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314B1 -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의 내부 정착체용 후크 - Google Patents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의 내부 정착체용 후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314B1
KR100641314B1 KR1020040107280A KR20040107280A KR100641314B1 KR 100641314 B1 KR100641314 B1 KR 100641314B1 KR 1020040107280 A KR1020040107280 A KR 1020040107280A KR 20040107280 A KR20040107280 A KR 20040107280A KR 100641314 B1 KR100641314 B1 KR 100641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member
hook
wedge assembly
released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7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8559A (ko
Inventor
김국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김국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김국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Priority to KR1020040107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314B1/ko
Publication of KR20060068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8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71Shapes helical or spir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장재의 외부정착이 해제될 때 신속한 웨지조립체의 신속한 동반후퇴와 잠금이 강점인 후크와 인장재의 선단에 대한 정착이 무단히 해제되었을 때 캡을 열지 않고도 내부 정착체의 외부에서 인장재의 후단을 잡고 역체결방향으로 틀어서 웨지조립체를 전진시키면 인장재의 선단을 재정착시킬 수 있는 뿔나사의 장점을 모두 갖춘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의 내부 정착체용 후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장재의 후단에 대한 외부정착이 해제되는 것과 동시적으로 그 반력에 의하여 캡의 걸림턱에 기어들어가 걸림으로써 후퇴한 웨지조립체를 잠그는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의 내부 정착체용 잠금장치의 후크에 있어서, 상기 후크의 선단에 주어지는 걸림날을 1피치 정도의 나선형으로 개조하여 인장재의 외부정착이 해제되는 순간 인장재의 반력에 의하여 웨지조립체가 신속히 후퇴하여 잠가지면서도 특히 웨지조립체의 후퇴 및 잠금이 원하지 않게 일어난 경우 인장재의 후단을 잡고 역체결방향으로 돌리면 캡의 나사공에서 나선형 걸림날이 빠져나오면서 웨지조립체를 전진시켜 오므라들게 함으로서 캡을 열지 않고도 간단히 웨지조립체에 인장재의 선단을 재정착시킬 수 있게 한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의 내부 정착체용 후크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의 내부 정착체용 후크{Hook for inner fixing device in tensioning member removed ground anchor}
도 1은 나선형 걸림날을 가진 후크의 사시도
도 2는 동 종단면도
도 3은 상기 후크가 내장된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후크가 캡에 잠가진 상태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인장재를 역체결방향으로 틀어서 후크의 잠금을 해제할 때 의 장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후크 11: 축
12: 막이 13: 턱
14: 나선형 걸림날 20: 웨지통
30: 웨지조립체 31: 턱홈
본 발명은 인장재의 외부 정착이 해제될 때 정착하중에 상응하는 반력에 의하여 인장재가 후퇴하면서 내부 정착체내의 웨지조립체가 일거에 동반 후퇴하여 인장재에 대한 웨지물림(정착)이 해제된 상태로 잠가지게 하여 인장재를 제거할 때 웨지 조립체가 딸려가지 못하게 저지하므로서 인장재의 제거 신뢰도를 높인 그라운드 앵커의 내부 정착체용 후크형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인장재에 대한 웨지물림이 무단히 해제된 경우 캡을 열지 않고도 재정착이 가능한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의 내부 정착체용 후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에 의해 선개발된 실용신안등록 제242474호는 외부 정착이 해제된 인장재에 의해 물러나 웨지물림이 해제된 웨지조립체를 캡에 걸어 잠그는 수단이 후크형이다. 후퇴한 웨지조립체 잠금용 후크를 가진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도 뜻하지 않게 정착이 해제되어 웨지조립체가 캡의 걸림턱에 잠가지는 사례가 종종 발견되곤 한다. 이 같은 인장재의 무단 정착해제 및 후퇴한 웨지조립체의 무단 후퇴 및 잠금은 조립된 그라운드 앵커를 상차 및 하차하는 과정에서 받는 충격, 차량을 이용해 장단거리의 현장까지 수송하는 과정에서 노면의 요철이나 과속방지턱을 격하게 통과할 때 받는 진동과 충격, 지중의 앵커공에 투입할 때 앵커공 바닥과의 충돌로 인한 충격이 주된 원인이다.
어떤 이유에 연유하든 원하지 않게 후크가 캡에 잠가진 경우에는 인장재의 외부조작으로는 도저히 웨지조립체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가 없다. 웨지통에 체 결된 캡을 열어 잠금수단을 들어내고, 펜치 따위의 공구로 후크를 축경시켜 걸림턱에서 빠져나오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것도 내부 정착체가 지상에 있을 때나 가능하며, 앵커공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불가능하다. 지상에서 후크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것도 그다지 쉬운 일은 아니다. 캡 깊숙이 위치하는 링 모양의 걸림턱에 들어가 걸린 후크를 축경시키기가 여간 곤란스러운 아니기 때문이다. 바로 이 점이 후퇴한 웨지조립체용 잠금수단으로서의 후크를 가진 내부 정착체의 활성화가 이뤄지지 않는 주된 이유다.
이러한 점에서 후퇴한 웨지조립체를 캡에 잠가지게 하는 후크를 가진 내부 정착체에서 무단히 웨지물림이 해제되는 바람에 웨지조립체가 캡에 잠가진 경우 인장재의 후단을 잡아 조작하는 것만으로도 웨지조립체의 잠금상태를 풀어 인장재의 선단을 재정착할 수 있게 하는 것은 후크형 잠금수단을 가진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정착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후크의 구조를 반드시 개선할 필요가 있다.
한편, 역시 본 발명자에 의한 특허 제411567호와 제43069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249170호와 같이 웨지조립체용 잠금수단이 뿔나사로 된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도 있다. 이 내부 정착체는 인장재에 대한 외부정착이 해제된 상태에서 인장재의 외측단을 잡고 나사가 체결되는 방향으로 돌리면 뿔나사가 캡의 나사공에 체결되면서 웨지조립체를 끌고 가 인장재의 선단에 대한 웨지물림을 해제시키고 나사공과의 체결 그 자체로써 물러난 웨지조립체가 잠가지도록 한 것인 데, 인장재의 선단에 대한 웨지물림이 무단히 해제된 경우 인장재의 후단을 잡고 역체 결방향으로 돌리면 나사공에서 뿔나사가 빠져나와 인장재의 선단에 대한 재정착이 가능한 반면, 웨지조립체에 의한 웨지물림을 해제시킬 때 장척의 인장재를 여러 번 틀어서 빼는 작업이 시간적으로 더디고, 웨지물림이 해제되기까지의 작업시간도 비교적 긴 편이어서 인장재 제거작업의 효율성이 낮은 게 흠이다.
이러한 점에서, 뿔나사형 잠금수단은 인장재의 제거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인장재의 선단에 대한 웨지물림을 해제시키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인장재의 외부정착이 해제될 때 신속한 웨지조립체의 신속한 동반후퇴와 잠금이 강점인 후퇴한 웨지조립체용 잠금수단인 후크와 인장재의 선단에 대한 정착이 무단히 해제되었을 때 캡을 열지 않고도 내부 정착체의 외부에서 인장재의 후단을 잡고 역체결방향으로 틀어서 재정착시킬 수 있는 후퇴한 웨지조립체용 잠금수단인 뿔나사의 장점을 두루 갖춘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의 내부 정착체용 후크에 관한 것이다.
이 과제는, 인장재의 후단에 대한 외부정착이 해제되는 것과 동시적으로 그 반력에 의하여 캡의 걸림턱에 기어 들어가 걸림으로써 후퇴한 웨지조립체를 잠그는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의 내부 정착체용 잠금장치의 후크에 있어서, 상기 후크의 선단에 주어지는 걸림날을 1피치 정도의 나선형으로 개조하여 인장재의 외부정착이 해제되는 순간 인장재의 반력에 의하여 웨지조립체가 재빨리 후퇴하여 잠가 지면서도 특히 웨지조립체의 후퇴 및 잠금이 원하지 않게 일어난 경우 인장재의 후단을 잡고 역체결방향으로 돌리면 캡에 형성된 나사공에서 나선형 걸림날이 빠져나오면서 웨지조립체를 전진시켜 캡을 열지 않고도 간단히 웨지조립체에 인장재의 선단을 재정착시킬 수 있게 구성한 후크로 달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후퇴한 웨지조립체를 캡의 걸림턱에 걸어 잠가서 이후 인장재를 제거할 때 그 인장재에 웨지조립체가 딸려가지 못하게 저지하는 후퇴한 웨지조립체용 잠금수단으로서의 후크(10)는 축(11) 내부에 형성된 막이(12)와 후단에 형성된 턱(13) 외에 축(11)의 선단에 형성된 나선형 걸림날(14)을 특징으로 한다.
후크(10)는 축(11)에 길이방향으로 낸 슬리트(15)에 의하여 외압이 작용할 때 축경되고 외압이 사라지면 축경되기 전의 상태로 복원되는 탄성을 지니게 된다. 막이(12)는 설치된 그라운드 앵커에서 인장재를 제거하려고 토류벽 구축용 말뚝에 가설된 외부 정착구에 끼워 물린 인장재의 후단을 절단하여 외부정착을 해제했을 때 정착하중에 상응하는 반력에 의하여 인장재가 선단쪽으로 후퇴하는 과정에서 내부 정착체내의 웨지조립체를 끌고 가도록 하는 반력전달수단이다.
나선형 걸림날(14)은 종래의 비나선형 걸림날이 안고 있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최선의 대체수단이다. 즉,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종래와 같은 후크의 비나선형 걸림날은 설령 캡에 걸림날 잠금용 나사공이 형성된 것일지라도 그 나사공에 일단 걸리면 잠금상태를 해제하기가 곤란하다. 그러나 나선형 걸림날(14)은 캡 의 나사공에 걸려 잠가진 경우일지라도 역체결방향으로 돌리면 너트에서 보울트가 빠지듯이 쉽게 탈출된다.
나선형 걸림날(13)은 피치수가 많을수록 캡의 나사공과의 마찰이 커 후퇴할 때 더디고 그 나사공으로부터의 탈출도 더뎌서 본 발명의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 1피치 미만의 나선형은 나사공에의 불완전한 걸림으로 인한 후크(10)의 자세 불안정이 우려된다. 따라서 나선형 걸림날(14)은 1피치가 바람직하다.
도 3은 나선형 걸림날(14)을 가진 후크(10)가 내장된 내부 정착체를 예시한 것이다. 도시예와 같이 되려면 다음 순서로 조립한다. 먼저, 웨지조립체(30)의 턱홈(31)에 후크(10)의 턱(13)을 끼우고, 웨지통(20)의 후단 중앙에 천공된 인장재공(22)으로는 인장재(40)의 선단을 삽입하여 웨지조립체(30) 사이에 끼워 물린다. 이때, 인장재(40)의 선단은 막이(14)에 가닿는다. 이 상태로 웨지통(20)에 들어 앉힌다. 이어서, 나사공(24)이 형성된 캡(23)을 웨지통(21)의 선단에 체결한다. 도면부호(32)는 웨지조립체(30)의 외면 선단부에 끼운 조립상태유지용 O링이다. 도 4는 상기 내부 정착체가 적용된 현장에서 인장재(40)에 재하된 정착하중이 해제되었을 때의 변화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인장재(40)의 후단에 대한 외부정착이 해제되면 그 동안 인장재(40)에 걸렸던 긴장력에 상응하는 반력에 의하여 인장재(40)는 캡(23)쪽으로 튕겨나간다. 인장재(40)가 튕겨나가면서 막이(12)mf 밀고 간다. 막이(12)가 밀려가는 힘은 후크(10)의 턱(13)을 거쳐 웨지조립체(30)에 전달되고, 그 힘에 웨지조립체(30)가 이끌려 간다. 웨지조립체(30)가 막이(12)에 이끌려 가면서 벌어지고, 이에 따라 인장재(40)의 선단에 대한 웨지물림, 즉 내부정 착이 해제된다. 이때, 후크(10)의 나선형 걸림날(14)은 나사공(24)으로 들어가면서 나선형 걸림날(14)의 끝지름과 나사공(24)의 공경간의 차이만큼 탄력적으로 오므라들다가 나선형 걸림날(14)의 후단이 나사공(24)의 선단을 벗어나는 순간 탄력적으로 벌어져서 걸린다. 이 같이 내부정착이 해제된 상태에서 인장재(40)의 후단을 잡아당기면 그대로 빠져나온다.
이상의 설명은 인장재(40)를 정상적으로 제거할 때로서, 이를 종래의 뿔나사형 잠금수단에 비하면 캡에 잠가지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종래의 비나선형 걸림날을 가진 후크처럼 신속히 이뤄진다.
비정상적으로 웨지조립체(30)가 후퇴하여 인장재(40)의 선단에 대한 정착이 해제되고 후크(10)가 캡(23)에 잠가지는 바람에 인장재(40)의 선단을 재정착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인장재(40)의 후단을 잡고 역체결방향(화살표 방향)으로 돌린다. 그러면 나선형 걸림날(14)이 너트에서 보울트가 빠지듯이 나사공(24)에서 빠져나온다. 이렇게 나선형 걸림날(14)이 나사공(24)에서 빠져나어면서 턱(13)을 통해 전달되는 힘에 의하여 웨지조립체(30)가 재전진하고, 이 과정에서 각 웨지편이 웨지통(20)의 향심방향으로 오므라들면서 정착이 풀린 인장재(40)의 선단을 재정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대로 본 발명의 나선형 걸림날을 가진 후크는 의도하지 않았음에도 웨지조립체가 후퇴하여 인장재의 선단에 대한 정착을 해제하고 후크가 캡에 잠 가진 경우 캡을 열지 않고 인장재의 후단을 잡고 역체결방향으로 트는 것만으로도간단하게 후크에 의한 웨지조립체의 잠금상태를 풀고 전진시켜 인장재의 선단을 재정착시킬 수 있다.
이것을 종래의 뿔나사형 잠금수단을 가진 인장재 제거형 내부 정착체에 적용할 경우에는 인장재의 외부정착이 해제되는 순간 후크처럼 신속하게 캡의 걸림턱에 걸려 잠가지므로 인장재 제거작업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2)

  1. 길이방향으로 탄성을 갖기 위한 슬리트가 주어진 축에 외부정착이 해제된 인장재의 반력전달용 막이와 웨지조립체의 턱홈에 끼워지는 턱이 형성된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의 내부 정착체용 후크에 있어서, 후크의 선단에 나선형 걸림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의 내부 정착체용 후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걸림날은 1피치로 하는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의 내부 정착체용 후크.
KR1020040107280A 2004-12-16 2004-12-16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의 내부 정착체용 후크 KR100641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280A KR100641314B1 (ko) 2004-12-16 2004-12-16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의 내부 정착체용 후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280A KR100641314B1 (ko) 2004-12-16 2004-12-16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의 내부 정착체용 후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086U Division KR200386865Y1 (ko) 2005-03-24 2005-03-24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의 내부 정착체용 후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559A KR20060068559A (ko) 2006-06-21
KR100641314B1 true KR100641314B1 (ko) 2006-11-02

Family

ID=37162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7280A KR100641314B1 (ko) 2004-12-16 2004-12-16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의 내부 정착체용 후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31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858B1 (ko) 2007-07-09 2008-02-01 (주)서림건설 소일네일링의 네일선단정착구
KR100913201B1 (ko) 2008-12-10 2009-08-24 신현택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KR101128048B1 (ko) * 2009-10-15 2012-04-02 임대순 그라운드 앵커용 앵커체
KR101190027B1 (ko) 2012-04-03 2012-10-12 김성규 제거 및 재정착이 가능한 앵커
KR20220145204A (ko) 2021-04-21 2022-10-28 김동세 제거식 복합 지중앵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981B1 (ko) * 2008-09-22 2011-01-03 신현택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CN101949151A (zh) * 2010-09-28 2011-01-19 张继红 一种可回收的锁定式锚杆及其施工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858B1 (ko) 2007-07-09 2008-02-01 (주)서림건설 소일네일링의 네일선단정착구
KR100913201B1 (ko) 2008-12-10 2009-08-24 신현택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KR101128048B1 (ko) * 2009-10-15 2012-04-02 임대순 그라운드 앵커용 앵커체
KR101190027B1 (ko) 2012-04-03 2012-10-12 김성규 제거 및 재정착이 가능한 앵커
KR20220145204A (ko) 2021-04-21 2022-10-28 김동세 제거식 복합 지중앵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559A (ko)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1314B1 (ko)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의 내부 정착체용 후크
US9388025B2 (en) Shackle or clevis mount fitting for steel cable and synthetic rope end loops
US8230648B2 (en) Utility land anchor
JP3694690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の引張材除去形内部定着体用のウェッジアッセンブリとこれを利用した内部定着体
KR100908566B1 (ko) 사면보강용 클러치셋 네일링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015949B1 (ko) 건축용 안전망 설치구조
US11821454B2 (en) Wire thread insert
KR200386865Y1 (ko)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의 내부 정착체용 후크
KR100435069B1 (ko)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
US78233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leasing tension members for use in anchor method
WO2013069081A1 (ja) 緊張具
US5002002A (en) Method for securing anchors
TW201718336A (zh) 甲板繫附裝置
US1357331A (en) Lock-nut
US20150135511A1 (en) Expansion bolt
WO2008154683A1 (en) Rock bolt tendon tensioning
KR200249170Y1 (ko) 태양 웨지를 이용한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정착체
KR100447967B1 (ko) 앵커공법용 인장부재 해체장치
KR100435070B1 (ko)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
KR20120140065A (ko) 선박 도어의 비상용 잠금장치
KR20080082395A (ko) 앵커 볼트
KR100447996B1 (ko) 앵커공법용 인장부재 해체방법
WO2010002265A1 (en) Device for a self-activated lock of a rope, string or similar
KR200291860Y1 (ko) 앵커공법용 인장부재 해체장치
KR100494011B1 (ko) 인장부재 해체장치용 앵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