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8487A -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 및 이를 채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 Google Patents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 및 이를 채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48487A KR20140048487A KR1020120114413A KR20120114413A KR20140048487A KR 20140048487 A KR20140048487 A KR 20140048487A KR 1020120114413 A KR1020120114413 A KR 1020120114413A KR 20120114413 A KR20120114413 A KR 20120114413A KR 20140048487 A KR20140048487 A KR 201400484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 reinforcing
- fixing
- rib
- pos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E04C3/2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prestress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강재의 정착부에 발생하는 응력이 효과적으로 분산되는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 및 이를 채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는 강재가 통과되기 위한 중공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의 일단에 구비된 정착판; 상기 몸체의 외주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의 타단에 구비된 정착리브; 및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서 양단이 상기 정착판과 정착리브를 각각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외측 모서리에 철근을 수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철근 수용홈이 형성된 복수의 보강리브;를 포함한다.
또한, 개시되는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를 채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구조물에 포스트텐션을 가하는 강재; 내부에 상기 강재가 삽입되는 쉬스관; 상기 쉬스관의 끝단에 결합되는 강재 정착구; 상기 강재 정착구의 보강리브에 형성된 철근 수용홈에 체결되는 철근부재; 상기 철근부재, 상기 강재 정착구의 몸체 및 상기 쉬스관을 감싸며 타설된 콘크리트; 및 상기 강재 정착구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강재를 고정하는 앵커헤드;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는 강재가 통과되기 위한 중공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의 일단에 구비된 정착판; 상기 몸체의 외주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의 타단에 구비된 정착리브; 및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서 양단이 상기 정착판과 정착리브를 각각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외측 모서리에 철근을 수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철근 수용홈이 형성된 복수의 보강리브;를 포함한다.
또한, 개시되는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를 채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구조물에 포스트텐션을 가하는 강재; 내부에 상기 강재가 삽입되는 쉬스관; 상기 쉬스관의 끝단에 결합되는 강재 정착구; 상기 강재 정착구의 보강리브에 형성된 철근 수용홈에 체결되는 철근부재; 상기 철근부재, 상기 강재 정착구의 몸체 및 상기 쉬스관을 감싸며 타설된 콘크리트; 및 상기 강재 정착구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강재를 고정하는 앵커헤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 및 이를 채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재의 정착부에 발생하는 응력이 효과적으로 분산되는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 및 이를 채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은 인장력에 취약한 콘크리트에 선압축력을 가하여 단면 하부 인장구역에도 압축상태를 유지하도록해 콘크리트 거더 또는 보의 강도와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물이다.
프리스트레스를 콘크리트에 주는 방법에는 프리텐셔닝(pretensioning) 공법과 포스트텐셔닝(posttensioning) 공법이 있다.
여기서, 프리텐셔닝 공법은 긴장재에 인장력을 준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한 후 긴장재의 양단부를 벗겨 콘크리트에 압축력으로서 부담을 시키는 공법이다.
반면, 포스트텐셔닝 공법은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사전에 만들어 둔 쉬스관에 긴장재를 넣어 잡아당겨 긴장재의 양단을 콘크리트 부재 단부에 고정하는 공법이다.
포스트텐셔닝 공법은 조립 철근 사이로 긴장재가 통과하는 쉬스관을 배치하고, 콘크리트 타설 후 긴장재를 정착구에 정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포스트텐셔닝 공법에서 긴장재의 정착 구역은 긴장재에 의해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콘크리트로 분산시킴으로써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전체에 동일한 응력 분포를 갖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정착구역에는 교축방향으로 압축 응력이 작용함과 동시에 횡방향으로 쪼갬 응력이 발생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포스트텐션용 강재 정착구와 이를 채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포스트텐션이 적용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수평으로 배근된 철근(20)과 수직으로 배근된 철근(30)을 포함하는 철근 골조와, 내부에 강재(70)가 삽입되는 쉬스관(40)과, 쉬스관(40)에 연결되며 구조물의 끝단에 배치되어 강재를 정착시키는 정착구(50)와, 정착구(50)에 장착되어 긴장된 강재를 고정시키는 앵커헤드(60) 그리고, 철근 골조, 쉬스관 및 정착구를 감싸며 타설된 콘크리트(10)로 구성된다.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강재(70)가 긴장됨으로 인해, 구조물의 양단에 설치된 정착구(50) 간에 상대방향으로 강한 압력이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정착구(50)는 정착구(50)의 본체만으로 콘크리트에 압력을 가하게되므로, 콘크리트에 강한 응력이 국부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정착구(50)가 설치된 부분이 함몰되거나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콘크리트 파손 문제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강재의 긴장에 의해 정착구 설치부위에서 구조물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 및 이를 채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강재가 통과되기 위한 중공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의 일단에 구비된 정착판; 상기 몸체의 외주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의 타단에 구비된 정착리브; 및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서 양단이 상기 정착판과 정착리브를 각각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외측 모서리에 철근을 수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철근 수용홈이 형성된 복수의 보강리브;를 포함하는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리브는 모서리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리브는 외측 모서리가 상기 정착판 둘레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몸체로부터의 돌출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몸체의 사방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정착리브는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간격을 가지고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정착리브 간에는 상기 보강리브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철근 수용홈은 수용되는 철근이 체결되도록 수용되는 철근의 두께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구조물에 포스트텐션을 가하는 강재; 내부에 상기 강재가 삽입되는 쉬스관; 상기 쉬스관의 끝단에 결합되는 강재 정착구; 상기 강재 정착구의 보강리브에 형성된 철근 수용홈에 체결되는 철근부재; 상기 철근부재, 상기 강재 정착구의 몸체 및 상기 쉬스관을 감싸며 타설된 콘크리트; 및 상기 강재 정착구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강재를 고정하는 앵커헤드;를 포함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상기 강재 정착구의 타단에 구비된 정착리브의 타측면에 접하도록 배근되어 상기 정착리브를 지지하는 철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배근되는 철근과 정착구가 체결되어, 강재의 긴장에 의해 정착구에 작용하는 압축하중과 이러한 압축하중에 대응하는 응력이 철근과 콘크리트로 분산됨으로써, 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강재에 강한 긴장력을 인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보강리브가 정착판의 둘레를 넘지 않도록 구성되어, 철근이 정착판의 안쪽으로 배근되므로써, 강재가 삽입된 몸체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포스트텐션용 강재 정착구와 이를 채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착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착구가 채용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정착구와 철근부재의 결합상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정착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착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착구가 채용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정착구와 철근부재의 결합상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정착구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재 정착구에 대해서 살펴본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재 정착구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재 정착구(100)는 몸체(110), 정착판(120), 정착리브(130) 및 보강리브(14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10)는 강재(250)가 통과되기 위한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공이 형성된 사각기둥, 오각기둥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110)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즉, 도 2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몸체(110)가 테이퍼진 형태를 가지는 경우에는, 몸체(110)의 일부가 콘크리트(210)에 매설된 상태에서 강재(250)의 긴장에 의해 몸체(110)가 콘크리트(210) 방향으로 압력하중을 받을 때, 점점 넓어지는 외경을 통해 콘크리트(210)에 지지되므로, 상기 압력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되고, 몸체(110)가 정위치에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정착판(120)은 몸체(110)의 외주방향을 따라 몸체(1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면을 형성하도록 몸체(110)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착판(120)은 몸체(110)의 중공에 대응하는 중공이 형성된 원형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정착판(120)은 몸체(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결합되며, 몸체(110)를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충분한 면적이 확보되도록 충분한 크기의 직경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 정착판(120)의 직경은 몸체(110)의 외경보다 1.5배 내지 2.5배의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착리브(130)는 몸체(110)의 외주방향을 따라 몸체(1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면을 형성하도록 몸체(110)의 타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정착리브(130)는 상기 정착판(120)에 대응하여 몸체(110)의 타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정착판(120)과 마찬가지로 몸체(110)의 중공에 대응하는 형태의 중공이 형성된 원형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정착리브(130)와 정착판(120)은 정착리브(130)가 정착판(120)보다 직경이 작다는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리브(140)는 양단이 정착판(120)과 정착리브(130)를 각각 지지하도록, 몸체(110)의 외주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정착판(120)과 정착리브(130)에 연결된 구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보강리브(140)는 정착판(120)과 정착리브(130)를 서로 지지하며, 정착판(120)과 정착리브(130) 서로간에 응력을 분산시킴으로써, 몸체(110), 정착판(120) 및 정착리브(130)로 구성된 구조물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보강리브(140)는 몸체(11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서로 간격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는 몸체(110)의 사방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보강리브(140)에는 외측 모서리에 철근을 수용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철근 수용홈(14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철근 수용홈(142)은 보강리브(140)의 외측 모서리 부분이 후술할 철근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강리브(140)와 후술할 철근부재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철근 수용홈(142)는 수용되는 철근부재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철근 수용홈(142)에 철근부재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철근 수용홈(142)은 보강리브(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철근 수용홈(142)은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는 보강리브(140)에 2개의 철근 수용홈(142)이 형성된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보강리브(140)는 외측 모서리가 정착판(120) 둘레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보강리브(140)의 몸체(110)로부터 외측 모서리까지의 거리인 보강리브(140)의 돌출높이는 정착판(120)의 둘레를 넘지 않는 높이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해서 살펴본다. 여기서, 도 3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4는 강재 정착구와 철근부재의 결합상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200)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재 정착구(100)가 채용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200)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200)은 강재(250), 쉬스관(240), 강재 정착구(100), 철근부재, 콘크리트(210) 및 앵커헤드(26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강재(250)는 긴장되어 구조물에 포스트텐션을 가하는 부재로서, 강선, 강연선, 경강선, 강봉 등 다양한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쉬스(sheath)관(240)은 내부에 강재(250)가 삽입 배치되는 강재(250)의 케이스로서, 콘크리트(210)에 매설된다.
그리고, 상기 강재 정착구(100)는 쉬스관(240)에 끝단에 결합되며,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재 정착구(100)이므로, 그 구조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철근부재는 콘크리트(210)의 단결을 도모하고, 구조물의 구조성능을 강화시키는 골조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 구조물의 길이방향으로 배근되는 수평 철근부재(220)와 구조물의 길이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근되는 수직 철근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철근부재(230)는 강재 정착구(100)의 보강리브(140)에 형성된 철근 수용홈(142)에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직 철근부재(230)와 강재 정착구(100)의 결합구조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210)는 철근부재 그리고, 강재 정착구(100)의 몸체(110) 및 쉬스관(240)을 감싸며 타설될 수 있다. 콘크리트(2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200)의 외형을 구성하며, 강재(250)의 긴장력을 통해 압축하중을 받아 인장력에 저항하는 성능 보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앵커헤드(260)는 강재 정착구(100)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강재(250)를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앵커헤드(260)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앵커헤드(260)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200)에서, 강재 정착구(100)는 앵커헤드(260)와 협력하여, 긴장된 강재(250)가 구조물의 양단에 정착되어 구조물에 안정적으로 긴장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강재(25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강재 정착구(100)의 보강리브(140)에 형성된 철근 수용홈(142)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철근부재(230)가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수직 철근부재(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 정착구(100)의 단면에 대응하는 크기의 사각형이 형성되도록 서로 교차하며 배치되는 수직 철근부재(230)로 구성될 수 있다.
단, 수직 철근부재(230)의 배근형태는 도 3의 일 실시예와 같은 십자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강재 정착구(100)의 보강리브(140)에 형성된 철근 수용홈(142)에 수직 철근부재(230)가 수용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수직 철근부재(230)는 구조물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서로 간격을 가지고 배근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수직 철근부재(230)는 동일한 형상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이러한 수직 철근부재(230)와 철근 수용홈(142)의 체결을 위해, 보강리브(140)의 모서리는 몸체(110)의 길이방향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서, 강재 정착구(100)의 타단에 구비된 정착리브(130)의 타측면 즉, 바깥쪽 면에는 복수의 수직 철근부재(230) 중에서 하나의 수직 철근부재(230)가 접하도록 배근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착리브(130)의 타측면에 접하도록 배근된 수직 철근부재(230)는 강재 정착구(100)에 압력하중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정착리브(13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200)은 강재 정착구(100)가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하중전달성능 외에 철근부재가 기계적으로 강재 정착구(100)를 보강하도록 구성되어 하중의 흐름체계가 개선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강재 정착구(100)에 작용하는 압력하중은 보강리브(140)에 체결된 복수의 수직 철근부재(230)를 통해 구조물의 넓은 영역으로 분산될 수 있고, 이로써, 하중에 대한 응력이 분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200)은 압축력에 대해 높은 강도특성을 가지는 콘크리트(210)를 이용하여 강재 정착구(100)의 압력하중에 저항할 수 있으므로, 강재(250)에 강한 긴장력을 인가하는 경우에도 구조물의 함몰, 균혈 등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동시에 인장력에 취약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강한 텐셔닝을 인가할 수 있어 구조물의 구조성능도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강재 정착구의 사시도로서, 도 5를 보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강재 정착구(100')는 정착리브(130)와 보강리브(140)가 다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정착리브(130,130')는 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간격을 가지고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정착리브(130,130') 간에는 보강리브(14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재 정착구(100)의 몸체(110)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몸체(110)의 중앙부와 타단에 각각 정착리브(130,13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정착판(120)과 중앙부의 정착리브(130) 간에 보강리브(140)가 구비되고, 몸체(110)의 중앙부측 정착리브(130)와 몸체(110)의 타단측 정착리브(130') 간에도 보강리브(1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몸체(110)의 중앙부측 정착리브(130)와 몸체(110)의 타단측 정착리브(130') 간에 구비된 보강리브(140')에도 철근부재가 체결될 수 있는 철근 수용홈(14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정착판(120)과 중앙부의 정착리브(130) 간에 구비된 보강리브(140)와 몸체(110)의 중앙부측 정착리브(130)와 몸체(110)의 타단측 정착리브(130') 간에 구비된 보강리브(140') 모두 정착판(120)의 둘레를 넘지 않는 돌출높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철근부재가 정착판(120)의 안쪽으로 배근되어, 강재가 삽입배치되어 몸체(110)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응력이 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 강재 정착구 110 : 몸체
120 : 정착판 130 : 정착리브
140 : 보강리브 142 : 철근 수용홈
200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210 : 콘크리트
220 : 수평 철근부재 230 : 수직 철근부재
240 : 쉬스관 250 : 강재
260 : 앵커헤드
120 : 정착판 130 : 정착리브
140 : 보강리브 142 : 철근 수용홈
200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210 : 콘크리트
220 : 수평 철근부재 230 : 수직 철근부재
240 : 쉬스관 250 : 강재
260 : 앵커헤드
Claims (8)
- 강재가 통과되기 위한 중공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의 일단에 구비된 정착판;
상기 몸체의 외주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의 타단에 구비된 정착리브; 및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서 양단이 상기 정착판과 정착리브를 각각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외측 모서리에 철근을 수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철근 수용홈이 형성된 복수의 보강리브;
를 포함하는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모서리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 수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외측 모서리가 상기 정착판 둘레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몸체로부터의 돌출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몸체의 사방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리브는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간격을 가지고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정착리브 간에는 상기 보강리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수용홈은 수용되는 철근이 체결되도록 수용되는 철근의 두께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정착구. - 구조물에 포스트텐션을 가하는 강재;
내부에 상기 강재가 삽입되는 쉬스관;
상기 쉬스관의 끝단에 결합되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강재 정착구;
상기 강재 정착구의 보강리브에 형성된 철근 수용홈에 체결되는 철근부재;
상기 철근부재, 상기 강재 정착구의 몸체 및 상기 쉬스관을 감싸며 타설된 콘크리트; 및
상기 강재 정착구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강재를 고정하는 앵커헤드;
를 포함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구의 타단에 구비된 정착리브의 타측면에 접하도록 배근되어 상기 정착리브를 지지하는 철근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4413A KR101420661B1 (ko) | 2012-10-15 | 2012-10-15 |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 및 이를 채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4413A KR101420661B1 (ko) | 2012-10-15 | 2012-10-15 |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 및 이를 채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8487A true KR20140048487A (ko) | 2014-04-24 |
KR101420661B1 KR101420661B1 (ko) | 2014-07-21 |
Family
ID=50654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4413A KR101420661B1 (ko) | 2012-10-15 | 2012-10-15 |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 및 이를 채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0661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804326A (zh) * | 2016-04-07 | 2016-07-27 | 柳州欧维姆结构检测技术有限公司 | 回绕式预应力钢丝绳锚固体系及其施工方法 |
KR20180001113U (ko) * | 2016-10-13 | 2018-04-23 | 서울주택도시공사 | 콘크리트 슬래브에 배근되는 상부 철근의 고정 유닛 |
KR101939676B1 (ko) * | 2018-09-04 | 2019-01-17 |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 고효율 경량 정착부 구조 |
CN109989531A (zh) * | 2019-04-09 | 2019-07-09 | 长安大学 | 一种高强钢筋锚固装置及其实施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00944A (ja) * | 1997-09-25 | 1999-04-13 | Kajima Corp |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構造におけるプレストレス鋼材の端部定着構造 |
JP3445555B2 (ja) * | 2000-05-15 | 2003-09-08 | 住友電工スチールワイヤー株式会社 | Pcケーブルの定着装置 |
KR101104212B1 (ko) * | 2008-06-04 | 2012-01-10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 프리스트레스 강선 정착 장치 |
KR20120042510A (ko) * | 2010-10-25 | 2012-05-03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긴장재 정착 장치 |
-
2012
- 2012-10-15 KR KR1020120114413A patent/KR101420661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804326A (zh) * | 2016-04-07 | 2016-07-27 | 柳州欧维姆结构检测技术有限公司 | 回绕式预应力钢丝绳锚固体系及其施工方法 |
KR20180001113U (ko) * | 2016-10-13 | 2018-04-23 | 서울주택도시공사 | 콘크리트 슬래브에 배근되는 상부 철근의 고정 유닛 |
KR101939676B1 (ko) * | 2018-09-04 | 2019-01-17 |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 고효율 경량 정착부 구조 |
CN109989531A (zh) * | 2019-04-09 | 2019-07-09 | 长安大学 | 一种高强钢筋锚固装置及其实施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20661B1 (ko) | 2014-07-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48629B1 (ko) | 교량의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강형보의 연결장치 및 그연결장치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강형보의 연결방법 | |
KR101420661B1 (ko) |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 및 이를 채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 |
US10633861B2 (en) | Post-tension tendon pocket former with a ribbed formwork securing mechanism and method of use thereof | |
KR100903211B1 (ko) |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 |
JP6307823B2 (ja) | プレキャストアーチトンネル | |
KR20140121945A (ko) |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 |
KR102284999B1 (ko) | 이격 보강부재 및 외부 보강강판을 활용한 콘크리트 기둥 구조물의 내진, 보수, 보강공법 | |
KR101389044B1 (ko) | 교량용 강재거더 및 그 제작 방법과, 강재거더를 교각에 강결 설치하는 시공방법 | |
KR101522608B1 (ko) | 응력분산 정착구와 외부강선을 이용한 구조물 보강공법 | |
KR101124820B1 (ko) | 슬래브 구축용 결합구조 | |
KR101471648B1 (ko) | 하이브리드 텐던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의 제작 방법 | |
KR100356063B1 (ko) | 피에스강선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방법 | |
KR101775583B1 (ko) | 긴장재 중심축조정용 정착장치가 구비된 거더 | |
KR20150048993A (ko) | 중공슬래브용 부력방지장치 | |
JPH09151611A (ja) |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の補強方法 | |
KR101292369B1 (ko) | 고강도 다각형 원심성형 기둥과 철골보의 접합구조 | |
KR100993020B1 (ko) | 강관말뚝과 콘크리트 기초의 결합을 위한 결합조립체, 및 결합조립체를 이용한 강관말뚝과 콘크리트 기초의 결합구조 | |
KR20200061868A (ko) | 2차 긴장을 이용한 거더교의 보강장치 및 방법 | |
JP2007032055A (ja) | コンクリート成形体のボイドユニット | |
JP4870004B2 (ja) | 定着構造 | |
KR20140080630A (ko) | 콤팩트 텐던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 |
JP2014214457A (ja) | 耐荷体及びグラウンドアンカー | |
KR102317000B1 (ko) | 콘크리트 일부 충진 강관 및 이의 제조방법 | |
JP4706129B2 (ja) | 金属管とコンクリートビームまたはスラブとの連結具、この連結された格子構造を備えた構造物と該構造物の応用 | |
KR200278091Y1 (ko) | 사장 외부케이블을 이용한 손상된 교량에서의 보수보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