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293A -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 및 보강공법 - Google Patents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 및 보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293A
KR20080004293A KR1020060063111A KR20060063111A KR20080004293A KR 20080004293 A KR20080004293 A KR 20080004293A KR 1020060063111 A KR1020060063111 A KR 1020060063111A KR 20060063111 A KR20060063111 A KR 20060063111A KR 20080004293 A KR20080004293 A KR 20080004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ixing device
saddle
saddle portion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형철
Original Assignee
(주)이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알테크 filed Critical (주)이알테크
Priority to KR1020060063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293A/ko
Publication of KR20080004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2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 및 보강공법이 개시된다. 구조체의 일면에 결합되어 구조체의 타면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는 장치로서, 구조체의 일면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정착장치와, 제1 정착장치에 대향하여 구조체의 일면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1 새들(saddle)부와, 제1 새들부에 대향하여 구조체의 일면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 새들부와, 제2 새들부에 대향하여 구조체의 일면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정착장치와, 제1 정착장치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1 새들부 및 제2 새들부를 경유하여 제2 정착장치에 타단이 고정되는 제1 와이어를 포함하되, 제1 정착장치, 제1 새들부, 제2 새들부 및 제2 정착장치는 구조체의 일면의 양측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는, 다수의 와이어를 배치하고 이를 긴장하여 구조물의 내력을 보강하는 구조에 있어서, 와이어의 긴장횟수를 줄여 와이어 긴장작업의 작업성 향상을 도모하고, 와이어에 도입되는 긴장력을 균일화하여 구조적 안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구조체의 일면의 면내 양 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다.
와이어, 텐션, 보강

Description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 및 보강공법{Apparatus and Method for strengthening by wire tensioning}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슬래브의 보강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에 의해 슬래브를 보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에 의해 슬래브를 보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형 새들부의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원형 새들부의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에 의해 슬래브를 보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7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에 의해 보(beam)를 보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텐션 보강공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제1 정착장치 18 : 제1 새들부
20 : 제2 새들부 22 : 제2 정착장치
24 : 와이어 50 : 원형 새들부
70 : 반원형 새들부 52 : 원형지주
53 : 반원형지주 54 : 와이어 홈
56 : 앵커부 62 : 앵커공
본 발명은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 및 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내력이 부족한 구조물을 보강하는 공법으로서 구조물에 하중에 의해 작용하는 응력에 대응하여 반대방향의 응력을 가하는 공법이 많이 사용된다. 즉, 구조물에 작용하는 응력을 상쇄할 수 있도록 구조물에 미리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가하여 실제 사용하중이 작용 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하는 방법으로 구조물을 보 강하는 것이다.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통상 고강도 강재를 이용하는 공법이 주로 쓰인다. 즉, 고강도 강재에 인장력을 작용시켜 긴장시킨 채로 그 끝을 정착하면 구조물에는 압축의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다. 고강도 강재로는 PS 강봉, PS 강선, PS 강연선 (이하 '와이어'라 함) 등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슬래브의 보강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슬래브(102), 보(103), 정착장치(104a, 104b), 와이어(106)가 도시되어 있다.
보강면적이 넓은 경우 슬래브의 저면에 다수의 정착장치와 와이어를 두어 슬래브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구조물의 내력을 보강하게 된다. 이 경우, 다수의 정착장치와 와이어를 사용함으로써 긴장작업을 여러 번 수행하게 된다.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해 와이어에 긴장력을 도입하는 작업은 마치 와이어의 인장시험과 같은 것으로 와이어가 그 수명 동안 받을 어떤 응력보다 더 큰 응력을 받는다. 따라서, 이러한 긴장작업은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작업이고 실제로 공사비용에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특히, 정착장치는 보나 기둥에 가까운 슬래브 저면의 단부에 설치되어 긴장작업이 까다롭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슬래브 저면에 다수의 정착장치와 와이어를 두고 여러 번 긴장하는 것은 비용이 과다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가 여러 개 배치되고 여러 번의 긴장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긴장작업에 신중을 기하더라도 긴장력이 균일하게 도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 따라 와이어를 긴장하는 경우 한 방향으로만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므로, 특히 2방향 슬래브의 보강의 경우 나머지 한 방향으로 다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와이어의 긴장작업의 회수를 대폭 감소하고, 와이어에 균일한 긴장력을 줄 수 있으며, 보강 단면의 면내 양 방향으로 보강이 가능한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 및 보강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구조체의 일면에 결합되어 구조체의 타면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는 장치로서, 구조체의 일면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정착장치와, 제1 정착장치에 대향하여 구조체의 일면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1 새들(saddle)부와, 제1 새들부에 대향하여 구조체의 일면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 새들부와, 제2 새들부에 대향하여 구조체의 일면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정착장치와, 제1 정착장치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1 새들부 및 제2 새들부를 경유하여 제2 정착장치에 타단이 고정되는 제1 와이어를 포함하되, 제1 정착장치, 제1 새들부, 제2 새들부 및 제2 정착장치는 구조체의 일면의 양측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제1 정착장치에 대향하여 제1 새들부에 인접하여 구조체의 일면의 타 측에 결합되는 제3 새들부와, 제2 정착장치에 대향하여 제2 새들부에 인접하여 구조체의 일면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4 새들부를 두되, 제1 와이어가 제1 정착장치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1 새들부, 제2 새들부, 제3 새들부 및 제4 새들부를 경유하여 제2 정착장치에 타단이 고정되어 구조체의 일면의 양측으로 다수의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정착장치에 대향하여 제1 새들부에 인접하여 구조체의 일면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3 정착장치와, 제2 정착장치에 대향하여 제2 새들부에 인접하여 구조체의 일면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4 정착장치와, 제3 정착장치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4 정착장치에 타단이 고정되는 제2 와이어를 더 둘 수 있다.
새들(saddle)부는 와이어가 감겨 용이하게 긴장할 수 있도록, 단면의 일측이 라운드 형상인 지주(支柱)와, 라운드 형상부의 외주면을 따라 와이어가 홈에 안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나 이상의 와이어 홈을 두며, 지주의 하단에 앵커부를 형성하여 구조체에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특히, 와이어 긴장 시 와이어가 라운드를 따라 새들부와 접하게 되어 긴장작업 시 새들부와 와이어 사이에 마찰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 홈에 베어링을 두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지주의 단면의 라운드는 반원형 또는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와이어의 중간에는 와이어의 긴장력이 소실된 경우 재긴장을 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턴버클(turnbuckle)을 둘 수 있다.
제2 정착장치는 와이어의 긴장력이 소실된 경우 재긴장을 할 수 있도록 볼트형 재인장 정착구와, 볼트형 재인장 정착구와 정합되는 재인장 너트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구조체의 일면을 보강하여 구조체의 타면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는 공법으로서, 제1 정착장치, 제1 새들부, 제2 새들부 및 제2 정착장치가 구조체의 일면의 양측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도록, 구조체의 일면의 일측에 제1 정착장치를 결합하고, 제1 정착장치에 대향하여 구조체의 일면의 타측에 제1 새들부를 결합하며, 제1 새들부에 대향하여 구조체의 일면의 일측에 제2 새들부를 결합하고, 제2 새들부에 대향하여 구조체의 일면의 타측에 제2 정착장치를 결합하는 단계, 제1 와이어의 일단을 제1 정착장치에 고정하고, 제1 와이어가 제1 새들부 및 제2 새들부를 경유하여 제2 정착장치에 결합하는 단계 및 제1 와이어를 긴장하여 제1 와이어의 타단을 제2 정착장치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와이어 텐션 보강공법이 제공된다.
한편, 외적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구조체를 보강한 경우 제1 와이어를 긴장하여 제1 와이어의 타단을 제2 정착장치에 고정하는 단계 이후에 와이어의 긴장력에 손실에 발생하면 턴버클 또는 볼트형 재인장 정착구와 재인장 너트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재긴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조체의 일면에 제1 정착장치, 제1 새들부, 제2 새들부, 제2 정착장치를 결합하는 단계에는, 제3 정착장치, 제3 새들부, 제4 새들부 및 제4 정착장치가 구조체의 일면의 양측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도록, 구조체의 일면의 타측에 제3 정착장치를 결합하고, 제3 정착장치에 대향하여 구조체의 일면의 일측에 제3 새들부를 결합하며, 제3 새들부에 대향하여 구조체의 일면의 타측에 제4 새들부를 결합 하고, 제4 새들부에 대향하여 구조체의 일면의 일측에 제4 정착장치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와이어의 일단을 제1 정착장치에 고정하고, 제1 새들부 및 제2 새들부를 경유하여 제2 정착장치에 결합하는 단계에는, 제2 와이어의 일단을 제3 정착장치에 고정하고, 제2 와이어가 제3 새들부 및 제4 새들부를 경유하여 제4 정착장치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와이어를 긴장하여 그 타단을 제2 정착장치에 고정하는 단계에는, 제2 와이어를 긴장하여 제2 와이어의 타단을 제4 정착장치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와이어 텐션 보강공법에서, 새들부는 와이어가 감겨 용이하게 긴장할 수 있도록, 단면의 일측이 라운드 형상인 지주(支柱)와, 라운드 형상부의 외주면에 와이어가 홈에 안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나 이상의 와이어 홈을 두며, 지주의 하단에 앵커부를 형성하여 구조체에 정착되도록 구성한다. 특히, 와이어 긴장 시 와이어가 라운드를 따라 새들부와 접하게 되어 긴장작업 시 새들부와 와이어 사이에 마찰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 홈에 베어링을 두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지주의 단면의 라운드는 반원형 또는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와이어는 복수의 단위 와이어로 구성되며, 복수의 단위 와이어는 턴버클(turnbuckle)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여 와이어의 긴장력이 소실된 경우 재긴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제2 정착장치는 와이어의 긴장력이 소실된 경우 재긴장을 할 수 있도록 볼트 형 재인장 정착구와, 볼트형 재인장 정착구와 정합되는 재인장 너트로 구성할 수 있다.
구조체가 콘크리트를 소결하여 형성된 경우에는, 상술한 와이어 텐션 보강공법을 수행하기 이전에 구조체의 일면의 콘크리트를 일부 제거하는 단계와 상술한 와이어 텐션 보강공법을 수행한 후, 콘크리트가 제거된 부분에 콘크리트를 부가하는 단계를 더 둘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 및 보강공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에 의해 슬래브를 보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에 의해 슬래브를 보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슬래브(12), 보(14), 제1 정착장치(16), 제1 새들부(18), 제2 새들부(20), 제2 정착장치(22), 와이어(24)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는 구조체의 일면에 결합되어 구조체의 타면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해, 구조체의 일면의 보(14)와 인접한 슬래브(12)의 단부에 제1 정착장치(16)를 결합하고, 제1 정착장치(16)에 대향하여 반대방향에 위치한 보(14)에 인접한 슬래브(12)의 타단부에 제1 새들(saddle) 부(18)를 결합하고, 제1 새들부(18)에 대향하여 슬래브(12)의 단부에 제2 새들부(20)를 결합한 후, 제2 새들부(20)에 대향하여 슬래브(12)의 타단부에 제2 정착장치(22)를 결합한다. 이와 같이 제1 정착장치(16) 및 제2 새들부(20)를 슬래브의 단부에 일렬로 배치하고, 제1 새들부(18) 및 제2 정착장치(22)를 슬래브(12)의 타단부에 일렬로 배치한 후, 와이어(24)의 일단을 제1 정착장치(16)에 고정하고 와이어(24)를 제1 새들부(16)의 와이어 홈을 따라 감고, 또한 제1 새들부(16)에 감긴 와이어를 다시 제2 새들부(20)의 와이어 홈에 감아 와이어(24)의 타단을 제2 정착장치(22)에 배치한다. 이와 같이 와이어(24)를 배치하면 최종적으로 와이어(24)가 지그재그형태가 된다. 와이어(24)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면 와이어(24)를 긴장하게 되는데, 제2 정착장치(22)의 정착판에 인장잭(jack)를 접촉시켜 이를 작동시켜 정착판의 반력으로 와이어(24)를 인장한 후 이를 제2 정착장치(22)에 정착함으로써 구조체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다.
보강하고자 하는 면이 넓은 경우 상기의 보강장치를 한 세트(set)으로 하여, 다수의 세트(set)를 둘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슬래브의 하단에 다른 세트를 배치함)
본 발명에 있어서 와이어(24)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일정한 각을 이루를 경우 와이어(24)를 긴장하여 정착함으로써 구조체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데, 지그재그가 일정한 각을 이루어 배치되는 경우에 작용하는 힘은 수평분력과 수직분력으로 나누어지고 따라서 이러한 힘의 수평분력과 수직분력은 보강하고자 하는 단면의 면내 양 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다.
한편, 제1 정착장치(16)에 대향하여 제1 새들부(18)에 인접하여 슬래브(24)의 타단부에 제3 새들부(미도시)를 결합하고, 제2 정착장치(22)에 대향하여 제2 새들부(20)에 인접하여 슬래브(12)의 단부에 제4 새들부(미도시)를 둘 수 있다. 즉, 제1 정착장치(16), 제2 새들부(20) 및 제4 새들부를 슬래브(12)의 단부에 일렬로 배치하고, 제1 새들부(18), 제3 새들부 및 제2 정착장치(22)를 슬래브(12)의 타단부에 일렬로 배치한 후, 와이어(24)의 일단을 제1 정착장치(16)에 고정하고 와이어(24)를 제1 새들부(18), 제2 새들부(20), 제3 새들부 및 제4 새들부의 와이어 홈을 따라 순차적으로 감고, 와이어(24)의 타단을 제2 정착장치(22)에 고정함으로써 여러 번의 지그재그 형태를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제1 정착장치(16)에 대향하여 제1 새들부(18)에 인접하여 제3 정착장치(미도시)를 슬래브(12)의 타단부에 설치하고, 제2 정착장치(22)에 대향하여 제2 새들부(20)에 인접하여 제4 정착장치(미도시)를 슬래브(12)의 단부에 설치하고, 제2 와이어(미도시)의 일단을 제3 정착장치에 고정하고, 타단을 제4 정착장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와이어(24)를 제1 정착장치(16)에 정착하고, 이를 제1 새들부(18)에 형성된 다수의 와이어 홈에 걸어 지그재그 형태의 와이어(24)가 겹치도록 배치하고 이를 긴장하여 구조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와이어에는 하나 이상의 턴버클(turnbuckle, 미도시)을 두어 시 공중 또는 구조물 사용중 와이어의 긴장력이 감소하는 경우 턴버클을 감아 와이어를 재긴장할 수 있도록 한다. 턴버클은 제1 정착장치와 제1 새들부, 제1 새들부와 제2 새들부 및 제2 새들부와 제2 정착장치 사이에 존재하는 와이어의 중간에 하나 이상을 두어 와이어의 긴장력 감소시 재긴장하도록 한다. 턴버클은 와이어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며, 가운데의 암나사부를 돌려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새들부(18, 20)는, 단면의 일측이 라운드(round) 형상인 지주(支柱)와, 라운드 형상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홈과, 지주의 하단에 형성되는 앵커부로 구성된다.
지주의 단면의 일측을 라운드 형상으로 하고 라운드 형상부의 외주면을 따라 와이어 홈을 두는데, 라운드 형상은 새들부에 와이어를 걸어 와이어 긴장 시 마찰력을 줄여 용이하게 긴장할 수 있도록 하고, 와이어 홈을 두는 것은 와이어를 안착시켜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라운드 형상부의 외주면을 따라 와이어 홈을 하나 이상을 둘 수 있는데, 긴장재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으로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라운드의 형상으로는 반원형 또는 원형 등이 좋다. 즉, 지주를 원기둥 형태로 하거나, 와이어와 지주가 접하게 되는 부분을 반원형 이나 타원형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4a 및 도 4b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지주의 높이는 달리 할 수 있는데, 지주의 높이가 길수록 와이어에 의한 긴장력의 편심이 증가하여 프리스트레스 도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컨데, 슬래브의 하면에 와이어를 배치하여 긴장력을 주고 정착시키면, 구조물에는 긴장력의 정착에 의한 압축력과 정착장치 및 지주의 높이에 따른 부(-)모멘트가 작용하여 슬래브 단면 하단에 보다 많은 압축응력을 미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정착장치의 높이와 지주의 높이는 여러 가지 보강조건에 따라 달리 할 수 있다.
와이어 홈에는 와이어의 긴장작업 시 와이어와 새들부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력에 의한 긴장력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베어링(미도시)을 둘 수 있다. 베어링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볼 베어링, 롤러 베어링, 미끄럼 베어링, 공기 베어링, 유체 베어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지주의 하단에는 앵커부를 두어 보강하고자 하는 구조물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형 새들부의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원형 새들부의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면, 원형지주(52), 반원형 지주(53), 와이어 홈(54), 앵커부(56), 와이어(58), 볼트(60), 앵커공(62)이 도시되어 있다.
원형 새들부(50)는 라운드의 형상을 원형으로 구성하여 원기둥의 외주면을 따라 와이어 홈(54)을 하나 이상 형성하였다. 와이어 홈(54)은 사용되는 와이어의 크기에 따라 홈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와이어 홈(54)의 크기는 사용되는 와이어(58)의 크기보다 조금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 홈(54)은 원형지주(52)의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하나 이상을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와이어(58)를 다중으로 설치하여 긴장효력을 증가시킬 수 있 기 때문이다. 와이어 홈(54)은 와이어(58)를 걸고 걸린 와이어(58)가 긴장작업 시 또는 구조물의 사용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와이어 홈(54)에는 와이어(58)의 긴장작업 시 와이어(58)와 원형 새들부(50)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력에 의한 긴장력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베어링(미도시)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어링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볼 베어링, 롤러 베어링, 미끄럼 베어링, 공기 베어링, 유체 베어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원형지주(52)의 하단에는 앵커부(56)를 두는데, 앵커부(56)는 보강하고자 하는 구조물에 원형 새들부(50)를 체결하기 위한 장치로서 와이어(58)의 긴장작업이나 프리스트레스 도입 후 구조물의 사용시 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적절히 설계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수단으로서 볼트(60)을 사용하였다. 원형 새들부(50)를 구조물의 설치하고자 곳에 위치시킨 후 볼트(60)를 앵커공(62)에 삽입하여 구조물에 체결하게 된다. 앵커부(56)와 구조물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으로는 본 실시예의 볼트(60) 이외에 리벳 등 당업자에 자명한 체결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강구조물을 보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앵커부를 직접 강구조물에 용접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원형 새들부(70)는 지주의 단면 일측의 라운드의 형상을 반원형으로 구성한 것으로 와이어(58)와 새들부가 직접 닿는 부분만을 라운드를 갖도록 한 것이다. 다만, 기하학적인 반원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반타원형 등 라운드를 가진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와이어(58)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데 지그재그가 이루는 각에 따라 반원형의 라운드 형상을 달리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외의 와이어 홈(54), 베이링, 앵커부(56) 등 기타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정착판(202), 볼트형 재긴장 정착구(204), 재긴장 너트(206), 쐐기(208), 다이어프램(210)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제2 정착장치는 와이어(24)를 쐐기(208)로 감싼 후 볼트형 재긴장 정착구(204)에 형성된 구멍에 쐐기(208)가 인입되면서 쐐기작용(wedge action)으로 와이어(24)가 정착되며 또한, 와이어(24)를 재긴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와이어(24)을 이용하여 구조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내력을 보강하는 경우, 시일이 지남과 더불어 와이어(24)의 긴장력이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감소된 긴장력을 보충하기 위해 와이어(24)를 재긴장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의 제2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재긴장하는 공법은 볼트형 재긴장 정착구(204)에서 돌출되는 와이어(24)를 인장잭에 물린 후 정착판(202)에 인장잭를 접촉시켜 이를 작동시켜 정착판(202)의 반력으로 와이어(24)를 재긴장한 후 와이어(24)가 긴장된 길이만큼 재긴장 너트(206)를 회전시켜 볼트형 재긴장 정착구(204)를 이동시켜 재긴장하게 된다.
다만, 정착장치로서 본 실시예 이외에 와이어 끝을 못머리와 같이 제두가공(製頭加工)하여, 이를 정착판으로 지지하게 하는 리벳머리식이 이용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에 의해 슬래브를 보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슬래브(12), 보(14), 제1 정착장치(16), 제1 새들부(18), 제2 새들부(20), 제2 정착장치(22), 제1 와이어(24), 제3 정착장치(82), 제3 새들부(84), 제4 새들부(86), 제4 정착장치(88), 제2 와이어(9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구조체의 일면의 보(14)와 인접한 슬래브(12)의 단부에 제1 정착장치(16)를 결합하고, 제1 정착장치(16)에 대향하여 반대방향에 위치한 보(14)에 인접한 슬래브의 타단부에 제1 새들부(18)를 결합하고, 제1 새들부(18)에 대향하여 슬래브의 단부에 제2 새들부(20)를 결합한 후, 제2 새들부(20)에 대향하여 슬래브(12)의 타단부에 제2 정착장치(22)를 결합한다. 이와 같이 제1 정착장치(16) 및 제2 새들부(20)를 슬래브의 단부에 일렬로 배치하고, 제1 새들부(18) 및 제2 정착장치(22)를 슬래브(12)의 타단부에 일렬로 배치한 후, 제1 와이어(24)의 일단을 제1 정착장치(16)에 고정하고 제1 와이어(16)를 제1 새들부(18)의 와이어 홈을 따라 감고, 또한 제1 새들부(18)에 감긴 제1 와이어(24)를 다시 제2 새들부(20)의 와이어 홈에 감아 제1 와이어(24)의 타단을 제2 정착장치(22)에 배치한다. 이와 같이 제1 와이어(24)를 배치하면 최종적으로 제1 와이어(24)가 지그재그형태가 되도록 하여 제1 정착장치(16), 제1 새들부(18), 제2 새들부(20), 제2 정착장치(22), 제1 와이어(24)를 한 세트로 한 후, 제1 정착장치(16)에 대향하여 제3 정착장치(82), 제1 새들부(18)에 대향하여 제3 새들부(84), 제2 새들부(20)에 대향하여 제4 새들부(86), 제2 정착장치(22)에 대향하여 제4 정착부(88)를 각각 대응하는 슬래브의 반대 단부에 배치하고 제2 와이어(90)의 일단을 제3 정착장치(82)에 고정하고 제2 와이어(90)를 제3 새들부(84)의 와이어 홈을 따라 감고, 또한 제3 새들부(84)에 감긴 제2 와이어(90)를 다시 제4 새들부(86)의 와이어 홈에 감아 제2 와이어(90)의 타단을 제4 정착장치(88)에 배치하여 또 다른 세트로 하여 구성한다.
즉, 제1 정착장치(16), 제1 새들부(18), 제2 새들부(20), 제2 정착장치(22), 제1 와이어(24)가 형성하는 지그재그형태와 제3 정착장치(82), 제3 새들부(84), 제4 새들부(86), 제4 정착장치(88), 제2 와이어(90)가 형성하는 지그재그 형태가 서로 겹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구조물 보강 시 보다 균일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물론 각 세트에 더 많은 새들부를 두어 여러 번의 지그재그 형태를 형성하도록 구성하여, 이들이 서로 겹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긴장작업은 제2 정착장치(22) 및 제4 정착장치(88)의 정착판에 인장잭(jack)를 접촉시켜 이를 작동시켜 정착판의 반력으로 제1 와이어(24) 및 제2 와이어(90)를 인장한 후 이를 제2 정착장치(22) 및 제4 정착장치(88)에 정착함으로써 구조체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다. 이때, 제1 와이어(24)의 긴장작업을 완료한 후 제2 와이어(90)를 긴장하는 것보다 와이어의 인장을 순차적으로 단계로 나누어 제1 와이어(24)와 제2 와이어(90)를 번갈아 가면서 긴장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균일하게 도입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에 의해 보(beam)를 보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보(14), 제1 정 착장치(16), 제1 새들부(18), 제2 새들부(20), 제2 정착장치(22), 와이어(24)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beam)에 적용한 것이다. 보(14)의 경우도 상술한 슬래브를 경우와 같이 와이어를 이용하여 미리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보강하게 된다. 보(14)가 상부의 하중을 지탱하는 경우 와이어(24)의 배치는 보 단면의 중립축의 하단에 배치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보 단면의 중립축 이하에 긴장력에 의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미리 보 하단에는 압축응력이 발생하고 보 상단에는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후 하중이 가해지면 하중에 의한 보 상단의 압축응력과 미리 프리스트레스된 인장응력이 상쇄하게 되고, 보 하단의 하중에 의한 인장응력은 미리 프리스트레스된 압축응력과 상쇄하여 구조물의 내력이 증가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보(14)의 옆면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정착장치(16), 제1 새들부(18), 제2 새들부(20), 제2 정착장치(22)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하여 와이어를 긴장함으로써 보(14)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공법으로 보(14)의 한쪽 옆면에만 보강장치를 설치하여 긴장하는 경우 편심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보강장치를 보(14)의 다른 옆면(미도시)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보(14)의 하면에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를 두어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텐션 보강공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S100 단계에서는, 보강하고자 하는 구조체가 콘크리트가 소결되어 이루어진 것이라면, 콘크리트 구조체의 일면의 콘크리트를 일부 제거하여 본 발명의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를 설치하여 구조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후 다시 제거된 단면을 새 콘크리트로 회복하는 것이 좋다.
통상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을 요하는 구조체의 일면에는 과도한 하중에 의한 균열이 발생한 경우가 많고 따라서 균열이 발생한 콘크리트를 제거한 후 내력을 보강한 후 다시 새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미관상 좋고 또한 인장력이 작용하는 와이어를 콘크리트로 피복함으로써 긴장력 손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기 환경으로부터 이를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단계에서는 보강을 요하는 구조체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경우 구조체의 일면의 콘크리트를 일부 제거하는 단계이다.
물론, 외적 프리스트레싱 공법에 의해 콘크리트를 제거하지 않고 보강장치가 외기에 노출되도록 하여 보강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이러한 경우 본 단계는 필요치 않을 수 있다. 또한, 강재 구조물의 경우도 역시 본 단계가 필요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S200 단계는, 구조체의 일면을 보강하여 구조체의 타면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제1 정착장치, 제1 새들부, 제2 새들부 및 제2 정착장치가 구조체의 일면의 양측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도록, 구조체의 일면의 일측에 제1 정착장치를 결합하고, 제1 정착장치에 대향하여 구조체의 일면의 타측에 제1 새들부를 결합하며, 제1 새들부에 대향하여 구조체의 일면의 일측에 제2 새들부를 결합하고, 제2 새들부에 대향하여 구조체의 일면의 타측에 제2 정착장치를 결합하게 된다. 예컨데, 내력이 부족한 슬래브를 보강하는 경우 슬래브의 하면에 보와 인접한 슬래브의 단부에 제1 정착장치를 결합하고, 제1 정착장치에 대향하여 반대방향에 위치한 보에 인접한 슬래브의 타단부에 제1 새들부를 결합하고, 제1 새들부에 대향하여 슬래브의 단부에 제2 새들부를 결합한 후, 제2 새들부에 대향하여 슬래브의 타단부에 제2 정착장치를 결합한다. 이와 같이 제1 정착장치 및 제2 새들부를 슬래브의 단부에 일렬로 배치하고, 제1 새들부 및 제2 정착장치를 슬래브의 타단부에 일렬로 배치하는 것이다.
한편, 제1 정착장치에 대향하여 제1 새들부에 인접하여 슬래브의 타단부에 제3 새들부를 결합하고, 제2 정착장치에 대향하여 제2 새들부에 인접하여 슬래브의 단부에 제4 새들부를 둘 수 있다. 즉, 제1 정착장치, 제2 새들부 및 제4 새들부를 슬래브의 단부에 일렬로 배치하고, 제1 새들부, 제3 새들부 및 제2 정착장치를 슬래브의 타단부에 일렬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6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정착장치, 제1 새들부, 제2 새들부, 제2 정착장치가 형성하는 지그재그형태와 제3 정착장치, 제3 새들부, 제4 새들부, 제4 정착장치가 형성하는 지그재그 형태가 서로 겹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구조체와의 결합은 정착장치 및 새들부의 앵커부를 구조체의 일면의 소정의 위치에 체결수단으로 구조체에 결합한다. 앵커부와 구조체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으로는 볼트 이외에 리벳 등 당업자에 자명한 체결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강구조물을 보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앵커부를 직접 강구조물에 용접하는 것도 가능하다.
S300 단계에서는, 와이어의 일단을 제1 정착장치에 고정하고 와이어를 제1 새들부의 와이어 홈을 따라 감고, 또한 제1 새들부에 감긴 와이어를 다시 제2 새들부의 와이어 홈에 감아 와이어의 타단을 제2 정착장치에 결합한다. 이와 같이 와이어를 배치하면 최종적으로 와이어가 지그재그형태가 된다.
복수의 새들부를 두어 여러 번의 지그재그 형태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와이어의 일단을 제1 정착장치에 고정하고 와이어를 제1 새들부, 제2 새들부, 제3 새들부 및 제4 새들부의 와이어 홈을 따라 순차적으로 감고, 와이어의 타단을 제2 정착장치에 고정한다.
한편, 도 6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정착장치, 제1 새들부, 제2 새들부, 제2 정착장치가 형성하는 지그재그 형태와 제3 정착장치, 제3 새들부, 제4 새들부, 제4 정착장치가 형성하는 지그재그 형태가 서로 겹치도록 배치한 경우에는, 제1 와이어의 일단을 제1 정착장치에 고정되고, 제1 새들부 및 제2 새들부를 경유하여 제2 정착장치와 결합하고, 제2 와이어의 일단을 제3 정착장치에 고정, 제3 새들부 및 제4 새들부를 경유하여 제4 정착장치에 결합하도록 하여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가 형성하는 지그재그 형태가 서로 겹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구조물 보강시 보다 균일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물론 각 세트에 더 많은 새들부를 두어 여러 번의 지그재그 형태를 형성하도록 구성하여, 이들이 서로 겹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S400 단계에서는, S300 단계에서 배치된 와이어를 인장 잭에 물려 정착장치의 정착판에 인장잭(jack)를 접촉시켜 이를 작동시켜 정착판의 반력으로 와이어를 인장한 후 이를 제2 정착장치에 정착함으로써 구조체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다. 즉, 제2 정착장치의 정착판에 인장잭(jack)를 접촉시켜 이를 작동시켜 정착판의 반력으로 와이어를 인장한 후 이를 제2 정착장치에 정착함으로써 구조체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다.
정착장치는 정착판, 정착구, 쐐기 등으로 구성되는데, 와이어를 쐐기로 감싼 후 앵커헤드에 형성된 구멍에 쐐기가 인입되면서 쐐기작용(wedge action)으로 와이어를 정착된다. 다만, 정착장치로서 본 실시예 이외에 와이어 끝을 못머리와 같이 제두가공(製頭加工)하여, 이를 정착판으로 지지하게 하는 리벳머리식이 이용될 수 있다.
와이어를 긴장하여 제1 와이어의 타단을 제2 정착장치에 고정하는 단계 이후에 특히, 외적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구조체를 보강한 경우 와이어의 긴장력에 손실에 발생하면 턴버클 또는 볼트형 재인장 정착구와 재인장 너트로 와이어를 재긴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정착장치, 제1 새들부, 제2 새들부 및 제2 정착장치가 형성하는 지그재그 형태와 제3 정착장치, 제3 새들부, 제4 새들부 및 제4 정착장치가 형성하는 지그재그 형태가 서로 겹치도록 배치한 경우에는, 긴장작업은 제2 정착장치 및 제4 정착장치의 정착판에 인장잭(jack)를 접촉시켜 이를 작동시켜 정착판의 반력으로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를 인장한 후 이를 제2 정착장치 및 제4 정착장치에 정착함으로써 구조체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다. 이때, 제1 와이어의 긴장작업을 완료한 후 제2 와이어를 긴장하는 것보다, 와이어의 인장을 순차적으로 단계를 나누어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를 번갈아 가면서 긴장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균일하게 도입할 수 있다.
S500 단계에서는, S100 단계에서 제거된 콘크리트를 새 콘크리트로 회복하는 것이다.
외적 프리스트레싱 공법에 의해 콘크리트를 제거하지 않고 보강장치가 외기에 노출되도록 하여 보강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본 단계는 생략할 수 있다. 또한, 강재 구조물의 경우도 역시 본 단계가 필요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본 실시예의 새들부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와이어를 배치하고 이를 긴장하여 구조물의 내력을 보강하는 구조에 있어서, 와이어의 긴장횟수를 줄여 와이어 긴장작업의 작업성 향상을 도모하고, 와이어에 도입되는 긴장력을 균일화하여 구조적 안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구조체의 일면의 면내 양 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다.

Claims (17)

  1. 구조체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구조체의 타면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는 장치로서,
    상기 구조체의 일면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정착장치와;
    상기 제1 정착장치에 대향하여 상기 구조체의 일면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1 새들(saddle)부와;
    상기 제1 새들부에 대향하여 상기 구조체의 일면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 새들부와;
    상기 제2 새들부에 대향하여 상기 구조체의 일면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정착장치와;
    상기 제1 정착장치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1 새들부 및 상기 제2 새들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2 정착장치에 타단이 고정되는 제1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정착장치, 상기 제1 새들부, 상기 제2 새들부 및 상기 제2 정착장치는 상기 구조체의 일면의 양측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착장치에 대향하여 상기 제1 새들부에 인접하여 상기 구조체의 일면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3 새들부와;
    상기 제2 정착장치에 대향하여 상기 제2 새들부에 인접하여 상기 구조체의 일면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4 새들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와이어가 제1 정착장치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1 새들부, 상기 제2 새들부, 제3 새들부 및 제4 새들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2 정착장치에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구조체의 일면의 양측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착장치에 대향하여 상기 제1 새들부에 인접하여 상기 구조체의 일면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3 정착장치와;
    상기 제2 정착장치에 대향하여 상기 제2 새들부에 인접하여 상기 구조체의 일면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4 정착장치와;
    상기 제3 정착장치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4 정착장치에 타단이 고정되는 제2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새들부 또는 상기 제2 새들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단면의 일측이 라운드 형상인 지주(支柱)와;
    상기 라운드 형상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홈과;
    상기 지주의 하단에 형성되는 앵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홈에 결합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단면의 라운드는 반원형 또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는 복수의 단위 와이어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단위 와이어는 턴버클(turnbuckle)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착장치는 볼트형 재인장 정착구와;
    상기 볼트형 재인장 정착구와 정합되는 재인장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
  9. 구조체의 일면을 보강하여 상기 구조체의 타면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는 공법으로서,
    (a) 제1 정착장치, 제1 새들부, 제2 새들부 및 제2 정착장치가 상기 구조체의 일면의 양측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도록, 상기 구조체의 일면의 일측에 상기 제1 정착장치를 결합하고, 상기 제1 정착장치에 대향하여 상기 구조체의 일면의 타측에 상기 제1 새들부를 결합하며, 상기 제1 새들부에 대향하여 상기 구조체의 일면의 일측에 상기 제2 새들부를 결합하고, 상기 제2 새들부에 대향하여 상기 구조체의 일면의 타측에 상기 제2 정착장치를 결합하는 단계;
    (b) 제1 와이어의 일단을 상기 제1 정착장치에 고정하고, 상기 제1 와이어가 상기 제1 새들부 및 상기 제2 새들부를 경유하여 제2 정착장치에 결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와이어를 긴장하여 상기 제1 와이어의 타단을 상기 제2 정착장 치에 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와이어 텐션 보강공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에는,
    (a1) 제3 정착장치, 제3 새들부, 제4 새들부 및 제4 정착장치가 상기 구조체의 일면의 양측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도록, 상기 구조체의 일면의 타측에 상기 제3 정착장치를 결합하고, 상기 제3 정착장치에 대향하여 상기 구조체의 일면의 일측에 상기 제3 새들부를 결합하며, 상기 제3 새들부에 대향하여 상기 구조체의 일면의 타측에 상기 제4 새들부를 결합하고, 상기 제4 새들부에 대향하여 상기 구조체의 일면의 일측에 상기 제4 정착장치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b)에는,
    (b1) 제2 와이어의 일단을 상기 제3 정착장치에 고정하고, 상기 제2 와이어가 상기 제3 새들부 및 상기 제4 새들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4 정착장치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계(c)에는,
    (c1) 상기 제2 와이어를 긴장하여 상기 제2 와이어의 타단을 상기 제4 정착장치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 보강공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새들부 또는 상기 제2 새들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단면의 일측이 라운드(round) 형상인 지주(支柱)와;
    상기 라운드 형상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홈과;
    상기 지주의 하단에 형성되는 앵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 보강공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홈에 결합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 보강공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단면의 라운드는 반원형 또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 보강공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는 복수의 단위 와이어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단위 와이 어는 턴버클(turnbuckle)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 보강공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착장치는 볼트형 재인장 정착구와;
    상기 볼트형 재인장 정착구와 정합되는 재인장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텐션 보강공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이후에,
    상기 제1 와이어를 재긴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와이어 텐션 보강공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콘크리트를 소결하여 형성되며,
    상기 단계 (a) 이전에,
    (d) 상기 구조체의 일면의 콘크리트를 일부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 (c) 이후에,
    (e) 상기 단계 (d)에서 콘크리트가 제거된 부분에 콘크리트를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 텐션 보강공법.
KR1020060063111A 2006-07-05 2006-07-05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 및 보강공법 KR200800042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111A KR20080004293A (ko) 2006-07-05 2006-07-05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 및 보강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111A KR20080004293A (ko) 2006-07-05 2006-07-05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 및 보강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293A true KR20080004293A (ko) 2008-01-09

Family

ID=39215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111A KR20080004293A (ko) 2006-07-05 2006-07-05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 및 보강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429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45899A (zh) * 2010-06-05 2010-09-29 朱虹 一种加固楼板下承重墙的构造及施工方法
CN101922238A (zh) * 2010-08-27 2010-12-22 北京工业大学 预应力钢绞线加固混凝土受弯构件的简便张拉锚固系统
CN102003071B (zh) * 2009-12-29 2012-02-22 中交第一航务工程局有限公司 后张法预应力梁的预应力孔道制孔定位施工工艺
KR101412421B1 (ko) * 2012-09-27 2014-06-25 삼성물산 주식회사 이형 강선 타입의 ps부재의 동시 생산을 위한 강연선 위치조절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03071B (zh) * 2009-12-29 2012-02-22 中交第一航务工程局有限公司 后张法预应力梁的预应力孔道制孔定位施工工艺
CN101845899A (zh) * 2010-06-05 2010-09-29 朱虹 一种加固楼板下承重墙的构造及施工方法
CN101922238A (zh) * 2010-08-27 2010-12-22 北京工业大学 预应力钢绞线加固混凝土受弯构件的简便张拉锚固系统
KR101412421B1 (ko) * 2012-09-27 2014-06-25 삼성물산 주식회사 이형 강선 타입의 ps부재의 동시 생산을 위한 강연선 위치조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67037B2 (ja) 既存構造物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KR20150126502A (ko) 강아치교의 구조와 이의 시공방법
JP5937898B2 (ja) 箱桁橋の構築法
KR100664698B1 (ko)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교의 인장강도 보강장치
KR101482388B1 (ko)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KR20080004293A (ko) 와이어 텐션 보강장치 및 보강공법
KR100261556B1 (ko)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
JP2005273392A (ja) Pc鋼材を用いた橋梁補強方法
KR20040001280A (ko) 프리스트레스 강합성 빔 및 그 제작방법
JP3877995B2 (ja) 張弦桁橋の構築方法
KR100277606B1 (ko) 양방향 트러스를 이용한 구조보강 방법
JP2709279B2 (ja) 斜張橋の主塔側斜張ケーブル用サドル構造体
KR101397131B1 (ko)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030077987A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세그먼트부재에 의해 구축되는강판빔 및 그 시공방법
JP4493245B2 (ja) 吊床版橋及び吊床版の補強方法
JP2011190616A (ja) 緊張材の緊張力解放装置及び緊張力解放方法
JPH0542553B2 (ko)
KR20010084979A (ko) 교량의 외부 강선 보강을 위한 연결장치
KR200278091Y1 (ko) 사장 외부케이블을 이용한 손상된 교량에서의 보수보강장치
KR200369732Y1 (ko) 원통형 강관 구조빔
KR20130103970A (ko)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와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가설교량
KR20140046111A (ko) 피에스씨 빔 시공방법
JP2009185488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
KR101273377B1 (ko) 피에스씨 거더의 솟음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JP2011058181A (ja) 角形鋼管を使用した床版橋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