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399A - 케이블 앵커리지를 위한 개별의 실 구성 - Google Patents

케이블 앵커리지를 위한 개별의 실 구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399A
KR20160004399A KR1020157036070A KR20157036070A KR20160004399A KR 20160004399 A KR20160004399 A KR 20160004399A KR 1020157036070 A KR1020157036070 A KR 1020157036070A KR 20157036070 A KR20157036070 A KR 20157036070A KR 20160004399 A KR20160004399 A KR 20160004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eal element
strand
cable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6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9069B1 (ko
Inventor
라시드 아난
아드리안 그네기
Original Assignee
파우에스엘 인터나치오날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우에스엘 인터나치오날 아게 filed Critical 파우에스엘 인터나치오날 아게
Publication of KR20160004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04C5/122Anchoring devices the tensile members are anchored by wedge-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케이블 앵커리지는 축 방향의 장력에 대항하여, 케이블, 예컨대 복수의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인장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설계되며, 각 스트랜드(50)는 수증기 침투에 대항하여 앵커리지의 개별 채널(60)에 개별적으로 봉인되며, 각 스트랜드는 개별적으로 제거 및 교체될 수 있다. 조임 탄성 환형 실(26)은 채널에서 리세스(27) 안에 끼워진다. 환형 실(27)은 앵커리지의 앵커 블록 단부(1)로부터 삽입된다.

Description

케이블 앵커리지를 위한 개별의 실 구성{Individual Seal Arrangement for Cable Anchorage}
본 발명은, 예컨대 와어이, 로프, 스트랜드, 건, 지주들 또는 케이블과 같은 장력을 받도록 설계된 세로방향의 구조적 요소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케이블 앵커리지(cable anchorage)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앵커리지에서 개별의 케이블 스트랜드를 위한 개별의 실(sealing) 구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을 설명하기 위해서, 캐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출원을 참조할 것이다. 하지만, 이 출원이 명세서를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초 원리는 와이어, 로프, 스트랜드, 건, 지주들, 또는 케이블 등과 같은 장력을 받도록 구성된 어떤 종류의 세로방향의 구조적 요소들에 적용될 수 있다.
인장 케이블은 교량 상판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예컨대 통상적으로 교량의 타워에 고정된 상부 앵커리지 및 교량 상판에 고정된 하부 앵커리지 사이에서 장력으로 고정된다. 인장 케이블은 수 십개의 스트랜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스트랜드는 복수의 (예컨대, 7개의) 철 와이어를 포함한다. 각 스트랜드는 통상적으로 각 앵커리지에 보유되며, 앵커리지는 예컨대 앵커 블록에서 원뿔 구멍에 안착된 테이퍼된 원뿔형 쐐기를 사용하여 스트랜드를 고정할 수 있다. 스트랜드의 텐셔닝(Tensioning)은 유압 잭을 사용하여 케이블의 한쪽 단부로부터 다른쪽 단부로 수행될 수 있다. 각 스트랜드의 상태는 통상적으로 어떤 부식 또는 기계적 손상을 탐지하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검사된다. 만약 상기 손상이 특정한 스트랜드에서 발견된다면, 상기 스트랜드는 장력이 해제되고, 케이블로부터 제거되고, 새로운 스트랜드로 교체되며, 새로운 스트랜드에 장력을 가할 것이다. 만약 상기 교체 작업이 수행되는 경우, 새로운 스트랜드가 수증기의 침투에 대항하여 밀봉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큰 주의를 기울여야만 한다.
동일 출원인의 유럽특허 EP1227200B1는 다른 스트랜드의 실에 영향을 주지 않고 개별의 스트랜드를 교체하고 다시 밀봉할 수 있도록 각 스트랜드를 위한 개별의 실 구성을 개시한다. 제안된 앵커리지는 개별의 실 링들을 사용하며, 각 실 링은 앵커리지가 제조될 때, 테이퍼된 실 링과 함께 떨어져 조립된 두 개의 조임 관형 요소 사이에서 제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앵커리지를 통하여 스트랜드가 교체되는 경우, 오래된 스트랜드를 제거하고 새로운 스트랜드를 삽입할 때 실의 완전성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텐셔닝 후, 케이블의 노출된 단부는 앵커리지 안에서 스트랜드를 감싸는 구멍에 그리스, 왁스 또는 젤을 삽입함으로써 보호될 수 있다. 두개의 조임 관형 요소는 스트랜드를 교체할 때 두 개의 관형부가 서로에 대하여 변형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배열되어야만 하며, 그렇게 배열됨으로써 수증기의 침투를 가능하게 하는 누수가 고정된 실 요소를 피하게 한다. 상기 선행기술에서 스트랜드는 EP 12227200의 도 1에 도시된 환형 실 요소(7)에 손상을 주지 않고 쉽게 교체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의 앵커리지의 상기 및/또는 다른 단점들을 극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랜드 및 실 요소 모두가 간단한 방법으로 교체될 수 있는 앵커리지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앵커리지는 케이블의 스트랜드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축방향의 채널을 포함한다. 스트랜드는 케이블을 함께 형성하는 임의의 세로방향의 인장 요소일 수 있다. 채널은 케이블의 가동부 근위의 제1 채널 단부 및 케이블의 가동부의 원위의 제2 채널 단부 사이의 케이블 앵커리지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하며 스트랜드-고정 장치와 함께 장착된다. 탄성물질을 포함하는 실 요소는 스트랜드가 채널 안으로 삽입되기 전에 채널의 내부 벽의 기결정된 축방향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실 요소는 스트랜드가 채널에 있을 때 채널의 내부 벽 및 스트랜드 사이의 실을 제공한다. 실 요소 및 채널의 제2 채널 단부는 실 요소가 제2 채널 단부를 통하여 채널 안으로 도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게다가, 실 요소 및 채널의 내부 벽은 실 요소가 제2 채널 단부로부터 기결정된 축방향의 위치까지 채널 안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서, 채널의 내부 벽은 채널에서 스트랜드의 축방향의 이동 동안에 기결정된 축방향의 위치에서 실 요소를 보유하기 위해서 실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과 세로방향으로 동축인, 환형 또는 원통형 오목한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실 요소는 압축된 상태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며, 상기 압축된 상태는 상기 제2 채널 단부 및 상기 실 사이의 채널의 내부 벽의 모든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반경방향의 외부 직경을 구비하며, 실 요소는 오목한 지역에서 분리 가능하게 배열된다.
본 발명의 따른 방법에서, 제1 단계에서 실 요소는 실 요소는 채널 단부를 통하여 채널 안으로 도입되며, 제2 단계에서 실 요소는 상기 채널 단부로부터 기결정된 축방향의 위치까지 채널 안으로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앵커 블록에서 스트랜드의 자유 단부에 위치된 케이블 앵커리지의 경우, 앵커 블록에서 실 요소의 도입을 위한 상기 채널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케이블의 가동부로부터 원위의 상기 제2 채널 단부이다. 스트랜드의 중간부에 위치된 케이블 앵커리지의 경우, 새들(saddle)과 함께, 실 요소의 도입을 위한 상기 채널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케이블의 가동부 근위의 상기 제1 채널 단부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삽입 도구 및 제거 도구가 앵커리지의 채널 안팎으의 실 요소의 삽입 및 제거를 위해 제공된다. 사실상, 삽입 도구 및 제거 도구는 두 기능들이 동일한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삽입 및 제거 장치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도구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실 요소의 초기 이동을 위해 준비된 채널을 위로부터 실 요소의 기결정된 축방향의 위치에 접근함으로써, 실 맞춤의 관형부의 분리할 필요 없이 또는 심지어 실 요소의 위치에서 관형부 사이의 조인트를 제공할 필요없이 실 요소를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케이블 앵커리지에서 실의 제1 설치 동안에 실이 케이블 앵커리지의 원위 단부로부터 위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유리하게는, 이것은 스트랜드가 교체될 때 실 요소를 교체하는 것을 허용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새로운 스트랜드를 위한 실의 완전성을 크게 향상시키면서, 스트랜드의 교체하는 과정의 속도를 향상시킨다. 실은 스트랜드를 교체하는 시간에 교체될 수 있기 때문에, 실이 교체되지 않은 경우 필요되게 될 실의 효과의 테스트 및/또는 감시를 제거 또는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폴리우레탄과 같은 경질, 탄성물질의 사용은 실 요소가 채널에서 기결정된 축방향의 위치에서 제 위치에 있을 때 실질적으로 비변형된 또는 완화된 형성을 빠르고 신뢰성 있게 다시 얻는 것을 보장한다. 실 요소 및 앵커리지 채널의 상대적인 치수는 각 실 요소가, 접근이 채널의 근위 단부에서 보다 상당히 쉬운, 케이블의 가동부에서 먼 채널의 원위 단부를 통하여 케이블의 가동부 쪽으로 삽입될 수 있는 것과 같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음.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케이블 앵커리지에 고정된 케이블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케이블 앵커리지의 전방 단면도의 예를 개략적인 형태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앵커리지 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의 확대된 부분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실 요소(sealing element)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리지의 채널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앵커리지 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의 확대된 부분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 도구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의 삽입 도구의 절단된 등축도이다.
도 11은 도 9 및 10에 도시된 삽입 도구의 일부를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제2 앵커리지 예의 단면도 및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삽입 도구의 작업을 도시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변형에 따른 제거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실 제거 도구의 예를 도시한다.
도면들은 도시적인 목적을 위해서만 제공됨을 명심해야 한다. 도면들은 본 발명의 근본적인 원리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도면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다른 도면들에서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으며, 이것은 동일 또는 상응하는 특징들을 언급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다른 도면부호들의 사용이 도면부호들이 가리키는 특징들 사이에 어떤 특별한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필수적으로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사용중인 케이블 앵커리지의 일반적인 개략 단면도를 도시한다. 복수의 스트랜드(strand)(50)는 앵커 블록(11)에 축방향의 채널(6)을 통하여 끼워지며 예컨대 원뿔형 쐐기(12)에 의해서 제 위치에 고정된다. 앵커 블록(11)은 케이블에 의해서 지지되거나 장력을 받는 구조(4)(예컨대, 교량 상판의 일부)에 고정된다. 케이블의 다양한 스트랜드(50)는 칼라 요소(13)에 의해서 스트랜드가 나아가는 방향으로부터 케이블의 주요 가동부(8)까지 함께 모여진 것으로 도시된다. 도면부호 7은 케이블 및 앵커리지의 중심 세로축(7)을 가리킨다. 도면부호 3은, 가동부(8)의 근위의, 앵커리지의 출구 단부로서 제1 단부를 가리키는 반면, 도면부호 1은, 케이블의 가동부(8)로부터 원위의, 앵커리지의 제2 단부를 가리킨다.
도 2는, 근위 단부(3)로부터 바라본, 스트랜드(50)를 생략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앵커리지의 전면도를 도시한다. 특히, 도 2는 앵커리지가 사용 중일 때 스트랜드(50)가 통과하는 채널(6)의 배열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비록 구성 및 채널(6)과 스트랜드(50)의 수가 다르게 사용될 수 있지만, 도 2에서는 43개의 스트랜드 채널(6)이 도시된다. 스트랜드(50)는 앵커리지의 길이를 통하여 연장하는 원통형 채널(6)에 수용되며 앵커리지에서 가능한 서로 가깝게 유지되어서, 케이블 또는 앵커리지의 중심 세로축(7)으로부터 각 스트랜드(50)의 임의의 편차 정도를 최소화한다.
도 3 및 도 4는, "데드 단부(dead end)" 앵커리지로 알려진, "수동 단부(passive end)" 앵커리지의 예를 도시한다. 스트랜드가 장력하에 있을 때, 또한 스트랜드가 (통상적으로 스트레싱 단부(stressing end)로 알려진) 케이블의 다른 단부로부터 당겨지는 동안, 이러한 앵커리지는 단순히 스트랜드(50)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스트레싱 단부 앵커리지는 도 7, 8 및 12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수동 단부 앵커리지는 앵커 블록(11)을 통하여 형성된 채널(6)을 포함하며, 앵커 블록(11)은 예컨대 케이블에서 큰 축방향의 장력을 견디기에 적합한 경강(hard steel) 블록 또는 다른 물질일 수 있다. 스트랜드(50)는 원뿔형 쐐기(12)와 같은 고정 장치에 의해서 채널(6)에 제 위치에 고정된다. 각 채널(6)은, (근위 단부 또는 제1 단부로도 언급되는) 채널의 출구 단부(3) 근처 또는 출구 단부(3)에 위치된, 오리피스 요소(18)를 구비할 수 있으며, 스트랜드(50)는 앵커리지로부터 나온다. 오리피스 요소(18)는 강한 플라스틱 물질, 예컨대 채널(6)의 내부 벽 (상기 경우, 오리피스 요소(18)의 내부 벽) 및 스트랜드(50)의 외부 표면 사이에서 ㅅ수밀(water-tight)의 실을 제공하기 위한 실 요소(26)를 구비한 강한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쉬운 제조를 위해서, 오리피스 요소(18)는 투피스(two-piece) 부품일 수 있으며, 상기 투피스의 조립은 내부 실(26)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의 위치에서 경계를 구획한다. 예컨대, 상기 투피스는 플라스틱이며 앵커리지에 설치되기 전에 마찰 용접되어서 상기 경계는 수밀하다.
인장 케이블은 폴리에틸렌(PE)과 같은 보호 폴리머 물질로 통상적으로 감싸지며, 이것은 스트랜드가 고정되는 스트랜드의 영역에서 제거될 수 있다. 도면들에서 스트랜드(50)의 감싸진 부분들은 크로스-해칭(cross-hatching)된 벗겨진 영역과 구별된다. 앵커리지에 고정된 스트랜드(50)는 스트랜드(50)가 앵커리지 채널(6)에 삽입되기 전에 스트랜드(50)의 단부 영역에서 그들의 폴리머 시스(sheath)를 벗긴다. 이렇게 함으로써, 쐐기(12)는 시스 대신에 스트랜드(50)의 벗겨진 철을 직접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일단 시스 스트랜드(sheathed strand)(50)가 수동 단부 앵커리지에 끼워지면, 대기의 수증기의 부식 효과에 대항하여 스트랜드(50)의 벗겨진 부분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실 요소(26)가 채널(6)의 내부 표면(예컨대, 오리피스 요소(18)의 내부 표면) 및 스트랜드(50)의 시스의 외부표면 사이의 공간(51)에서 탄성 압축되어 끼워진다. 보호 왁스, 그리스, 폴리머 또는 다른 물질이 주입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스트랜드(50) 및 채널(6)의 벽 사이의 공간(51)으로 도입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실 요소(26)는 구멍(51) 안으로 수증기 침입의 장벽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도 7, 8 및 12에서 검은 부분으로 도시된 것처럼 구멍(51) 내의 충전물질(52)을 보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충전물질(52)는 스트랜드-채널(6)에서 스트랜드(50) 주위로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밴딩 쿠션(bending chushion)을 형성하는 하상 물질(bedding material)일 수 있다. 따라서, 스트랜드의 정적 및 동적 편차로부터 발생하는 밴딩 응력을 줄이기 위한 탄성 깔개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하상 물질을 선택함으로써 스트랜드(50)를 둘러싸는 충전물질(52)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하상 물질은 또한 스트랜드의 변형이 동적 움직임에서 에너지의 손실에 의해서 댐핑을 제공하기 위해서 발생될 때 스트랜드에서 축적되는 대부분의 진동 에너지를 흡수 및 분산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스트랜드-채널(6)에서 스트랜드(50)를 감싸는 공간은 10 내지 70 쇼어(Shore)의 범위에서 23℃에서 기결정된 듀로미터(durometer)를 구비하는 굽힘 및/또는 탄성 하상 물질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진다. 바람직하게는, 하상 물질(21)의 듀로미터 값은 10 내지 30 쇼어 범위에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쇼어의 범위에 있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E는 Mpa단위의 영률이며 S는 듀로미터로서 사용된 ASTM D2240 타입 A 경도이다.
엘라스토머의 경도 및 영률 사이의 상기의 관계식을 사용할 때,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하상 물질(21)은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5.5Mpa,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1.1Mpa, 가장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0.9Mpa 범위의 영률에 의해서 정의되는 강성을 가진다. 이러한 밴딩 쿠션은 앵커리지 위치에서 스트랜드들의 편향 응력을 감소시킨다: 상기 밴딩 쿠션은 베딩(bedding) 지역을 따른 밴딩 응력을 흡수하여 스트랜드(50)에서 밴딩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하상 물질은 고체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머 물질, 특히 폴리우레탄, 에폭시-폴리우레탄, 에폭시 폴리머 또는 망상 에폭시 수지와 같은 점탄성(viscoelastic)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실 요소(26)는 기결정된 축방향의 위치로 언급된 위치에서 채널의 근위 단부(3) 근처에 위치된다. 이 위치에서, 실(26)은 원칙적으로 원위 제2 단부(1)보다 채널(6)의 근위 단부(3)로부터 접근이 더 쉬울 것이다. 하지만, 개별 스트랜드(50)는 통상적으로 인접한 또는 둘러싸는 스트랜드들에 의해서 모여지기 때문에 이러한 종류의 접근은 어렵거나 불가능해진다. 이러한 이유로, 실 요소(26)의 접근은 앵커리지의 원위 단부(1)로부터 하는 것이 유리하다. 채널(6)에서 실 요소(26)의 삽입 및 제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도구의 예들은 도 9 내지 14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3 및 4에 자세히 도시되었듯이, 유리하게는 실 요소(26)는 채널(6)의 내부 벽에서, 예컨대 관형 오리피스 요소(18)의 내부벽에서, 공간(51)의 상응하게 형성된 환형의 오목한 영역 또는 리세스(27)에 각각 배열된다. 리세스(27)는 상기했듯이 기결정된 축방향의 위치에 일치한다. 그리하여 실 요소(26)는 바람직하게는 환형, 원통형 또는 관형이며, 이에 상응하여 리세스(27)도 실 요소(26)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실 요소(26) 및 리세스(27)는 실요소(26)가 채널(6) 또는 오리피스 요소(18)에서 리세스(27)에 여유롭게 맞도록 반경방향으로 치수화될 수 있다. 대안으로, 실 요소(26)는 반경방향으로 장력 또는 압축력이 없을 때 리세스(27)의 직경(24)보다 아주 조금 작은 외부 직경(21)을 구비할 수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다른 대안의 실 요소(26)는 리세스(27)의 직경(24)보다 미미하게 큰 외부 직경(2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우에, 실 요소(26)는 리세스(27)에 끼워질 때 반경방향의 장력 또는 압축력을 받는다. 실 요소(26)는 바람직하게는 탄성물질을 포함하며, 완회된 실 부재(26)의 내부 직경(22)은 바람직하게는 채널(6)에 끼워질 바람직하게는 시스된 스트랜드(50)의 외부 직경보다 약간(5% 내지 25%) 작아서, 실 요소는 통로를 통과하는 스트랜드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늘어나며, 따라서 스트랜드(50)의 외부 직경 상에 꽉 붙잡히며, 결국 좋은 실을 형성한다. 상기 실 요소(26)의 늘어짐은 또한 실 요소(26)의 외부 직경(21)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구비할 수 있으며, 그결과 실 요소(26)의 외부 직경은 리세스(27)의 상응하는 표면(29`)에 대항하여 반경방향으로 견고하게 눌러진다.
만약 리세스(27)의 축방향의 길이(28)가 탄성 실 요소(26)의 축방향의 길이(23)보다 크다면, 실 요소(26)는 리세스(27) 안으로 압축될 때 리세스를 채울 때까지 축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리세스(27)의 축방향의 길이(28)와 실 요소(26)의 축방향의 길이(23)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1 초과 1.5 미만이다. 만약 1.1미만이라면, 실 요소는 축방향으로 전혀 압축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스트랜드가 삽입될 때 리세스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반면에, 1.5 초과인 경우, 스트랜드(50)가 도입될 때 좋은 실을 형성하고 리세스(27)를 채우기에 충분히 변형하기 위해서, 크게 변형 가능한 탄성물질이 실 부재(26)를 위해서 선택된다.
일 실시예에서, 실 요소(26)는 엘라스토머 또는 유연성 폴리머, 예컨대 폴리우레탄과 같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는 원형, 토로이달(toroidal), 원통형 또는 관형 몸체를 포함한다. 실 요소(26)는 EPDM(에틸렌프로필렌 다이엔 모노미,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TPV (열가소성 가황고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가황물, thermoplastic vulcanizates including thermoplastic vulcanizate rubber), 및 TPE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thermoplastic elastomers), SBR (스타이렌뷰타다이엔고무, styrene butadiene rubber)와 같은 다양한 엘라스토머들을 포함하는 다른 유사 물질일 수 있다. 그리하여, 실 요소는 압축된 상태로 채널 안으로 제1 단부(1)를 통하여 삽입되고 리세스(27) 안으로 옮겨질 때 덜 압축된 상태로 팽창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실 요소는 팽창식 실 요소로서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실 요소는 기결정된 축방향의 위치(27)에 위치될 때까지 팽창되지 않은 상태로 채널(6)을 통하여 도입될 수 있으며, 그 후 실 형상으로 팽창될 수 있다.
오목한 영역(27)의 표면(29`)에 의한 외부 주변부 및 바람직하게는 시스된 스트랜드(50)의 외부 표면에 의한 내부 주변부로 경계가 형성되는, 환형 리세스(27)의 부피는 리세스 부피로 명명된다. 실 요소의 부피는 실 부피로 명명된다. 실 부피와 리세스 부피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3의 범위에 있다. 만약 비율이 0.8 미만이라면, 실은 좋은 실을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한 방향에서도 충분한 탄성 압축력을 받지 못한다. 반면에, 비율이 1.3 초과라면, 실 요소(26)의 압축이 너무 커서, 실 요소(26)는 스트랜드(50)가 삽입될 때 손상될 수 있다.
실 요소(26)의 축방향의 길이(23)는 바람직하게는 실 요소(26)의 외부 직경(21)의 1/5 초과 1/2 미만이다. 만약 축방향의 길이(23)가 실 요소(26)의 외부 직경(21)의 1/5 미만이라면, 실 요소는 실 요소가 채널(6)을 통하여 미끄러지거나/밀릴 때 실 요소의 형상 및 방향을 유지하기에 충분히 단단하지 않으며, 회전하거나 붕괴할 수 있다. 만약 축방향의 길이(23)가 실 요소(26)의 외부 직경(21)의 1/2보다 크다면, 실 요소는 삽입되기 어려울 것이다. 채널 안으로 실 요소를 맞추기 위해서 실 요소의 핀칭(pinching)을 함께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채널의 축(70)과 수직한 원통축이 있는 실 요소(26)를 삽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삽입은 실 요소가 기결정된 축방향의 위치에 도달하면 리세스에서 축방향으로 정렬된 방향으로 실 요소(26)의 연속적인 회전을 요구하며, 상기 회전은 실 요소(26)의 축방향의 길이(23)가 외부 직경(21)의 1/2보다 큰 경우에는 불가능하거나 지체된다.
일 예로써, 3개의 와이어의 중심을 통하여 측정된, 벗겨진 7-와이어 스트랜드의 통상적인 표준 직경은 15.7mm이다. 시스된 상기 스트랜드는 통상적으로 약 19mm의 직경을 가진다. 이 경우에, (내부 직경으로 언급된) 실 요소(26)를 통하는 개구의 직경(22)은, 이완된 상태일 때, 예컨대 15mm 또는 16mm일 수 있다. 채널(6)의 공칭 내부 직경(25)은 20mm일 수 있는 반면, 채널(6)의 오목한 영역(27)의 직경(24)은 25mm일 수 있다. 완화된 상태에서 실 요소(26)의 외부 직경(21)은 25mm일 수 있어서, 실 요소는 이완된 상태에서 리세스에 여유롭게 끼워진다. 따라서, 실 요소(26)를 통하여 스트랜드의 시스된 일부를 삽입하면, 실 요소(26)는 리세스(27)의 외부 벽(29`) 및 시스된 스트랜드(50)의 외부 표면 사이에 충분한 반경방향의 힘으로 압축된다. 실 재료와 실 요소(26), 채널(6) 및 리세스(27)의 치수는, 상기 압축이 스트랜드(50)와 리세스(27)의 벽(29`) 사이의 신뢰성 있는 실을 형성하기에 충분히 강하나, 실 요소(26) 또는 스트랜드(50)의 시스를 손상시키지 않고 실 요소(26)를 통하여 당겨질 수 없을 정도로 너무 강하지 않게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실 요소(26) 물성은 실 요소(26)가 25%이하, 가능하다면 20%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이하로 압축세트가 되도록 선택된다. 상기 압축세트는 실 요소(26)가 실 요소의 형상이 적절하게 회복하는 것을 보장한다. 압축세트는 정의된 시간 및 정의된 온도에서 주어진 압축하의 초기 변형에 대하여 남은 변형의 양을 나타낸다. 상기 압축세트는 24시간 동안에 70℃에서 압축한 ISO 815 또는 DIN 53517에 따라 정의된 실 링의 특징이다.
유리하게는, 리세스(27)의 축방향의 길이(28)는 실 요소(26)의 축방향의 길이(23)보다 크게 (예컨대, 10% 내지 50% 크게) 만들어져, 스트랜드가 삽입되지 않을 때 축방향의 방향을 따라 상기 길이들 사이에 약간 제한된 여유가 있으나, 스트랜드(50)가 실 요소(26)를 통하여 당겨질 때 실 요소(26)가 앵커리지의 적어도 원위 단부(1) 쪽으로 리세스(27) 외부로 벗어나는 것을 막도록 리세스(27)의 측면에 인접한다. 오목한 영역(27)의 축방향의 길이(28)를 실 요소(26)의 축방향의 길이(23)보다 길게 만드는 것은 사용자가 채널(6)의 원위 단부(1)를 통하여 실 요소(26)를 삽입하고 실 요소를 채널(6)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채널(6)의 외부로부터 리세스(27)안으로 실 요소(26)을 끼우는 것을 더욱 쉽게 한다. 또한, 이것은 사용자가 실 요소(26)가 오목한 영역에 정확히 안착된 것을 확인하는 것을 쉽게 한다: 만약 실 요소(26)가 리세스 내에서 약간 축방향의 거리 만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면, 스트랜드(50)가 삽입되기 전에, 실 요소(26)는 리세스(27)에 정확하게 안착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반면에, 만약 실 요소(26)가 임의의 축방향의 이동을 제한한다면, 사용자는 실 요소가 정확하게 안착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스트레싱 단부 앵커리지의 예를 도시하며, 이것은 스트랜드(50)가 장력을 받을 때 앵커리지를 통하여 스트랜드(50)의 축방향의 움직임을 수용하기 위해서 앵커리지가 상당히 긴 예컨대 도 3 및 도 4의 수동 단부 앵커리지와는 다르다. 도 7은 채널(6)이 스트레싱 단부 앵커리지를 통하여 어떻게 연장하는지를 도시하며, 스트레싱 단부는 케이블의 스트랜드가 장력을 받는 케이블의 단부이다. 스트레싱 단부 앵커리지는 통상적으로 좀더 접근하기 쉬운 케이블의 단부에 위치되며, 여기서 스트랜드들은, 스트랜드가 요구되는 장력까지 스트레스를 받을 때까지, 예컨대 유압 잭에 의해서, 앵커리지를 통하여 당겨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앵커리지 예는 앵커 블록(11)을 포함하며, 채널(6)에서 스트랜드(50)는 앵커 블록(11)에서 상응하는 원뿔형 보어에서 월뿔형 쐐기 세트(12)에 의해서 고정된다. 수정 링(adjustment ring)(10)은 앵커리지가 케이블에 의해서 지지 및/또는 당겨질 수 있는 교량 상판과 같은 구조의 베어링 표면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의 수동 단부 앵커리지와 마찬가지로, 도면부호 1은 채널(6)의 앵커리지 단부의 원위 단부(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2 단부로 명명됨), 즉 케이블의 주요 가동부로부터 떨어진 곳을 향하는 채널(6)의 단부(미도시)를 가리킨다. 반면에, 도면부호 3은 제1 단부로 명명되는 앵커리지 및 채널(6)의 근위 단부, 즉 케이블의 주요 가동부 쪽을 향하는 채널(6)의 단부를 가리킨다. 앵커리지의 몸체(2)는 경질 이송 파이프(15)를 포함하며, 경질 물질을 통과하는, 채널(6)에 의해서 차지되는 부피를 제외하고, 콘크리트 또는 그라우트(grout)와 같은 경화된 물질(5)로 채워질 수 있다. 예들에 도시된 채널(6)은 실질적으로 직선이며, 축방향으로 명명되는 케이블의 중심 세로방향과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실질적으로 연장한다. 채널(6)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오리피스 요소(18)의 연장된 버전으로서 보여질 수 있는 튜브 또는 파이프(18)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장력을 받는 동안에 스트랜드(50)의 축방향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스트레싱 단부 앵커리지는 수동 단부 앵커리지보다 길 필요성이 있다. 이 경우에, 앵커 블록(11)을 통과하는 채널(6)은 채널 연장 튜브(18)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연장되며, 채널 연장 튜브는 고체 그라우트 또는 콘크리트(5)와 같은 경질 구조에 밀봉된다. 이송 튜브(15)는 철 또는 유사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 단부-플레이트(20)를 앵커리지의 출구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단단하게 지지할 만큼 충분히 경질이다. 스트랜드(50) 및 (연장된) 채널(6)의 내부 벽 사이의 공간(51)은 부식-방지 왁스 또는 그리스 물질, 엘라스토머 물질, 또는 다른 적합한 주입 물질로 채워질 수 있다. 이 충전 물질(52)은 도 7, 8 및 12에서 검은색으로 도시된다. 실(26)과 같이, 이 충전 물질(52)은 실(26)의 교체 후에 원위 단부(1)로부터 주입됨으로서 쉽게 교체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었듯이, 한 세트의 실(19)은 단부-플레이트(20)의 내부 표면 및 오리피스 요소(18) 사이뿐만 아니라 단부-플레이트(20)의 외부 표면 및 이송 파이프(15)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시스는 각 스트랜드(50)로부터 충분히 벗겨져서, 일단 스트랜드(50)가 앵커 블록(11)의 채널(6)을 통하여 당겨지고 완전히 장력을 받으면, 시스의 단부는 (앵커 쐐기기(12)가 스트랜드를 고정하는) 매립점과 실 요소(26) 사이의 어딘가에 위치되며, 상기 실 요소는 수증기가 근위 단부(제1 단부)(3)로부터 앵커리지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다. 상기했듯이, 실 요소(26)는 채널(6)의 내부 벽 또는 채널(6)의 오리피스 요소(18)의 내부 벽에 위치될 수 있다. 리세스(27)의 기결정된 축방향의 위치는 통상적으로 제2 단부(1)보다 채널의 제1 단부(3)에 상당히 더 가깝다. 개별 스트랜드(50) 및 이의 개별 채널(6)의 벽 사이의 공간(51)은 부식에 대항하여 스트랜드를 보호하기 위한 물질로 채워질 수 있다. 왁스 또는 그리스가 부식-방지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또는 엘라스토머 물질이 유체로서 구멍에 주입되고 상기한 것처럼 설정되게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스트레싱 단부 앵커리지에서 실 요소(26) 및 리세스(27)는 실질적으로 상기한 데드 단부 앵커리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특히, 실 요소 및 리세스의 치수는 동일한 비율 관계 및 유사한 길이 및/또는 두께를 구비할 수 있다.
만약 개별 스트랜드(50)가 교체된다면, 실 요소(26)는 본래의 스트랜드만큼 좋은 실을 교체 스트랜드에 제공할 수 있어야만 한다. 또한, 개별 스트랜드(50)가 교체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스트랜드의 전체 길이가 존재하는 실 요소를 통하여 당겨지고 실 요소를 쉽게 손상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실 요소가 교체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르면, 실 요소(26) 및 채널(6)은 실 요소가 싱기된 채널(6)의 원위 단부(1)로부터 교체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실 요소(26)가 교체될 수 있도록 실 요소(26) 및 채널(6)을 배열함으로써, 경질, 탄성, 및/또는 유연성 충전물질(52)로 스트랜드(50) 및 채널 벽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것이 실행 가능한 동시에, 개별 스트랜드를 교체할 수 있는 능력을 유지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오래된 스트랜드(50)의 제거는 충전물질(52) 및 실 요소(26)에 상당한 손상을 줄 수 있다. 교체 가능한 실 요소(26)를 사용함으로써, 오래된 스트랜드를 빠르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며, 오래된 필러 물질(52)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 오래된 실 요소(26)의 손상을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그리하여, 부식-방지 물질은 경질, 탄성 및/또는 유연성 물성을 구비하는 앵커리지에서 스트랜드(50) 주위에서 구멍(51) 안으로 도입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 물질은 액체로서 주입되어 예컨대 기결정된 경도까지 경화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실 요소(26)는 유리하게는 기결정된 경도의 폴리우레탄 물질로부터 형성되어, 폴리우레탄 충전 물질과 강하게 결합하여서, 수증기 침투에 대항하여 좋은 실을 보장한다.
실 요소는, 특히 스트레싱 단부 앵커리지뿐만 아니라 수동 단부 앵커리지에서, 스트랜드(50)의 노출된 단부를 보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스트랜드(50)는 앵커리지 안으로 끼워지고 제1 시점에서 당겨지고, 제2 시점에서 다시 당겨지고, 또는 다시 한번 제3 시점에서 다시 당겨지며, 제1, 제2 및 제3 시점은 며칠, 몇주, 또는 심지어 몇 달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수증기 침투로 인한 부식 효과로부터 스트랜드(50)의 노출된 단부를 보호하기 위해서, 실 요소(26)가 상기 시간 동안에 우수한 수증기-저항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왁스 또는 그리스와 같은 부식-방지 물질, 또는 충전물질(52)이 채널(6)에서 스트랜드(50)를 감싸는 공간(51)으로 주입된다면, 이것은 통상적으로 제1 텐셔닝 후에 주입될 것으며, 따라서 예를 들어 제3 시점에서 스트랜드가 마지막 힘으로 당겨지기 전에 어떠한 부식 보호를 제공하지 못할 것이다. 그리하여, 이 시간 동안에, 실 요소(26)는 개별 채널(6) 내에 노출된 스트랜드 단부를 보호하는데 중요하다.
게다가 각 실 요소의 약한 조임이 스트랜드의 텐셔닝 후에 확인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개별 채널(6), 예컨대 채널(6) 및 스트랜드(50) 사이의 공간(51)에 진공 또는 공기 압력을 가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압력 또는 진공은 블록(11)에서 앵커리지의 원위 단부(1)로부터 가해진다.
도 9 내지 11은 채널(6)의 내부 벽을 따라서 기결정된 축방향의 위치에 구비된 리세스(27)로 실 요소를 이동시키고 실 요소(26)를 삽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삽입 도구(30)의 예를 도시한다. 예시의 삽입 도구(30)는 채널(6)의 제2 (원위) 채널 단부(1)로부터 삽입되도록 설계되며, 채널(6)을 따라 움직이면서 압축된 상태에서의 실 요소(26)를 보유하기 위해서 단부에 실-보유 장치를 포함한 관형 연장 장치(34)를 포함한다. 실 보유 장치는 실 요소를 압축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서 실 요소(26)를 반경방향으로 밀봉할 수 있으며, 또는 실 보유 장치는 기결정된 변형된 형상으로 실 요소(26)를 보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돌출부 및/또는 구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결정된 변형된 형상은 채널(6)의 단면의 주변부 프로파일보다 작은 윤곽의 프로파일을 구비한다. 예컨대 실 요소(26)의 일부가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돌아가고 실-보유 장치에 의해서 제 위치에 고정될 때, 이러한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젝터 로드(ejector rod)로 명명되는, 원위 해제 장치(31)는 도시된 예의 관형 연장 장치(34)를 통과하고, 연장 장치(34)의 단부로부터 실 요소(26)를 해제하기 위해서 리세스(27) 안으로 나아갈 수 있다. 연장 장치(34)는 채널 안으로 이동을 정지할 때, 및/또는 연장 장치가 리세스(27) 안에서 실 요소(26)를 해제하기 위해 채널(6) 안으로 적절한 거리로 삽입되었을 때를 가리키기 위한 장치(33, 35)와 함께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장치(33, 35)는 깊이 측정 장치 및/또는 이동 정지 장치로서 사용된다. 실 요소(26)가 꺼내지는 경우 유사 스톱 또는 인디케이터(36)가 리세스(27)를 지나는 실 요소(26)의 오버슈트를 방지하기 위한 이젝터 로드(31)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스톱 또는 인디케이터(36)는 깊이 측정 장치 및/또는 방출 정지 장치로서 역할을 한다. 만약 리세스(27)가 상기한 것처럼 실 요소(26)보다 축방향에서 약간 더 크다면 실 삽입 작업은 더욱 쉬울 것이다.
도 12는 도 9 내지 도 11의 삽입도구가 어떻게 채널(6)의 (원위) 제2 단부(1)로부터 스트레싱 단부 앵커리지의 채널(6) 안으로 새로운 실 요소(26)를 삽입하기 위해 사용되는지를 도시한다. 앵커리지의 제1 (근위) 단부로부터 채널(6)까지의 접근이 엄격하게 제한되어 있는 결과로, 앵커리지는 모든 다른 스트랜드가 끼위진 상태로 도시된다. 삽입 도구(30)는 채널(6)의 제2 (원위) 단부(1)로부터 채널(6)의 벽에 리세스(27)안으로 실 요소(26)를 삽입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앵커리지의 원위 단부(1)로부터 연장하는 스트랜드는 특정한 길이를 포함하는 스트랜드 꼬리까지 절단될 수 있다. 스트랜드 꼬리는 인장 캐이블의 실제 길이에 따른 새로운 스트랜드의 인장해제, 제거, 및 삽입을 위해서 스트랜드를 잡기 위한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서 예컨대 30mm-500mm의 기결정된 길이로 절단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채널(6)의 리세스(27)로부터 연장하는 실 요소(26)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실-제거 도구(40)의 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두 개의 세로방향의 부품들(42 및 43)은 채널의 제2 단부(1)로부터 리세스(27)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치수화되며, 실 요소(26)를 잡기 위해 피스톨-그립(pistol-grip)(41)의 제어 하에 서로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며, 사용자가 채널(6)로부터 실 요소(26)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수를 쉽게 하기 위해서, 상기 제거 도구는 채널(6)을 통하여 상기 도구가 쉽게 통과하도록 만들기 위해서 실 요소(26)를 압착, 회전, 또는 비틀기 위한 압축 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간단한 후크(hook) 또한 체널(6)로부터 실 요소(26)를 제거하기에 충분하다.
상기한 내용은, 케이블 앵커리지는 앵커리지가 원뿔형 쐐기(12)와 같은 구속 장치에 의해서 제2 채널 단부(6)에 고정된 자유 단부에서 수행되는 인장 케이블과 관련하여 비제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다른 종류의 인장 케이블의 앵커리지, 즉 자유 단부로부터 먼 인장 케이블의 부분에서 앵커리지에 적용될 수 있다. 케이블 편차 새들을 사용할 때, 일부 환경하에서, 새들의 중심부에 위치된 스트랜드의 이동부는 가능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상황은 구속 장치를 형성하는 새들이 있는 앵커리지에 상응한다. 이 상황은 하상 물질(51)이 새들 몸체에서 스트랜드의 부식에 대항하여 스트랜드를 보호하기 위한 일반적인 물질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WO2011/116828에 상응한다.
1 (가동부로부터 원위의) 케이블의 제2(원위) 단부(Second (remote) end of the cable (remote from the running part))
2 앵커리지의 몸체(Body of the anchorage)
3 케이블의 제1 (근위) 단부(가동부를 위한 출구 단부)(First (proximal) end of the cable (exit end for the running part))
5 이송 파이프(15)의 경화된 물질(Hardened material of transition pipe 15)
6 앵커리지 채널(Anchorage channels)
7 케이블의 중심 세로축(Principal longitudinal axis of the cable)
8 케이블의 주요 가동부(Main running part of the cable)
10 조절 링(Adjustment ring)
11 앵커 블록(Anchor block)
12 원뿔형 쐐기(Conical wedges)
13 칼라 요소(Collar element)
15 이송 파이프(Transition pipe)
18 오리피스 요소 또는 채널 연장 튜브(Orifice element or channel extension tube)
19 실(Seals)
20 단부 플레이트(End plate)
21 실 요소(26)의 외부 직경(Outer diameter of the seal element 26)
22 실 요소(26)의 내부 직경(Inner diameter of the seal element 26)
23 실 요소(26)의 축방향의 길이(Axial length of the seal element 26)
24 리세스(27)의 직경(Diameter of the recess 27)
25 채널(6)의 공칭 내부 직경(Nominal inner diameter of the channel 6)
26 실 요소(Seal element)
27 환형 오목한 영역 또는 리세스(Annular recessed region or recess)
28 리세스(27)의 축방향의 길이(Axial length of the recess 27)
29,29` 환형 오목한 영역(27)의 표면(내부 및 외부 벽)(Surface of the annular recessed region 27 (inner and outer walls))
30 삽입 도구(Insertion tool)
31 원위 해제 장치(Remote release device)
33,35 깊이 측정-장치 및/또는 이동 정지-장치(Depth gauging-device and/or displacement stopping-device)
34 관형 연장 장치(Tubular extension device)
36 스톱 또는 인디케이터 (Stop or indicator)
40 실-제거 장치(Seal-removal tool)
41 피스톨-그립(Pistol-grip)
42,43 세로방향의 부품(Longitudinal parts)
50 스트랜드(Strand)
51 공간(Space)
52 충전물질(Filler material)
70 채널(6)의 축(Axis of the channel 6)

Claims (19)

  1. 복수의 축방향의 채널(6); 및
    스트랜드(50)가 채널(6)에 있을 때, 스트랜드(50) 및 채널(6)의 내부 벽(29`) 사이의 실(seal)을 제공하기 위해서 채널(6)의 내부벽(29, 29`)의 기결정된 축방향의 위치(27)에 위치될 수 있는 실 요소(26);를 포함하는 케이블 앵커리지로서,
    각각의 채널(6)은 케이블의 스트랜드(50)를 개별적으로 수용하며, 채널(6)은 케이블의 가동부 근위의 제1 채널 단부(3) 및 스트랜드-고정 장치(12)를 구비한 제2 채널 단부(1) 사이에서 케이블 엥커리지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하며,
    상기 실 요소(26)는 탄성물질을 포함하며,
    실 요소(26) 및 채널(6)의 제2 채널 단부(1)는 실 요소(26)가 제2 채널 단부(1)를 통하여 채널 안으로 도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실 요소(26) 및 채널(6)의 내부 벽(29,29`)은 실 요소(26)가 제2 채널 단부(1)로부터 기결정된 축방향의 위치(27)까지 채널(6) 안으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계되며,
    채널(6)의 내부 벽(29, 29`)은, 채널(6)에서 스트랜드(50)의 축방향의 이동 동안에 기결정된 축방향의 위치(27)에 실 요소(26)를 보유하기 위해서 실 요소(26)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6)과 세로방향으로 동축인, 환형 또는 원통형 오목한 영역(27, 29`)를 포함하며,
    실 요소(26)는 압축된 상태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고, 압축된 상태는 상기 제2 채널 단부 및 실 요소 사이에서 채널(6)의 내부 벽(29)의 모든 직경(25)과 동일하거나 더 작은 반경방향의 외부 치수를 구비하며,
    실 요소(26)는 오목한 영역(27,29`)에 분리 가능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앵커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실 요소(26)는 환형 또는 원통형이고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는 환형, 토로이달, 원통형 또는 관형 몸체를 포함하며, 또는 실 요소(26)는 팽창되지 않은 상태에서 확장된 팽창 상태로 팽창 가능하며;
    실 요소(26)의 외부 직경(21)은 기결정된 축방향의 위치(27)에 인접한 채널(6)의 영역에서 채널의 직경(25)이 더 크며;
    실 요소(26)의 내부 직경(22)은 상기 인접한 영역에서 채널(6)의 직경(25)보다 작은 케이블 앵커리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요소(26)를 수용하는 오목한 영역(27,29`)은 투피스(two-piece) 부품에 의해서 정의되는 케이블 앵커리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실 요소(26)는 25%이하의 압축세트를 가지는 케이블 앵커리지.
  5. 제 4 항에 있어서,
    탄성물질은 폴리머 물질이며, 특히 탄성물질은 엘라스토머,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EPDM(에틸렌프로필렌 다이엔 모노머), TPV(열가소성 가황물), TPE(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SBR(스타이렌뷰타다이엔고무)인 케이블 앵커리지.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 요소(26)에서 제2 채널 단부(1)로 연장하는 공간(51)에 스트랜드(50) 주위의 채널(6)에서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배딩 쿠션(52)을 더 포함하는 케이블 앵커리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딩 쿠션(52)은 실 요소(26)로부터 상기 스트랜드-고정 장치(12)까지 연장하는 케이블 앵커리지.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딩 쿠션(52)은 10 내지 70 쇼어(shore) 범위에 있는 23℃에서의 듀로미터를 구비하는 하상 물질을 포함하는 케이블 앵커리지.
  9.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케이블 앵커리지의 축 방향의 채널(6)에서 케이블의 스트랜드(50)를 교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채널(6)에서 스트랜드가 제거되는 스트랜드(50) 제거 단계;
    스트랜드(50) 및 채널(6)의 내부 벽 사이에 실을 제공하기 위해서 채널(6)의 내부 벽의 기결정된 축방향의 위치(27)에 배치된 실 요소(26)를 제거하는 실-제거 단계;
    실 요소(26)가 채널 단부(1)를 통하여 도입되고 상기 채널 단부(1)로부터 상기 기결정된 축방향의 위치(27)까지 채널(6) 축방향의 안쪽으로 옮겨지는 실-맞춤 단계; 및
    새로운 스트랜드를 상기 채널안으로 삽입하는 스트랜드 교체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6)은 케이블의 가동부 근위의 제1 채널 단부(3) 및 케이블의 가동부 원위의 제2 채널 단부(1) 사이에서 연장하는 케이블의 스트랜드를 교체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채널(6)의 내부벽(29,29`)은, 채널(6)에서 스트랜드(50)의 축방향의 움직임 동안에 기결정된 축방향의 위치(27)에서 실 요소(26)를 유지하기 위해서 실 요소(26)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6)과 세로방향으로 동축인, 환형 또는 원통형 오목한 영역(27, 29`)을 포함하며,
    실 요소(26)는 압축된 상태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고, 압축된 상태는 상기 제2 채널 및 상기 실 요소 사이의 채널(6)의 내부 벽(29)의 모든 직경(25)에 동일하거나 작은 반경방향의 외부 치수를 구비하며,
    실 요소(26)는 실-맞춤 단계 동안에 오목한 영역(27, 29`)에 분리 가능하게 배열되는 케이블의 스트랜드를 교체하는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실 요소가 채널(6) 안으로 도입되는 동안에 및/또는 오목한 지역(27, 29`) 쪽으로 채널 안으로 실 요소의 축 방향의 이동 동안에, 실 요소(26)는 상기 압축된 상태로 고정되며,
    실 요소(26)는 리세스(27)에 도착하면 맞춤 상태로 실질적으로 전환하는 케이블의 스트랜드를 교체하는 방법.
  12. 제 9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거 단계는 실 요소(26)를 잡고 서로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두 개의 세로방향의 부품(42, 43)을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케이블 앵커리지의 리세스(27)로부터 존재하는 실 요소(27)를 제거하기 위한 제거 도구(40)로 실행되는 케이블의 스트랜드를 교체하는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스트랜드(50) 제거 단계는 채널(6)로부터 충전 물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의 스트랜드를 교체하는 방법.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랜드(50)가 채널(6) 및 스트랜드(50) 사이의 공간(51)으로 공기 압력 또는 진공을 가함으로써 채널(6)에 있을 때 실 요소(26)의 누설방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케이블의 스트랜드를 교체하는 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케이블 앵커리지의 리세스(27) 안으로 실 요소(26)를 이동시키기 위한 삽입 도구(30)로서,
    상기 삽입 도구는:
    이동하는 단계 동안에 채널(6)과 동축으로 배열되고 반경방향의 압축 상태로 실 요소(26)를 유지하기 위한 실 보유 및/또는 정렬 장치(3a);
    제2 채널 단부(1)로부터 기결정된 축방향의 위치(27)까지 채널(6)을 통하여, 압축된 상태에서, 실 요소(26)를 움직이기 위한 이동 연장 장치(31, 34); 및,
    실 요소(26)가 채널(6)의 오목한 지역(27,29`)에서 실 요소의 맞춤 상태를 실질적으로 되찾도록 보유 및/또는 정렬 장치(34)로부터 실 요소(26)를 해제하기 위한, 채널(6)의 제2 채널 단부(1) 외부에서 작동하는, 원위 해제 장치(31);를 포함하는 삽입 도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실 보유 및/또는 정렬 장치(34)는 압축 상태에서 탄성 환형 또는 원통형 실 요소(26)를 고정하도록 설계되어서, 실 요소(26)의 환형 또는 원통형 외부 표면의 일부는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돌아가며, 실 요소(26)는 채널(6)과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유지되는 삽입 도구.
  17. 제 15 항 및 제 16 항에 있어서,
    보유 및/또는 정렬 장치(34)는, 채널(6)과 동축으로, 압축된 조건에서 실 요소(26)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봉하기 위한 실 고정 장치(34)를 포함하며,
    원위 해제 장치(31)는 실 보유 장치(34)로부터 리세스(27) 안으로 실 요소(26)를 꺼내기 위한 분사 장치를 포함하는 삽입 도구.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 연장 장치(31, 34)는, 실 요소(26)가 기결정된 축방향의 위치(27)에 도달했을 때 및/또는 실 요소(26)가 기결정된 축방향의 위치(27)에 도달했을 때 실 요소(26)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가리키기 위한 제1 깊이 측정 장치(33, 35) 및/또는 이동 정지 장치(33, 35)를 포함하는 삽입 도구.
  19. 제 15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 연장 장치(31, 34)는, 실 요소(26)가 리세스(27)에 도달했을 때 및/또는 실 요소(26)가 리세스(27)에 도달했을 때 실 요소(26)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가리키기 위한 제2 깊이 측정 장치(36) 및/또는 방출 정지 장치(36)를 포함하는 삽입 도구.
KR1020157036070A 2013-05-31 2014-05-30 케이블 앵커리지를 위한 개별의 실 구성 KR101819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309791.0 2013-05-31
GB1309791.0A GB2514621B (en) 2013-05-31 2013-05-31 Cable anchorage
EPPCT/EP2013/077969 2013-12-24
PCT/EP2013/077969 WO2014191066A1 (en) 2013-05-31 2013-12-24 Individual seal arrangement for cable anchorage
PCT/EP2014/061295 WO2014191568A1 (en) 2013-05-31 2014-05-30 Individual seal arrangement for cable anchor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399A true KR20160004399A (ko) 2016-01-12
KR101819069B1 KR101819069B1 (ko) 2018-02-28

Family

ID=488055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070A KR101819069B1 (ko) 2013-05-31 2014-05-30 케이블 앵커리지를 위한 개별의 실 구성
KR1020157035786A KR102187818B1 (ko) 2013-05-31 2014-05-30 베딩재료를 갖는 케이블 앵커리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786A KR102187818B1 (ko) 2013-05-31 2014-05-30 베딩재료를 갖는 케이블 앵커리지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9790651B2 (ko)
EP (1) EP3004461B1 (ko)
JP (2) JP6047675B2 (ko)
KR (2) KR101819069B1 (ko)
CN (2) CN105339553B (ko)
CA (2) CA2947919C (ko)
ES (2) ES2671456T3 (ko)
FR (1) FR3006341A1 (ko)
GB (1) GB2514621B (ko)
HK (2) HK1220748A1 (ko)
PL (1) PL3004461T3 (ko)
PT (2) PT3004461T (ko)
WO (3) WO20141910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710269A2 (de) * 2014-10-17 2016-04-29 Fatzer Ag Drahtseilfabrik Vorspannlitze, insbesondere für statische Verbauungen.
WO2016063960A1 (ja) * 2014-10-22 2016-04-28 新日鉄住金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ケーブル及びケーブルの製造方法
CN104746429A (zh) * 2015-04-17 2015-07-01 柳州欧维姆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景观桥用拉索及其制作方法
DE102016211176B4 (de) * 2016-06-22 2019-12-24 Lenz Tankred Verfahren und Verwendung einer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zur Herstellung von Betonbauteilen
ES2941694T3 (es) 2016-08-19 2023-05-24 Vsl Int Ag Anclaje de cable con elemento de sellado y sistema de pretensado que comprende dicho anclaje
CN106149569B (zh) * 2016-08-24 2018-02-02 长安大学 自锚式悬索桥先缆后梁施工的体系转换方法
CA2982153C (en) * 2016-10-13 2020-07-14 Felix Sorkin Sheathing puller
JP7088191B2 (ja) * 2017-07-28 2022-06-2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構造体
JP6442104B1 (ja) * 2017-07-31 2018-12-19 東京製綱株式会社 連続繊維補強より線の定着具
CN107558352B (zh) * 2017-09-12 2023-07-25 柳州欧维姆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可单根换索的拱桥钢绞线吊杆及其安装施工方法
CN108330832A (zh) * 2018-04-16 2018-07-27 安徽瑞仕达预应力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带有减震功能和定位功能的转向器
CN108951428A (zh) * 2018-08-30 2018-12-07 湖北科技学院 一种桥梁预应力张拉设备
KR101974516B1 (ko) * 2018-11-26 2019-05-03 주식회사 한국교량 볼조인트 카르단과 웨지정착구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013736B1 (ko) * 2018-12-17 2019-08-23 박무수 볼조인트 카르단을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스트랜드 교체방법
CN112211790B (zh) * 2019-07-10 2022-12-27 北京金风科创风电设备有限公司 地锚装置、拉索塔架、风力发电机组以及施工方法
CN110593097B (zh) * 2019-09-04 2021-06-15 郭斌 一种悬索桥主缆预成型索股制造及入鞍系统
WO2021180298A1 (en) * 2020-03-09 2021-09-16 Dywidag-Systems International Gmbh Cable bending limiting arrangement and combination of a cable bending limiting arrangement with a cable, an anchorage, a compacting clamp unit and a recess pipe
US11577894B2 (en) * 2020-11-24 2023-02-14 Idea Makers, LLC Self-binding equipment ties
CN112942102A (zh) * 2021-02-03 2021-06-11 柳州欧维姆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带弹性密封筒的预应力拉索锚具
KR102292310B1 (ko) * 2021-03-10 2021-08-25 주식회사 한국교량 이중튜브를 이용한 케이블 수밀장치
KR102292311B1 (ko) * 2021-03-12 2021-08-25 주식회사 한국교량 이중튜브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시공방법
CN113089495B (zh) * 2021-04-30 2022-06-28 太原科技大学 预应力混凝土简支桥梁锚下有效预应力检测方法
CN113417216B (zh) * 2021-07-09 2023-04-25 长安大学 一种无基准索股的悬索桥主缆架设方法
CN113463515B (zh) * 2021-07-18 2023-01-03 广西路建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双重密封拉索锚具的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8432A (en) * 1967-02-08 1970-12-22 Bethlehem Steel Corp Suspension bridge cable anchorage
US3475777A (en) * 1967-09-22 1969-11-04 United States Steel Corp Anchorage for suspension bridge main cable and the like
BE794024A (fr) * 1972-01-21 1973-05-02 Brandestini Antonio Dispositif d'ancrage pour cables composes de brins
US4117582A (en) * 1972-08-05 1978-10-03 Wolfgang Borelly Apparatus for producing parallel wire strands for bridges and the like by winding and unwinding strand of large cross-section and for simultaneously applying corrosion protection thereto
USRE34350E (en) * 1974-07-09 1993-06-29 Freyssinet International (Stup) Tie formed of stressed high-tensile steel tendons
DE8002045U1 (de) * 1980-01-26 1980-04-30 Dyckerhoff & Widmann Ag, 8000 Muenchen Wiedergewinnbares schalungsteil fuer den verankerungsbereich eines spannglieds in einem betonbauteil
US4442646A (en) * 1980-10-28 1984-04-17 Ponteggi Est S.P.A. Device for anchoring tensioning elements
JPS59173712U (ja) * 1983-05-09 1984-11-20 株式会社 春本鐵工所 橋梁ケ−ブルのアンカ−ソケツト
CH662595A5 (de) * 1983-08-22 1987-10-15 Losinger Ag Verankerung von freischwingenden zugelementen aus stahl eines dynamisch beanspruchten bauteiles.
JPH0310165Y2 (ko) * 1984-09-14 1991-03-13
DE3437107A1 (de) * 1984-10-10 1986-04-10 Dyckerhoff & Widmann AG, 8000 München Zugglied, insbesondere schraegseil fuer eine schraegseilbruecke
DE3437108A1 (de) * 1984-10-10 1986-04-10 Dyckerhoff & Widmann AG, 8000 München Vorrichtung zur verwendung bei der montage eines zuggliedes aus stahldraehten, -litzen oder dergleichen
CH676617A5 (ko) * 1987-03-13 1991-02-15 Dyckerhoff & Widmann Ag
US5079879A (en) * 1987-08-24 1992-01-14 Alan Rodriguez Anti-corrosive post-tensioning anchorage system
FR2623551B1 (fr) * 1987-11-25 1992-04-24 Freyssinet Int Stup Perfectionnements aux haubans et a leurs composants
GB8924896D0 (en) * 1989-11-03 1989-12-20 Manuf Aceros Caucho Sa Anchorage for stressed reinforcing tendon
JP2508938B2 (ja) * 1991-10-30 1996-06-19 鹿島建設株式会社 建造物支持ケ―ブルの疲労低減法
JPH0713362B2 (ja) * 1992-10-19 1995-02-15 株式会社エスイー 斜材ケーブルの定着部
JP3573801B2 (ja) * 1994-09-08 2004-10-06 株式会社エスイー 架設ケーブルの定着部における防錆処理方法
JPH09207117A (ja) * 1996-01-31 1997-08-12 Nippon Steel Corp Frp補強材の端末定着用金具及び定着方法
US5788398A (en) * 1996-07-09 1998-08-04 Sorkin; Felix L. Connector seal for an anchor and a corrosion-protection tube of a post-tension system
DE19711003C2 (de) * 1997-03-17 1999-10-28 Suspa Spannbeton Gmbh Verankerungsvorrichtung für ein Zugglied, insbesondere für die Anwendung im Spannbetonbau
AU6097399A (en) * 1998-10-16 2000-05-08 Dumez-Gtm Guy cable deflector
EP1013830A1 (fr) * 1998-12-24 2000-06-28 Freyssinet International Stup Dispositif et procédé de fixation entre un element de construction et un cable de structure, et pont suspendu comportant de tels dispositifs
FR2794484B1 (fr) 1999-06-03 2001-08-03 Freyssinet Int Stup Dispositif d'ancrage d'un cable de structure
US6292967B1 (en) * 1999-09-14 2001-09-25 Construction Technology Laboratories, Inc. TMD-damped stay cable and method and TMD
FR2798410B1 (fr) * 1999-09-15 2001-11-23 Freyssinet Int Stup Dispositif d'ancrage pour fixer un cable de structure a un element de construction
JP3330107B2 (ja) * 1999-10-13 2002-09-30 黒沢建設株式会社 Pc鋼材の定着部構造およびpc鋼材の定着部における緩衝材の注入方法
ES2307580T3 (es) * 2001-01-29 2008-12-01 Vsl International Ag Dispositivo y metodo para anclaje de un extremo de un tirante a una base.
US6596074B2 (en) 2001-07-20 2003-07-22 Southern Grouts And Mortars, Inc. Cementitious product with phosphorescense
US6796745B2 (en) 2002-09-17 2004-09-28 Steven A. Kulchin Soil nailing system
EP1606456B1 (fr) * 2003-03-24 2010-02-17 Freyssinet Cable de structure d'ouvrage d'art
CN200999418Y (zh) * 2006-12-31 2008-01-02 柳州欧维姆机械股份有限公司 钢绞线整束挤压锚索拉索
CN101210447B (zh) * 2006-12-31 2010-12-22 柳州欧维姆机械股份有限公司 钢绞线整束挤压锚索拉索
US7856774B1 (en) * 2007-09-25 2010-12-28 Sorkin Felix L Sheathing-retaining wedge assembly for use with a post-tension anchorage system
US8272214B2 (en) * 2008-03-07 2012-09-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hape memory alloy cables
CN101487231B (zh) * 2009-02-26 2010-10-06 江阴法尔胜住电新材料有限公司 锚具密封结构
RU2515660C1 (ru) 2010-03-26 2014-05-20 Фсл Интернациональ Аг Уплотняю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US8795832B2 (en) * 2010-07-30 2014-08-05 Fyfe Co.,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ng a cable or cable bundle
WO2012079625A1 (de) * 2010-12-15 2012-06-21 Bbr Vt International Ltd. Vorrichtung zum verankern einer mehrzahl von seilsträngen eines seilbündels
MX337768B (es) * 2011-04-15 2016-03-16 Soletanche Freyssinet Dispositivo de anclaje para un cable de tendones multiples.
CN202627330U (zh) * 2012-06-15 2012-12-26 威胜利工程有限公司 一种拉索锚固系统
CN202787075U (zh) * 2012-07-31 2013-03-13 江苏法尔胜缆索有限公司 悬索桥抗磨损、防水型吊索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91565A1 (en) 2014-12-04
PL3004461T3 (pl) 2018-05-30
HK1220748A1 (zh) 2017-05-12
CA2947919C (en) 2020-04-14
CN105556035B (zh) 2018-11-30
WO2014191568A1 (en) 2014-12-04
KR20160013921A (ko) 2016-02-05
ES2671456T3 (es) 2018-06-06
JP2016526122A (ja) 2016-09-01
GB201309791D0 (en) 2013-07-17
US20160122955A1 (en) 2016-05-05
HK1220498A1 (zh) 2017-05-05
PT3004462T (pt) 2018-06-04
CN105339553B (zh) 2018-02-13
GB2514621B (en) 2020-04-15
EP3004461A1 (en) 2016-04-13
US20160115658A1 (en) 2016-04-28
JP2016524663A (ja) 2016-08-18
ES2648907T3 (es) 2018-01-08
GB2514621A (en) 2014-12-03
US9790651B2 (en) 2017-10-17
KR102187818B1 (ko) 2020-12-08
CA2947919A1 (en) 2014-12-04
FR3006341A1 (fr) 2014-12-05
PT3004461T (pt) 2017-11-14
CN105556035A (zh) 2016-05-04
US9850630B2 (en) 2017-12-26
CN105339553A (zh) 2016-02-17
WO2014191066A1 (en) 2014-12-04
KR101819069B1 (ko) 2018-02-28
JP6329625B2 (ja) 2018-05-23
CA2947803A1 (en) 2014-12-04
CA2947803C (en) 2017-03-28
EP3004461B1 (en) 2017-08-30
JP6047675B2 (ja)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9069B1 (ko) 케이블 앵커리지를 위한 개별의 실 구성
CN107850248B (zh) 用于适配柔性管道端部适配件的方法
CN109844226B (zh) 具有密封元件的缆索锚固装置
US20200199831A1 (en) Improved assembly comprising a structural cable and a saddle
KR101757406B1 (ko) 향상된 가닥 안내 장치
KR20130038819A (ko) 밀봉 장치
JP2003055911A (ja) 斜材ケーブルのサドル出口部における構造
JP6101008B2 (ja) 緊張材の定着構造体
KR20110111905A (ko) 사재 케이블의 새들 출구부 구조
EP3004462B1 (en) Individual seal arrangement for cable anchorage, method of replacing a strand of a cable in an axial channel of such a cable anchorage and insertion tool for displacing a seal element in such a cable anchorage
KR20190097322A (ko) 멀티-텐돈 케이블 단부 보호방법
KR20230048335A (ko) 브릿징 디바이스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구현하는 방법
JP3492612B2 (ja) 橋梁用サドルの出口部における止水構造
JP3754443B1 (ja) 内挿管装着方法および鞘管補修構造
JP3602124B1 (ja) ケーブル保護および固定方法
JP2004131956A (ja) Pc鋼線定着具のグラウトキャップ
JP2005207218A (ja) ケーブル保護および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