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5681A - 인장재 제거 시스템 및 인장재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인장재 제거 시스템 및 인장재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5681A
KR20180065681A KR1020160166845A KR20160166845A KR20180065681A KR 20180065681 A KR20180065681 A KR 20180065681A KR 1020160166845 A KR1020160166845 A KR 1020160166845A KR 20160166845 A KR20160166845 A KR 20160166845A KR 20180065681 A KR20180065681 A KR 20180065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le
tensile material
force
unit
dis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2989B1 (ko
Inventor
김정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Priority to KR1020160166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989B1/ko
Publication of KR20180065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93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장재로부터 전달되는 해체용 인장력에 의한 타격으로 상기 웨지와 상기 인장재와의 결합력이 해체되는 앵커 유닛, 및 기 설치된 상기 인장재의 일부를 파지하여 당겨 상기 인장재에 해체용 인장력을 부여하고 상기 인장재의 파지를 해제시켜 상기 해체용 인장력을 상기 앵커 유닛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인장재 제거 시스템이 제공되며, 인장재 분리를 통해 인장재를 손쉽게 수거 및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인장재 제거 시스템 및 인장재 제거 방법{SYSTEM FOR REMOVING STEEL STRAND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장재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웨지에 타격을 주어 웨지와 인장재와의 결합력을 해체하고 인장재를 수거하여 제거할 수 있는 인장재 제거 시스템 및 인장재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커 공법은 흙 막이 공사, 터널 갱구부 안정용, 석축, 및 옹벽 보강용 등 토목 공사에서 주로 사용되는 공법이다. 앵커 공법은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에 천공기를 이용하여 구멍을 뚫고 이 구멍에 앵커체가 연결된 인장재를 삽입한 다음, 그라우트를 주입하여 앵커체가 그라우트와 양생되면 외부로 노출된 인장재를 인장기를 이용하여 당긴 상태로 외부에서 정착함으로써 연약한 지반을 보강해 줄 수 있는 공법 중 하나이다.
이러한 앵커 공법은 특히 도심지 공사에서 시공 관리 및 공기 단축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앵커 공법은 강연선과 같은 인장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앵커가 설치된 지반에 다른 시공을 수행하기 전이나 모든 공사가 마무리되어 철수하기 전에는 인장재를 제거하는 작업이 반드시 수반되어야만 한다.
인장재의 경우 일반 철근의 강도에 비해 단면적 강도가 약 6 배 정도 강하기 때문에 인장재가 매설된 지역의 공사시 인장재에 의하여 공사 장비가 파손될 여지가 있다. 공사 장비의 파손은 공사 장비를 복원시키기 위한 원치 않는 손실 비용의 발생과 그에 따른 공기 지연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인장재 제거 작업은 유종의 미를 거두는 작업이라 하겠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4011(2005.05.30.)에는 인장부재 해체장치용 앵커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는, 상하로 개구되며 적어도 상단에 경사진 내면의 웨지설치공간(21)을 갖는 앵커헤드(20), 이 앵커헤드(20)의 웨지설치공간(21)에 안치되도록 설치되며 중앙에 하나의 원을 이루어 인장부재(10)가 삽입될 수 있는 제1홀(32)을 갖도록 3개의 웨지(31)가 하나의 콘형을 이루고 상기 제1홀(32) 상부의 환형 링(33)에 끼워진 지지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외면의 오-링(35)이 3개의 웨지(31)들을 확장시키도록 마련된 웨지유닛(30), 이 웨지유닛(30)의 상단에 씌워져 웨지유닛(30)의 원활한 동작을 확보하는 압축커버(42), 이 압축커버(42)와 웨지(31)를 앵커헤드(20)의 웨지설치공간(21)으로 항시 밀어 넣으려는 힘을 부여하는 스프링(40), 이 스프링(40)이 탄력을 갖도록 앵커헤드(20)의 상단에 씌워진 상태로 체결되는 웨지커버(50)로 구성되는 인장부재 해체장치용 앵커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인장부재(10)의 끝단부분을 수용하면서 웨지(31)가 인장부재(10)를 파지하였을 때 파지되지 않은 인장부재(10)의 끝단부분이 방사상으로 확장되어 보다 확실하게 파지되는 캡형 단면의 지지부재(34a)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부재 해체장치용 앵커가 제공된다.
이 인장부재 해체장치용 앵커는 인장부재의 끝단부를 망치 등으로 타격하여 웨지와 인장부재를 분리하고 이렇게 분리된 인장부재를 수거하여 제거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인장부재 해체장치용 앵커를 비롯한 이외 다른 앵커들도 마찬가지로 앵커 내부로 그라우트가 침투되어 웨지와 인장부재가 단단히 고착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렇게 웨지와 인장부재가 단단히 고착되면 웨지와 인장부재가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인장재를 외부로 수거하여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참고적으로, 인장부재의 끝단부를 망치로 타격하는 것은 인장부재와 웨지가 일반적으로 결합한 상태인 정상적인 결합 구조를 분리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와 같이 그라우트가 침투되어 웨지와 인장부재가 단단히 고착된 경우 인장부재의 끝단부를 망치로 타격하는 것으로 인장부재와 웨지의 비정상적인 고착 구조를 분리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비정상적인 고착 구조는 위에서 설명한 앵커 이외의 다른 타입의 앵커에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4011(2005.05.30.)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인장재와 앵커 유닛의 결합력을 해체용 인장력을 이용한 타격으로 해체할 수 있는 인장재 제거 시스템과 제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지중으로 삽입되는 인장재의 일단이 내부에 안착된 웨지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인장재로부터 전달되는 해체용 인장력에 의한 타격으로 상기 웨지와 상기 인장재와의 결합력이 해체되는 앵커 유닛; 및 상기 인장재의 외부단에 연결되며, 기 설치된 상기 인장재의 일부를 파지하여 당겨 상기 인장재에 해체용 인장력을 부여하고 상기 인장재의 파지를 해제시켜 상기 해체용 인장력을 상기 앵커 유닛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인장재 제거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력은 상기 웨지와 상기 인장재의 물리적 결합력과 그라우트의 침투에 의한 화학적 결합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인장재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 상기 파지부를 예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이동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장재의 외부 인출단과 상기 구동 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 유닛의 당김 동작시 발생하는 압축력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중의 외면에 배치되며, 상기 인장재가 입출되는 입출공이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인출공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인장재 시공시 상기 인장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 유닛은 상기 인장재 제거 동작시 상기 고정 부재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노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인장재의 외부단을 예정된 길이만큼 파지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인장재에 부여하는 해체용 인장력에 대응하여 상기 예정된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기 설치된 인장재와 앵커 유닛을 제거하는 인장재 제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장재의 외부단을 확보하는 단계; 상기 인장재의 외부단을 구동 유닛으로 파지하여 당겨 상기 인장재에 해체용 인장력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구동 유닛과 상기 인장재의 파지를 해제시켜 상기 해체용 인장력을 상기 앵커 유닛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해체용 인장력을 이용한 타격에 의하여 상기 앵커 유닛 내부에 안착된 웨지와 상기 인장재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인장재를 외부로 수거 및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장재 제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체용 인장력을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인장재의 외부단 중 파지하는 길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인장재를 파지하여 예정된 이동 거리만큼 당기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당기는 단계는, 상기 인장재를 회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을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인장재의 외부단 중 제1 위치를 파지하여 당겨 제1 해체용 인장력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인장재를 고정 부재를 통해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인장재의 외부단 중 제2 위치를 파지하여 당겨 제2 해체용 인장력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인장재 제거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인장재와 앵커 유닛의 결합력을 해체하여 인장재를 손쉽게 수거 및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최적의 해체용 인장력을 인장재에 부여하여 앵커 유닛을 해체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타격 횟수를 줄여줌으로써 인장재와 앵커 유닛을 해체하는데 소모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앵커 유닛을 적당한 해체용 인장력으로 타격하기 때문에 앵커 유닛이 지중에서 비산되는 것을 막아줌으로써 추후 앵커 유닛 역시 손쉽게 수거 및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앵커 유닛(100)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 시스템의 구동 유닛(200)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 시스템의 구동 유닛(2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는 도 3 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 시스템의 구동 유닛(200)의 또 다른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 시스템 및 제거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앵커 유닛(100)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앵커 유닛(100)은 지중으로 삽입되는 인장재(OIN)의 일단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인장재(OIN)로부터 전달되는 해체용 인장력에 의한 타격으로 상기 인장재(OIN)와의 결합력이 해체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앵커 유닛(100) 내부에는 웨지(도시되지 않음)가 안착되어 있으며 인장재(OIN)는 앵커 유닛(100)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웨지와 고정 결합된다. 즉, 실질적으로 인장재(OIN)는 웨지와의 결합력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다.
이하, 인장재(OIN)를 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한다.
우선, 인장재(OIN)가 삽입될 위치에 앵커공(U)을 형성하고, 앵커 유닛(100)이 연결된 인장재(OIN)를 앵커공(U)에 삽입한 이후 앵커공(U)에 그라우트를 충진하여 양생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옹벽(B)에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 부재(F)를 통해 인장재(OIN)의 외부단을 고정함으로써 인장재(OIN) 시공은 종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 시스템은 도 1 과 같이 기 설치된 인장재(OIN)에 해체용 인장력을 부여하고 이 인장력으로 앵커 유닛(100)의 웨지를 타격하여 인장재(OIN)와 앵커 유닛(100)의 결합력을 해체할 수 있도록 이후 설명될 구동 유닛(200)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동 유닛(200)을 설명하기에 앞서 인장재 제거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인장재 제거 방법은, 상기 인장재(OIN)의 외부단을 확보하는 단계(S100); 상기 인장재(OIN)의 외부단을 파지하여 당겨 상기 인장재(OIN)에 해체용 인장력을 부여하는 단계(S200); 상기 구동 유닛(200, 도 3 참조)과 상기 인장재(OIN)의 파지를 해제시켜 상기 해체용 인장력을 상기 앵커 유닛(100)으로 전달하는 단계(S300); 상기 해체용 인장력을 이용한 타격에 의하여 상기 앵커 유닛(100) 내부에 안착된 상기 웨지와 상기 인장재(OIN)를 해체하는 단계(S400); 및 상기 인장재(OIN)를 외부로 수거 및 제거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인장재 외부단 확보 단계(S100)는 이후 설명될 구동 유닛(200)이 인장재(OIN)를 파지하여 해체용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인장재(OIN)의 외부단을 예정된 길이만큼 확보하는 단계이다. 구동 유닛(200)이 확보해야 하는 인장재(OIN)의 외부단의 길이는 구동 유닛(200)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후 설명될 해체용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파지하여 당길 수 있을 정도의 길이만 확보되면 된다.
다음으로, 인장재 해체용 인장력 부여 단계(S200)는 인장재(OIN)의 외부단을 파지하고 이렇게 파지된 인장재(OIN)를 앵커공(U)의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당겨 인장재(OIN)에 해체용 인장력을 부여하는 단계이다. 위에서 이미 설명하였지만, 인장재(OIN)는 앵커 유닛(100)에 침투한 그라우트에 의하여 내부에 안착된 웨지와 비정상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인장재(OIN)를 당기면 당겨진 만큼 인장재(OIN)는 큰 해체용 인장력을 가지게 된다.
해체용 인장력 전달 단계(S300)는 구동 유닛(200)에 의하여 당겨진 인장재(OIN)와 구동 유닛(200)의 파지를 해제시켜 해체용 인장력을 앵커 유닛(100)으로 전달하기 위한 단계이다. 구동 유닛(200)에 의하여 당겨진 인장재(OIN)는 그만큼 해체용 인장력이 부여되며 구동 유닛(200)와 인장재(OIN)의 파지를 해제시켰을 때 인장재(OIN)에 부여된 해체용 인장력은 인장재(OIN)를 통해 앵커 유닛(100)으로 전달된다.
앵커 유닛 타격 및 분리 단계(S400)는 인장재(OIN)를 통해 전달된 해체용 인장력을 이용한 타격에 의하여 인장재(OIN)와 웨지를 분리하기 위한 단계이다. 웨지와 인장재(OIN)의 분리는 곧 앵커 유닛(100)과 인장재(OIN)의 분리를 의미한다.
여기서, 인장재(OIN)와 앵커 유닛(100)은 일반적으로 결합한 상태인 정상적인 결합 상태와 앵커 유닛(100)에 그라우트가 침투되어 웨지와 인장재(OIN)가 단단히 고착된 상태로 나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인장재(OIN)와 웨지의 정상적인 결합 상태에서는 물리적 결합력이 형성되며, 그라우트가 비정상적으로 고착된 상태에서는 화학적 결합력이 형성된다.
그래서, 앵커 분리 단계(S400)에서 인장재(OIN)를 통해 전달되는 해체용 인장력을 이용하여 앵커 유닛(100)을 타격해 줌으로써, 웨지와 인장재(OIN)와의 물리적 결합력 또는 화학적 결합력 또는 물리적 및 화학적 결합을 모두 해체하여 웨지와 인장재(OIN)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거 및 제거 단계(S500)는 앵커 분리 단계(S400)에서 웨지와 분리된 인장재(OIN)를 외부로 수거하여 제거하는 단계이다. 인장재(OIN)가 웨지와 완전히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인장재(OIN)를 손쉽게 수거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앵커공(U)에 설치된 인장재(OIN)를 깨끗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적으로, 인장재(OIN)는 시공 방법에 따라 압축형, 인장형, 분산형과 같이 여러 가지 타입으로 시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 방법은 시공 방법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하다. 특히 앵커 유닛(100)에 침투한 그라우트에 의하여 화학적 결합이 진행된 경우 해체용 인장력을 통해 화학적 결합력을 해체하고 인장재(OIN)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이후 설명될 구동 유닛(200)은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으며, 구동 유닛(200)에 대하여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구동 유닛(200)은 상기 인장재(OIN)의 외부단에 연결되며, 기 설치된 상기 인장재(OIN)의 일부를 파지하여 당겨 상기 인장재(OIN)에 해체용 인장력을 부여하고 상기 인장재(OIN)의 파지를 해제시켜 상기 해체용 인장력을 상기 앵커 유닛(100)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구동 유닛(200)은 인장재(OIN)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와, 파지부를 예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 그리고 이동부의 이동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 시스템의 구동 유닛(200)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구동 유닛(200)은 유압식 구성으로 구동 본체부(210) 내부에 피스톤 형태의 이동 로드(220)가 안착되어 있으며, 구동 본체부(210)에는 유압 호스(230)가 연결되어 있다. 이동 로드(220)는 인장재(OIN)를 파지하고 있으며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유압 호스(230)를 통해 이동 로드(220)의 상하 이동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구동 유닛(200)이 동작을 하여 이동 로드(220)가 상방향으로 움직이면 인장재(OIN)는 당겨진다. 이때 구동 유닛(200)과 고정 플레이트 부재(F) 사이에는 엄청난 압축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 시스템은 이를 완충하기 위한 완충 유닛(300)을 더 포함한다.
완충 유닛(300)은 고정 플레이트 부재(F)와 맞닿아 배치되는 하부 플레이트부(310)와, 하부 플레이트부(310)에 일단이 연결되고 인장재(OIN)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 플레이트부(330)와 타단이 연결되는 다수의 기둥부(320), 및 구동 유닛(200)과 맞닿아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부(330)를 포함한다.
하부 플레이트부(310)는 인장재(OIN)가 인출되는 구멍을 중심으로 예정된 만큼 더 면적이 넓은 노출공(G)이 형성된다. 이 노출공(G)은 시공이 완료된 인장재(OIN)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인장재(OIN) 제거 동작시 저절로 빠져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어서, 다수의 기둥부(320)는 구동 유닛(200)에 의하여 발생되는 압축력을 실질적으로 버티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는 기둥 타입으로 구성되었지만 압축력을 분산시키기 위한 구성이라면 설계자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기둥부(320) 역시 고정 부재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노출면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부 플레이트부(330)는 중심에 인장재(OIN)을 구동 유닛(200)과 연결시켜 주기 위한 관통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도 4 는 도 3 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 시스템의 구동 유닛(200)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 의 완충 유닛(300)은 생략하였다.
도 4 를 참조하면, 인장재(OIN)는 쐐기 형태의 파지부(210A) 에 의하여 파지된다. 이 파지부(210A) 도 3 의 본체부(210) 내부에 장착되며 이동부에 해당하는 이동 로드(220)를 따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 에는 쐐기 형태의 파지부(210A)를 구성하여 인장재(OIN)를 파지하여 잡아당기거나 파지 상태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인장재(OIN)를 파지하는 형태에 따라 (a)와 (b) 두가지 타입으로 나뉠 수 있다.
도 4 의 (a)는 쐐기 형태의 파지부(210A)가 인장재(OIN)를 충분한 길이로 파지한 형태이다. 이 경우 쐐기 형태의 파지부(210A)가 일정한 기준 없이 인장재(OIN)를 당기게 되면 인장재(OIN)가 중간에 끊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220A)는 쐐기 형태의 파지부(210A)가 인장재(OIN)를 파지하여 예정된 이동 거리만큼 당긴 후 쐐기 형태의 파지부(210A)를 개방하여 인장재(OIN)의 파지를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4 의 (b)는 쐐기 형태의 파지부(210A)가 인장재(OIN)를 예정된 길이만큼 파지한 형태이다. 이 경우 쐐기 형태의 파지부(210A)가 어느 정도 상승하게 되면 인장재(OIN)가 쐐기 형태의 파지부(210A)에서 저절로 빠져나가면서 인장재(OIN)의 파지가 해제된다.
한편, 도 4 의 (B)와 같은 쐐기 형태의 파지부(210A)는 인장재(OIN)에 부여하고자 하는 해체용 인장력의 정도에 따라 파지하는 길이를 설정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제어부(220A)는 쐐기 형태의 파지부(210A)가 예정된 길이만큼의 인장재(OIN)를 파지할 수 있도록 쐐기 형태의 파지부(210A)를 이동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제어부(220A)에는 쐐기 형태의 파지부(210A)가 최초 파지할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 버튼(UD)과, 원하는 해체용 인장력을 입력하거나 원하는 분리 높이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 버튼(KP)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쐐기 형태의 파지부(210A)가 인장재(OIN)를 회전하면서 잡아당길 수 있도록 회전 버튼(T)도 형성되어 있다.
참고적으로, 회전 버튼(T)에 의하여 인장재(OIN)를 회전시켜주게 되면 인장재(OIN)에는 해체용 인장력에 회전력이 추가되기 때문에 앵커 유닛(100)의 타격력은 더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 시스템은 여러 가지 다양한 구동 유닛(200)을 통해 인장재(OIN)에 해체용 인장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해체용 인장력을 통해 앵커 유닛(100)을 타격하여 분리함으로써 인장재(OIN)를 손쉽게 수거 및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 는 도 3 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 시스템의 구동 유닛(200)의 또 다른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쐐기 형태의 파지부(210A)는 (1)과 같이 인장재(OIN)의 외부단을 확보하여 파지한다. 그리고, 쐐기 형태의 파지부(210A)는 인장재(OIN)에 해체용 인장력를 부여하기 위하여 인장재(OIN)를 (2)와 같이 예정된 만큼 잡아 당긴다. 그리고, 작업자는 인장재(OIN)에 부여된 해체용 인장력이 사라지지 않도록 고정 부재인 체어 웨지(TT)를 노출공(G)을 통해 (3)과 같이 고정시킨다. 따라서, 체어 웨지(TT)를 기준으로 지중의 인장재(OIN)는 해체용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가 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를 제1 해체용 인장력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이어서, 쐐기 형태의 파지부(210A)는 (4)와 같은 위치로 이동하고, 다시 인장재(OIN)를 파지한다. 그리고, 체어 웨지(TT)를 제거한 이후 (5)와 같이 쐐기 형태의 파지부(210A)를 인장재(OIN)를 예정된 만큼 잡아 당겨 인장재(OIN)에 해체용 인장력을 부여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를 제2 해체용 인장력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여기서, 쐐기 형태의 파지부(210A)가 인장재(OIN)를 파지하는 부분은 인장재(OIN)를 기준으로 (1)과 (4)가 서로 다른 위치에 해당한다. 즉, (1)에서 쐐기 형태의 파지부(210A)가 인장재(OIN)의 외부단 중 제1 위치를 파지한다고 하면, (4)에서 쐐기 형태의 파지부(210A)는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를 파지하게 된다. 하지만, 쐐기 형태의 파지부(210A)는 구동 유닛(200)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임을 고려할 때 쐐기 형태의 파지부(210A)는 최초 동작 위치인 (1)와 같은 위치에서 (2), (3)와 같이 뒤로 이동한 이후 (4)와 같이 다시 최초 동작 위치로 원위치 됨을 알 수 있다. 이는 구동 유닛(200)을 고정시키고 쐐기 형태의 파지부(210A)과 체어 웨지(TT)를 이용하여 인장재(OIN)에 해체용 인장력를 계속적으로 부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인장재(OIN)에는 제1 해체용 인장력과 제2 해체용 인장력이 부여되며, (3) -> (4) -> (5) 동작을 반복하여 추가적인 해체용 인장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쐐기 형태의 파지부(210A)의 파지 동작을 해제하여 앵커 유닛(100)을 제1 및 제2 해체용 인장력으로 타격함으로써 인장재(OIN)와 앵커 유닛(100)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 시스템은 인장제에 부여되는 해체용 인장력을 추가적으로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부여된 더 큰 해체용 인장력으로 인장재(OIN)와 앵커 유닛(100)의 해체 동작을 보다 완벽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컨대 인장재(OIN)의 재질, 두께, 권수에 따라 필요로 하는 해체용 인장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단 한번의 타격으로 인장재(OIN)와 앵커 유닛(100)을 해체시켜 주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해체 작업의 시간 단축과 전반적인 공기 단축을 의미한다.
또한, 최적의 해체용 인장력을 이용한 타격의 경우 앵커 유닛(100)이 파괴됨을 막아줄 수 있다. 만약 앵커 유닛(100)이 너무 센 타격에 의하여 지중에서 파괴되어 비산되며, 인장재(OIN)가 지중으로 삽입되어 회수가 어려움은 물론 비산된 앵커 유닛(100)을 수거하여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최적의 해체용 인장력을 계산하여 앵커 유닛(100)이 파괴되지 않는 안전적인 해체 동작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앵커 유닛
200 : 구동 유닛
OIN : 인장재

Claims (10)

  1. 지중으로 삽입되는 인장재의 일단이 내부에 안착된 웨지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인장재로부터 전달되는 해체용 인장력에 의한 타격으로 상기 웨지와 상기 인장재와의 결합력이 해체되는 앵커 유닛; 및
    상기 인장재의 외부단에 연결되며, 기 설치된 상기 인장재의 일부를 파지하여 당겨 상기 인장재에 해체용 인장력을 부여하고 상기 인장재의 파지를 해제시켜 상기 해체용 인장력을 상기 앵커 유닛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인장재 제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력은 상기 웨지와 상기 인장재의 물리적 결합력과 그라우트의 침투에 의한 화학적 결합력을 포함하는
    인장재 제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인장재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
    상기 파지부를 예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이동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장재 제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재의 외부 인출단과 상기 구동 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 유닛의 당김 동작시 발생하는 압축력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 유닛을 더 포함하는
    인장재 제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중의 외면에 배치되며, 상기 인장재가 입출되는 입출공이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인출공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인장재 시공시 상기 인장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 유닛은 상기 인장재 제거 동작시 상기 고정 부재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노출부가 형성되는
    인장재 제거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인장재의 외부단을 예정된 길이만큼 파지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인장재에 부여하는 해체용 인장력에 대응하여 상기 예정된 길이를 조절하는
    인장재 제거 시스템.
  7. 기 설치된 인장재와 앵커 유닛을 제거하는 인장재 제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장재의 외부단을 확보하는 단계;
    상기 인장재의 외부단을 구동 유닛으로 파지하여 당겨 상기 인장재에 해체용 인장력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구동 유닛과 상기 인장재의 파지를 해제시켜 상기 해체용 인장력을 상기 앵커 유닛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해체용 인장력을 이용한 타격에 의하여 상기 앵커 유닛 내부에 안착된 웨지와 상기 인장재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인장재를 외부로 수거 및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장재 제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해체용 인장력을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인장재의 외부단 중 파지하는 길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인장재를 파지하여 예정된 이동 거리만큼 당기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장재 제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당기는 단계는,
    상기 인장재를 회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장재 제거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을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인장재의 외부단 중 제1 위치를 파지하여 당겨 제1 해체용 인장력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인장재를 고정 부재를 통해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인장재의 외부단 중 제2 위치를 파지하여 당겨 제2 해체용 인장력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장재 제거 방법.
KR1020160166845A 2016-12-08 2016-12-08 인장재 제거 시스템 및 인장재 제거 방법 KR102002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845A KR102002989B1 (ko) 2016-12-08 2016-12-08 인장재 제거 시스템 및 인장재 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845A KR102002989B1 (ko) 2016-12-08 2016-12-08 인장재 제거 시스템 및 인장재 제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681A true KR20180065681A (ko) 2018-06-18
KR102002989B1 KR102002989B1 (ko) 2019-07-24

Family

ID=62768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845A KR102002989B1 (ko) 2016-12-08 2016-12-08 인장재 제거 시스템 및 인장재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9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011B1 (ko) 2002-08-21 2005-06-13 신종덕 인장부재 해체장치용 앵커
KR100834021B1 (ko) * 2007-02-15 2008-06-02 주식회사 에스제이지반기술 재긴장 앵커시스템
KR20150090572A (ko) * 2014-01-29 2015-08-06 (주)대영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011B1 (ko) 2002-08-21 2005-06-13 신종덕 인장부재 해체장치용 앵커
KR100834021B1 (ko) * 2007-02-15 2008-06-02 주식회사 에스제이지반기술 재긴장 앵커시스템
KR20150090572A (ko) * 2014-01-29 2015-08-06 (주)대영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101588860B1 (ko) * 2014-01-29 2016-01-26 (주)대영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2989B1 (ko) 201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8940A (ko) 인장재제거용 앵커의 내부정착제
KR102002989B1 (ko) 인장재 제거 시스템 및 인장재 제거 방법
KR100864084B1 (ko) 스프링의 압축력을 이용한 정착부 팽창 가압식 앵커 및시공방법
JP3894936B2 (ja) アンカー工法用引張部材解体装置及び方法
KR101196327B1 (ko) 지반보강용 강관파일 타격장치
RU2586830C1 (ru) Распорный анкер
WO2012101433A2 (en) Drilling device for percussion or rotary percussion drilling having a coupling sleeve
KR101055531B1 (ko) 수평하중 저항능력이 부가된 복합마이크로 파일의 시공장치 및 그 시공방법
MXPA04005013A (es) Metodo de sobrebloqueado de al menos un cable trenzado en un bloque de anclaje y sistema de sobrebloqueado de al menos un cable trenzado en un bloque de anclaje.
KR102134899B1 (ko) 확공이 가능한 그라운드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 방법
KR200403638Y1 (ko)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
KR101241403B1 (ko) 제거식 앵커
KR20070000151U (ko) 교좌장치 상부 부재 해체를 위한 유압인장 해체 장치
KR100483011B1 (ko) 앵커공법용 인장재의 체결 및 해체장치
KR200481789Y1 (ko) 지지축과 받침대를 구비하여 h형강의 좌굴과 변형을 방지하게 되는 t형 보강장치
KR20100018714A (ko) 인장재 제거형 앵커
KR101765536B1 (ko) 그라운드 앵커용 인장재 제거장치
KR101645007B1 (ko) 쐐기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쐐기 분리 방법
KR102512834B1 (ko) 인장재 제거식 지반 보강재의 타격 캡과 이를 포함하는 인장재 제거식 지반 보강재 및 이의 설치와 인장재 제거 방법
KR20070016944A (ko) 선행인장타입 록 볼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86557B1 (ko) 스토퍼 시스템을 구비한 확장지압형 앵커 및 시공방법
KR102485680B1 (ko) 제거식 복합 지중앵커
KR20030061283A (ko) 앵커공법용 인장부재 해체방법
KR200485118Y1 (ko) H형강의 좌굴 및 변형 방지를 위한 t형 보강장치
KR20070029402A (ko)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