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860B1 -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860B1
KR101588860B1 KR1020140011381A KR20140011381A KR101588860B1 KR 101588860 B1 KR101588860 B1 KR 101588860B1 KR 1020140011381 A KR1020140011381 A KR 1020140011381A KR 20140011381 A KR20140011381 A KR 20140011381A KR 101588860 B1 KR101588860 B1 KR 101588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tensile member
tensile
anchor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0572A (ko
Inventor
신종덕
Original Assignee
(주)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영 filed Critical (주)대영
Priority to KR1020140011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860B1/ko
Publication of KR20150090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행 인장부재의 제거방법으로 제거하지 못한 인장부재의 끝단부분에 연결구를 통해 적당하게 제2인장부재를 연장 연결하고 이렇게 연장된 제2인장부재의 끝단부분을 인장실린더에 의해 파지한 상태에서 당겨 긴장시키되 인장부재에 인가되는 유효 긴장력 이상으로 긴장시켜 인장부재를 절단시킴으로써 인장부재의 긴장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인장부재가 지중앵커 측으로 후퇴되면서 일시적으로 지중앵커의 웨지유닛을 이동시켜 벌어지게 하고 인장부재의 외측소선들이 중앙소선과 이격 분리되면서 중앙소선을 제외한 외측소선들이 인장부재 길이방향의 중앙으로 긴축됨에 따라 짧아지므로 지중앵커의 웨지유닛으로부터 인장부재가 해제된 후 지중앵커의 웨지유닛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오므라들며 이후에 인장부재를 잡아당기면 부드럽게 빠지므로 인장부재를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dismantling method of tension member for anchor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립된 인장부재의 끝단을 당겨 인장부재에 유효 긴장력 이상으로 긴장시킨 상태에서 인장부재를 순간적으로 절단함에 따라 인장부재의 긴장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인장부재가 지중앵커 측으로 후퇴되면서 일시적으로 지중앵커의 웨지유닛을 벌어지게 하고 인장부재의 외측소선들이 중앙소선과 이격 분리되면서 중앙소선을 제외한 외측소선들이 인장부재 길이방향의 중앙으로 긴축됨에 따라 짧아지므로 지중앵커의 웨지유닛으로부터 인장부재가 해제된 후 지중앵커의 웨지유닛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오므라들며 이후에 인장부재를 잡아당기면 부드럽게 빠지므로 인장부재를 제거할 수 있는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커공법은 흙막이 공사, 터널갱구부 안정용, 석축 및 옹벽 보강용 등 토목공사에서 주로 사용되어지는 공법이다. 앵커공법은 앵커(내하체가 더 구비될 수 있음)를 갖는 복수의 인장부재에 하나의 그라우트호스를 부가하여 앵커유닛을 마련하고, 천공하고자 하는 위치의 지반에 천공기를 이용하여 소정깊이로 천공홀을 천공한 다음, 상기 천공홀에 앵커유닛을 삽입한 상태에서 그라우트호스를 통해 그라우트를 주입하되, 주입된 그라우트가 앵커와 양생되면 인장부재의 다른 한쪽끝단에 앵커를 체결한 후, 인장부재를 인장기로 당겨 그라우트와 지면을 인장함으로써 연약한 지면을 보강하는 공법이다.
이러한 앵커공법의 적용은 도심지공사에서 효과적인 시공관리 및 공기단축 등의 장점이 있으나, 앵커공법이 적용된 인접지역에서 추후 공사를 할 때, 일반철근의 강도에 비해 단면적상 강도가 약6배인 앵커유닛의 인장부재가 가설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굴착장비 및 천공장비의 손실과 공기지연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굴착공사 완료 후 건축공정에 맞추어 인장부재를 제거할 수 있는 앵커공업이 개발되어 사용되었고 이것이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가 알려져 있다.
위와 같은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 및 장치는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1,2에 제시되어 있는데, 상기 특허문헌1,2에는 한쪽끝단의 앵커와 함께 인장부재가 지중에 가설하고 다른 한쪽끝단 또한 외부의 앵커로 체결하여 최대로 인장시킨 설치상태에서 인장부재를 절단한 다음, 절단된 인장부재인 와이어중 하나이상의 와이어를 지중의 앵커 쪽으로 타격함에 따라 그 이외의 타격되지 않는 인장부재의 와이어를 상대적으로 웨지유닛으로부터 밀어내어 웨지유닛 끝단에서 상대적으로 밀려나는 인장부재의 와이어가 이탈되는 순간 인장부재의 직경이 급격하게 감소됨에 따라 앵커의 웨지유닛으로부터 해제되고 나면 인장부재를 잡아당겨 빼내어 제거하는 것이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1,2에서 인장부재의 절단은 구축물의 외측인 브래킷에 천공된 작은 구멍을 통하여 산소절단기로 인장부재를 순간적으로 절단하지 못하고 중앙소선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외측소선들을 한 가닥씩 녹여 순차적으로 절단하는 방식이어서 지중의 앵커 내에 설치된 웨지물림이 해제되지 않는다. 이때, 인장부재에 인가되었던 인장력은 인장부재의 소선들이 순차적으로 절단되면서 서서히 소멸되므로 브래킷 외측의 절단된 인장부재는 튕겨나가지 않고 브래킷에 걸려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인장부재 절단작업시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절단된 인장부재의 외측끝단에서 인장부재의 일부소선(중앙 또는 외측소선)을 그 길이방향인 지중으로 타격하여 밀어 넣음으로써 타격되지 않는 일부소선들이 상대적으로 밀려나와 웨지로부터 물림이 해제되도록 한 후 인장부재를 당겨서 빼내어 제거하는 것이었다.
KR 100447996 B1 (2004.08.31.등록) KR 100447967 B1 (2004.08.31.등록)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에 있어서는, 연약지반의 경우엔 지중앵커를 갖는 복수의 인장부재와 하나의 그라우트호스로 마련된 앵커유닛을 지중으로 경사지게 천공된 천공홀에 삽입한 다음, 앵커유닛의 그라우트호스를 통해 그라우트를 주입하여 그라우트가 양생되는 동안 연약지반의 침하로 앵커유닛의 인장부재가 급격하게 꺾이는 사례가 발생되었다.
이와 같이 앵커유닛의 인장부재가 급격하게 꺾이게 되면 구축물의 시공을 완료한 후 인장부재를 제거하기 위해서 인장부재의 일부소선(중앙 또는 외측소선)을 수공구와 해머 등을 이용하여 인장부재의 길이방향인 지중으로 아무리 타격하여도 밀려들어가지 않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인장부재의 제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인장부재의 제거율이 저하되고, 이와 같이 인장부재를 제대로 제거하지 못하면 원청(原請)업자는 공사비의 지급을 미루고, 심지어는 분쟁까지 이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선행 인장부재의 제거방법으로 제거하지 못한 인장부재의 끝단부분에 연결구를 통해 적당하게 인장부재를 연장 연결하고 이렇게 연장된 인장부재의 끝단부분을 인장실린더에 의해 파지한 상태에서 당겨 긴장시키되 인장부재를 유효 긴장력 이상으로 긴장시킨 상태에서 절단함으로써 인장부재의 긴장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인장부재가 지중앵커 측으로 후퇴되면서 일시적으로 웨지가 벌어지게 되고 인장부재의 외측소선들이 중앙소선과 이격 분리되면서 중앙소선을 제외한 외측소선들이 인장부재 길이방향의 중앙으로 긴축됨에 따라 짧아지므로 지중앵커의 웨지유닛으로부터 인장부재가 해제된 후 지중앵커의 웨지유닛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오므라들며 이후에 인장부재를 잡아당기면 부드럽게 빠지므로 인장부재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구가 이와 연결된 지중에 매설된 인장부재의 끝단부분을 절단할 수 있게 마련됨으로써 긴장된 인장부재가 순간적으로 원상 복귀되는 동안 지중앵커의 웨지유닛에 파지된 인장부재가 확실하게 해제되고 연결구 및 그 내측의 웨지유닛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장부재의 끝단에 연결구를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고 절단된 인장부재를 연결구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구에 의하여 인장부재 제거작업을 위한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장부재의 한쪽끝단에 제거타입 지중앵커가 장착되어 지중에 매립 시공된 인장부재를 빼내어 제거하기 위한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에 있어서, 구축물의 브래킷 부분에서 절단된 인장부재의 끝단부분에 연결구를 연결하고, 이 연결구의 다른 한쪽에 브래킷을 통과하여 인장실린더로 파지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제2인장부재를 연장 연결하는 단계, 상기 브래킷의 끝단에서 제2인장부재를 파지하도록 인장실린더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인장실린더를 동작시켜 제2인장부재 및 연결구를 통해 인장부재를 당겨 긴장시키되 상기 인장부재에 유효 긴장력 이상의 긴장력으로 인가시킨 상태에서 인장부재를 절단하고 상기 인장부재가 절단되면서 인장부재의 긴장력이 제거되는 과정에서 지중앵커의 웨지유닛이 인장부재로부터 해제되는 단계, 이후에 인장실린더와 함께 제2인장부재 및 연결구를 제거한 후 지중의 인장부재를 빼내어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장부재가 해제되는 단계는 인장부제의 긴장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인장부재가 지중앵커 측으로 후퇴되면서 일시적으로 지중앵커의 웨지유닛을 이동시켜 벌어지게 하고, 또한 인장부재의 외측소선들이 중앙소선과 이격 분리되면서 중앙소선을 제외한 외측소선들이 인장부재 길이방향의 중앙으로 긴축됨에 따라 짧아지므로 지중앵커의 웨지유닛으로부터 인장부재가 해제된 후 지중앵커의 웨지유닛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오므라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장부재 및 제2인장부재를 긴장시킬 때 연결구의 선단부분에서 인장부재가 절단되도록 제2인장부재보다 인장부재의 단면적이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장부재의 한쪽끝단에 제거타입 지중앵커가 장착된 인장부재가 지중에 매립 시공되고 상기 인장부재를 빼내어 제거하기 위한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장부재의 외측 끝단부분에 장착되는 연결구와, 이 연결구에 연결되어 구축물 및 브래킷을 통과하는 충분한 길이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중앙에 스프링지지격벽을 갖는 원통형 몸체, 이 원통형 몸체의 양쪽에 체결되고 각각 인장부재삽입구멍과 웨지수용공간을 갖는 제1 및 제2웨지지지몸체, 이 제1 및 제2웨지지지몸체의 웨지수용공간에 설치되되 내면에 톱니가 형성되고 방사상으로 균등 분할된 2~3개의 웨지가 하나의 콘 타입을 이루고 안착되는 제1 및 제2웨지유닛, 이 제1 및 제2웨지유닛을 제1 및 제2웨지지지몸체의 웨지수용공간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밀어서 지지하는 제1 및 제2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웨지지지몸체에는 제1웨지유닛의 웨지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인장부재를 빼낼수 있도록 원통형 몸체의 중심선방향인 제1스프링 측으로 제1웨지유닛을 밀어 넣을 수 있는 스크루로 체결된 스크루핸들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웨지유닛은 뾰족한 선단내측에서 인장부재의 외측주면을 확실하게 물 수 있도록 제1웨지유닛의 외측주면각도가 웨지수용공간의 내측주면각도보다 0.3~1.2°의 작은 각도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웨지유닛의 웨지는 뾰족한 선단내측에서 인장부재의 외측주면을 확실하게 물 수 있도록 선단내측부분의 이빨이 후단부분의 내측이빨보다 크게 마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선행 인장부재의 제거방법으로 제거하지 못한 인장부재의 끝단부분에 연결구를 통해 적당하게 제2인장부재를 연장 연결하고 이렇게 연장된 제2인장부재의 끝단부분을 인장실린더에 의해 파지한 상태에서 당겨 긴장시키되 인장부재에 인가되는 유효 긴장력 이상으로 긴장시켜 인장부재를 절단시킴으로써 인장부재의 긴장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인장부재가 지중앵커 측으로 후퇴되면서 일시적으로 지중앵커의 웨지유닛을 이동시켜 벌어지게 하고 인장부재의 외측소선들이 중앙소선과 이격 분리되면서 중앙소선을 제외한 외측소선들이 인장부재 길이방향의 중앙으로 긴축됨에 따라 짧아지므로 지중앵커의 웨지유닛으로부터 인장부재가 해제된 후 지중앵커의 웨지유닛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오므라들며 이후에 인장부재를 잡아당기면 부드럽게 빠지므로 인장부재를 제거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가 이와 연결된 지중에 매설된 인장부재의 끝단부분이 절단되게 마련됨으로써 긴장된 인장부재가 순간적으로 원상 복귀되는 동안 지중앵커의 웨지유닛에 파지된 인장부재가 확실하게 해제되고 연결구 및 그 내측에 설치된 제1웨지유닛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인장부재의 끝단에 연결구를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고 연결구로부터 절단된 인장부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구에 의하여 인장부재에의 체결과 제거를 간편하게 수행함으로 인한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장치가 적용되어 지중에 앵커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인장부재의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인장부재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축물의 브래킷에 인장실린더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 지중앵커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장치에서 요부인 연결구부분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제1웨지지지몸체와 제1웨지유닛 부분을 발췌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지중앵커의 웨지유닛에서 인장부재가 해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상기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장치가 적용되어 지중에 앵커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여기서는, 벽체 등의 구축물(10)에서 지중을 향하여 경사지게 천공된 천공홀(12)로 앵커유닛(20)이 삽입 시공되어 있으며, 상기 구축물(10)에는 앵커유닛(20)의 인장부재(21)를 안내하고 긴장시킨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브래킷(3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앵커유닛(20)은 지중앵커(내하체가 부착되어 구비될 수 있음, 22)를 갖는 복수의 인장부재(21)에 하나의 그라우트호스를 부가되어 하나의 유닛을 이루도록 묶여있는 것이다.
상기 지중앵커(22)는 앵커몸체(23) 내의 콘 타입 웨지수용공간에 웨지유닛(24)이 삽입 설치되되 상기 웨지유닛(24)은 스프링(25)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인장부재(21)를 파지하고 안착된다. 상기 웨지유닛(24)은 내면에 톱니가 형성되고 방사상으로 균등 분할된 2~3개의 웨지가 하나의 콘 타입을 이루고 마련된다.
상기 브래킷(30)은 구축물(10)인 벽체에 장착되는 지지판재(31)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판재(31)엔 천공홀(12)과 일직선을 이루는 각도로 가이드파이프(3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앵커유닛(20)은 그 선단의 지중앵커(22)를 천공홀(12)의 입구를 통해 소정깊이로 삽입하고 상기 천공홀(12) 내에 그라우트를 주입하여 양생시킨 후 인장부재(21)에 유효 긴장력을 부여하여 앵커유닛(20)의 고유기능인 지반보강기능을 완료한 다음, 구축물(10)의 브래킷(30) 위치에서 앵커유닛(20)의 인장부재(21)가 절단된 상태이다. 이때, 인장부재(21)에 인가되는 유효 긴장력은 대략 8~9ton이다.
상기 브래킷(30) 내에 위치된 인장부재(21)의 끝단부분에는 연결구(50)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구(50)에는 인장부재(21)와 일직선을 이루도록 또 하나의 제2인장부재(210)가 연결되되 상기 제2인장부재(210)는 브래킷(30)에 인장실린더(60)를 설치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충분한 길이로 연장되어야 한다.
상기 브래킷(30)에는 인장기인 인장실린더(6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인장실린더(60)는 행정길이가 길거나 짧아도 무방하다. 행정길이가 긴 인장실린더(60)를 사용하는 경우엔, 도 2와 같이 브래킷(30)의 가이드파이프(32) 끝단에 지압판재(61)와 함께 인장실린더(60)를 설치한 후 한 번에 인장부재(60)를 충분히 당겨 유효 긴장력 이상의 긴장력으로 인가시키면 된다. 이때, 인장부재(21)에 인가되는 유효 긴장력은 10~15ton이다.
이와 반대로, 행정길이가 짧은 인장실린더(60)를 사용하는 경우엔, 도 3과 같이 제2인장부재(210)를 인장실린더(60)에 의해 1차로 당겨 긴장상태에서 정지시킨 다음 다시 인장실린더(60)를 재설치하여 2차로 당겨 인장부재(21)에 유효 긴장력 이상의 긴장력으로 인가시킬 수 있으면 된다. 이러한 경우엔 인장실린더(60)를 재설치할 때 제2인장부재(210)를 잡고 있어야 하므로 인장실린더(60)의 지지를 위해서 지압판재(61)에 보조웨지유닛(62)이 구비되면 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장치에서 요부인 연결구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들이다. 여기에서 연결구(50)는 인장부재(21)의 끝단과 연결 장착하고 제2연장부재(210)를 충분한 길이로 연결하기 위함이다. 상기 인장부재(21) 및 제2인장부재(210)는 중앙소선(21a)과 그 외측에 6가닥의 외측소선(21b)이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를 가지고 꼬여있는 PC강선(pre-stressing wire)이다.
상기 연결구(50)는 원통형 몸체(510)의 양쪽에 제1 및 제2웨지지지몸체(521, 522)가 체결되고 이 제1 및 제2웨지지지몸체(521, 522)의 웨지수용공간(523, 524)에 삽입 설치된 제1 및 제2웨지유닛(531, 532)이 제1 및 제2스프링(541, 542)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제1웨지지지몸체(521)에는 제1웨지유닛(531)을 밀어 넣을 수 있는 스크루핸들(550)이 체결되어 있다.
상기 원통형 몸체(510)는 중앙에 스프링지지격벽(511)이 형성되고 이 스프링지지격벽(511)에서 양쪽의 단부로 갈수록 다단으로 확장된 중공형상이며, 상기 원통형 몸체(510)의 양쪽단부내측엔 제1 및 제2웨지지지몸체(521, 522)의 체결을 위한 암나사(512, 51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웨지지지몸체(521, 522)는 원통형 몸체(510)의 양쪽에 형성된 암나사(512, 513)를 통해 체결되는 원통형으로 마련되되, 제1웨지지지몸체(521)엔 암나사(523)와 웨지수용공간(524)이 마련되고, 제2웨지지지몸체(522)엔 인장부재삽입구멍(525)과 웨지수용공간(526)이 형성된다. 상기 제1웨지지지몸체(521)의 암나사(523)는 스크루핸들(550)을 체결하기 위한 나사이다.
상기 제1 및 제2웨지유닛(531, 532)은 제1 및 제2웨지지지몸체(521, 522)의 웨지수용공간(523, 524)에 설치되는 것이며, 내면에 톱니(533, 534)가 형성되고 방사상으로 균등 분할된 2~3개의 웨지(535, 536)가 하나의 콘 타입을 이루고 안착된다.
상기 제1 및 제2스프링(541, 542)은 제1 및 제2웨지유닛(531, 532)을 제1 및 제2웨지지지몸체(521, 522)의 웨지수용공간(523, 524)을 향하여 밀어 넣어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제1웨지유닛(531)은 인장부재(21)를 파지하고 제2웨지유닛(532)은 제2인장부재(210)를 파지하는 것으로, 인장실린더(60)에 의해 긴장력이 인가되었을 때 지중에 매설된 연결구(50)의 선단인 인장부재(21)가 절단되어야 하므로 인장부재(21)보다 제2인장부재(210)의 직경(단면적)이 더 크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제2웨지유닛(532) 또한 더 큰 직경으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스크루핸들(550)은 중앙에 인장부재삽입구멍(551)이 형성되며, 외측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주면(552)가 형성되고, 제1웨지지지몸체(521)의 암나사(523)에 체결되는 수나사(553)가 형성된다. 상기 스크루핸들(550)을 회전시켜 원통형 몸체(510)의 중심선방향인 제1스프링(541) 측으로 밀어 넣으면 그 단부가 웨지수용공간(524)에 안착된 제1웨지유닛(531)의 웨지가 밀려들어가면서 외측으로 벌어지게 구성된다.
상기 제1웨지유닛(531)은 뾰족한 선단내측에서 인장부재(21)의 외측주면을 확실하게 물 수 있도록 제1웨지유닛(531)의 외측주면각도(θ1)가 제1웨지지지몸체(521)측 웨지수용공간(524)의 내측주면각도(θ2)보다 0.3~1.2°의 작은 각도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웨지지지몸체(521)측 웨지수용공간(524)의 내측주면각도(θ2)는 통상 10°정도이다.
이와 같이 외측주면각도를 한정하는 이유는 제1웨지유닛(531)에서 톱니(533)가 형성된 내측주면 또한 경사지므로 제1웨지유닛(531)의 선단내측부분에서 인장부재(21)를 확실하고 강하게 물어주고 절단칼날기능으로 작용하여 제1웨지유닛(531)의 선단부분에서 절단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외측주면각도의 차가 0.3°미만이면 제1웨지유닛(531)의 내측주면에 형성된 전체 톱니(533)가 거의 동일하게 인장부재(21) 외면을 파지하므로 제1웨지유닛(531)의 선단 혹은 후단의 어느 부분에서 절단될지 알 수 없다. 이러한 경우, 후단부분에서 절단되면 제1웨지유닛(531)의 톱니가 손상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1회 밖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외측주면각도의 차가 1.2°초과하면 제1웨지유닛(531) 선단내측의 톱니(533)에만 과도하게 집중되므로 인장부재(21)를 유효 긴장력 이내에서 절단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유효 긴장력 이내에서 절단되게 되면 인장부재(21)의 중앙소선(21a)과 외측소선(21b)들의 이격 분리, 즉 풀림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는 폐단이 있다.
상기 제1웨지유닛(531)의 웨지는 뾰족한 선단내측에서 인장부재(21)의 외측주면을 확실하게 물 수 있도록 선단내측부분의 이빨이 후단부분의 내측이빨보다 크게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체 등의 구축물(10)에서 지중을 향하여 경사지게 천공된 천공홀(12)에 앵커유닛(20)을 삽입하고 그라우트를 주입하여 양생시킨 다음, 구축물(10)의 브래킷(30) 끝단에서 앵커유닛(20)의 인장부재(21)를 당기되 인장부재(21)에 유효 긴장력이 인가되도록 하여 지반보강을 위한 본연의 목적을 달성한다.
위와 같이 지반을 보강시킨 상태에서 구축물(10)의 구축을 완료한 다음에는 앵커유닛(20)의 인장부재(21)를 빼내어 제거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인장부재(21)를 1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 먼저 구축물(10)에 장착된 브래킷(30)을 통과하는 부분의 인장부재(21)를 산소절단기로 절단한 다음, 절단된 인장부재(21)의 끝단에서 수공구 등을 이용하여 인장부재(21)를 이루는 중앙소선(21a) 및 외측소선(21b)들 중의 일부 소선을 그 길이방향인 지중으로 타격하여 밀어 넣으려 해도 들어가지 않는다.
이와 같이 인장부재(21)의 일부 소선을 타격하여도 들어가지 않는 이유는 갯벌 등과 같은 연약지반의 경우 지반침하로 인하여 앵커유닛(20)의 인장부재(21)가 급격하게 꺾여 있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인장부재(21)의 일부 소선이 들어가지 않는 경우, 인장부재(21)의 끝단부분이 연결구(50)를 이루는 스크루핸들(550)의 인장부재삽입구멍(551)으로 삽입되도록 가압하면 제1웨지지몸체(521)의 웨지수용공간(524)에 탄력 설치된 제1웨지유닛(531)이 밀리면서 벌어짐과 동시에 제1스프링(541)의 복원력에 의해 제1웨지유닛(531)이 제1웨지지몸체(521)의 웨지수용공간(524)의 원래위치로 복귀되면서 오므라들음에 따라 인장부재(21)의 주면을 파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크루핸들(550)은 제1웨지지몸체(521)를 잡고 파지부(552)를 회전시켜 후퇴시키되 스크루핸들(550)의 선단이 제1웨지유닛(531)을 밀지 않도록 하여야 제1웨지유닛(531)이 인장부재(21)를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다.
이후에 연결구(50)의 제2웨지지몸체(522)의 인장부재삽입구멍(525)을 통하여 제2인장부재(210)를 삽입되게 가압하면, 제2웨지지몸체(522)의 웨지수용공간(526)에 탄력 설치된 제2웨지유닛(532)이 밀리면서 벌어짐과 동시에 제2스프링(542)의 복원력에 의해 제2웨지유닛(532)이 제2웨지지몸체(522)의 웨지수용공간(526)의 원래위치로 복귀되면서 오므라들음에 따라 제2인장부재(210)의 주면을 파지하게 된다. 이때, 제2인장부재(210)는 브래킷(30)의 통과하여 인장실린더(60)를 설치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연장되어야 한다.
이후에, 브래킷(30)의 끝단에 지압판재(61)를 대고 인장실린더(60)를 설치하되 인장실린더(60)가 제2인장부재(210)를 확실하게 파지하도록 설치한 다음, 인장실린더(60)를 작동시키면 제2인장부재(210) 및 인장부재(21)가 당겨지면서 긴장되게 된다. 상기 인장실린더(60)는 인장부재(21)가 절단되더라도 낙하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제2인장부재(210) 및 인장부재(21)를 당겨 긴장시키되, 제2인장부재(210)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된 인장부재(21)의 절단응력 한계에 도달할 때까지 긴장시키면, 연결구(50)를 이루는 제1웨지지지몸체(521)의 웨지수용공간(524)입구인 제1웨지유닛(531)의 뾰족한 선단위치의 인장부재(21)가 절단되게 된다.
상기한 위치의 인장부재(21)가 절단되는 이유는, 제1웨지유닛(531)의 외측주면각도가 제1웨지지지몸체(521)측 웨지수용공간(524)의 내측주면각도보다 0.3~1.2°의 작은 각도로 마련되어 제1웨지유닛(531)의 뾰족한 선단내측에서 인장부재(21)의 외측주면을 확실하게 물고, 인장부재(21)에 인가되는 긴장력이 커질수록 제1웨지유닛(531) 내측주면의 톱니(533)가 외측소선(22b)들을 절단 칼날 기능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인장부재(21)가 절단되게 되면, 도 8과 같이 인장부재(21)의 긴장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인장부재(21)가 지중앵커(22) 측으로 후퇴되면서 일시적으로 지중앵커(22)의 웨지유닛(23)이 벌어지게 되고, 도 9와 같이 인장부재(21)의 외측소선(22b)들이 중앙소선(21a)과 이격 분리되면서 중앙소선(21a)을 제외한 외측소선(22b)들이 인장부재 길이방향의 중앙으로 긴축됨에 따라 짧아지게 된다. 이렇게 중앙소선(21a)을 제외한 외측소선(22b)들이 인장부재 길이방향으로 짧아지므로 지중앵커(22)의 웨지유닛(23)으로부터 인장부재(21)가 해제된다.
이후에 도 10과 같이 지중앵커(22)의 웨지유닛(23)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오므라들므로 인장부재(21)를 파지하지 못하게 되며, 브래킷(30)에 설치된 인장실린더(60)를 안전하게 제거한다.
위와 같이, 인장부재 길이방향의 중앙으로 긴축됨에 따라 짧아졌던 인장부재(21)의 외측소선(22b)들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이격 분리되었던 중앙소선(21a)을 파지하므로, 중앙소선(21a)은 외측소선(22b)들의 끝단보다 돌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인장부재(21)를 잡아당기면 부드럽게 빠지므로 인장부재(21)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인장실린더(60)에 파지되어 있는 제2인장부재(210)를 분리한 후 상기 제2인장부재(210)에 연결된 연결구(50)의 스크루핸들(550)을 회전시켜 원통형 몸체(510)의 중심선방향인 제1스프링(541) 측으로 밀어 넣으면 그 단부가 웨지수용공간(524)에 안착된 제1웨지유닛(531)이 밀려들어가면서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제1웨지유닛(531)에 파지되어 연결구(50)내에 잔존하는 인장부재(21)를 간단하게 빼낼 수 있다.
이렇게 연결구(50) 내에 잔존하는 인장부재(21)를 제거한 후에는 스크루핸들(550)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키면 제1스프링(541)에 의해 제1웨지유닛(531)이 인장부재(21)를 확실하게 파지할 수 상태로 제1웨지지지몸체(521)의 웨지수용공간(524)에 안착되게 된다.
10: 구축물 20: 앵커유닛
21: 인장부재 22: 지중앵커
30: 브래킷 50: 연결구
60: 인장실린더 510: 원통형 몸체
521: 제1웨지지지몸체 522: 제2웨지지지몸체
531: 제1웨지유닛 532: 제2웨지유닛
541: 제1스프링 542: 제2스프링
550: 스크루핸들

Claims (7)

  1. 인장부재의 한쪽끝단에 제거타입 지중앵커가 장착되어 지중에 매립 시공된 인장부재를 빼내어 제거하기 위한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에 있어서,
    구축물의 브래킷 부분에서 절단된 인장부재의 끝단부분에 제1 및 제2웨지유닛을 포함하는 연결구를 연결하고, 이 연결구의 다른 한쪽에 브래킷을 통과하여 인장실린더로 파지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제2인장부재를 연장 연결하는 단계,
    상기 브래킷의 끝단에서 제2인장부재를 파지하도록 인장실린더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인장실린더를 동작시켜 제2인장부재 및 연결구를 통해 인장부재를 당겨 긴장시키되 상기 인장부재에 유효 긴장력 이상의 긴장력으로 인가할수록 제1웨지유닛의 뾰족한 선단내측주면에 형성된 톱니가 인장부재의 외측주면을 파고들어가는 상태로 물음으로써 인장부재를 순간적으로 절단하고 상기 인장부재가 순간적으로 절단되면서 인장부재의 긴장력이 제거되는 과정에서 지중앵커의 웨지유닛이 인장부재로부터 해제되는 단계,
    이후에 인장실린더와 함께 제2인장부재 및 연결구를 제거한 후 지중의 인장부재를 빼내어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장부재가 해제되는 단계는 인장부재의 긴장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인장부재가 지중앵커 측으로 후퇴되면서 일시적으로 지중앵커의 웨지유닛을 이동시켜 벌어지게 하고, 또한 인장부재의 외측소선들이 중앙소선과 이격 분리되면서 중앙소선을 제외한 외측소선들이 인장부재 길이방향의 중앙으로 긴축됨에 따라 짧아지므로 중앙소선에 의해 지지된 지중앵커의 웨지유닛으로부터 인장부재의 외측소선들이 이탈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
  3. 인장부재의 한쪽끝단에 제거타입 지중앵커가 장착된 인장부재가 지중에 매립 시공되고 상기 인장부재를 빼내어 제거하기 위한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장부재의 외측 끝단부분에 장착되는 연결구와, 이 연결구에 연결되어 구축물 및 브래킷을 통과하는 충분한 길이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구는 중앙에 스프링지지격벽을 갖는 원통형 몸체, 이 원통형 몸체의 양쪽에 체결되고 각각 인장부재삽입구멍과 웨지수용공간을 갖는 제1 및 제2웨지지지몸체, 이 제1 및 제2웨지지지몸체의 웨지수용공간에 설치되되 내면에 톱니가 형성되고 방사상으로 균등 분할된 2~3개의 웨지가 하나의 콘 타입을 이루고 안착되는 제1 및 제2웨지유닛, 이 제1 및 제2웨지유닛을 제1 및 제2웨지지지몸체의 웨지수용공간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밀어서 지지하는 제1 및 제2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웨지지지몸체에는 제1웨지유닛의 웨지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인장부재를 빼낼수 있도록 원통형 몸체의 중심선방향인 제1스프링 측으로 제1웨지유닛을 밀어 넣을 수 있는 스크루로 체결된 스크루핸들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웨지유닛은 뾰족한 선단내측에서 인장부재의 외측주면을 확실하게 물 수 있도록 제1웨지유닛의 외측주면각도가 웨지수용공간의 내측주면각도보다 0.3~1.2°의 작은 각도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웨지유닛의 웨지는 뾰족한 선단내측에서 인장부재의 외측주면을 확실하게 물 수 있도록 선단내측부분의 이빨이 후단부분의 내측이빨보다 크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장치.
KR1020140011381A 2014-01-29 2014-01-29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101588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381A KR101588860B1 (ko) 2014-01-29 2014-01-29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381A KR101588860B1 (ko) 2014-01-29 2014-01-29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572A KR20150090572A (ko) 2015-08-06
KR101588860B1 true KR101588860B1 (ko) 2016-01-26

Family

ID=53885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381A KR101588860B1 (ko) 2014-01-29 2014-01-29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8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681A (ko) * 2016-12-08 2018-06-18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인장재 제거 시스템 및 인장재 제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52773T3 (es) * 2018-08-06 2021-09-14 Alstom Transp Tech Abrazadera para un cable de una línea aérea y método para ajustar un cable de una línea aérea
KR102591928B1 (ko) * 2022-06-29 2023-10-23 (주)화성기초기술 강연선의 꺾임 시공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 앵커공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135B1 (ko) 2004-10-20 2006-11-28 김범연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제의 인장재 해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996B1 (ko) 2002-08-06 2004-09-08 신종덕 앵커공법용 인장부재 해체방법
KR100447967B1 (ko) 2002-07-04 2004-09-16 신종덕 앵커공법용 인장부재 해체장치
KR20040042975A (ko) * 2002-11-14 2004-05-22 이 창 훈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KR20100063243A (ko) * 2008-12-03 2010-06-11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의 인장재용 심선 인장 절단기
KR20110008514A (ko) * 2009-07-20 2011-01-27 김성희 강연선 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135B1 (ko) 2004-10-20 2006-11-28 김범연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제의 인장재 해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681A (ko) * 2016-12-08 2018-06-18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인장재 제거 시스템 및 인장재 제거 방법
KR102002989B1 (ko) * 2016-12-08 2019-07-24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인장재 제거 시스템 및 인장재 제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572A (ko)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75128A1 (en) Tendon gripping device
KR101588860B1 (ko)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20100046796A (ko) 지압형 앵커 및 그 시공방법
EP3396069B1 (en) Anchoring head for an anchoring rod
KR200398519Y1 (ko) 인장부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
KR101417434B1 (ko) 긴장재 제거가 가능한 앵커
KR100913201B1 (ko)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KR101518815B1 (ko) 공벽 밀착형 정착쐐기를 이용한 지반 보강장치 및 보강공법
WO2008154683A1 (en) Rock bolt tendon tensioning
KR100447996B1 (ko) 앵커공법용 인장부재 해체방법
KR20090007218U (ko) 인장부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
KR101285031B1 (ko) 강연선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
KR20160080334A (ko) 지압형 소일네일링 장치
KR101765536B1 (ko) 그라운드 앵커용 인장재 제거장치
AU2008303063B2 (en) Method for fixing a cable or tendon
KR100447967B1 (ko) 앵커공법용 인장부재 해체장치
KR100494011B1 (ko) 인장부재 해체장치용 앵커
KR200428250Y1 (ko) 인장재 제거용 앵커체
US20040228691A1 (en) Modular pipe breaking assembly and method
KR101003981B1 (ko)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KR20100063243A (ko)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의 인장재용 심선 인장 절단기
KR101552466B1 (ko) 자중식 지반밀착형 인발저항콘과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공법 및 지반보강장치
KR200291860Y1 (ko) 앵커공법용 인장부재 해체장치
KR200282686Y1 (ko) 그라운드 앵커의 인장재 제거형 내부 정착체용 웨지
KR101489250B1 (ko) 케이블의 제거가 용이한 어스앵커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