블의 개수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정착구가 4개의 콘 부재로 이루어졌으나, 케이블이 배열된 상태에 따라, 콘 부재의 개수는 증감될 수 있다. 즉, 케이블이 7연선인 경우, 제3 콘 헤드(140)는 제거될 수 있으며, 케이블이 19연선 이상인 경우는 제3 콘 헤드(140)가 삽입될 수 있는 제4 콘 헤드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의 정착구가 장착된 케이블의 끝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각각의 케이블(200)이 중심콘(110)의 관통공(111), 제1 콘 헤드(120)와 제2 콘 헤드(130) 사이 및 제2 콘 헤드(130)와 제3 콘 헤드(140) 사이에 위치한다. 이때, 케이블(200)에 일 방향(화살표 참조)으로 장력이 도입되면, 케이블(200), 중심콘(110), 제1 콘 헤드(120) 및 제2 콘 헤드(130)는 마찰력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콘 헤드(120)와 제2 콘 헤드(130) 사이의 간격 및 제2 콘 헤드(130)와 제3 콘 헤드(140) 사이의 간격이 점점 좁아지면서, 케이블(200)은 압착 고정된다.
즉, 케이블(200)은 제1 콘 헤드(120), 제2 콘 헤드(130) 및 제3 콘 헤드(140) 사이에 꽉 물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3 콘 헤드(140)의 일측에는 인장재를 감싸는 보호관(143)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제3 콘 헤드(140)의 타측에는 케이블(20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장력 조절관(144)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장력 조절관(144)에는 턴버클과 같은 공지의 구성이 연결되어 케이블(200)의 장력을 증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의 정착구는 각각의 콘 헤드에 홈을 형성하여 케이블을 압착 고정함으로써, 케이블의 고정력을 강화하고, 케이블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종래 케이블이 적용된 교량 중 사장교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의 정착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의 정착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케이블이 삽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의 정착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의 정착구가 장착된 케이블의 끝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Claims (5)

  1. 교량에 사용되는 복수 개의 인장재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인장재를 고정하는 정착구로써,
    관통공(111)이 형성되어 있고 축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관통공(111)으로 삽입되는 인장재를 압착 고정하는 중심콘(110);
    중앙에 상기 중심콘(110)이 삽입되는 관통공(121)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상기 각 인장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외주홈(122)이 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콘 헤드(120);
    상기 제1 콘 헤드(120)가 삽입되는 관통공(131)이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는 상기 제1 콘 헤드(120)의 외주홈(122)에 대응하는 내주홈(132)이 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는 상기 각 인장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외주홈(133)이 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콘 헤드(130); 및
    상기 제2 콘 헤드(130)가 삽입되는 관통공(141)이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는 상기 제2 콘 헤드(130)의 외주홈(133)에 대응하는 내주홈(142)이 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3 콘 헤드(140)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콘(110)의 관통공(111), 상기 제1 콘 헤드(120)의 외주홈(122)과 제2 콘 헤드(130)의 내주홈(132) 사이, 및 상기 제2 콘 헤드(130)의 외주홈(133)과 제3 콘 헤드(140)의 내주홈(142) 사이에 각각 인장재의 끝단이 위치하여 상기 인장재가 축 방향으로 장력을 받을 때, 상기 인장재의 끝단이 압착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의 정착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홈과 내주홈이 상기 인장재의 외면에 대응하여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주홈과 내주홈이 마주하면 원형을 이루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의 정착구.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콘 헤드의 일측에는 인장재를 감싸는 보호관이 형성되고, 상기 제3 콘 헤드의 타측에는 외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장력 조절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의 정착구.
KR1020080079413A 2008-08-13 2008-08-13 인장재의 정착구 KR100892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413A KR100892657B1 (ko) 2008-08-13 2008-08-13 인장재의 정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413A KR100892657B1 (ko) 2008-08-13 2008-08-13 인장재의 정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2657B1 true KR100892657B1 (ko) 2009-04-14

Family

ID=40757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413A KR100892657B1 (ko) 2008-08-13 2008-08-13 인장재의 정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265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751B1 (ko) 2009-04-14 2009-06-18 (주)성화건설산업 인장용 케이블 결합장치
KR20180002130A (ko) * 2016-06-28 2018-01-08 코스피 주식회사 인서트 웨지를 이용한 다층 케이블 정착 장치
KR101996758B1 (ko) * 2018-10-11 2019-07-04 에이치앤케이엔지니어링(주) 케이블 소켓 및 케이블 정착방법
CN110258299A (zh) * 2019-06-28 2019-09-20 柳州欧维姆机械股份有限公司 带叉耳锥式抗滑键锚固钢绞线拉索及其施工方法
KR102405376B1 (ko) 2021-06-30 2022-06-03 조남철 2중 정착 기능을 갖는 케이블 정착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0709U (ko) 1976-02-19 1977-08-23
JP3108967U (ja) * 2004-11-25 2005-04-28 株式会社テザックワイヤロープ コンクリート流入阻止具
KR100639601B1 (ko) * 2005-03-25 2006-10-31 김현원 케이블 고정장치
KR200436792Y1 (ko) 2007-08-10 2007-10-05 한우물중공업(주) 건축물의 케이블 고정용 패스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0709U (ko) 1976-02-19 1977-08-23
JP3108967U (ja) * 2004-11-25 2005-04-28 株式会社テザックワイヤロープ コンクリート流入阻止具
KR100639601B1 (ko) * 2005-03-25 2006-10-31 김현원 케이블 고정장치
KR200436792Y1 (ko) 2007-08-10 2007-10-05 한우물중공업(주) 건축물의 케이블 고정용 패스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751B1 (ko) 2009-04-14 2009-06-18 (주)성화건설산업 인장용 케이블 결합장치
KR20180002130A (ko) * 2016-06-28 2018-01-08 코스피 주식회사 인서트 웨지를 이용한 다층 케이블 정착 장치
KR101996758B1 (ko) * 2018-10-11 2019-07-04 에이치앤케이엔지니어링(주) 케이블 소켓 및 케이블 정착방법
CN110258299A (zh) * 2019-06-28 2019-09-20 柳州欧维姆机械股份有限公司 带叉耳锥式抗滑键锚固钢绞线拉索及其施工方法
CN110258299B (zh) * 2019-06-28 2024-02-06 柳州欧维姆机械股份有限公司 带叉耳锥式抗滑键锚固钢绞线拉索及其施工方法
KR102405376B1 (ko) 2021-06-30 2022-06-03 조남철 2중 정착 기능을 갖는 케이블 정착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657B1 (ko) 인장재의 정착구
KR20140017599A (ko) 지면 안정화 디바이스
KR101019013B1 (ko) 압축형 영구앵커
KR100793743B1 (ko) 영구앵커 조립체 고정공법 및 그 장치
JP2018526549A (ja) ケーブル係留システム
CN110747739B (zh) 一种球面万向机构夹片式锚具及其施工方法
KR20130127660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착지지체
KR20090129218A (ko) 강연선 연결 커플러
KR200436792Y1 (ko) 건축물의 케이블 고정용 패스너
JP2008007998A (ja) 斜張ケーブルの架設方法
KR100903751B1 (ko) 인장용 케이블 결합장치
KR20080006448U (ko) 강연선 클램핑용 웨지
KR200400693Y1 (ko) 그라운드 앵커용 내하체
KR100923421B1 (ko) 어스앵커의 강연선 고정구용 중심유지구
JP6993643B2 (ja) 定着構造及び定着方法
KR100471557B1 (ko) 그라운드 앵커의 인장재 고정 구조
CN212077624U (zh) 一种斜拉桥拉索的桥塔索鞍
KR101510514B1 (ko)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CN214362905U (zh) 一种转体桥梁设备
KR20200126844A (ko) 안전한 해체가 가능한 강연선 정착구조
RU193534U1 (ru) Крепе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ногопрядного троса
KR20210084917A (ko) 와이어 고정앵커
KR100395772B1 (ko) 토건구조물 고정을 위한 피시강선용 웨지
CN215950258U (zh) 一种多功能钢索安装夹具
CN210917013U (zh) 一种桥梁建设用斜拉索安装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