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388B1 -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 Google Patents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2388B1 KR101482388B1 KR20130038133A KR20130038133A KR101482388B1 KR 101482388 B1 KR101482388 B1 KR 101482388B1 KR 20130038133 A KR20130038133 A KR 20130038133A KR 20130038133 A KR20130038133 A KR 20130038133A KR 101482388 B1 KR101482388 B1 KR 1014823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tension
- fixing unit
- fixed
- gir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정착유닛 및 제2 정착유닛을 포함하는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착유닛은, 상기 거더의 제1 단부에 설치되는 제1 긴장장착부와, 상기 거더의 제2 단부에서 소정의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매립 설치되는 제1 고정정착부 및 일단은 상기 제1 긴장정착부에 정착되고, 타단은 제1 고정정착부에 정착되는 제1 긴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착유닛은, 상기 거더의 제2 단부에 설치되는 제2 긴장장착부와, 상기 거더의 제1 단부에서 소정의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매립 설치되는 제2 고정정착부 및 일단은 상기 제2 긴장정착부에 정착되고, 타단은 제2 고정정착부에 정착되는 제2 긴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긴장정착부는 제2 고정정착부에, 상기 제2 긴장정착부는 상기 제1 고정정착부에 각각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긴장정착부와 제2 고정정착부 및 제2 긴장정착부와 제1 고정정착부의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거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의 단부에 각각 하나의 긴장정착부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에 관한 것이다.
거더는 교량이 내하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교각의 상부에 설치되고, 그 상부에 콘크리트 슬래브 등이 포설된다. 상기의 거더는 교량의 내하력을 증가시키거나, 과하중이나 사용에 의해 발생된 처짐이나 균열 등에 저항할 수 있도록 긴장력을 도입하여 제조된 프리스트레스트 거더가 사용된다.
프리스트레스트 거더는 인장에 취약한 콘크리트의 특성을 보완하기 위해 고강도 강연선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거더에 사전 압축력을 도입함으로써 인장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이때 교량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강성과 강도확보를 위해 콘크리트 단면은 높이와 폭이 커지게 되는데 이 커진 단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해 수십개의 강연선이 설치되어야 한다. 이때 강연선은 여러 개의 강연선을 하나로 묶은 다발인 긴장부재(텐던)으로 나누어져 정착장치에 고정된다. 보통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는 4~6개 정도의 긴장부재(텐던)가 사용되고 거더의 양단에 정착장치가 필요하므로 그것의 두배인 8~12개의 정착장치가 함께 설치된다.
여러 개의 긴장부재(텐던)는 곧 여러 개의 정착장치와 강연선이 지나가는 쉬스관 설치와 더불어 여러 번의 긴장작업과 그라우팅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부착식 긴장부재를 활용하여 상기 거더의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하는 고정정착장치의 경우는, 첫번째는 부착식 긴장부재의 선단부를 확장하여 콘크리트 내부에 정착하는 방식과 두번째는 긴장부재와 긴장부재를 고정하는 정착판을 일체로 형성하여 콘크리트 내부에 정착하는 방식이 있다.
첫번째 방식의 경우는 확장된 긴장부재의 선단부와 콘크리트의 마찰력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긴장부재에 윤활재가 도포되어 있어 비부착식 긴장부재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적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고, 두번째 방식은 긴장부재와 정착판을 사전에 연결하여 통채로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 점에서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부착식 긴장부재를 활용하여 상기 거더의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하는 고정정착장치의 경우는 긴장부재에 긴장력을 도입하는 시기가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출원번호: 제2011-0136733호 미공개)'으로 고강도 강연선을 활용한 단일 텐던을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 거더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경우 텐던의 수를 하나로 줄임으로써, 하나 또는 다수의 긴장부재가 하나의 정착구를 통하여 정착되어 1회의 긴장과정을 통해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므로 탄성수축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교량의 지간장이 길어질 경우 필요한 강연선의 수가 50-60개에 달하게 되고, 이 경우 강연선을 한번에 긴장할 수 있는 긴장잭이 과대해지고 이러한 긴장잭의 사용은 현실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출원시점인 현재의 기술수준으로는 30개의 강연선을 한번에 긴장할 수 있는 30hole 대형 긴장잭이 존재하고, 이를 이용하여 한번에 30개의 강연선을 한번에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으나, 이를 초과할 경우는 현재 보유 장비로는 한번에 긴장력을 도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 경우, 모노잭을 이용하여 각각의 긴장부재를 개별긴장을 통하여 긴장시키는 방법이 유일하고, 이 경우 탄성수축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 발생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의 각각의 단부에 하나의 긴장정착부를 가지고, 긴장부재를 상기 거더의 양단부로 분산배치시키고, 각각의 단부에 분산된 긴장부재를 대형 긴장잭을 활용하여 한번에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는 프리스트레스트 거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비부착식 긴장부재를 활용하여 쉬스관 설치 및 그라우팅 작업 등 후속작업이 불필요하여 시공기간의 단축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거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의 동일한 단부에 설치되는 긴장정착부와 고정정착부의 간이한 고정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거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고정정착부에 긴장부재의 설치가 용이하여, 간이한 설치가 가능하고, 시공기간단축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거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고정정착부에 긴장부재의 강연선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프리스트레스트 거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제1 정착유닛 및 제2 정착유닛을 포함하는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착유닛은, 상기 거더의 제1 단부에 설치되는 제1 긴장장착부와, 상기 거더의 제2 단부에서 소정의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매립 설치되는 제1 고정정착부 및 일단은 상기 제1 긴장정착부에 정착되고, 타단은 제1 고정정착부에 정착되는 제1 긴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착유닛은, 상기 거더의 제2 단부에 설치되는 제2 긴장장착부와, 상기 거더의 제1 단부에서 소정의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매립 설치되는 제2 고정정착부 및 일단은 상기 제2 긴장정착부에 정착되고, 타단은 제2 고정정착부에 정착되는 제2 긴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긴장정착부는 제2 고정정착부에, 상기 제2 긴장정착부는 상기 제1 고정정착부에 각각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긴장정착부와 제2 고정정착부 및 제2 긴장정착부와 제1 고정정착부의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거더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연결부재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개의 강봉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긴장부재 및 제2 긴장부재는 비부착식 긴장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제1 정착유닛 및 제2 정착유닛을 포함하는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착유닛은,
상기 거더의 제1 단부에 설치되는 제1 긴장장착부와, 상기 거더의 제2 단부에서 소정의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매립 설치되는 제1 고정정착부 및 일단은 상기 제1 긴장정착부에 정착되고, 타단은 제1 고정정착부에 정착되는 제1 긴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착유닛은, 상기 거더의 제2 단부에 설치되는 제2 긴장장착부와, 상기 거더의 제1 단부에서 소정의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매립 설치되는 제2 고정정착부 및 일단은 상기 제2 긴장정착부에 정착되고, 타단은 제2 고정정착부에 정착되는 제2 긴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긴장정착부는 제2 고정정착부에, 상기 제2 긴장정착부는 상기 제1 고정정착부에 각각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 고정정착부 및 제2 고정정착부는, 외곽에 복수개의 수용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고정정착부는, 상기 제1 긴장부재가 삽입 설치되는 복수의 수용홈과, 상기 제2 긴장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긴장부재는, 일단에 그립이 구비된 복수의 강연선을 포함하고, 상기 강연선은 상기 제1 고정정착부의 수용홈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제2 고정정착부는, 상기 제2 긴장부재가 삽입 설치되는 복수의 수용홈과, 상기 제1 긴장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2 긴장부재는, 일단에 그립이 구비된 복수의 강연선을 포함하고, 상기 강연선은 상기 제2 고정정착부의 수용홈에 삽입 고정되는 프리스트레스트 거더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제1 긴장부재 및 제2 긴장부재는 비부착식 긴장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제1 정착유닛 및 제2 정착유닛을 포함하는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착유닛은,
상기 거더의 제1 단부에 설치되는 제1 긴장장착부와, 상기 거더의 제2 단부에서 소정의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매립 설치되는 제1 고정정착부 및 일단은 상기 제1 긴장정착부에 정착되고, 타단은 제1 고정정착부에 정착되는 제1 긴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착유닛은, 상기 거더의 제2 단부에 설치되는 제2 긴장장착부와, 상기 거더의 제1 단부에서 소정의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매립 설치되는 제2 고정정착부 및 일단은 상기 제2 긴장정착부에 정착되고, 타단은 제2 고정정착부에 정착되는 제2 긴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긴장정착부는 제2 고정정착부에, 상기 제2 긴장정착부는 상기 제1 고정정착부에 각각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 고정정착부 및 제2 고정정착부는, 외곽에 복수개의 수용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고정정착부는, 상기 제1 긴장부재가 삽입 설치되는 복수의 수용홈과, 상기 제2 긴장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긴장부재는, 일단에 그립이 구비된 복수의 강연선을 포함하고, 상기 강연선은 상기 제1 고정정착부의 수용홈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제2 고정정착부는, 상기 제2 긴장부재가 삽입 설치되는 복수의 수용홈과, 상기 제1 긴장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2 긴장부재는, 일단에 그립이 구비된 복수의 강연선을 포함하고, 상기 강연선은 상기 제2 고정정착부의 수용홈에 삽입 고정되는 프리스트레스트 거더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제1 긴장부재는 제1 긴장정착부에서 하나의 긴장잭에 의해 복수개의 강연선이 동시에 긴장되고, 제2 긴장부재는 제2 긴장정착부에서 하나의 긴장잭에 의해 복수개의 강연선이 동시에 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바람직하게, 제1 긴장정착부 및 제2 긴장정착부는, 외주면을 따라 선회하는 나선형의 가압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의 각각의 단부에 하나의 긴장정착부를 가지고, 긴장부재를 상기 거더의 양단부로 분산배치함으로써, 거더 전체에 설치되는 긴장부재의 개별 강연선의 수는 감소되지 않으면서, 거더의 각 단부에서 대형 긴장잭에 의해 한번에 긴장력이 도입될 수 있는 강연선의 수는 전체 강연선의 수의 절반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각각의 단부에 분산된 긴장부재를 대형 긴장잭을 활용하여 한번에 긴장력을 도입함으로써, 긴장부재의 탄성수축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의 하나의 단부에 하나의 긴장정착부를 배치하여 긴장정착부 주위의 복잡한 철근배근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인력소모를 저감시키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긴장부재가 비부착식으로 형성되므로, 쉬스관설치나 그라우팅작업 등의 후속작업이 불필요하여 작업공정이 단순해지고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긴장정착부와 상기 고정정착부를 이격시켜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구성을 더 포함하여, 긴장정착부와 고정정착부의 설치위치를 고정하고, 긴장정착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가압스프링의 설치공간의 확보 및 거더의 단부에 배근되는 복잡한 주위철근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부재는 상기 제1 긴장정착부와 제2 고정정착부 및 제2 긴장정착부와 제1 고정정착부의 사이의 이격거리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긴장정착부와 고정정착부의 설치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일단에 그립이 형성된 긴장부재의 강연선을 정정착부의 수용홈에 삽입하는 형식으로 고정정착부에 긴장부재의 강연선을 설치하여, 강연선의 설치와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에 포함되는 정착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제1 정착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b는 제2 정착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제1 정착유닛과 제2 정착유닛을 함께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방향의 단면도와, B-B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의 고정정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고정정착부에 강연선이 설치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긴장정착부와 고정정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제1 정착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b는 제2 정착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제1 정착유닛과 제2 정착유닛을 함께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방향의 단면도와, B-B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의 고정정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고정정착부에 강연선이 설치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긴장정착부와 고정정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거더(100)는 제1 정착유닛(200), 제2 정착유닛(300) 및 연결부재(40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가압스프링(5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1 정착유닛(200) 및 제2 정착유닛(300)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정착유닛(200)은 제1 긴장정착부(210), 제1 고정정착부(220) 및 제1 긴장부재(230)를 포함한다.
제1 정착유닛(200)은 상기 거더(100)의 제1 단부(110)에 설치되는 제1 긴장장착부와, 상기 거더(100)의 제2 단부(120)에서 소정의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매립 설치되는 제1 고정정착부(220) 및 일단은 상기 제1 긴장정착부(210)에 정착되고, 타단은 제1 고정정착부(220)에 정착되는 제1 긴장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정착유닛(200)은 거더(100)의 제1 단부(110)에서 제2 단부(120)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되고, 제2 단부(120)측에 형성된 제2 긴장정착부(310)에 연결부재(400)에 의해 고정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정착유닛(300)은 제2 긴장정착부(310), 제2 고정정착부(320) 및 제2 긴장부재(320)를 포함한다.
제2 정착유닛(300)은 거더(100)의 제2 단부(120)에 설치되는 제2 긴장장착부, 상기 거더(100)의 제1 단부(110)에서 소정의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매립 설치되는 제2 고정정착부(320) 및 일단은 상기 제2 긴장정착부(310)에 정착되고, 타단은 제2 고정정착부(320)에 정착되는 제2 긴장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정착유닛(300)은 거더(100)의 제2 단부(120)에서 제1 단부(110)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되고, 제1 단부(110)측에 형성된 제1 긴장정착부(210)에 연결부재(400)에 의해 고정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거더(100)에 설치되는 긴장부재를 제1 정착유닛(200)과 제2 정착유닛(300)에 제1 긴장부재(230)와 제2 긴장부재(320)로 분산시켜 배치함으로써, 거더(100) 전체에 설치되는 긴장부재의 개별 강연선(W)의 수는 감소되지 않으면서, 거더(100)의 각 단부에서 대형 긴장잭에 의해 한번에 긴장력이 도입될 수 있는 강연선(W)의 수는 전체 강연선(W)의 수의 절반으로 줄일 수 있어, 각 단부의 긴장정착장치에서 한번에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a 및 도 4b에는, 제1 고정정착판과 제2 고정정착판에 각각 7개의 수용홈(S)이 형성되고, 각각의 고정정착판에 6개의 강연선(W)이 배치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수용홈(S)과 강연선(W)의 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고정정착판에 최대 30개의 강연선(W)이 고정될 수 있도록 분산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최대 60개의 강연선(W)이 거더(100)에 배치될 수 있고, 거더(100)의 각각의 단부에 매립되는 긴장정착부에서 30개의 강연선(W)이 대형 긴장잭을 통하여 한번에 긴장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최근에는 하중성능이 향상된 고강도 강연선(W)(2160MPa, 2400MPa)이 개발된 상태인바, 개별 강연선(W)이 가지는 인장강도가 향상되어, 거더(100)에 적용되는 긴장부재의 강연선(W)의 수가 감소될 수 있어, 제1 정착유닛(200)과 제2 정착유닛(300)에 긴장부재 상호간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효과적으로 분산 배치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1 긴장정착부(210)와 제2 긴장정착부(310)를 포함하는 긴장정착부에 대해서 살펴보면,
긴장정착부는 거더(100)에 매설되어 거더(100) 내부에 위치된 긴장부재를 외부로 안내하는 부재로서, 상기 거더(100)의 단부에 노출되고, 긴장잭을 통하여 긴장부재를 긴장시키는 부분이다.
제1 긴장정착부(210)와 제2 긴장정착부(310)는 거더(100)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긴장정착부(210)에는 제1 긴장부재(230)의 단부가 관통되도록 거더(100)의 제1 단부(110)에 매립설치되고, 제2 긴장정착부(310)에는 제2 긴장부재(320)의 단부가 관통되도록 거더(100)의 제2 단부(120)에 매립설치될 수 있다.
긴장정착부에는 상기 긴장부재를 구성하는 복수의 강연선(W)이 개별적으로 정착되는 복수의 정착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긴장정착부는 내부가 중공된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거더(100)에 매설시 거더(100)에서 이탈을 방지토록, 거더(100)에 매설된 긴장정착부의 일단에서 콘크리트에 매설되지 않은 긴장정착부의 타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긴장부재의 개별 강연선(W)은 각각의 정착구의 쐐기부재(미도시)에 의해 정착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정착구(미도시)에 사용되는 쐐기부재(미도시)는 긴장정착부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형상인바 도면에서는 그 도시를 생략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1 고정정착부(220)와 제2 고정정착부(320)를 포함하는 고정정착부에 대해서 살펴보면,
고정정착부는 타설된 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되는 부재로서, 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으므로 상기 긴장정착부에서 긴장잭을 통하여 긴장부재의 일단을 긴장시 고정정착부와 콘크리트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긴장부재의 타단을 콘크리트 내부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정착부(220) 및 제2 고정정착부(320)는 상기 거더(100)의 단부에서 소정의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1 고정정착부(220) 및 제2 고정정착부(320)를 거더(100)의 단부에서 소정의 거리를 이격시키는 것은 긴장정착부와 고정정착부의 설치위치를 고정하고, 긴장정착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가압스프링(500)의 설치공간의 확보 및 거더(100)의 단부에 배근되는 복잡한 주위철근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고정정착부(220) 및 제2 고정정착부(320)는 외곽에 복수개의 수용홈(S)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관통공(H)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정착부(220)는 외곽에 제1 긴장부재(230)가 삽입 설치되는 복수의 수용홈(S)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제1 고정정착부(220)의 내부에는 제2 긴장부재(320)가 관통하는 관통공(H)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긴장부재(230)의 강연선(W)의 일단에는 그립(G)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고정정착부(220)의 수용홈(S)에 강연선(W)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고정정착부(320)는 제2 긴장부재(320)가 삽입 설치되는 복수의 수용홈(S)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제2 고정정착부(320)의 내부에는 제1 긴장부재(230)가 관통하는 관통공(H)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긴장부재(320)의 강연선(W)의 일단에는 그립(G)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고정정착부(320)의 수용홈(S)에 강연선(W)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S)의 폭은 강연선(W)의 직경보다는 크고, 강연선(W)의 일단에 형성된 그립(G)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하여, 수용홈(S)을 통하여 강연선(W)을 삽입하여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긴장정착부(210)에서 제1 긴장부재(230)에 긴장력을 가할 경우 그립(G)이 수용홈(S)에 걸린 상태로 유지되어 제1 긴장부재(230)의 강연선(W)이 수용홈(S)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은 방지될 수 있다.
수용홈(S)은 제1 고정정착부(220) 및 제2 고정정착부(320)의 외곽에 복수개의 수용홈(S)이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S)은 제1 고정정착부(220) 및 제2 고정정착부(320)에 고정되는 제1 긴장부재(230)의 강연선(W)의 수에 비례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수용홈(S)은 제1 긴장부재(230)와 제2 긴장부재(320)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정착부(220)의 상측의 수용홈(S)에는 강연선(W)이 정착되지 않을 수 있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정착부(320)의 하측의 수용홈(S)에는 강연선(W)이 정착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제1 긴장부재(230)와 제2 긴장부재(320)의 간섭을 회피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정착부(220) 및 제2 고정정착부(320)의 형상 및 외곽에 설치되는 수용홈(S)의 수는 제1 긴장부재(230) 및 제2 긴장부재(320)의 강연선(W)의 수 및 그 배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1 긴장부재(230)와 제2 긴장부재(320)를 포함하는 긴장부재를 살펴보면,
긴장부재는 거더(100)에 긴장력을 제공하여 거더(100)의 하부에 균열을 방지하도록 하는 부재로서, 거더(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긴장부재(230)는 일단이 제1 긴장정착부(210)에 정착되고, 타단은 제1 고정정착부(220)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긴장부재(230)는 일단이 거더(100)의 제1 단부(110)에 설치되는 제1 긴장정착부(210)에 정착되고, 타단은 거더(100)의 제2 단부(120)에서 소정의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매립 설치되는 제1 고정정착부(220)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긴장부재(320)는 일단이 제2 긴장정착부(310)에 정착되고, 타단은 제2 고정정착부(320)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긴장부재(320)는 일단이 거더(100)의 제2 단부(120)에 설치되는 제2 긴장정착부(310)로 정착되고, 타단은 거더(100)의 제1 단부(110)에서 소정의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매립 설치되는 제2 고정정착부(320)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긴장부재(230)와 제2 긴장부재(320)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제1 고정정착판에 형성된 수용홈(S)에 고정된 개별 강연선(W)이 모여서 형성된 제1 긴장부재(230)는 관통공(H)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2 긴장부재(320)는 관통공(H)의 중앙에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긴장부재(230)와 제2 긴장부재(320)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제2 고정정착판에 형성된 수용홈(S)에 고정된 개별 강연선(W)이 모여서 형성된 제2 긴장부재(320)는 관통공(H)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1 긴장부재(230)는 관통공(H)의 중앙에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긴장부재(230)와 제2 긴장부재(320)는 상호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긴장부재(230)와 제2 긴장부재(320)에는 부분적으로 꺽인 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격한 꺽임은 다소 과장된 표현일 수 있고, 완만한 곡선형으로 꺽이도록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긴장부재(230) 및 제2 긴장부재(320)의 강연선(W)의 일단에는 그립(G)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고정정착부(220)의 수용홈(S)에 강연선(W)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연선(W)의 직경은 수용홈(S)의 폭보다 작고, 강연선(W)의 일단에 형성된 그립(G)의 직경은 수용홈(S)의 폭보다 크게 형성하여 수용홈(S)에 강연선(W)이 용이하게 삽입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긴장정착부에서 긴장부재에 긴장력을 가할 경우 그립(G)이 수용홈(S)에 걸린 상태로 유지되어 긴장부재의 강연선(W)이 수용홈(S)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일단에 그립(G)이 형성된 긴장부재의 강연선(W)을 정정착부의 수용홈(S)에 삽입하는 형식으로 고정정착부에 긴장부재의 강연선(W)을 설치하여, 강연선(W)의 설치와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긴장부재(230) 및 제2 긴장부재(320)는 비부착식 긴장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비부착식 긴장부재는 내측에는 강연선(W) 등의 긴장부재를 배치하고, 그 주위에 그리스 등의 윤활제가 충전되고, 그 외측에는 외피의 역할을 하는 피복이 둘러싸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비부착식 긴장부재는 긴장부재의 외부에 윤활제가 충전되어 있으므로, 긴장부재에 긴장력을 도입하는 시기는 자유자제로 할 수 있다.
또한, 쉬스관설치나 그라우팅작업 등의 후속작업이 불필요하여 작업공정이 단순해지고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긴장부재는 긴장정착부에 구비되는 정착구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어 긴장된 후, 긴장정착부에 형성된 각각의 정착구의 쐐기부재에 의해 정착될 수 있다.
최근에는 고강도 강연선(2160MPa, 2400MPa)을 활용하여 긴장부재를 구성함으로써, 개개의 긴장부재가 가지는 인장강도가 향상시켜, 거더(100)에 적용되는 긴장부재의 수량, 정착구의 수량 및 긴장력 도입횟수의 감소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연결부재(400)에 대하여 살펴본다.
연결부재(400)는 상기 거더(100)의 동일한 단부에 설치되는 긴장정착부와 고정정착부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00)의 일단은 고정정착부의 외곽에 형성된 수용홈(S)과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H)의 중간부분에 고정될 수 있고, 타단은 긴장정착부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긴장정착부(210)와 제2 고정정착부(320) 및 상기 제2 긴장정착부(310)와 상기 제1 고정정착부(220)가 각각 별도의 연결부재(4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는 2개의 연결부재(400)에 의해 동일한 거더(100)의 단부에 위치하는 긴장정착부와 고정정착부가 연결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3개 또는 4개의 연결부재(400)에 의해 연결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연결부재(400)는 상기 제1 긴장정착부(210)와 제2 고정정착부(320)의 사이의 이격거리 및 제2 긴장정착부(310)와 제1 고정정착부(220)의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연결부재(400)는 긴장정착부와 고정정착부에 용접 접합되는 복수개의 강봉으로 구성될 수 있고, 긴장정착부와 고정정착부의 필요한 이격거리에 맞게 강봉을 절단가공한 후 긴장정착부와 고정정착부에 각각 용접하는 방식으로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연결부재(40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개의 강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긴장정착부와 고정정착부의 이격거리의 조절은 강봉의 회전에 의해 긴장정착부와 고정정착부의 이격거리는 조절될 수 있고, 강봉의 일단은 고정정착부를 관통하고 타단은 긴장정착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양단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긴장정착부와 고정정착부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가압스프링(500)에 대하여 살펴본다.
가압스프링(500)은 제1 긴장정착부(210)와 제2 긴장정착부(310)와 거더(100)의 콘크리트부재를 견고하게 합성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가압스프링(500)은 제1 긴장정착부(210)와 제2 긴장정착부(310)의 외주면을 따라 선회하는 형태의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스프링(500)은 긴장정착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부재의 구속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횡보강효과 또한 확보할 수 있고, 긴장정착부 주변에 설치되는 철근배근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먼저,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110: 제1 단부
120: 제2 단부 200: 제1 정착유닛
210: 제1 긴장정착부 220: 제1 고정정착부
230: 제1 긴장부재 300: 제2 정착유닛
310: 제2 긴장정착부 320: 제2 고정정착부
330: 제2 긴장부재 400: 연결부재
500: 가압스프링 W: 강연선
S: 수용홈 H: 관통공
G: 그립
120: 제2 단부 200: 제1 정착유닛
210: 제1 긴장정착부 220: 제1 고정정착부
230: 제1 긴장부재 300: 제2 정착유닛
310: 제2 긴장정착부 320: 제2 고정정착부
330: 제2 긴장부재 400: 연결부재
500: 가압스프링 W: 강연선
S: 수용홈 H: 관통공
G: 그립
Claims (8)
- 삭제
- 삭제
- 제1 정착유닛 및 제2 정착유닛을 포함하는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착유닛은,
상기 거더의 제1 단부에 설치되는 제1 긴장장착부와, 상기 거더의 제2 단부에서 소정의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매립 설치되는 제1 고정정착부 및 일단은 상기 제1 긴장정착부에 정착되고, 타단은 제1 고정정착부에 정착되는 제1 긴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착유닛은,
상기 거더의 제2 단부에 설치되는 제2 긴장장착부와, 상기 거더의 제1 단부에서 소정의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매립 설치되는 제2 고정정착부 및 일단은 상기 제2 긴장정착부에 정착되고, 타단은 제2 고정정착부에 정착되는 제2 긴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긴장정착부는 제2 고정정착부에, 상기 제2 긴장정착부는 상기 제1 고정정착부에 각각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긴장정착부와 제2 고정정착부 및 제2 긴장정착부와 제1 고정정착부의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개의 강봉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긴장부재 및 상기 제2 긴장부재는 비부착식 긴장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 제1 정착유닛 및 제2 정착유닛을 포함하는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착유닛은,
상기 거더의 제1 단부에 설치되는 제1 긴장장착부와, 상기 거더의 제2 단부에서 소정의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매립 설치되는 제1 고정정착부 및 일단은 상기 제1 긴장정착부에 정착되고, 타단은 제1 고정정착부에 정착되는 제1 긴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착유닛은,
상기 거더의 제2 단부에 설치되는 제2 긴장장착부와, 상기 거더의 제1 단부에서 소정의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매립 설치되는 제2 고정정착부 및 일단은 상기 제2 긴장정착부에 정착되고, 타단은 제2 고정정착부에 정착되는 제2 긴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긴장정착부는 제2 고정정착부에, 상기 제2 긴장정착부는 상기 제1 고정정착부에 각각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 고정정착부 및 제2 고정정착부는,
외곽에 복수개의 수용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고정정착부는,
상기 제1 긴장부재가 삽입 설치되는 복수의 수용홈과, 상기 제2 긴장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긴장부재는, 일단에 그립이 구비된 복수의 강연선을 포함하고, 상기 강연선은 상기 제1 고정정착부의 수용홈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제2 고정정착부는,
상기 제2 긴장부재가 삽입 설치되는 복수의 수용홈과, 상기 제1 긴장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2 긴장부재는, 일단에 그립이 구비된 복수의 강연선을 포함하고, 상기 강연선은 상기 제2 고정정착부의 수용홈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긴장부재는 제1 긴장정착부에서 하나의 긴장잭에 의해 복수개의 강연선이 동시에 긴장되고,
제2 긴장부재는 제2 긴장정착부에서 하나의 긴장잭에 의해 복수개의 강연선이 동시에 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긴장정착부 및 제2 긴장정착부는,
외주면을 따라 선회하는 나선형의 가압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38133A KR101482388B1 (ko) | 2013-04-08 | 2013-04-08 |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38133A KR101482388B1 (ko) | 2013-04-08 | 2013-04-08 |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1945A KR20140121945A (ko) | 2014-10-17 |
KR101482388B1 true KR101482388B1 (ko) | 2015-01-13 |
Family
ID=51993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38133A KR101482388B1 (ko) | 2013-04-08 | 2013-04-08 |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238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750599A (zh) * | 2017-11-07 | 2019-05-14 | 上海同吉建筑工程设计有限公司 | 缓粘结低回缩预应力短索体系及计算、张拉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78150A (ko) | 2014-12-24 | 2016-07-04 | 주식회사 포스코 |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2048287B1 (ko) * | 2018-12-05 | 2020-01-08 | (주)삼현피에프 |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용 강연선 분산형 고정 정착 장치 |
CN109898866B (zh) * | 2019-03-20 | 2020-11-06 | 中亿丰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分段施工的有粘结后张拉预应力梁两端张拉结构 |
KR102299711B1 (ko) * | 2020-09-15 | 2021-09-07 | 김의헌 | Psc 거더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거더 |
CN115653338B (zh) * | 2022-10-14 | 2024-05-17 | 重庆科技学院 | 一种cfrp板材-sma丝复合材料的组合锚具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52450A (ja) * | 1999-11-26 | 2001-06-05 | Nippon Zenith Pipe Co Ltd | 圧着グリップ付pcケーブル用プレート |
KR20120116041A (ko) * | 2011-04-12 | 2012-10-22 | 주식회사 일원테크 |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용 강연선 정착장치 |
KR20130013824A (ko) * | 2011-07-29 | 2013-02-06 | 이재원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정착구 보강구조 |
KR101244219B1 (ko) * | 2012-09-03 | 2013-03-18 | 심준기 | 피에스씨 빔, 이를 이용한 에스씨피 거더 및 그 제조방법 |
-
2013
- 2013-04-08 KR KR20130038133A patent/KR10148238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52450A (ja) * | 1999-11-26 | 2001-06-05 | Nippon Zenith Pipe Co Ltd | 圧着グリップ付pcケーブル用プレート |
KR20120116041A (ko) * | 2011-04-12 | 2012-10-22 | 주식회사 일원테크 |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용 강연선 정착장치 |
KR20130013824A (ko) * | 2011-07-29 | 2013-02-06 | 이재원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정착구 보강구조 |
KR101244219B1 (ko) * | 2012-09-03 | 2013-03-18 | 심준기 | 피에스씨 빔, 이를 이용한 에스씨피 거더 및 그 제조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750599A (zh) * | 2017-11-07 | 2019-05-14 | 上海同吉建筑工程设计有限公司 | 缓粘结低回缩预应力短索体系及计算、张拉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1945A (ko) | 2014-10-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82388B1 (ko) |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 |
KR101676321B1 (ko) | 모노 스트랜드 잭을 사용할 수 있는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이를 이용한 거더교의 시공방법 | |
KR101065217B1 (ko) | 긴장 및 재긴장이 가능한 긴장장치 | |
JP2006526716A (ja) | 平行ワイヤケーブルを固定する方法および建造物用の懸架機構 | |
JP6718658B2 (ja) |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床版 | |
KR101346344B1 (ko) | 콘크리트 내부에 긴장재 고정 정착부를 구비한 비부착식 psc i 빔 및 그 제조 방법 | |
KR0173153B1 (ko) | 교량 빔 보강공법 및 그 장치 | |
JP2014222005A (ja) | Pc外ケーブルの緊張力解放方法 | |
KR101130968B1 (ko) |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 고정구조 | |
KR101166567B1 (ko) | 회전바를 구비한 스트랜드 콤팩터 및 이를 이용한 스트랜드 형성 방법 | |
KR20110074299A (ko) | 복수 유닛 구조의 주케이블을 갖는 현수교 | |
KR101335368B1 (ko) | 곡선형 상·하현재를 구비한 텐셔닝 에어빔 시스템 | |
KR101522608B1 (ko) | 응력분산 정착구와 외부강선을 이용한 구조물 보강공법 | |
KR101510514B1 (ko) |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 |
KR20080004293A (ko) |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 및 보강공법 | |
KR20140048487A (ko) |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 및 이를 채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 |
KR101807234B1 (ko) | 교량의 상부슬래브 압축력 도입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교량 시공방법 | |
KR101471648B1 (ko) | 하이브리드 텐던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의 제작 방법 | |
KR20170043687A (ko) | 교량의 상부슬래브 압축력 도입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교량 시공방법 | |
KR101274988B1 (ko) | 긴장도입장치 | |
JP2011043025A (ja) | 緊張材を用いた構造物の補強方法 | |
KR101439867B1 (ko) | 콤팩트 텐던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 |
JP5427657B2 (ja) | 緊張材の緊張力解放装置及び緊張力解放方法 | |
JPH08170306A (ja) | 斜張橋の主塔側斜張ケーブル用サドル構造体 | |
KR101540729B1 (ko) |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