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9437A - 지면 보강을 위한 앵커 및 앵커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지면 보강을 위한 앵커 및 앵커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9437A
KR20100029437A KR1020080088234A KR20080088234A KR20100029437A KR 20100029437 A KR20100029437 A KR 20100029437A KR 1020080088234 A KR1020080088234 A KR 1020080088234A KR 20080088234 A KR20080088234 A KR 20080088234A KR 20100029437 A KR20100029437 A KR 20100029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anchor
wedge body
rod memb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영
오성남
임재승
송훈
장동운
박철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쌍용건설 주식회사
(주)경동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쌍용건설 주식회사, (주)경동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80088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9437A/ko
Publication of KR20100029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4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쐐기작용에 의하여 앵커의 단부가 설치공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마찰지지방식의 앵커에 비하여 천공길이를 줄일 수 있고, 사용되는 재료를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앵커 및 앵커설치구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장력이 작용하는 인장방향으로 점점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쐐기체(10)와, 상기 쐐기체(10)를 외부에서 감싸는 복수개의 분할편(20)이 단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쐐기체(10)의 인장방향 단부에는 긴장봉부재(11)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분할편(20)의 인장방향 단부에는 각각 반력봉부재(21)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긴장봉부재(11)와 상기 반력봉부재(21)의 인장방향 단부에는 지면에 접하게 되는 지압판(3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반력봉부재(21)는 지압판(3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긴장봉부재(11)는, 상기 쐐기체(10)가 인장방향으로 당겨져서 상기 분할편(20)이 벌어짐으로써 분할편(20)이 설치공(2)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지압판(30)에 고정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및 그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앵커, 쐐기체, 긴장, 경사지, 사면안정, 분할편

Description

지면 보강을 위한 앵커 및 앵커설치구조{Anchor and Anchoring Structur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경사지 등의 지면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앵커 및 앵커설치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쐐기작용에 의하여 앵커의 단부가 설치공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마찰지지방식의 앵커에 비하여 천공길이를 줄일 수 있고, 사용되는 재료를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앵커 및 앵커설치구조에 대한 것이다.
특허청구범위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 전반에 있어서, "앵커"라는 용어는 종래의 좁은 의미의 앵커뿐만 아니라, 소일네일, 락볼트, 락 다우얼부재 등과 같이 지반 안정을 위하여 설치되는 인장부재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표면으로부터의 인장력을 지반에 전달시키기 위하여 지중에 영구히 또는 일시적으로 앵커를 설치하게 된다. 통상의 앵커는, 지중에 앵커체를 매립하고 그 주위에 콘크리트 등을 주입하여 그라우팅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앵커는 그라우팅의 지압력 또는 지반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표면으로부터의 인장력을 지지하게 되므로, 충분한 인장력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앵커의 설치를 위한 천공길이가 길어야 하며 그에 따라 사용되는 재료가 많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앵커의 경우, 그라우팅이 양생되어야만 비로소 인장력을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그만큼 앵커 시공에 소요되는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앵커 설치 초기에 지반변위 억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 기술이 가지는 한계 및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따라서, 종래의 단순한 마찰지지 방식의 앵커에 비하여 천공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사용되는 재료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앵커가 구멍 내에서 고정되는 강도 즉, 앵커의 고정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앵커를 고정 설치한 이후에도, 필요한 경우에는 언제든지 쉽게 앵커에 의한 지반 구속력을 더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라우팅 양생까지 기다려야만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지반의 변위를 조기에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이 종래 기술이 가지는 한계 및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인장력이 작용하는 인장방향으로 점점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쐐기체와, 상기 쐐기체를 외부에서 감싸는 복수개의 분할편이 단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쐐기체의 인장방향 단부에는 긴장봉부재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분할편의 인장방향 단부에는 각각 반력봉부재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긴장봉부재와 상기 반력봉부재의 인장방향 단부에는 지면에 의해 지지되는 지압판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반력봉 부재는 지압판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긴장봉부재는, 상기 쐐기체가 인장방향으로 당겨져서 상기 분할편이 벌어짐으로써 분할편이 설치공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지압판에 고정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가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쐐기체는 긴장봉부재의 설치공 방향 단부에서 복수개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분할편은 상기 복수개의 쐐기체 각각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할편에 측면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공에는 관입핀부재가 끼워져 있고; 상기 쐐기체가 당겨지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관입핀부재의 내측 단부는 상기 측면공에서 돌출하여 분할편 내면에 튀어나와 있으며; 상기 쐐기체가 당겨지게 되면 상기 쐐기체가 상기 분할편 내면에 튀어나와 있는 관입핀부재를 측면공으로 밀게 되어 관입핀부재의 외측 단부가 분할편의 외면으로 돌출되어 설치공의 내면 지반에 박히게 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앵커의 설치구조로서, 지반에 설치공이 천공되어 있고; 인장력이 작용하는 인장방향으로 점점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쐐기체와, 상기 쐐기체를 외부에서 감싸는 복수개의 분할편이 단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쐐기체의 인장방향 단부에는 긴장봉부재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분할편의 인장방향 단부에는 각각 반력봉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앵커의 단부가 상기 설치공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긴장봉부재와 상기 반력봉부재의 인장방향 단부에는 지면에 의해 지지되는 지압판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반력봉부재는 지압판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긴장봉부재는, 상기 쐐기체가 인장방향으로 당겨져서 상기 분할편이 벌어 짐으로써 분할편이 설치공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지압판에 고정 정착되어 있고; 상기 설치공 내에는 상기 반력봉부재와 긴장봉부재가 매립되도록 채움재가 채워져 그라우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에서의 앵커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앵커의 단부에 구비된 쐐기체와 분할편의 쐐기 작용에 의하여 분할편이 설치공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앵커가 큰 인발저항력을 가지게 되며, 따라서, 종래의 단순한 마찰지지 방식의 앵커에 비하여 천공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사용되는 재료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앵커가 구멍 내에서 고정되는 강도 즉, 앵커의 고정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앵커를 고정 설치한 이후에도, 필요한 경우에는 언제든지 쉽게 앵커에 의한 지반 구속력을 더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그라우팅 양생까지 기다려야만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지반의 변위를 조기에 억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인장력에 저항하는 인장부재를 긴장봉부재와 반력봉부재로 구분하여 여러 개의 인장부재 형태로 배치하게 되므로, 동일한 면적의 인장부재를 하나로 배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더 큰 휨저항력을 발휘하게 되며, 지반에 휨응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구조적인 안정성 및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1)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앵커(1)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로서, 앵커(1)의 단부가 고정되기 전의 상태(도 3)와, 앵커(1)의 단부가 고정된 상태(도 4)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지중에 고정되는 앵커(1)의 단부에는 앵커(1)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방향, 즉 지면 방향("인장방향")으로 점점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쐐기체(10)와, 상기 쐐기체(10)를 외부에서 감싸는 복수개의 분할편(2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분할편(20)의 내면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쐐기체(10)의 외면에 대응되도록 경사져있고, 상기 분할편(20)의 외면은 지중에 천공된 설치공(2)의 내벽에 맞추어 직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개의 분할편(20)이 쐐기체(10)를 감싸게 되어 있으나, 분할편(20)의 개수는 2개 이상의 복수개로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상기 분할편(20)은 O링과 같은 링부재(22)에 의해 묶여서 쐐기체(10)를 감싸게 된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12로 표시된 공간(12)은 재료 절감과 경량화를 위하여 만들어 놓은 공간으로서, 쐐기체(10)에서 상기한 공간(12)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쐐기체(10)의 인장방향 단부에는 긴장봉부재(11)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분할편(20)의 인장방향 단부에는 각각 반력봉부재(21)가 결합되어 있다. 상 기 긴장봉부재(11)와 쐐기체(10)의 결합, 그리고 상기 분할편(20)과 반력봉부재(21)의 결합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나사 결합으로 되어 있으나 이들의 결합 방식은 위와 같은 나사 결합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용접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긴장봉부재(11)와 상기 반력봉부재(21)의 인장방향 단부에는 지압판(30)이 결합되어, 상기 지압판(30)이 지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고정된다.
위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앵커(1)의 설치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지중에 설치공(2)을 천공한 후에 분할편(20)과 쐐기체(10)로 이루어진 앵커(1)의 단부를 상기 설치공(2) 내에 삽입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앵커(1)의 단부가 설치공(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긴장봉부재(11)와 상기 반력봉부재(21)의 인장방향 단부에는 지압판(30)을 설치하여, 상기 지압판(30)이 지면에 접하도록 한다. 상기 반력봉부재(21)는 지압판(3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반력봉부재(21)의 단부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지압판(30)의 전후면에 각각 너트부재를 위치시켜 상기 반력봉부재(21)가 너트부재에 의해 나사 결합되어 지압판(30)에 조립되는 형태로 고정, 정착되어 있다. 그러나 반력봉부재(21)가 지압판(30)에 고정, 정착되는 구조는 위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기타 다양한 공지의 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긴장봉부재(11)의 단부는 지압판(30)을 관통하게 설치된다. 그러나 앵커(1)의 단부가 설치공(2)에 단순히 삽입되어 있고 아직 정착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긴장봉부재(11)의 단부는 아직 지압판(30)에 고정 정착되지 아니한 상태로 있 게 된다.
이와 같이 앵커(1)의 단부가 설치공(2)에 삽입된 상태에서 긴장봉부재(11)의 인장방향 단부를 당겨서 인장력을 가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긴장봉부재(11)가 당겨지면서 쐐기체(10)도 당겨지게 되고, 쐐기체(10)의 외면과 분할편(20) 내면의 테이퍼진 형상에 의하여, 쐐기체(10)가 당겨짐에 따라 분할편(20)이 벌어지게 되어 분할편(20)의 외면이 설치공(2)의 내면에 밀착하여 고정된다. 즉, 분할편(20)이 벌어져서 분할편(20)이 설치공(2)에 꽉 끼어져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분할편(20)에 의하여 앵커(1)의 단부가 설치공(2) 내에서 고정되도록 긴장봉부재(11)를 당긴 상태에서 긴장봉부재(11)의 인장방향 단부를 지압판(30)에 고정, 정착시킨다.
이와 같이 앵커(1)가 설치된 상태에서 지반의 토압이 작용하게 되면, 위와 같은 쐐기체(10)와 분할편(20)의 정착 작용에 의해 앵커(1)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긴장봉부재(11)에 인장력이 가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앵커(1)가 토압을 지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쐐기체(10)와 분할편(20)의 쐐기 작용에 의하여 분할편(20)이 설치공(2)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앵커(1)가 큰 인발저항력을 가지게 되며, 따라서, 종래의 단순한 마찰지지 방식의 앵커에 비하여 천공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사용되는 재료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긴장봉부재(11)의 인장방향 단부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지압판(30)의 외부에 나사부재(31)를 설치하여 긴장봉부재(11)와 나사결합시켜 지압판(30)에 정착, 고정시킨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나사 부재(31)를 돌리게 되면 긴장봉부재(11)가 당겨져 위와 같이 분할편(20)이 벌어지게 되어 설치공(2)에 고정된다. 이러한 나사부재(31)를 이용한 긴장봉부재(11)의 지압판(30)에서의 긴장, 정착 구조에서는 나사부재(31)의 회전에 의하여 긴장봉부재(11)의 긴장력과 분할편(20)의 벌어지는 정도, 즉 앵커(1) 단부의 설치공(2) 내에서의 고정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앵커(1)를 고정 설치한 이후에도, 필요한 경우에는 언제든지 쉽게 긴장봉부재(11)를 추가 긴장하여 앵커(1)에 의한 지반 구속력을 더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긴장봉부재(11)를 당기고, 그 단부를 지압판(30)에 고정, 정착하는 구조는 위와 같은 나사부재를 이용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공지의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압잭을 이용하여 긴장봉부재(11)를 당길 수 있으며, 기타 공지의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긴장봉부재(11)를 지압판(30)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앵커(1)가 지반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긴장봉부재(11)를 당기기 전 또는 후에 상기 설치공(2) 내에 콘크리트, 무수축 모르타르 등과 같은 채움재(3)를 주입하여 그라우팅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긴장봉부재(11)를 당기기 전에 설치공(2) 내에 채움재를 주입한 후, 채움재가 양생되기 이전에 긴장봉부재(11)를 당길 수 있다. 따라서, 채움재의 양생을 기다리는 데까지의 시간을 낭비하지 아니하여도 무방하므로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앵커(1)가 설치되는 지반의 변위를 조기에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물론, 긴장봉부재(11)를 당겨서 정착한 후에 채움재를 설치공(2)에 주입할 수도 있다.
그라우팅을 위하여 설치공(2)에 주입된 채움재가 경화된 상태에서는 긴장봉부재(11)와 반력봉부재(21)는 모두 순수한 인장력을 받을 뿐만 아니라 휨 하중에 의한 휨인장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지반에 휨응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소일네일과 같이 휨저항이 요구되는 부분의 경우, 본 발명에서는 인장력에 저항하는 인장부재를 긴장봉부재(11)와 반력봉부재(21)로 구분하여 여러 개의 인장부재 형태로 배치하게 되므로, 동일한 면적의 인장부재를 하나로 배치하는 종래의 소일네일에 비하여 더 큰 휨저항력을 발휘하게 되며, 그에 따라 구조적인 안정성 및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 1의 원 A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 및 도 8에는 각각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도 3 및 도 4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분할편(20)에 측면공(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공(23)에는 관입핀부재(24)가 끼워져 있다. 쐐기체(20)가 당겨지지 아니한 도 7의 상태에서 상기 관입핀부재(24)의 내측 단부는 상기 측면공(23)에서 돌출하여 분할편(20) 내면에 튀어나와 있는 상태가 된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긴장봉부재(11)가 당겨짐에 따라 쐐기체(10)도 당겨지면서 쐐기체(10)가 상기 분할편(20) 내면에 튀어나와 있는 관입핀부재(24)를 측면공(23)으로 밀게 되고, 그에 따라 관입핀부재(24)의 외측 단부는 분할편(20)의 외면으로 돌출되어 설치공(2)의 내면 지반에 박히게 된다. 즉, 쐐기체(10)의 이동에 의해 분할편(20)을 벌어져서 분할편(20)이 설치공(2)에 꽉 끼어지는 것에 더하여, 관입핀부재(24)가 설치공(2)의 내면 지박에 박히게 되므로, 설치공(2) 내에서의 분할편(20) 고정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된다. 상기 관입핀부재(24)는 복수개로 구비할 수 있으며, 그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관입핀부재(24)의 내측 단부는 쐐기체(10)가 이동할 때, 용이하게 밀려갈 수 있도록 경사지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와 관련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쐐기체(10)와 분할편(20)의 하나의 세트만이 앵커(1)의 단부에 구비된 실시예를 예시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 쐐기체(10)와 분할편(20)의 세트가 다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도 3 및 도 4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쐐기체(10)와 분할편(20)의 조합이 다단계로 구비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앵커(1)의 내측 단부에서, 긴장봉부재(11)의 단부에는 복수개의 쐐기체(10)가 결합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긴장봉부재(11)의 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2개의 쐐기체(10)가 차례로 나사부에 나사결합하여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긴장봉부재(11)의 단부에 복수개의 쐐기체(10)를 결합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쐐기체(10)의 외면에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 분할편(20)이 감싸게 된다.
긴장봉부재(11)를 당기게 되면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쐐기체(10)도 함께 당겨지면서 각각의 분할편(20)이 벌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분할편(20)이 설치공(2)의 외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쐐기체(10)와 분할편(20)의 세트를 복수로 하여 다단계로 긴장봉부재(11)에 고정, 설치하게 되면 앵커(1) 단부의 설치공(2) 내에서의 고정력이 더욱 증가하게 되고, 그 만큼 설치공(2)의 천공깊이를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쐐기체(10)와 분할편(20)이 2세트를 구비되어 있으나, 2세트 이상의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각 세트의 분할편(20)에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측면공(23)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공(23)에 관입핀부재(24)를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로서, 앵커의 단부가 고정되기 전의 상태(도 3)와, 앵커의 단부가 고정된 상태(도 4)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앵커가 지반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 1의 원 A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도 3 및 도 4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도 3 및 도 4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쐐기체와 분할편의 조합이 다단계로 구비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앵커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앵커 10 : 쐐기체
11 : 긴장봉부재 20 : 분할편
21 : 반력봉부재

Claims (4)

  1. 인장력이 작용하는 인장방향으로 점점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쐐기체(10)와, 상기 쐐기체(10)를 외부에서 감싸는 복수개의 분할편(20)이 단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쐐기체(10)의 인장방향 단부에는 긴장봉부재(11)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분할편(20)의 인장방향 단부에는 각각 반력봉부재(21)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긴장봉부재(11)와 상기 반력봉부재(21)의 인장방향 단부에는 지면에 의해 지지되는 지압판(3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반력봉부재(21)는 지압판(3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긴장봉부재(11)는, 상기 쐐기체(10)가 인장방향으로 당겨져서 상기 분할편(20)이 벌어짐으로써 분할편(20)이 설치공(2)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지압판(30)에 고정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체(10)는 긴장봉부재(11)의 설치공 방향 단부에서 복수개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분할편(20)은 상기 복수개의 쐐기체(10) 각각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편(20)에 측면공(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공(23)에는 관입핀부재(24)가 끼워져 있고;
    상기 쐐기체(20)가 당겨지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관입핀부재(24)의 내측 단부는 상기 측면공(23)에서 돌출하여 분할편(20) 내면에 튀어나와 있으며;
    상기 쐐기체(10)가 당겨지게 되면 상기 쐐기체(10)가 상기 분할편(20) 내면에 튀어나와 있는 관입핀부재(24)를 측면공(23)으로 밀게 되어 관입핀부재(24)의 외측 단부가 분할편(20)의 외면으로 돌출되어 설치공(2)의 내면 지반에 박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4. 지반에 설치공(2)이 천공되어 있고;
    인장력이 작용하는 인장방향으로 점점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쐐기체(10)와, 상기 쐐기체(10)를 외부에서 감싸는 복수개의 분할편(20)이 단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쐐기체(10)의 인장방향 단부에는 긴장봉부재(11)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분할편(20)의 인장방향 단부에는 각각 반력봉부재(21)가 결합되어 있는 앵커(1)의 단부가 상기 설치공(2)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긴장봉부재(11)와 상기 반력봉부재(21)의 인장방향 단부에는 지면에 의해 지지되는 지압판(3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반력봉부재(21)는 지압판(3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긴장봉부재(11)는, 상기 쐐기체(10)가 인장방향으로 당겨져서 상기 분할편(20)이 벌어짐으로써 분할편(20)이 설치공(2)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지압판(30)에 고정 정착되어 있고;
    상기 설치공(2) 내에는 상기 반력봉부재(21)와 긴장봉부재(11)가 매립되도록 채움재(3)가 채워져 그라우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에서의 앵커설치구조.
KR1020080088234A 2008-09-08 2008-09-08 지면 보강을 위한 앵커 및 앵커설치구조 KR201000294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234A KR20100029437A (ko) 2008-09-08 2008-09-08 지면 보강을 위한 앵커 및 앵커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234A KR20100029437A (ko) 2008-09-08 2008-09-08 지면 보강을 위한 앵커 및 앵커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437A true KR20100029437A (ko) 2010-03-17

Family

ID=42179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234A KR20100029437A (ko) 2008-09-08 2008-09-08 지면 보강을 위한 앵커 및 앵커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943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182B1 (ko) * 2010-12-29 2013-07-09 (주)삼우지앤씨 프리스트레스트를 이용한 지반강화 록볼트와 이의 제작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99432B1 (ko) * 2013-02-07 2013-08-29 김철환 톱니형 쐐기를 구비한 스팅식 앵커 및 그 시공방법
KR101474530B1 (ko) * 2013-11-20 2014-12-26 주식회사 세일지오텍 쐐기정착부 작용력에 의한 확장 지압형 앵커체
KR102105104B1 (ko) * 2019-10-17 2020-04-27 (주)헤라비스틸 낙석방지망 지지용 강연선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15492096A (zh) * 2022-09-01 2022-12-20 广西集益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锚固杆体机构及锚固结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182B1 (ko) * 2010-12-29 2013-07-09 (주)삼우지앤씨 프리스트레스트를 이용한 지반강화 록볼트와 이의 제작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99432B1 (ko) * 2013-02-07 2013-08-29 김철환 톱니형 쐐기를 구비한 스팅식 앵커 및 그 시공방법
KR101474530B1 (ko) * 2013-11-20 2014-12-26 주식회사 세일지오텍 쐐기정착부 작용력에 의한 확장 지압형 앵커체
KR102105104B1 (ko) * 2019-10-17 2020-04-27 (주)헤라비스틸 낙석방지망 지지용 강연선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15492096A (zh) * 2022-09-01 2022-12-20 广西集益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锚固杆体机构及锚固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7093B1 (ko) 깊이 조절이 가능한 압입체를 이용한 구조물 인상공법
KR100918771B1 (ko) 마이크로 파일 두부 정착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착방법
CN108138826B (zh) 用于将膨胀锚固件固定在基体上的方法
KR200414856Y1 (ko) 인장재의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한 그라운드 앵커체 구조
KR20100029437A (ko) 지면 보강을 위한 앵커 및 앵커설치구조
KR100783728B1 (ko) 분할된 다단 테이퍼 형상의 지압체를 구비한 앵커체
KR20100022767A (ko) 암반층 정착용 쐐기식 확장형 앵커
KR101633289B1 (ko) 소구경 파일의 두부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존 기초콘크리트의 보강 방법
KR100908085B1 (ko) 지반밀착형 압력식 쏘일 네일 구조 및 이에 의한 지반보강공법
KR101052728B1 (ko) 쐐기웨지를 이용한 제거식 소일네일의 조립구조 및 이에 의해 소일네일을 조립ㆍ제거하는 방법
KR100690014B1 (ko) 나선판을 갖는 강재 구조
KR101202845B1 (ko) 한 개의 천공홀에 어스앵커와 소일네일링 합성에 의한 지반보강방법
KR100929203B1 (ko) 그라우트 분사용 돌출부재를 구비한 지반보강장치
KR101038757B1 (ko) 구조용 강관을 이용한 프리텐션 쏘일네일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47085B1 (ko) 이형철근을 이용한 프리텐션 쏘일네일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92322B1 (ko) 쐐기형 대나무 네일링 구조체
KR100912930B1 (ko) 지면 보강을 위한 앵커 및 앵커시공방법
KR101939020B1 (ko) 기초 배근 연결용 지압유닛 및 이를 적용한 강관 파일의 기초 공법
JP4181192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およびグラウンドアンカー工法
KR101765747B1 (ko) 2단 확장형 네일 앵커 및 그 시공방법
JP2012082680A (ja) 支持要素の領域内でのコンクリート板の補強方法
US11739491B2 (en) Hybrid permanent anchor
KR102225888B1 (ko) 경사면의 최대 확장성을 적용한 쐐기 지압형 앵커
KR100998587B1 (ko)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
JP3810759B2 (ja) 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による既設下部構造物の縁端拡幅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