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3743B1 - 영구앵커 조립체 고정공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영구앵커 조립체 고정공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3743B1
KR100793743B1 KR1020070081253A KR20070081253A KR100793743B1 KR 100793743 B1 KR100793743 B1 KR 100793743B1 KR 1020070081253 A KR1020070081253 A KR 1020070081253A KR 20070081253 A KR20070081253 A KR 20070081253A KR 100793743 B1 KR100793743 B1 KR 100793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cupressure
anchor assembly
hole
permanent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종호
Original Assignee
(주)엠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케이 filed Critical (주)엠케이
Priority to KR1020070081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37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구앵커 조립체 고정공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형철근(20)과, 이형철근(20)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평행상태를 유지하는 복수의 강연선(22)이 구비되고, 사면에 형성된 천공홀(1)로 삽입되는 영구앵커 조립체(10)에 있어서, 상기 천공홀(1) 입구에 위치되고, 이형철근(20) 및 강연선(22)이 관통되는 제1지압판(30); 상기 제1지압판(30)과 일정 거리를 두고 위치되고, 이형철근(20) 및 강연선(22)이 관통되는 제1지압장치판(50); 상기 제1지압장치판(50)의 관통공(51)에 삽입되고 이형철근(20)과 나사 결합되는 몸체(42)와, 제1지압장치판(50)을 지지하는 머리부(44)가 구성된 인발부재(40); 상기 제1지압판(30)과 제1지압장치판(50) 사이에 간격유지 및 고정을 위한 간격유지구(35), 및 상기 제1지압판(30)을 관통하는 이형철근(20) 및 강연선(22)의 인장력을 지지하기 위한 웨지(34)가 포함되어 영구앵커 조립체 내의 강연선을 1차 및 2차로 각각 인발시켜 영구앵커 조립체 내의 강연선이 하중에 의하여 처지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영구앵커의 강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영구앵커, 지압판, 인발부재, 웨지, 이형철근, 강연선

Description

영구앵커 조립체 고정공법 및 그 장치{Method for Fixing Permanent Anchor Assembly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영구앵커 조립체에 구성되어 고정되는 강연선을 최대한 긴장시킨 상태에서 영구앵커 조립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영구앵커 조립체 고정공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앵커(Anchor)공법은 건설공사에서 발생되는 토압, 풍압, 수압, 지진력 등의 외력에 대응하는 앵커력으로 이용되거나 또는 구조체의 응력보강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주로 사면보호, 옹벽, 굴착면 앵커 및 양압력의 기초 앵커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에는 앵커설계 및 시공기술의 발달로 과밀하중이 작용하는 높은 타워나 교량기초 등에서 이용되고, 플랜트, 댐, 터널 등 모든 분야에서 적용 응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앵커공법에 적용되는 영구앵커는 사면 안정화를 위하여 사면 내부로 천공된 홀에 삽입되는 것으로, 영구앵커와 더불어 영구앵커 주변에는 복수의 강연선이 구비된다. 영구앵커는 이형철근 등이 적용되고, 강연선으로는 PC강연선 등이 적용된다.
앵커의 주요 구성요소로서 사면 내부로 천공되는 홀에 삽입되는 영구앵커는 사면 내부의 바닥 근처까지 위치하는 정착부(Fixed Anchor Length)와, 정착부로부터 사면의 표면까지 위치하는 자유부(Free Anchor Length), 그리고 사면 표면으로부터 영구앵커를 고정시키기 위한 두부(Anchor Head)로 나누어질 수 있다.
두부는 여유장이라고 하며 앵커에 발휘되는 높은 하중을 고정하기 위해서 필요하며 고정방식에 따라 표준형, 재긴장형, 긴장완화형이 있다. 표준형은 가장 많이 쓰이는 것으로 쐐기(Wedge)식 정착구이며, 일단 인장 완료후에 정착이 되면 재긴장이 나 긴장완화가 어려운 방식이다. 두부의 강종은 SMC45C를 사용하며, 쐐기는 SNCM 23(열처리)을 사용한다. 쐐기는 내부에 탭을 만들어 강연선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자유부는 자유장이라고 하며 인장력을 발휘하기 위해 주변 부착강도가 없도록 설치하는 부분을 말한다. 자유장은 강연선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필수이며, 천공홀에 따라 그 길이는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정착부는 정착장이라고도 하며, 자유장에 전달된 앵커력을 지반에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정착시키기 위한 공간이며, 최대의 마찰력을 얻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개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사면에 형성된 홀에 영구앵커 조립체가 삽입된 후에 사면에 영구앵커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영구앵커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강연선은 사면의 외부에서 최대한 인발시켜 긴장시킨 다음에 홀 내부에 모르타르를 채워 넣은 후에 굳히게 되고, 또한, 사면의 표면 위로 노출된 영구앵커를 포함한 복수의 강연선은 지압판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종래에 영구앵커 조립체를 사면 내부로 삽입하여 고정하면서 대부분 사면과 직각 또는 비스듬한 각도로 천공홀을 형성하게 되고, 천공홀 내에 영구앵커를 삽입하게 되면 영구앵커 주변에 구성된 소정 길이를 갖는 복수의 강연선은 하중에 의하여 처짐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천공홀의 바닥부분에 위치하는 영구앵커의 정착부로부터 자유부를 거쳐 사면 표면의 두부까지 강연선이 연결됨으로서 강연선은 하중에 의한 처짐이 발생하는 것이다. 강연선의 하중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자유부 사이에 강연선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지만, 고정부재 사이에서 강연선의 처짐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모르타르를 채워 영구앵커를 고정시키면 강연선이 하중에 의하여 처진 상태에서 모르타르와 굳어져 버려 강연선은 영구앵커와 평행한 직선방향으로 인장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에 사면의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사면 내부에 영구앵커 조립체를 삽입하여 고정하면서 여유부가 위치하는 부분의 강연선이 최대한 인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영구앵커 조립체 고정공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형철근과, 이형철근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평행상태를 유지하는 복수의 강연선이 구비되고, 사면에 형성된 천공홀로 삽입되는 영구앵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천공홀 입구에 위치되고, 이형철근 및 강연선이 관통되는 제1지압판; 상기 제1지압판과 일정 거리를 두고 위치되고, 이형철근 및 강연선이 관통되는 제1지압장치판; 상기 제1지압장치판의 관통공에 삽입되고 이형철근과 나사 결합되는 몸체와, 제1지압장치판을 지지하는 머리부이 구성된 인발부재; 상기 제1지압판과 제1지압장치판 사이에 간격유지 및 고정을 위한 간격유지구, 및 상기 제1지압판을 관통하는 이형철근 및 강연선의 인장력을 지지하기 위한 웨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영구앵커 조립체 고정장치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은 (a) 사면 안정화를 위한 사면에 천공홀을 형성한 후에 영구앵커 조립체를 삽입하는 단계; (b) 상기 천공홀 내부로 모르타르를 투입하여 양생시키는 단계; (c) 상기 천공홀 입구에 이형철근 및 강연선이 관통되는 제1지압판을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제1지압판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제1지압장치판, 인발부재 및 간격유지구를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이형철근에 나사 결합된 인발부재를 회전시켜 제1지압장치판 및 간격유지구를 통해 강연선을 1차적으로 인발하여 긴장시킨 상태에서 제1지압판에 웨지를 삽입하는 단계; (f) 상기 제1지압판과 제1지압장치판이 충분히 덮어질 수 있도록 천공홀이 형성된 사면까지 일정 두께로 콘크리트구체를 포설하는 단계; (g) 상기 콘크리트구체 상부로 노출된 이형철근 및 강연선이 관통되는 제2지압판을 설치하고 인발장치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일정한 인장강도로 긴장시킨 상태에서 제2지압판에 웨지를 삽입하는 단계; 및 (h) 상기 제2지압판 상부로 노출된 이형철근 및 강연선을 보호캡으로 덮어씌워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앵커 조립체 고정공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영구앵커 조립체 고정공법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면 안정화를 위한 영구앵커 조립체의 강연선을 최대한 팽팽하게 인발시켜 긴장시킴으로써, 영구앵커 조립체의 지지강도를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영구앵커 조립체 고정장치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구앵커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영구앵커 조립체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영구앵커 조립체 고정장치 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영구앵커 조립체가 천공홀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사면 안정화를 위하여 설치되는 영구앵커 조립체에 있어서, 락볼트로서 이형철근(20)은 외주연에 일정 간격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형철근(20)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평행상태를 유지하는 복수의 강연선(22), 바람직하게는 PC강연선이 구비되어 있는 영구앵커 조립체(10)로서, 사면(2)에 형성된 천공홀(1)에 영구앵커 조립체(10)가 삽입되는 앵커공법이 적용된 것이다. 천공홀(1) 내부에 삽입되는 강연선(22)은 외주에 합성수지 등의 피복(23)이 피복되어 모르타르(3)가 강연선(22)에 직접 부착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강연선(22)을 인발할 때에 강연선(22)이 모르타르(3) 등의 간섭에 의하여 용이하게 인발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영구앵커 조립체(10) 사이에는 천공홀(1) 중앙에 영구앵커 조립체(10)가 위치하도록 하는 간격조정장치(5)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제1지압판(30)은 상기 천공홀(1)의 입구에 위치되고, 이형철근(20) 및 강연선(22)이 관통되는 것으로, 제1지압판(30)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부는 원반 형상이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이거나 또는 상부 및 하부에 상이한 직경을 갖는 원판 형상이 일체로 형성되어 단턱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제1지압판(30)의 중심에 이형철근(20)이 관통하는 관통공(31)과,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복수의 강연선(22)이 관통하는 관통공(32)이 형성되어 있다. 이형철근(20)과 강연선(22)이 관통되는 관통공(31, 32)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형철근(20)과 강연선(22)이 제1지압판(30)을 통해 관통된 상태에서 상부로부터 웨지(34)를 삽입하여 이형철근(20) 및 강연선(22)이 제1지압판(3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제1지압판(30)의 가장자리에 복수의 관통공(33)이 형성되어 있어 간격유지구(35)가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지압장치판(50)은 상기 제1지압판(30)과 일정 거리를 두고 상부 쪽에 위치되고, 이형철근(20) 및 강연선(22)이 관통되는 것으로, 제1지압장치판(50)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이다. 그리고 제1지압장치판(50)의 중심에 이형철근(20)이 관통하는 관통공(51)과,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복수의 강연선(22)이 관통하는 관통공(52)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제1지압장치판(50)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51)은 이형철근(20)이 관통하는 인발부재(4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제1지압장치판(50)의 가장자리에 복수의 관통공(53) 또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어 간격유지구(35)를 이용하여 제1지압판(30)과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인발부재(40)는 상기 제1지압장치판(50)의 관통공(51)에 삽입되고 이형철근(20)과 나사 결합되는 일정 직경을 갖는 몸체(42)와, 상기 몸체(42)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으로 제1지압장치판(50)을 지지하는 머리부(44)로 구성된다. 이러한 인발부재(40)는 머리부(44)가 제1지압장치판(50)의 중심 관통공(51)의 하부를 향하도록 삽입되고, 머리부(44)는 관통공(51)을 통과하여 제1지압장치판(50)의 상부에 위치된다. 인발부재(40)의 몸체(42)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회전가압수단(스패너 등)으로 이형철근(20)의 상하로 회전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간격유지구(35)는 상기 제1지압판(30)과 제1지압장치판(50) 사이에 간격유지 및 고정을 위한 것으로, 간격유지구(35)는 양측 외주연 또는 외주연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1지압판(30)과 제1지압장치판(50)의 관통공(33, 53)을 관통하는 양단을 고정시킬 수 있는 너트(36, 37)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간격유지구(35)는 제1지압판(30)과 제1지압장치판(50) 사이의 간격유지 및 고정을 위한 어떠한 부재이어도 무방하다.
웨지(34)는 쐐기의 형상으로 최소 한 조각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지압판(30)을 관통하는 이형철근(20) 및 강연선(22)의 인장력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웨지(73)는 제2지압판(70)을 관통하는 강연선(22)의 인장력을 지지하기 위하여 적용된다.
제2지압판(70)은 상기 제1지압장치판(50)의 상부에 위치하여 이형철근(20) 및 강연선(22)을 고정 및 지지하는 것으로, 제2지압판(70)은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지압판(70)의 중심에 이형철근(20)이 관통하는 관통공(71)과,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복수의 강연선(22)이 관통하는 관통공(72)이 형성되어 있다. 강연선(22)이 관통되는 관통공(72)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강연선(22)이 제2지압판(70)의 관통공(72)을 통해 관통된 상태에서 상부로부터 웨지(73)를 삽입하여 강연선(22)이 제2지압판(7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웨지(73)의 외주연 또는 강연선(20)의 외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너트(75)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압판(70)을 관통하는 이형철근(20)의 종단부에는 너트(74)를 체결하여 이형철근(20)이 제2지압판(70)에 고정되도록 한다.
콘크리트구체(60)는 상기 제2지압판(70)의 배면으로부터 천공홀(1)이 형성된 사면(2)까지 일정 두께로 포설되는 것으로, 콘크리트구체(60)는 제1지압판(30) 및 제1지압장치판(50) 또는 제1지압판(30)이 사면으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영구앵커 조립체(10)의 두부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모르타르 등으로 포설하여 양생시킨 것이다.
보호캡(80)은 상기 제2지압판(70)을 관통하는 이형철근(20) 및 강연선(22)의 종단부의 산화방지 및 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합성수지나 고무 등의 재질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영구앵커 조립체 고정장치를 고정시키는 공법에 대하여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영구앵커 조립체(10)의 두부를 고정함과 동시에, 강연선을 원하는 인장강도로 인발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사면 안정화를 위한 사면에 천공홀(1)을 형성한 후에 영구앵커 조립체(10)를 삽입한다(S10). 이때, 천공홀(1)에 삽입된 영구앵커 조립체(10)가 천공홀(1)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조절하거나 다양한 설치 조건에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의 조작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천공홀(1)에 영구앵커 조립체(10)를 삽입하여 고정이 이루어지면, 천공홀(1) 내부로 모르타르 공급용 호스(도시하지 않음) 등을 이용하여 모르타르(3)를 투입하여 천공홀(1)에 채운 후에 양생시킨다(S11).
그리고 상기 천공홀(1) 입구에 이형철근(20) 및 강연선(22)이 관통되는 제1지압판(30)을 설치하고(S12), 상기 제1지압판(30)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제1지압장치판(50), 인발부재(40) 및 간격유지구(35)를 각각 설치한다(S13). 상기 제1 지압판(30)의 관통공(31)을 관통하는 이형철근(20) 및 복수의 강연선(22)에는 웨지(34)를 각각 삽입하여 고정시켜 둔다.
다음으로, 상기 이형철근(20)에 나사 결합된 인발부재(40)를 회전가압수단(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회전시켜 제1지압장치판(50) 및 간격유지구(35)를 통해 강연선(22)이 1차적으로 인발되도록 하여 긴장시킨 상태에서 제1지압판(30)의 관통공(31, 32)을 관통하는 이형철근(20) 및 복수의 강연선(22)에는 웨지(34)를 각각 삽입하여 고정시킨다(S14). 즉 인발부재(40)를 회전시키면 인발부재(40)는 나사 결합된 이형철근(20)을 따라 후방으로 후퇴하면서 제1지압장치판(50)을 밀어내고, 다시 제1지압장치판(50)은 간격유지구(35)에 연결된 제1지압판(30)을 당기게 되며, 제1지압판(30)의 관통공(32)을 통해 고정된 강연선(22)을 인발시켜 강연선(22)을 팽팽하게 긴장시키게 된다. 그리고 강연선(22)을 인발시키면서 제1지압판(30)의 관통공(32)에 삽입되어 있던 웨지(34)를 망치 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재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피복된 강연선(22)은 피복의 내부로부터 1차적으로 인발된 상태에서 상기 제1지압판(30)과 제1지압장치판(50)이 충분히 덮어질 수 있도록 천공홀(1)이 형성된 사면(2)까지 일정 두께로 콘크리트구체(60)를 포설하게 된다(S16). 콘크리트구체(60)는 영구앵커 조립체(10)의 두부를 완전히 밀폐시켜 고정하기 위한 과정이다.
더욱이 상기 단계(S14)에서 강연선(22)이 1차 인발이 된 후에 제1지압장치판(50), 인발부재(40) 및 간격유지구(35)를 제1지압판(30)과 이형철근(20) 및 강연 선(22)으로부터 각각 분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제1지압장치판(50), 인발부재(40) 및 간격유지구(35)는 강연선(22)을 1차적으로 인발시키기 위한 수단이므로 상기 단계(S16) 이전에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제1지압장치판(50), 인발부재(40) 및 간격유지구(35)가 포함된 상태에서 상기 단계(S16)를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구체(60) 상부로 노출된 이형철근(20) 및 강연선(22)이 관통공(71, 72)을 통해 관통되도록 제2지압판(70)을 콘크리트구체(60)의 상단에 설치하고(S17), 인발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일정한 인장강도로 긴장시킨 상태에서 제2지압판(70)에 웨지(73)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S18). 상기 인발장치는 유압이나 공압이 적용된 기계적인 힘으로 해당 영구앵커 조립체(10)에 가할 수 있는 인장강도로 긴장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2지압판(70)의 관통공(72)을 통과하는 강연선(22)이 충분히 인발되어 긴장된 상태에서 강연선(22)이 후퇴하지 않도록 강연선(22)이 통과하는 제2지압판(70)의 관통공(72) 사이에 웨지(73)를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2지압판(70)의 고정과 강연선(22)의 인발 후에는 상기 제2지압판(70) 상부로 노출된 이형철근(20) 및 강연선(22)을 보호캡(80)으로 덮어씌워 고정시킨다(S19). 이는 제2지압판(70)으로부터 노출된 이형철근(20)은 너트(74)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웨지(73)로 고정된 강연선(22)은 제2지압판(70)의 상부에 적당한 길이로 절단시킨 후에 너트(74) 등을 조립하여 마무리하고, 이형철근(20) 및 강연선(22)이 우수나 습기 등에 의하여 녹슬거나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캡(80)을 결합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영구앵커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구앵커 조립체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구앵커 조립체 고정장치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영구앵커 조립체가 천공홀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구앵커 조립체 고정공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영구앵커 조립체 20: 이형철근
22: 강연선 23: 피복
30: 제1지압판 31, 32, 33, 51, 52, 53, 71, 72: 관통공
35: 간격유지구 34, 73: 웨지
36, 37, 74, 75: 너트 40: 인발부재
42: 몸체 44: 머리부
50: 제1지압장치판 60: 콘크리트구체
70: 제2지압판

Claims (4)

  1. (a) 사면 안정화를 위한 사면에 천공홀(1)을 형성한 후에 영구앵커 조립체(10)를 삽입하는 단계;
    (b) 상기 천공홀(1) 내부로 모르타르(3)를 투입하여 양생시키는 단계;
    (c) 상기 천공홀(1) 입구에 이형철근(20) 및 강연선(22)이 관통되는 제1지압판(30)을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제1지압판(30)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제1지압장치판(50), 인발부재(40) 및 간격유지구(35)를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이형철근(20)에 나사 결합된 인발부재(40)를 회전시켜 제1지압장치판(50) 및 간격유지구(35)를 통해 강연선(22)을 1차적으로 인발하여 긴장시킨 상태에서 제1지압판(30)에 웨지(34)를 삽입하는 단계;
    (f) 상기 제1지압판(30)과 제1지압장치판(50)이 충분히 덮어질 수 있도록 천공홀(1)이 형성된 사면(2)까지 일정 두께로 콘크리트구체(60)를 포설하는 단계;
    (g) 상기 콘크리트구체(60) 상부로 노출된 이형철근(20) 및 강연선(22)이 관통되는 제2지압판(70)을 설치하고 인발장치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일정한 인장강도로 긴장시킨 상태에서 제2지압판(70)에 웨지(73)를 삽입하는 단계; 및
    (h) 상기 제2지압판(70) 상부로 노출된 이형철근(20) 및 강연선(22)을 보호캡(80)으로 덮어씌워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앵커 조립체 고정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구체(60)를 포설하기 전에 강연선(22)을 1차적으로 인발하기 위하여 설치된 제1지압장치판(50), 인발부재(40) 및 간격유지구(35)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앵커 조립체 고정공법.
  3. 이형철근(20)과, 이형철근(20)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평행상태를 유지하는 복수의 강연선(22)이 구비되고, 사면에 형성된 천공홀(1)로 삽입되는 영구앵커 조립체(10)에 있어서,
    상기 천공홀(1) 입구에 위치되고, 이형철근(20) 및 강연선(22)이 관통되는 제1지압판(30);
    상기 제1지압판(30)과 일정 거리를 두고 위치되고, 이형철근(20) 및 강연선(22)이 관통되는 제1지압장치판(50);
    상기 제1지압장치판(50)의 관통공(51)에 삽입되고 이형철근(20)과 나사 결합되는 몸체(42)와, 제1지압장치판(50)을 지지하는 머리부(44)가 구성된 인발부재(40);
    상기 제1지압판(30)과 제1지압장치판(50) 사이에 간격유지 및 고정을 위한 간격유지구(35), 및
    상기 제1지압판(30)을 관통하는 이형철근(20) 및 강연선(22)의 인장력을 지지하기 위한 웨지(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앵커 조립체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압장치판(50)의 상부에 위치하여 이형철근(20) 및 강연선(22)을 고정 및 지지시키는 제2지압판(70);
    상기 제2지압판(70)의 배면으로부터 천공홀(1)이 형성된 사면(2)까지 일정 두께로 포설되는 콘크리트구체(60);
    상기 제2지압판(70)을 관통하는 이형철근(20) 및 강연선(22)의 산화방지를 위하여 설치되는 보호캡(8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앵커 조립체 인발장치.
KR1020070081253A 2007-08-13 2007-08-13 영구앵커 조립체 고정공법 및 그 장치 KR100793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253A KR100793743B1 (ko) 2007-08-13 2007-08-13 영구앵커 조립체 고정공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253A KR100793743B1 (ko) 2007-08-13 2007-08-13 영구앵커 조립체 고정공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3743B1 true KR100793743B1 (ko) 2008-01-10

Family

ID=39217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253A KR100793743B1 (ko) 2007-08-13 2007-08-13 영구앵커 조립체 고정공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374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387B1 (ko) 2008-04-02 2008-10-13 주식회사 신도이엔아이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을 위한 긴장용 키트와이를 이용한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 방법
KR100870899B1 (ko) 2008-07-08 2008-11-28 박성언 압축지압형 그라운드 앵커
KR100888581B1 (ko) 2008-06-05 2009-03-13 (주)경동기술공사 탄성가압식 사면보강용 쏘일네일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사면보강공법
KR100913320B1 (ko) * 2008-04-22 2009-08-26 신현택 다기능 복합형 앵커체
KR101075574B1 (ko) * 2011-06-20 2011-10-20 지반이엔씨 주식회사 절토용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157217B1 (ko) * 2009-08-24 2012-06-20 박성언 압축지압형 플레이트 앵커-네일
CN110286029A (zh) * 2019-07-24 2019-09-27 西南交通大学 一种锚杆拉拔实验装置及系统
KR102577895B1 (ko) * 2022-08-16 2023-09-13 주식회사 제이제이건설 다용도 하중 분산형 그라운드 앵커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36917A (ja) 1986-04-04 1987-10-17 Kajima Corp アンカー緊張定着方法
JPS63304826A (ja) 1987-06-01 1988-12-13 Kajima Corp 地盤アンカ−頭部の定着方法
JPH01312164A (ja) * 1988-06-09 1989-12-15 Kajima Corp 緊張材の再緊張・定着工法
JPH08333747A (ja) * 1995-06-09 1996-12-17 Noriji Kaeba アンカー鋼線再緊張用金具
WO2003044283A1 (en) 2001-11-20 2003-05-30 Gary Reinert Segmented foundation install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ation therefor
KR20060027608A (ko) * 2004-09-23 2006-03-28 김신태 유압식 연선 인장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36917A (ja) 1986-04-04 1987-10-17 Kajima Corp アンカー緊張定着方法
JPS63304826A (ja) 1987-06-01 1988-12-13 Kajima Corp 地盤アンカ−頭部の定着方法
JPH01312164A (ja) * 1988-06-09 1989-12-15 Kajima Corp 緊張材の再緊張・定着工法
JPH08333747A (ja) * 1995-06-09 1996-12-17 Noriji Kaeba アンカー鋼線再緊張用金具
WO2003044283A1 (en) 2001-11-20 2003-05-30 Gary Reinert Segmented foundation install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ation therefor
KR20060027608A (ko) * 2004-09-23 2006-03-28 김신태 유압식 연선 인장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387B1 (ko) 2008-04-02 2008-10-13 주식회사 신도이엔아이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을 위한 긴장용 키트와이를 이용한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 방법
KR100913320B1 (ko) * 2008-04-22 2009-08-26 신현택 다기능 복합형 앵커체
KR100888581B1 (ko) 2008-06-05 2009-03-13 (주)경동기술공사 탄성가압식 사면보강용 쏘일네일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사면보강공법
KR100870899B1 (ko) 2008-07-08 2008-11-28 박성언 압축지압형 그라운드 앵커
WO2010005166A1 (ko) * 2008-07-08 2010-01-14 Park Seong Eon 압축지압형 그라운드 앵커
KR101157217B1 (ko) * 2009-08-24 2012-06-20 박성언 압축지압형 플레이트 앵커-네일
KR101075574B1 (ko) * 2011-06-20 2011-10-20 지반이엔씨 주식회사 절토용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
CN110286029A (zh) * 2019-07-24 2019-09-27 西南交通大学 一种锚杆拉拔实验装置及系统
KR102577895B1 (ko) * 2022-08-16 2023-09-13 주식회사 제이제이건설 다용도 하중 분산형 그라운드 앵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3743B1 (ko) 영구앵커 조립체 고정공법 및 그 장치
KR101150125B1 (ko) 확개된 앵커헤드부를 가지는 그라운드 앵커 및 그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한 앵커 시공 방법
US20090191006A1 (en) Resin Mixing and Cable Tensioning Device and Assembly for Cable Bolts
KR101352188B1 (ko) 원터치식 재인장 정착구
KR100876129B1 (ko) 피에스 강연선을 이용한 앵커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지반보강방법
KR101232642B1 (ko) 지중 앙카용 피씨 강연선을 재인장 조정하기 위한 재인장 정착구
KR20130057577A (ko) 제거식 앵커형 네일
KR101041362B1 (ko) 사면보강을 위한 영구 앵커체 및 이를 이용한 사면안정공법
KR101043127B1 (ko) Pc강연선을 이용한 지반보강공법 및 지반보강장치
KR100505329B1 (ko) 지반 보강용 텐션 네일공법
KR102023086B1 (ko) 끝단압축 인장형 영구앵커
KR101683455B1 (ko) 인장재 제거 가능한 지반 고정 부재
US11739491B2 (en) Hybrid permanent anchor
KR100776620B1 (ko) 바타입 앵커
KR100505330B1 (ko) 지반 보강용 텐션 네일
KR101474530B1 (ko) 쐐기정착부 작용력에 의한 확장 지압형 앵커체
KR100527389B1 (ko) 암석 붕괴 방지용 락 앵커
EP3907331B1 (en) Hybrid anchor
KR20130076057A (ko) 다용도 하중 분산형 제거식 앵커
JP3051707B2 (ja) 斜面崩落防止工法
KR102639738B1 (ko) 개선된 확장형 지압식 영구앵커의 시공방법
KR102577895B1 (ko) 다용도 하중 분산형 그라운드 앵커체
KR20120111522A (ko) 지반 성토용 타이케이블
KR101368055B1 (ko) 그라운드 앵커
KR101572418B1 (ko) 사면 보강용 강연선 네일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