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7173B1 - 제거식 앵커 - Google Patents

제거식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7173B1
KR101167173B1 KR1020090109134A KR20090109134A KR101167173B1 KR 101167173 B1 KR101167173 B1 KR 101167173B1 KR 1020090109134 A KR1020090109134 A KR 1020090109134A KR 20090109134 A KR20090109134 A KR 20090109134A KR 101167173 B1 KR101167173 B1 KR 101167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edge
movable body
stran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2191A (ko
Inventor
임예은
김난영
Original Assignee
김난영
임예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난영, 임예은 filed Critical 김난영
Priority to KR1020090109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173B1/ko
Publication of KR20110052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2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1Ground anchors driven by scre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1Rub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Abstract

본 발명은 제거식 앵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연선 제거작업을 매우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제거식 앵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거식 앵커는, 지반 내에 긴장되어 시공되는 하나 이상의 강연선; 및 상기 강연선의 타단부에 해제가능하게 결합된 정착체를 포함하고, 상기 정착체의 내부에는 상기 강연선의 타단부를 해제가능하게 클램핑하는 복수의 웨지를 가진 웨지유닛, 상기 웨지유닛에 연결되어 이동가능한 이동체, 상기 이동체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거, 앵커, 강연선, 구동유닛, 이동체

Description

제거식 앵커{REMOVAL ANCHOR}
본 발명은 제거식 앵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연선 제거작업을 매우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제거식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커 공법은 토목이나 건축의 구조물을 지반에 정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강연선과 같은 고강도의 강연선로 연결한 후에 강연선에 높은 인장력을 도입하여 구조물에 횡방향 또는 연직방향의 구속력 또는 선행 하중(pre stress) 등을 가함으로써 지반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응력, 변형, 변위 등으로부터 구조물을 보호 내지 안정화시키는 공법이다.
이러한 앵커 공법에 이용되는 앵커는 그 말뜻과 같이 지반에 박는 못이란 의미로서, 지반과 구조물을 하나의 집합체로 묶는 효과를 발휘하며 일반적으로 강선과 시멘트 그라우트로 구성되어 있다. 앵커는 가설 토류벽의 지보공, 영구 앵커 토류벽, 송전탑 기초, 댐의 보강, 지하구조물의 부력앵커, 사면보강 등에 다양하게 사용된다.
앵커는 정착되는 지반의 종류에 따라 암반앵커(Rock anchor) 및 그라운드 앵커(Ground anchor)로 분류되고, 그 설치되는 방향에 따라 타이백(tieback) 및 타이 다운(tiedown) 등으로 분류되며, 주입되는 그라우트의 압력에 따라 저압형 앵커 및 고압형 앵커로 분류되며, 앵커의 그라우트체에 긴장력이 가해지는 방식에 따라 인장형 및 압축형으로 분류되고, 앵커에 가해지는 응력분포 방식에 따라 응력집중형 및 응력분산형으로 구분되고, 응력집중형은 앵커의 선단 측에 응력이 집중되도록 하는 방식이고, 응력분산형은 앵커의 정착구간 전체에 걸쳐 응력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앵커는 그 사용기간에 의한 분류로서 제거식 앵커 및 영구식 앵커로 구분된다.
제거식 앵커는 그 사용기간이 2년 이내로 가설벽이나 지반을 일시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시공 후에 지반 내에 설치된 강연선(인장재)를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영구식 앵커는 그 사용기간이 2년 이상으로 구조물의 잔존기간과 관련있으며, 보통 2년 이상의 장기간 하중을 유지하기 위하여 지반 내에 설치된 강연선을 제거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토지 이용률 증대를 위하여 인접지의 경계선에 근접시켜 공사를 할 필요성이 커지게 되면서, 영구식 앵커의 경우에는 그 강연선이 지중에 잔류하고, 이 강연선이 지중 장애물화되어 인접지의 개발공사와 지하보상권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제거식 앵커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거식 앵커는 시공 후에 강연선을 제거함에 따라 1) 도심지에서의 대지경계선 침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2) 시공 완료 후의 지중 장애물화를 방지 할 수 있으며, 3) 도심지에서의 지반 환경문제를 개선할 수 있고, 4) 제거된 강선의 재활용을 도모할 수 있으며, 5) 대지 점용료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제거식 앵커는 시공성, 경제성, 환경성 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그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제거식 앵커는 강연성의 제거를 위해 크레인과 같은 고가의 제거장비가 요구됨에 따라 그 제거작업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또한 그 제거작업이 매우 복잡하게 진행되어 제거작업의 능률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제거식 앵커는 강연선의 제거를 위해 강연선에 과도한 충격이나 변형이 쉽게 발생하여 제거된 강연선의 재활용성이 극히 낮으며, 또한 강연선의 제거 도중에 파손이 발생하여 강연성의 회수율이 극히 낮은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제거식 앵커 중에서 그 제거작업이 용이하지 못함에 따라 강연선의 시공 갯수를 짝수개로 한정하여야 하고, 이와 같이 강연선의 시공 갯수가 짝수깨로 한정됨에 따라 인장력의 설계자유도가 극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강연선 제거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매우 경제적인 제거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제거식 앵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거식 앵커는,
지반 내에 긴장되어 시공되는 하나 이상의 강연선; 및
상기 강연선의 타단부에 해제가능하게 결합된 정착체를 포함하고,
상기 정착체의 내부에는 상기 강연선의 타단부를 해제가능하게 클램핑하는 복수의 웨지를 가진 웨지유닛, 상기 웨지유닛에 연결되어 이동가능한 이동체, 상기 이동체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착체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몸체는 그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고, 상기 중공부에는 강연선의 타단부가 수용되며, 상기 중공부의 하부에는 상기 웨지유닛이 해제가능하게 쐐기결합되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상부에는 테이퍼진 실링부재가 설치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몸체는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 내의 공간에는 이동체 및 구동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체의 상단에는 상기 웨지유닛의 웨지측에 결합된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유닛은 회전축을 가진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체와 상기 구동유닛 사이에는 이송나사구조가 개재됨으로써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체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나사구조는 상기 이동체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이송나사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구동너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나사 및 구동너트는 상대 나사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나사구조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 및 상기 이동체의 하부에 형성된 암나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의 수나사부와 이동체의 암나사부는 상대 나사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체의 상단에는 상기 웨지유닛의 웨지측에 결합된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유닛은 회전축을 가진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체의 하단과 구동유닛의 구동모터 사이에는 와이어가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이동체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는 회전축에 감김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정착체의 하부몸체 내에 설치된 가이드봉을 통해 이동체의 하단에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모터을 이용하여 정착체와 강연선 사이를 간편하게 분리함으로써 강연선의 제거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고, 또한 강연선의 제거 시에 고가의 제거장비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매우 경제적인 제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연선의 제거 시에 강연선에 과도한 충격이나 변형이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강연선의 제거작업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강연선의 회수율이 높아짐에 따라 강연선의 재활용성이 매우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각 강연선의 제거가 용이함에 따라 강연선의 시공 갯수를 짝수에 한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인장력의 설계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는 지반의 앵커공(70)에 시공되는 하나 이상의 강연선(10), 각 강연선(10)의 타단부에 이동체(20) 및 구동유닛(50)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정착체(30)를 포함한다.
강연선(10)은 그 일단부가 지면으로 돌출되고, 이 일단부는 지면의 웨지헤드(74)를 통해 구조물(67)측에 일정시간 동안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구조물(67)의 변형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압판(63) 및 대좌(64) 등이 설치된다.
강연선(10)은 지반의 앵커공(70) 내에 길이방향으로 긴장되어 시공됨에 따라 긴장력을 도입한다. 특히, 강연선(10)는 그 외주면에 합성수지 재질의 쉬스(15, sheath)가 피복됨으로써 수분 또는 습기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쉬스(15)에 의해 강연선(10)은 그라운팅 등을 통해 지반의 흙과 직접적으로 마찰하지 않음으로 인해 그 제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강연선(10)의 외주면과 쉬스(15)의 내주면은 소정 틈새로 이격되고, 이에 의해 강연선(10)의 제거작업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강연선(10)의 타단부는 지반 내에 정착체(30)를 통해 매립되어 정착되고, 강연선(10)의 타단부에는 정착체(30)가 이동체(20)를 매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체(30)는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정착체(30)의 내부 공간에는 강연선(10)의 타단부를 해제가능하게 클램핑하는 웨지유닛(40), 웨지유닛(40)에 연결된 이동체(20), 이동체(20)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50)이 설치된다.
한편, 정착체(30)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몸체(31) 및 하부몸체(32)로 구성되고, 이에 웨지유닛(40), 이동체(20), 구동유닛(50)의 조립 내지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부몸체(31)는 그 중심부에 중공부(31a)가 형성되고, 중공부(31a)에는 강연 선(10)의 타단부가 수용된다. 중공부(31a)의 하부에는 웨지유닛(40)이 결합되는 제1경사면(31b)이 형성되며, 중공부(31a)의 상부에는 테이퍼진 실링부재(17)가 설치되는 제2경사면(31c)이 형성된다. 실링부재(17)에 의해 지반 내의 흙 등이 정착체(30) 내로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경사면(31b)과 제2경사면(31c)들은 상호 대향하는 경사각을 가진다.
하부몸체(32)는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몸체(32) 내의 공간에는 이동체(20) 및 구동유닛(50)이 설치된다.
웨지유닛(40)은 복수의 웨지(41)로 구성되고, 웨지(41)의 각 외측면에 테이퍼면(41a)이 형성되며, 각 테이퍼면(41a)은 상부몸체(31)의 제1경사면과 동일한 경사각을 가짐으로써 웨지(41)의 테이퍼면(41a)과 상부몸체(31)의 제1경사면(31b)과 쐐기결합가능하고, 웨지(41)의 테이퍼면(41a)은 상부몸체(31)의 제1경사면(31b)에 쐐기결합됨에 따라 복수의 웨지(41)는 강연선(10)의 타단부를 해체가능하게 클램핑한다. 한편, 강연선(10)의 타단부에는 쉬스(15)에 의해 피복되지 않은 비피복부(非被覆部, 13)가 형성되고, 강연선(10)의 비피복부(13)가 복수의 웨지(41)에 의해 클램핑된다.
복수의 웨지(41)는 각 하부 외주면에 외부 홈(41b)을 가지고, 복수의 웨지(41)의 외부 홈(41b)들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환형으로 형성되며, 외부 홈(41b)들에는 고정링(41c)이 장착된다. 이 고정링(41c)은 복수의 웨지(41)를 하부에서 결합함과 더불어 웨지(41)들의 하단에서 내경방향으로 힘을 부가한다. 고정링(41c)을 기준으로 복수의 웨지(41)는 외경방향의 벌어짐과 내경방향으로의 죔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고정링(41c)은 탄성고무 또는 탄성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지만, 웨지(41)들의 결합 및 힘의 부가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그외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각 웨지(41)의 표면에는 PET(polyethylene terephtalate) 등과 같은 윤활층이 피복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복수의 웨지(41)가 제1경사면(31b)을 따라 상하 이동시에 마찰력을 감소시킴과 더불어 열발생을 완화시켜 원활한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각 웨지(41)의 내경면에는 나사부 등과 같은 요철부(41d)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 복수의 웨지(41)의 내경면에 강연선(10)의 비피복부(13)가 수용되면, 각 웨지(41)의 요철부(41d)들은 강연선(10)의 비피복부(13)를 기밀하게 클램핑한다.
복수의 웨지(41)들은 그 내경면에 내부 홈(41e)을 가지고, 복수의 웨지(41)들의 내부 홈(41e)들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환형으로 형성되며, 내부 홈(41e)들에는 이동체(20)의 결합부(21)가 끼워짐으로써 이동체(20)는 웨지유닛(40)에 연결된다.
이동체(20)는 구동유닛(5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이동체(20)는 그 내부에 중공부(20a)가 형성되며, 중공부(20a)의 하단에는 폐쇄면(20b)이 형성되고, 중공부(20a)에는 강연선(10)의 비피복부(13)가 수용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20)의 상단에는 결합부(21)가 외경방향으로 연장되고, 결합부(21)는 복수의 웨지(41)의 각 내부 홈(41e)들에 끼워지며, 이에 이동체(20)는 웨지유닛(40)에 연결됨으로써 이동체(20)와 웨지유닛(40)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이동체(20)와 구동유닛(50) 사이에 이송나사구조(22, 52)를 개재시킴으로써 이동체(20)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동체(20)의 하부에 이송나사(22)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이송나사(22)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동체(20)는 이송나사(22)가 후술하는 구동유닛(50)의 구동너트(52)와의 상대적인 나사운동에 의해 나사이동함으로써 이동체(20)는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체(20)의 하부에는 구동유닛(50)이 설치되고, 이 구동유닛(50)에 의해 이동체(20)가 길이방향으로 전진 내지 후진함으로써 웨지유닛(40)에 의한 강연선(10)의 클램핑 내지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유닛(50)은 구동모터(51) 및 구동모터(51)의 회전축(51a)에 일체로 구비된 구동너트(52)를 포함한다.
구동모터(51)는 정착체(30)의 하부 몸체(32) 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구동모터(51)의 회전축(51a)에는 구동너트(52)가 연결되며, 이에 구동너트(52)는 회전축(51a)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구동너트(52)는 구동모터(51)의 회전축(51a)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그외에도 구동모터(51)의 회전축(51a)과 구동너트(52) 사이에는 감속기(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구동너트(52)의 중심부에는 이동체(20)의 이송나사(22)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52a)가 형성되며, 이 암나사부(52a)에 이송나사(22)의 수나사부(22a)가 나사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본 제1실시예에서, 이동체(20)와 구동유닛(50) 사이의 이송나사구조는 이동체(20)의 이송나사(22)와 구동유닛(50)의 구동너트(52)로 구성된다.
구동모터(51)에는 전원선(51c)이 연결되고, 이 전원선(51c)은 정착체(30)의 하부 몸체(32)의 하단을 관통하여 지면의 외측으로 인출되며, 이렇게 인출된 전원선(51c)의 단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및 스위치를 가진 조작부(77)가 접속되고, 조작부(77)는 지면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구동모터(51)의 회전축(51a) 및 구동너트(52)을 회전시키면 이동체(20)의 이송나사(22)는 구동너트(52)와 상대 나사운동하고, 이때 구동모터(51) 및 구동너트(52)의 상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송나사(22)는 그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이동체(20)는 전진(상부방향으로 이동) 내지 후진(하부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동체(20)가 전진한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웨지유닛(40)의 웨지(41)들이 고정링(41c)을 기준으로 내경방향으로 조여져 강연선(10)의 타단부를 클램핑하며, 이동체(20)가 후진한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웨지유닛(40)의 웨지(41)들이 고정링(41c)을 기준으로 외경방향으로 벌어져 강연선(10)의 타단부를 해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는 구동유닛(50)의 구동너트(52)와의 상대적인 나사운동에 의해 이동체(20)를 후진시킴으로써 웨지유닛(40)의 웨지(41)들을 벌어지게 하고, 이에 따라 웨지(41)들에 의한 강연선(10)의 클램핑상태를 해제함으로써 강연선(10)의 제거를 매우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시공 및 해체공정을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지반의 앵커공(70) 내에 강연선(10)을 삽입한 후에 그라우트호스(68)를 통해 그라우트를 정착장 내로 주입함으로써 강연선(10)을 지반 내에 정착시킨다. 그런 다음, 강연선(10)을 길이방향으로 긴장시킨 상태에서 강연선(10)의 일단부를 웨지헤드(74) 및 지압판(63) 등을 통해 일정시간 동안 고정시킴으로써 가설벽이나 지반을 일시적으로 지지한다. 이때, 도 5와 같이 강연선(10)의 타단부에는 웨지유닛(40)에 의해 정착체(30)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강연선(10)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구동모터(51)에 전원선(51c)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조작부(77)를 온시킴으로써 구동모터(51)를 구동시킨다.
구동모터(51)의 구동에 의해 구동모터(51)의 회전축(51a) 및 구동너트(52)가 해제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체(20)의 이송나사(22)가 후진(하부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웨지유닛(40)의 웨지(41)들은 이동체(20)와 함께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정착체(30)의 상부몸체(31)로부터 그 쐐기결합이 해제되며, 이에 웨지(41)들은 외경방향으로 벌어져 강연선(10)의 타단부에 대한 클램핑이 해제된다.
이렇게 강연선(10)의 타단부가 웨지유닛(40)로부터 해제된 상태에서 강연선(10)의 일단부를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강연선(10)이 정착체(3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7의 실시예는 이동체(20)와 구동유닛(30) 사이의 이송나사구조는 이동체(20) 측에 암나사부(28b)가 형성되고, 구동모터(51)의 회전축(51a) 상에 수나사부(51b)가 형성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동체(20)의 하부에 연장부(28)가 일체로 형성되고, 연장부(28)의 중심부에는 암나사부(28b)가 형성되며, 구동모터(51)의 회전축(51a)에는 수나사부(51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51)의 회전축(51a)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51a)의 수나사부(51b)와 이동체(20)의 암나사부(28b)가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나사운동을 하고, 이때 구동모터(51) 및 회전축(51a)의 상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동체(20)의 연장부(28)는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이동체(20)는 전진(상부방향으로 이동) 내지 후진(하부방향으로 이동)한다. 그외 나머지 구성 및 작동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는 이동체(20)의 하단에는 와이어(54)가 연결되며, 와이어(54)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봉(36)을 통해 안내되면서 구동모터(51)의 회전축(51a)에 감겨지도록 구성된다.
이동체(20)의 하단에는 고리(23)가 형성되고, 이 고리(23)에는 와이어(54)의 일단이 고정되며, 와이어(54)의 타단은 구동모터(51)의 회전축(51a) 일측에 고정되고, 이에 와이어(54)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봉(36)을 통해 안내되면서 구동모터(51)의 회전축(51a)에 감겨지도록 구성된다.
가이드봉(36)은 그 양단부가 하부 몸체(32)의 내벽면에 지지되면서 이동체(20)의 고리(23)의 하부에 배치되고, 이에 와이어(54)는 가이드봉(36)에 걸쳐지 면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적절히 긴장된 상태로 구동모터(51)의 회전축(51a)으로 안내될 수 있다. 특히, 가이드봉(36)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54)가 안내되는 안내홈(36a)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제2실시예의 구동모터(51)는 그 회전축(51a)이 구동모터(51)의 하우징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구조로 구성되고, 이에 회전축(51a)의 회전에 의해 구동모터(51)가 요동할 수 우려가 있으므로, 본 제2실시예는 회전축(51a)을 지지하는 지지봉(37)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지지봉(37)이 회전축(51a)의 상부 일측과 접촉하면서 지지함에 따라 구동모터(51)의 구동 시에도 그 요동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이동체(20)는 구동모터(51)의 회전축(51a)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54)가 회전축(51a)에 풀려지거나 감겨짐에 따라 이동체(20)는 전진(상부방향으로 이동) 내지 후진(하부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체(20)가 전진한 경우에는 도 13과 같이 웨지유닛(40)의 웨지(41)들이 고정링(41c)을 기준으로 내경방향으로 조여져 강연선(10)의 타단부를 클램핑하며, 이동체(20)가 후진한 경우에는 도 14와 같이 웨지유닛(40)의 웨지(41)들이 고정링(41c)을 기준으로 외경방향으로 벌어져 강연선(10)의 타단부를 해제한다.
그 외 나머지 구성 및 작용들은 선행하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구동모터(51)을 이용하여 정착체(30)로부터 강연선(10)을 간편하게 분리함으로써 강연선(10)의 제거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효율적으 로 진행될 수 있고, 또한 강연선(10)의 제거 시에 고가의 제거장비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매우 경제적인 제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연선(10)의 제거 시에 강연선(10)에 과도한 충격이나 변형을 부가하지 않고, 또한 강연선(10)의 제거작업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강연선의 회수율이 높아짐에 따라 강연선(10)의 재활용성이 매우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각 강연선(10)의 제거가 용이함에 따라 강연선(10)의 시공 갯수를 짝수에 한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인장력의 설계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거식 앵커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의 단부에 정착체, 웨지유닛, 이동체, 구동유닛 등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의 단부에 정착체, 웨지유닛, 이동체, 구동유닛 등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의 정착체, 웨지유닛, 이동체, 구동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에서 웨지유닛의 오물림작동에 의해 강연선의 단부가 클램핑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에서 웨지유닛의 벌어짐작동에 의해 강연선의 단부가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의 단부에 정착체, 웨지유닛, 이동체, 구동유닛 등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화살표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의 정착체, 웨지유닛, 이동체, 구동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에서 웨지유닛의 오물림작동에 의해 강연선의 단부가 클램핑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에서 웨지유닛의 벌어짐작동에 의해 강연선의 단부가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강연선 20: 이동체
30: 정착체 40: 웨지유닛
50: 구동유닛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지반 내에 긴장되어 시공되는 하나 이상의 강연선; 및
    상기 강연선의 타단부에 해제가능하게 결합된 정착체를 포함하고,
    상기 정착체의 내부에는 상기 강연선의 타단부를 해제가능하게 클램핑하는 복수의 웨지를 가진 웨지유닛, 상기 웨지유닛에 연결되어 이동가능한 이동체, 상기 이동체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정착체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몸체는 그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고, 상기 중공부에는 강연선의 타단부가 수용되며, 상기 중공부의 하부에는 상기 웨지유닛의 웨지들이 해제가능하게 쐐기결합되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상부에는 테이퍼진 실링부재가 설치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몸체는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 내의 공간에는 이동체 및 구동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이동체의 상단에는 상기 웨지유닛의 웨지측에 결합된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유닛은 회전축을 가진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체와 상기 구동유닛 사이에는 이송나사구조가 개재됨으로써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체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식 앵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나사구조는 상기 이동체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이송나사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구동너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나사 및 구동너트는 상대 나사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식 앵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나사구조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 및 상기 이동체의 하부에 형성된 암나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의 수나사부와 이동체의 암나사부는 상대 나사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식 앵커.
  6. 지반 내에 긴장되어 시공되는 하나 이상의 강연선; 및
    상기 강연선의 타단부에 해제가능하게 결합된 정착체를 포함하고,
    상기 정착체의 내부에는 상기 강연선의 타단부를 해제가능하게 클램핑하는 복수의 웨지를 가진 웨지유닛, 상기 웨지유닛에 연결되어 이동가능한 이동체, 상기 이동체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정착체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몸체는 그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고, 상기 중공부에는 강연선의 타단부가 수용되며, 상기 중공부의 하부에는 상기 웨지유닛의 웨지들이 해제가능하게 쐐기결합되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상부에는 테이퍼진 실링부재가 설치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몸체는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 내의 공간에는 이동체 및 구동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이동체의 상단에는 상기 웨지유닛의 웨지측에 결합된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유닛은 회전축을 가진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체의 하단과 구동유닛의 구동모터 사이에는 와이어가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이동체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는 회전축에 감김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식 앵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정착체의 하부몸체 내에 설치된 가이드봉을 통해 이동체의 하단에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식 앵커.
KR1020090109134A 2009-11-12 2009-11-12 제거식 앵커 KR101167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134A KR101167173B1 (ko) 2009-11-12 2009-11-12 제거식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134A KR101167173B1 (ko) 2009-11-12 2009-11-12 제거식 앵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191A KR20110052191A (ko) 2011-05-18
KR101167173B1 true KR101167173B1 (ko) 2012-07-31

Family

ID=44362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134A KR101167173B1 (ko) 2009-11-12 2009-11-12 제거식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1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134B1 (ko) * 2011-09-23 2014-05-15 재 술 나 제거가 용이한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KR20240050792A (ko) * 2022-10-12 2024-04-19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107B1 (ko) * 2007-08-22 2008-03-14 (주)서림건설 제거식 선단정착 앵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107B1 (ko) * 2007-08-22 2008-03-14 (주)서림건설 제거식 선단정착 앵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191A (ko)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39456B (zh) 一种高应力巷道组合圈体梁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US10801175B2 (en) Umbrella anchorage
CN102051881A (zh) 柔性面层土钉墙支护体系及其施工方法
KR100898907B1 (ko) 어스 앵커용 정착구
CN111676969A (zh) 基坑囊式扩大头锚索支护结构及施工方法
KR101167173B1 (ko) 제거식 앵커
KR100388078B1 (ko) 교량 보수 보강장치 및 그 공법
KR101135076B1 (ko) 제거식 앵커의 강연선 제거공법
KR101471487B1 (ko) 다용도 하중 분산형 그라운드 앵커체
KR101075157B1 (ko) 제거식 앵커
CN208858379U (zh) 一种新型增锚注浆锚杆
US10900191B2 (en) Pulling-out device for prefabricated concrete support wall
CN207582460U (zh) 一种超大直径拼接空心桩
CN211922611U (zh) 采用单层波纹套管和预制锚固段实现双层防腐的锚索结构
KR100958158B1 (ko) 제거식 앵커
CN112726598A (zh) 一种全粘结型预应力钢锚管索结构及其施工方法
CN111764384B (zh) 一种采用单层波纹管和树脂材料实现双层防腐的锚索结构
CN113338941A (zh) 深井不排水掘进施工方法及装配式深井
CN216006626U (zh) 一种锚索抗剪套筒
KR100869369B1 (ko) 다발강관을 이용한 그라우팅 방식의 지반보강장치 및 이를통한 지반보강공법
KR101025258B1 (ko) 그라운드 혼합형 앵커
KR101368055B1 (ko) 그라운드 앵커
KR20130025214A (ko) 제거식 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시공 및 해체공법
CN214783884U (zh) 一种全粘结型预应力钢锚管索结构
CN210684723U (zh) 结合式淤泥基坑支护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