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8714A - 인장재 제거형 앵커 - Google Patents

인장재 제거형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8714A
KR20100018714A KR1020080077341A KR20080077341A KR20100018714A KR 20100018714 A KR20100018714 A KR 20100018714A KR 1020080077341 A KR1020080077341 A KR 1020080077341A KR 20080077341 A KR20080077341 A KR 20080077341A KR 20100018714 A KR20100018714 A KR 20100018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member
hole
wedge
spr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범수
박영수
최우형
Original Assignee
박범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범수 filed Critical 박범수
Priority to KR1020080077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8714A/ko
Publication of KR20100018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87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26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93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장재 제거형 앵커에 관한 것으로, 웨지 조립체에 결속된 인장재가 외부의 사소한 충격에 의해 쉽게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인장재 제거형 앵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장재의 선단부는 웨지 조립체가 형성하는 체결구멍에 삽입되고, 인장재의 후단부쪽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인장재가 삽입된 웨지 조립체의 외측면은 헤드의 내측면에 구속됨으로써, 웨지 조립체에 삽입된 인장재는 소정의 인장력으로 결속된다. 아울러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장재의 선단이 탑재된 견인핀을 인장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밀고 있기 때문에, 인장재의 인장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사소한 외부 충격에 의해 웨지 조립체가 뒤로 후퇴하는 것을 억제하여 웨지 조립체에 결속된 인장재가 쉽게 빠지는 것을 억제한다. 아울러 인장재 제거형 앵커 장치를 지중에 시공한 후에 앵커에서 인장재가 분리되더라도, 웨지 조립체의 체결구멍의 입구가 인장재의 외경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넓고 나사산이 형성된 방향으로 경사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분리된 인장재를 웨지 조립체의 체결구멍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회전시켜 쉽게 재조립할 수 있다.
인장재, 강연선, 제거, 앵커, 토목

Description

인장재 제거형 앵커{Remove type anchor}
본 발명은 앵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 공사에 사용되는 인장재 제거형 앵커에 관한 것이다.
앵커 장치는 건축 및 건축 구조물을 축조 또는 구축하기 위한 지하구조물용 굴착공사를 하면서 굴착하지 아니한 현장 부근의 지반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흙막이 공사, 연약지반 절개면의 토사 유실을 억제하는 안전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앵커 장치는 지반에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공된다. 먼저 앵커 장치를 설치할 지반에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일정한 깊이와 경사각으로 앵커공을 형성한다. 일정한 길이로 사전에 조립된 앵커 장치를 앵커공에 삽입하고, 그라우팅을 통하여 지반과 앵커 장치를 고정시킨다. 지반에 고착된 앵커장치의 인장재를 인장하고, 토류벽 또는 고정장치와 인장재를 연결하여 토류벽 또는 고정장치가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장착한다.
이때 앵커 장치의 앵커는 인장재를 결속하는 역할을 하며, 인장재의 결속은 앵커의 웨지 조립체(wedge assembly)와 헤드(head)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인장재 의 선단은 웨지 조립체가 형성하는 체결구멍에 삽입되고, 인장재가 삽입된 웨지 조립체의 외측면은 헤드의 내측면에 구속됨으로써, 웨지 조립체에 삽입된 인장재는 소정의 인장력으로 결속된다. 웨지 조립체의 내측면에는 인장재를 안정적으로 결속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인장재는 웨지 조립체의 외측면이 헤드의 내측면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구속됨으로써 결속되어 있고, 웨지 조립체의 뒤쪽을 지지하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인장재의 인장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부 충격에 의해 웨지 조립체가 뒤로 후퇴할 경우, 인장재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인장재가 웨지 조립체에서 쉽게 빠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웨지 조립체에 결속된 인장재가 외부의 사소한 충격에 의해 쉽게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인장재 제거형 앵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웨지 조립체에서 인장재가 빠지더라도 다시 조립할 수 있는 인장재 제거형 앵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캡, 스프링, 스프링 받침판, 중간링, 웨지 조립체, 견인핀 및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장재 제거형 앵커를 제공한다. 상기 캡은 설치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캡의 설치구멍에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 받침판은 상기 캡의 설치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에 탑재되며, 상부로 돌출되며 제 1 관통구멍을 갖는 돌기를 갖는다. 상기 중간링은 상기 스프링 받침판의 돌기가 삽입되는 제 2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의 설치구멍의 내측면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받침판을 구속한다. 상기 웨지 조립체는 상기 캡의 설치구멍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중간링 위에 배치되며, 중심 부분에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견인핀은 상기 중간링의 제 2 관통구멍을 통하여 상기 스프링 받침판의 돌기에 탑재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와 연결되어 상기 웨지 조립체의 체결구멍에 노출되게 상기 웨지 조립체의 하단부에 조립되는 견인판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헤드는 상기 캡의 설치구멍의 상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캡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웨지 조립체의 외측면을 구속하며, 상기 웨지 조립체의 체결구멍에 연통되며, 인장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인장재의 선단부는 상기 헤드의 삽입구멍을 통하여 상기 웨지 조립체의 체결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견인핀의 견인판에 밀착되며, 상기 인장재의 후단부쪽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상기 인장재가 삽입된 상기 웨지 조립체의 외측면은 상기 헤드의 내측면에 구속되어 상기 웨지 조립체는 상기 인장재를 결속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인장재의 선단이 탑재된 상기 견인핀을 인장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밀고 있다.
본 발명의 구조를 따르면 인장재의 선단부는 웨지 조립체가 형성하는 체결구멍에 삽입되고, 인장재의 후단부쪽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인장재가 삽입된 웨지 조립체의 외측면은 헤드의 내측면에 구속됨으로써, 웨지 조립체에 삽입된 인장재는 소정의 인장력으로 결속된다. 아울러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장재의 선단이 탑재된 견인핀을 인장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밀고 있기 때문에, 인장재의 인장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사소한 외부 충격에 의해 웨지 조립체가 뒤로 후퇴하는 것을 억제하여 웨지 조립체에 결속된 인장재가 쉽게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인장재 제거형 앵커 장치를 시공한 후에 앵커에서 인장재가 분리되더라도, 웨지 조립체의 체결구멍의 입구가 인장재의 외경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넓고 나 사산이 형성된 방향으로 경사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분리된 인장재를 웨지 조립체의 체결구멍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회전시켜 쉽게 재조립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형 앵커 장치(3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100)와, 앵커(100)에 탈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인장재(200)를 포함한다. 인장재(200)는 선단부가 앵커(100)에 삽입되며, 인장재(200)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앵커(100)에 구속되고, 인장재(200)의 후단부를 절단하여 인장력을 해제시키면 앵커(100)에서 인장재의 선단부(200)는 분리된다.
인장재(200)는 지중에 형성된 앵커공에 설치된 앵커(200)와, 앵커공 밖의 토류벽 또는 고정장치를 소정의 인장력으로 연결하는 연결선이다. 인장재(200)로는 여러 가닥의 강철선을 꼬아서 만든 PC(Prestressed Concrete) 강연선이 사용되며, 주로 6가닥의 강연선을 꼬아서 만든 PC 강연선이 주로 사용된다.
그리고 앵커(100)는 캡(10), 스프링(20), 스프링 받침판(30), 중간링(40), 웨지 조립체(50), 견인핀(60) 및 헤드(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캡(10)에는 설치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20)은 캡(10)의 설치구멍(13)에 삽입된다. 스프링 받침판(30)은 캡(10)의 설치구멍(11)에 삽입되어 스프링(20)에 탑재되며, 상부로 돌출되며 제 1 관통구멍(33)을 갖는 돌기(31)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링(40)은 스프링 받침판(30)의 돌기(31)가 삽입되는 제 2 관통구멍(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캡(10)의 내측면에 나사 결합되어 스프링(20)과 스프링 받침판(30)을 구속한다. 웨지 조립체(50)는 캡(10)의 내측면 상단부에 삽입되어 중간링(40) 위에 배치되며, 중심 부분에 체결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견인핀(60)은 중간링(40)의 제 2 관통구멍(41)을 통하여 스프링 받침판(30)의 돌기(31)에 탑재되는 가이드(61)와, 가이드(61)와 연결되어 웨지 조립체(50)의 체결구멍(52)에 노출되게 웨지 조립체(50)의 하단부에 조립되는 견인판(65)을 갖는다. 그리고 헤드(70)는 캡(10) 상단부의 내측면에 체결되어 캡(10)의 상부로 돌출된 웨지 조립체(50)의 외측면을 구속하며, 웨지 조립체(50)의 체결구멍(52)에 연통되며 인장재(20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멍(71)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인장재(200)의 선단부는 헤드(70)의 삽입구멍(71)을 통하여 웨지 조립체(50)의 체결구멍(52)에 삽입되어 견인핀(60)의 견인판(65)에 밀착된다. 인장재(200)의 후단부쪽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인장재(200)가 삽입된 웨지 조립체(50)의 외측면은 헤드(70)의 내측면에 구속되어 웨지 조립체(50)는 인장재(200)를 결속한다. 스프링(20)은 탄성력으로 인장재(200)의 선단이 탑재된 견인핀(60)을 인장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밀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앵커(100)에 대하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캡(10)은 내부에 길게 설치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설치구멍(11)은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의 스프링 설치구멍(13)과, 스프링 설치구멍(13)의 위쪽에 형성된 웨지 조립체 설치구멍(15)과, 웨지 조립체 설치구멍(15)의 위쪽에 형성되며 입구와 연결된 헤드 설치구멍(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웨지 설치구멍(15) 하단 부분과, 스프링 설치구멍(13)의 내측면에는 중간링(40)이 체결될 수 있는 나사산(14)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헤드 설치구멍(17)의 내측면에는 헤드(70)가 체결될 수 있는 나사산(18)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20)은 캡(10)의 스프링 설치구멍(13)에 삽입되며,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20)으로는 스프링 설치구멍(13)의 바닥면에 탑재되는 하단부의 직경에 비해서 상단부의 직경이 작은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다.
스프링 받침판(30)은 스프링(20)의 상단부에 탑재되며, 제 1 관통구멍(33)에 견인핀(60)의 연결핀(63)이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관통구멍(33)은 단면이 원형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 외 제 1 관통구멍(33)은 단면이 다각형인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스프링 받침판(30)이 스프링(20)의 상단부에 안정적으로 탑재될 수 있도록, 스프링 받침판(30)의 면적은 스프링(20)의 상단부보다는 적어도 넓은 면적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관통구멍(33)은 스프링(20)의 상단부가 형성하는 내경보다는 작다.
중간링(40)은 캡(10)의 스프링 설치구멍(13)에 형성된 나사산(14)에 결합되어 캡(10)에 삽입된 스프링(20)과 스프링 받침판(30)을 구속한다. 인장재(200)를 앵커(100)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웨지 조립체(50)의 체결구멍(52)을 통하여 견인판(65)의 삽입홈(67)에 삽입되는 인장재(200)에 의해 견인핀(60)이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고, 스프링 받침판(30)의 돌기(31)가 상하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중간링(40)의 제 2 관통구멍(41)은 단면이 사각형인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그 외 제 2 관통구멍(41)은 삼각형, 오각형, 반원 형태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웨지 조립체(50)는 복수개로 분할된 웨지(51) 및 오링(53; O-ring)을 포함하 여 구성된다. 웨지(51)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있으며, 조립되어 중심 부분에 체결구멍(52)을 형성한다. 오링(53)은 웨지(51)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분할된 웨지(51)를 결속한다.
웨지(51)의 외측면은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추형태를 갖는다. 웨지(51)의 체결구멍(52)의 내측면에는 인장재(200)를 결속할 수 있는 나사산(58)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구멍(52)의 입구에 대해서 일정 거리를 두고 안쪽에 나사산(58)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구멍(52)의 입구는 나사산(58)이 형성된 부분보다는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며, 체결구멍(52)의 입구에서 나사산(58)의 형성이 시작되는 부분까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오링(53)에 의해 분할된 웨지(51)가 서로 밀착된 상태일 때, 체결구멍(52)에 삽입될 인장재(200)의 외경에 비해서 체결구멍(52)의 입구의 내경은 크며, 나사산(58)이 형성된 부분의 내경은 작다.
이와 같이 체결구멍(52)을 형성한 이유는, 앵커 장치(300)를 지중에 시공한 후에 앵커(100)에서 인장재(200)가 분리되더라도, 웨지 조립체(50)의 체결구멍(52)의 입구가 인장재(200)의 외경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크고 나사산(58)이 형성된 방향으로 경사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분리된 인장재(200)를 웨지 조립체(50)의 체결구멍(52)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회전시켜 쉽게 재조립하기 위해서이다.
웨지(51)의 하단부에는 체결구멍(52)과 연통되며, 체결구멍(52)보다는 넓은 설치홈(54)이 형성되어 있다. 설치홈(54)에는 견인핀(60)의 견인판(65)이 조립된다.
견인핀(60)은 가이드(61), 연결핀(63) 및 견인판(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61)는 중간링(40)의 제 2 관통구멍(41)을 통하여 스프링 받침판(30)의 돌기(31)에 탑재된다. 연결핀(63)은 가이드(61) 아래로 돌출되어 스프링 받침판(30)의 제 1 관통구멍(33)에 삽입된다. 그리고 견인판(65)은 가이드(61) 위로 돌출되어 웨지(51)의 설치홈(54)에 조립된다. 견인판(65)의 상부면에는 인장선(200)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다각형의 삽입홈(67)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견인판(65)의 삽입홈(67)은 단면이 육각형으로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다. 육각형으로 삽입홈(87)을 형성한 이유는, 6가닥의 강연선으로 꼬아서 만든 인장재(200)의 단면이 육각형이기 때문이다.
이때 견인핀(60)의 연결핀(63)이 삽입된 스프링 받침판(30)의 돌기(31)의 상단부와, 돌기(31)에 밀착된 견인핀(60)의 가이드(61)의 하단부는 중간링(40)의 제 2 관통구멍(41)에 위치한다. 그리고 인장재(200)를 통하여 견인핀(60)에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중간링(40)은 회전하여 연결핀(63)과 돌기(31)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헤드(70)는 외측면의 하단부에 캡(10)의 헤드 체결구멍(17)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77)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멍(71)은 웨지 삽입구멍(73)과, 웨지 삽입구멍(73)과 연결된 인장재 삽입구멍(75)을 포함한다. 웨지 삽입구멍(73)은 헤드(70)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웨지(51)의 외측면에 대응되게 내측면은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웨지 삽입구멍(73)과 상단과 연결되게 인장재 삽입구멍(75)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인장재 삽입구멍(75)은 인장재(200)의 외경보다는 넓게 형성된다. 인장재 삽입구멍(75)에 삽입된 인장재(200)가 안정적으로 웨지(51)의 체결구멍(5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인장재 삽입구멍(75)의 하단은 웨지(51)의 체결구멍(52)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인장재 삽입구멍(75)과 연결되는 웨지 삽입구멍(73)의 상단부는 웨지(51)의 체결구멍(52)으로 인장재(200)를 안내할 수 있도록 일정한 내경을 갖는 형태로 형성된다. 웨지 삽입구멍(73)의 상단부 아래는 웨지(51)의 외측면에 대응되게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캡(10)에 헤드(70)가 조립된 상태일 때, 인장재(200)를 통하여 전달되는 충격력에 따라 견인핀(60)이 스프링 받침판(30)을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중간링(40)의 하부면과 스프링 받침판(30)의 상부면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앵커(100)에 결합된 인장재(200)를 제거하는 과정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100)에 인장재(200)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면, 인장재(200)의 선단부는 웨지 조립체(50)가 형성하는 체결구멍(52)에 삽입되고, 인장재(200)의 후단부쪽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인장재(200)가 삽입된 웨지 조립체(50)의 외측면은 헤드(70)의 내측면에 구속됨으로써, 웨지 조립체(50)에 삽입된 인장재(200)는 소정의 인장력으로 결속된다. 아울러 스프링(20)의 탄성력으로 인장재(200)의 선단이 탑재된 견인핀(60)을 인장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밀고 있기 때문에, 인장재(200)의 인장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사소한 외부 충격에 의해 웨지 조립체(50)가 뒤로 후퇴하는 것을 억제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재(200)의 후단부를 절단하게 되면, 인장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힘이 견인핀(60)을 통하여 스프링(20)과 중간링(40)에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인장재(200)의 선단부는 견인핀(60)을 통하여 스프링 받침판(30)을 밀어 스프링(20)을 수축시키게 된다. 아울러 웨지 조립체(50)는 중간핀(40)을 아래로 밀기 때문에, 헤드(70)와 웨지(51) 외측면 사이에 틈이 발생되어 웨지 조립체(50)의 인장재(200)에 대한 결속력이 떨어진다.
그리고 스프링(20)에 압축된 탄성력에 의해 스프링(20)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스프링 받침판(30) 및 견인핀(60)이 인장재(200)의 선단부를 밀어올리기 때문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재(200)의 선단부는 견인판(65)의 삽입홈(67)에서 분리된다.
마지막으로 인장재(200)를 회전시켜 웨지 조립체(50)에서 분리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앵커(100)를 시공한 후에 분리된 인장재(200)를 재결합하는 과정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100)에서 분리된 인장재(200)를 헤드(70)의 인장재 삽입구멍(75)을 통하여 삽입한 후, 인장재(200)의 선단을 웨지 조립체(50)의 체결구멍(52)의 입구에 삽입한다. 이때 인장재 삽입구멍(75)과 연결되는 웨지 삽입구멍(73)의 상단부는 웨지(51)의 체결구멍(52)으로 인장재(200)를 안내할 수 있도록 일정한 내경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장재 삽입구멍(75)에 삽입된 인장재(200)의 선단을 웨지(51)의 체결구멍(52)의 입구로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웨지(51)의 체결구멍(52)의 입구 또한 인장재(200)의 외경보다는 넓고 체결구멍(52)의 나사산(58)이 형성된 방향으로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 에, 체결구멍(52)의 입구를 통하여 나사산(58)이 시작되는 부분까지 인장재(200)의 선단을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재(200)를 회전시켜 웨지(51)의 체결구멍(52)에 인장재(200)의 선단부를 나사결합 방식으로 재결합할 수 있다. 이때 인장재(200)의 선단이 견인판(65)의 삽입홈(67)에 삽입되어 인장재(200)에 회전력을 전달하더라도 더 이상 인장재(200)가 회전하지 않을 때까지 조립한다.
이와 같이 앵커 장치(300)를 지중에 시공한 후에 앵커(100)에서 인장재(200)가 분리되더라도, 웨지 조립체(50)의 체결구멍(52)의 입구가 인장재(200)의 외경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크고 나사산(58)이 형성된 방향으로 경사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분리된 인장재(200)를 웨지 조립체(50)의 체결구멍(52)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회전시켜 쉽게 재조립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형 앵커를 갖는 앵커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앵커 장치를 보여주는 결합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앵커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형 앵커에 결합된 인장재를 제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형 앵커를 시공한 후에 분리된 인장재를 재결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 캡 20 : 스프링
30 : 스프링 받침판 40 : 중간링
50 : 웨지조립체 60 : 견인핀
70 : 헤드 100 : 앵커
200 : 인장재 300 : 앵커 장치

Claims (7)

  1. 설치구멍을 갖는 캡과;
    상기 캡의 설치구멍에 삽입된 스프링과;
    상기 캡의 설치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에 탑재되며, 상부로 돌출되며 제 1 관통구멍을 갖는 돌기가 형성된 스프링 받침판과;
    상기 스프링 받침판의 돌기가 삽입되는 제 2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의 설치구멍의 내측면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받침판을 구속하는 중간링과;
    상기 캡의 설치구멍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중간링 위에 배치되며, 중심 부분에 체결구멍이 형성된 웨지 조립체와;
    상기 중간링의 제 2 관통구멍을 통하여 상기 스프링 받침판의 돌기에 탑재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와 연결되어 상기 웨지 조립체의 체결구멍에 노출되게 상기 웨지 조립체의 하단부에 조립되는 견인판을 갖는 견인핀; 및
    상기 캡의 설치구멍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캡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웨지 조립체의 외측면을 구속하며, 상기 웨지 조립체의 체결구멍에 연통되며, 인장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멍이 형성된 헤드;를 포함하며,
    인장재의 선단부는 상기 헤드의 삽입구멍을 통하여 상기 웨지 조립체의 체결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견인핀의 견인판에 밀착되며, 상기 인장재의 후단부쪽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상기 인장재가 삽입된 상기 웨지 조립체의 외측면은 상기 헤드의 내측면에 구속되어 상기 웨지 조립체는 상기 인장재를 결속하고,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인장재의 선단이 탑재된 상기 견인핀을 인장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 제거형 앵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 조립체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있으며, 조립되어 중심부분에 상기 체결구멍을 형성하는 웨지와;
    상기 웨지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웨지를 결속하는 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 제거형 앵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는,
    상기 체결구멍의 입구보다는 아래쪽부터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구멍의 입구에서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까지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인장재의 외경에 비해서 상기 체결구멍의 입구는 크며,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의 내경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 제거형 앵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의 하단부에는,
    상기 체결구멍 안쪽으로 설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 제거형 앵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핀은,
    상기 중간링의 제 2 관통구멍을 통하여 상기 스프링 받침판의 돌기에 탑재되는 상기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아래로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 받침판의 제 1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연결핀과;
    상기 가이드 위로 연결되어 상기 웨지의 설치홈에 조립되는 상기 견인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 제거형 앵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링의 하부면과 상기 스프링 받침판의 상부면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 제거형 앵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판의 상부면에는 상기 인장선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다각형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 제거형 앵커.
KR1020080077341A 2008-08-07 2008-08-07 인장재 제거형 앵커 KR20100018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341A KR20100018714A (ko) 2008-08-07 2008-08-07 인장재 제거형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341A KR20100018714A (ko) 2008-08-07 2008-08-07 인장재 제거형 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714A true KR20100018714A (ko) 2010-02-18

Family

ID=42089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341A KR20100018714A (ko) 2008-08-07 2008-08-07 인장재 제거형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871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2873A (zh) * 2013-08-16 2013-12-04 中铁二十一局集团有限公司 一种高强可伸长锚杆
CN107653882A (zh) * 2016-07-26 2018-02-02 三进钢铁产业株式会社 利用旋转的可拆卸的接地锚固体
WO2019039787A1 (ko) * 2017-08-23 2019-02-28 동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긴장력 육안 확인이 가능한 앵커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AU2017204341B2 (en) * 2016-09-26 2023-05-11 DSI Underground Australia Pty Limited Tensioning assembly for a cable bol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2873A (zh) * 2013-08-16 2013-12-04 中铁二十一局集团有限公司 一种高强可伸长锚杆
CN107653882A (zh) * 2016-07-26 2018-02-02 三进钢铁产业株式会社 利用旋转的可拆卸的接地锚固体
CN107653882B (zh) * 2016-07-26 2020-01-14 三进钢铁产业株式会社 利用旋转方式可进行拆卸的接地锚固体
AU2017204341B2 (en) * 2016-09-26 2023-05-11 DSI Underground Australia Pty Limited Tensioning assembly for a cable bolt
WO2019039787A1 (ko) * 2017-08-23 2019-02-28 동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긴장력 육안 확인이 가능한 앵커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125B1 (ko) 확개된 앵커헤드부를 가지는 그라운드 앵커 및 그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한 앵커 시공 방법
US20090191006A1 (en) Resin Mixing and Cable Tensioning Device and Assembly for Cable Bolts
KR101072527B1 (ko) 강연선 지중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KR100998072B1 (ko) 확공지압형 앵커 구조
KR20070058940A (ko) 인장재제거용 앵커의 내부정착제
KR101352188B1 (ko) 원터치식 재인장 정착구
KR101985956B1 (ko) 교차 경사면의 최대 확장성을 적용한 쐐기 지압형 앵커
KR100855381B1 (ko) 지압식 확장형 그라운드 앵커 구조
KR20100018714A (ko) 인장재 제거형 앵커
KR100784941B1 (ko)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구조
KR100284670B1 (ko) 해체 가능한 가설지반 앵커체 및 인장재 해체공법
KR100690014B1 (ko) 나선판을 갖는 강재 구조
KR101694652B1 (ko) 패널식 절토부 옹벽용 앵커 헤드 착, 탈식 보호커버
KR101241351B1 (ko) 정착력이 우수한 네일 및 그 네일을 이용한 네일링 시공 방법
KR101202845B1 (ko) 한 개의 천공홀에 어스앵커와 소일네일링 합성에 의한 지반보강방법
KR101038757B1 (ko) 구조용 강관을 이용한 프리텐션 쏘일네일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29203B1 (ko) 그라우트 분사용 돌출부재를 구비한 지반보강장치
JP2003314199A (ja) ケーブルボルトの定着装置
KR101074151B1 (ko)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구조
KR101349259B1 (ko) 더블타입 하이브리드 내하체 및 이를 이용한 하중분산형 제거식 앵커 결합 구조
KR100908901B1 (ko) 제거 가능한 프리스트레스식 쏘일 네일링 구조
KR100413550B1 (ko) 제거형 앵커정착장치
KR20150050012A (ko)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흙막이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257387B1 (ko) 절토부 보강토 옹벽
KR20100005073U (ko) 어스 앵커용 브래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