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201B1 -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 Google Patents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201B1
KR100913201B1 KR1020080124966A KR20080124966A KR100913201B1 KR 100913201 B1 KR100913201 B1 KR 100913201B1 KR 1020080124966 A KR1020080124966 A KR 1020080124966A KR 20080124966 A KR20080124966 A KR 20080124966A KR 100913201 B1 KR100913201 B1 KR 100913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fastening
auxiliary
head
tens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택
Original Assignee
신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택 filed Critical 신현택
Priority to KR1020080124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6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에 있어서, 테이퍼공(112)을 형성한 메인헤드(110)와, 상기 메인헤드(110)의 테이퍼공(112)에 가이드되어 인장재(11)를 협지하여 고정시키는 분할된 메인웨지(120)와, 상기 메인웨지(120)와 인장재(11)의 단부를 결합하는 고정구(130)와, 상기 고정구(130)의 전단에 결합하되 고정구(130)를 관통시키는 캡(140)과, 상기 캡(140)의 앞측에 결합하되 테이퍼공(152)을 형성한 보조헤드(150)와, 상기 보조헤드(150)의 내부에 삽입하는 보조웨지(160), 및 상기 보조헤드(150)의 전단에 결합하는 웨지캡(170)으로 구성하므로 인장재를 가압하여 인장재의 결합상태를 간편하게 해제시켜 이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장재의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하여 인장재를 간편하고 편리하게 분리 및 재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현장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라운드, 앵커체, 제거

Description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Removable Ground Anchor Body}
본 발명은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압하여 지중에서 앵커체를 지지하는 웨지의 결합상태를 간편하게 해제하여 앵커체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라운드 앵커는 지반에 앵커공을 천공하여 형성하고 그 앵커공에 인장 강도가 우수한 인장재를 내부정착제 및 내하체와 함께 삽입한 후 콘크리트 등의 그라우팅재로 주입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킨 다음 인장재의 자유단에 하중을 걸고 외부 정착제로 고정시켜 강력한 정착력을 확보하여 토류벽과 같은 구조물 등을 안전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건축 및 토목공사의 지하구조물용 굴착공사시 주변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흙막이 공사나 연약지반 절개면의 토사 유실을 억제하기 위한 공사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그라운드 앵커에 사용되는 인장재는 여러 가닥의 강선을 꼬아 만든 인장재를 사용하는데, 이 인장재는 일반 철근보다 그 강도가 월등하여 지중에 그대로 방치할 경우 지중 장애물이 되어 인접지의 추후 개발시 지상보상권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공사 완료 후 지중에 매설된 인장재를 용이하게 제거하는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제가 공지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앵커체는 원통형 바디의 내측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그 경사면의 내면에 대략 세조각으로 분할되며 그 중심부에 인장재가 안착되는 웨지가 구비되고, 이 웨지의 후단에 웨지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이 구비되어 웨지를 가압하여 줌으로서 인장재의 이탈 및 분리됨을 방지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앵커체의 구조에 의하면 인장재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인장재를 가압하여 원통형 바디의 내측에 구비되는 웨지를 후퇴시킴과 동시에 중앙부를 확장시킨 상태에서 인장재를 제거할 수 있게 되는데, 웨지를 후퇴시키더라도 제대로 확장이 되지 않을뿐더러 후진되어 확장이 되더라도 그 후단에 구비되는 스프링이 웨지를 계속적으로 가압시켜 주게 되어 인장재를 제거시에 부담이 될 수 있고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제는 공장에서 제작된 앵커를 공사현장으로 운송하는 과정이나 시공 작업시 취급 과정에서 앵커의 내부 정착체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차후에 인장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긴장 전에 발생되는 문제 즉, 인장재의 길이가 짧거나 인장재가 잘못 결합된 경우에는 인장재를 제거한 후 다시 결합하는 방법이 없어 시간 및 추가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인장재를 가압하여 후단 스프링의 가압상태를 해제하므로 웨지의 인장재 결합상태를 간편하게 해제시켜 이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웨지블록의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하여 인장재를 간편하고 편리하게 분리 및 재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현장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는 테이퍼공을 형성한 메인헤드와, 상기 메인헤드의 테이퍼공에 가이드되어 인장재를 협지하여 고정시키는 분할된 메인웨지와, 상기 메인웨지와 인장재의 단부를 결합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전단에 결합하되 고정구를 관통시키는 캡과, 상기 캡의 앞측에 결합하되 테이퍼공을 형성한 보조헤드와, 상기 보조헤드의 내부에 삽입하는 보조웨지, 및 상기 보조헤드의 전단에 결합하는 웨지캡으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는 인장재 가압하면 인장재가 순간적으로 뒤로 밀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고정구도 뒤로 밀리게 되므로 고정구의 나사봉이 보조웨지가 삽입된 보조헤드측으로 전진하여 결합되어 인장재가 쉽게 분리된다.
아울러, 보조웨지에 결합된 인장재를 재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인장재를 회전시켜 고정구의 나사봉이 나선을 따라 회전되어 보조웨지를 벗어나게 하므로 고정구는 스프링에 의해 다시 후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고정구에 결합된 메인웨지도 후진하여 인장재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초기상태가 된다.
따라서 인장재를 가압하여 후단 스프링의 가압상태를 해제하므로 웨지의 인장재 결합상태를 간편하게 해제시켜 이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장재를 가압 또는 회전시켜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하여 인장재를 간편하고 편리하게 분리 및 재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현장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작동구가 나사봉의 형성되어 보조웨지에 쉽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회전시켜 간편하게 재결하여 초기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를 단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를 단면하여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를 분리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를 분리 단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의 결합상태를 단면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의 가압상태를 단면하여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의 분리상태를 단면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10)는 테이퍼공(112)을 형성한 메인헤드(110)와, 상기 메인헤드(110)의 테이퍼공(112)에 가이드되어 인장재(11)를 협지하여 고정시키는 분할된 메인웨지(120)와, 상기 메인웨지(120)와 인장재(11)의 단부를 결합하는 고정구(130)와, 상기 고정구(130)의 전단에 결합하되 고정구(130)를 관통시키는 캡(140)과, 상기 캡(140)의 앞측에 결합하되 테이퍼공(152)을 형성한 보조헤드(150)와, 상기 보조헤드(150)의 내부에 삽입하는 보조웨지(160), 및 상기 보조헤드(150)의 전단에 결합하는 웨지캡(170)으로 구성한다.
상기 메인헤드(110)는 중앙을 관통하는 테이퍼공(112)을 형성하여 인장재(11)가 관통되게 하되 앞측 외주연 과 후측 내주연에 체결나사(111a,111b)를 각각 형성한다.
여기서 메인헤드(110)의 후측 체결나사(111b)에 결합되어 내부를 밀폐시키는 연결커플러(180)를 더 구비하되 연결커플러(180)의 앞측에 체결나사(181)를 형성하고 외주연에 플랜지(182)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웨지(120)는 메인헤드(110)의 테이퍼공(112)에 삽입하되 내주연 후측에 체결홈(121)을 형성하고 3쪽으로 등분할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구(130)는 후단 중앙에 인장재(11)의 단부를 끼우는 삽입홈(131)을 형성하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나사봉(133)을 형성하며 외주연에 웨지(120)의 체결 홈(121)을 끼우는 체결턱(132)을 형성한다.
상기 캡(140)은 앞측 외주연과 후측 내주연에 체결나사(141a,141b)를 각각 형성하여 메인헤드(110)의 앞측 체결나사(111a)와 후측 체결나사(141b)를 결합하여 체결하되 전방으로 가이드공(142)을 형성하여 고정구(130)의 나사봉(133)이 관통되게 한다.
여기서 캡(140)의 내부에는 고정구(130)와 대응되는 스프링(143)을 삽입하여 고정구(130)와 고정구(130)에 결합된 메인웨지(120)를 탄력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헤드(150)는 앞측 외주연과 후측 내주연에 체결나사(151a,151b)를 각각 형성하여 캡(140)의 체결나사(141a)에 후측 체결나사(151b)를 결합하여 체결하되 내주연에 테이퍼공(152)을 형성한다. 즉, 보조헤드(150)는 체결나사에 의해 캡(140)과의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므로, 앵커체(10)의 운송과정이나 취급과정에서 앵커의 내부 정착체에 충격이 가해져 인장재(11)를 포함한 고정구(130)가 보조웨지(160)에 결합되어 있는지 여부를 시공전에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보조웨지(160)는 보조헤드(150)의 테이퍼공(152)에 삽입하고 3쪽으로 등분할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웨지캡(170)은 후측 내주연에 체결나사(171)를 형성하여 보조헤드(150)의 앞측 체결나사(151a)에 결합하고 내부에 보조웨지(160)와 대응되는 스프링(172)을 삽입한다.
한편, 상기 각각의 부품들의 체결부위에 O-링 등을 삽입하여 내부가 밀폐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10)의 조립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립이 완료되면 메인헤드(110)의 테이퍼공(112)에 위치하는 메인웨 지(120)를 스프링(143)이 가압하여 고정구(130)의 삽입홈(131)에 끼워진 인장재(11) 외주연을 메인웨지(120)가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조립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10)는 천공홀에 삽입 후 그라우팅을 실시하고 일정기간 경과 후 인장재(11)를 제거한다.
앵커체(10)의 인장재(11)를 제거할 때에는 인장재(11)의 노출된 단부를 가압하여 헤드부(100)와 인장재(11)를 분리하여 제거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인장재(11)에 충격을 가하여 내부측으로 가압하면 인장재(11)가 순간적으로 뒤로 밀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고정구(130)도 뒤로 밀리게 된다. 이 때, 내부측으로 인장재(11)를 가압하는 방법은 외부에서 타격에 의할 수도 있고 회전에 의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고정구(130)의 나사봉(133)도 캡(140)의 가이드공(142)을 통해 순간적으로 보조웨지(160)가 삽입된 보조헤드(150)측으로 전진하여 돌출되므로 스프링(172)에 탄력 설치된 보조웨지(160)에 고정구(130)의 나사봉(133)이 결합된다.
이와 동시에 고정구(130)의 체결턱(132)에 체결홈(121)이 결합된 메인웨지(120)도 고정구(130)와 함께 이동하여 인장재(11)와의 결합상태를 해제하여 분리된다.
이때 고정구(130)의 나사봉(133)이 보조웨지(160)에 결합상태를 유지하므로 고정구(120)는 스프링(143)을 압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메인헤드(110)의 테이퍼공(112)을 벗어나 해제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므로 간편하고 편리하게 인장재(11)를 제거하게 된다.
더욱이, 필요에 따라 보조웨지(160)에 결합된 인장재(11)를 재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인장재(11)를 회전시켜 고정구(130)의 나사봉(133)이 나선을 따라 회전되어 보조웨지(160)를 벗어나게 한다.
상기와 같이 보조웨지(160)를 벗어난 고정구(130)는 스프링(143)에 의해 다시 후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고정구(130)에 결합된 메인웨지(120)도 후진하여 메인헤드(110)의 테이퍼공(112)측으로 이동하여 인장재(11)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초기상태가 된다.
특히 앵커체(10)를 공사현장으로 운송하는 과정이나 시공 작업시 취급 과정에서 앵커의 내부 정착체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등 상기와 같이 보조웨지(160)에 인장재(11)가 결합된 경우에도 상기한 동작으로 다시 간편하게 초기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를 단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를 단면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를 분리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를 분리 단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의 결합상태를 단면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의 가압상태를 단면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의 분리상태를 단면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앵커체 11 : 인장재
100 : 헤드부 110 : 메인헤드
111a,111b : 체결나사 112 : 테이퍼공
120 : 메인웨지 121 : 체결홈
130 : 고정구 131 : 삽입홈
132 : 체결턱 133 : 나사봉
140 : 캡 141a,141b : 체결나사
142 : 가이드공 143 : 스프링
150 : 보조헤드 151a,151b : 체결나사
152 : 테이퍼공 160 : 보조웨지
170 : 웨지캡 171 : 체결나사
172 : 스프링 180 : 연결커플러
181 : 체결나사 182 : 플랜지

Claims (4)

  1. 앞측 외주연과 후측 내주연에 체결나사(111a,111b)를 각각 형성하고 중앙을 관통하는 테이퍼공(112)을 형성한 메인헤드(110)와,
    상기 메인헤드(110)의 테이퍼공(112)에 가이드되어 인장재(11)를 협지하여 고정시키고 내주연 후측에 체결홈(121)을 형성하며 3쪽으로 등분할된 메인웨지(120)와,
    상기 메인웨지(120)와 인장재(11)의 단부를 결합하되 후단 중앙에 인장재(11)의 단부를 끼우는 삽입홈(131)을 형성하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나사봉(133)을 형성하며 외주연에 메인웨지(120)의 체결홈(121)을 끼우는 체결턱(132)을 형성하는 고정구(130)와,
    상기 고정구(130)의 전단에 결합하면서 고정구(130)를 관통시키되 앞측 외주연과 후측 내주연에 체결나사(141a,141b)를 각각 형성하여 메인헤드(110)의 앞측 체결나사(111a)와 후측 체결나사(141b)를 결합하여 체결하고 전방으로 가이드공(142)을 형성하여 고정구(130)의 나사봉(133)이 관통되게 하되 내부에 고정구(130)와 대응되는 스프링(143)을 삽입하여 고정구(130)와 고정구(130)에 결합된 메인웨지(120)를 탄력 설치하는 캡(140)과,
    상기 캡(140)의 앞측에 결합하면서 테이퍼공(152)을 형성하되 앞측 외주연과 후측 내주연에 체결나사(151a,151b)를 각각 형성하여 캡(140)의 체결나사(141a)에 후측 체결나사(151b)를 결합하여 체결함으로써 앵커체(10)의 운송과정이나 취급과정에서 앵커의 내부 정착체에 충격이 가해져 인장재(11)를 포함한 고정구(130)와 보조웨지(160)의 결합여부를 미리 파악하기 위한 보조헤드(150)와,
    상기 보조헤드(150)의 내부에 삽입하고 3쪽으로 등분할되며 선택적으로 외부에서의 타격 또는 회전에 의해 내부측으로 인장재(11)를 가압할 때 고정구(130)의 나사봉(133)과 결합하는 보조웨지(160)와,
    상기 보조헤드(150)의 전단에 결합하되 후측 내주연에 체결나사(171)를 형성하여 보조헤드(150)의 앞측 체결나사(151a)에 결합하고 내부에 보조웨지(160)와 대응되는 스프링(172)을 삽입하는 웨지캡(170), 및
    앞측에 체결나사(181)를 형성하고 외주연에 플랜지(182)를 형성하며 상기 메인헤드(110)의 후측 체결나사(111b)에 결합되어 내부를 밀폐시키는 연결커플러(18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80124966A 2008-12-10 2008-12-10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KR100913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966A KR100913201B1 (ko) 2008-12-10 2008-12-10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966A KR100913201B1 (ko) 2008-12-10 2008-12-10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3201B1 true KR100913201B1 (ko) 2009-08-24

Family

ID=41210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966A KR100913201B1 (ko) 2008-12-10 2008-12-10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20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158B1 (ko) 2009-08-21 2010-05-18 (주)엔코텍 제거식 앵커
KR101241404B1 (ko) 2012-06-21 2013-03-11 주식회사 대성방재기술 압축과 인장형 록볼트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 공법
KR101334747B1 (ko) * 2011-09-23 2013-11-29 재 술 나 고정용 캡슐 충진형 그라운드 앵커
KR101374063B1 (ko) 2011-05-11 2014-03-13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인장 및 압축 하중 복합재하가 가능한 배열구조를 갖는 그라운드 앵커
CN110067246A (zh) * 2019-05-29 2019-07-30 建研地基基础工程有限责任公司 可回收锚索的锚具、锚索锁固及回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854A (ko) * 2001-12-17 2003-06-25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
KR20060068108A (ko) * 2004-12-15 2006-06-21 김지호 앵커공법의 인장재 제거장치
KR100641314B1 (ko) 2004-12-16 2006-11-02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의 내부 정착체용 후크
KR100678573B1 (ko) * 2005-09-28 2007-02-02 김용만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854A (ko) * 2001-12-17 2003-06-25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
KR20060068108A (ko) * 2004-12-15 2006-06-21 김지호 앵커공법의 인장재 제거장치
KR100641314B1 (ko) 2004-12-16 2006-11-02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의 내부 정착체용 후크
KR100678573B1 (ko) * 2005-09-28 2007-02-02 김용만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158B1 (ko) 2009-08-21 2010-05-18 (주)엔코텍 제거식 앵커
KR101374063B1 (ko) 2011-05-11 2014-03-13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인장 및 압축 하중 복합재하가 가능한 배열구조를 갖는 그라운드 앵커
KR101334747B1 (ko) * 2011-09-23 2013-11-29 재 술 나 고정용 캡슐 충진형 그라운드 앵커
KR101241404B1 (ko) 2012-06-21 2013-03-11 주식회사 대성방재기술 압축과 인장형 록볼트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 공법
CN110067246A (zh) * 2019-05-29 2019-07-30 建研地基基础工程有限责任公司 可回收锚索的锚具、锚索锁固及回收方法
CN110067246B (zh) * 2019-05-29 2024-01-23 建研地基基础工程有限责任公司 可回收锚索的锚具、锚索锁固及回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201B1 (ko)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JP2006219933A (ja) ロックボルト及びこれを用いた支保工法
AU2015200447B2 (en) Ground anchor body having rotation release structure
KR101402267B1 (ko) 근접병설터널 필라부 보강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864084B1 (ko) 스프링의 압축력을 이용한 정착부 팽창 가압식 앵커 및시공방법
KR101781475B1 (ko) 지반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지보공법
GB2441018A (en) Rock bolt and method of use
JP2007270473A (ja) 合成セグメントと合成セグメントの継手構造
KR100978629B1 (ko) 도로 및 단지의 사면보강 네일링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보강 공법
JP2011099278A (ja) 法面安定化用アンカーボルトの補修方法と補修具
KR101844765B1 (ko) 반작용 가압 시스템에 의해 자기프리스트레스 되는 중공 강봉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KR101029320B1 (ko) 암반 파쇄대구간 보강을 위한 록볼트 및 이를 이용한 암반파쇄대구간 보강방법
KR101003981B1 (ko)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KR101665516B1 (ko) 양방향인장, 가압주입 및 타이볼트가 가능한 복합체를 이용한 근접병설터널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근접병설터널
KR101588860B1 (ko)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
US11619048B1 (en) Non-slip reinforcing bar coupler
KR101241403B1 (ko) 제거식 앵커
JP4931766B2 (ja) ロックボルト用ナット
JP4847264B2 (ja) バッキング防止装置
US20210025422A1 (en) Joining system for mechanically joining two materials
KR200386818Y1 (ko) 가압식 밀크 그라우팅을 이용한 쏘일 네일링 구조
JP2013007191A (ja) 地山補強材
KR20100083979A (ko) 그라우팅 시공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147612B1 (ko) 소일 네일링 장치
KR200354021Y1 (ko)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