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4063B1 - 인장 및 압축 하중 복합재하가 가능한 배열구조를 갖는 그라운드 앵커 - Google Patents

인장 및 압축 하중 복합재하가 가능한 배열구조를 갖는 그라운드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4063B1
KR101374063B1 KR1020110043759A KR20110043759A KR101374063B1 KR 101374063 B1 KR101374063 B1 KR 101374063B1 KR 1020110043759 A KR1020110043759 A KR 1020110043759A KR 20110043759 A KR20110043759 A KR 20110043759A KR 101374063 B1 KR101374063 B1 KR 101374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wedge
strand
tension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6166A (ko
Inventor
손일준
최윤아
정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Priority to KR1020110043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063B1/ko
Publication of KR20120126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6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일 앵커홀내에서 압축형 앵커와 인장형 앵커의 응력분포를 하중분산형태로 동시 발현될 수 있도록 배열함으로써 동일한 하중으로 긴장이 가능하고, 늘음량 관리시에서도 평균값으로 획일화시킬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인장 및 압축 하중 복합재하가 가능한 배열구조를 갖는 그라운드 앵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반의 동일 천공장내의 정착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앵커정착체와, 상기 앵커정착체에 연결되며 자유장으로 인출되는 제1 강연선을 구비하여 천공장내에서 그라우트에 압축력을 도입하기 위한 압축형 앵커; 및 상기 지반의 동일 천공장내에서 압축형 앵커 일측에 설치되며, 정착장과 자유장에 걸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강연선을 구비하여 그라우트에 인장력을 도입하기 위한 인장형 앵커를 포함하되,
상기 압축형 앵커 및 인장형 앵커의 응력분포가 하중분산형태로 동시 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및 압축 하중 복합재하가 가능한 배열구조를 갖는 그라운드 앵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장 및 압축 하중 복합재하가 가능한 배열구조를 갖는 그라운드 앵커{A anchor's arrangement structure simultaneously able to give tension force and compressive force to the grout}
본 발명은 일반지반의 보강뿐만 아니라, 고긴장력이 필요한 지반이나 연약지반의 사면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한 인장 및 압축 하중 복합재하가 가능한 배열구조를 갖는 그라운드 앵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 앵커홀내에서 그라우트에 인장력과 압축력을 동시에 재하하여 그라우트 압축강도에 의한 앵커력을 확보하고 지반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그라운드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라운드 앵커체는 토목 현장에서 PC 강연선등의 고강도 인장재를 구축물과 지반 내부 양쪽에 고정하고 선행하중(prestress)을 부여함으로써 지반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응력, 변형, 변위등으로부터 구조물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건설자재이다.
상기한 앵커체를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공법은 토목, 건축분야에서 구조물 축조를 위한 터파기시 발생하는 벽체의 변형 및 파괴 등을 막기 위하여 고강도의 강재에 긴장력을 도입하고 강재의 탄성력을 통해 지반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공법으로, 흙막이 가설 벽체의 지보공, 도로 및 철도 비탈면의 사면보강공, 송전탑 기초 및 댐의 보강공, 지하 구조물의 부력방지공 등에 사용되고 있다.
그라운드 앵커의 발달 과정을 살펴보면, 초기에는 마찰인장형 앵커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나, 시장상황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연구를 통해 압축형 앵커(하중 집중형, 하중분산형)로의 개발이 많아지고 있다. 압축형 앵커는 천공경 선단에서 그라우트체에 압축력을 가할 수 있도록 내하체를 설치하는데, 내하체와 강연선을 분리시키면 앵커의 제거가 가능한 장점이 있어 더욱 많은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축형 앵커공법은 인장형 앵커공법의 단점인 인장균열이나 부식문제 등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영구 및 가설용으로 다양하게 시공되고 있다. 인장형 앵커공법에 비해 크립(clip)에 의한 하중감소는 적으나 고강도의 그라우트를 사용해야 하며 비교적 연약한 지반에서는 지반 안정화에 소요되는 정도의 앵커력을 확보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인장형 및 압축형 앵커는 인장시 앵커력이 일부 구간에 집중되는 하중집중타입이기 때문에 주면지반과 그라우트간의 주면마찰저항치가 앵커력보다 작을 경우 파괴가 생겨 도1(인장형 앵커의 응력 전이과정) 및 도2(압축형앵커의 응력 전이과정)와 같이 하중전이가 발생된다.
상기 인장형 앵커 및 압축형 앵커의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하중분산형 앵커의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하중분산형 압축 앵커는 하중분산을 통한 안정성 확보와 높은 제거율을 토대로 이미 국내시장점유율을 상당히 차지하고 있다. 또 하중분산형 인장 앵커의 경우도 이미 영국, 일본에서 개발되었으나 실제 사용상의 문제로 큰 관심을 갖지 못하다가 제거기능을 갖추게 되면서 사용실적이 높아지고 있다.
하중분산 앵커는 도3(인장형 하중분산 앵커) 및 도4(압축형 하중분산 앵커)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중이 앵커체 여러 부분에 분산되어 재하되므로 그라우트 강도에 미치는 영향이 적고 비교적 연약한 지반에서도 지반 안정화에 소요되는 정도의 앵커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일반토사 지반에서도 암반에서와 같이 고하중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한 특징을 갖는 하중분산형 앵커공법은 정착지반 및 그라우트에 극단적인 하중집중이 발생되지 않아야 하며, 자유부의 구속이 발생하지 않는 PE코팅된 PC강연선을 사용하여야 하고, 지반여건에 따라 허용 앵커력을 적용하기가 용이하여야 하는 조건을 수반한다.
그러나, 하중분산 앵커의 경우 내부정착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각기 다른 현장의 지반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허용앵커력을 조절하기가 어렵고, 자유장 및 정착장의 길이가 강연선마다 달라 늘음량 관리가 어렵고, 앵커 긴장시에도 단계별 긴장을 해야 하는 등의 시공상 번거로움을 갖고 있어, 앵커 시공 및 긴장시 숙련공이 반드시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반의 구속력에 따라 압축형 하중분산 앵커와 인장형 하중분산 앵커의 적용성이 달라 설계시에 주의를 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동일 앵커홀내에서 압축형 앵커와 인장형 앵커의 응력분포를 하중분산형태로 동시 발현될 수 있도록 배열함으로써 동일한 하중으로 긴장이 가능하고, 늘음량 관리시에서도 평균값으로 획일화시킬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인장 및 압축 하중 복합재하가 가능한 배열구조를 갖는 그라운드 앵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반의 동일 천공장내의 정착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앵커정착체와, 상기 앵커정착체에 연결되며 자유장으로 인출되는 제1 강연선을 구비하여 천공장내에서 그라우트에 압축력을 도입하기 위한 압축형 앵커; 및 상기 지반의 동일 천공장내에서 압축형 앵커 일측에 설치되며, 정착장과 자유장에 걸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강연선을 구비하여 그라우트에 인장력을 도입하기 위한 인장형 앵커를 포함하되, 상기 압축형 앵커 및 인장형 앵커의 응력분포가 하중분산형태로 동시 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및 압축 하중 복합재하가 가능한 배열구조를 갖는 그라운드 앵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장형 앵커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정착장 구간에 위치되는 제2 강연선과 자유장부에 위치되는 제2 강연선이 분리 및 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착앵커 연결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앵커정착체는 웨지수용홈이 형성된 본체; 원주분할형태로 이루어진 웨지와, 웨지의 내부에 형성된 막이홈 및 웨지의 외주면에 형성된 탄성링홈을 포함하여 본체의 웨지수용홈에 삽입되며, 본체의 후단 중앙으로 삽입되는 강연선의 선단을 파지하는 웨지 조립체; 상기 웨지조립체의 탄성링홈에 끼워져 분할 웨지들을 조합형태로 유지하는 탄성링; 상기 웨지조립체의 막이홈에 삽입되어 강연선의 정착해제에 따라 강연선이 선단(정착장측)측으로 튕겨나갈때의 힘을 웨지조립체에 전달하는 막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내면에 암나사홈이 형성된 캡; 상기 웨지조립체의 선단면에 위치되며, 제1 강연선의 외부정착 해제에 따른 반력을 받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상면에 형성되며 정착이 해제된 강연선의 회전시 캡의 암나사홈에 체결되는 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강연선을 물고 있던 웨지조립체의 웨지물림을 해제하는 나사뿔; 상기 본체의 웨지수용홈내에 위치되어 인장력 도입시 압축되며, 강연선의 정착력 해제시에 웨지조립체가 본체밖으로 이탈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 및 상기 나사뿔의 나사에 끼워지며, 초기 웨지조립체의 조립시 웨지조립체를 눌러 본체의 웨지수용홈에 위치된 웨지조립체가 밖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지반의 동일 앵커홀내에 인장형 앵커와 압축형 앵커를 배열하고, 각각에 인장력을 도입하게 되면 상기 인장형 앵커와 압축형 앵커의 응력분포가 하중분산형태로 동시 발현하기 때문에 동일한 하중으로 긴장이 가능하다. 따라서, 앵커력이 요구되는 해당 지반에 설계값 이상의 앵커력을 확보할 수 있어 연약지반에서의 사면 보강을 최적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인장형 앵커 및 압축형 앵커의 하중 복합재하에 의한 하중 분산으로 깊은 심도의 토사층을 함유한 사면안정 및 보강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인장형 앵커 및 압축형 앵커의 늘음량 관리시에서도 평균값으로 획일화시킬 수 있어 재인장시 초기설계강도에 해당하는 값으로 인장력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인 앵커관리가 가능하다.
셋째, 상기 압축형 앵커 및 인장형 앵커에 커플러 또는 앵커정착체를 설치하여 강연선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심지 지하굴착 및 가시설 분야에서 적용성을 확대할 수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인장형 앵커의 응력 전이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2는 일반적인 압축형 앵커의 응력 전이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3은 일반적인 인장형 하중분산 앵커의 응력전이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4는 일반적인 압축형 하중분산 앵커의 응력전이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인장 및 압축 하중 복합재하가 가능한 배열구조를 갖는 그라운드 앵커의 일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6은 본 발명의 요부인 압축형 앵커에 적용되는 앵커정착체의 구성으로서 2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7은 도6에 도시된 앵커정착체의 평단면도,
도8a 및 도8b는 도5에 도시된 인장형 앵커 및 압축형 앵커의 응력분포도,
도9는 본 발명의 요부인 인장형 앵커에 적용되는 정착앵커 체결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5 내지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인장 및 압축 하중 복합재하가 가능한 배열구조를 갖는 그라운드 앵커는 동일 앵커홀내에 설치된 압축형 앵커와 인장형 앵커의 응력분포를 하중분산형태로 동시 발현시켜 동일한 하중으로 긴장이 가능하고, 늘음량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인장 및 압축 하중 복합재하가 가능한 배열구조를 갖는 그라운드 앵커의 일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요부인 압축형 앵커에 적용되는 앵커정착체의 구성으로서 2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7은 도6에 도시된 앵커정착체의 평단면도이고, 도8a 및 도8b는 도5에 도시된 인장형 앵커 및 압축형 앵커의 응력분포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요부인 인장형 앵커에 적용되는 정착앵커 체결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반의 동일 천공장내의 정착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앵커정착체(12)와, 상기 앵커정착체(12)의 일측에 설치되어 앵커체가 천공경 내에서 한쪽으로 치우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편심방지블록(13)과, 상기 앵커정착체(12)에 연결되며 자유장으로 인출되는 제1 강연선(14)을 구비하여 천공장내에서 그라우트에 압축력을 도입하기 위한 압축형 앵커(2)와; 상기 지반의 동일 천공장내에서 압축형 앵커(2) 일측에 설치되며, 정착장과 자유장에 걸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강연선(16)을 구비하여 그라우트에 인장력을 도입하기 위한 인장형 앵커(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앵커정착체(12)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지수용홈(22a)이 형성된 본체(22)와; 원주분할형태로 이루어진 웨지(24a)와, 웨지(24a)의 내부에 형성된 막이홈(24b) 및 웨지(24a)의 외주면에 형성된 탄성링홈(24c)을 포함하여 본체(22)의 웨지수용홈(22a)에 삽입되며, 제1 강연선(14)의 선단을 파지하는 웨지 조립체(24)와; 상기 웨지조립체(24)의 탄성링홈(24c)에 끼워져 분할 웨지(24a)들을 조합형태로 유지하는 탄성링(26)과; 상기 웨지조립체의 막이홈(24b)에 삽입되어 강연선의 정착해제에 따라 강연선이 선단(정착장측)측으로 튕겨나갈때의 힘을 웨지에 전달하는 막이(28)와; 상기 본체(22)에 결합되며 내면에 암나사홈(30a)이 형성된 캡(30)과; 상기 웨지조립체(24)의 선단면에 위치되며, 제1 강연선(14)의 외부정착 해제에 따른 반력을 받는 헤드(32a)와, 상기 헤드(32a)의 상면에 형성되며 정착이 해제된 강연선의 회전시 캡(30)의 암나사홈(30a)에 체결되는 나사(32b)를 포함하며, 상기 강연선을 물고 있던 웨지조립체(24)의 웨지물림을 해제하는 나사뿔(32)과; 상기 본체(22)의 웨지수용홈(22a)내에 위치되어 인장력 도입시 압축되며, 강연선의 정착력 해제시에 웨지조립체(24)가 본체(22) 밖으로 이탈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34); 및 상기 나사뿔(32)의 나사(32b)에 끼워지며, 초기 웨지조립체(24)시 웨지조립체를 눌러 본체(22)의 웨지수용홈(22a)에 위치된 웨지조립체(24)가 밖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2 스프링(36)을 포함한다.
상기 편심방지블록(13)은 기존 앵커정착체의 형상인 타원형상을 배제하고,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판의 상하측부를 평면으로 가공하고, 좌우측부는 원호면으로 형성한 다수의 디스크판(13a, 13b)을 상호 십자 형태로 교차 배열하여 전체 형상이 원형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편심방지블록(13)은 원형형태로 천공경내에 위치되므로 앵커체가 한쪽으로 편심되는 것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형 앵커(2) 및 인장형 앵커(4)가 하나의 앵커체를 구성하게 되며, 압축형 앵커(2) 및 인장형 앵커(4) 각각의 응력분포는 상호 반대로 발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형 앵커(2) 및 인장형 앵커(4) 각각에 작용되는 응력분포가 조합되어 사각형태의 고른 하중응력분포로 발현된다. 결국, 상기 압축형 앵커(2) 및 인장형 앵커(4)에 가해지는 인장하중이 분산되는 형태로 동시 발현하게 됨으로써 앵커체의 긴장시 동일한 하중으로 긴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압축형 앵커(2) 및 인장형 앵커(4)를 복합한 앵커체가 하중분산형태로 발현됨으로써 상기 앵커체에 긴장력을 도입한 후에 늘음량 관리를 평균값으로 획일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앵커체 설치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생되는 인장하중의 감소를 고려하여 수행되는 재인장시에도 초기 설계 허용인장강도에 해당하는 값으로 정확하게 재인장이 가능하여 효율적인 앵커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효과를 부연하면, 그라우트체는 압축형 부재로서 인장형 앵커의 대표적인 인장응력분포시 그라우트체의 압축강도가 낮은 경우 인장강도 또한 낮아지기 때문에 그라우트체의 파괴가 매우 쉽게 발생한다. 이는 앵커력 확보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은 압축형 내하체가 뒤에서 그라우트체를 밀어 올려 압축응력을 발현시키게 되며, 이로써 그라우트체는 인장응력보다 압축응력을 받게 된다. 즉, 그라우트의 파괴로 인한 앵커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인장형 앵커(4)는 천공장(6) 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정착앵커 연결구(40)를 더 포함하여 정착장 구간에 위치되는 강연선과 자유장부에 위치되는 강연선이 분리 및 조합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이 경우, 상기 정착앵커 연결구(40)는 2구를 하나의 조합으로 하여 두개의 강연선을 장착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1구로 구성된 정착앵커 연결구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정착앵커 연결구(40)는 자유장측 제2 강연선이 연결된 앵커정착체(42)와, 정착장측 제2 강연선(16)이 결합된 커플러(4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앵커정착체(42)는 도6에 도시된 앵커정착체가 그대로 적용되며, 이때 앵커정착체의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병기한다.
상기 정착앵커 연결구(40)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커정착체(12)의 캡(30) 외부에 암나사홈(30b)이 형성되고, 상기 커플러(44)의 외면에 수나산(44a)이 형성되어 캡(30)의 암나사홈(30b)에 커플러(44)가 체결되는 구조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2: 압축형 앵커 4: 인장형 앵커
6: 천공장 12, 42: 앵커정착체
13: 편심방지블록 14: 제1 강연선
16: 제2 강연선 40: 정착앵커 연결구

Claims (7)

  1. 지반의 동일 천공장내의 정착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앵커정착체와, 상기 앵커정착체에 연결되며 자유장으로 인출되는 제1 강연선을 구비하여 천공장내에서 그라우트에 압축력을 도입하기 위한 압축형 앵커;
    상기 지반의 동일 천공장내에서 압축형 앵커 일측에 설치되며, 정착장과 자유장에 걸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강연선을 구비하여 그라우트에 인장력을 도입하기 위한 인장형 앵커; 및
    원형판의 상하측부를 평면으로 가공하고, 좌우측부는 원호면으로 형성한 다수의 디스크판을 상호 십자 형태로 교차 배열하여 전체 형상이 원형을 이루며, 상기 앵커정착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앵커체가 천공경 내에서 한쪽으로 치우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편심방지블록를 포함하되,
    상기 압축형 앵커 및 인장형 앵커의 응력분포가 하중분산형태로 동시 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및 압축 하중 복합재하가 가능한 배열구조를 갖는 그라운드 앵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형 앵커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정착장 구간에 위치되는 제2 강연선과 자유장부에 위치되는 제2 강연선이 분리 및 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착앵커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인장 및 압축 하중 복합재하가 가능한 배열구조를 갖는 그라운드 앵커.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정착체는
    웨지수용홈이 형성된 본체;
    원주분할형태로 이루어진 웨지와, 웨지의 내부에 형성된 막이홈 및 웨지의 외주면에 형성된 탄성링홈을 포함하여 본체의 웨지수용홈에 삽입되며, 강연선의 선단을 파지하는 웨지 조립체; 상기 웨지조립체의 탄성링홈에 끼워져 분할 웨지들을 조합형태로 유지하는 탄성링;
    상기 웨지조립체의 막이홈에 삽입되어 강연선의 정착해제에 따라 강연선이 선단(정착장측)측으로 튕겨나갈때의 힘을 웨지조립체에 전달하는 막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내면에 암나사홈이 형성된 캡;
    상기 웨지조립체의 선단면에 위치되며, 제1 강연선의 외부정착 해제에 따른 반력을 받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상면에 형성되며 정착이 해제된 강연선의 회전시 캡의 암나사홈에 체결되는 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강연선을 물고 있던 웨지조립체의 웨지물림을 해제하는 나사뿔;
    상기 본체의 웨지수용홈내에 위치되어 인장력 도입시 압축되며, 강연선의 정착력 해제시에 웨지조립체가 본체밖으로 이탈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 및
    상기 나사뿔의 나사에 끼워지며, 웨지조립체를 눌러 본체의 웨지수용홈에 위치된 웨지조립체가 밖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2 스프링
    을 포함하는 인장 및 압축 하중 복합재하가 가능한 배열구조를 갖는 그라운드 앵커.
  5. 삭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앵커 연결수단은
    자유장측 제2 강연선이 연결된 앵커정착체 및 상기 앵커정착체에 결합되며 정착장측 제2 강연선이 연결된 커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및 압축 하중 복합재하가 가능한 배열구조를 갖는 그라운드 앵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정착체는
    웨지수용홈이 형성된 본체와; 원주분할형태로 이루어진 웨지와 웨지의 내부에 형성된 막이홈 및 웨지의 외주면에 형성된 탄성링홈을 포함하여 본체의 웨지수용홈에 삽입되며 강연선의 선단을 파지하는 웨지 조립체와; 상기 웨지조립체의 탄성링홈에 끼워져 분할 웨지들을 조합형태로 유지하는 탄성링과; 상기 웨지조립체의 막이홈에 삽입되어 강연선의 정착해제에 따라 강연선이 선단(정착장측)측으로 튕겨나갈때의 힘을 웨지조립체에 전달하는 막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내면 및 상면에 제1 및 제2 암나사홈이 형성된 캡과; 상기 웨지조립체의 선단면에 위치되며 제2 강연선의 외부정착 해제에 따른 반력을 받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상면에 형성되며 정착이 해제된 강연선의 회전시 캡의 암나사홈에 체결되는 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강연선을 물고 있던 웨지조립체의 웨지물림을 해제하는 나사뿔과; 상기 본체의 웨지수용홈내에 위치되어 인장력 도입시 압축되며, 강연선의 정착력 해제시에 웨지조립체가 본체밖으로 이탈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 및 상기 나사뿔의 나사에 끼워지며, 웨지조립체를 눌러 본체의 웨지수용홈에 위치된 웨지조립체가 밖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2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커플러는 캡의 제2 암나사홈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및 압축 하중 복합재하가 가능한 배열구조를 갖는 그라운드 앵커.





KR1020110043759A 2011-05-11 2011-05-11 인장 및 압축 하중 복합재하가 가능한 배열구조를 갖는 그라운드 앵커 KR101374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759A KR101374063B1 (ko) 2011-05-11 2011-05-11 인장 및 압축 하중 복합재하가 가능한 배열구조를 갖는 그라운드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759A KR101374063B1 (ko) 2011-05-11 2011-05-11 인장 및 압축 하중 복합재하가 가능한 배열구조를 갖는 그라운드 앵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166A KR20120126166A (ko) 2012-11-21
KR101374063B1 true KR101374063B1 (ko) 2014-03-13

Family

ID=47511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759A KR101374063B1 (ko) 2011-05-11 2011-05-11 인장 및 압축 하중 복합재하가 가능한 배열구조를 갖는 그라운드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40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506B1 (ko) * 2016-08-05 2018-06-2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 및 이의 안전유지 관리방법
CN111395333B (zh) * 2020-04-21 2024-05-17 中铁西北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适用于高烈度地区的组装式弹性阻尼锚具及其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4937A (ja) * 1994-09-06 1996-03-19 S Ii:Kk ケーブルの定着方法とその装置
KR100435069B1 (ko) * 2001-12-17 2004-06-09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
KR200375568Y1 (ko) * 2004-11-11 2005-03-11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마찰력 및 인장력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
KR100913201B1 (ko) 2008-12-10 2009-08-24 신현택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4937A (ja) * 1994-09-06 1996-03-19 S Ii:Kk ケーブルの定着方法とその装置
KR100435069B1 (ko) * 2001-12-17 2004-06-09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
KR200375568Y1 (ko) * 2004-11-11 2005-03-11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마찰력 및 인장력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
KR100913201B1 (ko) 2008-12-10 2009-08-24 신현택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166A (ko)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7504B2 (en) Anchoring device for filament body made of fiber reinforced plastic
KR101713525B1 (ko) 마찰 지압형 영구앵커
KR101468584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착지지체
KR101374063B1 (ko) 인장 및 압축 하중 복합재하가 가능한 배열구조를 갖는 그라운드 앵커
KR20130113563A (ko) 인장재 교체가 가능한 하중분산형 영구앵커체
KR101471487B1 (ko) 다용도 하중 분산형 그라운드 앵커체
JP7244724B2 (ja) ハイブリッド型永久アンカー
KR101303492B1 (ko) 인장 및 압축 합성응력분포를 발현하는 인장 및 압축 복합앵커
KR101202845B1 (ko) 한 개의 천공홀에 어스앵커와 소일네일링 합성에 의한 지반보강방법
KR20100029437A (ko) 지면 보강을 위한 앵커 및 앵커설치구조
KR100892322B1 (ko) 쐐기형 대나무 네일링 구조체
KR20160066766A (ko) 마찰형 복합 그라운드앵커
KR101825018B1 (ko) 복합형 하중분산 앵커
KR101700794B1 (ko) 양방향 저항 앵커
US8882395B2 (en) Tension dispersion-type complex anchor body with a removable tension memb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KR101158417B1 (ko) 인장재 제거가 가능한 인장분산형 복합앵커체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074085B1 (ko) 인장재 제거가 가능한 인장분산형 복합앵커체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349259B1 (ko) 더블타입 하이브리드 내하체 및 이를 이용한 하중분산형 제거식 앵커 결합 구조
KR100913320B1 (ko) 다기능 복합형 앵커체
KR20130076057A (ko) 다용도 하중 분산형 제거식 앵커
KR101165579B1 (ko) 싱글타입 하이브리드 내하체 및 이를 이용한 하중분산형 제거식 앵커 결합 구조
KR100948051B1 (ko) 확장팩을 이용한 어스앵커
KR102577895B1 (ko) 다용도 하중 분산형 그라운드 앵커체
JP2017193899A (ja) 既設pc床版の拡幅構造
US2965356A (en) Cable pulling and anchoring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