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0151U - 교좌장치 상부 부재 해체를 위한 유압인장 해체 장치 - Google Patents

교좌장치 상부 부재 해체를 위한 유압인장 해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0151U
KR20070000151U KR2020070000052U KR20070000052U KR20070000151U KR 20070000151 U KR20070000151 U KR 20070000151U KR 2020070000052 U KR2020070000052 U KR 2020070000052U KR 20070000052 U KR20070000052 U KR 20070000052U KR 20070000151 U KR20070000151 U KR 200700001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hydraulic
dismantling
tension
hydraulic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0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36699Y1 (ko
Inventor
조한진
Original Assignee
인중건설 주식회사
조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중건설 주식회사, 조한진 filed Critical 인중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0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699Y1/ko
Publication of KR200700001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1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6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6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에 설치된 교좌장치를 손상 및 내진성능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교체작업을 시행함에 있어서 교량 가설시 상부구조물에 교좌장치의 상부 앵커가 매입되어 일체화 시공된 교좌장치의 상부 부재를 해체할 때, 교량 상부구조물에 손상을 주지않도록 고안된 장치를 이용하여 교좌장치의 상부 부재를 해체하는 유압인장 해체 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량 상부구조물에 설치된 교좌장치 상부 부재에 유압인장 해체 장치를 설치하고, 양측 단부에 확대구가 설치되어 내부에 인장재를 통하여 연결된 유압잭에 유압을 가압하면 유압잭의 실린더가 추진되면서 인장재를 인발하면 양측 단부에 설치된 확대구가 인장력에 의한 압축력이 도입되며 , 교좌장치 상부 부재의 측면에 돌출된 날개판과 교량 상부구조물 사이에 삽입되어 확대구 모따기면과 교좌장치 상부 부재의 날개판에 확장력이 발생하여 교량 상부구조물에 매입 설치된 앵커가 교좌장치 상부면과 앵커가 용접 접합된 부분에서 용접부 파단이 진행되어 교량 상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안전하게 교좌장치 상부 부재를 해체할 있다.
교량, 교좌장치, 유압인장 해체 장치, 유압잭, 확대구

Description

교좌장치 상부 부재 해체를 위한 유압인장 해체 장치 { Oil pressure pull demolition device for bridge bearing upper part demolition }
도 1은 교량에 설치된 교좌장치 상부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교량에 설치된 교좌장치 상부 부재의 단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교량에 설치된 교좌장치 상부 부재의 단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교좌장치 상부 부재 해체를 위한 종래기술 시공법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압인장 해체 장치를 이용하여 교좌장치 상부 부재가 해체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압인장 해체 장치의 설치 상세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압인장 해체 장치의 상세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확대구 및 연결구의 상세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상부 부재 120 : 앵커
130 : 날개판 140 : 상부면
150 : 상부구조물 170 : 브레이커
200 : 유압인장 해체 장치 210 : 인장재
310 : 유압잭 320 : 확대구
330 : 연결구 350 : 삽입공
본 고안은 교량에 설치된 교좌장치를 손상 및 내진성능개선의 목적으로 교체작업을 수행 시 교좌장치의 상부 부재를 구조물 손상 없이 해체하기 위한 유압인장 해체 장치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교량의 가설시 상부구조물에 앵커가 매입되어 일체화 시공된 교좌장치의 상부 부재를 해체함에 있어 구조물 손상을 최소화하며 해체 가능하도록 하는 유압인장 해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좌장치 상부 부재는 교량 상부구조물에 매입된 고정부에 교좌장치 상부 부재를 용접을 통하여 설치하는 방법과, 교량의 가설시 교좌장치 상부 부재에 설치된 앵커를 매입하여 일체화되도록 설치하는 방법이 있으나, 기존 교좌장치의 노후 손상 및 내진성능개선을 목적으로 시행되는 교좌장치 교체 작업에서 적용되는 교좌장치는 교량의 가설시 교좌장치 상부 부재의 앵커가 교량 상부구조물에 매입되어 일체화된 교좌장치가 주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형식으로 설치된 교좌장치의 상부 부재를 해체하기 위하여 교량 상부구조물의 하면을 브레이커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깨기 작업을 수행하고, 교량 상부구조물에 매입 설치된 앵커가 노출되면 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하고 해체하는 방법으로 교좌장치 상부 부재를 해체한다. 이때 브레이커를 이용한 콘크리트 깨기 작업으로 교량 상부구조물에 진동 타격으로 인한 손상을 유발하게 되며, 신규 교좌장치 설치 후에 콘크리트 깨기 단면을 복구하는 작업을 수행하여도 콘크리트 깨기 단면의 구조적 강도 확보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에, 당 고안의 유압인장 해체 장치를 이용한 교좌장치 상부 부재 해체 방법은 유압잭을 작동하여 인장재에 인장력을 발생시키고, 확대구와 교좌장치 상부 부재의 날개판에서 발생하는 확장력을 통하여 교좌장치 상부판에 용접으로 설치된 앵커의 용접부를 파단시키는 작업만으로 교좌장치 상부 부재를 해체하므로, 구조물에 발생하는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신규 교좌장치 설치를 위한 구조적 강도 확보가 가능하도록 해주며, 교량하부의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 가능하도록 최적화설계된 유압인장 해체 장치를 적용함으로써 공사기간 및 비용 절감이 가능 한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시공이 가능토록 해주는 장치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교좌장치 교체를 위한 교좌장치 상부 부재 해체 시 교량 상부구조물에 설치된 교좌장치 상부 부재에 유압인장 해체 장치를 설치하고, 유압잭을 작동시켜 인장재에 인장력을 발생시키고, 확대구와 교좌장치 상부 부재의 날개판에서 발생하는 확장력을 통하여 교좌장치 상부판에 용접으로 설치된 앵커의 용접부를 파단시키는 작업만으로 교좌장치 상부 부재를 해체하므로 구조물에 발생하는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신규 교좌장치 설치를 위한 구조적 강도 확보가 가능하도록 해주며, 교량하부의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 가능하도록 최적화설계된 유압인장 해체 장치를 적용함으로써 공사기간 및 비용 절감이 가능 한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시공이 가능 토록 해주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교량에 설치되는 교좌장치의 상부 부재(11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교량에 설치되는 교좌장치 상부 부재(110)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며, 도 3은 교량에 설치되는 교좌장치 상부 부재(110)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 단면도이며, 도 4는 교량에 설치된 교좌장치 상부 부재(110)를 해체하기 위한 종래기술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을 통하여 교좌장치 상부 부재(110)를 해체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유압인장 해체 장치(200)가 설치된 교량 상부구조물(150) 하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유압인장 해체 장치(200)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유압인장 해체 장치(200)의 확대구(320) 및 연결구(33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압인장 해체 장치(200)는 교량 상부구조물(150)에 설치된 교좌장치 상부 부재(110)의 손상 없고 안정적인 해체를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강재를 경사 모양으로 가공하고 내부에 인장재(21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삽입공(350)을 가지는 확대구(320)를 제작하는 단계와; 유압잭(310)의 작동부에서 상부공간이 부족할 시 길이를 연장하여 상부공간이 확보되는 위치로 길이를 연장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목적의 연결구(330)를 제작하는 단계와; 일측에 확대구(320)를 경사진 면이 교좌장치 방향으로 향하고, 타측에서 확대구(320) 경사진 면이 교좌장치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확대구(320)의 경사진 면이 마주보는 형태 배치하는 단계와; 확대구(320) 내측에 형성된 삽입공(350)에 인장재(210)가 삽입되어 일측 방향은 고정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타측 방향에는 유압잭(310) 삽입공(350)이 관통되도록 인장재(210)가 삽입되어 고정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와; 교좌장치 상부 부재(110)의 반대측에도 상기 작업순서를 시행하여 양측 돌출 날개판 부분에 유압인장 해체 장치(200)가 설치되는 것으로 유압인장 해체 장치(200)를 이용한 교좌장치 상부 부재(110)의 해체를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여기서, 유압인장 해체 장치(200) 설치 시 유압잭(310)의 설치를 위한 공간의 확보가 어려운 경우 유압잭(310) 설치 전 확대구(320)의 후면 단부에 연결구(330)를 삽입하여 유압잭(310) 설치 가능한 위치까지 길이가 연장되도록 한다. 이때, 연결구(330)를 통한 연장 길이의 확보는 연결구(330) 수량의 증감을 통하여 조절이 가능하며, 유압인장 해체 장치(200)에 적용되는 인장재(210)는 유압잭(310)의 인장력을 지지하며, 양측에 설치된 확대구(320)에 유압잭(310)에서 발휘하는 인장력과 비례하여 압축력이 발생하도록 해주는 중요한 재료로서, 인장력 이상의 지지응력을 가지는 강봉 또는 강연선등의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교좌장치 상부 부재(110)의 해체를 위한 사전 작업으로서 교량인상을 위한 유압인상장치를 이용하여 교량 상부구조물(150)을 하중이 기존 교좌장치에 전달되지 않도록 인상하고, 기존 교좌장치의 하부 부재를 브레이커(170)를 이용하여 해체하는 작업이 진행된다.
상기 유압인장 해체 장치(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유압잭(310)에 유압을 공급하여 유압잭(310)의 실린더가 추진되도록 하는 작업단계; 유압잭(310) 실린더의 전면에 설치된 고정구가 유압잭(310)의 실린더 추진력을 저항하며 인장재(210)에서 인장력이 발생하는 작업단계; 인장재(210)에서 발생한 인장력이 교좌장치 상부 부재(110)와 교량 상부구조물(150) 사이 양측 단부의 돌출 날개판(130)에서 경사지도록 가공된 부분이 하부로 향하도록 설치된 확대구(320)에 압축력으로 인한 추진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단계; 확대구(320)에 전해지는 추진력으로 확대구(320)가 교좌장치 상부 부재(110)와 교량 상부구조물(150) 사이의 돌출 날개판(130)에 확장력을 발생시켜 교좌장치 상부 부재(110)의 상부면(140)에 용접을 통하여 부착된 앵커(120)의 용접부에 용접 접합력 이상의 파단응력 발생으로 용접부 파단이 발생하여 교좌장치 상부 부재(110)가 교량 상부구조물(150)과 해체되는 단계; 로서 유압인장 해체 장치(200)를 이용한 교좌장치 상부 부재(110)의 해체작업이 완료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때 교량 상부구조물(150)의 하면과 확대구(330)의 수평가공된 상부면; 교좌장치 상부 부재(110)의 날개판(130)과 확대구(330) 모따기 면이 접촉하는 부분에 마찰력을 최소화하며 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얇은 철판을 끼워넣어 희생 부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토록 하면, 희생 부재 역할의 얇은 철판에서 미끄럼 작용을 통하여 더욱 원활하게 유압잭(310)의 인장력을 통하여 전달되는 추진력이 확대구(330)에서 최대의 확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게 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유압인장 해체 장치(200)를 이용한 교좌장치 상부 부재(110)의 해체 작업이 완료되는데, 교량 상부구조물(150) 하면에 손상 없이 교좌 장치 상부 부재(110)를 해체함으로써 교량 상부구조물(150) 하면에 앵커홀을 천공하고 신규 교좌장치를 설치하는 단계로 진행됨으로 본 고안의 유압인장 해체 장치(200)를 이용한 교좌장치 상부 부재(110)의 해체 공정은 완료된다.
본 고안은 교량구조물에 설치된 교좌장치가 노후 및 손상 또는 내진보강 공사의 목적으로 교체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기존의 시공법이 브레이커 등의 해체장비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파쇄하여 교좌장치 상부 부재를 해체함으로 구조물 손상 및 많은 인력과 장비의 투입으로 인하여 비용이 증가하였던 부분을 개선코자, 당 고안의 유압인장 해체 장치를 적용하여 교량구조물 손상 발생을 최소화하며 교좌장치 상부 부재를 해체함으로써 교량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소형 인력작업을 위하여 최적화 설계된 유압인장 해체 장치를 적용함으로써 적은 인력과 신속한 시공을 통하여 경제성과 안전성을 확보하며 교좌장치 교체공사를 수행하는데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교좌장치 상부부재 해체를 위한 유압인장 해체장치(200)에 있어서,
    강재를 경사 모양으로 가공하고 내부에 인장재(21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삽입공(350)을 가지도록 제작되는 확대구(320)와;
    유압잭(310)의 작동부에서 상부공간이 부족할 시 길이를 연장하여 상부공간이 확보되는 위치로 길이를 연장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목적의 연결구(33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인장 해체 장치(200).
  2. 일측에 확대구(320)를 경사진 면이 교좌장치 방향으로 향하고, 타측에서 확대구(320) 경사진 면이 교좌장치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확대구(320)의 경사진 면이 마주보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인장 해체 장치(200).
  3. 유압인장 해체 장치(200)에 적용되는 인장재(210)는 유압잭(310)의 인장력을 지지하며, 양측에 설치된 확대구(320)에 유압잭(310)에서 발휘하는 인장력과 비례하여 압축력이 발생하도록 해주는 중요한 재료로서, 인장력 이상의 지지응력을 가지는 강봉 또는 강연선을 재료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인장 해체 장치(200).
KR2020070000052U 2007-01-03 2007-01-03 교좌장치 상부부재 해체용 유압인장 해체장치 KR2004366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052U KR200436699Y1 (ko) 2007-01-03 2007-01-03 교좌장치 상부부재 해체용 유압인장 해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052U KR200436699Y1 (ko) 2007-01-03 2007-01-03 교좌장치 상부부재 해체용 유압인장 해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151U true KR20070000151U (ko) 2007-02-01
KR200436699Y1 KR200436699Y1 (ko) 2007-09-21

Family

ID=41629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052U KR200436699Y1 (ko) 2007-01-03 2007-01-03 교좌장치 상부부재 해체용 유압인장 해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6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977B1 (ko) * 2007-11-21 2009-11-10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슬라이딩 패드 반자동 삽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892Y1 (ko) * 2008-02-21 2010-08-18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동력식 인장재 해체기
KR100988009B1 (ko) 2009-02-25 2010-10-18 주식회사 엠티마스타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장치
KR100977061B1 (ko) 2010-02-12 2010-08-24 우혜민 교량의 교좌장치 교체보수용 인상장치가 부설된 피시빔 주형 복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인상 및 인장보수보강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977B1 (ko) * 2007-11-21 2009-11-10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슬라이딩 패드 반자동 삽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699Y1 (ko) 2007-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2612B2 (ja) Pc緊張材の中間定着装置および中間定着方法
KR101213678B1 (ko) 앵커정착장치
KR20070000151U (ko) 교좌장치 상부 부재 해체를 위한 유압인장 해체 장치
KR100864084B1 (ko) 스프링의 압축력을 이용한 정착부 팽창 가압식 앵커 및시공방법
JP2008095400A (ja) 斜材ケーブル撤去方法
KR100778382B1 (ko) 교좌장치 상부 부재 해체를 위한 유압해체장치 및 공법
KR101417434B1 (ko) 긴장재 제거가 가능한 앵커
KR20100094808A (ko) 와이어 긴장용 정착실린더 및 이를 이용한 와이어 긴장유지방법
KR20100101898A (ko) 제거식 앵커의 강연선 제거공법
JP4732310B2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工法
JP6232300B2 (ja) 既設pc鋼材の再定着方法
JP6193091B2 (ja) Pc構造物の補修方法
KR200435098Y1 (ko) 교좌장치 상부 부재 해체를 위한 유압해체장치
JP2011043025A (ja) 緊張材を用いた構造物の補強方法
KR100400701B1 (ko) 교량상부 인상방법 및 그 장치
KR200241299Y1 (ko) 콘크리트구조물의 외부강선 보강용 정착장치
JP4948142B2 (ja) 地下道の構築方法
KR101645007B1 (ko) 쐐기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쐐기 분리 방법
JP3989474B2 (ja) プレストレス力導入装置の定着構造およびプレストレス式の接合構造
JP2017193899A (ja) 既設pc床版の拡幅構造
JP2012202055A (ja) 函体構造物の設置方法
KR100516769B1 (ko) 강연선 케미칼앵카링 및 텐셔닝에 의한 슬래브 또는 보보강 공법
JP2008157006A (ja) 橋桁の支承装置の取替え工法と孔内用仮受けジャッキ
JP6209305B1 (ja) 鋼棒アンカーの再緊張方法
JP2007255072A (ja) 鋼矢板打設用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