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879B1 -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용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용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879B1
KR100739879B1 KR1020060085138A KR20060085138A KR100739879B1 KR 100739879 B1 KR100739879 B1 KR 100739879B1 KR 1020060085138 A KR1020060085138 A KR 1020060085138A KR 20060085138 A KR20060085138 A KR 20060085138A KR 100739879 B1 KR100739879 B1 KR 100739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contact surface
hydraulic cylinder
tension member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경석
Original Assignee
(주)써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써포텍 filed Critical (주)써포텍
Priority to KR1020060085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8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021/128Prestressing each strand of a cable one by one to the same t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독 유압 실린더와 같이 사용되어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작업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반복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그 구조는 중앙에 긴장재가 관통되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 몸체로 구성되며, 그 중공이 형성된 일단부 내주면 테두리에 단턱지게 형성되고 긴장재가 정착된 웨지의 일면과 접촉되는 웨지 접촉면과, 그 웨지 접촉면의 외측 테두리에 단턱지도록 형성되어 정착구의 일면이 접촉되는 정착구 접촉면과, 타단부 외주면에 유압 실린더와 연결되도록 다수개의 요철로 형성된 마찰 접촉면으로 구성된다.
또, 그 디바이스 몸체의 측면으로 웨지 제거홈이 형성되거나, 디바이스 몸체의 일단부 외주면 둘레에 다른 웨지와 간섭되지 않도록 복수개의 요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나씩의 긴장재를 유압 실린더로 프리스트레싱하는 과정에서 신속하게 긴장 및 해체할 수 있으며, 다른 긴장재 및 웨지에 간섭없이 용이하게 다수개의 긴장재를 하나씩 반복적으로 프리스트레싱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긴장재를 해체하는 작업에서 디바이스에 웨지 제거홈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도구를 이용하여 긴장재의 긴장력을 간편하게 해소한 후에, 긴장재를 안전하고 쉽게 해체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용 디바이스{DEVICE}
도 1은 종래 멀티 긴장방식의 긴장재 정착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기존 멀티 긴장방식의 멀티 디바이스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종래 단독 긴장방식의 긴장재 정착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용 디바이스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좌측면도.
도 8은 본 발명 제 1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용 디바이스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a는 도 9의 정면도.
도 10b는 도 10a의 좌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 제 2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 제 2실시예의 요홈이 근접된 주변 웨지와 접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용 디바이스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정면도.
도 15a는 본 발명 디바이스 몸체의 타단부측에 유압 실린더가 연결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5b는 본 발명 디바이스 몸체의 타단부측에 형성된 곡면부에 유압 실린더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용 디바이스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 제 4실시예의 사용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용 디바이스의 제 5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9는 도 18의 좌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긴장재 20 : 정착구
30 : 웨지 60 : 유압 실린더
100 : 디바이스 110 : 중공
120 : 웨지 접촉면 130 : 정착구 접촉면
132 : 요홈 140 : 마찰 접촉면
145 : 곡면부 150 : 웨지 제거홈
본 발명은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선등의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 작업시 신속하고 간편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설 구조물이나 본 구조물의 시공시 강도를 증대시키고 내하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강선등의 긴장재를 배치하여 긴장력을 부여하는 프리스트레싱 방법을 많이 채용하고 있다.
기존 긴장재에 프리스트레싱을 도입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멀티 긴장방식과 단일 긴장방식의 두가지 방식으로 구분된다.
그 멀티 긴장박식에서 긴장재의 양단부 정착을 위한 구성요소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장재(10)가 정착되는 정착구(20;헤드블럭)과, 그 정착구(20)에 결합되고 긴장재(10)의 외주면이 관통 결합되어 긴장재(10)를 고정시키는 쇄기형태의 웨지(wedge;30)와, 웨지(30)의 유동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플레이트형태로 구성되고 긴장재(10)가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된 멀티 디바이스(50)와, 그 멀티 디바이스(50)에 면접촉된 상태로 연결되어 긴장재(10)를 당겨서 프리스트레싱력을 부여하는 유압 실린더(60)로 구성된 것이다.
그 멀티 디바이스(50)는 중앙 부위에 다수개의 통공(52)이 형성되며 요홈지게 형성되어 웨지(30)의 단부 일면과 접촉되는 제 1접촉면(53)과, 그 제 1접촉면 (53)의 외측 테두리에 단턱지도록 형성되고 정착구(20)의 일면과 접촉되는 제 2접촉면(54)을 갖는다.
또, 그 유압실린더(60)는 여러 가닥의 긴장재(10)를 한번에 같이 긴장하여야 하므로, 유압실린더(60) 헤드 부위에 긴장재(10)의 수만큼 동일한 갯수의 홀이 가공된 유압 실린더(60)를 채용한다.
그 멀티 긴장방식에서는 다수개의 긴장재(10)를 하나의 멀티 디바이스에 통과시켜 한꺼번에 다수개의 긴장재(10)를 유압 실린더(60)로 긴장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다수의 긴장재(10)들을 멀티 디바이스(50)를 통과시킨 후에 그 통과된 긴장재(10)들을 일일이 유압실린더(60)의 인입부측으로 연결시키는 연결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으며, 그 연결작업시 무게가 무거운 유압 실린더(60)를 크레인등의 인양설비를 이용하여 높낮이를 조정하면서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또한, 그 긴장재(10)의 연결과정에서 각 긴장재(10)의 정착길이에 각각 다르게 정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일부 긴장재(10)가 다른 긴장재(10)에 전달되는 긴장력에 차이가 발생되어 실제 설계 긴장량보다 더 적은 긴장력으로 긴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긴장재(10)의 꼬임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한편, 단일 긴장방식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요소는 앞서 멀티 긴장방식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며, 다만 웨지(30)에 정착된 다수개의 긴장재(10)를 하나의 멀티 디바이스(50)에 통과시킨 후에 통과된 긴장재(10)의 단부 들중 하나씩을 유압실린더(60)로 당겨서 긴장시키는 긴장방식에 다소 차이가 있다.
이러한 각각의 긴장재(10)측에 전달되는 긴장력을 동일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불규칙적으로 정착된 각각의 긴장재(10)를 멀티 디바이스측에 설치하는 작업에서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긴장 및 해체작업시 이를 위한 작업과정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긴장재(10)는 해체가 불필요한 반 영구적 구조물이나, 최근에는 본 구조물의 설치를 위해 가설 구조물을 제거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때 긴장재(10)를 직접 절단하여 긴장재(10)의 긴장력을 제거한 후에 긴장재(10)를 해체하는 작업을 수행하였으나, 그 절단작업시 팽팽히 당겨진 긴장재(10)의 긴장력을 일시에 제거하게 될 경우 프리스트레스에 의해 지지하고 있던 구조물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단독 디바이스와 단독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각각의 정착구에 의해 불규칙적으로 정착된 긴장재들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작업이 간편하고, 반복작업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용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앙에 긴장재가 관통되고 일측으로 긴장재가 정착된 웨지의 일부가 수용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이 형성된 일단부 내주면 테두리에 단턱지게 형성되어 상기 웨지의 일면과 접촉되는 웨지 접촉면과,
상기 웨지 접촉면의 외측 테두리에 단턱지도록 형성되어 정착구의 일면이 접촉되는 정착구 접촉면과,
상기 타단부 외주면에 유압 실린더와 연결되도록 요철 형태로 형성된 마찰 접촉면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외주면에 상기 정착구에 결합된 다른 웨지의 외주면 일부위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요홈이 형성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찰 접촉면의 단부 테두리에 상기 유압실린더와의 연결 부위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진 곡면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마찰 접촉면이 형성된 타단부가 일단부로부터 곡선형태로 휘어지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일단부측 정착구 접촉면의 일부위에 외부와 연통되도록 측면으로 웨지 제거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각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 부호를 기재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용 디바이스의 제 1 실시예는, 도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조는 중앙에 긴장재(10)가 관통되는 중공(110)이 형성된 원통형 몸체로 구성되며, 그 중공(110)이 형성된 일단부 내주면 테두리 에 단턱지게 형성되고 긴장재(10)가 정착된 웨지(30)의 일면과 접촉되는 웨지 접촉면(120)과, 그 웨지 접촉면(120)의 외측 테두리에 단턱지도록 형성되어 정착구(20)의 일면이 접촉되는 정착구 접촉면(130)과, 타단부 외주면에 유압 실린더와 연결되도록 다수개의 요철로 형성된 마찰 접촉면(140)으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웨지 접촉면(120)은 중공(110)의 내부로 웨지(30)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정착구 접촉면(130)과 중공(110) 내주면에 대해 단턱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 마찰 접촉면(140)은 유압 실린더(60)의 인입구 내주면과의 연결 결합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다수개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정착구 접촉면(130)은 웨지 접촉면(120)의 외측에 형성되어 몸체 일단부의 테두리에 해당되어 웨지(30)가 고정된 정착구(20)(헤드블럭)의 일면과 면 접촉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원통형 몸체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중공(110)이 형성되고, 그 중공(110)의 내주면 테두리에 단턱진 웨지 접촉면(120)이 형성되며, 그 웨지 접촉면(120)의 외측으로 테두리측에 마련되도록 정착구 접촉면(130)이 형성되며, 그 반대편 타단부측에는 유압 실린더(60)와의 결합을 위한 마찰 접촉면(140)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 제 1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디바이스(100)는, 다수개의 긴장재(10)가 정착구(20)에 고정되도록 결합된 웨지(30)를 통과하면서 불규칙적으로 정착되고, 그 각각의 긴장재 (10)에 프리스트레싱을 가하는 과정에서 그 다수개의 긴장재(10)들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긴장재(10)를 디바이스의 중공(110) 내부로 통과시켜 유압 실린더(60)와 웨지(30) 사이에 디바이스가 개재되도록 한 후에, 유압 실린더(60)를 이용하여 긴장재(10)를 긴장시키는 프리스트레싱 과정을 갖는다.
이때, 그 웨지(30)의 일부가 중공(110) 내부로 수용되면서 그 웨지(30)의 일면이 디바이스(100)의 웨지 접촉면(120)에 면 접촉됨과 동시에, 그 웨지(30)가 고정된 정착구(20)의 일면이 정착구 접촉면(130)에 면 접촉된다.
또한, 디바이스(100)의 몸체 타단부에 형성된 마찰 접촉면(140)은 유압 실린더(60)의 인입구 내주면과 면접촉되면서 연결됨으로써, 유압 실린더(60)가 긴장재(10)의 단부를 당겨 프리스트레싱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나머지 긴장재(10)들을 순서에 관계없이 하나씩 앞서와 같은 프리스트레싱 과정을 통해 긴장재(10)에 동일한 긴장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긴장재(10)를 프리스트레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유압 실린더(60)가 비교적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각각 불규칙적으로 정착된 긴장재(10)들을 동일한 길이로 긴장함으로써 동일한 긴장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제 2실시예
본 발명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용 디바이스의 제 2실시예는,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조는 앞서 설명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로 되어 있으나, 다만 정착구 접촉면(130)을 갖는 일단부 외주면 둘레에 복수개의 요 홈(132)이 형성된 것으로서, 이는 다수의 긴장재(10)가 웨지(30)에 의해 촘촘한 간격으로 배치된 경우, 하나의 긴장재(10)를 선택하여 프리스트레싱 하는 과정에서 근접된 웨지(3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그 요홈(132)들은 몸체 일단부에서 타단부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 요홈(132)들이 경사진 곡선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주변 웨지(30)들에 정착된 긴장재(10)들을 외측으로 휘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제 3실시예
본 발명에 의한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용 디바이스의 제 3실시예는,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성요소는 앞서 설명한 제 1,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지며, 다만 유압 실린더(60)와 연결되도록 인입구 내주면과 접촉되는 마찰 접촉면(140)의 단부가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된 곡면부(145)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 그 곡면부(145)는 마찰 접촉면(140)의 외주면과 외경 차이를 갖도록 단턱지게 형성되어 유압 실린더(60)의 인입구 부위와 연결작업시 인입구내 진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 4실시예
본 발명에 의한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용 디바이스의 제 4실시예는,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성요소는 앞서 설명한 제 1,2,3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지며, 다만 디바이스(100) 몸체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직선 형태가 아니라 곡선 형태로 휘어지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이는 유압 실린더(60)와의 연결되는 공간이 협소할 경우에 휘어진 타단부측을 유압 실린더(60)에 연결시켜 프리스트레싱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 것이다.
제 5실시예
본 발명에 의한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용 디바이스의 제 5실시예는, 도 18 및 도 19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성요소는 앞서 설명한 제 1,2,3,4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지되, 다만 일단부측에 마련된 정착구 접촉면(130)에 외부가 연통되도록 측면으로 길게 웨지 제거홈(150)이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된 것이다.
이는, 웨지(30)에 의해 정착된 긴장재(10)가 프리스트레싱이 도입된 후에 그 간장력을 제거한 후에 긴장재(10)를 해체하기 위해서, 웨지(30)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웨지 제거홈(150)을 통해 단부가 날카로운 별도의 도구(예;칼,드라이버,송곳등)를 이용하여 정착구(20)에 고정된 웨지(30)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그 도구를 웨지 제거홈(150)을 통해 집어 넣은 후에, 통상적으로 3개로 분할된 웨지(30)들중 하나의 간격을 이격시켜 웨지들간의 고정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웨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긴장력이 해소된 긴장재(10)를 정착구(20)로부터 안전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긴장재의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단독 유압 실린더와 같이 사용되어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작업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반복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나씩의 긴장재를 유압 실린더로 프리스트레싱하는 과정에서 신속하게 긴장 및 해체할 수 있으며, 다른 긴장재 및 웨지에 간섭없이 용이하게 다수개의 긴장재를 하나씩 반복적으로 프리스트레싱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긴장재를 해체하는 작업에서 디바이스에 웨지 제거홈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도구를 이용하여 긴장재의 긴장력을 간편하게 해소한 후에, 긴장재를 안전하고 쉽게 해체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5)

  1. 중앙에 긴장재가 관통되고 일측으로 긴장재가 정착된 웨지의 일부가 수용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이 형성된 일단부 내주면 테두리에 단턱지게 형성되어 상기 웨지의 일면과 접촉되는 웨지 접촉면과,
    상기 웨지 접촉면의 외측 테두리에 단턱지도록 형성되어 정착구의 일면이 접촉되는 정착구 접촉면과,
    상기 타단부 외주면에 유압 실린더와 연결되도록 요철 형태로 형성된 마찰 접촉면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용 디바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외주면에 상기 정착구에 결합된 다른 웨지의 외주면 일부위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용 디바이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찰 접촉면은 단부 테두리가 상기 유압실린더와의 연결 부위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진 곡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용 디바이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찰 접촉면이 형성된 타단부가 일단부로부터 곡선형태로 휘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용 디바이스.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단부측 정착구 접촉면의 일부위에 외부와 연통되도록 측면으로 웨지 제거홈이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용 디바이스.
KR1020060085138A 2006-09-05 2006-09-05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용 디바이스 KR100739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138A KR100739879B1 (ko) 2006-09-05 2006-09-05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용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138A KR100739879B1 (ko) 2006-09-05 2006-09-05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용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9879B1 true KR100739879B1 (ko) 2007-07-16

Family

ID=38498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138A KR100739879B1 (ko) 2006-09-05 2006-09-05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용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8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506B1 (ko) * 2011-04-05 2013-05-14 (주)정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조밀하게 배치된 긴장재에 적합한 프리스트레스 잭킹 부속장치
KR101288104B1 (ko) * 2011-04-13 2013-07-19 김용만 강연선 가이드 홀더 및 이를 구비한 강연선 인장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7659A (ja) * 1988-03-26 1989-10-03 Sumitomo Electric Ind Ltd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おけるpc鋼材の緊張方法
US5809710A (en) 1995-09-30 1998-09-22 Dyckerhoff & Widmann Aktiengesellschaft Method of tensioning a tension member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elements
KR100348633B1 (ko) 1999-12-08 2002-08-22 박재만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
KR200348600Y1 (ko) 2003-07-26 2004-05-03 이영환 동시다중 균등긴장 긴장디스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7659A (ja) * 1988-03-26 1989-10-03 Sumitomo Electric Ind Ltd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おけるpc鋼材の緊張方法
US5809710A (en) 1995-09-30 1998-09-22 Dyckerhoff & Widmann Aktiengesellschaft Method of tensioning a tension member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elements
KR100348633B1 (ko) 1999-12-08 2002-08-22 박재만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
KR200348600Y1 (ko) 2003-07-26 2004-05-03 이영환 동시다중 균등긴장 긴장디스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506B1 (ko) * 2011-04-05 2013-05-14 (주)정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조밀하게 배치된 긴장재에 적합한 프리스트레스 잭킹 부속장치
KR101288104B1 (ko) * 2011-04-13 2013-07-19 김용만 강연선 가이드 홀더 및 이를 구비한 강연선 인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966B1 (ko) 각도조절용 앵커브라켓을 구비한 강연선 인장장치
JP5405889B2 (ja) 緊張材の張設方法
CA2253077C (en) Tensionable cable truss support system
BG64426B1 (bg) Система за анкерно фиксиране на панели и/или плочи към носеша конструкция
KR101482388B1 (ko)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KR100739879B1 (ko)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용 디바이스
US4333675A (en) Cable connector
KR101974516B1 (ko) 볼조인트 카르단과 웨지정착구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2008007998A (ja) 斜張ケーブルの架設方法
CN112376916A (zh) 一种预应力钢拉索张拉拧紧装置及施工方法
JP5427657B2 (ja) 緊張材の緊張力解放装置及び緊張力解放方法
KR100443895B1 (ko) 인장케이블의 보수 및 교체를 위한 인장력 제거 장치
KR101645007B1 (ko) 쐐기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쐐기 분리 방법
JPH08170306A (ja) 斜張橋の主塔側斜張ケーブル用サドル構造体
KR102125243B1 (ko) 기시공된 앵커의 재인장 및 인장력 육안확인 장치 시공 방법
CN214462686U (zh) 一种预应力钢拉索张拉拧紧装置
KR100897501B1 (ko) 거푸집 고정 장치
JP6339486B2 (ja) 緊張材の接続具及び定着具
EP3103756B1 (en) A method for attaching a lifting element to a concrete body
KR200271546Y1 (ko) 인장케이블의 보수 및 교체를 위한 인장력 제거 장치
KR100783141B1 (ko) 와이어 로우프용 체결장치
GB2060802A (en) Tensioning system for cables in prestressed concrete
KR102454711B1 (ko) 하중계를 이용한 강연선의 인장 확인과 관리를 위한 그라운드 앵커의 재-인장장치 및 방법
KR200392132Y1 (ko) 제거형 앵커
KR200392134Y1 (ko) 제거형 앵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