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0792A -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 - Google Patents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0792A
KR20240050792A KR1020220130633A KR20220130633A KR20240050792A KR 20240050792 A KR20240050792 A KR 20240050792A KR 1020220130633 A KR1020220130633 A KR 1020220130633A KR 20220130633 A KR20220130633 A KR 20220130633A KR 20240050792 A KR20240050792 A KR 20240050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frame
fastening
frame assembl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0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건
조경환
신명규
강현우
문희철
김경삼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0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0792A/ko
Priority to PCT/KR2023/007373 priority patent/WO2024080476A1/ko
Publication of KR20240050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07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체결공이 형성된 제1 프레임 조립체; 제2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프레임 조립체; 및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 및 상기 제2 프레임 조립체를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체결공 및 상기 제1 체결공을 통해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 내로 삽입된 인서트: 및 상기 인서트와 맞물리는 인서트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 고정구는, 상기 제1 체결공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인서트 고정구의 중심이 상기 제1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편심되어 상기 인서트와 맞물리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JUNCTION STRUCTURE FOR MODULAR BUILDING JOINED WITHOUT FASTENING}
본 발명은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에 대한 발명이다.
커넥터는 내부에 삽입되는 철근이나 파이프, 볼트, 핀 등을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는 복수 개의 철근을 연결시킬 필요가 있거나 수밀이 요구되는 복수 개의 파이프를 서로 연결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커넥터는 내부에 철근이 삽입될 때, 철근의 나사산이 고정구의 나사산에 치합되고,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해 고정구가 가압되어 철근이 커넥터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철근을 커넥터 내부에 삽입시키기만 하면 철근이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건축물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기둥, 보 부재 등을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커넥터 및 이러한 커넥터가 건축물의 시공 현장에서 적용된 사례는 찾을 수 없는 실정이다.
또한, 일반적인 커넥터는 철근 등을 고정시키는 기능만 구비되어 있을 뿐, 한번 고정된 철근 등을 다시 선택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기능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건축물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기둥, 보 부재 등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커넥터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또한, 서로 결합된 복수 개의 기등, 보 부재 등을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할 수 있는 커넥터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제1 프레임 조립체에 배치된 인서트 고정구에 제2 프레임 조립체에 배치된 인서트가 맞물리면서 제1 프레임 조립체 및 제2 프레임 조립체가 연결될 수 있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인서트 고정구의 중심이 제1 체결공의 중심에 대하여 제2 방향으로 편심되어 인서트와 맞물릴 수 있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인서트 고정구의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며, 인서트 고정구의 제2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상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인서트 고정구로부터 인서트가 분리되어 제1 프레임 조립체로부터 제2 프레임 조립체가 분리될 수 있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체결공이 형성된 제1 프레임 조립체; 제2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프레임 조립체; 및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 및 상기 제2 프레임 조립체를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체결공 및 상기 제1 체결공을 통해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 내로 삽입된 인서트: 및 상기 인서트와 맞물리는 인서트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 고정구는, 상기 제1 체결공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인서트 고정구의 중심이 상기 제1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편심되어 상기 인서트와 맞물리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공 및 상기 제2 체결공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인서트 및 상기 인서트 고정구는 복수 개로 제공되며, 복수 개의 상기 인서트 고정구 중 하나 이상은, 복수 개의 상기 제1 체결공 중 하나 이상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인서트 고정구의 중심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편심되어 복수 개의 상기 인서트 중 하나 이상과 맞물리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 조립체에는, 상기 제1 체결공의 타측에 배치되는 보조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고정구는, 상기 인서트 고정구의 중심이 상기 제1 체결공의 중심 및 상기 보조홀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편심되어 상기 인서트와 맞물리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 조립체에 배치되어 상기 인서트 고정구를 커버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에는, 상기 케이스를 수용하는 충진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충진공간 내에서,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충진되는 충진재가 채워지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고정구는, 상기 인서트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는, 케이스홈이 형성된 케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 고정구는, 상기 케이스홈에 삽입되는 헤드돌기가 형성된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홈의 크기는 상기 헤드돌기의 크기보다 큰,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홈은, 상기 인서트 고정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상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헤드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크기를 가지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고정구의 타측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에 접촉되고, 상기 인서트 고정구의 일측은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에 접촉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 조립체에는, 상기 제1 체결공의 타측에 배치되는 보조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고정구는, 상기 헤드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리무버 샤프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무버 샤프트는, 상기 보조홀의 내측이면서 상기 보조홀보다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 조립체는, 상기 인서트 고정구의 일측에서 서로 적층되어 배치되는 제1 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제1 체결공 및 상기 제2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연결공이 형성된 연결공 형성부가 제공되며, 상기 연결공 형성부는, 상기 일측에서 상기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인서트는, 상기 연결공 형성부의 내주면 타측에 접촉되도록 상기 연결공에 삽입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 조립체 및 상기 제2 프레임 조립체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 및 복수 개의 상기 제2 프레임 조립체는 상기 일측과 어긋나는 연결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 및 복수 개의 상기 제2 프레임 조립체가 상기 연결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복수 개의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 및 복수 개의 상기 제2 프레임 조립체를 지지하는 연결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연결프레임은,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 프레임 조립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프레임,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 프레임 조립체를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체결핀을 더 포함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고정구는, 일측으로 갈수록 내주면의 횡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일측이 상기 제1 체결공과 연통되는 커넥터바디를 포함하는 바디유닛; 및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외주면을 가지며, 내측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는, 상기 제2 체결공 및 상기 제1 체결공을 통해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내주면에 맞물리며,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상기 인서트가 소정 길이만큼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의 외주면이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주면에 맞닿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감소되면서 상기 인서트의 중심방향으로 상기 인서트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인서트의 상기 일측으로의 이동이 차단되어,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 조립체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고정구는,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캡; 및 상기 캡을 상기 일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가 상기 일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 간에는 이격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캡의 일측에는 상기 이격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면에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캡에는 캡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고정구는, 상기 캡나사산에 치합되는 샤프트 나사산이 형성된 리무버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가 소정 길이만큼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리무버 샤프트가 일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상기 타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캡이 지지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상기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증가되어 상기 인서트의 상기 일측으로의 이동이 허용됨으로써,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 조립체가 분리되는 것이 허용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제1 프레임 조립체에 배치된 인서트 고정구에 제2 프레임 조립체에 배치된 인서트가 맞물리면서 제1 프레임 조립체 및 제2 프레임 조립체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1 프레임 조립체로부터 제2 프레임 조립체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고정구는 인서트 고정구의 중심이 제1 체결공의 중심에 대하여 제2 방향으로 편심되어 인서트와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인서트 고정구는 케이스 프레임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케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케이스홈에 의해 제2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상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리무버 샤프트가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인서트 고정구로부터 인서트가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이에, 제1 프레임 조립체로부터 제2 프레임 조립체가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을 정면에서 바라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을 정면에서 바라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을 정면 하측에서 바라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제2 프레임 조립체에 배치된 인서트가 제1 프레임 조립체에 배치된 인서트 고정구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제2 프레임 조립체에 배치된 인서트가 제1 프레임 조립체에 배치된 인서트 고정구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제2 프레임 조립체에 배치된 인서트가 제1 프레임 조립체에 배치된 인서트 고정구에 결합된 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커넥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커넥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커넥터의 인서트 고정구에 인서트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커넥터의 고정부재, 캡 및 리무버 샤프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 (1)(이하, 모듈러 건축물(1)이라 한다.)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은 도면에서의 상하방향을 의미하며,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인 수평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측은 도면에서의 하측을 의미하며, 타측은 도면에서의 상측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모듈러 건축물(1)은 커넥터(30)를 이용하여 제1 프레임 조립체(10) 및 제2 프레임 조립체(2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듈러 건축물(1)은 은 제1 프레임 조립체(10), 제2 프레임 조립체(20), 커넥터(30), 케이스(40), 연결프레임(50) 및 체결핀(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조립체(10)는 제2 프레임 조립체(20)의 타측(도면에서 상측)에 배치되어 커넥터(30)에 의해 제2 프레임 조립체(2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 조립체(10)에는 커넥터(30)의 후술할 인서트 고정구(31)가 배치되고, 제2 프레임 조립체(20)에 배치되는 커넥터(30)의 인서트(32)가 인서트 고정구(31)에 맞물리면서 제1 프레임 조립체(10) 및 제2 프레임 조립체(2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프레임 조립체(10)는 서로 적층 배치되는 제1 프레임(11) 및 지지프레임(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1)에는 인서트 고정구(31)와 케이스(4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11)에는 케이스(40)를 수용하는 충진공간(C)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충진공간(C) 내에는, 케이스(40)의 외측에 충진되는 콘크리트와 같은 충진재가 채워질 수 있다. 제1 프레임(11)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방향(도 3에서 우측방향)에 배치된 제1 프레임(11)에 대해 복수 개의 제1 프레임(11)은 일방향과 어긋나는 방향(도 3에서 전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일방향에 배치된 제1 프레임(11)에 대해 단수 개의 제1 프레임(11)만이 일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프레임(11)에는 제1 체결공(11a) 및 보조홀(11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공(11a)에는 일측으로 인서트(32)가 삽입될 수 있고, 제1 체결공(11a)의 타측에는 인서트 고정구(31)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체결공(11a)은 제1 프레임(1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서트(32)는 제1 체결공(11a)을 통해 인서트 고정구(31)에 삽입되어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제1 체결공(11a)은 제1 프레임(11)에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인서트 고정구(31)는 인서트 고정구(31)의 중심이 제1 체결공(11a)의 중심에 대하여 제2 방향으로 편심되어 인서트(32)와 맞물릴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보조홀(11b)은 제1 체결공(11a)의 타측에 배치되도록 제1 프레임(11)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홀(11b)의 중심은 제1 체결공(11a)의 중심과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홀(11b)은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인서트 고정구(31)는 인서트 고정구(31)의 중심이 보조홀(11b)의 중심 및 제1 체결공(11a)의 중심에 대하여 제2 방향으로 편심되어 인서트(32)와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보조홀(11b)을 통해 사용자는 인서트 고정구(31)를 점검하거나 후술할 리무버 샤프트(50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인서트(32)를 인서트 고정구(3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2)은 제1 프레임(11)의 일측 및 연결프레임(5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2)은 지지프레임(12)의 타측면이 제1 프레임(11)의 일측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프레임(12)에는 제1 체결공(11a), 연결프레임(50)의 후술할 관통공(51), 서브프레임(22)의 후술할 삽입공(22a) 및 제2 체결공(21a)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인서트(32)가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연결공(12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12)에는 연결공(12b)을 형성하는 연결공 형성부(12a)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연결공(12b) 중 어느 하나에는 체결핀(60)이 관통될 수 있다.
연결공 형성부(12a)는 일측에서 반대측인 타측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공 형성부(12a)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인서트(32)는 연결공 형성부(12a)의 내주면 타측에 접촉되도록 연결공(12b)에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서트(32)가 연결공 형성부(12a)의 내주면 일측에 접촉된 상태로 연결공(12b)에 삽입되는 경우에도 횡단면적이 타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형성된 연결공 형성부(12a)에 의해 인서트(32)는 연결공 형성부(12a)의 내주면 타측에 접촉된 상태로 연결공(12b)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공(12b) 및 연결공 형성부(12a)는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제2 프레임 조립체(20)는 제1 프레임 조립체(10)의 일측(도면에서 하측)에 배치되어 커넥터(30)에 의해 제1 프레임 조립체(1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레임 조립체(20)에 배치되는 인서트(32)가 제1 프레임 조립체(10)에 배치되는 인서트 고정구(31)에 맞물리면서 제2 프레임 조립체(20) 및 제1 프레임 조립체(1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프레임 조립체(20)는 서로 적층 배치되는 제2 프레임(21) 및 서브프레임(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21)에는 인서트(32)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체결공(2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체결공(21a)은 서브프레임(22)의 삽입공(22a), 연결프레임(50)의 관통공(51), 지지프레임(12)의 연결공(12b) 및 제1 프레임(11)의 제1 체결공(11a)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프레임(21)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방향(도 3에서 우측방향)에 배치된 제2 프레임(21)에 대해 복수 개의 제2 프레임(21)은 일방향과 어긋나는 방향(도 3에서 전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일방향에 배치된 제2 프레임(21)에 대해 단수 개의 제2 프레임(21)만이 일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서브프레임(22)은 제2 프레임(21)의 타측 및 연결프레임(5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22)은 서브프레임(22)의 일측면이 제2 프레임(21)의 타측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프레임(22)은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22)에는 인서트(32)가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삽입공(22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삽입공(22a) 중 어느 하나에는 체결핀(60)이 관통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제1 프레임 조립체(10) 및 제2 프레임 조립체(2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2 개)의 제1 프레임 조립체(10a, 10b) 및 복수 개(2 개)의 제2 프레임 조립체(20a, 20b)는 연결프레임(50) 및 체결핀(60-1, 60-2)에 의해 일측과 어긋나는 방향인 연결방향(도 4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제1 프레임 조립체(10a, 10b)는 연결프레임(50)의 타측에 지지되어 연결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2 프레임 조립체(20a, 20b)는 연결프레임(50)의 일측에 지지되어 연결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1 프레임 조립체(10a, 10b), 연결프레임(50) 및 복수 개의 제2 프레임 조립체(20a, 20b)는 복수 개의 체결핀(60-1, 60-2)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복수 개의 제1 프레임 조립체(10a, 10b), 연결프레임(50) 및 복수 개의 제2 프레임 조립체(20a, 20b)가 연결방향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서로 간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프레임 조립체(10a, 10b) 및 복수 개의 제2 프레임 조립체(20a, 20b)의 제1 프레임(11a, 11b) 및 제2 프레임(21a, 21b)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방향(도 5에서 좌우방향)에 배치된 제1 프레임(11a, 11b) 및 제2 프레임(21a, 21b)에 대해 복수 개의 제1 프레임(11a, 11b) 및 제2 프레임(21a, 21b)은 일방향과 어긋나는 방향(도 5에서 전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일방향에 배치된 제1 프레임(11a, 11b) 및 제2 프레임(21a, 21b)에 대해 단수 개의 제1 프레임(11a, 11b) 및 제2 프레임(21a, 21b)만이 일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4 개)의 제1 프레임 조립체(10a1, 10a2, 10b1, 10b2) 및 복수 개(4 개)의 제2 프레임 조립체(20a1, 20a2, 20b1, 20b2)는 연결프레임(50) 및 체결핀(60-1, 60-2, 60-3, 60-4)에 의해 연결방향(도 6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제1 프레임 조립체(10a1, 10a2, 10b1, 10b2)는 연결프레임(50)의 타측에 지지되어 연결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2 프레임 조립체(20a1, 20a2, 20b1, 20b2)는 연결프레임(50)의 일측에 지지되어 연결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1 프레임 조립체(10a1, 10a2, 10b1, 10b2), 연결프레임(50) 및 복수 개의 제2 프레임 조립체(20a1, 20a2, 20b1, 20b2)는 복수 개의 체결핀(60-1, 60-2, 60-3, 60-4)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복수 개의 제1 프레임 조립체(10a1, 10a2, 10b1, 10b2), 연결프레임(50) 및 복수 개의 제2 프레임 조립체(20a1, 20a2, 20b1, 20b2)가 연결방향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서로 간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프레임 조립체(10a1, 10a2, 10b1, 10b2) 및 복수 개의 제2 프레임 조립체(20a1, 20a2, 20b1, 20b2)의 제1 프레임(11a1, 11a2, 11b1, 11b2) 및 제2 프레임(21a1, 21a2, 21b1, 21b2)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방향(도 8에서 좌우방향)에 배치된 제1 프레임(11a1, 11a2, 11b1, 11b2) 및 제2 프레임(21a1, 21a2, 21b1, 21b2)에 대해 복수 개의 제1 프레임(11a1, 11a2, 11b1, 11b2) 및 제2 프레임(21a1, 21a2, 21b1, 21b2)은 일방향과 어긋나는 방향(도 8에서 전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일방향에 배치된 제1 프레임(11a1, 11a2, 11b1, 11b2) 및 제2 프레임(21a1, 21a2, 21b1, 21b2)에 대해 단수 개의 제1 프레임(11a1, 11a2, 11b1, 11b2) 및 제2 프레임(21a1, 21a2, 21b1, 21b2)만이 일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3을 다시 참조하면, 커넥터(30)는 제1 프레임 조립체(10) 및 제2 프레임 조립체(2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30)는 인서트(32)와 이러한 인서트(32)를 고정할 수 있는 인서트 고정구(31)를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 고정구(31)는 제1 프레임(11)의 케이스(4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인서트 고정구(31)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고정구(31)는 제1 프레임(11)의 제1 체결공(11a)의 중심에 대하여 인서트 고정구(31)의 중심이 제1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편심되어 인서트(32)와 맞물릴 수 있다. 다시 말해, 인서트(32)가 인서트 고정구(31)에 편심된 상태로 삽입되어도 인서트(32)는 인서트 고정구(31)에 편심된 상태로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인서트(32)가 복수 개의 인서트 고정구(31)에 편심된 상태로 삽입되어도 복수 개의 인서트(32) 중 하나 이상의 인서트(32)는 복수 개의 인서트 고정구(31) 중 하나 이상의 인서트 고정구(31)에 편심된 상태로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인서트 고정구(31)는 인서트(32)에 의해 지지되어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인서트 고정구(31)는 인서트 고정구(31)의 중심이 제1 체결공(11a)의 중심 및 보조홀(11b)의 중심에 대하여 제2 방향으로 편심되어 인서트(32)와 맞물릴 수 있다. 인서트 고정구(31)는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인서트 고정구(31) 중 하나 이상은, 복수 개의 제1 체결공(11a) 중 하나 이상의 중심에 대하여 인서트 고정구(31)의 중심이 제2 방향으로 편심되어 복수 개의 인서트(32) 중 하나 이상과 맞물릴 수 있다. 한편, 인서트 고정구(31)는 후술할 케이스 프레임(41)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케이스 프레임(41)에 형성된 케이스홈(41a)에 의해 제2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상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러한 인서트 고정구(31)는 바디유닛(100), 고정부재(200), 캡(300), 탄성부재(400) 및 리무버 샤프트(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바디유닛(100)은 고정부재(200) 및 탄성부재(400)를 지지하도록 소정의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디유닛(100)은 인서트(32)가 인서트 고정구(31)에 삽입되었을 때 인서트(32)를 둘러쌀 수 있다. 이러한 바디유닛(100)은 커넥터바디(110) 및 헤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바디(110)는 내부에 고정부재(200)가 소정 길이만큼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바디(110)는 일측(도면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내주면의 횡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바디(110)의 내주면의 타측(도면에서 상측)은 횡단면적이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고, 내주면의 일측은 일측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횡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커넥터바디(110)의 내주면에는 고정부재(200)의 외주면이 맞닿을 수 있다.
커넥터바디(110)는 상부에 헤드(120)가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바디(110)의 타측 내주면에는 바디나사산(111)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바디나사산(111)에는 헤드(120)의 후술할 헤드나사산(123)이 치합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30)바디는 일측이 제1 프레임(11)의 제1 체결공(11a)과 연통될 수 있다.
헤드(120)에는 타측에 헤드돌기(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헤드돌기(121)는 케이스 프레임(41)의 케이스홈(41a)에 삽입되어 인서트 고정구(31)가 제2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상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헤드(120)는 커넥터바디(11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120)에는 헤드나사산(123)이 형성되어 커넥터바디(110)의 바디나사산(111)과 치합될 수 있다. 헤드(120)가 커넥터바디(110)에 체결된 상태일 때, 헤드(120)의 일측면에는 탄성부재(400)의 타측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헤드(120)에는 리무버 샤프트(500)를 지지하도록 리무버 샤프트(500)가 관통될 수 있는 통공(122)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200)는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인서트(32)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S)이 형성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삽입공간(S)이 형성될 수 있도록 서로간 소정의 이격거리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에 의해 형성된 삽입공간(S)에는 인서트(32)가 삽입되어 고정부재(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후술할 돌기부(220) 또는 나사산부(미도시)에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커넥터바디(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소정길이만큼 이동될 수 있다.
고정부재(200)는 커넥터바디(110)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외주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200)의 외주면은 커넥터바디(110)의 내주면과 대응되도록 일측으로 갈수록 내주면의 횡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횡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고정부재(200)의 외주면은 횡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커넥터바디(110)의 외주면에 맞닿을 수 있다.
이에, 고정부재(200)는 인서트(32)가 소정 길이만큼 삽입공간(S)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때,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의 외주면은 커넥터바디(110)의 내주면에 맞닿게 된다. 이 경우,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감소되면서 인서트(32)의 중심방향으로 인서트(32)를 가압함으로써 인서트(32)의 일측으로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인서트(32)의 일측으로의 이동이 차단됨으로써 인서트(32)는 고정부재(200)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고정부재(200)에는 체결홈(210) 및 돌기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210)은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의 타측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홈(210)에는 캡(300)의 외주면이 삽입되어 캡(300)에 의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가 지지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캡(300)의 외주면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의 체결홈(210)에 삽입되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가 서로간 소정의 이격거리로 배치될 수 있다.
돌기부(220)는 고정부재(200)의 내주면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기부(220)에는 인서트(32)의 후술할 인서트체결부(32a)와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220)는 고정부재(200)의 연장방향(도 15에서의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돌기부(220)가 일방향(도 15에서의 좌우방향)으로 서로 소정의 이격거리로 이격 배치되도록 고정부재(200)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돌기부(220)는 돌출방향의 수직인 방향으로의 단면적이 돌출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돌기부(220)는 돌출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의 수직인 방향으로의 단면적이 삼각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220)는 돌출방향을 따라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부(220)의 경사면은 돌출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으로부터 40도 내지 50도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200)에는 돌기부(220)를 대신하여 나사산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나사산부는 고정부재(200)의 내주면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산부에는 인서트(32)의 인서트체결부(32a)가 맞물릴 수 있다. 나사산부는 돌출방향의 수직인 방향으로의 단면적이 돌출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나사산부는 복수 개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고정부재(200)의 연장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고정부재(200)는 서로 소정의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1 고정부재(201), 제2 고정부재(202), 제3 고정부재(203) 및 제4 고정부재(2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정부재(201), 제2 고정부재(202), 제3 고정부재(203) 및 제4 고정부재(204)의 체결홈(210)에는 캡(300)의 외주면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캡(300)의 외주면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의 체결홈(210)에 삽입됨으로써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가 서로간 소정의 이격거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캡(300)의 외주면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의 체결홈(210)에 삽입됨으로써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가 커넥터바디(110)의 내부에 배치되었을 때,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 각각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 간에는 캡(300)에 의해 소정의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소정의 이격공간에는 캡(300)의 후술할 걸림부(310)가 걸릴 수 있다.
캡(300)은 외주면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의 체결홈(210)에 삽입되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가 서로간 소정의 이격거리로 배치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캡(300)은, 캡(300)의 외주면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가 커넥터바디(110)의 내부에 배치되었을 때,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 각각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를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캡(300)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를 지지함으로써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이탈되지 않고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 모두가 서로간 소정의 이격거리로 배치되도록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캡(300)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를 지지함으로써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 각각이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가 커넥터바디(110)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캡(300)의 타측면에는 탄성부재(400)의 일측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캡(300)에는 걸림부(310) 및 캡나사산(320)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310)는 캡(300)의 외주면의 어느 일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310)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 간의 이격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걸림부(310)는 고정부재(200)의 일측면에 걸릴 수 있다. 걸림부(310)가 고정부재(200)의 일측면에 걸리면, 리무버 샤프트(500)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타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캡나사산(320)은 캡(30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캡나사산(320)에는 리무버 샤프트(500)의 후술할 샤프트 나사산(510)이 치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무버 샤프트(500)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치합된 샤프트 나사산(510)에 의해 캡(300)은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탄성부재(400)는 캡(300)을 일측으로 가압하여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가 일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재(400)는 일측이 캡(300)의 타측면에 지지되고 타측이 바디유닛(100) 헤드(120)의 일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서트(32)가 소정 길이만큼 삽입공간(S)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부재(400)가 캡(300)을 일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의 외주면은 커넥터바디(110)의 내주면에 맞닿게 된다. 이 경우,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감소되면서 인서트(32)의 중심방향으로 인서트(32)를 가압함으로써 인서트(32)의 일측으로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리무버 샤프트(500)는 리무버 샤프트(500)가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와 인서트(32) 간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인서트(32)의 일측으로의 이동이 허용될 수 있다. 리무버 샤프트(500)에는 캡(300)의 캡나사산(320)에 치합되는 샤프트 나사산(51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서트(32)가 소정 길이만큼 삽입공간(S)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리무버 샤프트(50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제 자리에서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샤프트 나사산(510)에 치합된 캡나사산(320)이 샤프트 나사산(510)을 따라 상대적으로 회전되면서 캡(300)이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캡(300)이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캡(300)과 체결된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도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가 타측으로 이동되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증가되면서 인서트(32)를 가압하지 않게 되어 인서트(32)의 일측으로의 이동이 허용될 수 있다. 리무버 샤프트(500)가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인서트의 일측으로의 이동이 허용되면서 제1 프레임 조립체(10)로부터 제2 프레임 조립체(20)가 분리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리무버 샤프트(500)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제 자리에서 회전되기 위하여 캡(300)의 걸림부(310)가 고정부재(200)의 일측에 걸려 있을 수 있다. 또한, 리무버 샤프트(500)를 회전시키지 않고, 리무버 샤프트(500)를 타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고정부재(200)와 인서트(32) 간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인서트(32)가 고정부재(200)로부터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무버 샤프트(500)를 타측으로 이동시키면 캡(300)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가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증가되면서 인서트(32)를 가압하지 않게 되어 인서트(32)가 고정부재(200)로부터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한편, 리무버 샤프트(500)는 바디유닛(100) 헤드(120)의 통공(122)에 관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리무버 샤프트(500)는 제1 프레임(11)의 보조홀(11b)의 내측이면서 보조홀(11b)보다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무버 샤프트(500)는 리무버 샤프트(500)의 타측 단부가 보조홀(11b)보다 일측에 배치되도록 연장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리무버 샤프트(500)의 타측 단부가 보조홀(11b)보다 타측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더 긴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인서트(32)는 인서트 고정구(31)에 대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대적으로 이동됨으로써 고정부재(200)의 삽입공간(S)으로 삽입되어 인서트 고정구(31)와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인서트(32)는 제2 프레임 조립체(20)에 배치되어 제2 프레임(21)의 제2 체결공(21a), 서브프레임(22)의 삽입공(22a), 지지프레임(12)의 연결공(12b) 및 제2 프레임(21)의 제1 체결공(11a)을 통해 인서트 고정구(31)와 맞물릴 수 있다. 인서트(32)가 인서트 고정구(31)와 맞물리면서 제1 프레임 조립체(10)로부터 제2 프레임(21)조립체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인서트(32)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32)가 인서트 고정구(31)에 편심된 상태로 삽입되어도 인서트(32)는 인서트 고정구(31)에 편심된 상태로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인서트(32)가 복수 개의 인서트 고정구(31)에 편심된 상태로 삽입되어도 복수 개의 인서트(32) 중 하나 이상의 인서트(32)는 복수 개의 인서트 고정구(31) 중 하나 이상의 인서트 고정구(31)에 편심된 상태로 맞물릴 수 있다.
인서트(32)에는 고정부재(200)의 내주면 돌기부(220) 또는 나사산부에 맞물리도록 인서트체결부(32a)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서트(32)에 형성된 인서트체결부(32a)는 고정부재(200)의 내주면 돌기부(220) 또는 나사산부에 맞물릴 수 있다. 인서트(32)는 고정부재(200)의 삽입공간(S)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부재(200)에 일측으로 외력이 가해질 때,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감소되면서 인서트(32)의 중심방향으로 인서트(32)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인서트(32)의 일측으로의 이동이 차단되어 인서트(32)는 고정부재(200)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인서트체결부(32a)는 나사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나사산 형태의 인서트체결부(32a)는 인서트나사산으로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인서트나사산은 복수 개가 일방향(도 13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인서트나사산의 연장방향(도 13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체결부(32a)는 돌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 형태의 인서트체결부(32a)는 인서트돌기로 명명될 수 있다. 인서트돌기는 복수 개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축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연장되는 형태로 인서트돌기의 연장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인서트(32)는 지지프레임(12)의 연결공 형성부(12a)의 내주면 타측에 접촉된 상태로 연결공(12b)에 삽입될 수 있다. 인서트(32)는 복수 개의 인서트 고정구(31)에 맞물릴 수 있도록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복수 개의 인서트(32)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지지프레임(12)의 연결공 형성부(12a)의 내주면 타측에 접촉된 상태로 연결공(12b)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을 다시 참조하면, 케이스(40)는 제1 프레임 조립체(10)에 배치되어 인서트 고정구(31)를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40)는 제1 프레임(11)에 제공되는 충진공간(C)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케이스(40)에는 인서트 고정구(31)가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40)는 케이스 프레임(41), 케이스 커버(42) 및 샤프트 슬리브(4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프레임(41)에는 인서트 고정구(3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케이스 프레임(41) 및 케이스커버(42)의 후술할 받침부(42b)에 의해 인서트 고정구(31)가 일측 또는 타측(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 프레임(41)의 일측면에는 인서트 고정구(31)의 타측이 접촉되도록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고정구(31)의 일측은 케이스커버(42)의 받침부(42b)의 타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서트 고정구(31)의 높이는 케이스 프레임(41)의 일측면과 케이스커버(42)의 받침부(42b)의 타측면 사이의 이격거리와 대응될 수 있다. 이에, 인서트 고정구(31)는 케이스 프레임(41) 및 케이스커버(42)의 받침부(42b) 내에서 일측 또는 타측(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케이스 프레임(41)에는 케이스홈(4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홈(41a)에 의해 인서트 고정구(31)가 제2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상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홈(41a)에는 인서트 고정구(31)의 후술할 헤드(120)의 헤드돌기(121)가 삽입될 수 있고, 케이스홈(41a)의 크기는 헤드돌기(121)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케이스홈(41a)의 크기는 인서트 고정구(31)가 제2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상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헤드돌기(121)의 이동을 제한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프레임(41) 내에서 커넥터(30) 고정구의 헤드돌기(121)가 케이스 프레임(41)의 케이스홈(41a)의 중심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프레임 조립체(20)와 제1 프레임 조립체(10)가 연결될 때, 인서트(32)의 중심이 오차 없이 정확히 인서트 고정구(31)의 중심을 향해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인서트 고정구(31)가 제2 방향을 향해 소정거리 이상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인서트 고정구(31)에 인서트(32)가 삽입되어 맞물릴 수 있다. 다시 말해, 인서트(32)가 인서트 고정구(31)에 삽입될 때, 케이스홈(41a)에 삽입된 헤드돌기(121)가 케이스홈(41a) 내에서 소정거리 이상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인서트 고정구(31)는 소정 거리 내에서만 제2 방향으로 편심된 상태로 인서트(32)와 맞물릴 수 있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인서트(32)가 인서트 고정구(31)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헤드돌기(121)가 케이스홈(41a) 내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인서트 고정구(31)는 소정 거리 내에서는 제2 방향으로 이동이 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케이스 커버(42)는 케이스 프레임(41)과 함께 인서트 고정구(31)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 커버(42)는 커버부(42a) 및 받침부(42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42a)는 케이스 프레임(41)의 일면(도 2에서 전면)에 배치되어 인서트 고정구(31)가 배치된 케이스 프레임(41)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다.
받침부(42b)는 커버부(42a)의 일측 단부로부터 일측과 어긋나는 방향(도 2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부(42b)는 인서트 고정구(31)의 일측면과 제1 프레임(11)의 타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받침부(42b)의 타측면은 인서트 고정구(31)의 일측면과 접촉되고, 받침부(42b)의 일측면은 제1 프레임(11)의 타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인서트 고정구(31)의 일측면이 제1 프레임(11)의 타측면에 지지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전술하였듯이 인서트 고정구(31)의 일측면과 제1 프레임(11)의 타측면 사이에는 케이스 커버(42)의 받침부(42b)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 커버(42)의 받침부(42b)에는 인서트(32)가 관통될 수 있는 커버홈(42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홈(42c)은 케이스 커버(42)에서 제1 체결공(11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 슬리브(43)는 리무버 샤프트(500)를 감쌀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 슬리브(43)는 케이스 프레임(41)의 케이스홈(41a)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샤프트 슬리브(43)의 타측은 제1 프레임(11)의 보조홀(11b)과 연통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보조홀(11b) 및 샤프트 슬리브(43)를 통해 인서트 고정구(31)를 점검하거나 리무버 샤프트(50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인서트(32)를 인서트 고정구(3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연결프레임(50)은 제1 프레임 조립체(10) 및 제2 프레임 조립체(20)를 지지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50)은 제1 프레임 조립체(10) 및 제2 프레임 조립체(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프레임(50)은 제1 프레임 조립체(10) 지지프레임(1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프레임 조립체(20) 서브프레임(22)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연결프레임(50)은 지지프레임(12) 및 서브프레임(2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연결프레임(50)은, 복수 개(2 개)의 제1 프레임 조립체(10a, 10b) 및 복수 개(2 개)의 제2 프레임 조립체(20a, 20b)가 연결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복수 개의 제1 프레임 조립체(10a, 10b) 및 복수 개의 제2 프레임 조립체(20a, 20b)를 지지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50)은 복수 개의 제1 프레임 조립체(10a, 10b) 및 복수 개의 제2 프레임 조립체(20a, 20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프레임(50)은 복수 개의 제1 프레임 조립체(10a, 10b) 지지프레임(12-1, 12-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2 프레임 조립체(20a, 20b) 서브프레임(22-1, 22-2)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연결프레임(50)은 연결방향으로 배치된 지지프레임(12-1, 12-2) 및 서브프레임(22-1, 22-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연결프레임(50)은, 복수 개(4 개)의 제1 프레임 조립체(10a1, 10a2, 10b1, 10b2) 및 복수 개(4 개)의 제2 프레임 조립체(20a1, 20a2, 20b1, 20b2)가 연결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복수 개의 제1 프레임 조립체(10a1, 10a2, 10b1, 10b2) 및 복수 개의 제2 프레임 조립체(20a1, 20a2, 20b1, 20b2)를 지지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50)은 복수 개의 제1 프레임 조립체(10a1, 10a2, 10b1, 10b2) 및 복수 개의 제2 프레임 조립체(20a1, 20a2, 20b1, 20b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프레임(50)은 복수 개의 제1 프레임 조립체(10a1, 10a2, 10b1, 10b2) 지지프레임(12-1, 12-2, 12-3, 12-4)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2 프레임 조립체(20a1, 20a2, 20b1, 20b2) 서브프레임(22-1, 22-2, 22-3, 33-4)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연결프레임(50)은 연결방향으로 배치된 지지프레임(12-1, 12-2, 12-3, 12-4) 및 서브프레임(22-1, 22-2, 22-3, 33-4)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50)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5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공(51)은 지지프레임(12)의 연결공(12b) 및 서브프레임(22)의 삽입공(22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관통공(51) 중 어느 하나에는 체결핀(60)이 관통될 수 있다.
체결핀(60)은 서브프레임(22)의 삽입공(22a), 연결프레임(50)의 관통공(51) 및 지지프레임(12)의 연결공(12b)에 관통되어 제2 프레임 조립체(20), 연결프레임(50) 및 제1 프레임 조립체(1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연결프레임(50) 및 체결핀(60)에 의해 복수 개의 제1 프레임 조립체(10), 연결프레임(50) 및 복수 개의 제2 프레임 조립체(20)는 연결방향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서로 간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핀(6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60-1, 60-2, 60-3, 60-4).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모듈러 건축물(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프레임 조립체(10)에 배치된 인서트 고정구(31)에 제2 프레임 조립체(20)에 배치된 인서트(32)가 맞물리면서 제1 프레임 조립체(10) 및 제2 프레임 조립체(20)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가 인서트(32)의 중심방향으로 인서트(32)를 가압함으로써 인서트(32)의 일측으로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제1 프레임 조립체(10)로부터 제2 프레임 조립체(20)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고정구(31)는 인서트 고정구(31)의 중심이 제1 체결공(11a)의 중심에 대하여 제2 방향으로 편심되어 인서트(32)와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인서트 고정구(31)는 케이스 프레임(41)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케이스 프레임(41)에 형성된 케이스홈(41a)에 의해 제2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상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리무버 샤프트(500)가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가 인서트(32)를 가압하지 않게 되어 인서트 고정구(31)로부터 인서트(32)가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이에, 제1 프레임 조립체(10)로부터 제2 프레임 조립체(20)가 분리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모듈러 건축물 10: 제1 프레임 조립체
11: 제1 프레임 11a: 제1 체결공
11b: 보조홀 12: 지지프레임
12a: 연결공 형성부 12b: 연결공
20: 제2 프레임 조립체 21: 제2 프레임
21a: 제2 체결공 22: 서브프레임
22a: 삽입공 30: 커넥터
31: 인서트 고정구 32: 인서트
32a: 인서트체결부 40: 케이스
41: 케이스 프레임 41a: 케이스홈
42: 케이스 커버 42a: 커버부
42b: 받침부 42c: 커버홈
43: 샤프트 슬리브 50: 연결프레임
51: 관통공 60: 체결핀
100: 바디유닛 110: 커넥터바디
111: 바디나사산 120: 헤드
121: 헤드돌기 122: 통공
123: 헤드나사산 200: 고정부재
201: 제1 고정부재 202: 제2 고정부재
203: 제3 고정부재 204: 제4 고정부재
210: 체결홈 220: 돌기부
300: 캡 310: 걸림부
320: 캡나사산 400: 탄성부재
500: 리무버 샤프트 510: 샤프트 나사산

Claims (16)

  1. 제1 체결공이 형성된 제1 프레임 조립체;
    제2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프레임 조립체; 및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 및 상기 제2 프레임 조립체를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체결공 및 상기 제1 체결공을 통해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 내로 삽입된 인서트: 및
    상기 인서트와 맞물리는 인서트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 고정구는, 상기 제1 체결공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인서트 고정구의 중심이 상기 제1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편심되어 상기 인서트와 맞물리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공 및 상기 제2 체결공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인서트 및 상기 인서트 고정구는 복수 개로 제공되며,
    복수 개의 상기 인서트 고정구 중 하나 이상은, 복수 개의 상기 제1 체결공 중 하나 이상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인서트 고정구의 중심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편심되어 복수 개의 상기 인서트 중 하나 이상과 맞물리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에는, 상기 제1 체결공의 타측에 배치되는 보조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고정구는, 상기 인서트 고정구의 중심이 상기 제1 체결공의 중심 및 상기 보조홀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편심되어 상기 인서트와 맞물리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에 배치되어 상기 인서트 고정구를 커버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에는, 상기 케이스를 수용하는 충진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충진공간 내에서,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충진되는 충진재가 채워지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고정구는, 상기 인서트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케이스홈이 형성된 케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 고정구는, 상기 케이스홈에 삽입되는 헤드돌기가 형성된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홈의 크기는 상기 헤드돌기의 크기보다 큰,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홈은, 상기 인서트 고정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상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헤드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크기를 가지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고정구의 타측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에 접촉되고, 상기 인서트 고정구의 일측은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에 접촉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에는, 상기 제1 체결공의 타측에 배치되는 보조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고정구는, 상기 헤드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리무버 샤프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무버 샤프트는, 상기 보조홀의 내측이면서 상기 보조홀보다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는, 상기 인서트 고정구의 일측에서 서로 적층되어 배치되는 제1 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제1 체결공 및 상기 제2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연결공이 형성된 연결공 형성부가 제공되며,
    상기 연결공 형성부는, 상기 일측에서 상기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인서트는, 상기 연결공 형성부의 내주면 타측에 접촉되도록 상기 연결공에 삽입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 및 상기 제2 프레임 조립체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 및 복수 개의 상기 제2 프레임 조립체는 상기 일측과 어긋나는 연결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 및 복수 개의 상기 제2 프레임 조립체가 상기 연결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복수 개의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 및 복수 개의 상기 제2 프레임 조립체를 지지하는 연결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 프레임 조립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프레임,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 프레임 조립체를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체결핀을 더 포함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고정구는,
    일측으로 갈수록 내주면의 횡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일측이 상기 제1 체결공과 연통되는 커넥터바디를 포함하는 바디유닛; 및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외주면을 가지며, 내측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는, 상기 제2 체결공 및 상기 제1 체결공을 통해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내주면에 맞물리며,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상기 인서트가 소정 길이만큼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의 외주면이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주면에 맞닿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감소되면서 상기 인서트의 중심방향으로 상기 인서트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인서트의 상기 일측으로의 이동이 차단되어,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 조립체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고정구는,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캡; 및
    상기 캡을 상기 일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가 상기 일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 간에는 이격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캡의 일측에는 상기 이격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면에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캡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고정구는, 상기 캡나사산에 치합되는 샤프트 나사산이 형성된 리무버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가 소정 길이만큼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리무버 샤프트가 일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상기 타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캡이 지지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상기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증가되어 상기 인서트의 상기 일측으로의 이동이 허용됨으로써, 상기 제1 프레임 조립체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 조립체가 분리되는 것이 허용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
KR1020220130633A 2022-10-12 2022-10-12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 KR2024005079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633A KR20240050792A (ko) 2022-10-12 2022-10-12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
PCT/KR2023/007373 WO2024080476A1 (ko) 2022-10-12 2023-05-30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633A KR20240050792A (ko) 2022-10-12 2022-10-12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0792A true KR20240050792A (ko) 2024-04-19

Family

ID=90669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0633A KR20240050792A (ko) 2022-10-12 2022-10-12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0792A (ko)
WO (1) WO2024080476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5317B2 (ja) * 1992-06-11 1997-07-02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ユニット式建物の上下階接合構造
JP3423745B2 (ja) * 1993-08-12 2003-07-07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ユニットボックス間の上下接合構造
JP3629569B2 (ja) * 1996-03-15 2005-03-16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ユニット住宅のユニット接合構造
KR101167173B1 (ko) * 2009-11-12 2012-07-31 김난영 제거식 앵커
KR101602399B1 (ko) * 2015-10-13 2016-03-10 하재식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20210152146A (ko) * 2020-06-08 2021-12-15 김수명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102307326B1 (ko) * 2021-04-06 2021-09-29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바닥판이 구비된 수평부재 결합형 무용접 모듈러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0476A1 (ko) 202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92828B (zh) 用于开关柜结构的机架
KR20130001935U (ko) 전기기계식 박스용 결합 프레임
JPH1161719A (ja) 敷板の連結構造
WO2013150740A1 (en) Structure and method for assembling connector
KR200480192Y1 (ko) 프레임 접속구 및 이를 이용한 도어 프레임
KR20240050792A (ko)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 구조
KR101843882B1 (ko) 엑세스 플로어의 조립 공차를 줄일 수 있는 페데스탈
KR101868694B1 (ko) 뼈 고정 스크류 장치 및 그 체결방법
DE102007055300B4 (de) Stecker
KR20170114767A (ko) 프로파일 조립 블록
KR200239521Y1 (ko) 조립식 바닥부재
JP3180291U (ja) 補強部材
DE102018206589B4 (de) Leitungsstruktu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Zylinderstruktur
KR20170091909A (ko)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 및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
KR101828689B1 (ko) 공기 청정 장치
EP3624901B1 (en) Modular wall bar assembly
JP6885100B2 (ja) フィルタ部品組立用キット、フィルタ部品、及び、フィルタ部品の製造方法
JP3871401B2 (ja) 構造体用ファスナー
JP7082378B2 (ja) 鳥害防止具
JP5074776B2 (ja) パネル体における天井用固定具
WO2019138852A1 (ja) コネクタ
KR200493380Y1 (ko) 조립식 침대 프레임
KR200452701Y1 (ko) 케이블 접속모듈
JP6972803B2 (ja) 接合構造及び面構造の施工方法
JP5078760B2 (ja) パーティション板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