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380Y1 - 조립식 침대 프레임 - Google Patents

조립식 침대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380Y1
KR200493380Y1 KR2020190003613U KR20190003613U KR200493380Y1 KR 200493380 Y1 KR200493380 Y1 KR 200493380Y1 KR 2020190003613 U KR2020190003613 U KR 2020190003613U KR 20190003613 U KR20190003613 U KR 20190003613U KR 200493380 Y1 KR200493380 Y1 KR 200493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astening part
pair
support
axi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568U (ko
Inventor
김영철
차수경
Original Assignee
김영철
차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철, 차수경 filed Critical 김영철
Priority to KR2020190003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380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5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5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3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8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for joining separate bedstead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쌍의 단축 프레임, 한쌍의 장축 프레임, 단축 프레임과 장축 프레임을 연결하는 결합부, 및 상기 한쌍의 단축 프레임, 상기 한쌍의 장축 프레임 및 상기 결합부가 형성하는 매트리스 지지부를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침대 프레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침대 프레임{ASSEMBLABLE BED FRAME}
본 고안은 조립식 침대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량화된 프레임들과 상하 결합 가능한 체결부를 이용한 조립식 침대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기능 및 공간에 따라, 다양한 재질 또는 다양한 형태로 침대 프레임을 가공 및 제작할 수 있다. 다만, 장소의 변경없이 한곳에서 오래 사용되는 특성상, 침대 프레임의 개발은 매트리스 지지에 보다 최적화된 기능 또는 형상을 띠도록 개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레저용, 병상용, 또는 숙박용 침대는 일반 침대와는 달리, 이동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위와 같은, 특수 침대의 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접이식 침대 프레임 또는 바퀴가 달린 이동식 침대 프레임이 개발되어 왔으나, 이들 프레임들의 부피가 여전히 크다는 문제점과 함께, 이들 프레임들의 무게가 여전히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침대 프레임의 보관 부피를 줄이고, 침대 프레임의 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침대 프레임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고안은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조립식 침대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결합부들을 각각 상이한 프레임들에 연결하고, 상기 결합부들을 상하 결합하여 형성되는 조립식 침대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속이 빈 형태의 프레임을 이용함으로써, 경량화된 조립식 침대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 프레임은, 한쌍의 단축 프레임, 한쌍의 장축 프레임, 단축 프레임과 장축 프레임을 연결하는 결합부, 및 상기 한쌍의 단축 프레임, 상기 한쌍의 장축 프레임 및 상기 결합부가 형성하는 매트리스 지지부를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축 프레임 및 상기 장축 프레임은 속이 빈 형태이고, 상기 체결부는 상하 결합하는 상단 체결부 및 하단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축 프레임의 한쪽 끝에 상기 상단 체결부 및 상기 하단 체결부 중 적어도 하나가 연결되고, 상기 장축 프레임의 한쪽 끝에 상기 상단 체결부 및 상기 하단 체결부 중 다른 하나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단 체결부 및 상기 하단 체결부가 상하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단축 프레임 및 상기 장축 프레임의 한쪽 끝에는 상기 상단 체결부가 연결되고, 다른 한쪽 끝에는 상기 하단 체결부가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상단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일측에는 연결홀을 포함하는 지지대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대 연결부를 관통하는 상기 연결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단축 프레임 또는 상기 장축 프레임의 빈 공간에 수용되는 인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축 프레임 및 상기 장축 프레임의 상단부 가장자리에는 돌출홈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인입부의 상단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돌출홈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단축 프레임 또는 상기 장축 프레임의 내부에는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부에는 상기 레일이 삽입되는 레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침대 프레임은, 보조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보조 지지 프레임의 양단에 결합되는 한쌍의 결합 플러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축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상기 결합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천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결합 플레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경사면이 바깥 방향을 향하는 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베개 제조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는 자석편, 상기 자석편을 고정하는 지지부 및 상기 자성부를 상하로 이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베개 제조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완충부 모듈이 내장된 바디를 상기 제2 몰드로부터 탈착하기 위한 가압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의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조립식 침대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결합부들을 각각 상이한 프레임들에 연결하고, 상기 결합부들을 상하 결합하여 형성되는 조립식 침대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속이 빈 형태의 프레임을 이용함으로써, 경량화된 조립식 침대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 프레임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단축 프레임의 소켓부를 도 2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및 보조 지지 프레임의 소켓부를 도 2의 B-B 및 C-C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체결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체결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상단 체결부, 하단 체결부 및 지지대의 결합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 프레임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단축 프레임의 소켓부를 도 2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및 보조 지지 프레임의 소켓부를 도 2의 B-B 및 C-C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체결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체결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상단 체결부, 하단 체결부 및 지지대의 결합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단축 프레임의 단면을 나타내나, 장축 프레임의 소켓부도 도 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띨 수 있다.
상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 프레임은 매트리스 지지부(100) 및 침대 지지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매트리스 지지부(100)는 매트리스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침대 지지부(200)는 매트리스 지지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하고, 매트리스 지지부를 지지한다. 침대 지지부(200)는 매트리스 지지부의 각 모서리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매트리스 지지부는 뼈대(또는 바디)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들(110) 및 프레임들을 결합 및 고정하는 체결부(120)를 포함한다.
복수의 프레임들(110)은 상기 바디의 상하변을 형성하는 한쌍의 단축 프레임(111), 상기 바디의 좌우변을 형성하는 한쌍의 장축 프레임(1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프레임은 매트리스 지지부에 가하여지는 하중을 분산하기 위해, 상기 바디의 내측에 설치되는 보조 지지 프레임(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프레임들(110) 각각은 속이 빈 막대 형태일 수 있다. 속이 빈 막대 형태를 사용함으로써, 침대 프레임을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침대 프레임 경량화를 위해, 각 프레임은 경량 금속,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재질일 수 있다.
단축 프레임(111) 및 장축 프레임(112)은 직사각형 상단변에, 상기 직사각형의 외측 방향(구체적으로는, 매트리스가 안착되는 방향)으로 돌출홈(113)이 형성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홈(113)은 매트리스가 매트리스 지지부(100)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매트리스가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돌출홈(113)은 직사각형 상단변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단축 프레임(111) 및 장축 프레임(112)의 양단은 체결부가 삽입되는 소켓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때, 소켓에는 체결부의 인입을 가이딩하는 레일(1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114)은 상기 직사각형의 상단변 또는 하단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띨 수 있다. 도 3에서는 직사각형의 상단변 및 직사각형의 하단변 각각에 레일(114)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도 3에서는 각 레일(114)이 직사각형의 상단변 및 직사각형의 하단변의 중앙에서 돌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레일(114)의 위치는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단변으로부터 돌출되는 레일(114)의 위치와 하단변으로부터 돌출되는 레일(114)의 위치가 상이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단변으로부터 돌출된 레일(114)은 상단변의 좌측에 편향 배치되고, 하단변에 형성되는 레일(114)의 위치는 하단변의 우측으로 편향 배치될 수 있다. 각 레일(114)의 위치를 상이하게 설정함으로써, 체결부와의 체결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는, 레일(114)은 상단변과 하단변을 연결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장축 프레임(112)의 내측면에는 보조 지지 프레임(120)을 결합하기 위한 천공홀(115)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지지 프레임(120)은 직사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보조 지지 프레임의 양단은 결합 플러그(130)가 삽입되는 소켓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소켓에는 소켓에 결합된 결합 플러그(13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121)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121)는 경사진 형태를 띨 수 있다. 결합 플러그(130)가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경사면은 소켓의 바깥을 향할 수 있다.
결합 플러그(130)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바깥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로드들(134)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는 상기 보조 지지 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된 소켓으로 인입되는 육면체 형태의 인입부(131) 및 상기 소켓을 덮는 판상 형태의 덮개부(133)로 구분될 수 있다. 인입부(131)의 단면적보다 덮개부(133)의 단면적을 더 크게하여, 인입부(131)가 용이하게 소켓 안으로 인입되도록 하는 한편, 덮개부(133)가 소켓을 온전히 가리도록 할 수 있다.
결합 플러그(130)가 소켓에 삽입된 이후에는 결합 플러그에 형성된 돌기(134)와 소켓에 삽입된 돌기(121)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결합 플러그(130)가 소켓으로부터 손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체결부(140)는 상단 체결부(141) 및 하단 체결부(151)를 포함한다.
상단 체결부(141) 및 하단 체결부(161) 중 어느 하나는 단축 프레임(111)과 결합하고, 다른 하나는 장축 프레임(112)과 결합한다. 침대 프레임의 모서리 형상에 대응하는 상단 체결부(141) 및 하단 체결부의 외측은 곡면 형태를 띨 수 있다.
상단 체결부(141) 및 하단 체결부(161) 각각은 단축 프레임(111) 또는 장축 프레임(112)의 소켓으로 인입되는 인입부(142, 162), 상기 소켓을 덮는 덮개(143, 163), 상기 덮개와 연결되는 바디(144, 164) 및 지지대(210)와 결합하기 위한 지지대 연결부(145, 165)를 포함할 수 있다.
인입부(142, 162)의 상단 및 하단에는 레일이 삽입되는 레일 홈(146, 16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홈(146, 166)에 레일(114)이 삽입됨에 따라, 인입부(142, 162)의 올바른 인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114) 및 레일 홈(146, 166)에 의해, 단축/장축 프레임(111, 112)에 결합된 체결부(140)의 유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140)와 프레임들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입부(142, 162)는 직사각형의 상단면의 한쪽끝이 돌출된 돌출부(147, 167)가 형성된 단면 형태를 띨 수 있다. 상기 돌출부(147, 167)는 상기 돌출홈(113)에 인입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47, 167)가 상기 돌출홈(113)에 인입됨에 따라, 체결부(140)와 장축/단축 프레임(111, 112) 사이의 체결력이 증가할 수 있다.
덮개(143, 163)는 인입부(142, 162) 및 바디(144, 164)와 연결되고, 인입부(142, 162)가 삽입되면, 상기 소켓을 덮는 역할을 수행한다. 덮개(143, 163)의 외측부는 도 3에 도시된 단면 형상과 유사하게 상부면의 가장자리가 돌출된 형태를 띨 수 있다. 상기 돌출부(148, 168)는 돌출홈(113)을 덮는 역할을 한다.
상단 체결부의 덮개(143) 및 하단 체결부의 덮개(163)은 동일한 형상을 띨 수 있다. 이때, 상단 체결부의 덮개(143)는 단축 프레임(111) 또는 장축 프레임(112) 중 하나를 덮는데 이용되고, 하단 체결부의 덮개(163)는 다른 하나를 덮는데 이용된다.
하단 체결부의 바디부(164) 위에 상단 체결부의 바디부를 포개어 놓음으로써, 상단 체결부(141) 및 하단 체결부(161)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각 바디부(144, 164)는 덮개(143, 163)의 일부 높이에 대응하는 부분을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단 체결부(141) 및 하단 체결부(161)를 결합하였을 때, 결합된 바디부들(144, 164)의 높이가 덮개(143, 163)의 높이와 동일해지도록, 각 바디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상단 체결부의 바디부(144)는 덮개(143)의 제1 영역을 연장하여 형성되고, 하단 체결부의 바디부(164)는 덮개(163)의 제1 영역을 제외한 잔여 제2 영역을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덮개(143, 163)의 상단 1/2 영역 및 돌출부에 대응하는 영역이고, 제2 영역은 덮개(143, 163)의 하단 1/2에 대응하는 영역일 수 있다.
덮개의 상단 부분을 연장하여 형성되는 상단 체결부의 바디부의 외측부에는 덮개(143)와 마찬가지로, 돌출부(149)가 형성될 수 있다. 상단 체결부의 바디부 및 덮개부들에 형성된 돌출부들(148, 149, 168)은 프레임들에 형성된 돌출홈(113)에 연속하여 이어진 형태를 띤다. 이에 따라, 매트리스 지지부에 안착되는 매트리스가 매트리스 지지부(100) 위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상단 체결부의 바디부(144) 및 하단 체결부의 바디부(164)는 암수 결합을 기초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단 체결부의 바디부에는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 결합부(150)가 존재하고, 하단 체결부의 바디부에는 상기 돌출 결합부(150)가 인입되는 결합홀(169)이 형성될 수 있다.
각 바디부의 일측에는 지지대 연결부(145, 155)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 연결부(145, 155)는 체결부(140)와 지지대(210)를 연결하는 한편, 상단 체결부(141) 및 하단 체결부(161)의 체결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지대 연결부(145, 155)는 연결홀(151, 170)을 포함하는 원 형태를 띌 수 있다. 상기 연결홀(151, 170)은 지지대 연결부(145, 155)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홀의 내부면에는 침대 지지부를 결합하기 위한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하단 체결부에 형성된 지지대 연결부(155)의 하부면에는, 침대 지지부가 결합되고 난 이후, 침대 지지부의 이탈 및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17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171)는 침대 지지부의 바디부를 감싸는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210)는 바디부(211) 및 바디부(221)에 돌출 형성된 연결부(222)를 포함한다. 바디부(221)는 원통의 기둥형태일 수 있다. 연결부(222)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222)에 형성된 나사선을 이용하여, 지지대(210)를 상부 체결부 및 하부 체결부의 결합부(151, 170)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22)가 상부 체결부 및 하부 체결부의 결합부(151, 170)에 삽입 고정됨에 따라, 지지대(210)가 상부 체결부(141) 및 하부 체결부(161)를 결합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축 프레임(111)의 한쪽 끝은 상단 체결부(141)와 결합되고, 다른 한쪽 끝은 하단 체결부(161)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장축 프레임(112)의 한쪽 끝은 상단 체결부(141)와 결합되고, 다른 한쪽 끝은 하단 체결부(161)와 결합될 수 있다. 상단 체결부(141)가 결합된 단축 프레임(111)의 한쪽 끝은, 하단 체결부(161)가 결합된 장축 프레임(112)의 한쪽 끝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단 체결부(161)가 결합된 단축 프레임(111)의 한쪽 끝은, 상단 체결부(141)가 결합된 장축 프레임(112)의 한쪽 끝과 연결될 수 있다. 프레임들의 양쪽 끝에 각기 다른 체결부를 결합 연결함으로써, 매트리스 지지대 전체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한쌍의 단축 프레임;
    한쌍의 장축 프레임;
    단축 프레임과 장축 프레임을 연결하는 체결부; 및
    상기 한쌍의 단축 프레임, 상기 한쌍의 장축 프레임 및 상기 체결부가 형성하는 매트리스 지지부를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축 프레임 및 상기 장축 프레임은 속이 빈 형태이고,
    상기 체결부는 상하 결합하는 상단 체결부 및 하단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축 프레임의 한쪽 끝에 상기 상단 체결부 및 상기 하단 체결부 중 적어도 하나가 연결되고, 상기 장축 프레임의 한쪽 끝에 상기 상단 체결부 및 상기 하단 체결부 중 다른 하나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단 체결부 및 상기 하단 체결부가 상하 결합되고,
    상기 상단 체결부 및 상단 하단 체결부 각각은 상기 단축 프레임 또는 상기 장축 프레임의 빈 공간에 수용되는 인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축 프레임 및 상기 장축 프레임의 상단부 가장자리에는 돌출홈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인입부의 상단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돌출홈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단축 프레임 및 상기 장축 프레임 내부 상기 인입부가 삽입되는 공간에는, 상기 인입부를 가이드하는 상하 한쌍의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부에는 상기 한쌍의 레일이 수용되는 한쌍의 레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부가 삽입되는 공간의 좌우 너비를 기준으로, 상기 한쌍의 레일 중 상단 레일의 위치와 하단 레일의 위치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프레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 프레임 및 상기 장축 프레임의 한쪽 끝에는 상기 상단 체결부가 연결되고, 다른 한쪽 끝에는 상기 하단 체결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프레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일측에는 연결홀을 포함하는 지지대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대 연결부를 관통하는 상기 연결홀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프레임.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침대 프레임은,
    보조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보조 지지 프레임의 양단에 결합되는 한쌍의 결합 플러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축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상기 결합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천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프레임.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결합 플러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경사면이 바깥 방향을 향하는 경사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프레임.
KR2020190003613U 2019-08-30 2019-08-30 조립식 침대 프레임 KR200493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613U KR200493380Y1 (ko) 2019-08-30 2019-08-30 조립식 침대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613U KR200493380Y1 (ko) 2019-08-30 2019-08-30 조립식 침대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568U KR20210000568U (ko) 2021-03-10
KR200493380Y1 true KR200493380Y1 (ko) 2021-03-18

Family

ID=74871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613U KR200493380Y1 (ko) 2019-08-30 2019-08-30 조립식 침대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380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834Y1 (ko) * 1999-07-19 2000-02-15 주식회사예진금속 조립식 침대
KR100470154B1 (ko) * 2002-05-10 2005-02-05 오병훈 침대용 프레임
KR101129340B1 (ko) * 2010-06-29 2012-03-26 주식회사 그린메탈퍼니처 파이프 체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943Y2 (ja) * 1993-03-19 1995-06-14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ベッドのサイドフレーム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834Y1 (ko) * 1999-07-19 2000-02-15 주식회사예진금속 조립식 침대
KR100470154B1 (ko) * 2002-05-10 2005-02-05 오병훈 침대용 프레임
KR101129340B1 (ko) * 2010-06-29 2012-03-26 주식회사 그린메탈퍼니처 파이프 체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568U (ko)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95186A1 (en) Assemblable and disassemblable container
CN103671444B (zh) 将附件固定在车辆车身上的固定部件和相应的固定结构
KR200493380Y1 (ko) 조립식 침대 프레임
KR101290276B1 (ko) 침대프레임
KR20030090759A (ko) 나사에 의해 연결된 프로파일 부재로 이루어진 조합 강철프레임
KR101421678B1 (ko) 조립식 파티션
CN209082790U (zh) 一种玻璃幕墙横梁与立柱新型连接结构
US8961058B2 (en) Corner coupling
KR101348225B1 (ko) 가구용 모서리 연결구
KR20210038087A (ko) 차량 부품 이송용 적재장치
RU2518779C1 (ru) Плавучая платформа
CN210479439U (zh) 一种物流货物装载框
CN217885543U (zh) 一种家居床
KR100805214B1 (ko) 테이블 다리조립체
JP4455048B2 (ja) テーブルのフレーム構造
KR20050032555A (ko) 납골함 안치단
CN218419123U (zh) 一种床架单元及床架
KR102229821B1 (ko) 접이식 침대 프레임
KR101123209B1 (ko) 침대 프레임 연결구조
CN213487988U (zh) 一种床护栏
CN217945910U (zh) 高阶托盘装置
KR102261458B1 (ko) 조립이 간편한 침대프레임 결합구조
CN219387014U (zh) 一种双色注塑拼装地板
JP2006122397A (ja) 組替え式二段ベッド
CN218419113U (zh) 床架单元及床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