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900Y1 - 인장기 - Google Patents

인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900Y1
KR200354900Y1 KR20040011241U KR20040011241U KR200354900Y1 KR 200354900 Y1 KR200354900 Y1 KR 200354900Y1 KR 20040011241 U KR20040011241 U KR 20040011241U KR 20040011241 U KR20040011241 U KR 20040011241U KR 200354900 Y1 KR200354900 Y1 KR 2003549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ole
block
pressur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112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원석
Original Assignee
오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원석 filed Critical 오원석
Priority to KR200400112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9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9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9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인장기는 내부에 메인실린더실(111)을 천공시킨 메인하우징(110)의 외주연 일측과 타측에 압력을 제공하는 인장공(112)과 귀환공(113)을 메인하우징(110) 중심에 형성시킨 메인실린더실(111)과 연통시키고 메인하우징(110) 중심에는 서브하우징(120)을 메인실린더실(111) 내주연과 이격되게 결합하여 그 중심에 메인슬라이드공(121)과 가압실린더공(115)을 구획되게 형성시키되 인장공(112)의 측방으로 가압입력공(114)을 가압실린더공(115)과 연통시킨 실린더부(100)와, 상기 실린더부(100)의 메인실린더실(111)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시킨 로드하우징(210)의 중심에 서브실린더실(211)을 다단으로 천공시키고 로드하우징(210)과 일체로 연동되는 연동하우징(220)을 서브실린더실(211) 내주연과 이격되도록 결합시키되 연동하우징(220) 내부 중심에 형성시킨 내입공(221)에 마감커버(240)에 의해 정위치블럭(230)을 결합시킨 로드부(200)와, 상기 연동하우징(220)의 내입공(221) 내주연에 결합되어 로드하우징(210)과 일체로 연동하면서 와이어(1)를 파지하여 적정 길이만큼 인장 및 인장 해제시키는 클램프부(300)와,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개방된 메인실린더실(111)을 패쇄시키고 별도로 압력을 공급받아 구조물에 설치된 결합구(2)의 테이퍼공(2a)에 파지구(3)를 가압하여 내입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클램프부(300)에 의해 인장된 와이어(1)의 인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장력유지부(400)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인장기{lengthen device}
본 고안은 인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물의 내부에 내입시켜 횡강성 및 내하력을 보강하는 다수개의 와이어를 한번에 인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인장기를 소형화하고 인장기 내부의 오일 누수 및 압력 세기에 의한 인장기 내부균열을 방지하도록 하는 인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에 설치되는 양 기둥 간에 가설되는 보 형식인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그 내부에 와이어를 내입시켜 콘크리트 구조물을 연속교 또는 단순보 교량에 설치하는 과정이나 설치한 후의 반복적인 피로하중 및 반복하중 또는 자중에 의하여 발생되는 처짐 현상을 해소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와이어를 내입시킨 다음 와이어를 인장시켜 콘크리트 구조물의 처짐 현상을 해소하였다.
이와 같이 구조물 강도보강용 와이어를 인장하는 인장기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의 일측에 실린더실(23)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로드수납실(24)을 별도로 구획되게 형성시키며 실린더실(23)과 로드수납실(24)에 외부와 연통되는 인장공(21)과 귀환공(22)을 형성한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인장공(21) 및 귀환공(22)으로 부터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실린더실(23)과 로드수납실(24)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일측과 타측 외주연에 각각 로드플랜지(24)를 결합 및 형성시킨 로드하우징(30)과, 상기 로드하우징(30)의 내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정렬되게 연접시켜 로드하우징(30)과 일체로 연동하면서 내부에 내입된 와이어(1)를 파지하여 인장하는 클램프부(50)와, 상기 로드하우징(30)의 일측단에 결합시킨 결합블럭(41)의 외주연에서 내부로 가압입력공(41a)을 천공하고 중앙 내부에 형성된 가압실린더공(41b)과 연통시키되 상기 가압실린더공(41b)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압블럭(42)을 수납시키고 이를 밀착블럭(43)에 의해 가압실린더공(41b)에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되 가압블럭(42)의 전방에는 가압블럭(42)과 연동하는 셋팅블럭(45)을 결합하여 구조물에 와이어(1)를 고정하고 있는 파지구(3)를 결합구(2)의 테이퍼공(2b)에 내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압부(40)로 구성된다
여기서, 클램프부(50)는 복수개의 와이어(1)를 받아들이는 안내공(51a)을 형성시키고 안내공(51a)의 일측으로 와이어(1)에 관통되는 이탈블럭(52)을 돌출되게결합시킨 안내블럭(51)의 후방으로 인장블럭을 결합하되 그 내부에는 테이퍼공(53a)을 형성시켜 선택적으로 내입되는 정착구(55)를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하고 상기 정착구(55)의 타측면에는 스프링(56)을 외주연에 내입시킨 받침블럭(57)을 설치하여 이를 고정블럭(5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장기(10)는 구조물 외부에 노출된 와이어(1)가 결합구(2)의 테이퍼공(2a)을 관통하여 상기 테이퍼공(2a) 내주연에 내입된 다수개가 한 개조를 이루는 파지구(3)에 의해 와이어(1)를 압박한 상태로 고정된다.
이후, 셋팅블럭(45)의 셋팅공(45a)에 와이어(1)를 내입시켜 와이어(1)를 1차로 정렬시킨 다음 클램프부(50)의 고정블럭(54) 내측까지 와이어(1)를 내입하여 와이어(1)의 인장작업을 준비 완료한다.
상기 와이어(1)에 인장기(10)를 장착한 후 상기 인장기(10) 하우징(20)의 인장공(21)을 통하여 압력을 제공하면 로드하우징(30)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된 로드플랜지(31)에 의해 로드하우징(30)이 후방으로 슬라이딩한다. 이때 로드하우징(30)의 내주연에 결합시킨 클램프부(50)는 로드하우징(30)과 연동한다.
클램프부(5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하면 정착구(55)는 인장블럭(53)의 테이퍼공(53a) 내주연으로 내입되면서 상호 테이퍼 각도에 의하여 다수개가 한 조를 이루는 정착구(55)가 와이어(1)의 외주연을 강하게 압박하면서 파지한 후 와이어(1)를 인장하게 된다.
이후, 와이어(1)가 원하는 길이만큼 인장되면 인장공(21)에 제공되는 압력을 차단하는 동시에 가압부(40)의 가압입력공(41a)에 압력을 제공한다.
압력을 제공받은 가압블럭(42)은 가압실린더공(41b)의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셋팅블럭(45)을 연동시켜 구조물에 노출되어 와이어(1)를 고정하고 있는 파지구(3)를 결합구(2)의 테이퍼공(2a) 내부로 가압 하 듯 내입시켜 결합구(2) 및 파지구(3)가 와이어(1)와 긴밀하게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구조물에 내입된 와이어(1)의 인장력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후, 가압부(40)의 가압입력공(41a)에 압력의 공급을 차단시키는 동시에 하우징(20)의 귀환공(22)에 압력을 제공하면 로드하우징(30)의 전방에 체결된 로드플랜지(31)에 압박력이 가해져 로드하우징(3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로드하우징(30)과 연동하는 클램프부(50)는 이탈블럭(52)이 인장블럭(53)의 테이퍼공(53a) 내주연으로 점차 내입되어 테이퍼공(53a) 내주연에 결합된 장착구(55)를 외부로 인출시켜 클램프부(50)에 의해 파지되어 있는 와이어(1)와의 고정력을 해제시킨다.
다음으로 구조물 내부에서 인장된 와이어(1)를 고정시킨 파지구(3)와 결합구(2)에 의하여 인장력을 유지시킨 다음에는 가압블럭(42)을 원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해 가압입력공(41a)측에 압력을 차단하여 결합블럭(41)에 내입되어 가압블럭(42)을 압박하는 스프링(44)의 복원력에 의하여 가압블럭(42)을 가압실린더공(41b) 후방으로 밀어내어 가압블럭(42)을 원위치로 복원시켜 와이어(1)의 인장작업을 완료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장기(10)는 하우징(20)의 내부에 실린더실(23)과 로드수납실(24)을 구획되게 별도로 각각 형성시킴과 동시에 와이어(1)를 파지하고 인장하는 클램프부(50)의 안내블럭(51), 이탈블럭(52), 인장블럭(53)을 수평선상으로 연접되게 정렬시켜 이를 체결수단으로 상호 고정시키는 결합구조로 설치함에 따라 인장기(10)의 길이가 길어져 제품의 크기가 대형화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더불어, 하우징(20)의 인장공(21) 및 귀환공(22)을 통하여 제공되는 압력이 로드하우징(30) 양측에 형성시킨 로드플랜지(31) 전단면 전체를 통하여 제공받도록 되어 있어 로드하우징(30)의 직경과 이를 수납하는 하우징(20)의 직경이 커질 수 밖 에 없어 인장기(10) 크기의 대형화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써, 인장기(10)의 대형화에 따라 인장작업의 어려움은 물론, 인장기(10) 내부에 관통되게 제공되는 와이어(1)의 길이를 크기가 대형인 인장기(10)에 맞추어 길게 설치해야만 하여 와이어(1)의 불필요한 재원 낭비를 부추기는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또한, 도 1의 A부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로드하우징(30)의 반복적인 전,후진 이동에 의해 하우징(20)의 실린더실(23)과 로드수납실(24)을 구획하는 단턱에 일측의 로드플랜지(24)가 반복적으로 마찰에 의한 충격에 의해 로드하우징(30)과 로드플랜지(31)의 결합부분 모서리 부분에 균열이 발생하여 로드하우징(30)이 파손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인장기(10)의 부품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 1의 B부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로드하우징(30)의 타측 외주연과 나사 체결로 결합되는 로드플랜지(31) 사이에 반복적이 이동에 따른 균열이 발생되고 또한, 이 균열에 의해 틈새가 발생되면서 실린더실(23) 내부에 충진된 오일이외부로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동시에 도 1의 C부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40)의 가압실린더공(41b)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가압블럭(42)은 클램프부(50)의 지속적인 가압력에 의하여 가압블럭(42)의 외주연에 결합시킨 오일링(미부호)을 수납하고 있는 홈이 눌려져 함몰됨에 따라 오일이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인장기(10)에서 압력을 제공받아 실린더실(23)와 가압실린더공(41b) 내주연에서 전후로 이동되는 로드하우징(30)과 가압블럭(42)의 마찰면의 강도가 취약하여 인장기(10)의 내부 부품의 파손을 유발시켜 인장기(10)의 잦은 고장과 함께 제품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우징(20)의 인장공(21)을 통하여 압력을 제공한 다음 클램프부(50)에 의해 와이어(1)를 인장 할 때 구조물에 노출된 와이어(1)에 고정된 결합구(2)는 안내블럭(51)의 전면에 위치한 셋팅블럭(45)과 상호 밀착된 상태로 와이어(1)를 인장시키게 된다.
이때, 와이어(1)를 인장하기 전 셋팅블럭(45)과 결합구(2)에 내입된 파지구(3)는 이미 상호 밀착되어 결합구(2)의 테이퍼공(2a)에 완전 내입된 파지구(3)가 와이어(1)를 강하게 압박. 고정되어 있음으로서, 와이어(1)를 인장 시 마치 파지구(3)에서 와이어(1)를 인발 하듯이 인장됨에 따라 파지구(3)의 내주연의 돌기와 와이어(1)의 외주연이 마찰되면서 와이어의 외주연에 심각한 외부적인 손상을 주게 된다.
이로써, 와이어(1)의 인장강도를 떨어뜨려 구조물의 횡강성 및 내하력의 강도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장기(10) 내부의 소모품 등을 교체할 경우 하우징(20) 일측의 로드수납실(24)을 통해서만 인장기(10)의 내부 부품을 해체할 수 있어 인장기(10)의 조립 및 해체가 어려운 동시에 클램프부(50) 각각의 부품이 상호 체결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일일이 해제시켜야 함에 따라 인장기(10) 내부의 일부 부품만의 교체를 위하여 인장기(5) 내부의 부품을 전부 해체한 후 교체하여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여러 가닥의 강선으로 꼬여 형성된 와이어(1)는 인장될 때 꼬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인장되는데 이때, 가압블럭(42)은 와이어(1)의 꼬임에 따른 회전에 의해 연동하여 결합블럭(41)에 내입되어 가압블럭(42)에 밀착된 스프링(44)을 꼬이게 함에 따라 결국, 스프링(44)의 형상을 변형시켜 가압실린더공(41b) 내부에서 가압블럭(42)의 이동성을 제한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로써,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가압블럭(42)은 보다 확실하게 파지구(3)를 결합구(2)의 테이퍼공(2a) 내부에 인입시키지 못하게 됨에 따라 와이어(1)의 인장력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메인하우징의 가압실린더공 내주연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압블럭에 교차돌기를 돌출시키고 상기 가압블럭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블럭에 교차 홈을 형성시켜 상호 엇갈리게 결합되도록 하여 와이어의 인장시 꼬임에 의한 회전력이 발생하여도 가압블럭과 고정블럭의 교차돌기와 교차홈으로 결합에 의해 가압블럭은 회전하지 않으면서 직진성을 향상시키고 가압스프링의 외부적 손상을 방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와이어 인장력 유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인장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메인하우징 내부에 형성시킨 메인실린더실을 구획되게 형성시키지 않아 반복적인 전, 후진에 의해 마찰에 대한 충격 발생 원인을 제거하여 메인하우징 내부에서 압력의 선택적인 제공에 따라 슬라이딩 하면서 이동되는 모든 부품의 외부적인 손상 및 균열을 억제하여 인장기의 잔고장을 최소화하고 오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인장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더불어, 인장기가 내부에 셋팅된 와이어를 인장시키기 위한 동작을 실행할 때 고정앵커의 결합구와 셋팅블럭을 소정의 거리로 유격시켜 줌으로써 와이어 인장시 결합구의 테이퍼공에 내입되어 있는 파지구가 외부로 부분 이탈되도록 하여 구조물측에 결합된 고정앵커와 와이어의 고정력을 해제시켜 와이어가 외부적인 손상없이 인장될 수 있도록 하는 인장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나아가, 적정량으로 제공되는 압력을 직접 제공받는 로드하우징의 서브실린더실 내주연에 단턱을 다단으로 형성시킴으로서 동일 압력과 비례하는 면적을 다분할함에 따라 압력을 제공받는 단위 면적은 그대로 유지하는 동시에 압력의 세기는 유지하면서 인장기의 직경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장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실린더실 내부에 로드부를 완전 내입시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함에 따라 종래의 로드부를 별도로 수납하고 안내하는 로드수납실을 형성시키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입력공의 전방측에 클램프부를 위치시킴으로서 인장기의 전 후방의 길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인장기의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협소한 연직굴착벽체의 구조물 보강 장소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인장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실린더부의 양측에 장착부와 로드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를 각각 나사 체결로 결합시켜 인장기의 조립 및 해체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인장기 내부 부품이 손상되어 이를 교체할 경우 교체시킬 부품의 위치에 따라 장착부와 커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나사 체결된 고정상태를 해제시켜 신속하고 편리하게 손상된 부품의 교체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인장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로드하우징에 커버를 2중 구조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외부에서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메인실린더실 타측 내주연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메인실린더실 내부에 충진 한 오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 할 수 있도록 하는 인장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구조물에 강도보강용 와이어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인장기를 와이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인장기가 와이어를 인장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인장기가 와이어의 인장력을 유지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인장기를 인장된 와이어에서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와이어 2 : 결합구
2a : 테이퍼공 3 : 파지구
10 : 인장기 20 : 하우징
21 : 인장공 22 : 귀환공
23 : 실린더실 24 : 로드수납실
30 : 로드하우징 31 : 로드플랜지
40 : 가압부 41 : 결합블럭
41a: 가압입력공 41b: 가압실린더공
42 : 가압블럭 43 : 밀착블럭
44 : 스프링 45 : 셋팅블럭
45a : 셋팅공 50 : 클램프부
51 : 안내블럭 51a: 안내공
52 : 이탈블럭 53 : 인장블럭
53a: 테이퍼공 54 : 고정블럭
55 : 정착구 56 : 스프링
57 : 받침블럭 100 : 실린더부
110 : 메인하우징 111 : 메인실린더실
112 : 인장공 113 : 귀환공
114 : 가압입력공 115 : 가압실린더공
116 : 커버 116a : 내입턱
116b : 결합턱 116c : 몸
116d : 암나사공 117 : 압력통로
120 : 서브하우징 121 : 메인슬라이드공
200 : 로드부 210 : 로드하우징
211 : 서브실린더실 212 : 단턱
220 : 연동하우징 221 : 내입공
230 : 정위치블럭 240 : 마감커버
300 : 클램프부 310 : 안내블럭
311 : 안내공 312 : 이음수단
320 : 이탈블럭 330 : 인장블럭
331 : 테이퍼공 350 : 고정블럭
360 : 정착구 361 : 클램핑블럭
362 : 받침블럭 363 : 스프링
400 : 인장력유지부 410 : 결합블럭
411 : 서브슬라이드공 412 : 가압스프링
413 : 교차홈 420 : 가압블럭
421 : 교차돌기 430 : 셋팅블럭
431 : 셋팅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인장기는 구조물의 내하력 및 횡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구조물의 내부에 내입시켜 와이어의 양 끝단에 테이퍼공이 형성된 결합구와 상기 테이퍼공에 내입되는 파지구로 고정된 와이어를 인장하는 인장기에 있어서,
내부에 메인실린더실을 천공시킨 메인하우징의 외주연 일측과 타측에 압력을 제공하는 인장공과 귀환공을 메인하우징 중심에 형성시킨 메인실린더실과 연통시키고 메인하우징 중심에는 서브하우징을 메인실린더실 내주연과 이격되게 결합하여 그 중심에 메인슬라이드공과 가압실린더공을 구획되게 형성시키되 메인하우징의 타측에는 커버를 결합하여 개구된 메인실린더실 타측을 밀폐시키고 동시에 인장공의 측방으로 가압입력공을 가압실린더공과 연통시킨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의 메인실린더실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시킨 로드하우징의 중심에 서브실린더실을 다단으로 천공시키고 로드하우징과 일체로 연동되는 연동하우징을 서브실린더실 내주연과 이격되도록 결합시키되 연동하우징 내부 중심에 형성시킨 내입공에 마감커버에 의해 정위치블럭을 결합시킨 로드부와, 상기 연동하우징의 내입공 내주연에 결합되어 로드하우징과 일체로 연동하면서 와이어를 파지하여 적정 길이만큼 인장 및 인장 해제시키는 클램프부와, 상기 메인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어 개방된 메인실린더실을 패쇄시키고 별도로 압력을 공급받아 구조물에 설치된 결합구의 테이퍼공에 파지구를 가압하여 내입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클램프부에 의해 인장된 와이어 인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장력유지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클램프부는 연동하우징의 내입공 내주연에 고정되어 복수개의 와이어를 각기 관통될 수 있도록 내부에 테이퍼공을 형성시킨 인장블럭과, 상기 인장블럭과 일체로 연동되면서 소정간격으로 자체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이음수단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복수개의 와이어가 관통되는 안내공을 형성시킨 안내블럭과, 상기 안내블럭의 안내공 타측에 돌출되게 결합하여 인장블럭과 연동하여 인장블럭의 테이퍼공에 선택적으로 내입되는 이탈블럭과, 상기 인장블럭의 타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동블럭의 내입공 내주연에 고정되는 고정블럭과, 상기 인장블럭의 테이퍼공에 복수개가 한 개조를 이루어 테이퍼공에 내입되는 상태에 따라 와이어를 클램프부에 고정 및 고정해제 하는 클램핑블럭 및 고정블럭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클램핑블럭의 타측면과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받침블럭으로 이루어지는 정착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인장력유지부는 메인하우징의 일측에 결합하여 개방된 메인실린더실을 패쇄 시키되 내부 중심에 형성시킨 서브슬라이드공 내주연에 다수개의 교차홈을 형성시키고 그 측방 둘레에 가압스프링을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시킨 결합블럭과, 상기 결합블럭의 서브슬라이드공 내부에 결합되어 가압스프링에 의해 압박되면서 가압입력공을 통하여 입력되는 압력에 의하여 슬라이딩하면서 일측면에 다수개로 형성시킨 교차돌기가 교차홈에 내입되면서 직진성을 향상시킨 가압블럭과, 상기 가압블럭과 연동하여 구조물에 노출된 와이어를 고정하는 결합구의 테이퍼공에 내입되는 파지구를 가압하여 와이어의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셋팅블럭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실린더부는 메인하우징의 메인실린더실 내부에 로드부를 결합 시 서브하우징의 외주연과 로드하우징의 서브실린더실 내주연 사이에 미세한 틈새인 압력통로가 형성되도록 근접되게 결합하여 인장공을 통하여 입력되는 압력이 로드하우징의 일측단을 가압하는 동시에 압력통로를 통하여 다단의 서브실린더실 단턱에 압력이 분할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하우징의 타측에 결합한 커버는 중심부에 로드하우징이 관통되는 구멍의 외측으로 내입턱과 결합턱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돌출시키되 결합턱과 내입턱 사이에 형성된 홈 내주연에 암나사공을 형성시킴으로서 상기 메인하우징에 커버)를 결합 시 메인하우징의 타측 외주연에 나사 체결로 결합되면서 커버의 홈 내부에 메인하우징의 외주연이 내입되고 동시에 커버의 내입턱이 메인실린더실과 로드하우징의 외주연 사이에 내입되도록 하여 메인하우징에 커버를 2중 구조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인장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인장기를 와이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인장기가 와이어를 인장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인장기가 와이어의 인장력을 유지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인장기를 인장된 와이어에서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인장기는 구조물의 내하력 및 횡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와이어(1)를 의 내부에 내입시켜 와이어(1)의 양 끝단에 테이퍼공(2a)이 형성된 결합구(2)와 상기 테이퍼공(2a)에 내입되는 파지구(3)로 고정된 와이어(1)를 인장하는 인장기(10)에 있어서,
내부에 메인실린더실(111)을 천공시킨 메인하우징(110)의 외주연 일측과 타측에 압력을 제공하는 인장공(112)과 귀환공(113)을 메인하우징(110) 중심에 형성시킨 메인실린더실(111)과 연통시키고 메인하우징(110) 중심에는 서브하우징(120)을 메인실린더실(111) 내주연과 이격되게 결합하여 그 중심에 메인슬라이드공(121)과 가압실린더공(115)을 구획되게 형성시키되 메인하우징(111)의 타측에는 커버(116)를 결합하여 개구된 메인실린더실(111) 타측을 밀폐시키고 동시에 인장공(112)의 측방으로 가압입력공(114)을 가압실린더공(115)과 연통시킨 실린더부(100)와, 상기 실린더부(100)의 메인실린더실(111)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시킨 로드하우징(210)의 중심에 서브실린더실(211)을 다단으로 천공시키고 로드하우징(210)과 일체로 연동되는 연동하우징(220)을 서브실린더실(211) 내주연과 이격되도록 결합시키되 연동하우징(220) 내부 중심에 형성시킨 내입공(221)에 마감커버(240)에 의해 정위치블럭(230)을 결합시킨 로드부(200)와, 상기 연동하우징(220)의 내입공(221) 내주연에 결합되어 로드하우징(210)과 일체로 연동하면서 와이어(1)를 파지하여 적정 길이만큼 인장 및 인장 해제시키는 클램프부(300)와,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개방된 메인실린더실(111)을 패쇄시키고 별도로 압력을 공급받아 구조물에 설치된 결합구(2)의 테이퍼공(2a)에 파지구(3)를 가압하여 내입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클램프부(300)에 의해 인장된 와이어(1)의 인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장력유지부(400)로 구성한다.
또한, 클램프부(300)는 상기 연동하우징(220)의 내입공(221) 내주연에 고정되어 복수개의 와이어(1)를 각기 관통될 수 있도록 내부에 테이퍼공(331)을 형성시킨 인장블럭(330)과, 상기 인장블럭(330)과 일체로 연동되면서 소정간격으로 자체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이음수단(312)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복수개의 와이어(1)가 관통되는 안내공(311)을 형성시킨 안내블럭(310)과, 상기 안내블럭(310)의 안내공(311) 타측에 돌출되게 결합하여 인장블럭(330)과 연동하여 인장블럭(330)의 테이퍼공(331)에 선택적으로 내입되는 이탈블럭(320)과, 상기 인장블럭(330)의 타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동블럭(220)의 내입공(221) 내주연에 고정되는 고정블럭(350)과, 상기 인장블럭(330)의 테이퍼공(331)에 복수개가 한 개조를 이루어 테이퍼공(331)에 내입되는 상태에 따라 와이어(1)를 클램프부(300)에 고정 및 고정해제 하는 클램핑블럭(360) 및 고정블럭(35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클램핑블럭(361)의 타측면과 스프링(363)에 의해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받침블럭(362)으로 이루어지는 정착구(360)로 구성한다.
아울러, 인장력유지부(400)는 메인하우징(110)의 일측에 결합하여 개방된 메인실린더실(111)을 패쇄 시키되 내부 중심에 형성시킨 서브슬라이드공(411) 내주연에 다수개의 교차홈(413)을 형성시키고 그 측방 둘레에 가압스프링(412)을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시킨 결합블럭(410)과, 상기 결합블럭(410)의 서브슬라이드공(411) 내부에 결합되어 가압스프링(412)에 의해 압박되면서 가압입력공(114)을 통하여 입력되는 압력에 의하여 슬라이딩하면서 일측면에 다수개로 형성시킨 교차돌기(421)가 교차홈(413)에 내입되면서 직진성을 향상시킨 가압블럭(420)과, 상기 가압블럭(420)과 연동하여 구조물에 노출된 와이어(1)를 고정하는 결합구(2)의 테이퍼공(2a)에 내입되는 파지구(3)를 가압하여 와이어(1)의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셋팅블럭(430)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실린더부(100)는 메인하우징(110)의 메인실린더실(111) 내부에 로드부(200)를 결합 시 서브하우징(120)의 외주연과 로드하우징(210)의 서브실린더실(211) 내주연 사이에 미세한 틈새인 압력통로(117)가 형성되도록 근접되게 결합하여 인장공(112)을 통하여 입력되는 압력이 로드하우징(210)의 일측단을 가압하는 동시에 압력통로(117)를 통하여 다단의 서브실린더실(211) 단턱(212)에 압력이 분할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타측에 결합한 커버(116)는 중심부에 로드하우징(210)이 관통되는 구멍의 외측으로 내입턱(116a)과 결합턱(116b)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돌출시키되 결합턱(116b)과 내입턱(116a) 사이에 형성된 홈(116c) 내주연에 암나사공(116d)을 형성시킴으로서 상기 메인하우징(110)에 커버(116)를 결합 시 메인하우징(110)의 타측 외주연에 나사 체결로 결합되면서 커버(116)의 홈(116c) 내부에 메인하우징(110)의 외주연이 내입되고 동시에 커버(116)의 내입턱(116a)이 메인실린더실(111)과 로드하우징(210)의 외주연 사이에 내입되도록 하여 메인하우징(110)에 커버(116)를 2중 구조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인장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하력 및 횡강성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구조물 내부에 관통되어 그 구조물의 양측에 노출된 와이어(1)의 양측이 결합구(2) 및 파지구(3)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면 노출된 와이어(1)를 셋팅블럭(430)의 셋팅공(431)에 내입시켜 와이어(1)를 1차로 정렬시킨다.
이후, 인장기(10)의 결합블럭(410) 내주연에 셋팅블럭(430)이 위치되도록 하면서 노출된 와이어(1)가 클램프부(300)를 관통하여 정착구(360)의 받침블럭(362) 내주연까지 관통되도록 결합하여 와이어(1)의 인장작업을 위한 인장기(10) 장착을 준비 완료한다.
상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의 압력공급원에서 제공되는 압력을 인장공(112)에 입력하면 로드부(200)의 로드하우징(210) 일측 단면에 압박력을 가해져 압박하우징(220)과 일체로 연동하는 로드하우징(210)을 후방으로 밀어낸다.
여기서, 압력은 로드하우징(210)의 일측단에 압박력을 가하는 동시에 압력통로(117)를 통하여 서브실린더실(211) 내부로 유입되어 로드하우징(210)의 서브실린더실(211) 내주연에 형성시킨 복수개의 단턱(212)에 압박력을 가하면서 실린더부(100)에서 로드부(200)를 후방으로 밀어낸다.
이와 같이 로드하우징(210)의 서브실린더(211) 내주연에 형성시킨 복수개의 단턱(212)은 동일 압력과 비례하는 면적으로 다 분할되어 있어 압력을 제공받는 단위면적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공되는 압력의 세기를 감쇄 없이 제공 받음으로써, 압력을 제공받는 단위면적의 분할에 따른 인장기(10)의 직경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인장기(10)의 크기를 소형화 시킬 수 있다.
여기서 메인하우징(110)의 후방으로 이동하는 로드하우징(210)에 의하여 클램프부(300)를 연동시켜 다수개가 한 조를 이루는 클램핑블럭(361)이 인장블럭(330)의 테이퍼공(331) 측에 내입되어 압박되면서 와이어(1)의 외주연을 조여 긴밀하게 파지하는 동시에 클램프부(300)와 연동하는 로드부(200)가 후방으로이동하여 와이어(1)를 인장하게 된다.
이때, 구조물 쪽에 결합된 결합구(2)와 파지구(3)는 인장력유지부(400)의 결합블럭(410)에 의해 셋팅블럭(430)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어 와이어(1)의 인장에 따른 후방이동에 의해 결합구(2)의 테이퍼공(2a)에 내입되어 있던 파지구(3)는 소정의 간격만큼 외부로 인출되면서 와이어(1)와의 고정력이 해제됨으로써, 종래기술에 따른 파지구(3)와 고정력이 해제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와이어(1)를 인발하듯 잡아당겨 와이어(1) 외주연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결합구(2)와 파지구(3)에 의해 고정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와이어(1)를 인장하기 때문에 와이어(1)의 외주연에 손상을 주지 않고 인장 할 수 있다.
이후,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와이어(1)를 원하는 길이만큼 인장하면 인장공(112)에 제공되는 압력을 차단하여 와이어(1)의 인장을 중지시키는 동시에 인장력유지부(400)에 의해 와이어(1)의 인장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메인하우징(110)의 가압입력공(114)에 압력을 공급한다.
상기 가압입력공(114)을 통하여 제공된 압력이 가압실린더공(115)에 충진되면 인장력유지부(400)의 가압블럭(420)은 가압스프링(412)을 압착하면서 전방으로 전진하여 셋팅블럭(430)이 구조물 측의 와이어(1)에 결합된 파지구(3)를 결합구(2)의 테이퍼공(2a) 내주연에 가압하듯 내입시켜 파지구(3)가 와이어(1)의 외주연을 압박하여 구조물의 일측단에 밀착된 결합구(2)와 파지구(3)에 의해 인장력이 풀리지 않는 상태로 고정되어 구조물의 내하력 및 횡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셋팅블럭(430)을 전진시키는 가압블럭(420)은 결합블럭(410)의 서브슬라이드공(411) 내주연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시킨 교차홈(413)을 따라 가압블럭(420)의 교차돌기(421)가 전진하면서 안내되어 직진성을 보장 받음으로서, 하나 이상의 강선을 꼬아 형성시킨 와이어(1)를 인장 할 때에도 강선의 꼬임 방향에 의해 와이어(1)가 회전되면서 인장되어도 교차홈(413)과 교차돌기(421)에 의해 가압블럭(420)은 직진성이 유지되면서 이동하여 가압블럭(420)에 장착된 오일링(미부호) 및 가압스프링(412)의 외부적 손상 및 형태 변화를 주지 않음으로서, 부품의 균열, 손상 및 오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조물에 인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와이어(1)에 인장기(10)를 분리시키는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가압블럭(420)의 가압입력공(114)에 제공된 압력을 차단하여 가압스프링(412)의 탄성에 의해 가압블럭(420)을 원위치로 복원시키고 메인하우징(110)의 귀환공(113)에 압력을 제공하여 메인하우징(110)과 인장력유지부(400)를 후방으로 동시에 이동시킨다.
여기서, 정착구(360)에 의해 클램프부(300)와 로드부(200)는 와이어(1)와 일체로 고정된 상태이므로 귀환공(113)에 제공된 압력에 의해 메인하우징(110)과 인장력유지부(400)는 일체로 후방으로 이동하여 인장력유지부(400)의 가압블럭(420) 내주연이 클램프부(300)의 안내블럭(310)에 밀착되는 순간 상기 안내블럭(310)은 이탈블럭(320)을 인장블럭(330)의 테이퍼공(331) 내주연에 완전 내입시켜 클램핑블럭(361)을 인장블럭(330)의 테이퍼공(331)에서 부분 이탈 시킨다.
이렇게 인장블럭(330)의 테이퍼공(331)에서 이탈되는 클램핑블럭(361)은 다수개가 한 개조로 조합되어 외주연 타측에 결합시킨 탄성력을 갖는 링(미부호)에 의해 클램핑블럭(361)의 일측이 확개 되면서 와이어(1)와의 고정력이 해제된다.
여기서, 스프링(363)을 외주연에 내입하여 고정블럭(35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받침블럭(362)은 스프링(363)의 탄력에 의하여 클램핑블럭(361)과 항상 밀착되도록 하여 인장블럭(330)의 테이퍼공(331)에서 완전이탈 되지 않도록 한다.
이후, 클램핑블럭(361)과 와이어(1)의 고정력이 해제됨에 따라 와이어(1)에서 인장기(10)를 분리하는 것으로 와이어(1)의 인장작업을 완료한다.
이러한 인장기(10)는 인장공(112), 귀환공(113), 가압입력공(114)을 통하여 압력을 제공받아 실린더부(100)에서 로드부(200), 클램프부(300), 인장력유지부(400)가 장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왕복 이동하여도 로드부(200), 클램프부(300) 및 인장력유지부(400)의 상호 결합을 실린더부(100)의 메인하우징(110) 내부에 다단의 수납방식으로 상호 결합시킴으로서 내부의 부품이 이동에 따른 충격력을 골고루 나누어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부품에 지속적인 반복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부품의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인장기(10)는 내부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부품의 교체를 요할 때 나사 체결된 실린더부(100)의 커버(116), 로드부(200)의 마감커버(240) 및 인장력유지부(400)의 결합블럭(410)을 통하여 쉽게 내부 부품의 분해 조립이 가능하고 더불어 교체할 부품의 장착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해제하여 부품의 신속하고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메인하우징(110)에 결합되는 커버(116)는 메인하우징(110)과 2중 구조로 결합됨에 따라 외부에서 압력을 제공 할 때 메인실린더실(111) 타측 내주연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오일의 누수를 억제하고 보다 확실하게 압력이 외부로 누출 없이 메인실린더실(111) 내부에 충진 될 수 있도록 하여 압력에 의해 슬라이딩하는 로드부(200)의 이동에 따른 힘의 세기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인장기는 메인하우징의 가압실린더공 내주연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압블럭에 교차돌기를 돌출시키고 상기 가압블럭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블럭에 교차홈을 형성시켜 상호 엇갈리게 결합되도록 하여 와이어의 인장시 꼬임에 의한 회전력이 발생하여도 가압블럭과 고정블럭의 교차돌기와 교차홈으로 결합에 의해 가압블럭은 회전하지 않으면서 직진성을 향상시키고 가압스프링의 외부적 손상을 방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와이어 인장력 유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인하우징 내부에 형성시킨 메인실린더실을 구획되게 형성시키지 않아 반복적인 전, 후진에 의해 마찰에 대한 충격 발생 원인을 제거하여 메인하우징 내부에서 압력의 선택적인 제공에 따라 슬라이딩 하면서 이동되는 모든 부품의 외부적인 손상 및 균열을 억제하여 인장기의 잔고장을 최소화하고 오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인장기가 내부에 셋팅 된 와이어를 인장시키기 위한 동작을 실행할 때 고정앵커의 결합구와 셋팅블럭을 소정의 거리로 유격시켜 줌으로써 와이어 인장시 결합구의 테이퍼공에 내입되어 있는 파지구가 외부로 부분 이탈되도록 하여 구조물측에 결합된 고정앵커와 와이어의 고정력을 해제시켜 와이어가 외부적인 손상없이 인장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적정량으로 제공되는 압력을 직접 제공받는 로드하우징의 서브실린더실 내주연에 단턱을 다단으로 형성시킴으로서 동일 압력과 비례하는 면적을 다분할함에 따라 압력을 제공받는 단위 면적은 그대로 유지하는 동시에 압력의 세기는 유지하면서 인장기의 직경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실린더실 내부에 로드부를 완전 내입시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함에 따라 종래의 로드부를 별도로 수납하고 안내하는 로드수납실을 형성시키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입력공의 전방측에 클램프부를 위치시킴으로서 인장기의 전후방의 길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인장기의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협소한 연직굴착벽체의 구조물 보강 장소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실린더부의 양측에 장착부와 로드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를 각각 나사 체결로 결합시켜 인장기의 조립 및 해체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인장기 내부 부품이 손상되어 이를 교체할 경우 교체시킬 부품의 위치에 따라 장착부와 커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나사 체결된 고정상태를 해제시켜 신속하고 편리하게 손상된 부품의 교체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로드하우징에 커버를 2중 구조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외부에서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메인실린더실 타측 내주연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메인실린더실 내부에 충진된 오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구조물의 내하력 및 횡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와이어(1)를의 내부에 내입시켜 와이어(1)의 양 끝단에 테이퍼공(2a)이 형성된 결합구(2)와 상기 테이퍼공(2a)에 내입되는 파지구(3)로 고정된 와이어(1)를 인장하는 인장기(10)에 있어서,
    내부에 메인실린더실(111)을 천공시킨 메인하우징(110)의 외주연 일측과 타측에 압력을 제공하는 인장공(112)과 귀환공(113)을 메인하우징(110) 중심에 형성시킨 메인실린더실(111)과 연통시키고 메인하우징(110) 중심에는 서브하우징(120)을 메인실린더실(111) 내주연과 이격되게 결합하여 그 중심에 메인슬라이드공(121)과 가압실린더공(115)을 구획되게 형성시키되 메인하우징(111)의 타측에는 커버(116)를 결합하여 개구된 메인실린더실(111) 타측을 밀폐시키고 동시에 인장공(112)의 측방으로 가압입력공(114)을 가압실린더공(115)과 연통시킨 실린더부(100)와,
    상기 실린더부(100)의 메인실린더실(111)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시킨 로드하우징(210)의 중심에 서브실린더실(211)을 다단으로 천공시키고 로드하우징(210)과 일체로 연동되는 연동하우징(220)을 서브실린더실(211) 내주연과 이격되도록 결합시키되 연동하우징(220) 내부 중심에 형성시킨 내입공(221)에 마감커버(240)에 의해 정위치블럭(230)을 결합시킨 로드부(200)와,
    상기 연동하우징(220)의 내입공(221) 내주연에 결합되어 로드하우징(210)과일체로 연동하면서 와이어(1)를 파지하여 적정 길이만큼 인장 및 인장 해제시키는 클램프부(300)와,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개방된 메인실린더실(111)을 패쇄시키고 별도로 압력을 공급받아 구조물에 설치된 결합구(2)의 테이퍼공(2a)에 파지구(3)를 가압하여 내입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클램프부(300)에 의해 인장된 와이어(1)의 인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장력유지부(40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300)는,
    상기 연동하우징(220)의 내입공(221) 내주연에 고정되어 복수개의 와이어(1)를 각기 관통될 수 있도록 내부에 테이퍼공(331)을 형성시킨 인장블럭(330)과,
    상기 인장블럭(330)과 일체로 연동되면서 소정간격으로 자체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이음수단(312)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복수개의 와이어(1)가 관통되는 안내공(311)을 형성시킨 안내블럭(310)과,
    상기 안내블럭(310)의 안내공(311) 타측에 돌출되게 결합하여 인장블럭(330)과 연동하여 인장블럭(330)의 테이퍼공(331)에 선택적으로 내입되는 이탈블럭(320)과,
    상기 인장블럭(330)의 타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동블럭(220)의 내입공(221) 내주연에 고정되는 고정블럭(350)과,
    상기 인장블럭(330)의 테이퍼공(331)에 복수개가 한 개조를 이루어 테이퍼공(331)에 내입되는 상태에 따라 와이어(1)를 클램프부(300)에 고정 및 고정해제하는 클램핑블럭(360) 및 고정블럭(35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클램핑블럭(361)의 타측면과 스프링(363)에 의해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받침블럭(362)으로 일워지는 정착구(36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유지부(400)는,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일측에 결합하여 개방된 메인실린더실(111)을 패쇄시키되 내부 중심에 형성시킨 서브슬라이드공(411) 내주연에 다수개의 교차홈(413)을 형성시키고 그 측방 둘레에 가압스프링(412)을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시킨 결합블럭(410)과,
    상기 결합블럭(410)의 서브슬라이드공(411) 내부에 결합되어 가압스프링(412)에 의해 압박되면서 가압입력공(114)을 통하여 입력되는 압력에 의하여 슬라이딩하면서 일측면에 다수개로 형성시킨 교차돌기(421)가 교차홈(413)에 내입되면서 직진성을 향상시킨 가압블럭(420)과,
    상기 가압블럭(420)과 연동하여 구조물에 노출된 와이어(1)를 고정하는 결합구(2)의 테이퍼공(2a)에 내입되는 파지구(3)를 가압하여 와이어(1)의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셋팅블럭(43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실린더부(100)는 메인하우징(110)의 메인실린더실(111) 내부에 로드부(200)를 결합 시 서브하우징(120)의 외주연과 로드하우징(210)의 서브실린더실(211) 내주연 사이에 미세한 틈새인 압력통로(117)가 형성되도록 근접되게 결합하여 인장공(112)을 통하여 입력되는 압력이 로드하우징(210)의 일측단을 가압하는 동시에 압력통로(117)를 통하여 다단의 서브실린더실(211) 단턱(212)에 압력이 분할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타측에 결합한 커버(116)는 중심부에 로드하우징(210)이 관통되는 구멍의 외측으로 내입턱(116a)과 결합턱(116b)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돌출시키되 결합턱(116b)과 내입턱(116a) 사이에 형성된 홈(116c) 내주연에 암나사공(116d)을 형성시킴으로서 상기 메인하우징(110)에 커버(116)를 결합 시 메인하우징(110)의 타측 외주연에 나사 체결로 결합되면서 커버(116)의 홈(116c) 내부에 메인하우징(110)의 외주연이 내입되고 동시에 커버(116)의 내입턱(116a)이 메인실린더실(111)과 로드하우징(210)의 외주연 사이에 내입되도록 하여 메인하우징(110)에 커버(116)를 2중 구조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기.
KR20040011241U 2004-04-19 2004-04-19 인장기 KR2003549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11241U KR200354900Y1 (ko) 2004-04-19 2004-04-19 인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11241U KR200354900Y1 (ko) 2004-04-19 2004-04-19 인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900Y1 true KR200354900Y1 (ko) 2004-06-30

Family

ID=40282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11241U KR200354900Y1 (ko) 2004-04-19 2004-04-19 인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90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8686A1 (en) * 2007-03-22 2008-10-02 Actuant Corporation Hydraulic post tensioning jack
KR100897535B1 (ko) 2007-06-26 2009-05-14 (주)한국피씨 동시 다중 인장기
KR100912768B1 (ko) 2009-04-28 2009-08-18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와이어 인장기
KR101352212B1 (ko) * 2012-04-26 2014-01-15 강영도 원터치식 재인장 정착구의 유압식 인장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8686A1 (en) * 2007-03-22 2008-10-02 Actuant Corporation Hydraulic post tensioning jack
KR100897535B1 (ko) 2007-06-26 2009-05-14 (주)한국피씨 동시 다중 인장기
KR100912768B1 (ko) 2009-04-28 2009-08-18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와이어 인장기
KR101352212B1 (ko) * 2012-04-26 2014-01-15 강영도 원터치식 재인장 정착구의 유압식 인장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160284U1 (ru) При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длинномерных изделий,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кабеля, и ключ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его работы
KR20160004399A (ko) 케이블 앵커리지를 위한 개별의 실 구성
KR101852082B1 (ko) 재긴장용 정착 장치
KR200354900Y1 (ko) 인장기
CN102439230B (zh) 线张紧装置
KR101023882B1 (ko) 와이어 긴장용 정착실린더 및 이를 이용한 와이어 긴장유지방법
RU2373396C1 (ru) Канатный анкер
KR101588860B1 (ko)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
CN210461540U (zh) 一种钢丝绳用夹紧器
KR20200076490A (ko) 순차 인서트 조립방식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
KR20110111905A (ko) 사재 케이블의 새들 출구부 구조
KR101645007B1 (ko) 쐐기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쐐기 분리 방법
CN211200743U (zh) 钢结构框架的连接锁止结构
CN110976963A (zh) 一种钢结构制作型钢打孔加工机械
CN216973155U (zh) 一种等应力液压加持装置
KR200410592Y1 (ko) 사면보강용 앵커부재
KR102116853B1 (ko) 보수재 주입용 패커
KR200354021Y1 (ko)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
KR101460010B1 (ko) 잔류하중 측정을 위한 일체형 고정기구
CN112709447B (zh) 一种预应力筋张拉设备
CN111577832A (zh) 一种基于绳具拉紧和锁止的捆绑式堵漏工具及方法
KR10174278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구조물 및 상기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214174B1 (ko) 강연선 재-인장용 앵커헤드유닛 및 이를 이용한 강연선의 재-인장방법
KR100739879B1 (ko)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용 디바이스
KR200322320Y1 (ko)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정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