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4917A - 와이어 고정앵커 - Google Patents

와이어 고정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4917A
KR20210084917A KR1020190177437A KR20190177437A KR20210084917A KR 20210084917 A KR20210084917 A KR 20210084917A KR 1020190177437 A KR1020190177437 A KR 1020190177437A KR 20190177437 A KR20190177437 A KR 20190177437A KR 20210084917 A KR20210084917 A KR 20210084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edge
wire
anchor
outer periph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문경
안영성
Original Assignee
박문경
안영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문경, 안영성 filed Critical 박문경
Priority to KR1020190177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4917A/ko
Publication of KR20210084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9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26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86Bearing plates

Abstract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앵커는 와이어 외주연에 복수개의 절개편를 한 개조로 결합하여 외주연에 테이퍼면을 갖는 웨지; 상기 웨지의 선단과 끝단이 각각 내입되는 제1테이퍼공 및 제2테이퍼공을 갖고 상호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판 및 제2판; 상기 제1판과 제2판 사이에 결합되는 플랜지;로 구성하되, 상기 제1테이퍼공과 제2테이퍼공 및 웨지이 상호 밀착되는 접촉점이 하나 이상을 갖도록 하여 와이어의 인장에 의해 제1테이퍼공에 점진적으로 깊숙히 내입되는 웨지에 집중되는 압축응력을 분산시키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와이어 고정앵커{Wire anchor}
본 발명은 와이어 고정앵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건구조물의 안정화를 위한 그라운드 앵커 공법에서 인장되는 와이어에 결합된 고정앵커의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와이어 고정앵커에 관한 것이다.
토건구조물의 구축공사시 그 토건구조물이 지진이나 풍력, 수압, 편토압과 같은 외력에 의해 붕괴 및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법은 아래와 같이 나뉘어진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의 법면 안정화공사와 (나)의 터널보강공사, (다)의 옹벽보호공사, (라)의 현수교 설치공사, (마)의 교각의 안정화 공사, (바)의 철탑 및 대형굴뚝의 전도방지공사나, 그 외로 고층건축물과 같은 각종 건축물을 건축하는 각종 토목 및 건축구조물의 구축공사시에는 구축하는 토건구조물이 지진이나 풍력, 수압, 편토압과 같은 외력에 의해 붕괴되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하여 각종 토건구조물을 지지 고정하게 된다.
설치공사, (마)의 교각의 안정화 공사, (바)의 철탑 및 대형굴뚝의 전도방지공사나, 그 외로 고층건축물과 같은 각종 건축물을 건축하는 각종 토목 및 건축구조물의 구축공사시에는 구축하는 토건구조물이 지진이나 풍력, 수압, 편토압과 같은 외력에 의해 붕괴되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하여 각종 토건구조물을 지지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종 토건구조물을 지지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그라운드앵커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토건 구조물이 구축되는 지반의 상면이나 측면 등의 지표면에 소정의 두께로서 콘크리트 타설층을 형성한 뒤에, 그 콘크리트 타설층으로부터 지반에 소정의 깊이로 구멍을 천공한다. 지반에 구멍을 뚫은 뒤에는 말단부에 소정길이 만큼 요철관이 외삽고정된 피시 강연선 1을 삽입시킨다.
그 뒤, 상기 천공된 구멍으로 액상 또는 겔상의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천공된 구멍 내에서 피시 강연선 1이 고정되게 하고, 콘크리트 타설층의 외부로 노출된 콘크리트 타설층의 표면에는 "H"빔이나 금속판재로 된 앵커플레이트 및 앵커를 설치하며, 앵커의 외측에는 앵커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각종 토건구조물과 연결 고정되는 피시강연선 1의 노출단부를 클램핑 고정하는 피시강연선 클램핑 고정수단인 앵커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길이가 길고 인장강도가 큰 피시 강연선 1을 지반 깊숙히 매설 고정한 뒤에 지반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피시 강연선 1의 선단부를 통해 피시 강연선 1을 인장시킨다.
이후, 피시 강연선을 클램핑 고정수단으로 고정시킨다.
이로써, 지진이나 풍력, 수압, 편토압과 같은 외력에 의해 토건구조물이 흔들리는 경우에도 상기 피시 강연선 1을 포함한 그라운드 앵커가 토건구조물을 견고하게 잡아 주어 토건구조물이 붕괴되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그라운드 앵커의 선단 노출부에 설치되는 종래의 피시 강연선 1의 클램핑 고정수단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측으로 노출되는 피시 강연선 1의 노출 단측이 그 테이퍼홀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앵커 10와, 상기 앵커 10의 테이퍼홀에 쐐기식으로 삽입 설치되는 콜릿척 형태의 웨지 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웨지 100는 일정 각도로 분할 형성된 각각의 절개부에 의하여 3개의 절개편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절개편의 내측면에는 피시 강연선 1이 삽입 관통되는 통공(미부호)의 내주연을 따라 피시 강연선 1을 클램핑하는 다수의 클램핑치(미부호)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앵커 10과 웨지 100를 이용하여 피시 강연선 1을 클램핑 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웨지 100가 설치된 앵커 10의 테이퍼홀을 통하여 피시강연선 1이 관통되도록 삽입시킨 상태에서, 피시 강연선 1의 외측으로 웨지 100를 앵커 10상에 쐐기식으로 삽입 설치하되, 피시 강연선 1을 당겨 인장시킨 후 인장력을 제거하면 길이가 늘어났다가 줄어드는 피시 강연선 1의 길이 차이에 의해 웨지 100가 테이퍼홀 내부로 더욱 강하게 인입되면서 피시 강연선 1의 인장된 상태를 강하게 고정시킨다.
다시 말해, 피시 강연선 1을 외측으로 당기면서 웨지 100를 앵커 10의 테이퍼홀 측으로 밀어 넣음에 따라 콜릿척 형태로 형성된 웨지 100가 테이퍼홀의 내측으로 쐐기식으로 삽입되게 된다.
이때, 웨지 100에는 3개의 절개편이 내측으로 수축되면서 제일 먼저 몸체의 살 두께 전체가 절개된 절개부가 좁혀지면서 절개부 홈의 양단부가 밀착되어 3 개의 절개편은 더욱 수축하게 된다.
이렇게 수축하는 3개의 절개편이 피시 강연선 1을 견고하게 물어주어 피시 강연선 1의 외부로 노출된 단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피시 강연선 1의 외부로 노출된 단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킨 뒤에는 피시 강연선 1을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피시 강연선 1의 클램핑 고정수단인 웨지 100와 앵커 10의 설치작업이 완료되게 되고, 지반에 매설된 피시 강연선 1은 토건구조물을 강력한 인장력으로 당겨주고 있게 되어 지진이나 풍력, 수압, 편토압과 같은 외력에 의해 토건구조물이 붕괴되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웨지 2와 앵커 4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앵커 4에 피시 강연선 1이 관통된 웨지 2를 앵커 4의 내부 경사공 3에 설치하는 초기단계에 강연선 1의 자중에 의해 복수의 절개편 2들 중 어느 한 개소가 경사공 3 내주연 하부에 밀착되고, 반대로 반대쪽에 위치한 절개편 2은 경사공 3 내주연과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즉, 강연선 1에 결합된 웨지 2를 앵커 4의 경사공 3에 결합시 앵커 4를 관통한 강연선 1의 자중에 의해 휘어지면서 웨지 2의 경사진 외주연이 경사공 3에 정확하게 결합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통해, 강연선 1, 웨지 2 및 앵커 4의 경사공 3 중심이 동일 축선으로 일치되지 않게 결합된 상태에서 강연선 1을 인장할 경우 웨지 2가 경사공 3으로 내입되면서 각각의 절개편 2이 경사공 내주연과의 접촉 상태가 각기 달라 경사공 3에 밀착된 상태의 절개편 2이 마찰력에 의해 경사공 3으로 내입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복수의 절개편 2 중 어느 개소는 경사공 3으로 내입되지만, 다른 개소의 절개편 2은 경사공 3으로 내입되지 못하게 되어 강연선 1 외주연을 절개편 2이 정확하고 고른 접촉 분포도로 결합되지 못하게 되어 웨지의 고정력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강연선 1을 클램핑하는 3개 절개편 2의 내주연도 상기 외주연과 동일하게 진원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피시 강연선 1의 외주면과 전체적으로 접촉하지 못하게 되면서 특정한 곳에 응력이 집중된다.
또한, 피시 강연선 1의 외주면과 3개 절개편 2로 이루어진 웨지 4의 내주면 및 상기 웨지 2의 외주연이 전체적으로 접촉하지 못하기 때문에 피시 강연선 1의 외주면과 3개 절개편 2의 내주면은 부분적으로 점접촉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점 접촉 또는 선 접촉을 하는 접촉 부위에서만 집중 하중이 작용하여 집중하중을 받는 접촉부분부터 피시 강연선 1이 쉽게 손상되고, 이러한 상태가 지속 되면서 피시 강연선 1이 점차적으로 파단되거나, 웨지의 고정력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웨지 2 외주연 및 경사공 2 내주연에 외주연이 전체적으로 접촉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웨지 2 외주면도 마찬가지로 점 접촉에 의한 집중 하중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절개편의 3개의 호가 진원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양단 접하는 부위가 각(角)을 이루며 점접촉으로 만나게 되는 것은, 초기 평면에서 보아 진원 상태를 유지하는 웨지 100가 피시 강연선 1의 클램핑 과정에서 오므라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웨지 100에 형성된 절개부 및 절개홈에 해당하는 3개 틈새 만큼의 공간 202이 삭제되므로서 각각의 틈새 부분에서 서로 인접한 절개편의 호가 각이 지도록 만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절개편이 만나는 부분에서 각이 지게 되면, 상기 테이퍼홀의 내주면과 3개 절개편의 외주면 사이에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테이퍼홀의 내주면과 웨지 100의 외주면이 점 접촉을 하게 되므로서, 3 개의 절개편 전체를 균일한 압력으로 조여주지 못하고 3개의 점 접촉 부위에 집중 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절개편의 조임력을 저하시키는 첫 번째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피시 강연선 1을 클램핑하는 3개 절개편의 내주연도 상기 외주연과 동일하게 진원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피시 강연선 1의 외주면과 전체적으로 접촉하지 못하게 된다.
이는 각 절개편 내주연 호의 곡률이 피시 강연선 1에 압축되기 전인 자유 상태의 외경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시 강연선 1의 클램핑 과정에서 3개의 절개편에 의하여 피시 강연선 1의 외경은 축소되는 데 반하여 각 절개편의 내주연 호의 곡률은 초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클램핑이 완료된 상태의 절개편 내주연 곡률이 축소된 피시 강연선의 외경 곡률보다 작게 되어 피시 강연선 1의 외주면과 3개 절개편의 내주면이 전체적으로 접촉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피시 강연선 1의 외주면과 3개 절개편로 이루어진 웨지 100의 내주면 및 상기 웨지 100의 외주연이 전체적으로 접촉하지 못하기 때문에 피시 강연선 1의 외주면과 3개 절개편의 내주면은 부분적으로 점접촉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점 접촉 또는 선 접촉을 하는 접촉 부위에서만 집중 하중이 작용하여 집중하중을 받는 접촉부분부터 피시 강연선 1이 쉽게 손상되고, 이러한 상태가 지속 되면서 피시 강연선 1이 점차적으로 파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웨지 100의 외주연 및 테이퍼홀의 내주연에 외주연이 전체적으로 접촉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웨지 100의 외주면도 마찬가지로 점 접촉에 의한 집중 하중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점 접촉되는 테이퍼홀 내주연에 특정 부위에 과압력이 걸리면서 테이퍼홀의 내주연 형상이 기형적으로 변하거나. 과압력을 이기지 못한 테이퍼홀이 인접된 테이퍼홀까지 찢어지는 현상을 발생시켜 웨지 100와 앵커 10의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98550호,(2006.10.23)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00210호,(2004.08.16)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앵커는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웨지를 결합시키는 제1판과 제2판을 상호 대응되게 마주보게 배치시켜 상기 웨지의 선단과 끝단의 외주연을 각각 구분한 상태로 상호 밀착되는 접촉점이 하나 이상을 갖도록 하여 응력을 분산시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의 인장에 의해 고정앵커의 제1테이퍼공에 점진적으로 깊숙히 내입되는 웨지에 집중되는 압축응력을 분산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 간격을 두고 상호 마주보게 제1판과 제2판을 배치한 다음 웨지의 선단과 끝단의 외주연이 밀착되도록 결합하여 상기 박블럭의 중앙 외주연에 마찰 요소가 없도록 함으로서 제1판과 제2판의 테이퍼공에 웨지의 손쉬운 결합을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에 3개의 웨지 조합으로 이루어진 웨지와 제1판 및 제2판의 테이퍼공의 상호 결합에 의한 진진도와 원심도를 긴밀하게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판을 열처리하여 제1테이퍼공이 웨지의 억지끼움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 앵커는 와이어 외주연에 복수개의 절개편를 한 개조로 결합하여 외주연에 테이퍼면을 갖는 웨지; 상기 웨지의 선단과 끝단이 각각 내입되는 제1테이퍼공 및 제2테이퍼공을 갖고 상호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판 및 제2판; 상기 제1판과 제2판 사이에 결합되는 플랜지;로 구성하되, 상기 제1테이퍼공과 제2테이퍼공 및 웨지이 상호 밀착되는 접촉점이 하나 이상을 갖도록 하여 와이어의 인장에 의해 제1테이퍼공에 점진적으로 깊숙히 내입되는 웨지에 집중되는 압축응력을 분산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호 마주보는 제1판과 제2판 일측면에 각각 결합홈을 형성시켜 플랜지 양측단이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판과 제2판 사이 중심에 간격블럭을 더 설치하여 제1판과 제2판이 상호 압착되는 와이어의 인장에 의해 제1테이퍼공에 점진적으로 깊숙히 내입되는 웨지에 의해 상호 압착되는 제1판과 제2판의 사이 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간격블럭은 상기 제1판과 제2판 사이에 결합되어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메인블럭과, 상기 제1블럭 상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판과 제2판의 중심에 형성된 설치공에 결합되는 서브블럭으로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앵커는 와이어 외주연에 복수개의 절개편를 한 개조로 결합하여 외주연에 테이퍼면을 갖는 웨지; 상기 웨지의 선단과 끝단이 각각 내입되는 제1테이퍼공 및 제2테이퍼공을 갖고 상호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판 및 제2판; 상기 제1판과 제2판 사이에 결합되는 플랜지;로 구성하되, 상기 제1테이퍼공과 제2테이퍼공 및 웨지가 상호 밀착되는 접촉점이 하나 이상을 갖도록 하여 와이어의 인장에 의해 제1테이퍼공에 점진적으로 깊숙히 내입되는 웨지에 집중되는 압축응력을 분산시키도록 구성한다.
이를 통해,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압박블럭을 결합시키는 제1판과 제2판을 상호 대응되게 마주보게 배치시켜 상기 압박블럭의 선단과 끝단의 외주연을 각각 구분한 상태로 상호 밀착되는 접촉점이 하나 이상을 갖도록 하여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집중 응력에 대한 강도 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앵커는 일정 간격을 두고 상호 마주보게 제1판과 제2판을 배치한 다음 압박블럭의 선단과 끝단의 외주연이 밀착되도록 결합하여 상기 압박블럭의 중앙 외주연에 마찰 요소가 없도록 함으로서 제1판과 제2판의 테이퍼공에 압박블럭의 손쉬운 결합을 가능하도록 하여 결합에 대한 오류를 감소시켜 와이어 인장에 대한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앵커는 와이어에 3개의 웨지 조합으로 이루어진 압박블럭과 제1판 및 제2판의 테이퍼공의 상호 결합에 의한 진진도와 원심도를 긴밀하게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와이어 인장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력의 집중을 분산시켜 안정된 와이어 인장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앵커는 제1판을 열처리하여 제1테이퍼공이 압박블럭의 억지끼움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가) 내지 (바)는 각종 토건 구조물을 그라운드 앵커로서 고정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강선 고정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강선 고정구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4,5,6은 종래기술에 따른 강선 고정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강선 고정구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앵커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앵커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앵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앵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앵커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와이어 101 고정앵커 100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와이어 101 고정앵커 100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와이어 101 고정앵커 10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와이어 101 고정앵커 10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와이어 101 고정앵커 100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토건구조물의 안정화를 위해 와이어 101를 지반 깊숙히 매설 고정한 뒤에 지반의 외측으로 인장되는 와이어 101와, 상기 와이어 101의 인장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앵커 100에 대한 것이다.
먼저, 상기 와이어 101는 길이를 갖는 중심꼬임강선 102의 외주연에 다수의 꼬임강선 102들이나선형으로 반복되게 엮어진다.
그리고 고정앵커 100는 주지 기술인 웨지 110를 내입하여 상기 와이어 101의 외주연을 압박하여 고정앵커 100와 와이어 101가 일체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웨지 110는 일정 각도로 분할 형성된 3개의 절개편 111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절개편 111의 내측면에는 통공 113이 형성되어 꼬임강선 102을 부분 수용한다.
그리고, 웨지 110들의 외주연은 테이퍼면 112이 형성되고, 외주연 일측에 연결홈 11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3개의 절개편 111이 연결홈 114에 결합된 연결링 115을 통해 한 개조로 조합되면 웨지 110로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웨지 110는 고정앵커 100의 테이퍼공에 결합된 후 와이어 101 인장 작업시 꼬임강선 102들의 외주연을 압박하여 일체로 고정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종래의 기술의 경우 도 7(A) 및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피시 강연선 1 외주연에 3개의 절개편 111을 결합하여 조합된 웨지 110 100의 외주연은 진원을 이루지 못한다.
그 이유는, 여러개의 꼬임강선 102들이 나선형으로 엮여져 있어 피시 강연선 1의 외주연과 3개의 절개편 111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내주연도 정확한 진원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렇게 피시 강연선 1의 외주연과 웨지 110 100의 내주연이 상호 정확한 진원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결합에 대한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결국, 피시 강연선 1의 인장에 의해 테이퍼홀 내부로 웨지 110가 점진적으로 내입될 수록 불균형한 결합에 의해 동일 위치인 (A)의 3개의 절개편 111의 호의 꼭지 접점 P1 및 (B)의 테이퍼홀 11의 입구 모서리와 절개편 111의 호의 꼭지 접점 P1에 응력이 집중된다.
집중된 응력은 앵커와 웨지 110에 지속적인 피로 하중을 가하게 되면서 균열을 발생시켜 앵커 또는 웨지 110가 파단되어 고정력이 해제되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은 웨지 110 외주연 중 어느 한 곳에 집중되는 접촉점 P을 하나 이상의 접촉점 P으로 분할하여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여 고정앵커 100와 웨지 110의 외부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가능하도록 본 발명의 와이어 101 고정앵커 100는 웨지 110, 제1판 120, 제2판 130 및 플랜지 140로 구성한다.
상기 웨지 110는 와이어 101 외주연에 복수개의 절개편 111를 한 개조로 결합하여 외주연에 테이퍼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웨지 110는 3개의 절개편 111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설명하나, 절개편 111의 개수는 하나 이상이면 적용이 무방하다.
특히, 상기 웨지 110는 일정 각도로 분할 형성된 3개의 절개편 111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절개편 111의 내측면에는 통공 113이 형성되어 꼬임강선 102의 일부 부분 수용한다.
그리고, 각 절개편 111들의 외주연은 테이퍼면 112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편 111 외주연 일측에 연결홈 11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3개의 절개편 111이 연결홈 114에 결합되는 연결링 115을 통해 한 개조로 조합되면 웨지 110로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웨지 110는 후술 될 구성을 갖는 제1판 120과 제2판 130의 테이퍼공에 결합된 후 와이어 101 인장 작업시 꼬임강선 102들의 외주연을 압박하여 일체로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판 120과 제2판 130은 상기 웨지 110의 선단과 끝단이 각각 내입되는 제1테이퍼공 121 121 및 제2테이퍼공 131을 갖고 상호 대응되게 배치된다.
즉, 제1판 120과 제2판 130은 원형판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판 120에는 복수개의 제1테이퍼공 121이 형성되고, 제2판 130에는 복수개의 제2테이퍼공 131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판 120과 제2판 130은 상호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제1판 120과 제2판 130의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는 플랜지 140가 더 설치된다.
상기 플랜지 140는 상기 제1판 120과 제2판 130의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결합홈 125을 통해 결합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와이어 101 고정앵커 100는 상기 제1테이퍼공 121과 제2테이퍼공 131 및 웨지 110의 외주연이 밀착되는 접촉점 P이 하나 이상을 갖도록 하여 와이어 101의 인장에 의해 제1테이퍼공 121에 점진적으로 깊숙히 내입되는 웨지 110에 집중되는 압축응력을 분산시키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기술적 핵심은 고정앵커 100를 제1판 120과 제2판 130으로 구분하고 각각 테이퍼공을 형성하여 웨지 110를 결합하면 제1판 120과 제2판 130의 제1테이퍼공 121과 제2테이퍼공 131의 내주연에 웨지 110의 외주연과 각각 접촉점 P이 발생한다.
결국, 본 발명은 접촉점 P을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여 어느 한 곳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응력의 분산에 의해 웨지 110 및 제1판 120, 제2판 130를 외부적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와이어 101를 고정시키는 압박블럭을 결합시키는 제1판 120과 제2판 130을 상호 대응되게 마주보게 배치시켜 상기 압박블럭의 선단과 끝단의 외주연을 각각 구분한 상태로 상호 밀착되는 접촉점 P이 하나 이상을 갖도록 하여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집중 응력에 대한 강도 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와이어 101에 3개의 웨지 110 조합으로 이루어진 압박블럭과 제1판 120 및 제2판 130의 테이퍼공의 상호 결합에 의한 진진도와 원심도를 긴밀하게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와이어 101 인장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력의 집중을 분산시켜 안정된 와이어 101 인장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판 120과 제2판 130 사이 중심에 간격블럭 150을 더 설치하여 제1판 120과 제2판 130이 상호 압착되는 와이어 101의 인장에 의해 제1테이퍼공 121에 점진적으로 깊숙히 내입되는 웨지 110에 의해 상호 압착되는 제1판 120과 제2판 130의 사이 공간을 확보하도록 한다.
이는, 간격블럭 150을 통해 제1판 120과 제2판 130의 사이 간극을 긴밀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플랜지 140를 보호한다.
그리고, 제1판 120과 제2판 130이 상호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웨지 110의 선단과 끝단 외주연 2 곳에 접촉점 P을 갖도록 하고 상기 웨지 110의 중앙 외주연에 마찰 요소가 없는 비접촉공간 PA PA을 발생시켜 제1판 120과 제2판 130의 테이퍼공에 웨지 110의 결합 오류를 방지하면서 손쉬운 결합을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간격블럭 150은 상기 제1판 120과 제2판 130 사이에 결합되어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메인블럭 151과, 상기 제1블럭 상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판 120과 제2판 130의 중심에 형성된 설치공에 결합되는 서브블럭 152으로 구성한다.
특히, 상기 제1판 120을 열처리하여 제1테이퍼공 121이 압박블럭의 억지끼움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 101 고정앵커 100는 일정 간격을 두고 상호 마주보게 제1판 120과 제2판 130을 배치한 다음 압박블럭의 선단과 끝단의 외주연이 밀착되도록 결합하여 상기 압박블럭의 중앙 외주연에 마찰 요소가 없도록 함으로서 제1판 120과 제2판 130의 테이퍼공에 압박블럭의 손쉬운 결합을 가능하도록 하여 결합에 대한 오류를 감소시켜 와이어 101 인장에 대한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와이어 고정앵커 101 : 와이어
102 : 강선 110 : 웨지
111 : 절개편 112 : 테이퍼면
113 : 통공 114 : 연결홈
115 : 연결링 120 : 제1판
121 : 제1테이퍼공 125 : 결합홈
130 : 제2판 131 : 제2테이퍼공
140 : 플랜지 150 : 간격블럭
151 : 메인블럭 152 : 서브블럭
P : 접촉점 PA : 비접촉공간

Claims (4)

  1. 와이어 외주연에 복수개의 절개편를 한 개조로 결합하여 외주연에 테이퍼면을 갖는 웨지;
    상기 웨지의 선단과 끝단이 각각 내입되는 제1테이퍼공 및 제2테이퍼공을 갖고 상호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판 및 제2판;
    상기 제1판과 제2판 사이에 결합되는 플랜지;로 구성하되,
    상기 제1테이퍼공과 제2테이퍼공 및 웨지이 상호 밀착되는 접촉점이 하나 이상을 갖도록 하여 와이어의 인장에 의해 제1테이퍼공에 점진적으로 깊숙히 내입되는 웨지에 집중되는 압축응력을 분산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 앵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호 마주보는 제1판과 제2판 일측면에 각각 결합홈을 형성시켜 플랜지 양측단이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 앵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과 제2판 사이 중심에 간격블럭을 더 설치하여 제1판과 제2판이 상호 압착되는 와이어의 인장에 의해 제1테이퍼공에 점진적으로 깊숙히 내입되는 웨지에 의해 상호 압착되는 제1판과 제2판의 사이 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 앵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블럭은,
    상기 제1판과 제2판 사이에 결합되어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메인블럭과,
    상기 제1블럭 상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판과 제2판의 중심에 형성된 설치공에 결합되는 서브블럭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 앵커.
KR1020190177437A 2019-12-30 2019-12-30 와이어 고정앵커 KR202100849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437A KR20210084917A (ko) 2019-12-30 2019-12-30 와이어 고정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437A KR20210084917A (ko) 2019-12-30 2019-12-30 와이어 고정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917A true KR20210084917A (ko) 2021-07-08

Family

ID=76893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437A KR20210084917A (ko) 2019-12-30 2019-12-30 와이어 고정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491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210Y1 (ko) 2004-04-14 2004-08-27 허수탁 빛 투과성을 구비하는 화이버 글라스 패널
KR200429850Y1 (ko) 2006-08-08 2006-10-27 장한욱 해머드릴용 앵커펀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210Y1 (ko) 2004-04-14 2004-08-27 허수탁 빛 투과성을 구비하는 화이버 글라스 패널
KR200429850Y1 (ko) 2006-08-08 2006-10-27 장한욱 해머드릴용 앵커펀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23944C (en) Retrofitting existing concrete columns by external prestressing
US8337120B2 (en) Deformable rock bolt
KR100876129B1 (ko) 피에스 강연선을 이용한 앵커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지반보강방법
KR100793743B1 (ko) 영구앵커 조립체 고정공법 및 그 장치
KR101468584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착지지체
KR101019013B1 (ko) 압축형 영구앵커
US7360342B2 (en) Anchor wedge for post tension anchor system and anchor system made therewith
US3449876A (en) Tendon anchorage
KR100892657B1 (ko) 인장재의 정착구
KR19980072170A (ko) 해체 가능한 가설지반 앵커체 및 인장재 해체공법
KR20210084917A (ko) 와이어 고정앵커
KR20120068424A (ko) 그라운드 앵커체용 간격재 및 상기 간격재를 이용한 비제거식 케이블 볼트 앵커 설치구조
KR20080006448U (ko) 강연선 클램핑용 웨지
KR101047085B1 (ko) 이형철근을 이용한 프리텐션 쏘일네일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US11739491B2 (en) Hybrid permanent anchor
KR101825018B1 (ko) 복합형 하중분산 앵커
KR100395772B1 (ko) 토건구조물 고정을 위한 피시강선용 웨지
JPH0249816A (ja) 陸地に定着可能な引張部品を製造する方法及びその引張部品
KR200463811Y1 (ko) 강연선 고정구
JP2017193899A (ja) 既設pc床版の拡幅構造
KR101374063B1 (ko) 인장 및 압축 하중 복합재하가 가능한 배열구조를 갖는 그라운드 앵커
KR101700794B1 (ko) 양방향 저항 앵커
KR101604581B1 (ko) 강선 고정구 및 강선 고정구의 결합방법
KR102453942B1 (ko) 와이어 각도조절이 가능한 앵커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 보강 방법
KR101339136B1 (ko) 영구형 앵커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