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021Y1 -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 - Google Patents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021Y1
KR200354021Y1 KR20040005722U KR20040005722U KR200354021Y1 KR 200354021 Y1 KR200354021 Y1 KR 200354021Y1 KR 20040005722 U KR20040005722 U KR 20040005722U KR 20040005722 U KR20040005722 U KR 20040005722U KR 200354021 Y1 KR200354021 Y1 KR 2003540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ire
hole
rod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05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원석
Original Assignee
오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원석 filed Critical 오원석
Priority to KR20040005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0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0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0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8Anchoring or tensio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는 내부에 메인실린더실(111)을 천공시키되 외주연 일측과 타측으로 압력원에서 전달되는 압력을 공급 및 배출하는 입력공(112)과 배출공(113)을 메인실린더실(111)과 연통시킨 메인하우징(110) 중심에는 슬라이드공(121)을 내부에 형성시킨 서브하우징(120)을 부분 내입하여 고정시킨 실린더부(100)와, 상기 실린더부(100)의 메인실린더실(111)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시킨 로드하우징(210)의 중심에 서브실린더실(211)을 다단으로 천공시키고 로드하우징(210)과 일체로 연동되는 압박하우징(220)을 서브실린더실(211) 내주연과 이격되도록 고정시키되 서브실린더실(211) 내주연에 내입공(223a)을 형성시킨 정위치블럭(223)을 결합한 다음 마감커버(230)를 로드하우징(210) 타측에 결합시킨 로드부(200)와, 상기 로드부(200)의 테이퍼공(221) 내주연에 복수개의 몸체가 한조를 이루어 인장되는 와이어(3)를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클램핑블럭(310)을 내입시키는 동시에 스프링력에 의해 클램핑블럭(310)을 테이퍼공(221)측에 탄력적으로 압박하는 받침블럭(312)을 클램핑블럭(310)의 후단에 연접시켜 내입공(223a)에 내입시킨 클램핑부(300)와, 상기 실린더부(100)의 일측단에 결합공(411)을 형성시킨 장착블럭(410)을 결합시켜 와이어(3) 및 고정앵커(4)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장착부(400)로 구성한다.

Description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lnfrastructure reinforcemant wire seal flag}
본 고안의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직굴착벽체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와이어를 인장시키는 인장기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동시에 조립 및 해체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쏘일네일링 공법은 흙막이, 가시설 연직굴착벽체(1) 및 인공사면의 보강, 지하구조물 등과 같은 토목 관련 시설물을 축조 시에 지반의 내부에 구멍(2)을 뚫고 그 내부에 와이어(3)를 내입시켜 지반의 강도를 보강하는 굴착 지보체계공사에 사용되는 공법이다.
이러한 쏘일네일링 공법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부에 고정앵커(4)를 조립하여 고정시킨 와이어(3)를 연직굴착벽체(1)에 사선방향으로 천공한 구멍(2)에 내입시킨 다음 구멍(2) 내부에 콘크리트몰탈(미부호)을 주입하여 양생과정을 거쳐 굳힌 후 인장기를 통하여 와이어(3)에 인장력을 가하는 동시에 고정앵커(4)가 와이어(3)의 긴장력을 유지시켜 연직굴착벽체(1) 내부에 주변 지반의 이완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지반의 강도를 보강함으로서 지반의 붕괴를 방지한다.
이와 같이, 와이어를 인장시키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기(5)는 내부의 일측에 실린더실(6a)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로드수납실(6b)을 별도로 구획되게 형성시키고 실린더실(6a) 일측과 타측에 외부와 연통되도록 입력공(6c)과 배출공(6d)을 형성한 하우징(6)과, 상기 하우징(6)의 내부에 내입되어 하우징(6)의 실린더실(6a) 일측을 통하여 제공되는 와아어(3)를 클램핑하는 클램프부(7)와, 상기 하우징(6)의 실린더실(6a) 내부에 내입시키되 클램프부(7) 전방에 위치시켜 인입되는 와이어(3)를 클램프부(7)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부(8)와, 상기 하우징(6)의 입력공(6c) 및 배출공(6d)으로부터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실린더실(6a) 내부와 로드수납실(6b)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면서 클램프부(7)와 연동되는 로드부(9)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장기(5)는 연직굴착벽체(1)에 설치된 와이어(3) 및 고정앵커(4)가 하우징(6)의 일측을 통하여 부분 결합되는 동시에 와이어(3)를 안내부(8)측에 관통하여 클램프부(7) 내부까지 내입시켜 와이어(3) 인장작업의 설치준비를 완료한다.
이후, 입력공(6c)을 통하여 압력을 실린더실(6a) 내부로 제공하면 실린더실(6a) 내부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하고 와이어(3)를 파지한 클램프부(8)가 로드부(9)와 연동되면서 후방으로 밀려나 와이어(3)를 인장하게 된다.
이때, 로드부(7)는 실린더실(6a) 내부에서 로드수납실(6b) 내부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하여 와이어(3)를 인장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장기(5)는 하우징(6) 내부에 슬라이딩하는 로드부(9)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로드수납실(6b)을 별도로 형성시킴에 따라 인장기(5)의 후측 길이가 길이방향으로 길어지는 동시에 입력공(6c)의 후측방에 압력을 제공받는 클램프부(7)가 위치되도록 설치시킴에 따라 인장기(5)의 전측는 길어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최종적으로 인장기의 길이가 길어져 인장기(5) 제품의 크기가 대형화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압력원으로 부터 제공되는 압력이 클램프부(7) 일측 단면 직경에 압력을 제공하여 클램프부(7) 및 로드부(9)를 후방으로 슬라이딩 시키게 되는데, 이때 클램프부(7)의 일측 단면으로만 압력이 제공 받도록 되어 있어 클램프부(7)의 직경과 이를 수납하는 하우징(6)의 직경이 커질 수 밖에 없어 인장기(3) 크기의 대형화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인장기(5)를 운반 및 보관하기 위한 휴대성이 떨어지고 동시에 연직굴착벽체(1)의 작업공간이 협소할 경우 길이가 대형화된 인장기(5)를 설치 및 가설하지 못함으로써, 와이어(3) 인장작업을 위한 인장기(5)의 적응범위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장소가 협소한 공간에서의 인장작업을 위하여 연직굴착벽체(1)에 덧파기 공사를 추가하여야 함에 따라 구조물 보강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직굴착벽체(1)에 설치된 고정앵커 및 와이어(3)에 인장기(5)를 설치하여 이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때 와이어(3)를 고정한 고정앵커(4)와 직접적으로 마찰되는 안내부(8) 및 하우징(6)의 내주연이 교번하중을 받아 외부적인 손상이 쉽게 발생하게 되고, 이를 해결하고자 소모품인 안내부(8)의 부품을 교체시 하우징(6) 일측의 로드수납실(6b)을 통해서만 인장기의 내부 부품을 해체할 수 있어인장기(5)의 조립 및 해체가 어려운 동시에 인장기(5) 내부의 일부 부품만의 교체를 위하여 인장기(5) 내부의 부품을 전부 해체한 후 교체하여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적정량으로 제공되는 압력을 직접 제공받는 로드하우징의 서브실린더실 내주연에 단턱을 다단으로 형성시킴으로서 동일 압력과 비례하는 면적을 다 분할함에 따라 압력을 제공받는 단위 면적은 그대로 유지하는 동시에 압력의 세기는 유지하면서 인장기의 직경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크기를 소형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실린더실 내부에 로드부를 완전 내입시켜 전, 후방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함에 따라 종래의 로드부를 별도로 수납하고 안내하는 로드수납실을 형성시키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입력공의 전방측에 클램프부를 위치시킴으로서 인장기의 전 후방의 길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인장기의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협소한 연직굴착벽체의 구조물 보강 장소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실린더부의 양측에 장착부와 로드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를 각각 나사 체결로 결합시켜 인장기의 조립 및 해체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인장기 내부 부품이 손상되어 이를 교체할 경우 교체시킬 부품의 위치에 따라 장착부와 커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나사 체결된 고정상태를 해제시켜 신속하고 편리하게 손상된 부품의 교체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를 연직굴착벽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를 연직굴착벽체에 설치된 와이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계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은 본 고안의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6a,b,c는 본 고안의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직굴착벽체 2 : 구멍
3 : 와이어 4 : 고정앵커
4a : 결합구 4b : 파지구
5 : 인장기 6 : 하우징
6a : 실린더실 6b : 로드수납실
6c : 입력공 6d :배출공
7 : 클램프부 8 : 안내부
9 : 로드부 10 : 인장기
100 : 실린더부 110 : 메인하우징
111 : 메인 실린더실 112 : 입력공
113 : 배출공 114 : 암나사
115 : 커버 120 : 서브하우징
121 : 슬라이드공 200 : 로드부
210 : 로드하우징 211 : 서브실린더실
212 : 단턱 213 : 압박통로
220 : 압박하우징 221 : 테이퍼공
222 : 걸림턱 223 : 정위치블럭
223a : 내입공 230 : 마감커버
300 : 클램프부 310 : 클램프블럭
311 : 돌기 312 : 받침블럭
313 : 스프링 314 : 고정블럭
400 : 장착부 410 : 장착블럭
411 : 결합공 412 : 숫나사
420 : 밀착블럭 425: 관통공
430 : 안내블럭 440 : 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는 연직굴착벽체의 내부에 천공시켜 내입한 와이어의 양 끝단에 고정앵커를 결합시킨 다음 와이어를 인장하는 인장기에 있어서,
내부에 메인실린더실을 천공시키되 외주연 일측과 타측으로 압력원에서 전달되는 압력을 공급 및 배출하는 입력공과 배출공을 메인실린더실과 연통시킨 메인하우징 중심에는 슬라이드공을 내부에 형성시킨 서브하우징을 부분 내입하여 고정시킨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의 메인실린더실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시킨 로드하우징의 중심에 서브실린더실을 다단으로 천공시키고 로드하우징과 일체로 연동되는 압박하우징을 서브실린더실 내주연과 이격되도록 고정시키되 서브실린더실 내주연에 내입공을 형성시킨 정위치블럭을 결합한 다음 마감커버를 로드하우징 타측에 결합시킨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테이퍼공 내주연에 복수개의 몸체가 한조를 이루어 인장되는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클램핑블럭을 내입시키는 동시에 스프링력에 의해 클램핑블럭을 테이퍼공측에 탄력적으로 압박하는 받침블럭을 클램핑블럭의 후단에 연접시켜 내입공에 내입시킨 클램핑부와, 상기 실린더부의 일측단에 결합공을 형성시킨 장착블럭을 결합시켜 와이어 및 고정앵커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장착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린더부는 메인하우징의 메인실린더실 내부에 로드부를 결합 시 서브하우징의 외주연과 로드하우징의 서브실린더실 내주연 사이에 미세한 틈새인 압력통로가 형성되도록 근접되게 결합하여 입력공을 통하여 입력되는 압력이 로드하우징의 일측단을 가압하는 동시에 압력통로를 통하여 다단의 서브실린더실 각각의 단턱에 압력을 가하여 압력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실린더부는 메인하우징 양측단 내부에 각각 암나사공을 형성시켜 장착블럭의 외주연에 형성시킨 숫나사를 나사체결로 결합하고 메인하우징 타측에 형성시킨 암나사공에는 커버를 결합하여 슬라이딩되는 로드부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나사 체결되는 장착부와 로드부를 통하여 인장기의 해체 및 조립을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클램핑부는 복수개가 한조로 이루어져 로드부의 테이퍼공 내주연과 동일한 각도로 외주연을 테이퍼지도록 형성시키고 내주연에는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시켜 와이어의 외주연에 긴밀하게 고정 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정착부는 정착블럭의 결합공 내주연에 내입시킨 스프링에 의해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압박력을 탄력적으로 제공받는 밀착블럭과 안내블럭을 결합시키되 밀착블럭과 안내블럭의 내주연에는 관통공을 연통되게 형성시켜 와이어 및 와이어 인장력을 유지시키는 고정앵커를 받아들이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를 연직굴착벽체에 설치된 와이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계략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5은 본 고안의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고, 도 6a,b,c는 본 고안의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는 연직굴착벽체(1)의 내부에 천공시켜 내입한 와이어(3)의 양 끝단에 고정앵커(4)를 결합시킨 다음 와이어(3)를 인장하는 인장기(10)에 있어서,
내부에 메인실린더실(111)을 천공시키되 외주연 일측과 타측으로 압력원에서 전달되는 압력을 공급 및 배출하는 입력공(112)과 배출공(113)을 메인실린더실(111)과 연통시킨 메인하우징(110) 중심에는 슬라이드공(121)을 내부에 형성시킨 서브하우징(120)을 부분 내입하여 고정시킨 실린더부(100)와, 상기 실린더부(100)의 메인실린더실(111)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시킨 로드하우징(210)의 중심에 서브실린더실(211)을 다단으로 천공시키고 로드하우징(210)과 일체로 연동되는 압박하우징(220)을 서브실린더실(211) 내주연과 이격되도록 고정시키되 서브실린더실(211) 내주연에 내입공(223a)을 형성시킨 정위치블럭(223)을 결합한 다음 마감커버(230)를 로드하우징(210) 타측에 결합시킨 로드부(200)와, 상기 로드부(200)의 테이퍼공(221) 내주연에 복수개의 몸체가 한조를 이루어 인장되는 와이어(3)를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클램핑블럭(310)을 내입시키는 동시에 스프링력에 의해 클램핑블럭(310)을 테이퍼공(221)측에 탄력적으로 압박하는받침블럭(312)을 클램핑블럭(310)의 후단에 연접시켜 내입공(223a)에 내입시킨 클램핑부(300)와, 상기 실린더부(100)의 일측단에 결합공(411)을 형성시킨 장착블럭(410)을 결합시켜 와이어(3) 및 고정앵커(4)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장착부(400)로 구성한다.
또한, 실린더부(100)는 메인하우징(110)의 메인실린더실(111) 내부에 로드부(200)를 결합 시 서브하우징(120)의 외주연과 로드하우징(210)의 서브실린더실(211) 내주연 사이에 미세한 틈새인 압력통로(122)가 형성되도록 근접되게 결합하여 입력공(112)을 통하여 입력되는 압력이 로드하우징(210)의 일측단을 가압하는 동시에 압력통로(213)를 통하여 다단의 서브실린더실(211) 각각의 단턱(212)에 압력을 가하여 압력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실린더부(100)는 메인하우징(110) 양측단 내부에 각각 암나사공(114)을 형성시켜 장착블럭(410)의 외주연에 형성시킨 숫나사(412)를 나사체결로 결합하고 메인하우징(110) 타측에 형성시킨 암나사공(114)에는 커버(115)를 결합하여 슬라이딩되는 로드부(20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나사 체결되는 장착부(400)와 로드부(200)를 통하여 인장기(10)의 해체 및 조립을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나아가, 클램핑부(300)는 복수개가 한조로 이루어져 로드부(200)의 테이퍼공 (221)내주연과 동일한 각도로 외주연을 테이퍼지도록 형성시키고 내주연에는 다수개의 돌기(311)를 형성시켜 와이어(3)의 외주연에 긴밀하게 고정 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정착부(400)는 정착블럭(410)의 결합공(411) 내주연에 내입시킨 스프링(440)에 의해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압박력을 탄력적으로 제공받는 밀착블럭(420)과 안내블럭(430)을 결합시키되 밀착블럭(420)과 안내블럭(430)의 내주연에는 관통공(425)을 연통되게 형성시켜 와이어(3) 및 와이어(3) 인장력을 유지시키는 고정앵커(4)를 받아들이도록 한다.
더불어, 클램부프(300)는 클램프블럭(310)과 받침블럭(312)을 하나 이상의 복수개로 압박하우징(220)의 테이퍼공(221) 내주연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되 복수개의 받침블럭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킨 고정블럭(314)을 정위치블럭(223)의 내주연에 결합시킨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직굴착벽체(1)에 설치되어 외벽에 노출된 고정앵커(4)와 와이어(3)에 인장기(10)를 설치하되 고정앵커(3)가 메인하우징(110)의 일측단의 걸림턱(미부호)에 걸리도록 결합하는 동시에 외부로 노출시킨 와이어(3)가 슬라이드공(121)을 통하여 클램프부(300)에 관통되도록 인장기(10)를 결합한다.
이때, 장착부(400)의 밀착블럭(420)은 결합되는 고정앵커(4)의 결합구(4a)의 일측단을 스프링(440)의 탄력에 의해 밀착블럭(420)이 후방으로 밀려 나면서 결합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고 복수개로 구획되어 한조를 이루는 결합구(4a)가 각각 밀리면서 비대칭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결합구(4a)와의 충격을 흡수한 스프링(440)은 복원력에 의해 밀착블럭(420)을 원위치로 복원시켜 결합구(4a)가 고정앵커(4)의 테이퍼공 내부로 내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압력원에서 유압 또는 공압을 입력공(112) 측에 제공하면 압력은 로드부(200)의 로드하우징(210) 일측 단면에 압박력을 가하여 압박하우징(220)과 일체로 연동하는 로드하우징(210)을 후방으로 밀어낸다.
여기서, 압력은 로드하우징의 일측단에 압박력을 가하는 동시에 압력통로(213)를 통하여 서브실린더실(211) 내부로 유입되어 로드하우징(210)의 서브실린더실(211) 내주연에 형성시킨 복수개의 단턱(212)에 압박력을 가하면서 실린더부(100)에서 로드부(200)를 후방으로 밀어낸다.
결국, 로드하우징(210)의 서브실린더(211) 내주연에 형성시킨 복수개의 단턱(212)은 동일 압력과 비례하는 면적을 다 분할시킴에 따라 압력을 제공받는 단위면적은 그대로 유지하여 압력의 세기를 기본적으로 유지 받으면서 인장기(10)의 직경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인장기(10)의 크기를 소형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후, 실린더부(100)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로드부(200)는 압박하우징(220)의 테이퍼공(221)에 결합되어 있는 클램프부(300)의 클램핑블럭(310)이 테이퍼공(221)에 내입되면서 복수개로 구획되게 형성되어 한조를 이루는 클램핑블럭(310)이 와이어(3)의 외주연을 긴밀하게 압박하면서 와이어(3)를 로드부(200)의 이동 방향으로 잡아 당겨 와이어(3)를 인장시키는 동시에 스프링(313)의 탄력에 의해 받침블럭(312)이 클램프블럭(310)을 더욱 테이퍼공(221)측에 내입시켜 와이어(3)와 클램프블럭(310)의 고정력을 안정시킨다.
이때, 인장기(10)의 장착부(400)에 결합되어 와이어(3)와 고정되어 있는 고정앵커(4)는 와이어(3)가 인장되면서 결합구(4a)의 테이퍼 구멍에서 복수개의 파지구(4b)가 벌어지면서 고정력이 해제되어 와이어(3)가 길이방향으로 인장될 수 있도록 돕는다.
다음과 같이, 인장기(10)에 의해 와이어(3)를 인장시키고 난 다음에는 입력공(112)에 제공되는 압력을 오프(off)시키는 동시에 배출공(113)측으로 압력을 제공하여 로드부(200)가 실린더부(100)에서 역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이렇게 로드부(200)가 원위치로 슬라이딩하면 클램프블럭(310)을 압박하고 있던 테이퍼공(221)에 결합되었던 클램프블럭(310)이 빠져오면서 압박력이 해제되면서 와이어(3)와 클램프블럭(310)과의 고정력이 서서히 해제된다.
클램프부(300)와 와이어(3)의 고정력이 해제되면 인장되어 늘어났던 와이어(3)는 원상태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에 의해 그 길이가 순각적으로 오므라들면서 고정앵커(4)의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인장기(10)의 일측에 복수개로 이루어져 벌어져있던 고정앵커(4)의 파지구(4b)가 와이어(3)와 연동하여 결합구(4a)의 테이퍼 구멍에 내입되면서 와이어(3)의 외주연을 압박하여 압박연직굴착벽체(1)의 외벽에 와이어를 인장시킨 상태로 긴밀하게 고정시킨다.
이렇게 인장기(10)에 의해 인장된 와이어(3)는 고정앵커(4)에 의해 인장된 인장력을 유지하면서 연직굴착벽체(1)의 강도를 보강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와이어(3)를 인장시키는 인장기(10)를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고정앵커(4)와의 마찰 충격에 의해 장착부(400)의 밀착블럭(420)과 압력에 의한 교번응력을 받는 클램프부(300)의 클램프블럭(310) 및 받침블럭(312) 등의 파손 되게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때에는 교체할 부품의 결합위치에 따라 실린더부(100)에 나사 체결로 고정되는 장착부(400)와 마감커버(230) 및 커버(115)를 선택적으로 해체하여 부품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다.
더불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램프부(300)를 압박하우징(220)의 테이퍼공(221) 내주연에 하나 이상의 복수개로 장착시킴으로서 하나 이상의 와이어(3)로 구조물을 보강하는 고정앵커(4)에서 노출된 와이어(3)를 각각 복수개의 클램프부(300)에 내입시켜 이를 일체로 인장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복수개의 와이어(3)로 보다 강력하게 구조물 및 연직굴착벽체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는 적정량으로 제공되는 압력을 직접 제공받는 로드하우징의 서브실린더실 내주연에 단턱을 다단으로 형성시킴으로서 동일 압력과 비례하는 면적을 다 분할함에 따라 압력을 제공받는 단위면적은 그대로 유지하여 압력의 세기는 유지하면서 인장기의 직경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크기를 소형화 시킬 수 있도록 효과가 있다.
또한, 실린더실 내부에 로드부를 완전 내입시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함에 따라 종래의 로드부를 별도로 수납하고 안내하는 로드수납실을 형성시키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입력공의 전방측에 클램프부를 위치시킴으로서 인장기의 전 후방의 길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인장기의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협소한 연직굴착벽체의 구조물 보강 장소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실린더부의 양측에 장착부와 로드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를 각각 나사 체결로 결합시켜 인장기의 조립 및 해체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인장기 내부 부품이 손상되어 이를 교체할 경우 교체시킬 부품의 위치에 따라 장착부와 커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나사 체결된 고정상태를 해제시켜 신속하고 편리하게 손상된 부품의 교체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연직굴착벽체(1)의 내부에 천공시켜 내입한 와이어(3)의 양 끝단에 고정앵커(4)를 결합시킨 다음 와이어(3)를 인장하는 인장기(10)에 있어서,
    내부에 메인실린더실(111)을 천공시키되 외주연 일측과 타측으로 압력원에서 전달되는 압력을 공급 및 배출하는 입력공(112)과 배출공(113)을 메인실린더실(111)과 연통시킨 메인하우징(110) 중심에는 슬라이드공(121)을 내부에 형성시킨 서브하우징(120)을 부분 내입하여 고정시킨 실린더부(100)와,
    상기 실린더부(100)의 메인실린더실(111)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시킨 로드하우징(210)의 중심에 서브실린더실(211)을 다단으로 천공시키고 로드하우징(210)과 일체로 연동되는 압박하우징(220)을 서브실린더실(211) 내주연과 이격되도록 고정시키되 서브실린더실(211) 내주연에 내입공(223a)을 형성시킨 정위치블럭(223)을 결합한 다음 마감커버(230)를 로드하우징(210) 타측에 결합시킨 로드부(200)와,
    상기 로드부(200)의 테이퍼공(221) 내주연에 복수개의 몸체가 한조를 이루어 인장되는 와이어(3)를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클램핑블럭(310)을 내입시키는 동시에 스프링력에 의해 클램핑블럭(310)을 테이퍼공(221)측에 탄력적으로 압박하는 받침블럭(312)을 클램핑블럭(310)의 후단에 연접시켜 내입공(223a)에 내입시킨 클램핑부(300)와,
    상기 실린더부(100)의 일측단에 결합공(411)을 형성시킨 장착블럭(410)을 결합시켜 와이어(3) 및 고정앵커(4)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장착부(40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100)는 메인하우징(110)의 메인실린더실(111) 내부에 로드부(200)를 결합 시 서브하우징(120)의 외주연과 로드하우징(210)의 서브실린더실(211) 내주연 사이에 미세한 틈새인 압력통로(122)가 형성되도록 근접되게 결합하여 입력공(112)을 통하여 입력되는 압력이 로드하우징(210)의 일측단을 가압하는 동시에 압력통로(213)를 통하여 다단의 서브실린더실(211) 각각의 단턱(212)에 압력을 가하여 압력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100)는 메인하우징(110) 양측단 내부에 각각 암나사공(114)을 형성시켜 장착블럭(410)의 외주연에 형성시킨 숫나사(412)를 나사체결로 결합하고 메인하우징(110) 타측에 형성시킨 암나사공(114)에는 커버(115)를 결합하여 슬라이딩되는 로드부(20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나사 체결되는 장착부(400)와 로드부(200)를 통하여 인장기(10)의 해체 및 조립을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300)는 복수개가 한조로 이루어져 로드부(200)의 테이퍼공(221)내주연과 동일한 각도로 외주연을 테이퍼지도록 형성시키고 내주연에는 다수개의 돌기(311)를 형성시켜 와이어(3)의 외주연에 긴밀하게 고정 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부(400)는 정착블럭(410)의 결합공(411) 내주연에 내입시킨 스프링(440)에 의해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압박력을 탄력적으로 제공받는 밀착블럭(420)과 안내블럭(430)을 결합시키되 밀착블럭(420)과 안내블럭(430)의 내주연에는 관통공(425)을 연통되게 형성시켜 와이어(3) 및 와이어(3) 인장력을 유지시키는 고정앵커(4)를 받아들이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
KR20040005722U 2004-03-03 2004-03-03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 KR2003540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05722U KR200354021Y1 (ko) 2004-03-03 2004-03-03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05722U KR200354021Y1 (ko) 2004-03-03 2004-03-03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021Y1 true KR200354021Y1 (ko) 2004-06-23

Family

ID=39870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05722U KR200354021Y1 (ko) 2004-03-03 2004-03-03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02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708B1 (ko) 2006-08-01 2007-10-17 (주)대영 토목공사용 인장재의 인장실린더
CN110104577A (zh) * 2019-06-13 2019-08-09 温州艾克生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钢丝张紧器
KR102255594B1 (ko) 2020-05-14 2021-06-22 (주)이지종합건축자재 탄소섬유 복합재를 이용한 구조물용 고강화 구조부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구조물 구축방법
CN110104577B (zh) * 2019-06-13 2024-06-07 温州艾克生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钢丝张紧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708B1 (ko) 2006-08-01 2007-10-17 (주)대영 토목공사용 인장재의 인장실린더
WO2008016203A1 (en) * 2006-08-01 2008-02-07 Dae Young Co., Ltd. Tension cylinder for tension steel wire for use in public works
CN110104577A (zh) * 2019-06-13 2019-08-09 温州艾克生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钢丝张紧器
CN110104577B (zh) * 2019-06-13 2024-06-07 温州艾克生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钢丝张紧器
KR102255594B1 (ko) 2020-05-14 2021-06-22 (주)이지종합건축자재 탄소섬유 복합재를 이용한 구조물용 고강화 구조부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구조물 구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248B1 (ko) 앵커장치 및 이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 구조물
KR100814107B1 (ko) 제거식 선단정착 앵커
US20120195681A1 (en) Steel bar connector
KR200354021Y1 (ko)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
KR100913201B1 (ko)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KR100897535B1 (ko) 동시 다중 인장기
KR101023882B1 (ko) 와이어 긴장용 정착실린더 및 이를 이용한 와이어 긴장유지방법
KR100671927B1 (ko) 네일 긴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일네일링공법
KR101929420B1 (ko) 확장형 영구 앵커
JP2007270473A (ja) 合成セグメントと合成セグメントの継手構造
KR101214527B1 (ko) 다용도 강연선 인장잭
KR101367640B1 (ko) 수동인장기 및 정착유닛을 이용한 제거식 소일네일링 공법
KR101003981B1 (ko)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KR101827175B1 (ko) 강선 이음용 커플러
KR101460010B1 (ko) 잔류하중 측정을 위한 일체형 고정기구
KR200354900Y1 (ko) 인장기
KR101645007B1 (ko) 쐐기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쐐기 분리 방법
KR102346694B1 (ko) 네일링장치 및 시공방법
KR102116853B1 (ko) 보수재 주입용 패커
KR102454482B1 (ko) 외부 긴장재 추가 인장형 거더
KR200263955Y1 (ko) 나선형 중공파이프를 이용한 네일링장치
KR100375714B1 (ko) 소일 네일의 철근 설치 구조
KR20200109556A (ko)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CN214461834U (zh) 结构改进的钢筋连接装置
KR101843076B1 (ko) 재인장 커플러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