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8587B1 -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 - Google Patents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587B1
KR100998587B1 KR1020080039159A KR20080039159A KR100998587B1 KR 100998587 B1 KR100998587 B1 KR 100998587B1 KR 1020080039159 A KR1020080039159 A KR 1020080039159A KR 20080039159 A KR20080039159 A KR 20080039159A KR 100998587 B1 KR100998587 B1 KR 100998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hole
holding
compression
wed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3436A (ko
Inventor
장봉환
Original Assignee
(주)서림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림건설 filed Critical (주)서림건설
Priority to KR1020080039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587B1/ko
Publication of KR20090113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58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8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5/4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with enlarged footing or enlargements at the bottom of the pi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6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92Shapes conical or conve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에 관한 것으로, 지반에 천공된 앵커공(A)과, 상기 앵커공 외부 지반에 구비되는 지압수단(40), 상기 지압수단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재(30)와, 상기 앵커공의 외부로부터 내부측 선단부까지 연장되어 그라우팅을 충진토록 형성된 그라우팅 호스(20)와, 상기 인장재의 일측단이 연결고정되어 앵커공 내측에 삽입되고, 앵커공 내측 지반에 쐐기식으로 박혀 인장저항력이 제공되는 영구앵커의 선단정착구에 있어서, 상기 앵커공(A) 내측에 삽입되고, 삽입된 내측 선단의 반대편의 앵커공 외측 일측으로 직경이 축소되도록 테이퍼면(112)이 마련된 콘형부(110)가 형성되고, 직경이 축소되는 일단 중앙에 나사공(114)이 형성된 선단정착 앵커헤드(100)와; 일단에 연결편(210)이 형성되고, 상기 선단정착 앵커헤드(100)의 콘형부(110)의 테이퍼면(112) 둘레로 위치되어 앵커공(A) 축선상의 외측 지반에 확대 고정되는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와; 상기 선단정착 앵커헤드(100)의 나사공(114)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의 연결편(210)에 각각 연결결합되며, 콘형부(110)의 테이퍼면(112)을 따라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가 이동되어 앵커공(A) 지반에 확대 고정되도록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에 탄발력이 인가토록 압축탄성부재(330)가 마련된 탄성정착수단(300); 을 포함하는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에 관한 것이다.
앵커, 선단정착구, 압축탄성부재, 홀딩해제수단.

Description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Multipurpose Fixing Device of permanent anchor}
본 발명은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단정착 앵커헤드 일측으로 홀딩해제수단이 구비된 홀딩부재가 형성되고, 홀딩부재에 쐐기식 확장부재가 구비된 압축부재에 탄성부재가 결합되어 홀딩부재에 압축부재에 의해 탄성부재가 압축되어 홀딩해제수단에 의해 고정결합되며, 외부로부터 압축공기에 의해 홀딩해제수단이 작동되어 탄성부재의 탄발력에 의해 홀딩부재로부터 쐐기식 확장부재가 선단정착구측으로 탄발되고, 탄성부재의 탄발력에 의해 쐐기식 확장부재가 선단정착구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확장되어 앵커의 선단부가 지반에 압착정착되도록 쐐기식으로 박힘으로써, 앵커의 인발에 대한 버팀력이 그라우트 주입 경화전에 이루어질 수 있고, 지반의 상태에 상관없이 즉시 인장이 가능하여 앵커가 앵커공에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이후 강연선이 앵커공의 축선상의 중심부에 위치되어 앵커공의 선단정착구가 삽입된 내부로 그라우팅재를 주입 경화시켜 지반의 붕괴를 막을 수 있도록 지반에 더욱 견고한 인장응력, 전단응력 및 휨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는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구앵커는 암석, 지반의 절개지 등에서 절개면의 붕괴방지를 위한 흙막이공사 및 사면안정, 산사태억제, 빌딩 또는 댐 등과 같은 대형 구조물의 지하수에 의한 부상방지, 지하구조물의 부상방지, 대형 건물의 지하층 토목 공사시 굴착벽면의 붕괴방지 등에 사용된다. 또한, 지진 발생지 등의 건축물이나 대형 철탑, 옹벽 등의 시공시 구축물의 이동이나 왜곡 등의 전도방지 및 캔틸레버(cantilever)의 반력을 위한 시공, 수중공사를 위한 케이슨(Caisson) 침설시의 압입보조 등을 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영구앵커공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붕괴염려가 있는 암석, 지반 등에 천공기를 이용하여 앵커공(A)을 천공하고, 상기 앵커공(A)을 통해 그라우트 호스와 복수개의 인장재(20) 및 선단정착 앵커헤드부(10)를 하나의 유닛으로 마련하여 삽입한다. 다음으로, 앵커공(A)에 삽입된 그라우트 호스를 통해 그라우트(grout)를 주입하며, 주입된 그라우트가 선단정착 앵커헤드부(10)와 함께 일정시간 후, 양생되면 인장재(20)의 다른 한쪽 끝단에 지압수단을 설치하여 정착구를 체결한 후, 강연선 내의 인장재(20)를 별도의 유압장비 등을 사용하여 인장함으로써, 대상 구조물을 안정시키는 것이 일반적 시공방법이다.
이러한 종래의 영구앵커는 그라우팅의 지반압력 또는 지반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표면으로부터의 인장력을 지지하게 된다. 영구앵커공법에서 앵커의 구성요소 는 소요 응력을 발휘하여 인장력을 지반에 전달시키는 기능을 가진 앵커체 정착부, 상기 앵커체가 앵커 두부에서 발휘되는 응력에 의한 인장력을 전달하는 자유인장부 및 소요 응력을 구조물에 작용토록 하는 역할을 가진 앵커 두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앵커체 정착부는 지반과 그라우트, 그라우트와 인장재의 부착저항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종래 영구앵커는 그라우트의 지반압력에 의해 인발에 대한 버팀 강성을 부여하는 것이며, 연약지반, 사면, 암석 등의 지반의 상태에 따라 앵커가 삽입된 앵커공의 주변에는 다수의 절리가 존재한다. 이러한 천공된 앵커공 내의 절리는 외부에서 확인하기란 상당히 힘들다. 즉, 앵커공에 인장재를 삽입하여 그라우트를 주입시, 그라우트는 주입압력에 의해 앵커공 내부에 충진되는 것이다. 따라서, 그라우트가 앵커공에 주입될 때 그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절리측으로 앵커공에서 그라우트가 누출되어 앵커공 내부의 그라우트 충진율이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앵커공 내의 다수의 절리에 의해 그라우트의 충진율이 현저히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지반을 실질적으로 보강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앵커공 내에 발생된 절리가 일부분에만 형성된다 하여도 앵커공 내부의 전체 영역이 하나의 공간이기 때문에 앵커공의 전체 영역에 충진된 그라우트 내부에 공극이 발생되어 실질적인 보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앵커공 내부의 충진된 그라우트의 강도를 측정하기란 상당히 어렵고, 작업시간도 상당히 소요됨으로써 공기의 확대로 인한 시공비 등의 부대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앵커공에 충진되는 그라우트가 절리에 의한 그라우트 내부의 공극 존재상태를 확인하지 못하고 연약지반, 사면보강 등의 앵커공사를 수행하게 됨으로써, 부실시공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의 증대와 지반 붕괴로 인한 대형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영구앵커는 각각의 지반상태에 따른 앵커를 선정해야 하는 불편함과 앵커공에 삽입되는 앵커의 선단 정착부에서 집중적으로 하중이 인가되어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문제점이 발생되어 앵커공을 깊게 천공하여 앵커공에 삽입되는 정착부의 길이가 길게 형성됨으로써, 깊이를 길게 형성하기 위한 앵커공의 작업시간의 증대와 정착부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설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그리고, 앞선 상술한 바와 같이, 영구앵커 인장을 위한 선행작업으로 앵커공 내에 앵커의 내하체 즉 정착장이 지반에 정착되도록 하기 위해 시멘트밀크 그라우팅, 레진, 선단정착앵커를 사용한다. 그러나, 기존의 그라우팅, 레진은 양생시간이 일정시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앵커공 내부의 지반변형이 진행중이거나 용수가 있는 경우 인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선단정착앵커의 경우 그라우팅 주입 전에 곧바로 인장을 수행하게 되면 지압정착되는 선단정착부의 버팀응력이 작아 인장시 앵커공으로부터 일탈되는 문제점이 있어 소요 인장응력을 얻기라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압축공기에 의한 홀딩해제수단의 작동에 따라 압축탄성부재가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에 탄발력을 인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가 앵커공 내의 지중에 빠르고 견고히 고정됨으로써, 지반이 불안정하여 천공 즉시 인장이 필요로 하는 구간 및 용수가 토출되는 지반 등의 지반의 상태와 상관없이 지반에 천공된 앵커공에 삽입하여 그라우팅 주입 전에 즉시 인장이 가능하여 빠르게 앵커를 정착 시공할 수 있고, 앵커시공 품질이 우수하며, 안전성이 높은 앵커시공이 가능한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앵커의 선단부의 정착력을 보강하여 앵커의 전체길이와 지반에 천공되는 앵커공의 천공길이를 줄임으로써, 공기가 단축되고, 공사비가 절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접한 타인의 토지에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여 분쟁의 소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는 지반에 천공된 앵커공(A)과, 상기 앵커공 외부 지반에 구비되는 지압수단(40), 상기 지압수단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재(30)와, 상기 앵커공 의 외부로부터 내부측 선단부까지 연장되어 그라우팅을 충진토록 형성된 그라우팅 호스(20)와, 상기 인장재의 일측단이 연결고정되어 앵커공 내측에 삽입되고, 앵커공 내측 지반에 쐐기식으로 박혀 인장저항력이 제공되는 영구앵커의 선단정착구에 있어서, 상기 앵커공(A) 내측에 삽입되고, 삽입된 내측 선단의 반대편의 앵커공 외측 일측으로 직경이 축소되도록 테이퍼면(112)이 마련된 콘형부(110)가 형성되고, 직경이 축소되는 일단 중앙에 나사공(114)이 형성된 선단정착 앵커헤드(100)와; 일단에 연결편(210)이 형성되고, 상기 선단정착 앵커헤드(100)의 콘형부(110)의 테이퍼면(112) 둘레로 위치되어 앵커공(A) 축선상의 외측 지반에 확대 고정되는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와; 상기 선단정착 앵커헤드(100)의 나사공(114)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의 연결편(210)에 각각 연결결합되며, 콘형부(110)의 테이퍼면(112)을 따라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가 이동되어 앵커공(A) 지반에 확대 고정되도록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에 탄발력이 인가토록 압축탄성부재(330)가 마련된 탄성정착수단(300); 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정착수단(300)은 양측으로 결합공(312)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의 연결편(210)에 일측이 핀 결합되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연결회동바(310)와; 일측으로 상기 연결회동바(310)의 타측 결합공(312)에 핀 결합되고, 타측으로 축선상으로 길게 원통형으로 연장형성된 끼움부(322a)가 마련되며, 상기 끼움부(322a) 타측 일면으로 걸림홈(322b)이 형성된 압축부재(320)와; 상기 압축부재(320)의 끼움부(322a)에 끼움결합되고, 압축부 재(320)와 결합된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측으로 탄발력이 인가토록 마련된 압축탄성부재(330)와; 일측으로 상기 선단정착 앵커헤드(100)의 콘형부(110)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314)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압축부재(320)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압축탄성부재(330)를 압축하여 고정되도록 홀딩해제수단(400)이 형성된 홀딩부재(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쐐기식 확장부재(200)는 일측으로 상기 연결회동바(310)의 양측으로 형성된 결합공(312)에 핀결합되도록 핀공(212)이 형성된 포크형상의 연결편(210)과; 타측으로부터 상기 연결편(210)측으로 두께가 확대형성되고, 외연 일측으로 O-링홈(222)이 형성된 정착편(220)과; 상기 정착편(220)의 O-링홈(222)에 결합되고, 쐐기식 확장부재(200)가 앵커공(A) 축선상의 지반측으로 벌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마련된 O-링(230)과; 상기 정착편(220) 외연으로 앵커공(A) 내측 지중에 정착시 더욱 견고히 정착되도록 마련된 예각을 이룬 다수의 정착돌기(2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압축부재(320)는 일측으로 상기 홀딩해제수단(400)에 의해 걸림결합토록 걸림홈(322b)이 형성되고, 축선상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통형상의 끼움부(322a)와; 타측으로 상기 끼움부(322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압축탄성부재(330)의 일단이 안치되도록 단을 이루고, 외측 외연둘레로 상기 연결회동바(310)의 타측 결합공(312)에 핀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편(324b)이 형성된 안 치헤드부(324a)와; 상기 끼움부(322a) 일단에서 상기 안치헤드부(324a) 타단으로 연통형성된 중공의 슬라이드공(3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압축탄성부재(330)는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가 선단정착 앵커헤드(100)의 콘형부(110)의 테이퍼면(112)을 따라 이동확장되어 앵커공(A) 내측의 지중에 견고히 정착되도록 압축에 의한 탄발력이 작용되는 탄성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홀딩부재(340)는 일측으로 상기 선단정착 앵커헤드(100)의 콘형부(110)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114)에 나사결합되어 일체로 고정되도록 나사산(342b)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342b) 타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압축부재(320)의 슬라이드공(326)에 슬라이딩결합되어 축선상으로 압축부재(320)가 가이드되도록 마련된 원통형의 가이드부(342a)와; 상기 가이드부(342a) 타측으로 연장되고, 가이드부(342a)와 접하는 일면을 따라 상기 압축부재(320)의 타단 일면의 걸림홈(322b)이 홀딩위치상으로 안내결합토록 홀딩안내홈(344b)이 형성되며, 상기 압축부재(320)가 가이드부(342a)상에서 슬라이딩 위치이동되어 압축탄성부재(330)를 압축고정토록 홀딩안내홈(344b) 내연 일측으로 홀딩해제수단(400)이 마련된 홀딩헤드부(344a)와; 상기 가이드부(342a) 일단으로부터 상기 홀딩헤드부(344a) 타단으로 관통형성된 인장재 통공(34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홀딩해제수단(400)은 홀딩헤드부(344a)의 홀딩안내홈(344b) 내연 일측으로 형성되되, 상기 홀딩헤드부(344a)의 가이드부(342a)측 단부면으로 개방된 중공의 실린더(410)와; 상기 실린더(410) 내연으로부터 상기 홀딩안내홈(344b)측으로 연통된 볼승강공(412)과; 앵커공(A) 외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압축공기가 유통되도록 마련된 공기유입관(420)과; 상기 홀딩헤드부(344a)의 가이드부 반대편측 단부면에 상기 실린더(410)와 연통형성되고, 공기유입관(420)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공기유입관 결합부(422)와; 상기 볼승강공(412)에 상하이동가능토록 결합되는 홀딩볼(430)과; 상기 공기유입관(420)으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실린더(410) 내연 전후로 유동가능토록 결합되는 피스톤플러그(440)와; 상기 피스톤플러그(440)의 일측으로 위치되고, 압축공기에 의해 일측으로 유동된 피스톤플러그(440)를 최초위치로 복귀하도록 마련된 복귀스프링(450)과; 상기 피스톤플러그(440)측으로 탄성력이 인가되도록 상기 복귀스프링(450)의 일단이 안치되는 안치홈(462)이 형성되고, 압축공기에 의한 피스톤플러그(440)의 압축이 원할하게 작용토록 실린더(410) 기밀이 유지토록 마련된 실린더 캡(46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피스톤플러그(440)는 원통형의 외연 일면에 복수의 유동홈(442b)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관 결합부(422)측으로 위치되어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압축압력이 직접인가되는 압축플러그(442a)와; 상기 유동홈(442b)에 끼움결합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피스톤플러그(440)가 실린더 내에서 유동시 마찰력이 최소 화 되도록 구비된 무빙볼(444)과; 상기 압축플러그(442a)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압축플러그(442a)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단을 이루며, 상기 피스톤플러그(440)가 압축공기에 의해 실린던캡(460)측으로 유동시 상기 홀딩볼(430)이 볼승강공(412)으로부터 하강되도록 마련된 홀딩볼안착부(446)와; 상기 홀딩볼안착부(446)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복귀스프링(450)의 타단이 안치되는 안치공(448b)이 마련된 복귀플러그(448a);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압축공기에 의해 홀딩해제수단이 작동되고, 홀딩해제수단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압축탄성부재를 압축공기에 의해 홀딩해제수단이 작동 해제됨에 따라 압축탄성부재가 쐐기식 확장부재에 탄발력을 인가하여 앵커공 지중에 빠르고 견고히 정착되도록 함으로써, 지반이 불안정하여 천공 즉시 인장이 필요로 하는 구간 및 용수가 토출되는 지반 등의 지반의 상태와 상관없이 천공된 앵커공에 삽입하여 그라우팅 주입 전에 즉시 인장이 가능하여 빠르게 앵커를 정착 시공할 수 있고, 앵커시공 품질이 우수하며, 안전성이 높은 앵커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앵커의 선단부의 정착력을 보강하여 앵커의 전체길이와 지반에 천공되는 앵커공의 천공길이를 줄임으로써, 공기가 단축되고, 공사비가 절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접한 타인의 토지에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여 분쟁의 소 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의 실시예를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의 전체설치상태를 나타낸 설치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의 전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의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의 홀딩해제수단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의 홀딩해제수단의 피스톤 플러그의 절개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가 정착되기 위해는 통상의 지반 보강시 형성되는 지반에 천공기(도시없음)를 이용하여 천공된 앵커공(A)이 형성되고, 앵커공 외부 지반에 인장응력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지압수단(40)이 형성되며, 지압수단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인장재(30)가 앵커공 내부에 삽입되고, 앵커공의 외부로부터 내부측 선단부까지 연장되어 그라우팅을 충진토록 형성된 그라우팅 호스(20)가 인장재와 함께 앵커공에 삽입구비 되며, 인장재의 일측단이 연결고정되도록 웨지 및 와셔(도시없음)로 견고히 고정되어 앵커공 내측에 삽입되도록 하여 앵커공 내측 지반에 쐐기식으로 박혀 인장저항력이 제공되는 선단정착 앵커헤드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선단정착 앵커헤드를 본 발명의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로 구성하되, 앵커공(A), 그라우팅호스(20), 인장재(30), 지압수단(40)의 구성 및 시공은 종래의 영구앵커를 시공하는 통상의 구성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 구성을 명확히 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정착 앵커헤드(100),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 탄성정착수단(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선단정착 앵커헤드(100)는 앵커공(A) 내측 바닥측으로 삽입되어 위치된다. 이러한 상기 선단정착 앵커헤드(100)의 내측으로는 앞서 상술한 통상의 앵커헤드(10)와 같은 인장재(30) 일측단이 웨지 및 와셔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고, 그 일측으로 완충스프링이 구비되는 통상의 구성을 가진다.
한편, 상기 선단정착 앵커헤드(100)의 통상의 구성의 반대편측 타측으로 진행되는 축선방향으로 직경이 축소되도록 테이퍼면(112)이 마련된 콘형부(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콘형부(110)의 최소직경을 갖는 타측 일단면 중앙으로 나사공(11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나사공(112)는 후술되는 홀딩부재(340)의 일단 이 나사결합되어 연결되되, 나사공(112) 내연의 중공으로 인장재(30)가 관통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는 앵커공(A) 축선상의 외측 지반으로 확대고정되어 인장재(30)의 인장이 가능토록 마련된다. 이러한, 상기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는 연결편(210), 정착편(220), O-링(230), 정착돌기(2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는 전술한 선단정착 앵커헤드(100)의 콘형부(110)의 테이퍼면(112) 외주연 둘레로 대응되어 위치토록 3분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편(210)은 후술되는 탄성정착수단(300)과 연결되어 결합되도록 앵커공(A) 축선상의 바깥측으로 쐐기식 확장부재(200)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편(210)은 후술되는 연결회동바(310)의 양측으로 형성된 결합공(312)과 핀(부호생략)에 의해 핀결합되도록 핀공(212)이 형성된 포크형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정착편(220)은 쐐기식 확장부재(200) 타측으로 형성되어 앵커공(A) 내측 지중에 정착되도록 쐐기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정착편(220)은 타측 끝단으로부터 전술한 상기 연결편(210)측으로 두께가 확대형성된다. 그리고, 정착편(220) 외연 일측으로 O-링홈(222)이 형성된다.
상기 O-링(230)은 전술한 정착편(220)의 O-링홈(222)에 결합되되, 쐐기식 확장부재(220)가 후술되는 탄성정착수단(300)에 의한 탄발력의 작용전에 앵커공(A) 축선상의 지반측으로 벌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상기 O-링(230)은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탄성정착수단(300)에 의한 탄발력의 작용에 따라 쐐기식 확재부재(200)로부터의 결속이 해제토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착돌기(240)는 앵커공(A) 내측 지중에 쐐기식 확장부재(200)가 정착시 인장재(30)의 인장에 따른 더욱 견고한 정착력이 달성되도록 전술한 정착편(220) 외연으로 다수형성된다.
상기 탄성정착수단(300)은 전술한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로 탄발력을 인가하여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가 콘형부(110)의 테이퍼면(112)을 따라 이동되어 선단정착 앵커헤드(100) 외주연 외측으로 확대되어 앵커공(A) 지반에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정착수단(300)은 연결회동바(310), 압축부재(320), 압축탄성부재(330), 홀딩부재(340), 홀딩해제수단(40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회동바(310)는 전술한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와 탄성정착수단(300)이 일체로 연결되어 탄성정착수단(300)의 탄발력이 직접작용토록 마련된다. 이러한, 연결회동바(31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바(bar) 형태로 형성되되, 양측으로 핀(부호생략)에 의해 전술한 쐐기식 확장부재(200)의 연결편(210)의 핀공(212)에 핀결합되고, 후술되는 압축부재(320)에 핀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공(312)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압축부재(320)는 후술되는 압축탄성부재(330)를 압축하여 압축에 따른 압축탄성부재(330)의 탄성력이 쐐기식 확장부재(200)측으로 작용토록 전술한 연결회동바(310)에 의해 일체로 결합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부재(320)는 끼움부(322a), 안치헤드부(324a), 슬라이드공(32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끼움부(322a)는 후술되는 압축탄성부재(330)가 끼움결합되도록 축선상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끼움부(322a)의 타측 일면의 외주연을 따라 후술되는 홀딩해제수단(400)에 의해 압축부재(320)가 걸림결합되도록 걸림홈(322b)이 형성된다.
상기 안치헤드부(324a)는 후술되는 압축탄성부재(330)의 탄발력을 인가받도록 끼움부(322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단을 이루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안치헤드부(324a)의 타측 단부 외주면 둘레로 연결회동바(310)의 타측 결합공(312)에 핀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편(324b)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공(326)은 후술되는 홀딩부재가 슬라이딩결합되는 것으로, 전 술한 끼움부(322a) 일단에서 안치헤드부(324a) 타단으로 연통형성된다.
한편, 상기 압축탄성부재(330)는 압축부재(320)의 끼움부(322a)에 끼움결합되고, 압축부재(320)와 결합된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측으로 탄발력이 인가토록 구성된다. 여기서, 압축탄성부재(330)는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가 선단정착 앵커헤드(100)의 콘형부(110)의 테이퍼면(112)을 따라 이동확장되어 앵커공(A) 내측의 지중에 견고히 정착되도록 압축에 의한 탄발력이 작용되는 탄성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딩부재(340)는 압축탄성부재(330)이 끼움결합되어 압축부재(320)에 의해 압축시, 압축탄성부재(330)의 탄발력이 곧바로 인가되지 않고 사용자의 원하는 시점에서 압축탄성부재(330)의 압축 탄발력이 작용하여 쐐기식 확장부재(200)로 인가토록 마련된다. 이러한, 홀딩부재(340)는 가이드부(342a), 홀딩헤드부(344a), 홀딩해제수단(400)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342a)는 일측으로 선단정착 앵커헤드(100)의 콘형부(110)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114)에 나사결합되어 일체로 고정되도록 나사산(342b)이 형성된다. 그리고, 나사산(342b) 타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압축부재(320)의 슬라이드공(326)에 슬라이딩결합되어 축선상으로 압축부재(320)가 가이드되도록 원통형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가이드부(342a)의 일단이 선단정착 앵커헤드(100)와 나사결 합됨으로써, 압축탄성부재(330)의 탄발력이 앵커공(A)의 외측 지압수단(40)측으로 작용하지 않고, 선단정착 앵커헤드(100)의 콘형부(110) 둘레로 위치된 쐐기식 확장부재(200)측으로 인가된다.
상기 홀딩헤드부(344a)는 전술한 가이드부(342a) 보다 지경이 확대형성되어 단을 이룸으로써, 압축부재(320)에 끼움결합된 압축탄성부재(330)의 압축에 따른 지지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선단정착 앵커헤드(100)와 나사결합된 가이드부(342a)의 홀딩부재(340)가 고정결합됨으로써, 압축부재(200)에 의해 홀딩헤드부(344a)측으로 압축되는 압축탄성부재(330)가 앵커공(A) 외측 지압수단(40)측으로의 탄발력의 작용없이 원활하게 압축이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홀딩헤드부(344a)는 전술한 가이드부(342a) 타측으로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부(342a)와 접하는 일면을 따라 압축부재(320)의 타단 일면에 형성된 걸림홈(322b)이 홀딩위치상으로 안내결합토록 홀딩안내홈(344b)이 형성된다. 또한, 압축부재(320)가 가이드부(342a)상에서 슬라이딩 위치이동되어 압축탄성부재(330)를 압축고정토록 홀딩안내홈(344b) 내연 일측으로 홀딩해제수단(400)이 마련된다.
여기서, 홀딩해제수단(400)은 전술한 압축부재(320)가 가이드부(342a) 상에 서 홀딩헤드부(344a) 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압축탄성부재(330)를 압축후, 압축력이 해제되지 않도록 압축부재(320)의 끼움부(322a) 타단 외연둘레에 형성된 걸림홈(322b)에 걸림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즉, 압축부재(320)가 압축탄성부재(330)을 압축한 상태로 가이드부(342a)상에서 유지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앵커공(A)의 삽입위치에서 탄발력이 작용토록 압축부재(320)의 걸림홈(322b)을 통해 홀딩해제수단으로 수행하게 된다.
상기 인장재 통공(346)은 앵커공(A)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는 인장재(30)가 선단정착 앵커헤드(100)에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인장재 통공(346)은 가이드부(342a) 일단으로부터 홀딩헤드부(344a) 타단으로 관통형성된다. 즉, 인장재(30)는 홀딩헤드부(344a) 중앙으로 형성된 인장재 통공(346)을 통해 가이드부(342a) 끝단 중앙으로 관통되어 선단정착 앵커헤드(100)에 결합됨으로써, 쐐기식 확장부재(200)에 의한 선단정착 앵커헤드(100)의 정착에 따라 앵커공(A) 외측에서 인장재의 인장이 가능하다.
한편, 앞서 잠시 언급한 상기 홀딩해제수단(4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부재(320)에 의해 압축탄성부재(330)의 압축에 따른 탄성력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상기 홀딩해제수단(400)은 전술한 홀딩헤드부(344a)의 홀딩안내홈(344b) 내연 일측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홀딩해제수단(400)은 실린더(410), 공기유입관(420), 홀링볼(430), 피스톤플러그(440), 복귀스프링(450), 실린더 캡(46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410)는 홀딩헤드부(344a)의 가이드부(342a)측 일면 일측으로 개방된 중공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압축부재(320)의 걸림홈(322b)에 걸림되는 후술되는 홀링볼(430)이 결합되어 상하로 유동토록 마련된 볼승강공(412)이 실린더(410) 내연으로부터 홀딩안내홈(344b)측으로 연통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입관(420)은 앵커공(A) 외부로부터 압축공기가 유통되도록 홀딩헤드부(344a)의 앵커공(A) 외부측 일면측으로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앵커공(A)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유입관(420)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공기유입관 결합부(422)가 홀딩헤드부(344a)의 가이드부 반대편측 단부면 일측으로 전술한 실린더(410)와 연통형성된다.
상기 홀링볼(430)은 구형으로 형성되고, 볼승강공(412)에 상하이동가능토록 결합된다. 여기서, 홀링볼(430)은 볼승강공(412)에 결합시, 홀링볼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절반 이하만이 홀딩안내홈(344b) 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스톤플러그(4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공기유입관(420)으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실린더(410) 내연 전후로 유동가능토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피스톤플러그(440)는 압축플러그(442a), 무빙볼(444), 홀딩볼 안착부(446), 복귀플러그(448a) 로 나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플러그(442a)는 공기유입관(420)으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가 실린더(410)측으로 이송되어 압축압력을 직접 전달받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플러그(422a)는 원통형으로 실린더(410)의 내주연에 대응되되, 압축플러그(422a)의 외연 일면에 복수의 유동홈(442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입관 결합부(422)측으로 위치된다.
상기 무빙볼(444)은 전술한 압축플러그(442a)의 외주면에 형성된 유동홈(442b)에 끼움결합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피스톤플러그(440)가 실린더 내에서 유동시 마찰력이 최소화 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홀딩볼안착부(446)는 압축플러그(442a)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압축플러그(442a)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단을 이룬다. 여기서, 피스톤플러그(440)의 전술한 압축플러그(442a)가 압축공기에 의해 후술되는 실린던캡(460)측으로 유동시 압축부재(320)의 걸림홈(322b)에 걸림결합되어 위치된 홀딩볼(430)이 볼승강공(412)으로부터 하강되어 압축부재(320)가 홀딩해제수단(400)으로부터 홀딩이 해제토록 마련된다.
상기 복귀플러그(448a)는 홀딩볼안착부(446)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후술되 는 복귀스프링(450)의 타단이 안치되는 안치공(448b)이 마련된다. 여기서, 복귀플러그(448a)는 후술되는 복귀스프링(450)의 탄성력에 의해 공기유입관 결합부(422)측으로 피스톤플러그(440)가 복귀토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복귀스프링(450)은 피스톤플러그(440)의 복귀플러그(448a) 일측으로 위치된다. 그리고, 공기유입관(420)을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에 의해 일측으로 유동된 피스톤플러그(440)를 최초위치로 복귀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실린더 캡(460)은 복귀스프링(450)에 의해 피스톤플러그(440)가 공기유입관(420)측으로 탄성력이 인가되도록 복귀스프링(450)의 일단이 안치지지 및 압축공기의 압축압력이 정상적으로 인가되도록 기밀을 유지토록 마련된다. 여기서, 실린더 캡(460)의 복귀스프링(450) 측 일면 중앙으로는 복귀스프링이 안치지지되도록 안치홈(462)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의 작용 및 효과를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는 먼저 인장재(30)가 결합된 선단정착 앵커헤드(100)의 콘형부(110)의 테이퍼면(112) 외연둘레로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를 위치시킨다. 이후, 다수의 쐐기식 확장 부재(200)의 일측으로 형성된 포크형상의 연결편(210)의 핀공(212)에 연결회동바(310)의 타단에 형성된 결합공(312)을 대응시켜 핀결합한다.
다음으로, 연결회동바(310)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공(312)을 탄성정착수단(300)의 압축부재(320)의 타측 안치헤드부(324a)의 외면둘레측으로 형성된 다수의 결합편(324b)에 대응하여 핀결합한다. 이와같이, 연결회동바(310)에 의해 탄성정착수단(300)의 압축부재(320)와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를 일체로 결합한 후, 앵커공(A)에 삽입전에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쐐기식 확장부재(200)의 외연에 형성된 O-링홈(222)에 O-링(230)을 결합한다.
다음으로, 압축탄성부재(330)를 압축부재(320)의 끼움부(322a)의 외주연 둘레로 위치토록 끼움결합한다. 이후, 압축탄성부재(330)가 끼움결합된 압축부재(320)의 슬라이드공(326)을 홀딩부재(340)의 가이드부(342a) 외연에 대응하여 슬라이등 결합한다.
다음으로, 압축부재(320)와 압축탄성부재(330)이 결합된 홀딩부재(340)의 가이드부(342a)의 타측 끝단에 형성된 나사산(342b)을 선단정착 앵커헤드(100)의 콘형부(110) 일단 중앙으로 형성된 나사공(114)에 대응하여 나사결합함으로써, 홀딩부재(340)와 선단정착 앵커헤드(100)를 일체로 완성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구성이 결합된 후, 압축부재(320)를 가이드부(342a) 상에서 홀딩헤드부(344a)의 홀딩안내홈(344b) 측으로 가이드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렇게, 압축부재(320)를 가이드부(322a) 상에서 이동하게되면 압축부재(320)의 끼움부(322a)에 끼움결합한 안치헤드부(324a)와 홀딩헤드부(344a) 사이에 위치된 압축탄성부재(330)는 압축된다.
따라서, 압축부재(320)를 홀딩부재(340)의 가이드부(342a)상에서 계속해서 슬라이딩이동하게되면 압축탄성부재(330)는 계속해서 압축하다가 더이상 압축하지 않는 한계점에 도달한다. 이와 같은 압축탄성부재(330)가 압축한계에 도달되는 위치를 설계하여 압축부재(320)의 끼움부(322a)의 길이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끼움부(322a)의 일단을 홀딩헤드부(344a)의 홀딩안내홈(344b) 내측으로 삽입한다.
다음으로, 압축부재(320)의 끼움부(322a) 일단이 홀딩안내홈(344b)으로 삽입한 후, 홀딩헤드부(344a)에 구비된 홀딩해제수단(400)에 압축부재(320)가 걸림결합되어 압축탄성부재(330)가 압축된 상태로 홀딩한다.
여기서, 홀딩안내홈(344b)의 내연측으로 연통된 볼승강공(412)을 통해 홀딩볼(430)이 홀딩안내홈(344b) 측으로 돌출된다. 즉, 실린더(410) 내부에 구비된 피스톤플러그(440)에 의해 볼승강공(412)의 홀딩안내홈(344b) 측으로 홀딩볼(430)이 돌출되어 홀딩안내홈(344b)을 따라 삽입되는 압축부재(320)의 끼움부(322a) 일단에 형성된 걸림홈(322b)상에 걸림결합한다.
이와 같이, 걸림홈(322b) 상에 걸림결합된 홀딩볼(430)은 지속적으로 탄성력을 홀딩해제수단(400)의 공기유입관결합부(422)측의 실린더(410) 내측으로 인가하는 복귀스프링(450)에 의해 실린더(410) 내측으로 하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결합된 본 발명의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를 이용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공(A)에 삽입한다. 이후, 최초 쐐기식 확장부재(200)가 O-링에 의해 앵커공(A)의 내측 지중으로 벌어지는 것이 방지된 상태에서 삽입하여 정착위치에 도달하게되면 외부로부터 컴프레서(도시없음) 등에 의해 압축공기를 홀딩헤드부(344a)에 구비된 홀딩해제수단(400)의 공기유입관 결합부(422)에 일단이 결합된 공기유입관(420)을 통해 유입한다.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입관(420)을 통해 공기유입관 결합부(422)측으로 유입된 압축공기는 실린더(410)측으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이동된 압축공기는 강한압력으로 실린더(410)의 내부에 위치된 피스톤플러그(440)의 압축플러그(442a)의 일면에 접촉한다. 이후, 압축공기는 계속해서 실린더(410) 측으로 유입되고, 복귀스프링의 탄성력보다 높은 압력이 발생되면 피스톤플러그(440)는 서서히 실린더(410) 내에서 무빙볼(444)에 의해 마찰 력이 최소화된 상태로 부드럽게 이동한다.
다음으로, 피스톤플러그(440)가 실린더(410) 내에서 이동하면, 피스톤플러그(440)의 압축플러그(442a)의 타측으로 연장형성된 홀딩볼안착부(446)도 함께 이동한다. 여기서, 최초 홀딩볼(430)은 피스톤플러그(440)의 복귀플러그(448a)의 외주면상에 접하여 홀딩안내홈(344b)측으로 일부가 돌출되어 압축부재(320)를 홀딩한 상태이다.
따라서, 홀딩볼안차부(446)이 이동됨과 함께 그 후단에 연결된 복귀플러그(448a)도 실린더캡(460)측으로 위치이동한다. 이렇게 이동하는 피스톤플러그(440)에 의해 복귀플러그(448a)의 외주면상에 위치된 홀딩볼(430)은 서서히 복귀플러그(448a)에 의해 회전이동한다.
이후, 압축공기에 의해 피스톤플러그(440)이 최종 홀딩해제점에 도달하게되면 복귀플러그(448a)의 외주면상에서 홀딩볼안착부(446)측으로 홀딩볼(430)이 하강한다. 이렇게 하강한 홀딩볼(430)은 압축부재(320)의 걸림홈(322b)으로부터 이탈하고 그로 인해 압축부재(320)가 홀딩해제수단(400)으로부터 해제된다.
이후, 홀딩해제수단(400)으로부터 해제된 압축부재(320)는 압축한계점으로 압축된 압축탄성부재(330)가 원상태로 복원되려는 탄발력이 압축부재(320)의 안치 헤드부(324a)측으로 작용한다.
이후, 안치헤드부(324a)측으로 작용하는 탄발력은 홀딩부재(340)의 가이드부(342a)상에 슬라이딩결합된 압축부재(320)를 선단정착 앵커헤드(100)측으로 가이드이송하여 축선방향의 직선상으로 빠르게 이송한다.
이후, 압축부재(320)의 안치헤드부(324a)의 결합편(324b)에 결합한 연결회동바(310)의 타측으로 결합된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도 축선방향의 직선상으로 압축탄성부재(330)의 탄발력에 의해 빠르게 이동하는 압축부재(320)와 함께 이동한다.
다음으로, 압축탄성부재(330)의 탄발력을 인가받은 쐐기식 확장부재(2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정착 앵커헤드(100)의 콘형부(110)의 테이퍼면(112)을 따라 앵커공(A) 내측 지중으로 확대되면서 견고히 고정한다. 여기서, 쐐기식 확장부재(200)는 압축탄성부재(330)의 탄발력에 의해 빠르게 확대됨으로써,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O-링은 일정각도이상 벌어지는 쐐기식 확장부재(200)에 의해 결속이 해제된다. 또한, 앵커공(A)의 지중으로 확대고정되는 쐐기식 확장부재(200)의 정착편(220) 외연에 구비된 다수의 정착돌기(240)에 의해 그라우팅 전에 인장시, 지중에 더욱 견고히 쐐기식 확장부재(200)이 고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압축탄성부재(330)의 탄발력에 의해 쐐기식 확장부재(200)가 앵커공(A)의 지중에 결합함으로써, 시공이 어려운 곳에도 용이하게 정착이 가능한 것은 자명한 것이며, 영구앵커 이외에도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영구앵커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의 전체설치상태를 나타낸 설치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의 홀딩해제수단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의 홀딩해제수단의 피스톤 플러그의 절개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선단정착 앵커헤드 20 : 그라우팅 호스
30 : 인장재 40 : 지압수단
100 : 선단정착 앵커헤드 110 : 콘형부
112 : 테이퍼면 114 : 나사공
200 : 쐐기식 확장부재 210 : 연결편
212 : 핀공 220 : 정착편
222 : O-링홈 230 : O-링
240 : 정착돌기 300 : 탄성정착수단
310 : 연결회동바 312 : 결합공
320 : 압축부재 322a : 끼움부
322b : 걸림홈 324a : 안치헤드부
324b : 결합편 326 : 슬라이드공
330 : 압축탄성부재 340 : 홀딩부재
342a : 가이드부 342b : 나사선
344a : 홀딩헤드부 344b : 홀딩안내홈
346 : 인장재통공 400 : 홀딩해제수단
410 : 실린더 412 : 볼승강공
420 : 공기유입관 422 : 공기유입관 결합부
430 : 홀딩볼 440 : 피스톤플러그
442a : 압축플러그 442b : 유동홈
444 : 무빙볼 446 : 홀딩볼안착부
448a : 복귀플러그 448b : 안치공

Claims (8)

  1. 지반에 천공된 앵커공(A)과, 상기 앵커공 외부 지반에 구비되는 지압수단(40), 상기 지압수단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재(30)와, 상기 앵커공의 외부로부터 내부측 선단부까지 연장되어 그라우팅을 충진토록 형성된 그라우팅 호스(20)와, 상기 인장재의 일측단이 연결고정되어 앵커공 내측에 삽입되고, 앵커공 내측 지반에 쐐기식으로 박혀 인장저항력이 제공되는 영구앵커의 선단정착구에 있어서,
    상기 앵커공(A) 내측에 삽입되고, 삽입된 내측 선단의 반대편의 앵커공 외측 일측으로 직경이 축소되도록 테이퍼면(112)이 마련된 콘형부(110)가 형성되고, 직경이 축소되는 일단 중앙에 나사공(114)이 형성된 선단정착 앵커헤드(100)와;
    일단에 연결편(210)이 형성되고, 상기 선단정착 앵커헤드(100)의 콘형부(110)의 테이퍼면(112) 둘레로 위치되어 앵커공(A) 축선상의 외측 지반에 확대 고정되는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와;
    상기 선단정착 앵커헤드(100)의 나사공(114)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의 연결편(210)에 각각 연결결합되며, 콘형부(110)의 테이퍼면(112)을 따라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가 이동되어 앵커공(A) 지반에 확대 고정되도록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에 탄발력이 인가토록 압축탄성부재(330)가 마련된 탄성정착수단(300); 을 포함하는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정착수단(300)은
    양측으로 결합공(312)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의 연결편(210)에 일측이 핀 결합되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연결회동바(310)와;
    일측으로 상기 연결회동바(310)의 타측 결합공(312)에 핀 결합되고, 타측으로 축선상으로 길게 원통형으로 연장형성된 끼움부(322a)가 마련되며, 상기 끼움부(322a) 타측 일면으로 걸림홈(322b)이 형성된 압축부재(320)와;
    상기 압축부재(320)의 끼움부(322a)에 끼움결합되고, 압축부재(320)와 결합된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측으로 탄발력이 인가토록 마련된 압축탄성부재(330)와;
    일측으로 상기 선단정착 앵커헤드(100)의 콘형부(110)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314)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압축부재(320)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압축탄성부재(330)를 압축하여 고정되도록 홀딩해제수단(400)이 형성된 홀딩부재(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식 확장부재(200)는
    일측으로 상기 연결회동바(310)의 양측으로 형성된 결합공(312)에 핀결합되도록 핀공(212)이 형성된 포크형상의 연결편(210)과;
    타측으로부터 상기 연결편(210)측으로 두께가 확대형성되고, 외연 일측으로 O-링홈(222)이 형성된 정착편(220)과;
    상기 정착편(220)의 O-링홈(222)에 결합되고, 쐐기식 확장부재(200)가 앵커공(A) 축선상의 지반측으로 벌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마련된 O-링(230)과;
    상기 정착편(220) 외연으로 앵커공(A) 내측 지중에 정착시 더욱 견고히 정착되도록 마련된 예각을 이룬 다수의 정착돌기(2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재(320)는 일측으로 상기 홀딩해제수단(400)에 의해 걸림결합토록 걸림홈(322b)이 형성되고, 축선상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통형상의 끼움부(322a)와;
    타측으로 상기 끼움부(322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압축탄성부재(330)의 일단이 안치되도록 단을 이루고, 외측 외연둘레로 상기 연결회동바(310)의 타측 결합공(312)에 핀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편(324b)이 형성된 안치헤드부(324a)와;
    상기 끼움부(322a) 일단에서 상기 안치헤드부(324a) 타단으로 연통형성된 중 공의 슬라이드공(3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탄성부재(330)는 다수의 쐐기식 확장부재(200)가 선단정착 앵커헤드(100)의 콘형부(110)의 테이퍼면(112)을 따라 이동확장되어 앵커공(A) 내측의 지중에 견고히 정착되도록 압축에 의한 탄발력이 작용되는 탄성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재(340)는 일측으로 상기 선단정착 앵커헤드(100)의 콘형부(110)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114)에 나사결합되어 일체로 고정되도록 나사산(342b)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342b) 타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압축부재(320)의 슬라이드공(326)에 슬라이딩결합되어 축선상으로 압축부재(320)가 가이드되도록 마련된 원통형의 가이드부(342a)와;
    상기 가이드부(342a) 타측으로 연장되고, 가이드부(342a)와 접하는 일면을 따라 상기 압축부재(320)의 타단 일면의 걸림홈(322b)이 홀딩위치상으로 안내결합토록 홀딩안내홈(344b)이 형성되며, 상기 압축부재(320)가 가이드부(342a)상에서 슬라이딩 위치이동되어 압축탄성부재(330)를 압축고정토록 홀딩안내홈(344b) 내연 일측으로 홀딩해제수단(400)이 마련된 홀딩헤드부(344a)와;
    상기 가이드부(342a) 일단으로부터 상기 홀딩헤드부(344a) 타단으로 관통형성된 인장재 통공(34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해제수단(400)은 홀딩헤드부(344a)의 홀딩안내홈(344b) 내연 일측으로 형성되되,
    상기 홀딩헤드부(344a)의 가이드부(342a)측 단부면으로 개방된 중공의 실린더(410)와;
    상기 실린더(410) 내연으로부터 상기 홀딩안내홈(344b)측으로 연통된 볼승강공(412)과;
    앵커공(A) 외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압축공기가 유통되도록 마련된 공기유입관(420)과;
    상기 홀딩헤드부(344a)의 가이드부 반대편측 단부면에 상기 실린더(410)와 연통형성되고, 공기유입관(420)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공기유입관 결합부(422)와;
    상기 볼승강공(412)에 상하이동가능토록 결합되는 홀딩볼(430)과;
    상기 공기유입관(420)으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실린더(410) 내연 전후로 유동가능토록 결합되는 피스톤플러그(440)와;
    상기 피스톤플러그(440)의 일측으로 위치되고, 압축공기에 의해 일측으로 유동된 피스톤플러그(440)를 최초위치로 복귀하도록 마련된 복귀스프링(450)과;
    상기 피스톤플러그(440)측으로 탄성력이 인가되도록 상기 복귀스프링(450)의 일단이 안치되는 안치홈(462)이 형성되고, 압축공기에 의한 피스톤플러그(440)의 압축이 원할하게 작용토록 실린더(410) 기밀이 유지토록 마련된 실린더 캡(46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플러그(440)는 원통형의 외연 일면에 복수의 유동홈(442b)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관 결합부(422)측으로 위치되어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압축압력이 직접인가되는 압축플러그(442a)와;
    상기 유동홈(442b)에 끼움결합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피스톤플러그(440)가 실린더 내에서 유동시 마찰력이 최소화 되도록 구비된 무빙볼(444)과;
    상기 압축플러그(442a)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압축플러그(442a)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단을 이루며, 상기 피스톤플러그(440)가 압축공기에 의해 실린던캡(460)측으로 유동시 상기 홀딩볼(430)이 볼승강공(412)으로부터 하강되도록 마련된 홀딩볼안착부(446)와;
    상기 홀딩볼안착부(446)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복귀스프링(450)의 타 단이 안치되는 안치공(448b)이 마련된 복귀플러그(448a);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
KR1020080039159A 2008-04-28 2008-04-28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 Active KR100998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159A KR100998587B1 (ko) 2008-04-28 2008-04-28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159A KR100998587B1 (ko) 2008-04-28 2008-04-28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436A KR20090113436A (ko) 2009-11-02
KR100998587B1 true KR100998587B1 (ko) 2010-12-07

Family

ID=41554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159A Active KR100998587B1 (ko) 2008-04-28 2008-04-28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5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124B1 (ko) 2018-05-11 2019-03-11 유세진 지반보강공법의 연암용 선단정착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5028B1 (ko) 2015-08-27 2016-03-22 주식회사 화랑기초 개선된 구조의 영구앵커 공법용 선단정착앵커
CN107524463A (zh) * 2017-09-11 2017-12-29 李顺良 一种涨壳式中空锚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118B1 (ko) 2002-07-05 2005-05-09 최영근 압축확장 지압형 어스앵커 정착체
KR100749012B1 (ko) 2007-04-30 2007-08-13 (주)서림건설 쐐기식 선단정착 앵커세트
KR100864084B1 (ko) 2008-07-15 2008-10-16 주식회사 대덕지질 스프링의 압축력을 이용한 정착부 팽창 가압식 앵커 및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118B1 (ko) 2002-07-05 2005-05-09 최영근 압축확장 지압형 어스앵커 정착체
KR100749012B1 (ko) 2007-04-30 2007-08-13 (주)서림건설 쐐기식 선단정착 앵커세트
KR100864084B1 (ko) 2008-07-15 2008-10-16 주식회사 대덕지질 스프링의 압축력을 이용한 정착부 팽창 가압식 앵커 및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124B1 (ko) 2018-05-11 2019-03-11 유세진 지반보강공법의 연암용 선단정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436A (ko) 2009-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589B1 (ko) 락볼트의 다목적 선단정착구
KR100749012B1 (ko) 쐐기식 선단정착 앵커세트
WO2008084900A1 (en) Soil nail anchor
JP2012500346A (ja) ロックアンカーケーブル
KR101605028B1 (ko) 개선된 구조의 영구앵커 공법용 선단정착앵커
KR100861938B1 (ko) 연약지반 보강 앵커 및 상기 앵커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98588B1 (ko) 소일네일링의 다목적 네일선단정착구
KR100934274B1 (ko) 지압식 소일 네일 및 이 시공방법
KR100998587B1 (ko)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
RU2317374C1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анкеров и используемый в этом способе анкер
KR100797800B1 (ko) 영구앵커의 선단정착구
KR101488721B1 (ko) 지중 앵커파일의 구근확장방법 및 상기 방법에 사용되는 구근확장장치
KR100666678B1 (ko) 선단지지 라운드 플레이트를 가지는 마이크로파일
KR101017412B1 (ko) 마찰 지압형 영구 앵커 및 이 시공 방법
KR100912482B1 (ko) 이중 날개형 앵커
CN211816217U (zh) 预应力中空锚杆加固系统
KR101202845B1 (ko) 한 개의 천공홀에 어스앵커와 소일네일링 합성에 의한 지반보강방법
KR20100029437A (ko) 지면 보강을 위한 앵커 및 앵커설치구조
KR100871467B1 (ko) 지압형 앵커 및 이 시공방법
KR100892322B1 (ko) 쐐기형 대나무 네일링 구조체
KR101222477B1 (ko) 파쇄대 지반에서도 인장이 가능한 확공지압형 앵커
KR101000569B1 (ko) 도로 및 단지의 사면보강 네일링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보강 공법
KR102054994B1 (ko) 원통 쐐기형 지반 보강용 앵커 및 이의 방법
KR100830927B1 (ko) 사면보강방법 및 사면보강재
KR101030341B1 (ko) 양방향 확장형 지반 보강 장치 및 이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