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158B1 - 제거식 앵커 - Google Patents
제거식 앵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58158B1 KR100958158B1 KR1020090077660A KR20090077660A KR100958158B1 KR 100958158 B1 KR100958158 B1 KR 100958158B1 KR 1020090077660 A KR1020090077660 A KR 1020090077660A KR 20090077660 A KR20090077660 A KR 20090077660A KR 100958158 B1 KR100958158 B1 KR 1009581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r
- strand
- nut
- fixing
- disassemb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2—Compacting the soil at the footing or in or along a casing by forcing cement or like material through tub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6—Spr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거식 앵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연선 제거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매우 경제적인 제거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제거식 앵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거식 앵커는, 지반 내에 긴장되어 시공되는 하나 이상의 강연선; 상기 강연선의 타단부에 설치된 커플러; 상기 커플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정착체; 및 상기 정착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커플러 및 정착체의 결합상태를 해체시키는 해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해체유닛은 상기 정착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출력축을 가진 전동모터 및 상기 전동모터의 출력축에 일체로 구비된 해체용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해체용 너트와 커플러는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상기 전동모터는 상기 해체용 너트를 상기 커플러에서 분리시키는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거, 앵커, 강연선, 해체유닛, 전동모터, 커플러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거식 앵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연선 제거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매우 경제적인 제거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제거식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커 공법은 토목이나 건축의 구조물을 지반에 정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강연선과 같은 고강도의 강연선로 연결한 후에 강연선에 높은 인장력을 도입하여 구조물에 횡방향 또는 연직방향의 구속력 또는 선행 하중(pre stress) 등을 가함으로써 지반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응력, 변형, 변위 등으로부터 구조물을 보호 내지 안정화시키는 공법이다.
이러한 앵커 공법에 이용되는 앵커는 그 말뜻과 같이 지반에 박는 못이란 의미로서, 지반과 구조물을 하나의 집합체로 묶는 효과를 발휘하며 일반적으로 강선과 시멘트 그라우트로 구성되어 있다. 앵커는 가설 토류벽의 지보공, 영구 앵커 토류벽, 송전탑 기초, 댐의 보강, 지하구조물의 부력앵커, 사면보강 등에 다양하게 사용된다.
앵커는 정착되는 지반의 종류에 따라 암반앵커(Rock anchor) 및 그라운드 앵 커(Ground anchor)로 분류되고, 그 설치되는 방향에 따라 타이백(tieback) 및 타이다운(tiedown) 등으로 분류되며, 주입되는 그라우트의 압력에 따라 저압형 앵커 및 고압형 앵커로 분류되며, 앵커의 그라우트체에 긴장력이 가해지는 방식에 따라 인장형 및 압축형으로 분류되고, 앵커에 가해지는 응력분포 방식에 따라 응력집중형 및 응력분산형으로 구분되고, 응력집중형은 앵커의 선단 측에 응력이 집중되도록 하는 방식이고, 응력분산형은 앵커의 정착구간 전체에 걸쳐 응력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앵커는 그 사용기간에 의한 분류로서 제거식 앵커 및 영구식 앵커로 구분된다.
제거식 앵커는 그 사용기간이 2년 이내로 가설벽이나 지반을 일시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시공 후에 지반 내에 설치된 강연선(인장재)를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영구식 앵커는 그 사용기간이 2년 이상으로 구조물의 잔존기간과 관련있으며, 보통 2년 이상의 장기간 하중을 유지하기 위하여 지반 내에 설치된 강연선을 제거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토지 이용률 증대를 위하여 인접지의 경계선에 근접시켜 공사를 할 필요성이 커지게 되면서, 영구식 앵커의 경우에는 그 강연선이 지중에 잔류하고, 이 강연선이 지중 장애물화되어 인접지의 개발공사와 지하보상권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제거식 앵커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거식 앵커는 시공 후에 강연선을 제거함에 따라 1) 도심지에서의 대지경계선 침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2) 시공 완료 후의 지중 장애물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3) 도심지에서의 지반 환경문제를 개선할 수 있고, 4) 제거된 강선의 재활용을 도모할 수 있으며, 5) 대지 점용료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제거식 앵커는 시공성, 경제성, 환경성 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그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제거식 앵커는 강연성의 제거를 위해 크레인과 같은 고가의 제거장비가 요구됨에 따라 그 제거작업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또한 그 제거작업이 매우 복잡하게 진행되어 제거작업의 능률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제거식 앵커는 강연선의 제거를 위해 강연선에 과도한 충격이나 변형이 쉽게 발생하여 제거된 강연선의 재활용성이 극히 낮으며, 또한 강연선의 제거 도중에 파손이 발생하여 강연성의 회수율이 극히 낮은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제거식 앵커 중에서 그 제거작업이 용이하지 못함에 따라 강연선의 시공 갯수를 짝수개로 한정하여야 하고, 이와 같이 강연선의 시공 갯수가 짝수깨로 한정됨에 따라 인장력의 설계자유도가 극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강연선 제거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매우 경제적인 제거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제거식 앵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거식 앵커는,
지반 내에 긴장되어 시공되는 하나 이상의 강연선;
상기 강연선의 타단부에 설치된 커플러;
상기 커플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정착체; 및
상기 정착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커플러 및 정착체의 결합상태를 해체시키는 해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해체유닛은 상기 정착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출력축을 가진 전동모터 및 상기 전동모터의 출력축에 일체로 구비된 해체용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해체용 너트와 커플러는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상기 전동모터는 상기 해체용 너트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해체용 너트 및 상기 커플러의 결합상태가 해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착체는 그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고, 상기 해체유닛가 중공부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정착체의 일단에는 폐쇄면이 형성되고, 상기 폐쇄면의 중심부에는 각형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연선의 타단부에는 고정체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체는 그 내부에 상기 강연선의 타단부가 수용되는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체의 일측 내경면에는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분할웨지가 설치되며, 상기 분할웨지들의 내경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의 타단 내경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부에는 상기 커플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플러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단부에 돌출된 제1체결돌기, 상기 몸체의 타측단부에 돌출된 제2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돌기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는 상기 고정체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2체결돌기는 그 외주면에 각형 지지부 및 수나사부를 가지고, 상기 제2체결돌기의 수나사부에는 상기 해체유닛의 해체용 너트가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형 지지부 및 상기 정착체의 각형 개구는 각형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각형 지지부 및 상기 정착체의 각형 개구가 끼움결합됨으로써 상기 커플러는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해체용 너트의 일단부와 상기 정착체의 폐쇄면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해체용 너트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모터을 이용하여 정착구와 강연선 사이를 간편하게 분리함으로써 강연선의 제거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고, 또한 강연선의 제거 시에 고가의 제거장비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매우 경제적인 제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연선의 제거 시에 강연선에 과도한 충격이나 변형이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강연선의 제거작업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강연선의 회수율이 높아짐에 따라 강연선의 재활용성이 매우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각 강연선의 제거가 용이함에 따라 강연선의 시공 갯수를 짝수에 한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인장력의 설계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거식 앵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거식 앵커는 지반의 앵커공(50)에 시공되는 하나 이상의 강연선(10), 각 강연선(10)의 타단부에 커플러(20) 및 해체유닛(40)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정착체(30)를 포함한다.
강연선(10)은 그 일단부(11)가 지면으로 돌출되고, 이 일단부(11)는 지면의 웨지헤드(54)를 통해 구조물(67)측에 일정시간 동안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구조물(67)의 변형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압판(63) 및 대좌(64) 등이 설치된다.
강연선(10)은 지반의 앵커공(50) 내에 길이방향으로 긴장되어 시공됨에 따라 긴장력을 도입한다. 특히, 강연선(10)는 그 외주면에 합성수지 재질의 쉬스(15, sheath)가 피복됨으로써 수분 또는 습기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쉬스(15)에 의해 강연선(10)은 그라운팅 등을 통해 지반의 흙과 직접적으로 마찰하지 않음으로 인해 그 제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강연선(10)의 외주면과 쉬스(15)의 내주면은 소정 틈새로 이격되고, 이에 의해 강연선(10)의 제거작업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연선(10)의 타단부는 지반 내에 정착체(30)를 통해 매립되어 정착되고, 강연선(10)의 타단부에는 정착체(30)가 커플러(20)를 매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정착체(30)는 그 내부에 중공부(30a)를 가지고, 그 일단에 폐쇄면(31)이 형성되며, 이 폐쇄면(31)의 중심부에는 각형 개구(32)가 형성된다. 정착체(30)의 타단은 개방되고, 이 타단에는 캡(33)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각형 개구(32)는 정착체(30)의 내경보다 작은 치수로 이루어지고, 각형 개구(32)는 도 4 및 도 6에서는 4각형 구조로 구성되어 있지만, 그외에도 3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각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강연선(10)의 타단부에는 쉬스(15)에 의해 피복되지 않은 비피복부(非被覆部, 13)가 형성되고, 강연선(10)의 비피복부(13)에는 고정체(16)가 결합되어 있다. 고정체(1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강연선(10)의 비피복부(13)가 수용되는 중공부(16a)를 가지고, 고정체(16)의 일측 내경면에는 테이퍼면(16b)이 형성되며, 이 테이퍼면(16b)에는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분할웨지(17)가 설치된다.
각 분할웨지(17)들은 그 외주면이 테이퍼면(16b)에 쐐기결합되는 테이퍼면(17b)을 가지고, 이에 복수의 분할웨지(17)들은 고정체(16)의 내경면에 쐐기결합된다. 그리고, 각 분할웨지(17)의 내경면에는 요철부(17a)가 형성되고, 복수의 분할웨지(17)의 내경면에 강연선(10)의 비피복부(13)가 수용되면, 각 분할웨지(17)의 요철부(17a)들은 강연선(10)의 비피복부(13)를 기밀하게 클램핑함으로써 강연선(10)의 비피복부(13)에는 고정체(16)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체(16)의 타단 내경에는 암나사부(16c)가 형성되고, 이 암나사부(16c)에는 커플러(20)의 일측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커플러(20)의 일측은 고정체(16)의 하단에 결합되고, 커플러(20)의 타측에는 정착체(30)가 해체유닛(40)을 매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정착체(30)의 중공부(30a)에는 해체유닛(40)이 설치되고, 이 해체유닛(40)에 의해 정착체(30) 및 커플러(20)의 결합상태를 간편하게 해체할 수 있다.
커플러(20)는 몸체(21), 이 몸체(21)의 일측단부에 돌출된 제1체결돌기(22), 몸체(21)의 타측단에 돌출된 제2체결돌기(23)를 가진다.
제1체결돌기(22)의 외주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나사부(22c)가 형성되고, 제1체결돌기(22)의 수나사부(22c)는 고정체(16)의 암나사부(16c)에 나사결합된다.
제2체결돌기(23)는 그 외주면에 각형 지지부(23a) 및 수나사부(23c)를 가지고, 각형 지지부(23a)는 도 3 및 도 5에는 4각형 구조로 구성되어 있지만 그외에도 3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각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각형 지지부(23a)는 정착체(30)의 각형 개구(32)에 끼워진다.
그리고, 정착체(30)의 각형 개구(32)와 각형 지지부(23a)는 동일한 각형 구조로 구성되고, 제2체결돌기(23)의 각형 지지부(23a)가 정착체(30)의 각형 개구(32)측에 기밀하게 끼워짐으로써 제2체결돌기(23)는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된다.
제2체결돌기(23)의 수나사부(23c)에는 해체유닛(40)이 분리가능하게 체결되고, 이 해체유닛(40)은 정착체(30)의 중공부(30a)에 설치되어 커플러(20)와 정착체(30)의 결합상태를 간편하게 해체시키도록 구성된다.
해체유닛(40)은 전동모터(41) 및 전동모터(41)의 출력축(41a)에 일체로 구비된 해체용 너트(42)를 포함한다.
전동모터(41)는 정착체(30)의 중공부(30a)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동모터(41)의 출력축(41a)에는 해체용 너트(42)가 연결되며, 이에 해체용 너트(42)는 출력축(41a)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해체용 너트(42)는 전동모터(41)의 출력축(41a)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그외에도 전동모터(41)의 출력축(41a)과 출력축(41a) 사이에는 감속기(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해체용 너트(42)의 일측에는 제2체결돌기(23)의 수나사부(23c)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42c)가 형성된다.
전동모터(41)에는 전원선(41c)이 연결되고, 이 전원선(41c)은 정착체(30)의 캡(33)을 관통하여 지면의 외측으로 인출되며, 이렇게 인출된 전원선(41c)의 단부에는 전원 및 스위치를 가진 조작부(미도시)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전동모터(41)는 출력축(41a) 및 해체용 너트(42)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체결돌기(23)의 수나사부(23c)에 나사결합된 해체용 너트(42)를 분리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지면의 외측에서 작업자가 조작부의 스위치를 온시키면 전동모터(41)의 출력축(41c) 및 해체용 너트(42)가 풀림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해체용 너트(42)는 제2체결돌기(23)로부터 풀려져 분리됨으로써 커플러(20)는 정착체(30)로부터 해체된다. 이때, 전동모터(41)는 정착체(30)의 중공부(30a) 내에서 자중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해체용 너트(42)의 해체작동이 원활하게 진행된다.
특히, 전동모터(41)에 의해 해체용 너트(42)가 풀림방향으로 회전하는 도중에 커플러(20) 및 제2체결돌기(23)가 함께 회전하면 해체용 너트(42) 및 제2체결돌기(23)는 공회전만을 하게 되어 그 분리가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이에 제2체결돌기(23)의 각형 지지부(23a)가 정착체(30)의 각형 개구(32)측에 끼움결합됨에 따라 커플러(20) 및 제2체결돌기(23)는 그 원주방향의 회전이 방지되고, 이와 같이 커플러(20) 및 제2체결돌기(23)의 회전이 방지된 상태에서 해체용 너트(42)가 풀림방향으로 회전하면 해체용 너트(42)는 제2체결돌기(23)에서 원활하게 풀려져 그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정착체(30)의 폐쇄면(31)은 그 내측면에 접촉돌기(31a)를 가지고, 이 접촉돌기(31a)는 환형으로 돌출되며, 이 접촉돌기(31a)와 해체용 너트(42)의 일단부가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접촉돌기(31a)의 폭은 폐쇄면(31)의 내측면 보다 상대 적으로 좁게 형성되고, 이에 해체용 너트(42)는 전동모터(41)에 의해 풀림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그 마찰력이 감소되어 커플러(20)가 정착체(30)로부터 보다 원활하게 해체될 수 있다.
그리고, 정착체(30)의 각형 개구(32) 일단 주변면과 커플러(20)의 몸체(21)가 서로 접촉하는 부분에는 러버재질의 밀봉부재(34)가 개재된다. 이 밀봉부재(34)에 의해 지반 내의 흙 등이 정착체(30) 내로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쉬스(15)는 강연선(10)의 외주면 뿐만 아니라 고정체(16)의 외면 및 커플러(20)의 몸체(21) 외면에 피복되고, 이에 따라 강연선(10), 고정체(16) 및 커플러(20)는 그라우트를 통해 지반의 흙과 직접적으로 마찰하지 않음으로 인해 해체유닛(40)에 의한 제거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쉬스(15)의 단부에는 연장부(15a)가 몸체(21) 보다 하부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고, 정착체(30)의 폐쇄면(31)에는 끼움홈(31b)이 형성되고, 이 끼움홈(31b)에는 쉬스(15)의 연장부(15a)가 끼움결합됨으로써 커플러(20)와 정착체(30) 사이에는 보다 기밀한 밀봉결합이 이루어져 그라우트, 흙 등이 정착체(30)와 커플러(20) 사이로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시공 및 해체공정을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지반의 앵커공(50) 내에 강연선(10)을 삽입한 후에 그라우트호스(68)를 통해 그라우트를 정착장 내로 주입함으로써 강연선(10)을 지반 내에 정착시킨다. 그런 다음, 강연선(10)을 길이방향으로 긴장시킨 상태에서 강연선(10)의 일단부(11)를 웨지헤드(54) 및 지압판(63) 등을 통해 일정시간 동안 고정시킴으로써 가설벽이나 지반을 일시적으로 지지한다. 이때, 강연선(10)의 타단부에는 커플러(20) 및 해체유닛(40)을 통해 정착체(30)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강연선(10)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해체유닛(40)의 전동모터(41)에 전원선(41c)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조작부(미도시)를 온시킴으로써 전동모터(41)를 구동시킨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모터(41)의 구동에 의해 전동모터(41)의 출력축(41a) 및 해체용 너트(42)는 풀림방향으로 서서히 회전하고, 이때 커플러(20)는 각형 지지부(23a) 및 정착체(30)의 개구(32)에 의해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된다. 그 후, 도 5b와 같이 해체용 너트(42)가 풀림방향으로 계속 회전함에 따라 전동모터(41)는 정착체(30)의 중공부(30a) 내에서 자중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해체용 너트(42)의 암나사부(42c)가 제2체결돌기(23)의 수나사부(23c)로부터 완전히 풀려짐으로써 커플러(20)는 정착체(30)로부터 해체된다.
이렇게 커플러(20)가 정착체(30)로부터 해체된 상태에서 강연선(10)의 일단부(11)를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강연선(10) 및 커플러(20)가 함께 제거될 수 있다.
도 7,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는 해체용 너트(42)의 일단부와 정착체(30)의 폐쇄면(31) 사이에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77)를 개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탄성부재(77)의 탄성력에 의해 해체 용 너트(42)는 하부방향으로 힘을 받아 그 하부방향의 이동이 보다 원활해질 수 있다.
이에,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모터(41)의 구동에 의해 해체용 너트(42)가 풀림방향으로 회전하면, 해체용 너트(42) 및 전동모터(41)는 탄성부재(77)의 탄성력을 인가받아 그 하부방향의 이동이 보다 원활해지고, 이에 의해 커플러(20)는 정착체(30)로부터 보다 원활하게 해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거식 앵커의 강연선의 타단부에 커플러, 정착체, 해체유닛 등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거식 앵커의 강연선의 타단부에 커플러, 정착체, 해체유닛 등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거식 앵커의 강연선의 타단부에 커플러, 정착체, 해체유닛 등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제거식 앵커에서 커플러 및 정착체가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에서 커플러 및 정착체가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강연선 20: 커플러
30: 정착체 40: 해체유닛
Claims (7)
- 삭제
- 삭제
- 지반 내에 긴장되어 시공되고, 일단부는 지면 외측으로 노출되며, 타단부는 지반 내부에 매립되는 하나 이상의 강연선;상기 강연선의 타단부에 설치된 커플러;상기 커플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정착체; 및상기 정착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출력축을 가진 전동모터 및 상기 전동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된 해체용 너트를 가진 해체유닛;을 포함하고,상기 해체용 너트와 커플러는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상기 전동모터는 상기 해체용 너트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해체용 너트 및 상기 커플러의 결합상태가 해체되며,상기 정착체는 그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고, 상기 해체유닛이 중공부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정착체의 일단에는 폐쇄면이 형성되고, 상기 폐쇄면의 중심부에는 각형 개구가 형성되고,상기 강연선의 타단부에는 고정체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체는 그 내부에 상기 강연선의 타단부가 수용되는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체의 일측 내경면에는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분할웨지가 설치되며, 상기 분할웨지들의 내경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의 타단 내경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부에는 상기 커플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식 앵커.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커플러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단부에 돌출된 제1체결돌기, 상기 몸체의 타측단부에 돌출된 제2체결돌기를 포함하고,상기 제1체결돌기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는 상기 고정체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며,상기 제2체결돌기는 그 외주면에 각형 지지부 및 수나사부를 가지고, 상기 제2체결돌기의 수나사부에는 상기 해체유닛의 해체용 너트가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식 앵커.
- 제4항에 있어서,상기 각형 지지부 및 상기 정착체의 각형 개구는 각형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각형 지지부 및 상기 정착체의 각형 개구가 끼움결합됨으로써 상기 커플러는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식 앵커.
- 제4항에 있어서,상기 강연선, 고정체, 커플러의 몸체 외면에는 쉬스가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식 앵커.
- 제3항에 있어서,상기 해체용 너트의 일단부와 상기 정착체의 폐쇄면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해체용 너트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식 앵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7660A KR100958158B1 (ko) | 2009-08-21 | 2009-08-21 | 제거식 앵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7660A KR100958158B1 (ko) | 2009-08-21 | 2009-08-21 | 제거식 앵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58158B1 true KR100958158B1 (ko) | 2010-05-18 |
Family
ID=42281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7660A KR100958158B1 (ko) | 2009-08-21 | 2009-08-21 | 제거식 앵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58158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46827A (en) * | 1981-03-09 | 1982-09-10 | Raito Kogyo Kk | Removal type anchoring work |
KR100586078B1 (ko) * | 2005-03-18 | 2006-06-08 | 하영이 | 인장재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정착체 |
KR100913201B1 (ko) | 2008-12-10 | 2009-08-24 | 신현택 |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
-
2009
- 2009-08-21 KR KR1020090077660A patent/KR10095815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46827A (en) * | 1981-03-09 | 1982-09-10 | Raito Kogyo Kk | Removal type anchoring work |
KR100586078B1 (ko) * | 2005-03-18 | 2006-06-08 | 하영이 | 인장재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정착체 |
KR100913201B1 (ko) | 2008-12-10 | 2009-08-24 | 신현택 |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01175B2 (en) | Umbrella anchorage | |
KR20040004847A (ko) | 압축확장 지압형 어스앵커 정착체 | |
KR100898907B1 (ko) | 어스 앵커용 정착구 | |
KR20140022304A (ko) | Pc 강연선을 이용한 영구 앵커체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공법 | |
KR101510297B1 (ko) | 제거 가능한 프리스트레싱 강관 쏘일 네일링 구조 | |
KR100953995B1 (ko) | 인장재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용 다구형 내부정착체 | |
KR101471487B1 (ko) | 다용도 하중 분산형 그라운드 앵커체 | |
KR101135076B1 (ko) | 제거식 앵커의 강연선 제거공법 | |
KR20080092639A (ko) | 지주의 기초 및 그 시공방법 | |
CN207582460U (zh) | 一种超大直径拼接空心桩 | |
CN110004927A (zh) | 预应力微型桩施工方法 | |
KR100958158B1 (ko) | 제거식 앵커 | |
KR100997673B1 (ko) | 강연선을 교체할 수 있는 영구앵커 구조 | |
KR101167173B1 (ko) | 제거식 앵커 | |
KR20130025214A (ko) | 제거식 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시공 및 해체공법 | |
KR100632977B1 (ko) | 플라즈마 앵커공법 | |
CN212477702U (zh) | 预制建筑结构 | |
KR20110130937A (ko) | 한 개의 천공홀에 어스앵커와 소일네일링 합성에 의한 지반보강방법 | |
KR20100101901A (ko) | 제거식 앵커 | |
KR20100018714A (ko) | 인장재 제거형 앵커 | |
KR20150050012A (ko) |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흙막이벽 및 그 시공방법 | |
KR100823603B1 (ko) | 영구앵커체 | |
KR100413550B1 (ko) | 제거형 앵커정착장치 | |
CN111441341A (zh) | 预制建筑结构 | |
KR100869369B1 (ko) | 다발강관을 이용한 그라우팅 방식의 지반보강장치 및 이를통한 지반보강공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