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584B1 -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착지지체 - Google Patents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착지지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68584B1 KR101468584B1 KR1020120051340A KR20120051340A KR101468584B1 KR 101468584 B1 KR101468584 B1 KR 101468584B1 KR 1020120051340 A KR1020120051340 A KR 1020120051340A KR 20120051340 A KR20120051340 A KR 20120051340A KR 101468584 B1 KR101468584 B1 KR 1014685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anchor
- end block
- rear end
- grou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2—Compacting the soil at the footing or in or along a casing by forcing cement or like material through tub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압력(하부 압축력)이 작용하는 후단 블록과 측면마찰력이 제공되는 중간블록 및 강연선을 제거하기 위한 선단블록을 각각 분리 조립하되, 중간블록을 다수개로 구성하여 연약지반 또는 지반상태가 좋지 않아 큰 하중을 필요로 하거나, 고강도를 유지해야 하는 조건에서 필요에 따라 중간블록을 증감시켜 주면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착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앵커의 정착 및 제거를 위한 앵커정착헤드와 결합하는 선단블록과, 상기 선단블록의 후단에 위치되며 다수개가 조립되어 지반의 측면 마찰력을 제공하는 중간블록 및 상기 중간블록의 후단에 위치되며 그라우트의 지압력이 도입되는 후단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선단블록, 중간블록 및 후단블록 각각은 앵커정착헤드의 앵커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착지지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앵커의 정착 및 제거를 위한 앵커정착헤드와 결합하는 선단블록과, 상기 선단블록의 후단에 위치되며 다수개가 조립되어 지반의 측면 마찰력을 제공하는 중간블록 및 상기 중간블록의 후단에 위치되며 그라우트의 지압력이 도입되는 후단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선단블록, 중간블록 및 후단블록 각각은 앵커정착헤드의 앵커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착지지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반 보강을 위해 사용되는 앵커체에 장착되어 강연선의 인장하중을 그라우트에 전이시키기 위한 정착지지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약지반 또는 고강도가 요구되는 지반이나 지반상태가 양호한 조건에 따라 정착지지체의 길이를 변경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단위면적당 주면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요구 그라우트 강도를 설계시의 필요 그라우트 강도보다 작게 하면서 정착지지체로서의 역할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착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라운드 앵커체는 토목 현장에서 PC 강연선등의 고강도 인장재를 구축물과 지반 내부 양쪽에 고정하고 선행하중(prestress)을 부여함으로써 지반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응력, 변형, 변위등으로부터 구조물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건설자재이다.
상기한 앵커체를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공법은 토목, 건축분야에서 구조물 축조를 위한 터파기시 발생하는 벽체의 변형 및 파괴 등을 막기 위하여 고강도의 강재에 긴장력을 도입하고 강재의 탄성력을 통해 지반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공법으로, 흙막이 가설 벽체의 지보공, 도로 및 철도 비탈면의 사면보강공, 송전탑 기초 및 댐의 보강공, 지하 구조물의 부력방지공 등에 사용되고 있다.
그라운드 앵커공법에는 정착형식에 따라 앵커의 인장력 도입으로 지반과 그라우트간의 마찰력으로 지반을 보강하는 인장형 앵커공법과, P.C강연선을 별도의 정착지지체에 구속시켜 그라우트에 압축력을 발생시키는 압축형 앵커공법 및 인장형 앵커를 여러 부분에 분산시켜 재하하는 하중분산형 앵커공법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압축형 앵커를 여러부분에 분산하여 하중을 재하한 후에 인장재를 제거하는 제거식 하중분산형 앵커공법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압축형 앵커공법 또는 제거식 하중분산형 앵커공법에 사용되는 정착지지체는 앵커의 후단부에 축끼움방식으로 결합되어 그라우트와 강연선이 직접 부착되는 면을 갖지 않고도 정착지지체와 그라우트의 부착력으로 앵커의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부재이다.
상기한 그라운드 앵커공법에서 압축형 또는 제거식 하중분산형 앵커공법은 정착지지체라고 하는 하중 전이체를 이용하여 강연선의 인장하중을 그라우트에 전달하기 때문에 하중분산을 통한 지반 안정성 확보와 앵커의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어 국내시장점유율을 상당히 차지하고 있다. 즉, 하중분산형 앵커체는 하중이 앵커체 여러부분에 분산되어 재하되므로 그라우트 강도에 미치는 영향이 적고 비교적 연약한 지반에서도 지반 안정화에 소요되는 정도의 앵커력을 확보할 수 있어 적용빈도가 크다.
한편, 제거식 하중분산형 앵커공법과 압축형 앵커공법에서 사용되고 있는 정착지지체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형성된 요철(rib)을 통해 구현되는 마찰력과 정착지지체의 후단부 즉 앵커정착헤드의 반대측 위치인 하부 압축면(compressive plate)에 발생되는 지압력으로 분리되어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하중 전달을 위해서는 그라우트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착지지체의 구조적 안정성이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 앵커공법에서 요구되는 그라우트의 강도는 다음의 [수식1]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수식1]
위 [수식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정착지지체에 작용하는 하중이 일정한 상태에서, 요구되는 그라우트 강도는 정착지지체의 마찰력 크기에 반비례한다. 동일 천공경 내에서 요구되는 그라우트 강도를 작게하는 것은 정착지지체의 마찰력이 커지는 것을 의미하며, 정착지지체의 마찰력을 크게 할 경우 정착지지체에 작용하중을 부여하는 강연선의 가닥수를 적게 하여도 충분한 주면 마찰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통상적으로, 일반 지반에 비해 연약지반이나 지반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지역에서 고 하중을 필요로 하는 경우, 요구되는 그라우트 강도를 크게 하여 주면 마찰력을 증대시키고 있다. 그런데, 실제 앵커력의 구현은 시공시 품질관리, 지반의 불균일성 등 여러가지 설계시 고려되지 않는 하중 감소 요소를 포함하므로 보다 안정적인 구조의 정착지지체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에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2가닥의 강연선이 장착된 정착지지체들은 도2a 및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도2a에 도시된 정착지지체는 두개의 앵커정착헤드(102) 중앙에 몸체블럭(104)이 장착되며, 상기 몸체블록(104) 양측으로 강연선(106)이 앵커정착헤드(102)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구조는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몸체블록(104)의 유효직경이 작아 그라우트와의 부착면적을 크게 할 수가 없으며, 이에 따라 요구되는 그라우트 강도가 자연적으로 커지고, 요구되는 그라우트 강도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소요 강연선의 수가 많아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조는 강연선(106)이 삽입된 PE 호스(108)가 정착지지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지지되기 때문에 그라우트의 타설에 따른 하중을 받게 될 경우 PE호스(108)가 눌려지면서 강연선(106)에 압박을 가하게 되므로 인장력 도입후 강연선을 PE 호스로부터 제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도2a에 제시된 정착지지체의 구조를 개선한 것이 도2b에 도시된 타원단면의 통형상 정착지지체이다. 상기 구조는 몸체블록(204)을 타원통으로 제작하고, 강연선(206)을 몸체블록(204)에 관통시킨 후 앵커정착헤드(202)에 연결시킨 구조로서 몸체블록(204)의 유효직경이 도2a에 도시된 몸체블록(104)의 직경보다 증가되어 요구되는 그라우트 강도를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구조의 정착지지체들은 유효직경, 유효길이, 하부단면적 등의 제원이 정해진 상태로 제조되고 있기 때문에, 설계강도보다 실제 현장에서 더욱 큰 주면 마찰력(그라우트 강도에 해당)이 요구될 경우, 강연선의 수를 최대한 증가시켜 요구되는 그라우트 강도를 충족시켜야만 한다. 상기의 방법은 증가된 강연선에 의해 앵커체의 직경이 커지기 때문에 정해진 천공경에 삽입하는 시공성이 나쁘고, 그라우트에 하중전달이 용이하지 않으며, 자재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측면에서 살펴보면, 지반상태가 나쁘거나 연약지반에서 고하중을 필요로 할 때 설계강도 이상으로 주면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최대한 많은 강연선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정착지지체의 직경과 단면적이 커져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정착지지체는 주물 또는 다이캐스팅 방법으로 제조된 단일의 통형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정착지지체의 직경과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없으며, 설계강도 이상으로 주면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불가피하게 천공경을 크게 하여야 한다. 연약지반의 상태에 따라 요구하는 주면 마찰력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강연선과 정착지지체의 결합단면적이 증가되어야 하는데, 위에서 제기한 제약조건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천공경이 정해져 있는 상태에서는 강연선과 정착지지체의 결합단면적을 증가시켜 설계강도 이상으로 주면마찰력을 증대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제거식 하중분산형 앵커공법 및 압축형 앵커공법에서는 정착지지체와 그라우트간의 부착력에 의해 앵커력을 확보하는 구조이므로 앵커두부에서의 소요인장력에 저항하는 마찰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정착지지체의 유효직경을 크게 하고 길이를 길게 제조하거나, 정착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강연선의 수를 증가시켜야 하는 조건이 붙는다. 이는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많은 강연선이 정착지지체에 부착되어 운반되어야 하므로 취급이 불편하고, 현장에서 시공성(정해진 천공경에 앵커체를 삽입하는 작업성)을 나쁘게 하므로 설치공사의 지연에 따른 공사비의 증가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연약지반이나 고하중을 필요로 하는 지반이 아닌 보통 강도를 요구하는 지반에서는 연약지반에 맞춰 설계 및 제작된 정착지지체 자체가 불필요한 측면이 있다.
이 밖에 정착지지체와 관련한 종래기술로서 국내특허 제1019013호의 압축형 영구앵커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착지지체의 중심간 최장거리보다 큰 외경을 갖는 지압구(311, 312, 313)를 정착지지체(301, 302, 303)에 결합하여 앵커와 그라우트간의 정착력을 극대화한 구조이다.
미설명부호 321은 강연선이고, 322는 앵커정착헤드를 나타낸다.
상기 구조는 정착지지체의 직경보다 큰 지압구를 통하여 그라우트의 지압력을 증대시켜 정착력을 향상시키고 정착지지체의 길이를 축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2구 또는 3구의 강연선이 배치된 구조의 앵커체로만 한정되어 있어 지반상태에 따라 소요 그라우트 강도를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한계가 있어 연약지반에서 고하중을 요구하거나 지반상태가 나빠 하중재하가 많이 필요한 지반에서는 적용하기가 어렵다. 또한, 상기 구조는 하중 분산을 위해 계단형태로 배열된 다단 앵커체에는 적용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지압력(하부 압축력)이 작용하는 후단 블록과 측면마찰력이 제공되며 다단으로 분리되는 중간블록 및 강연선 제거용으로 사용되는 앵커정착헤드와 연결되는 선단블록을 각각 분리 조립하되, 지반조건에 따라 중간블록을 증감시켜 연약지반 또는 지반상태가 좋지 않아 큰 하중을 필요로 하거나, 고강도를 유지해야 하는 조건에 맞게 주면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착지지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E 호스가 정착지지체의 원주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도록 하여 그라우트 하중에 의해 PE호스가 찌그러드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강연선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착지지체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앵커의 정착 및 제거를 위한 앵커정착헤드와 결합하는 선단블록과; 상기 선단블록의 후단에 위치되며 다수개가 조립되어 지반의 측면 마찰력을 제공하는 중간블록; 및 상기 중간블록의 후단에 위치되며 그라우트의 지압력이 도입되는 후단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선단블록, 중간블록 및 후단블록 각각은 앵커정착헤드의 앵커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착지지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선단블록, 중간블록 및 후단블록은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다수의 날개부를 가지며, 상기 다수의 날개부를 연결하는 부위에 강연선을 안착하여 지지하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날개부에는 축방향으로 관통되는 끼움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홀에는 선단블록가 후단블록사이에서 중간블록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축선지지바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단블록, 중간블록 및 후단블록을 연결하는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수단은 선단블록의 후단에 형성된 제1 돌기와, 상기 후단 블록의 전면에 형성된 제1 홈과, 상기 제1 돌기와 제1 홈에 각각 대응하는 중간블록의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된 제2돌기 및 제2홈을 포함하여 선단블록, 중간블록 및 후단블록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구현한다.
첫째, 본 발명의 앵커정착헤드가 결합되는 선단블록, 측면 마찰력을 발생하며 다수의 개별블록으로 이루어진 중간블록 및 지압력을 발생하는 후단블록을 분리, 조립가능한 구조로 형성하고, 연약지반에서 고하중을 요구하거나 지반상태가 나빠 하중재하가 많이 필요한 지반 또는 고강도를 유지해야 하는 지반상태에 맞게 중간블록을 증감시켜 주면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정착지지체의 중간 블록를 증가시킴으로써 블록의 전체길이를 길게 하여 마찰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면적당 응력을 감소시켜 요구되는 그라우트 강도를 작게할 수 있기 때문에 그라우트측으로 강연선의 하중 전이가 용이하고 정착지지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강연선의 소요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다.
셋째, 천공경이 정해진 상태에서는 최대한 많은 강연선을 삽입하여야만 설계강도 이상의 그라우트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데, 종래의 정착지지체 구조에서는 요구하는 설계강도 이상의 그라우트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강연선의 가닥을 증가시켜야만 했으며, 이에 따라 앵커체의 직경이 커지게 되고 자연적으로 천공경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중간블록을 늘림으로써 강연선의 가닥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주면마찰력을 크게할 수 있으므로, 정해진 천공경내에서 요구되는 강도 이상의 그라우트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종래의 정착지지체에 비해 직경과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어 취급 및 운반이 용이하고, 시공성을 향상시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다섯째, 정착지지체를 구성하는 각 블록의 외주면에 강연선 호스가 묻히도록 끼울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어 그라우트 하중으로부터 강연선 호스를 보호하여 상기 강연선 호스가 찌그러들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앵커체의 인장력 도입후 강연선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정착지지체에 마찰력과 하부 압축면(compressive plate) 지압력이 작용하는 부위를 나타낸 개략도,
도2a 및 도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정착지지체의 일예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정착지지체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착지지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착지지체에서 앵커정착헤드가 제거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요부인 선단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및 부분단면도,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요부인 중간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
도8a 및 도8b는 본 발명의 요부인 후단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정착지지체에 강연선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2a 및 도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정착지지체의 일예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정착지지체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착지지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착지지체에서 앵커정착헤드가 제거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요부인 선단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및 부분단면도,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요부인 중간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
도8a 및 도8b는 본 발명의 요부인 후단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정착지지체에 강연선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4 내지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착지지체는 지압력(하부 압축력)이 작용하는 후단블록과 측면마찰력이 제공되는 중간블록 및 앵커정착헤드와 결합되는 선단블록을 각각 분리 조립하여 지반상태에 따라 중간블록을 증감시켜 주면 마찰력을 조절함과 동시에 강연선이 삽입된 PE호스를 그라우트 하중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착지지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착지지체에서 앵커정착헤드가 제거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6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요부인 선단블록, 중간블록 및 후단블록의 구성을 각각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정착지지체에 강연선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PE강연선을 정착하는 앵커정착헤드(2)와 결합되도록 중앙부에 관통홀(12a)이 형성되어 있는 선단블록(12)과; 상기 선단블록(12)의 후단에 위치되며, 상기 선단블록(12)의 관통홀(12a)과 동일한 축선상에 관통홀(14a)이 형성되고, 다수개를 분리 및 조립하여 지반의 측면마찰력을 제공하는 중간블록(14); 및 상기 중간블록(14)의 후단에 위치되며, 중간블록(14)의 관통홀(14a)과 동일한 축선상에 관통홀(16a)이 형성되고, 그라우트의 지압력이 도입되는 후단블록(16)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선단블록(12), 중간블록(14) 및 후단블록(16)은 전후면에 형성되어 끼워맞춰 결합될 수 있는 결합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도6 내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블록(12)의 후단에 형성된 제1 돌기(13)와, 상기 후단블록(16)의 전면에 형성된 제1 홈(17)과, 상기 제1 돌기(13)와 제1 홈(17)에 각각 대응하는 중간블록(14)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형성된 제2돌기(15a) 및 제2홈(15b)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돌기(13, 15a)가 대응하는 제1 및 제2 홈(17, 15b)에 각각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선단블록(12), 중간블록(14) 및 후단블록(16) 각각은 원주면에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대칭구조의 다수의 날개부(20)와, 상기 다수의 날개부(20)들을 오목하게 연결하여 형성되며 강연선을 안착시켜 지지하기 위한 안착홈(22)을 갖는다.
상기 각 날개부(20)에는 축방향으로 관통된 끼움홀(24)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24)에는 축선지지바(26)가 삽입되어 선단블록(12), 중간블록(14) 및 후단블록(16)에 형성된 각각의 안착홈(22)들이 축방향으로 정렬되도록 가이드하고, 선단블록(12) 및 후단블록(16) 사이에서 다수의 중간블록(14)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선단블록(12)의 관통홀(12a) 내면에는 앵커정착헤드(2)와 결합되기 위한 암나사(12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암나사(12b)의 끝지점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테이퍼 관통부(12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선단블록(12)의 관통홀(12a)에 앵커정착헤드(2)를 연결하되 상기 앵커정착헤드(2)로부터 인출되는 강연선(4)이 중간블록(14) 및 후단블록(16)의 중앙 관통홀(12a, 14a, 16a)을 통과하여 앵커두부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선단블록(12), 중간블록(14) 및 후단블록(16) 각각의 날개부(20)에 형성된 끼움홀(24)을 통해 축선지지바(26)가 끼워져 중간블록(14)이 선단블록(12)과 후단블록(16) 사이에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안착홈(22)에 다른 앵커체의 PE호스가 피복된 강연선을 끼워 안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은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단블록(12), 중간블록(14) 및 후단블록(16)의 중앙 관통홀(12a)을 통해 앵커두부(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강연선과 함께 각 블록(12, 14, 16)의 안착홈(22)에 안착되면서 앵커두부에 연결된 강연선들에 인장력을 도입하여 그라우트의 정착력을 확보하게 된다. 그 후에 도입된 앵커력을 해제한 후 인장재를 앵커정착헤드(2)로부터 제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구조를 통해 그라우트의 정착력을 확보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연약지반과 같이 지반상태가 좋지 않아 설계강도 이상으로 고하중을 필요로 할 때, 또는 고강도를 유지하는 지반조건에서는 선단블록(12)과 후단블록(16)을 해체한 후 중간블록(14) 갯수를 증가시켜 정착지지체의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그라우트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정해진 천공경내에서 강연선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요구하는 그라우트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비록 연약지반이라 할지라도, 지반상태가 양호한 구간에서는 중간블록(14)의 설치 갯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정착지지체의 길이를 짧게 하면서도 요구하는 그라우트 강도를 유지할 수 있어 양호한 지반에서 불필요하게 큰 인장하중을 재하하지 않아도 되며, 소요 강연선 가닥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2: 앵커정착헤드 4: 강연선
12: 선단블록 14: 중간블록 16: 후단블록 20: 날개부
22: 안착홈 24: 끼움홀
26: 축선지지바
12: 선단블록 14: 중간블록 16: 후단블록 20: 날개부
22: 안착홈 24: 끼움홀
26: 축선지지바
Claims (7)
- 삭제
- 삭제
- 삭제
- 앵커의 정착 및 제거를 위한 앵커정착헤드와 결합하는 선단블록;
상기 선단블록의 후단에 위치되며 다수개가 조립되어 지반의 측면 마찰력을 제공하는 중간블록; 및
상기 중간블록의 후단에 위치되며 그라우트의 지압력이 도입되는 후단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선단블록, 중간블록 및 후단블록 각각은 중앙부에 형성되어 앵커정착헤드의 앵커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홀과, 원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다수의 날개부와, 날개부에 축방향으로 관통되는 끼움홀 및 상기 다수의 날개부들을 오목하게 연결하여 강연선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선단블록의 관통홀 내면에 형성되어 앵커정착헤드와 결합되기 위한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나사의 끝지점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테이퍼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선단블록, 중간블록 및 후단블록 각각의 날개부에 형성된 끼움홀에 끼워지며 선단블록과 후단블록 사이에서 중간블록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축선지지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착지지체.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블록, 중간블록 및 후단블록 각각의 전후면에 구비되어 상호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착지지체.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선단블록의 후단에 형성된 제1 돌기와, 상기 후단 블록의 전면에 형성된 제1 홈과, 상기 제1 돌기와 제1 홈에 각각 대응하는 중간블록의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된 제2돌기 및 제2홈을 포함하여 선단블록, 중간블록 및 후단블록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착지지체.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1340A KR101468584B1 (ko) | 2012-05-15 | 2012-05-15 |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착지지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1340A KR101468584B1 (ko) | 2012-05-15 | 2012-05-15 |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착지지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27660A KR20130127660A (ko) | 2013-11-25 |
KR101468584B1 true KR101468584B1 (ko) | 2014-12-03 |
Family
ID=49855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1340A KR101468584B1 (ko) | 2012-05-15 | 2012-05-15 |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착지지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6858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638718A (zh) * | 2016-10-19 | 2017-05-10 | 湖南工程学院 | 全长粘结性土锚脱粘长度及动态锚固力测定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030944A (zh) * | 2020-09-21 | 2020-12-04 | 中冶建工集团(天津)建设工程有限公司 | 一种灌注桩侧注浆施工方法 |
KR102568735B1 (ko) | 2023-01-10 | 2023-08-22 | 위너스산업 주식회사 | 정착력 조절 및 지반 특성에 따른 맞춤 조립이 가능한 소일네일조립체 |
KR102568736B1 (ko) | 2023-01-10 | 2023-08-22 | 위너스산업 주식회사 | 정착력 조절 및 지반 특성에 따른 맞춤 조립이 가능한 강관조립체 |
KR102568733B1 (ko) | 2023-01-10 | 2023-08-22 | 위너스산업 주식회사 | 정착력 조절 및 지반 특성에 따른 맞춤 조립이 가능한 영구앵커조립체 |
KR102568734B1 (ko) | 2023-01-10 | 2023-08-22 | 위너스산업 주식회사 | 정착력 조절 및 지반 특성에 따른 맞춤 조립이 가능한 락볼트조립체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50561A (ja) * | 1993-11-26 | 1995-06-13 | Moriya Koki Kk | 圧縮型アンカ−の耐荷体、固定金具およびそれらの組 合せ |
JPH09256360A (ja) * | 1996-03-25 | 1997-09-30 | Sanshin Kensetsu Kogyo Kk | 除去アンカー工法及び装置 |
KR200364631Y1 (ko) * | 2004-07-12 | 2004-10-08 | 김범연 | 그라운드 앵커용 내하체 |
KR100952161B1 (ko) * | 2009-09-01 | 2010-04-09 | 임대순 | 그라운드 앵커 |
-
2012
- 2012-05-15 KR KR1020120051340A patent/KR10146858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50561A (ja) * | 1993-11-26 | 1995-06-13 | Moriya Koki Kk | 圧縮型アンカ−の耐荷体、固定金具およびそれらの組 合せ |
JPH09256360A (ja) * | 1996-03-25 | 1997-09-30 | Sanshin Kensetsu Kogyo Kk | 除去アンカー工法及び装置 |
KR200364631Y1 (ko) * | 2004-07-12 | 2004-10-08 | 김범연 | 그라운드 앵커용 내하체 |
KR100952161B1 (ko) * | 2009-09-01 | 2010-04-09 | 임대순 | 그라운드 앵커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638718A (zh) * | 2016-10-19 | 2017-05-10 | 湖南工程学院 | 全长粘结性土锚脱粘长度及动态锚固力测定方法 |
CN106638718B (zh) * | 2016-10-19 | 2018-06-26 | 湖南工程学院 | 全长粘结性土锚脱粘长度及动态锚固力测定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27660A (ko) | 2013-1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68584B1 (ko) |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착지지체 | |
US9157504B2 (en) | Anchoring device for filament body made of fiber reinforced plastic | |
CN102002911B (zh) | 碳纤维索股内套管锥形粘结型锚具 | |
KR101713525B1 (ko) | 마찰 지압형 영구앵커 | |
JP2009108675A (ja) | 支持構造体を補強する装置及び方法 | |
KR101454694B1 (ko) | 인장재 교체가 가능한 하중분산형 영구앵커체 | |
KR102065095B1 (ko) | 충격 에너지 감소 앵커 | |
CN109024582B (zh) | 加强型锚杆组件 | |
JP7244724B2 (ja) | ハイブリッド型永久アンカー | |
JP2011043025A (ja) | 緊張材を用いた構造物の補強方法 | |
KR101374063B1 (ko) | 인장 및 압축 하중 복합재하가 가능한 배열구조를 갖는 그라운드 앵커 | |
EP2434058A2 (en) | Tension dispersion-type complex anchor body with a removable tension memb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 |
KR101074085B1 (ko) | 인장재 제거가 가능한 인장분산형 복합앵커체 및 그의 시공방법 | |
KR20160066766A (ko) | 마찰형 복합 그라운드앵커 | |
KR200308362Y1 (ko) | 압축 마찰형 영구앵커 | |
CN108824456B (zh) | 锚杆定位支撑件 | |
KR101158417B1 (ko) | 인장재 제거가 가능한 인장분산형 복합앵커체 및 그의 시공방법 | |
KR101700794B1 (ko) | 양방향 저항 앵커 | |
KR20200030248A (ko) | 그라운드 앵커 | |
KR101825018B1 (ko) | 복합형 하중분산 앵커 | |
KR101339136B1 (ko) | 영구형 앵커의 제조방법 | |
KR101303492B1 (ko) | 인장 및 압축 합성응력분포를 발현하는 인장 및 압축 복합앵커 | |
US20200040593A1 (en) | A reinforcement system and a method of reinforcing a structure with a tendon | |
KR102707091B1 (ko) | 다중나선을 이용한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 |
KR102718505B1 (ko) | 타격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